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090B1 - 승하강식 고정 수단이 도입된 다용도 판재 리프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승하강식 고정 수단이 도입된 다용도 판재 리프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090B1
KR102190090B1 KR1020200052442A KR20200052442A KR102190090B1 KR 102190090 B1 KR102190090 B1 KR 102190090B1 KR 1020200052442 A KR1020200052442 A KR 1020200052442A KR 20200052442 A KR20200052442 A KR 20200052442A KR 102190090 B1 KR102190090 B1 KR 102190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ixing
lifting system
transported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2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회복
Original Assignee
김회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회복 filed Critical 김회복
Priority to KR1020200052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0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suction means
    • B66C1/0237Multiple lifting units; More than one suction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 B66C1/0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electro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 대상물의 크기 및 형태에 맞게 고정 수단이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길이 가변형 구조를 형성하여 다양한 이송 대상물을 리프팅하여 이송시킬 수 있는 판재 리프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판재 리프팅 시스템은, 운반 수단에 연결되는 메인 몸체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메인 몸체에 설치되고 이송 대상물을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운반 수단, 본체부 및 고정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고정부는,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공압 실린더 및 공압 실린더와 연결되어 승강 및 하강하는 실린더 로드를 포함하는 승하강 부재; 상기 승하강 부재를 상기 본체부와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 상기 연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 로드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이 관통 형성된 구조를 갖는 상부 가이드; 상기 상부 가이드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가이드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가이드; 상기 하부 가이드의 하부에 설치되는 연결 뭉치; 및 상기 연결 뭉치와 연결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여 고정 수단이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길이 가변형 구조를 형성하여 다양한 이송 대상물을 리프팅하여 이송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승하강식 고정 수단이 도입된 다용도 판재 리프팅 시스템{Multi-purpose plate lifting system with fixing means for descent and acent moving}
본 발명은 이송 대상물의 크기 및 형태에 맞게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승하강식 구조의 고정 수단이 도입되어 다양한 이송 대상물을 리프팅할 수 있고, 동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판재 리프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판재 리프팅 장치는 고정 수단을 이용해 판형상의 이송 대상물을 고정하고, 크레인 등과 같은 운반 수단을 이용해 이송 대상물을 리프팅시켜 정해진 위치로 이송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중량이 큰 이송 대상물 또한 현장에서 손쉽고 자유롭게 이송할 수 있어 유리공장, 디스플레이 생산라인, 건축공사 현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금속 판재, 유리 판재, 석 판재, 목 판재 등과 같은 판재를 이송하거나 적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판재 리프팅 장치는 크게 고정 수단의 종류에 따라 진공 흡착 방식과 자기력을 이용한 마그넷 방식을 활용하고 있다.
진공 흡착 방식의 판재 리프팅 장치는,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등과 같은 비철 금속, 유리 판재, 석 판재, 목 판재 등의 이송 대상물을 진공 흡착하여 이송하며, 마그넷 방식은 철판재 등과 같은 철재 금속 판재를 전자석과 같은 자성체의 자기력을 이용해 고정하여 이송하는 방식을 활용한다.
기존의 판재 리프팅 장치는 이송 대상물을 이송하기 위해서 자력 부착 방식 또는 진공 흡착 방식의 고정 수단을 복수 개 구비하여 이송 대상물을 고정하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나, 이송 대상물이 경량인 경우라도 고정 수단을 모두 구동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동력 소모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판재 리프팅 시스템은 이송 대상물을 이송한 다음 적재하는 과정 중 이송 대상물이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하강시켜 적재하고 있어 이송 대상물이 파손될 우려가 있어 이송 대상물을 안전하게 적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30318호 (공고일 : 2009.12.08) 한국등록특허 제10-1599946호 (공고일 : 2016.03.04)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정 수단이 상부 및 하부로 승하강이 가능한 구조를 형성하여 이송 대상물에 적합한 개수의 고정 수단이 활용되도록 하여 동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판재 리프팅 시스템에 관한 기술 내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이송 대상물을 안전하게 적재할 수 있는 판재 리프팅 시스템에 관한 기술 내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운반 수단에 연결되어 판재를 이송하기 위한 판재 리프팅 시스템에 있어서, 운반 수단에 연결되는 메인 몸체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메인 몸체에 설치되고 이송 대상물을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운반 수단, 본체부 및 고정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공압 실린더 및 공압 실린더와 연결되어 승강 및 하강하는 실린더 로드를 포함하는 승하강 부재; 상기 승하강 부재를 상기 본체부와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 상기 연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 