KR102140888B1 - 주물 운반 장치 - Google Patents

주물 운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888B1
KR102140888B1 KR1020190032417A KR20190032417A KR102140888B1 KR 102140888 B1 KR102140888 B1 KR 102140888B1 KR 1020190032417 A KR1020190032417 A KR 1020190032417A KR 20190032417 A KR20190032417 A KR 20190032417A KR 102140888 B1 KR102140888 B1 KR 102140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ing
frame
hole
guide
safety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현
Original Assignee
이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현 filed Critical 이충현
Priority to KR1020190032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8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Devices For Molds (AREA)

Abstract

안전 수단을 구비하여 주물 이송시 주물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 하단에 설치되어 주물을 흡착하여 고정하는 흡착부,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주물 하부로 선택적으로 이동되어 주물의 낙하를 방지하는 안전부를 포함하는 주물 운반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주물 운반 장치{APPARATUS FOR CARRYING CASTING}
본 개시내용은 주물을 안전하게 이송하기 위한 주물 운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납 등의 금속은 금형을 통해 일정한 모양과 크기로 주조되어 수요가에게 제공된다. 제조된 주물은 금형으로부터 분리하여 필요한 곳으로 운반된다. 금속 주물은 통상 1톤 이상의 무게로 주조되므로, 몰드에서 이를 분리하여 운반하는 것은 쉽지 않다.
종래의 경우, 주물에 별도로 운반용 브라켓을 삽입하여 주물을 제조한 후, 운반용 브라켓에 크레인의 후크를 걸어 주물을 분리 운반하였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 금형 내에 일일이 브라켓을 설치해야 하므로 작업이 힘들며, 주물 운반 후에는 주물에서 브라켓을 제거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최근 들어, 진공압을 이용하여 주물을 금형에서 분리 운반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진공압을 이용한 구조의 경우 주물에 브라켓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조업이 간편한 잇점이 있다. 그러나, 진공압 형성을 위한 실링패드가 고열에 의해 쉽게 마모됨에 따라 이를 교체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또한, 종래의 장치는 안전을 위한 구성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주물 운반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에 충분히 대비하기 어렵다. 따라서, 주물 이동 과정에서 운반장치에서 주물이 분리되는 경우, 대형의 주물이 설비 바닥으로 떨어져 제품 손상은 물론 주위 설비 파손 및 인명사고와 같은 대형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본 과제는 안전 수단을 구비하여 주물 이송시 주물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주물 운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보다 협소한 공간에서도 충분히 작동될 수 있고, 기존의 장치에도 설치가 가능한 주물 운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진공패드를 보다 쉽고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된 주물 운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설비의 구조를 보다 단순화할 수 있도록 된 주물 운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구현예의 주물 운반 장치는,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 하단에 설치되어 주물을 흡착하여 고정하는 흡착부,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주물 하부로 선택적으로 이동되어 주물의 낙하를 방지하는 안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부는 상기 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하단에는 주물 하단으로 돌출되어 주물 낙하시 걸리도록 된 후크가 형성된 안전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안전바에 연결되어 안전바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안전바 승하강시 후크를 상기 주물의 하단으로 유도하는 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부는 상기 안전바에 설치되는 안내롤, 상기 프레임 측면에 설치되고 전면에는 상기 안내롤을 지지하며 안전바 승하강에 따라 상기 안내롤을 가이드하여 후크를 주물 하부로 유도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안내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부는 프레임의 대향되는측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안전바는 두 개가 한 쌍을 이루어 연결부재를 매개로 연결되어 한 몸체를 이루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안내롤은 적어도 두 개가 안전바를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안내판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단부는 주물쪽으로 굽어져 형성되어 안전바 하단을 주물쪽으로 유도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흡착부는 에어를 흡입하여 진공압을 형성하는 진공펌프와 진공탱크, 상기 프레임 하단에 형성된 에어유통구와 상기 진공탱크 사이에 설치되어 에어유통구를 통해 선택적으로 진공압을 인가하는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에어유통구 