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446B1 - 배관파이프 등의 운반과 하역에 유용한 이송 리프트기기 - Google Patents

배관파이프 등의 운반과 하역에 유용한 이송 리프트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446B1
KR101693446B1 KR1020160005156A KR20160005156A KR101693446B1 KR 101693446 B1 KR101693446 B1 KR 101693446B1 KR 1020160005156 A KR1020160005156 A KR 1020160005156A KR 20160005156 A KR20160005156 A KR 20160005156A KR 101693446 B1 KR101693446 B1 KR 101693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
frame
horizontal frame
mov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5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천기
Original Assignee
도천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천기 filed Critical 도천기
Priority to KR1020160005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4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4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2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B66D3/26Other details, e.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1Haul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2) 또는 플랜트(3) 상에 중량의 배관파이프(P) 등을 적재하도록 도르래(1)를 이용하여 승하강하는 리프트기기(L)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L)의 상부 중앙에 수평으로 구비하고, 저면에 레일(11)을 구비하는 수평프레임(10); 상기 수평프레임(10)의 레일(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도르래(1)상에 배관파이프(P)를 승하강할 수 있도록 레일(11)에 지지되어 좌우 이동하도록 이동롤러(23)가 장착된 본체(21)와, 본체(21)에 승하강하는 도르래(1)를 거치하는 거치공(25)을 구비하는 승강부(20);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양쪽에 수직 결합하고, 수평프레임(10)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제1수직프레임(33)의 내부에 제2수직프레임(35)을 삽설한 상태에서 고정핀(37)의 개폐여부에 따라 높이 변경이 가능하여 수평프레임(10)의 상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수단(31)을 구비하는 수직프레임(30); 및 상기 수직프레임(30)의 하단에 고정대(41)를 각각 구비하고, 전후이동이 가능하게 고정대(41) 상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이동롤러(43)를 각각 구비하는 이동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수평프레임을 구비하여 좌우이동이 가능한 승강부와, 전후이동이 가능한 이동수단 및 상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수직프레임 등의 결합을 간편하게 유기적으로 구성함에 따라 배관파이프 등의 승하강 작업과 운반 및 적재 작업 등이 매우 손쉬우면서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또 승하차 및 적재작업 시의 전후 이동이 가능하여 넓고 좁음에 따른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플랜트 상에서의 배관파이프를 설치하는 높이 등에 따라 수직프레임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관파이프 등의 운반과 하역에 유용한 이송 리프트기기{Transfer lifting equipment useful for transporting and unloading of pipes etc.}
본 발명은 배관파이프 등의 운반과 하역(荷役)에 유용한 이송 리프트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평프레임을 구비하여 좌우이동이 가능한 승강부와, 전후이동이 가능한 이동수단 및 상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수직프레임 등의 결합을 간편하게 유기적으로 구성함에 따라 배관파이프 등의 승하강 작업과 운반 및 적재 작업 등이 매우 손쉬우면서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또 승하차 및 적재작업 시의 전후 이동이 가능하여 넓고 좁음에 따른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플랜트 상에서의 배관파이프를 설치하는 높이 등에 따라 수직프레임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는 배관파이프 등의 운반과 하역(荷役)에 유용한 이송 리프트기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가스나 물, 기름(석유)과 같은 기체 및 액체의 물질을 이송하기 위해서는 내부가 비어 있는 배관파이프 등을 사용한다. 이러한 배관파이프는 광범위한 지역으로의 이송뿐만 아니라 건물에도 많이 설치 사용하는데, 배관파이프의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재질 등을 고려하여 생산, 운반, 보관, 사용 등의 행위를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러한 배관파이프들을 짧은 구간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구성이나 적은 수량의 배관파이프들로 결합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많은 양의 배관파이프를 운반하고 상하차 등의 하역작업을 한 뒤, 조립 내지 결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이송 및 설치과정에서 적지 않는 영향을 받아 현장에서의 사용에 큰 어려움이 발생한다. 