로드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이 관통 형성된 구조를 갖는 상부 가이드; 상기 상부 가이드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가이드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가이드; 상기 하부 가이드의 하부에 설치되는 연결 뭉치; 및 상기 연결 뭉치와 연결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리프팅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 뭉치와 결합되는 진공 패드 커버 및 상기 진공 패드 커버의 하부에 설치되는 진공 패드를 포함하는 진공 흡착식 고정 수단이 설치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 뭉치와 결합되는 보호 커버 및 상기 보호 커버의 하부에 설치되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자력 부착식 고정 수단이 설치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부 측에 연결 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운반 수단과 연결되고, 양측단에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메인 몸체와 결합 및 해체가 가능한 구조를 형성하는 연결 몸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재 리프팅 시스템은 상기 메인 몸체의 일측에 복수 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가 이송 대상물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이송 대상물의 일측이 기울어지도록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 조절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재 리프팅 시스템은 고정 수단이 상부 및 하부로 승하강이 가능한 구조를 형성하여 이송 대상물의 크기, 형태 및 무게에 따라 이송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정 수단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어 물품 이송에 필요한 동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재 리프팅 시스템은 이송 대상물을 이송한 다음, 적재 위치에 이송 대상물의 일측이 닿도록 조절하고, 이송 대상물의 타측이 서서히 하강되도록 하여 이송 대상물을 안전하게 적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식 판재 리프팅 시스템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력 부착식 판재 리프팅 시스템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식 판재 리프팅 시스템을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연결 몸체가 구비된 진공 흡착식 판재 리프팅 시스템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식 고정부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력 부착식 고정부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판재 리프팅 시스템에 구비되는 경사 조절부를 나타낸 (a) 상면도 및 (b) 측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흡착식 판재 리프팅 시스템(1)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력 부착식 판재 리프팅 시스템(1′)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판재 리프팅 시스템(1, 1′)은 본체부(10, 10′), 고정부(30, 30′) 및 제어부(70)를 포함하며, 상부에 설치된 크레인, 호이스트 등과 같은 운반 수단에 연결되어 판재를 이송할 수 있고, 이송 대상물의 크기, 중량, 형태에 따라 적합한 개수의 고정 수단이 활용될 수 있도록 제어부(70)가 고정 수단을 승강 및 하강시키고, 고정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여 동력 소모를 줄일 수 있고, 1개의 운반 수단을 이용해 다양한 크기의 이송 대상물을 이송할 수 있다.
판재 리프팅 시스템(1, 1′)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 살펴보면, 본체부(10)는 와이어, 로프 등의 연결선(L)을 이용해 운송 수단과 연결되어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구조를 형성하고, 후술할 고정부(30)가 설치되어 판재 형상의 이송 대상물을 지지하는 구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 본체부(10)는 메인 몸체(100)를 포함하며, 메인 몸체(100)는 측면에 복수 개의 고정부(30)가 설치되어 이송 대상물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본체부(10)의 상부에 형성된 운반 수단과 와이어 또는 로프 등과 같은 연결선(L)으로 연결되어 상부 및 하부로 승하강이 가능한 구조를 형성하며, 운반 수단의 이동에 의해 전후좌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 이송 대상물을 지정된 장소로 이송할 수 있다.
메인 몸체(10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이송 대상물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지지 프레임(101) 및 제1 지지 프레임(101)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103)을 포함하며, 제1 지지 프레임(101) 및 제1 연결 프레임(103)은 복수 개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메인 몸체(100)는 중앙선을 기준으로 좌우가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다(도 3 참조).
참고로, 도 3에는 메인 몸체(100)의 좌우측에 각각 6개의 고정부(30)가 형성된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받는 것은 아니며 6개 이상의 고정부(30)가 형성된 구조라면 제한받지 않고 활용될 수 있고, 진공 흡착식 고정부(30)만을 도시하였으나, 자력 흡착식 고정부(30′) 또한 이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메인 몸체(100)는 운반 수단과 연결선(L)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1 연결 수단(105)이 구비될 수 있으며, 메인 몸체(100)는 상부에 제1 연결 수단(105)이 구비되어 운반 수단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본체부(10)는, 메인 몸체(100)와 결합되는 연결 몸체(110)를 추가로 포함하여 메인 몸체(100)가 연결 몸체(110)에 구비된 제2 연결 수단(111)과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연결 몸체(110) 및 메인 몸체(100)는 서로 결합 및 해체가 가능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연결 몸체(110)가 구비된 진공 흡착식 판재 리프팅 시스템(1)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연결 몸체(110)가 구비된 진공 흡착식 판재 리프팅 시스템(1)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연결 몸체(110)는 상부 측에 제2 연결 수단(111)이 구비되어 운반 수단과 연결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양측단에 고정 수단(113)이 구비되어 메인 몸체(100)와 결합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연결 