외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 하단과 주물 사이를 실링하는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착부는 상기 프레임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면에는 상기 에어유통구와 연통되는 에어홀이 형성된 기판을 더 포함하고, 주물과 접하는 상기 기판의 하면에는 둘레를 따라 상기 패드가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하단에 상기 기판을 탈부착하는 것으로 상기 패드를 교체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진공탱크는 상기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밀폐된 공간에 의해 형성되어 프레임의 일부를 이루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상기 공간과 프레임 하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운반 과정에서 주물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줄이고 안전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컴팩트하고 구조가 단순하여 협소한 공간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새로운 설비는 물론 기존 설비에도 간단히 장착하여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진공패드를 보다 쉽고 신속하게 교체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장치 내부에 진공탱크와 밸브를 구비함으로써 설비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설비를 보호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주물 운반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주물 운반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주물 운반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주물 운반 장치의 진공플레이트 장착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주물 운반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설명에서, 상하방향 또는 수직 방향은 도 1에서 z 축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도 1의 z축 방향을 따라 위쪽을 상 또는 상부라 하고, z축 방향을 따라 아래쪽은 하 또는 하부라 한다.
주물(100)은 몰드에 용탕을 주입하여 주조된 것으로, 설정된 크기와 부피를 갖는 사각의 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주물(100)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지게차 등으로 주물(100)을 쉽게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내측으로 단턱(1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운반 장치(10)는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20) 하단에 설치되어 주물(100)을 흡착하여 고정하는 흡착부(30), 프레임(20)의 측면에 설치되고 주물(100) 하부로 선택적으로 이동되어 주물(100)의 낙하를 방지하는 안전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운반 장치(10)는 안전부(50)가 주물(100) 하부에 형성된 단턱(110)에 걸리도록 하여 주물(100)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구조 외에 단턱을 형성하지 않은 주물의 경우 안전부가 주물의 하단으로 이동되어, 주물의 하단 모서리가 안전부에 걸리도록 하여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프레임(20)은 복수개의 수직바와 수평바 또는 플레이트를 조립하여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20)은 본 장치의 각 구성부가 고정 설치되는 뼈대를 이룬다. 프레임(20)의 구조나 형태, 크기 등은 주물(100)의 형태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프레임(20)의 하부에는 주물(100)을 흡착 고정하여 들어올리기 위한 흡착부(30)가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20)의 상단에는 프레임(20) 이동을 위한 고리(22)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예를 들어 천정 크레인의 후크를 고리(22)에 걸어 프레임(20)을 이동시킴으로써, 프레임(20)에 고정된 주물(100)을 원하는 위치로 운반할 수 있게 된다.
프레임(20)의 측면에는 흡착부(30)에 고정된 주물(100)의 낙하 방지를 위한 안전부(50)가 설치될 수 있다.
안전부(50)는 흡착부(30) 위쪽에 배치되며 필요시 주물(100) 하부로 이동되어 주물(100)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본 장치를 몰드 상부로 이동하고 흡착부(30)로 몰드에서 주물(100)을 흡착하여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안전부(50)가 흡착부(30) 위쪽에 위치하므로 몰드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장치는 안전부(50)가 구비되더라도 간섭 없이 몰드 상부의 좁은 영역으로 접근하여 몰드에서 주물(100)을 들어 올릴 수 있게 된다.
안전부(50)는 주물(100)을 흡착한 상태에서 필요시 아래로 이동되어 안전 장치로 작용한다.
안전부(50)는 프레임(20)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하단에는 주물(100) 하부 단턱(110)으로 돌출되어 주물(100) 낙하시 걸리도록 된 후크(54)가 형성된 안전바(52), 프레임(20)에 설치되고 안전바(52)에 연결되어 안전바(52)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안전바(52) 승하강시 후크(54)를 주물(100)의 단턱(110)으로 유도하는 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부(50)는 프레임(20)의 대향되는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된다. 안전부(50)는 프레임(20)을 사이에 두고 대칭적인 구조를 이룬다. 각 안전부(50)는 대칭 구조인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이하 일측 안전부(50)의 구조를 예로서 설명한다.
