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9946B1 - 판재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판재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9946B1
KR101599946B1 KR1020130127978A KR20130127978A KR101599946B1 KR 101599946 B1 KR101599946 B1 KR 101599946B1 KR 1020130127978 A KR1020130127978 A KR 1020130127978A KR 20130127978 A KR20130127978 A KR 20130127978A KR 101599946 B1 KR101599946 B1 KR 101599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frame
moving part
mov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7912A (ko
Inventor
김동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7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946B1/ko
Publication of KR20150047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28Duplicate, e.g. pivoted,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two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Abstract

판재 이송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 이송 장치는, 운반 수단에 연결되어 판재를 이송하는 장치로서, 운반 수단에 연결되는 연결 몸체; 연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판재의 상부에 위치되는 메인 프레임; 판재를 부착할 수 있도록 메인 프레임의 하측에 형성되는 흡착 유닛; 및 흡착 유닛에 부착된 상기 판재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흡착 유닛의 하부에 위치되는 지지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판재 이송 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PLATE}
본 발명은 운반 수단에 연결되어 판재를 이송하는 판재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판과 같은 판재의 이송을 위해서는 판재를 부착시킬 수 있는 판재 이송 장치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판재 이송 장치는 크레인과 같은 운반 수단에 연결되어 판재를 리프팅하여 필요한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판재 이송 장치는 크게 흡착 방식과 마그넷 방식으로 구별될 수 있다.
흡착 방식은 이송해야 하는 판재가 스테인레스, 알루미늄과 같은 비철판인 경우에 사용되는데, 진공을 이용하여 판재를 흡착하는 방식이다.
마그넷 방식은 이송해야 하는 판재가 철재인 경우에 사용되는데, 전자석과 같은 자성체의 자기력을 이용하여 판재를 부착하는 방식이다.
도 9는 종래의 판재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판재를 이송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판재 이송 장치는 크레인(10)에 연결되어 판재(1)를 이송시킬 수 있는데, 판재 이송 장치에는 판재(1)를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 수단(5)이 구비되어 있다.
이 때, 부착 수단(5)은 전술하였듯이, 흡착 방식 또는 마그넷 방식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판재(1)의 성질에 따라 부착 수단(5)의 부착 방식이 달라져야 하기 때문에, 이송해야 하는 판재(1)의 성질에 따라서 판재 이송 장치를 달리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송해야 하는 판재(1)의 중량이 큰 경우에는, 판재(1)를 부착하는 부착력을 크게 하기 위하여 판재 이송 장치의 규모가 커져야 하며, 판재(1)의 상부 측에서만 판재(1)를 고정시키는 것 만으로는, 판재(1)의 추락과 같은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판재의 소재에 상관없이 판재를 효과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판재 이송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중량이 큰 판재를 안전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판재 이송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운반 수단에 연결되어 판재를 이송하는 장치로서, 상기 운반 수단에 연결되는 연결 몸체; 상기 연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판재의 상부에 위치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판재를 부착할 수 있도록 메인 프레임의 하측에 형성되는 흡착 유닛; 및 상기 흡착 유닛에 부착된 상기 판재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흡착 유닛의 하부에 위치되는 지지 유닛을 포함하는, 판재 이송 장치가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지지 유닛을 서로 수직한 2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연결시키는 이동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지지 유닛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이동부; 및 상기 지지 유닛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이동부 및 상기 제 2 이동부 중 적어도 하나는 랙 기어와 피니언 기어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이동부 및 상기 제 2 이동부 중 적어도 하나는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프레임은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흡착 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착 유닛은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 유닛은, 중심부에 형성된 흡착기; 및 테두리부에 형성된 제 1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제 1 전자석과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전자석 방향으로 인력이 작용될 수 있는 제 2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 프레임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은 복수 개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메인 프레임은 상기 연결 몸체의 하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판재를 부착하는 부분을 흡착 방식과 마그넷 방식을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판재의 소재에 상관없이 효과적으로 판재를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판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판재의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 이송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 이송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Ⅲ-Ⅲ'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Ⅴ-Ⅴ'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판재를 이송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종래의 판재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판재를 이송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 이송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 이송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Ⅲ-Ⅲ'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Ⅴ-Ⅴ' 방향의 단면도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중력 방향을 하부 방향, 그 반대 방향을 상부 방향으로 정의한다.