몸체(110)는, 제2 지지 프레임(115) 및 제2 지지 프레임(115)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연결 프레임(117)이 복수 개가 연결되어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제2 지지 프레임(115) 또는 제2 연결 프레임(117) 상에 제2 연결 수단(111)이 형성되어 연결선을 이용해 운반 수단과 연결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몸체(110)의 양측단에 형성된 고정 수단(113)은 후크 형상의 구조를 가지며, 메인 몸체(100)는 일측에 고정 수단(113)이 체결되는 걸림 고리(107)가 추가로 형성되어 연결 몸체의 고정 수단(113) 및 메인 몸체의 걸림 고리(107)에 의한 결합으로 메인 몸체(100) 및 연결 몸체(110)가 결합되어 일체화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체부(10)가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며, 운반 수단의 이동에 의해 전후좌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력 부착식 판재 리프팅 시스템(1) 또한, 본체부(10)가 진공 흡착식 판재 리프팅 시스템와 대응되는 구조를 형성하여 연결 몸체(110)와 연결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연결 몸체(110)를 포함하는 판재 리프팅 시스템(1, 1′)은 하나의 크레인을 이용해 진공 흡착식 고정부가 구비된 메인 몸체(100)와 자력 부착식 고정부가 구비된 메인 몸체(100′)와 선택적으로 결합이 가능하여 판재 리프팅 시스템(1)과 자력 부착식 판재 리프팅 시스템(1′)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한 개의 이송 라인만으로 비철 판재와 철 판재를 각각 이송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몸체의 고정 수단(113)에는 이탈방지고리(미도시)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탈방지고리는 고정 수단(113)에 선회가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고정 수단(113)에 체결된 걸림 고리(107)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 이송 대상물을 이송할 때 메인 몸체(100) 및 연결 몸체(11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메인 몸체(100) 및 연결 몸체(110)는 각각 가이드 부재(미도시)가 추가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메인 몸체(100) 및 연결 몸체(110)는 가이드 부재에 의해 가이드되어 쉽게 연결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부(10)는, 메인 몸체(100)의 내부에 일부 또는 전부가 수납되는 구조를 가지며, 메인 몸체(100)의 내부를 따라 왕복 운동되는 좌측 및 우측 셔틀 몸체(미도시)와 셔틀 몸체를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좌측 및 우측 셔틀 몸체에는 고정부가 추가로 설치되어 메인 몸체(10)보다 크기가 큰 이송 대상물을 이용하는 경우 셔틀 몸체를 메인 몸체의 좌측 및 우측으로 확장시켜 메인 몸체보다 크기가 큰 이송 대상물 또한 이송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한국등록특허 제10-0930318호의 내용 참조).
한편, 판재 리프팅 시스템(1, 1′)에 구비되는 고정부(30, 30′)는 본체부의 메인 몸체(100, 100′)에 복수 개 설치되어 이송 대상물을 본체부(10, 10′) 상에 고정할 수 있으며, 고정부(30, 30′)는 상부 및 하부로 승하강이 가능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 이송 대상물의 크기, 형태 및 무게에 따라 적합한 개수의 고정부(30, 30′)가 이송 대상물의 표면에 배치되어 이송 대상물을 고정하도록 하여 동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부(30, 30′)는,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공압 실린더 및 공압 실린더와 연결되어 승강 및 하강하는 실린더 로드를 포함하는 승하강 부재(301, 311); 상기 승하강 부재를 상기 본체부와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302, 312); 상기 연결 프레임(302, 312)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 로드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이 관통 형성된 구조를 갖는 상부 가이드(303, 313); 상기 상부 가이드(303, 313)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가이드(303, 313)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가이드(304, 314); 상기 하부 가이드(304, 314)의 하부에 설치되는 연결 뭉치(305, 315); 및 상기 연결 뭉치(305, 315)와 연결되는 고정 수단(306, 316)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와 같은 고정부(30, 30′)는 진공 흡착식 또는 자력 부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식 판재 리프팅 시스템에 구비되는 진공 흡착식 고정부(30)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진공 흡착식 고정부(30)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면, 진공 흡착식 고정부(30)는, 승하강 부재(301), 연결 프레임(302), 상부 가이드(303), 하부 가이드(304), 연결뭉치(305) 및 진공 흡착식 고정 수단(306)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승하강 부재(301)는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공압 실린더(301a) 및 상부 가이드(303)의 내부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승강 및 하강하는 실린더 로드(301b)를 포함하며, 실린더 로드(301b)의 승하강에 의해 진공 흡착식 고정 수단(306)이 승강 및 하강하여 고정부(30)가 가변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 로드(301b)는 하단에 연결 링크(301c)가 연결되어 후술할 연결 뭉치(305)와 연결 체인(CC)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하부 가이드(304)가 상부 가이드(303)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진공 흡착식 고정 수단(306)을 리프팅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진공 흡착식 고정 수단(306)이 승강 및 하강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연결 프레임(302)은 볼트 및 너트 등과 같은 결합 수단을 이용해 메인 몸체(100)의 일측에 진공 흡착식 고정 유닛(30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상부에 승하강 부재(301)가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고, 실린더 로드(301b)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이 관통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하부에 상부 가이드(303)가 결합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승하강 부재(301) 및 상부 가이드(303)는 각각 연결 프레임(302)과 볼트 및 너트 등과 같은 결합 수단을 이용해 결합될 수 있다.