안전바(52)는 두 개가 한 쌍을 이룰 수 있다. 한 쌍을 이루는 두 개의 안전바(52)는 연결부재(56)에 의해 연결되어 한 몸체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는 프레임(20)의 좌우 양측에 각각 두 개씩의 안전바(52)가 배치되어 모두 4개의 안전바(52)가 구비되어 주물(100)의 하단을 안정적으로 받쳐 줄 수 있다.
안전바(52)는 상하로 길게 연장되고, 하단에는 후크(54)가 돌출 형성된다. 안전바(52)의 길이나 형태 또는 후크(54)의 돌출 길이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안전바(52)가 완전히 하강되면서 후크(54)는 주물(100)의 단턱(110) 밑으로 이동될 수 있다. 후크(54)는 주물(100)의 단턱(110) 밑으로 이동되어 단턱(110)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후크(54)는 주물(100)과 떨어져 있어 주물과 간섭되지 않으며, 주물의 흡착 상태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주물(100) 이동 과정에서 주물(100)이 흡착부(30)에서 떨어지는 경우 단턱(110) 밑에 위치한 후크(54)에 단턱(110)이 걸리면서 주물(100)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는 공압이나 유압으로 구동되는 구동실린더(5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0) 상부에는 구동실린더(58)로 공압이나 유압을 인가하기 위한 공급부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실린더(58)는 프레임(20)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피스톤로드 선단은 연결부재(56) 상에 브라켓(57)을 매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구동실린더(58)가 신축 구동되면 구동실린더(58)의 피스톤로드에 연결된 한 쌍의 안전바(52)가 상하로 이동된다.
유도부는 안전바(52)가 상하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안전바(52)의 후크(54)를 최적화된 경로를 통해 주물(100)의 단턱(110) 밑으로 유도하거나 단턱(110) 밑에서 외측으로 유도한다. 이에, 안전바(52)는 상하 이동을 통해 최소한의 공간 내에서 주물(100)의 단턱(110)에 걸리지 않고 후크(54)를 단턱(110) 밑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유도부는 안전바(52)에 설치되는 안내롤(60,61))과, 가이드홀(72)이 형성된 안내판(70)을 포함할 수 있다. 안내판(70)은 프레임(20) 측면에 설치된다. 안내판(70)의 전면에는 안내롤(60,61)을 지지하며 안전바(52) 승하강에 따라 안내롤을 가이드하여 안전바(52) 하단의 후크(54)를 주물(100) 하부로 유도하는 가이드홀(72)이 형성된다.
가이드홀(72)은 안내판(7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단부는 안전바(52)의 후크(54)를 주물(100)의 단턱(110) 밑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주물(100)쪽으로 굽어져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안전바(52)가 하강되면 안내롤(60,61)이 안내판(70)의 가이드홀(70)에 지지된 상태로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되면서 안전바(52)를 주물(100) 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안전바(52)의 후크(54)를 주물(100)의 단턱(110) 밑으로 유도하게 된다. 반대로 안전바(52)가 승강되면 안내롤(60,61)이 안내판(70)의 가이드홀(72)을 따라 이동되면서 안전바(52)의 후크(54)를 주물(100)의 단턱(110) 밑에서 외측으로 벗어나도록 하고 최종적으로 안전바(52)를 주물(100) 위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단지 구동부를 통해 안전바(52)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주물(100)과의 간섭없이 최소한의 움직임으로 안전바(52)의 후크(54)를 주물(100) 하단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안전바(52)는 가이드홀(72)과 안내롤(60,61)을 매개로 안내판(70)에 지지된다. 이에, 안전바(52)는 안내판(70)에 지지된 상태로 안내판(70)을 따라 가이드홀(72)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따라 정확히 이동될 수 있다.