이 때, 상하 방향과 수직 방향은 동일한 의미이다.
또한, 중력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정의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 이송 장치(100)는, 운반 수단(10)에 연결되어 판재(1)를 이송하는 장치로서, 연결 몸체(110), 메인 프레임(120), 흡착 유닛(140), 지지 유닛(160) 및 이동 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운반 수단(10)은 크레인(crane)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 이송 장치(100)는 크레인의 후크(hook)와 연결될 수 있으며, 크레인으로 판재(1)를 이송하는 경우에 크레인과 판재(1) 사이를 연결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연결 몸체(110)는 판재 이송 장치(100)의 몸체로서, 운반 수단(1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몸체(110)는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에는 후술할 메인 프레임(120)이 복수 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몸체(110)의 상측에는 운반 수단(10)과의 연결을 위한 결속 부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몸체(110)는 와이어, 로프 등을 통하여 운반 수단(10)과 연결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20)은, 전술하였듯이, 연결 몸체(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판재(1)를 부착하는 단위 모듈(module)이 되는 구성이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120)은 연결 몸체(110)의 하부에 복수 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120)은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후술할 흡착 유닛(140) 및 지지 유닛(160)이 메인 프레임(120)의 양측부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흡착 유닛(140)은 판재(1)를 부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12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하였듯이, 흡착 유닛(140)은 메인 프레임(120)의 양측부에 배치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 유닛(140)은 흡착기(142) 및 제 1 전자석(14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착 유닛(140)은 판재(1)의 소재에 상관없이 판재(1)를 효과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착 유닛(140)의 하측에는 판재(1)를 부착할 수 있는 흡착기(142) 및 제 1 전자석(144)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착기(142)는 흡착 유닛(140)의 하측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흡착기(142)는 진공 흡착 방식을 이용한 흡착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착기(142)는 판재(1)의 소재에 상관없이, 즉, 비철재 소재로 구성된 판재(1)라도 흡착 유닛(140)의 하측에 부착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석(144)은 흡착 유닛(140)의 하측 가장자리 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착할 판재(1)의 소재가 철재인 경우, 제 1 전자석(144)에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판재(1)를 흡착 유닛(140)의 하측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착 유닛(140)에 흡착기(142) 및 제 1 전자석(144)이 모두 포함됨으로써, 판재(1)의 소재에 상관없이 다양한 소재의 판재(1)를 모두 효과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착 유닛(140)은 메인 프레임(1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시킬 판재(1)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한 쌍의 흡착 유닛(140)의 간격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120)에는 연장 방향으로 이동 레일(1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흡착 유닛(140)은 이동 레일(12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레일(122)은 메인 프레임(1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slit)일 수 있다.
이 때, 흡착 유닛(140)이 이동 레일(12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흡착 유닛(140)의 일측에는 구동부(141, 도 2 참조)가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구동부(141)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랙(rack)과 피니언(pinion) 기어를 통하여 모터의 구동력을 흡착 유닛(140)에 전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141)에 포함된 모터의 구동축에는 피니언 기어가 연결되고, 피니언 기어는 이동 레일(122)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랙 기어에 연결됨으로써, 흡착 유닛(140)은 이동 레일(122)을 따라 메인 프레임(120)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흡착 유닛(140)의 구동을 위한 구성이 전술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인 프레임(1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흡착 유닛(140)이 효과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다양한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착 유닛(140)이 메인 프레임(1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함으로써, 이동시킬 판재(1)의 사이즈가 작은 경우에는 판재(1)의 사이즈에 맞도록 한 쌍의 흡착 유닛(140)의 간격을 좁게 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판재(1)를 부착시킬 수 있다.