상부 가이드(303)는 양측이 개방된 구조를 갖는 관체 형상의 구조물로서, 실린더 로드(301b)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이 관통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하부에 하부 가이드(304)가 상부 가이드(303)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부 가이드(303)는 하부 가이드(304)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부 끝단에 연결 캡(303a)이 결합되어 일체화될 수 있으며, 연결 캡(303a)은 하부 가이드(304)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하부 가이드(304)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고, 중앙에 수용공이 관통 형성되어 연결 체인(CC)이 수용공을 통해 실린더 로드(301b)와 연결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하부 가이드(304)는 양측이 개방된 구조를 갖는 관체 형상의 구조물로서, 상부 가이드(303)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형성하여 지면에서 수직하는 방향으로 진공 흡착식 고정 수단(306)이 승하강이 가능한 구조를 형성하고, 내부에 연결 체인(CC)을 수용할 수 있다.
연결 뭉치(305)는 하부 가이드(304)의 하부에 고정 수단을 이용해 설치되며, 진공 흡착식 고정 수단(306)와 하부 가이드(304)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연결 뭉치(305)는 중앙에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중공이 관통 형성된 관체형상의 구조를 갖는 연결 로드(305a)가 하부에 형성되어 후술할 진공 흡착식 고정 수단(306)의 흡입구와 연결되고, 연결 로드(305a)의 타측에는 진공 탱크(T) 및 진공 펌프(P)와 연결되는 진공 포트(미도시)가 형성되어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 흡착식 고정 수단(306)의 패드 내부 수용공간을 감압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 뭉치(305)는 연결 로드(305a)의 외주면에 고정 체인(FC)이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 연결 브라켓(305b)이 형성되어 진공 흡착식 고정 수단(306)을 지지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연결 뭉치(305)는 제1 연결 브라켓(305b) 및 제3 연결 브라켓(306)과 연결되는 고정 체인(FC)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뭉치(305)는 연결 로드(305a)의 내부에는 설치되는 스프링 형상의 탄성 지지구(305c)를 추가로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탄성 지지구(305c)는 탄성을 제공하여 진공 흡착식 고정 수단(306)와 연결 뭉치(305)의 파손을 방지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부에 제2 연결 브라켓(305d)가 형성되어 연결 체인(CC)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 진공 흡착식 고정 수단(306)이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이송 대상물을 고정할 수 있도록 경사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진공 흡착식 고정 수단(306)은 진공 패드(306a), 진공 패드 커버(306b), 진공 펌프(미도시) 및 진공 탱크(미도시)를 포함하여 이송 대상물을 진공에 의해 형성되는 부압으로 흡착시켜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공 패드(306a)는 탄성 고무 소재를 이용해 원형, 타원형 또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 형상으로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공기를 수용하고 진공 상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내부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이송 대상물을 진공에 의한 부압으로 흡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진공 패드(306a)는 연결 뭉치의 연결 로드(305a)와 대응되는 위치인 중앙 부분에 유출입공이 관통 형성되어 연결 로드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고, 유출입공은 진공 펌프의 작동으로 내부의 공기를 빨아내어 진공 상태로 만들어주는 통로 역할을 하며, 이에 의해 진공 패드의 흡착 및 탈착을 형성시킬 수 있다.
진공 패드 커버(306b)는, 진공 패드(306a)의 상면에 설치되어 진공 상태에서 진공 패드(306a)를 지지하여 변형을 방지하고, 상부에 고정 체인(FC)이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3 연결 브라켓(306c)이 형성되어 진공 흡착식 고정 수단(306)와 연결 뭉치(305)를 결합시킬 수 있다. 진공 패드 커버(306b)는 중앙에 유출입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이 형성되어 연결 로드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진공 패드의 흡착 및 탈착을 형성시킬 수 있다.
진공 흡착식 고정 수단(306)은 판재 리프팅 시스템(1)의 일측에 형성되는 진공 펌프(P) 및 진공 탱크(T)를 포함하며, 진공 펌프는 진공 흡착식 고정 수단(306) 또는 연결 로드(305a)와 호스 등과 같은 연결 수단으로 연결되어 진공 패드(306a) 내부에 충전된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 패드(306a) 내부를 감압시켜 진공 상태로 만들 수 있고, 진공 탱크는 진공 펌프를 이용해 흡입한 공기를 저장하고, 저장한 공기를 공급하여 진공 패드(306a)의 진공압을 해소하여 이송 대상물을 탈착시키도록 한다.