안내롤(60,61)은 회전가능한 롤 구조물로 가이드홀(72)을 따라 자유롭게 회전되어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보다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는, 안내롤은 단순하게 가이드홀에 끼워지는 돌출된 핀 구조일 있다.
안내판(70)은 각 안전바(52)에 대응하여 프레임(20) 측면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연결부재(56)로 연결된 한 쌍의 안전바(52)는 두 개의 안내판(70) 사이에 배치되고 각 안전바(52)의 안내롤(60,61)이 안내판(70)의 가이드홀(72)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안전바(52)에는 두 개의 안내롤(60,61)이 상하로 이격되어 설치되므로, 프레임(20) 일측에서 한 쌍의 안전바(52)는 4개의 안내롤에 의해 안내판(70)의 가이드홀(72)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안전바(52)는 상하 이동시 흔들리지 않고 정확히 이동되며, 하강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주물(100)이 낙하되어 후크(54)에 큰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안전바(52)는 회동되거나 흔들리지 않고 안내판(70)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바(52)에 설치된 두 개의 안내롤(60,61)은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됨과 더불어 수평방향에 대해서도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하 상하부로 이격된 안내롤을 각각 상부안내롤(60), 하부안내롤(61)이라 한다. 두 개의 안내롤 중 하부안내롤(61)은 장치쪽으로 치우쳐져 설치되고, 반대로 상부 안내롤(60)은 장치 바깥쪽으로 치우쳐져 설치된다.
또한, 구동실린더(58)의 피스톤로드와 연결되는 브라켓(57)의 힌지축(59)은 수평방향에 대해 안전바(52)의 무게중심보다 장치쪽으로 치우쳐져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안전바(52)는 하단의 후크(54)가 주물(100)쪽으로 이동되도록 모멘트를 받게 된다. 이에, 안내판(70)을 따라 안전바(52)를 하강시켰을 때, 안전바(52) 하단의 후크(54)가 자중에 의해 보다 자연스럽게 주물(100)의 단턱(110) 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주물(100)이 후크(54)로 낙하되었을 때, 후크(54)가 외측으로 밀리지 않고 주물(100)을 보다 더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게 된다.
가이드홀(72)은 상부 안내롤(60)을 상하방향으로 안내하는 상부홀(73)과 상부홀(73)에 연결되어 하부 안내롤(61)을 상하방향으로 안내하는 하부홀(74), 하부홀(74)의 하부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주물(100)쪽으로 굽어져 경사지게 형성되어 하부안내롤(61)을 주물(100)쪽으로 안내하는 하부경사홀(76)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홀(73)과 하부홀(74)은 수평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부홀(73)과 하부홀(74)의 수평방향 이격 거리는 상부 안내롤(60)과 하부안내롤(61)의 수평 방향 이격거리에 대응될 수 있다. 이에, 안전바(52)가 주물(100)쪽으로 모멘트를 받는 상태에서 상부 안내롤(60)과 하부안내롤(61)이 각각 상부홀(73)과 하부홀(74)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실린더(58)가 구동되면, 안전바(52)의 상부안내롤(60)과 하부안내롤(61)이 가이드홀의 상부홀(73)과 하부홀(74)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되어 안전바(52)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후크(54)가 주물(100) 하부에 도달하게 되면 하부안내롤(61)이 하부경사홀(76)을 따라 이동되면서, 후크(54)가 자연스럽게 주물(100)의 단턱(110) 밑으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안전바(52)는 후크(54)가 주물(100)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되고, 주물(100)의 단턱(110)에 근접한 상태에서는 하강하면서 단턱(110) 밑으로 들어 유도될 수 있다. 