전술한 흡착 유닛(140)이 판재(1)의 상측을 고정시키는 구성이라면, 후술할 지지 유닛(160)은 판재(1)의 하측을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즉, 지지 유닛(160)은 흡착 유닛(140)에 부착된 판재(1)를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유닛(160)은 흡착 유닛(16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지지 유닛(160)은 판재(1)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판재(1)는 흡착 유닛(160)과 지지 유닛(16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재(1)가 흡착 유닛(140)에서 이탈되더라도 추락하지 않도록, 판재(1)의 하측은 지지 유닛(16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유닛(16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전자석(16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유닛(160)이 판재(1)를 사이에 두고 흡착 유닛(140)의 하부에 위치할 때, 지지 유닛(160)의 제 2 전자석(164)과 흡착 유닛(140)의 제 1 전자석(144) 사이에 인력이 작용되어, 지지 유닛(160)은 판재(1)를 사이에 두고 흡착 유닛(140) 방향으로 이동되어, 판재(1)의 하측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흡착 유닛(140)에 부착되어 있는 판재(1)는, 판재(1)의 하부에서 흡착 유닛(140) 방향으로 자기력에 의한 부착력이 작용되는 지지 유닛(160)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착 유닛(140)과 지지 유닛(160) 사이에 전자석(144, 164)에 의한 자기력에 의하여 인력이 작용함에 따라, 철재가 아닌 판재(1)를 이동시킬 때, 흡착 유닛(140)의 흡착기(142) 만으로 판재(1)를 부착시키더라도, 판재(1)의 하측에서 지지 유닛(160)이 판재(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판재(1)가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철재 소재의 판재(1)를 이동시킬 때에도, 흡착 유닛(140)에 부착된 판재(1)의 하측에서 지지 유닛(160)이 판재(1)를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지지 유닛(160)의 제 2 전자석(164)과 흡착 유닛(140)의 제 1 전자석(144) 사이에 인력이 효과적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도 2에서와 같이, 지지 유닛(160)이 흡착 유닛(140)의 하부에서 흡착 유닛(140)과 대향되게 배치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판재(1)를 흡착 유닛(140)에 부착시키거나, 판재(1)를 흡착 유닛(140)으로부터 이탈시킬 때에, 지지 유닛(160)과 판재(1)가 서로 간섭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유닛(160)은 서로 수직한 2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유닛(160)은 이동 프레임(130)에 의하여 서로 수직한 2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메인 프레임(120)의 양 측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이동 프레임(130)은 지지 유닛(160)을 메인 프레임(120)에 결합시키는 구성으로서, 지지 유닛(160)을 2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프레임(130)은 제 1 이동부(131) 및 제 2 이동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이동부(131)는 지지 유닛(160)을 수직(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이고, 제 2 이동부(132)는 지지 유닛(160)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이동부(131)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이동부(131)는 메인 프레임(1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메인 프레임(1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이동부(131)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레일(13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 프레임(120)의 단부측이 이동 레일(1313)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이동부(131)는 별도의 구동 수단 없이, 지지 유닛(160)과 흡착 유닛(140) 사이에 자기력에 의한 인력이 작용하는 경우, 제 1 이동부(131)의 하부에 위치된 지지 유닛(160)이 상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 1 이동부(131)가 지지 유닛(160)과 흡착 유닛(140) 사이의 자기력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즉, 평소에는 제 1 이동부(131)가 하부에 설치된 지지 유닛(160)의 자중에 의하여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다가, 지지 유닛(160)의 제 2 전자석(164)에 자기력이 발생되면 지지 유닛(160)의 상부에 위치된 흡착 유닛(140)의 제 1 전자석(144)과의 인력에 의하여 제 1 이동부(131)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 1 이동부(131)의 구동은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이동부(131)는 별도의 구동 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랙과 피니언 기어 장치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이동부(132)는 지지 유닛(160)이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 2 이동부(132)는 제 1 이동부(13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 1 이동부(131)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이동부(132)는 제 1 이동부(131)의 하단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프레임(130)은 수직 방향의 제 1 이동부(131)와 수평 방향의 제 2 이동부(132)가 연결된, 'ㄴ'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2 이동부(132)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레일(13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 레일(1323)은 제 1 이동부(131)의 단부측 부재와 결합됨으로써, 제 2 이동부(132)는 제 1 이동부(13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이동시킬 판재(1)를 흡착 유닛(140)에 부착시키는 과정이나, 목표 장소로 이동 후 흡착 유닛(140)에 부착된 판재(1)를 흡착 유닛(140)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과정에서, 제 2 이동부(132)에 설치된 지지 유닛(160)이 판재(1)에 간섭되지 않도록 판재(1)에서 이격시키기 위함이다.