즉, 대량의 배관파이프를 생산한 뒤, 차량에 적재하여 현장으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인력 또는 지게차와 같은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운반한 후, 파이프를 연결 사용하고자 하는 위치에 일반 체인이나 파이프의 유동이 가능한 이송용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운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예로,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4588호에 따르면, 건축자재 운반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 공사를 할 시 하층에서 사용한 각종 건축자재를 상층으로 극히 간편하게 운반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면서도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건축자재 운반용 리프트를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고 사용상의 편리성이 보장되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고안은 건축자재(A)를 상층으로 운반하는 리프트(1)에 있어서, 와이어(4)가 권취된 권취드럼(3)이 정역모터(2)에 의해 구동되도록 설치된 베이스프레임(5) 전방으로 브라켓(6)을 돌출 형성하여 한 쌍의 가이드봉(7)을 결합 고정하고, 가이드봉(7) 상단에는 중앙 상측으로 안내드럼(9)이 고정된 고정구(8)를 연결부재(10)로 연결 구성하며, 가이드봉(7) 전방으로는 간격유지대(13a)에 의해 연결 구성된 한 쌍의 지주(14) 후방으로 가이드봉(7)의 외주와 접하는 가이드롤러(15)가 적어도 2개 이상 축 결합되고 하측으로 적재물받이(16)가 부착된 승강대차(13)를 결합하고, 승강대차(13)의 상부 중앙에는 걸고리(17)를 형성하여 권취드럼(3)에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4)의 일단을 고정하되, 와이어(4)는 베이스프레임(5)에 축 설치된 안내드럼(18)과 가이드봉(7)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구(8) 상의 안내드럼(9)을 경유토록 하여 정역모터(2)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4)가 권취드럼(3)에 권취 및 해리될 때 승강대차(13)가 가이드봉(7)을 따라서 승강하도록 하고, 상기 승강대차(13)를 구성하는 양측 지주(14) 내측으로는 선택적으로 길이조절 대(19)를 인출 가능하게 삽입하여 고정수단(20)으로 고정하며, 양측 길이조절대(19)의 상단은 걸고리(17)가 마련된 연결대(21)로 상호 연결 구성하고, 걸고리(17)에는 와이어(4)의 일단을 고정함으로써, 설치 및 철거가 간편하고 사용상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건축자재 운반용 리프트(1)를 제시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 고안은 각종 건축자재를 상층으로 극히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였기에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는 있겠으나, 단지 고정된 상태에서 상하이송만 구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실제 작업현장에서 배관파이프의 사용 장소에 따라 분해 및 조립을 반복하는 자체가 번거롭고 작업효율성이 떨어지며, 또 브라켓(6)과 가이드봉(7)이 결합 고정을 하여 지주역할을 수행한다고는 하지만, 완전한 고정을 할 수 없기에 건축자재(A)의 크기 및 무게 등에 영향을 받아 제 역할을 발휘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4588호 "건축자재 운반용 리프트"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프레임을 구비하여 좌우이동이 가능한 승강부와, 전후이동이 가능한 이동수단 및 상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수직프레임 등의 결합을 간편하게 유기적으로 구성함에 따라 배관파이프 등의 승하강 작업과 운반 및 적재 작업 등이 매우 손쉬우면서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또 승하차 및 적재작업 시의 전후 이동이 가능하여 넓고 좁음에 따른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플랜트 상에서의 배관파이프를 설치하는 높이 등에 따라 수직프레임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는 배관파이프 등의 운반과 하역(荷役)에 유용한 이송 리프트기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 또는 플랜트 상에 중량의 배관파이프를 적재하도록 도르래를 이용하여 승하강하는 리프트기기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기기의 상부 중앙에 수평으로 구비하고, 저면에 레일을 구비하는 수평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의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도르래상에 배관파이프를 승하강할 수 있도록 레일에 지지되어 좌우 이동하도록 이동롤러가 장착된 본체와, 본체에 승하강하는 도르래를 거치하는 거치공을 구비하는 승강부;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쪽에 수직 결합하고, 수평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제1수직프레임의 내부에 제2수직프레임을 삽설한 상태에서 고정핀의 개폐여부에 따라 높이 변경이 가능하여 수평프레임의 상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고정대를 각각 구비하고, 전후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고정대 상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이동롤러를 각각 구비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직프레임과 이동수단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사선방향으로 결합하도록 힘살편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배관파이프 이송 리프트는 수평프레임을 구비하여 좌우이동이 가능한 승강부와, 전후이동이 가능한 이동수단 및 상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수직프레임 등의 결합을 간편하게 유기적으로 구성함에 따라 배관파이프 등의 승하강 작업과 운반 및 적재 작업 등이 매우 손쉬우면서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또 승하차 및 적재작업 시의 전후 이동이 가능하여 넓고 좁음에 따른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플랜트 상에서의 배관파이프를 설치하는 높이 등에 따라 수직프레임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여러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의 실제 사용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차량(2) 또는 플랜트(3) 상에 중량의 배관파이프(P)를 적재하도록 도르래(1)를 이용하여 승하강하는 리프트(L)에 관련되며, 수평프레임(10), 승강부(20), 수직프레임(30), 이동수단(40)을 주요특징으로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배관파이프(P)를 주로 차량(2)이나 플랜트(3)상에 적재하는데 사용한다고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사용용도 가운데 그 일부만을 기술한 것으로서 본원발명의 사용범위 내에서는 모두 적용할 수 있음을 부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프레임(10)은, 상기 리프트(L)의 상부 중앙에 수평으로 구비하고, 저면에 레일(11)을 구비한다. 