이에, 본 장치는 보다 최소한의 공간 내에서 안전바(52)가 최적화된 경로로 움직여 후크(54)가 주물(100)과 간섭되지 않고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가이드홀은, 상부홀(73)의 하부와 하부홀(74) 사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주물(100)쪽으로 굽어져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부 안내롤(60)을 주물(100)쪽으로 안내하는 상부경사홀(7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경사홀(75)과 하부경사홀(76) 사이 간격은 상부 안내롤(60)과 하부안내롤(61) 사이 간격에 대응될 수 있다. 이에, 안전바(52) 이동에 따라 상부 안내롤(60)과 하부안내롤(61)은 같은 시점에 각각 상부경사홀(75)과 하부경사홀(76)을 지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부경사홀(75)의 수직방향 길이(A)와 하부경사홀(76)의 수직방향 길이(B)는 동일하다. 그리고, 상부경사홀(75)의 수평방향 길이(C)는 하부경사홀(76)의 수평방향 길이(D)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안전바(52)가 수직으로 이동되어 상부 안내롤(60)과 하부안내롤(61)이 각각 상부경사홀(75)과 하부경사홀(76)을 지나는 과정에서, 안내바 하단의 후크(54)가 수평방향쪽으로 급격하게 움직여 주물(100)의 단턱(110) 밑으로 이동하거나 외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최소한의 영역에서 안전바(52)의 최적화된 움직임을 통해 후크(54)를 주물(100)의 단턱(110) 밑으로 이동시키거나 외측으로 빼낼 수 있게 된다.
즉, 구동실린더(58)가 구동되어 안전바(52)가 이동되면 상부 안내롤(60)은 상부경사홀(75)을 따라 이동되고 하부안내롤(61)은 하부경사홀(76)을 따라 이동된다. 상부경사홀(75)과 하부경사홀(76)의 수직방향 길이(A,B)는 동일하므로, 수직방향을 따라 상부안내롤(60)과 하부안내롤(61)의 이동 거리는 동일하다. 이와 달리, 수평방향에 대해서는 하부경사홀(76)의 길이(D)는 상부경사홀(75)의 길이(C)보다 길어서, 상부 안내롤(60)의 수평방향 이동 거리보다 하부안내롤(61)의 수평방향 이동 거리가 훨씬 길게 된다.
따라서, 수직방향을 따라 상부 안내롤(60)과 하부안내롤(61)이 동일한 거리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수평방향을 따라 상부 안내롤(60)은 조금 이동하게 되고 하부안내롤(61)은 보다 긴 거리를 이동하게 된다. 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물의 단턱 부근에서 안전바(52)는 전체적으로 상부로 이동되면서 동시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움직임에 의해 안전바(52) 하단의 후크(54)는 안전바(52) 상부쪽 움직임보다 급격하게 수평방향으로 움직여 주물(100)의 단턱(110) 밑으로 이동되거나 단턱(110)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안전바 승하강에 따른 이동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안전바(52)를 하강시켜 주물(100)의 단턱(110)에 후크(54)를 위치하여 과정을 예로서 설명한다. 주물(100) 단턱(110)에서 후크(54)를 분리하는 과정은 이하 과정을 반대로 진행하면 되므로 이에 갈음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실린더(58)가 신축 구동되면, 안전바(52)가 안내판(70)을 따라 승하강된다. 구동실린더(58)가 수축 구동되면 안전바(52)의 후크(54)가 흡착부(30)를 지나 안내판(70) 하단 높이로 상승된다. 이에, 흡착부(30)가 주물(100)을 흡착하는 과정에서 후크(54)와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주물(100)이 흡착되어 들어올려지면 구동실린더(58)가 신장구동되어 안전바(52)를 하강시킨다. 안전바(52)는 수직으로 하강될 수 있다. 안전바(52)에 설치된 상부 안내롤(60)과 하부안내롤(61)이 각각 안내판(70)에 수직으로 형성된 상부홀(73)과 하부홀(74)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면서 안전바(52)가 수직으로 하강된다. 안전바(52) 하강에 따라 후크(54)는 주물(100)의 하부로 이동된다.