이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 이송 장치(100)를 이용하여 판재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다시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이동부(132)는 랙과 피니언 기어 장치를 통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이동부(132)와 연결되는 제 1 이동부(131)의 하단 측에 구동 수단, 예를 들어, 모터와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된 피니언 기어가 구비되고, 제 2 이동부(132)의 이동 레일(1323)에 피니언 기어에 연결되는 랙 기어가 형성됨으로써, 제 2 이동부(132)는 제 1 이동부(131)에 대하여 상대적인 수평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제 2 이동부(132)의 구동이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2 이동부(132)가 수동으로 구동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방법과 장치를 통하여, 지지 유닛(160)이 수평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 2 이동부(132)가 구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 유닛(160)을 메인 프레임(120)에 연결시키는 이동 프레임(130)이, 수직 방향 이동이 가능한 제 1 이동부(131) 및 수평 방향 이동이 가능한 제 2 이동부(132)를 포함함으로써, 지지 유닛(160)을 서로 수직한 2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능에 대한 보다 명확한 이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 이송 장치(100)를 이용하여 판재(1)를 이송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 이송 장치(100)를 이용하여 판재를 이송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판재 이송 장치(100)가 이동시킬 판재(1)에 접근하여, 판재(1)를 흡착 유닛(140)에 부착시킨다.
이 때, 판재(1)의 소재가 철재인 경우, 흡착 유닛(140)의 제 1 전자석(144)을 이용하여 판재(1)를 흡착 유닛(140)에 부착시키고, 판재(1)의 소재가 비철재인 경우, 흡착 유닛(140)의 흡착기(142)를 이용하여 판재(1)를 흡착 유닛(140)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 때,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판재(1)가 흡착 유닛(140)에 부착될 때 지지 유닛(160)에 간섭되지 않도록, 지지 유닛(160)은 제 2 이동부(132)에 의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흡착 유닛(140)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위치된다.
이어서, 도 7을 참조하면, 판재(1)가 흡착 유닛(140)에 부착된 후에는, 제 2 이동부(132)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지지 유닛(160)이 흡착 유닛(140)의 하부에 대향되게 배치되도록 한다.
이 때, 지지 유닛(160)의 제 2 전자석(164)에는 자기력이 작용되지 않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판재(1)의 하부에 지지 유닛(160)이 위치되므로, 판재(1)가 흡착 유닛(140)으로부터 이탈되더라도, 판재(1)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을 참조하면, 지지 유닛(160)의 제 2 전자석(164)에 전류를 인가하여, 제 2 전자석(164)과 흡착 유닛(140)의 제 1 전자석(144)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게 함으로써, 지지 유닛(160)을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제 1 이동부(131)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지지 유닛(160)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판재(1)의 하측에 지지 유닛(160)이 부착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판재(1)는 흡착 유닛(140)에 부착된 상태에서, 판재(1)의 하측을 지지 유닛(160)이 지지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판재(1)를 이송시킬 수 있다.
이어서, 판재(1)를 목표 장소까지 이동시킨 후에, 전술한 과정의 역순을 통하여 판재(1)를 판재 이송 장치(10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 이송 장치(100)는, 흡착 유닛(140)에 흡착기(142)와 제 1 전자석(144)을 포함함으로써, 판재(1)의 소재에 상관 없이 다양한 소재의 판재(1)를 효과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또한, 판재(1)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160)을 구비하고, 지지 유닛(160)을 2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흡착 유닛(140)에 부착된 판재(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판재(1)의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판재 10 운반 수단
100 판재 이송 장치 110 연결 몸체
120 메인 프레임 130 이동 프레임
131 제 1 이동부 132 제 2 이동부
140 흡착 유닛 141 구동 장치
142 흡착기 144 제 1 전자석
160 지지 유닛 164 제 2 전자석

Claims (12)

  1. 운반 수단에 연결되어 판재를 이송하는 장치로서,
    상기 운반 수단에 연결되는 연결 몸체;
    상기 연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판재의 상부에 위치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판재를 부착할 수 있도록 메인 프레임의 하측에 형성되는 흡착 유닛;
    상기 흡착 유닛에 부착된 상기 판재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흡착 유닛의 하부에 위치되는 지지 유닛; 및
    상기 지지 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 유닛을 서로 수직한 2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연결시키는 이동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흡착 유닛은,
    중심부에 형성된 흡착기; 및 테두리부에 형성된 제 1 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제 1 전자석과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전자석 방향으로 인력이 작용될 수 있는 제 2 전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프레임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이동부; 및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고 상기 지지 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제 1 이동부의 하단측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이동부를 포함하는, 판재 이송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부 및 상기 제 2 이동부 중 적어도 하나는 랙 기어와 피니언 기어로 구동되는, 판재 이송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부 및 상기 제 2 이동부 중 적어도 하나는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판재 이송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는, 판재 이송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판재 이송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유닛은 한 쌍으로 구성되는, 판재 이송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복수 개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메인 프레임은 상기 연결 몸체의 하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판재 이송 장치.