또한, 진공 흡착식 고정 수단(306)은 호스 상에 연결되어 진공 패드(306a)에 제공되는 진공압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및 압력 조절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진공압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진공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여 이송 대상물이 진공 흡착식 고정 수단에서 탈착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진공펌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공 흡착식 고정부(30)는 진공 흡착식 고정 수단(306)에 진공압을 가하여 비철 금속 판재, 유리 판재, 석 판재, 목 판재 등과 같은 대형 판재를 흡착하여 고정할 수 있어 이송 대상물을 이송하거나 대형 판재를 적재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또 다른 예로, 자력 부착식 고정부(30′)는 승하강 부재(311), 연결 프레임(312), 상부 가이드(313), 하부 가이드(314), 연결뭉치(315) 및 자력 부착식 고정 수단(316)를 포함하며, 승하강 부재(311), 연결 프레임(312), 상부 가이드(313), 하부 가이드(314), 연결뭉치(315)의 구성은 전술한 바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도 7 참조).
자력 부착식 고정 수단(316)는 마그넷(316a) 및 보호 커버(316b)를 포함하며, 마그넷(316a)은 전원을 인가하여 전자력을 발생시켜 강철 소재로 제조한 판재 형상의 이송 대상물을 부착시키고, 전원공급을 중단하여 자력을 차단시켜 이송 대상물을 탈착시키는 전자석을 활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받는 것은 아니며, 마그넷(316a)은 강자성체, 영구 자석 등을 도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보호 커버(316b)는, 마그넷(316a)의 상면에 설치되어 마그넷(316a)을 고정하고, 상부에 고정 체인(FC)이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3 연결 브라켓(316c)이 형성되어 마그넷(316a)과 연결 뭉치(315)를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자력 부착식 고정 유닛(310)은 자력 부착식 고정 수단(316)의 자력으로 자성체 금속 소재로 제조한 철 판재 등의 대형 판재를 부착시켜 고정할 수 있어 이송 대상물을 이송하거나 대형 판재를 적재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자력 부착식 고정 수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수단과 전원 공급 수단 및 고정 수단을 연결하는 전원 공급 캐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판재 리프팅 시스템(1, 1′)은, 제어부(70)를 포함하며, 제어부(70)는 운반 수단, 본체부(10) 및 고정부(30, 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따라 운반 수단 및 본체부(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운반 수단을 동작시켜 본체부(10)를 승하강시킬 수 있고, 본체부(10)를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운반 수단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의 메인 몸체(100)와 연결 몸체(110)이 연결될 수 있도록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으며, 본체부(10)에 설치된 이동 부재의 동작을 제어하여 셔틀 몸체가 메인 몸체(100)의 좌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7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따라 고정부(30, 30′)의 동작을 제어하여 진공 흡착식 고정 수단(306)이 설치된 경우 진공 탱크(T) 및 진공 펌프(P)의 동작을 조절하여 이송 대상물을 고정부(30)에 고정시키거나, 탈착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송 대상물의 크기, 모양 및 중량에 따라 특정 위치의 진공 흡착식 고정 수단이 승하강되도록 공압 실린더(301a)의 구동을 조절하여 이송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해 활용되는 고정부의 개수를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제어부(7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따라 고정부(30, 30′)의 동작을 제어하여 자력 부착식 고정 수단(316)가 설치된 경우 전원 공급을 조절하여 이송 대상물을 고정부(30′)에 고정시키거나, 탈착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송 대상물의 크기, 모양 및 중량에 따라 특정 위치의 자력 부착식 고정 수단(316)가 승하강되도록 승하강 부재(311)의 구동을 조절하여 이송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해 활용되는 고정부(30′)의 개수를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나아가, 제어부(70)는, 고정 수단(306, 316)가 승강되어 이송 대상물을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 사용되지 않는 고정 수단에 전달되는 진공 생성, 자력 생성을 위한 동력 전달을 차단하여 동력 소모를 줄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정보 입력 수단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제어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수단을 포함하여 제어 정보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판재 리프팅 시스템(1, 1′)은, 본체부(10)의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 조절부(50)를 추가로 포함하도록 구성할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판재 리프팅 시스템에 구비되는 경사 조절부(50)를 나타낸 (a) 상면도 및 (b)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경사 조절부(50)는, 메인 몸체(100)의 일측에 복수 개가 형성되어 본체부(10)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이송 대상물을 안전하게 적재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경사를 조절하여 이송 대상물을 적재하는 경우 이송 대상물을 이송한 다음 적재하는 과정 중 이송 대상물이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하강시켜 적재하는 경우에 비해 이송 대상물에 형태 변형이 발생되거나 또는 파손될 우려가 줄어 이송 대상물을 보다 안전하게 적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사 조절부(50)는, 판재 리프팅 시스템(1, 1′)을 이용해 이송 대상물을 이송한 다음 이송 대상물을 적재하는 지점에 도착하면 적재 지점의 지면에서 이송 대상물이 1 내지 30°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할 수 있고, 운송 수단을 이용해 본체부(10)를 하강시켜 이송 대상물의 일측이 적재 지점에 먼저 닿도록 한 다음, 이송 대상물의 타측이 서서히 하강되도록 조절하여 이송 대상물을 안전하게 적재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경사 조절부(50)는, 경사 조절부(50)는 고정 프레임(51), 구동 모터(52), 볼스크류 이동축(53), 이동 연결체(54) 및 중량추(55)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도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프레임(51)은, 메인 몸체(100)의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되어 구동 모터(52)가 메인 몸체(100)에 고정되도록 하며, 고정 프레임(51)의 일단에 구동 모터(52)가 설치된다. 고정 프레임(51)에는, 중앙에 이송 슬릿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이송 슬릿이 형성하는 틈 사이로 이동 연결체(54) 및 중량추(55)를 연결하는 커넥터(C)가 설치될 수 있다.