구동실린더(58) 신장 구동에 따라 후크(54)가 주물(100) 하부의 단턱(110) 부근에 다다르면, 상부 안내롤(60)과 하부안내롤(61)은 각각 상부경사홀(75)과 하부경사홀(76)로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구동실린더(58)가 계속 신장 구동됨에 따라 상부 안내롤(60)은 상부경사홀(75)을 따라 이동되고, 하부안내롤(61)은 하부경사홀(76)을 따라 이동된다.
이에, 안전바(52)는 하강함과 더불어 전체적으로 수평방향을 따라 주물(100)쪽으로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안전바(52)는 상부쪽 보다 후크(54)쪽이 상대적으로 더 긴 거리를 이동함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하단의 후크(54)는 급격하게 주물(100)의 단턱(110) 밑으로 이동된다.
안전바(52)가 완전히 하강되면, 하부안내롤(61)이 하부경사홀(76) 끝에 도달되어 지지되고, 후크(54)는 완전히 주물(100)의 단턱(110) 밑으로 들어가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안전바(52)는 안내판(70)의 좁은 영역 내에서 수직으로 승하강되고 주물(100) 하부에 이르러서 하강과 회전운동을 겸하여 움직이게 된다. 이에, 보다 적은 움직임으로 후크(54)와 주물(100) 사이 간섭없이 후크(54)를 주물(100)의 단턱(110)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안전바(52)를 좁은 영역에서 가동할 수 있게 되어, 프레임 측면의 최소한의 공간에 안전부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에, 기존의 설비에도 본 실시예의 안전부를 충분히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흡착부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흡착부(30)는 프레임(20) 하부에 설치되어 진공압을 통해 주물(100) 상단을 흡착하여 고정한다.
흡착부(30)는 에어를 흡입하여 진공압을 형성하는 진공펌프(32)와 진공탱크(34), 프레임(20) 하단에 형성된 에어유통구(36)와 진공탱크(34) 사이에 설치되어 에어유통구(36)를 통해 선택적으로 진공압을 인가하는 솔레노이드밸브(38), 흡착부(30)와 주물(100) 사이를 실링하는 패드(44)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펌프(32) 구동에 의해 진공탱크(34)에 일정한 압력으로 진공압이 형성 및 유지된다. 솔레노이드밸브(38) 개방작동시 진공탱크(34)에 형성된 진공압에 의해 에어유통구(36)를 통해 순간적으로 공기가 빨려 들어가면서 주물(100)이 프레임 하부에 흡착된다.
진공탱크(34)는 프레임(20)으로 둘러싸인 밀폐된 공간에 의해 형성되어 프레임(20)의 하단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진공탱크(34)는 프레임(20)을 사각의 박스 형태로 형성하여, 측면과 상하면이 막힌 내부 공간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20) 내부 공간을 밀폐시켜 진공탱크(34)로 이용함으로써, 프레임(20) 외측에 별도의 진공탱크(34)를 구비하여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프레임(20) 일부가 진공탱크(34)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설비의 구성을 보다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진공탱크(34)가 프레임(20) 하단 일부를 형성하면서 바로 솔레노이드밸브(38)를 통해 에어유통구(36)와 연결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밸브(38)는 제어회로의 신호에 따라 전환 작동되어 에어유통구(36)를 진공탱크(34)에 연결한다. 솔레노이드밸브(38)의 작동에 따라 주물(100)에 흡입압이 인가되거나 대기압이 인가되어, 주물(100)을 흡착 또는 흡착 해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솔레노이드밸브(38)는 프레임(2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밸브(38)는 프레임(20) 내부에서 진공탱크(34)의 하단과 프레임(20) 하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프레임(20) 내부에서 솔레노이드밸브(38)가 바로 상부의 진공탱크(34)와 하부의 에어유통구(36)를 바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관로 형성을 위한 호스 등 설비 구조를 보다 단순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레임(20) 내부에 솔레노이드밸브(38)가 구비됨으로써, 솔레노이드밸브(38) 및 진공탱크(34)와 에어유통구(36) 사이를 연결하는 관로 등이 프레임(2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흡착부(30)는 패드(44)의 교체가 용이한 구조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흡착부(30)는 전면에 패드(44)가 부착되고 프레임(2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기판(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40)의 전면에는 프레임(20) 하단의 에어유통구(36)와 대응되는 위치에 에어유통구(36)와 연통되는 에어홀(42)이 형성된다. 기판(40)과 프레임(20) 사이에는 에어유통구(36)와 에어홀(42) 사이에 오링이 설치되어 두 부재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주물(100)과 접하는 기판(40)의 하면에는 둘레를 따라 패드(44)가 설치된다. 기판(40)은 예를 들어, 볼트를 이용하여 프레임(20) 하단에 탈부착될 수 있다.