KR1020130127978A 2013-10-25 2013-10-25 판재 이송 장치 KR101599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978A KR101599946B1 (ko) 2013-10-25 2013-10-25 판재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978A KR101599946B1 (ko) 2013-10-25 2013-10-25 판재 이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912A KR20150047912A (ko) 2015-05-06
KR101599946B1 true KR101599946B1 (ko) 2016-03-04

Family

ID=53386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978A KR101599946B1 (ko) 2013-10-25 2013-10-25 판재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9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090B1 (ko) 2020-04-29 2020-12-11 김회복 승하강식 고정 수단이 도입된 다용도 판재 리프팅 시스템
KR102280773B1 (ko) 2020-11-10 2021-07-21 김용민 축전지부를 구비한 진공 흡착 장치
KR102280772B1 (ko) 2020-12-01 2021-07-21 김회복 싸이클론 집진부를 구비한 진공 흡착식 판재 리프팅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55305A (zh) * 2016-12-10 2017-08-18 湖南金海钢结构股份有限公司 一种吊装钢板用钢扁担及使用方法
CN109019302A (zh) * 2018-09-07 2018-12-18 重庆雅克塑料制品有限公司 树脂瓦吊装装置
CN111470415A (zh) * 2020-04-22 2020-07-31 同鑫德环保设备科技河北有限公司 一种适用于吊装dtro膜柱的装置及吊装结构
BE1030494B1 (nl) * 2022-05-05 2023-12-05 Levrau Nv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verplaatsen van één betonwapeningsnet vanuit een stapel betonwapeningsnett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9618A (ja) * 2003-12-08 2005-06-30 Goudsmit Magnetic Systems Bv 例えば板のような物品を把持し持ち上げる把持手段および吊り上げ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484Y2 (ja) * 1992-07-16 1995-05-17 株式会社中山製鋼所 リフティングマグネット付き電動トング
JPH08277085A (ja) * 1995-04-07 1996-10-22 Toppan Printing Co Ltd 板状金型の搬送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9618A (ja) * 2003-12-08 2005-06-30 Goudsmit Magnetic Systems Bv 例えば板のような物品を把持し持ち上げる把持手段および吊り上げ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090B1 (ko) 2020-04-29 2020-12-11 김회복 승하강식 고정 수단이 도입된 다용도 판재 리프팅 시스템
KR102280773B1 (ko) 2020-11-10 2021-07-21 김용민 축전지부를 구비한 진공 흡착 장치
KR102280772B1 (ko) 2020-12-01 2021-07-21 김회복 싸이클론 집진부를 구비한 진공 흡착식 판재 리프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912A (ko) 201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9946B1 (ko) 판재 이송 장치
US9284164B2 (en) Overhead transport carriage
US8579128B2 (en) Gripper device for transport vehicle, transport vehicle and overhead hoist transport vehicle
KR102565886B1 (ko) 물품 반송 설비
CN101241873A (zh) 物品输送设备
KR20090060940A (ko) 천정 버퍼와 그 이설방법
JP5184184B2 (ja) 上下コンベア間の荷移載装置
JP2016155659A (ja) 搬送装置
CN210258629U (zh) 一种改进型物流搬运agv
KR20090077534A (ko) 패널이송용 흡착장치
CN105621037A (zh) 一种悬挂移动装置
CN105621259A (zh) 改进的移动悬吊装置
US20190375302A1 (en) Article transferring device
CN106627685B (zh) 物流推车以及使用该物流推车的生产线
CN103481935A (zh) 一种运输筒状物件推车
WO2014201725A1 (zh) 一种玻璃基板的输送装置
KR102104666B1 (ko) 용접용 대차
CN109018822A (zh) 一种物料传输装置
US3685634A (en) Conveyor belt for sheet metal
CN104416566A (zh) 磁体输送定位装置
CN206203679U (zh) 吊装装置
CN202011723U (zh) 一种物料搬运装置
CN103193147A (zh) 倾斜型乘客传送设备
CN205527217U (zh) 一种新型的轿厢防抖装置
JP4211768B2 (ja) 摩擦ローラ式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