구동 모터(52)는 제어부(7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별도로 전원을 인가받아 볼스크류 이동축(53)을 양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볼스크류 이동축(53)에 장착된 이동 연결체(54)를 이동시킬 수 있고, 중량추(55)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볼스크류 이송축(53)은 지면과 수평하는 방향으로 구동 모터(52)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회전시 볼스크류 이송축(53)에 삽입된 이동 연결체(54)가 중량추(55)와 연결된 상태에서 이동하여 중량추(55)를 원하는 위치로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중량추(55)는 일정한 무게를 갖는 구조물로서 이동 연결체의 이동에 의해 양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경사 조절부(50)는 이송 대상물을 적재하는 지점에 도착하면 제어부(70)가 메인 본체(100)의 전면 또는 후면의 구동 모터(52)의 동작을 제어하여 중량추(55)를 메인 몸체(100)의 외측으로 이동시켜 본체부(10)가 적재 지점의 지면에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하여 이송 대상물의 일측이 적재 지점에 먼저 닿도록 하고, 이후, 이송 대상물의 타측이 서서히 하강되도록 조절하여 이송 대상물을 안전하게 적재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경사 조절부(50)는 지지구(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지지구는 이동 연결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이동 연결체를 지지하며, 볼스크류 이동축(53)의 쳐짐 등을 방지하기 위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경사 조절부(50)는 메인 몸체(100)의 일측에 복수 개 설치되어 메인 몸체(100)의 수평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센서를 추가로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감지 센서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으로 제어부(70)와 연결되어 수평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고, 수평 상태 정보를 이용해 이송 대상물을 고정한 상태의 본체부(10)가 수평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구동 모터(52)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구동 모터(52)의 구동으로 볼스크류 이동축(53)이 회전하여 중량추(55)를 양방향으로 이동시켜 이송 대상물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으며, 고정부(30, 30′)에 흡착 또는 부착된 이송 대상물의 무게를 균일하게 분산시켜 본체부(10)의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의 수평을 조절하고 이송 대상물을 수평한 상태로 이송할 수 있어, 이송 대상물이 고정부(30, 30′)에서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감지 센서에서 수집한 정보를 이용해 수평 여부를 평가하여 본체부의 전후좌우 측면에 구비되는 경사 조절부(50)의 동작을 제어하고, 경사 조절부(50)는 중량추(55)가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조절하여 고정부(30, 30′)에 이송 대상물이 고정된 상태에서 본체부(10)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송 대상물을 안전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따라 경사 조절부(5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판재 리프팅 시스템(1, 1′)은 이송 대상물을 수평한 상태로 이송할 수 있어, 크레인 등과 같은 운반 수단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어 설치가 간편하며, 이송 대상물을 안전하게 적재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판재 리프팅 시스템(1, 1′)은 본체부(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운반 수단(미도시)을 포함하며, 운반 수단은 동력을 사용해 중량물을 매달아 상하 좌우로 물품을 이송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되는 통상적인 다양한 형태의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크레인은 천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구조의 천장 크레인, 포스트 또는 작업장의 벽면에 회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 암을 포함하는 구조의 지브 크레인, 다리형 크레인, 모빌 크레인, 언로더, 케이블 크레인, 탑형 크레인 등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재 리프팅 시스템(1, 1′)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원 공급 수단은 전원 공급 캐이블을 통해 고정부, 감지 센서, 경사 조절부, 전원부 및 운반 수단과 각각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진공 흡착식 또는 자력 부착식으로 판재를 고정하여 리프팅시키고, 이송 대상물을 이송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판재 리프팅 시스템(1, 1′)은, 승하강이 가능한 구조의 고정부(30, 30′)가 구비되어 이송 대상물의 크기, 형태 및 무게에 따라 적합한 개수의 고정 수단을 이용해 이송 대상물을 고정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고정부(30, 30′)의 동작에 필요한 동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일례로, 도 9의 진공 흡착식 판재 리프팅 시스템(1)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판재 리프팅 시스템(1)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가 무겁고 크기가 작은 이송 대상물(L1)을 이송하는 경우 본체부에 설치된 양측 고정부(30b)를 승강시키고, 나머지 고정부(30a)를 하강시켜 이송 대상물을 이송할 수 있으며,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가 가볍고 크기가 작은 이송 대상물(L2)을 이송하는 경우 본체부에 설치된 양측과 중앙 부분의 고정부(30b)를 승강시키고, 나머지 고정부(30a)를 하강시켜 이송 대상물을 이송할 수 있다.