기판(40)에는 미리 패드(4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볼트를 풀거나 조여 기판(40)을 프레임(20) 하단에 탈부착하는 것으로 보다 쉽고 간단하게 흡착부(30)의 패드(44)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기판(40)의 에어홀(42)은 에어유통구(36)와 연결되어 있어서, 솔레노이드밸브(38) 작동에 따라 진공탱크(34)와 에어홀(42)이 연통되면서 패드(44)로 둘러싸인 기판(40)과 주물(100) 사이에 진공압이 형성된다. 이에, 기판(40)에 주물(100)이 흡착되어, 몰드로부터 주물(100)을 들어 올릴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안전장치 20 : 프레임
30 : 흡착부 32 : 진공펌프
34 : 진공탱크 36 : 에어유통구
38 : 솔레노이드밸브 40 : 기판
42 : 에어홀 44 : 패드
50 : 안전부 52 : 안전바
54 : 후크 56 : 연결부재
57 : 브라켓 58 : 구동실린더
60,61 : 안내롤 70 : 안내판
72 : 가이드홀 73 : 상부홀
74 : 하부홀 75 : 상부경사홀
76 : 하부경사홀

Claims (8)

  1.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 하단에 설치되어 주물을 흡착하여 고정하는 흡착부, 및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주물 하부로 선택적으로 이동되어 주물의 낙하를 방지하는 안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착부는 에어를 흡입하여 진공압을 형성하는 진공펌프와 진공탱크, 상기 프레임 하단에 형성된 에어유통구와 상기 진공탱크 사이에 설치되어 에어유통구를 통해 선택적으로 진공압을 인가하는 솔레노이드밸브, 및 상기 에어유통구 외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 하단과 주물 사이를 실링하는 패드를 포함하는 주물 운반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기 프레임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면에는 상기 에어유통구와 연통되는 에어홀이 형성된 기판을 더 포함하고, 주물과 접하는 상기 기판의 하면에는 둘레를 따라 상기 패드가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하단에 상기 기판을 탈부착하는 것으로 상기 패드를 교체할 수 있도록 된 주물 운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탱크는 상기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밀폐된 공간에 의해 형성되어 프레임의 일부를 이루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상기 공간과 프레임 하단 사이에 배치되는 주물 운반 장치.
  5.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부는 상기 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하단에는 주물 하단으로 돌출되어 주물 낙하시 걸리도록 된 후크가 형성된 안전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안전바에 연결되어 안전바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안전바 승하강시 후크를 상기 주물의 하단으로 유도하는 유도부를 포함하는 주물 운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상기 안전바에 설치되는 안내롤, 및 상기 프레임 측면에 설치되고 전면에는 상기 안내롤을 지지하며 안전바 승하강에 따라 상기 안내롤을 가이드하여 후크를 주물 하부로 유도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안내판을 포함하는 주물 운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롤은 적어도 두 개가 안전바를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안내판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단부는 주물쪽으로 굽어져 형성되어 안전바 하단을 주물쪽으로 유도하는 구조의 주물 운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안내롤 중 상부에 위치한 상부안내롤을 상하방향으로 안내하는 상부홀, 상기 상부홀에 연결되고 안내롤 중 하부에 위치한 하부안내롤을 상하방향으로 안내하는 하부홀, 상기 하부홀의 하부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주물쪽으로 굽어져 경사지게 형성되어 하부안내롤을 주물쪽으로 안내하는 하부경사홀, 상기 상부홀과 하부홀 사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주물쪽으로 굽어져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 안내롤을 주물쪽으로 안내하는 상부경사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경사홀의 수직방향 길이와 상기 하부경사홀의 수직방향 길이는 동일하고, 상기 상부경사홀의 수평방향 길이는 상기 하부경사홀의 수평방향 길이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구조의 주물 운반 장치.

KR1020190032417A 2019-03-21 2019-03-21 주물 운반 장치 KR102140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417A KR102140888B1 (ko) 2019-03-21 2019-03-21 주물 운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417A KR102140888B1 (ko) 2019-03-21 2019-03-21 주물 운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0888B1 true KR102140888B1 (ko) 2020-08-03

Family

ID=72042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417A KR102140888B1 (ko) 2019-03-21 2019-03-21 주물 운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8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76378A (zh) * 2022-11-16 2023-02-03 江苏万恒铸业有限公司 一种带有保护结构的薄板钢铸件加工提升装置及提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8632A (ja) * 1991-10-04 1993-04-20 Takamatsu Kiso Koji:Kk シートパイルのクランプ装置
JPH0692582A (ja) * 1992-09-14 1994-04-05 Nippon Setsuchiyaku:Kk 屋根葺き用長尺折板の吊上移動用ホルダ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8632A (ja) * 1991-10-04 1993-04-20 Takamatsu Kiso Koji:Kk シートパイルのクランプ装置
JPH0692582A (ja) * 1992-09-14 1994-04-05 Nippon Setsuchiyaku:Kk 屋根葺き用長尺折板の吊上移動用ホルダ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76378A (zh) * 2022-11-16 2023-02-03 江苏万恒铸业有限公司 一种带有保护结构的薄板钢铸件加工提升装置及提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0090B1 (ko) 승하강식 고정 수단이 도입된 다용도 판재 리프팅 시스템
CN109153539B (zh) 电梯的曳引机安装方法
JP2008174369A (ja) 搬送用走行体の上下経路切換装置
KR102140888B1 (ko) 주물 운반 장치
JP2009149422A (ja) エレベータ巻上機の交換装置および交換方法
CN102583045A (zh) 纱笼运送设备
JP2010221350A (ja) 組立搬送設備
JP2013237516A (ja) カゴ台車用移載装置
KR101416433B1 (ko) 이동 재치 장치
JP6629379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天井、かご天井据付用治具、及びかご天井据付方法
TW201100312A (en) Elevation device
CN108698792B (zh) 电梯装置
CN205973694U (zh) 单人吊篮
JP5706228B2 (ja) エレベータ機器の点検用作業台
CN110304556A (zh) 汽车起重机自装卸式副臂安装机构
KR20160068038A (ko) 벤더 세그먼트 승강장치
KR102472284B1 (ko) 알루미늄 중력식 주조기
KR200390767Y1 (ko) 궤도차량 현수 장착장치
JP2006027749A (ja) 巻上機据付設備
KR20050003844A (ko) 천정 기중기의 운반물 수평유지장치
KR101668864B1 (ko) 스크린 프린터의 감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인쇄방법
JP7461208B2 (ja) 立坑用リフト装置
KR102502007B1 (ko) 판넬소재 흡착 이송이 가능한 호이스트용 행거
CN212269431U (zh) 一种气动装换桶装置
KR101434491B1 (ko) 캐리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