또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가 가볍고 크기가 큰 이송 대상물(L3)을 이송하는 경우 본체부에 설치된 특정 지점의 고정부(30b)를 승강시키고, 나머지 고정부(30a)를 하강시켜 이송 대상물을 이송할 수 있으며, 도 9(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게와 크기가 모두 큰 이송 대상물(L4)을 이송하는 경우 본체부에 설치된 모든 고정부(30a)를 하강시켜 이송 대상물을 이송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재 리프팅 시스템(1, 1′)은, 하나의 크레인을 이용해 진공 흡착식 고정부가 구비된 메인 몸체(100)와 자력 부착식 고정부가 구비된 메인 몸체(100′)와 선택적으로 결합이 가능하여 판재 리프팅 시스템(1)과 자력 부착식 판재 리프팅 시스템(1′)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한 개의 이송 라인만으로 비철 판재와 철 판재를 각각 이송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재 리프팅 시스템(1, 1′)은 이송 대상물을 이송하는 경우 이송 대상물이 고정부에서 쉽게 탈착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송 대상물을 이송한 다음 적재시킬 때, 경사 조절부를 구동시켜 이송 대상물의 일측면에 적재 장소에 먼저 닿도록 조절한 다음, 타측면의 경사 조절부를 구동시켜 서서히 하강되도록 함에 따라 이송 대상물을 안전하게 적재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0의 진공 흡착식 판재 리프팅 시스템(1)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판재 리프팅 시스템(1)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수평하도록 이송 대상물(L)을 고정하여 전후좌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적재 지점(Loading point)에 이송 대상물(L)을 운반한 다음에는 경사 조절부(50)를 이용해 이송 대상물을 일정 각도(θ)로 경사지게 배치하여 이송 대상물(L)의 일측이 적재 지점에 먼저 닿도록 조절한 다음, 이송 대상물(L)의 타측이 적재 지점으로 하강되도록 하여 이송 대상물(L)을 안전하게 적재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 1′ : 판재 리프팅 시스템 10 : 본체부
100 : 메인 몸체 110 : 연결 몸체
30, 30′ : 고정부 300 : 진공 흡착식 고정 유닛
310 : 자력 부착식 고정 유닛 50 : 제어부
70 : 경사 조절부

Claims (5)

  1. 운반 수단에 연결되어 판재를 이송하기 위한 판재 리프팅 시스템에 있어서,
    운반 수단에 연결되는 메인 몸체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메인 몸체에 설치되고 이송 대상물을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메인 몸체의 일측에 복수 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가 이송 대상물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이송 대상물의 일측이 기울어지도록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 조절부 및 상기 운반 수단, 본체부, 고정부 및 경사 조절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공압 실린더 및 공압 실린더와 연결되어 승강 및 하강하는 실린더 로드를 포함하는 승하강 부재; 상기 승하강 부재를 상기 본체부와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 상기 연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 로드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이 관통 형성된 구조를 갖는 상부 가이드; 상기 상부 가이드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가이드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가이드; 상기 하부 가이드의 하부에 설치되는 연결 뭉치; 및 상기 연결 뭉치와 연결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 조절부는,
    상기 메인 몸체의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의해 상기 메인 몸체에 고정되며, 별도로 전원을 인가받아 양방향으로 회전하는 볼스크류 이동축이 구비된 구동 모터; 상기 볼스크류 이동축에 장착되어 상기 볼스크류 이동축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 연결체; 및 상기 이동 연결체와 연결되고 일정한 무게를 가지는 중량추;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 조절부는,
    이송 대상물을 이송한 다음 적재시킬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구동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중량추를 상기 메인 몸체의 외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본체부가 적재 지점의 지면에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하여 이송 대상물의 일측이 적재 지점에 먼저 닿도록 조절한 다음, 이송 대상물의 타측이 서서히 하강되도록 조절하여 이송 대상물을 적재하는 구조를 형성하고,
    이송 대상물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의 수평을 조절하는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리프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 뭉치와 결합되는 진공 패드 커버 및 상기 진공 패드 커버의 하부에 설치되는 진공 패드를 포함하는 진공 흡착식 고정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리프팅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 뭉치와 결합되는 보호 커버 및 상기 보호 커버의 하부에 설치되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자력 부착식 고정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리프팅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부 측에 연결 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운반 수단과 연결되고, 양측단에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메인 몸체와 결합 및 해체가 가능한 구조를 형성하는 연결 몸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리프팅 시스템.
  5. 삭제
KR1020200052442A 2020-04-29 2020-04-29 승하강식 고정 수단이 도입된 다용도 판재 리프팅 시스템 KR102190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442A KR102190090B1 (ko) 2020-04-29 2020-04-29 승하강식 고정 수단이 도입된 다용도 판재 리프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442A KR102190090B1 (ko) 2020-04-29 2020-04-29 승하강식 고정 수단이 도입된 다용도 판재 리프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090B1 true KR102190090B1 (ko) 2020-12-11

Family

ID=73786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442A KR102190090B1 (ko) 2020-04-29 2020-04-29 승하강식 고정 수단이 도입된 다용도 판재 리프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09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921B1 (ko) * 2021-10-20 2022-03-08 정지희 레이저 장치로의 철판 이송을 위한 리프팅 마그네트 시스템
KR20220108518A (ko) * 2021-01-27 2022-08-03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판넬소재 흡착 이송이 가능한 호이스트용 행거
KR20220108515A (ko) * 2021-01-27 2022-08-03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판넬소재 이송용 흡착행거
KR20220108514A (ko) * 2021-01-27 2022-08-03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호이스트용 행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148Y1 (ko) * 2004-03-04 2004-06-04 코리아프랜트 주식회사 다단 벤딩장치
KR100930318B1 (ko) 2008-02-26 2009-12-08 기호알엔디주식회사 판재 리프팅 시스템
KR101504174B1 (ko) * 2013-12-10 2015-03-20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유압 조절식 마그네틱 클램핑 장치
KR101599946B1 (ko) 2013-10-25 2016-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판재 이송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148Y1 (ko) * 2004-03-04 2004-06-04 코리아프랜트 주식회사 다단 벤딩장치
KR100930318B1 (ko) 2008-02-26 2009-12-08 기호알엔디주식회사 판재 리프팅 시스템
KR101599946B1 (ko) 2013-10-25 2016-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판재 이송 장치
KR101504174B1 (ko) * 2013-12-10 2015-03-20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유압 조절식 마그네틱 클램핑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8518A (ko) * 2021-01-27 2022-08-03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판넬소재 흡착 이송이 가능한 호이스트용 행거
KR20220108515A (ko) * 2021-01-27 2022-08-03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판넬소재 이송용 흡착행거
KR20220108514A (ko) * 2021-01-27 2022-08-03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호이스트용 행거
KR102497626B1 (ko) * 2021-01-27 2023-02-08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판넬소재 이송용 흡착행거
KR102502007B1 (ko) * 2021-01-27 2023-02-21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판넬소재 흡착 이송이 가능한 호이스트용 행거
KR102506331B1 (ko) * 2021-01-27 2023-03-06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호이스트용 행거
KR102372921B1 (ko) * 2021-10-20 2022-03-08 정지희 레이저 장치로의 철판 이송을 위한 리프팅 마그네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0090B1 (ko) 승하강식 고정 수단이 도입된 다용도 판재 리프팅 시스템
WO2011152606A1 (ko) 진공흡착 이동장치
CN105645314A (zh) 一种装饰瓷砖码垛搬运小车
KR101055521B1 (ko) 크레인
KR100804838B1 (ko) 진공흡착 이동장치
KR200482680Y1 (ko) 배관용 리프터
KR101101761B1 (ko) 접이식 이송수단을 구비한 리프트 테이블
KR20130053486A (ko) 체인 호이스트 승강장치
KR102280772B1 (ko) 싸이클론 집진부를 구비한 진공 흡착식 판재 리프팅 시스템
CN107720533B (zh) 一种多功能型材吊具
CN212403243U (zh) 一种幕墙玻璃吊装运输平台
JP5291964B2 (ja) 荷役物運搬機
CN117228543A (zh) 一种移动式吊装装置
CN100347073C (zh) 建筑材料提升装置
WO2023083012A1 (zh) 一种快速浇筑和吊装设备及其操作方法
JP3252752B2 (ja) 板体の運搬吊具
KR20120122054A (ko) 장비 이동 장치
KR101693446B1 (ko) 배관파이프 등의 운반과 하역에 유용한 이송 리프트기기
CN210286491U (zh) 一种吊装三脚架
KR102506331B1 (ko) 호이스트용 행거
CN111498482B (zh) 搬运机器人及搬运设备
CN205442332U (zh) 一种涂料提升倾倒装置用倾倒输送架体
JPH06206613A (ja) 搬送装置
CN108100896B (zh) 一种管道提升输送装置及方法
CN110562757A (zh) 一种锻造环上料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