수평프레임(10)은 리프트(L)의 구성 중, 후술하는 수직프레임(30)과 결합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조에 있어서는 뼈대(프레임)에 해당한다. 수평프레임(10)은 리프트(L)의 구성 중, 상부 중앙을 기점으로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는 프레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저면 부분에서 이동이 가능하게 레일(11)을 구비한다. 수평프레임(10)의 재료로는 주로 강성의 금속이나 비금속판재를 사용하는데, 수평프레임(10)에서 보다 더 중요한 점은 후술하는 승강부(20)의 좌우이동이 가능하게 판재의 저면에 레일(11)을 구비한다는 것이다. 즉, 수평프레임(10)의 형상을 "ㅗ" 또는 "工"로 형성하여 수평으로 길게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20)는, 상기 수평프레임(10)의 레일(1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하고, 도르래(1)상에 배관파이프(P)를 승하강하도록 구비한다. 승강부(20)는 상술한 수평프레임(10)의 레일(11)을 타고, 좌우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하여 도르래(1)상에 중량의 배관파이프(P)를 승강하거나 하강하는 구성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승강부(20)는 수평프레임(10)의 레일(11)에 지지되어 좌우 이동하도록 이동롤러(23)가 장착된 본체(21)와, 상기 본체(21)에 승하강하는 도르래(1)를 거치하는 거치공(2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승강부(20)의 구성으로는 수평프레임(10)의 레일(11)에 지지되어 좌우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롤러(23)를 구비하는 본체(21), 본체(21) 상에 배관파이프(P)를 승강 또는 하강하는 도르래(1)를 거치하는 거치공(25)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수평프레임(10)의 레일(11)을 기준하여 양쪽으로 한 쌍의 이동롤러(23)를 구비하여 본체(21)와 결합하여 좌우로 이동한다는 것이다. 본체(21)의 측면으로는 거치공(25)을 구비하는데, 이러한 구성은 승하강하는 도르래(1)를 직접 거치하기 위한 구멍(통공)이다. 즉, 승강부(20)의 이동롤러(23)를 구비하는 본체(21)의 측면으로 거치공(25)을 형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거치공(25)에 도르래(25)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프레임(30)은,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양쪽에 수직결합하고, 수평프레임(10)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조절수단(31)을 구비한다. 수직프레임(30)은 상술한 수평프레임(10)과 결합하여 리프트(L)의 뼈대역할을 하는 것으로, 수평프레임(10)의 장(長)방향을 기준하여 양쪽으로 수직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수직프레임(30)은 내부가 비어 있는 얇은 사각판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평프레임(10)을 지탱하는 기둥역할을 함과 동시에 수평프레임(1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조절수단(31)을 구비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절수단(31)은 제1수직프레임(33)의 내부에 제2수직프레임(35)을 삽설한 상태에서 고정핀(37)의 개폐여부에 따라 높이변경이 가능하여 수평프레임(10)의 상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평프레임(10)의 양쪽에 수직 결합하여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수단(31)의 구성으로는, 두께가 다른 제1수직프레임(33)과 제2수직프레임(35)을 구비하여 고정핀(37)의 개폐작동에 따라 높이조절을 한다. 수직프레임(30)의 조절수단(31)으로 제1수직프레임(33)과 제2수직프레임(35)을 각각 구비하는데, 제1수직프레임(33)의 내부에 제2수직프레임(35)을 삽설한 뒤, 제1수직프레임(33)은 후술하는 이동수단(40)과 결합하고, 내부에 삽설한 제2수직프레임(35)은 상부에 위치하는 수평프레임(10)과 결합하여 이들 2개의 구성을 관통하여 고정하는 고정핀(37)의 개폐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수직프레임(33)의 내부에 삽설되어 있는 제2수직프레임(35)을 일정한 높이만큼 올리고, 제1수직프레임(33)과 제2수직프레임(35)의 일 측에 관통되는 관통공(37')으로 고정핀(37)을 끼워서 고정한다.
수평프레임(10)과 제2수직프레임(35)의 결합에 있어서, 접합면과의 용접에 따른 일체식 결합방법을 사용하거나 제2수직프레임(35)의 상단에 고정볼트(부호 미도시)와 고정대(부호 미도시)를 구비하여 수평프레임(10)의 가장자리 둘레를 감싸면서 고정 결합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상술한 결합방법 이외에 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방법 또한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40)은 상기 수직프레임(30)의 하단에 고정대(41)를 각각 구비하고, 전후이동이 가능하게 고정대(41) 상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이동롤러(43)를 각각 구비하고, 배관파이프(P) 적재 시 리프트기기(L)의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이동롤러(43) 상에 스토퍼(45)를 구비한다. 한 쌍으로 이루어진 수직프레임(30)의 하단에는 이동수단(40)의 구성 중 고정대(41)를 각각 수직으로 결합하여 구비하고, 이러한 고정대(41)의 하단으로는 본 발명의 리프트기기(L)를 전후이동이 가능하게 적어도 2개 이상의 이동롤러(43)를 각각 구비하여 사용한다.
즉, 수평프레임(10)의 양쪽으로 결합하는 수직프레임(30)은 그 하단으로 고정대(41)와 이동롤러(43)를 각각 구비하고, 고정대(41) 하나에 이동롤러(43)를 적어도 2개 이상 구비하여 2개의 수직프레임(30) 하단에 각각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기기(L)의 전후이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진 않았으나, 배관파이프(P)를 차량(2)이나 플랜트(3)에 적재할 때에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기기(L)가 고정되어 있어야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롤러(43)상에 스토퍼(도면 미도시)를 구비하여 고정과 이동을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직프레임(30)과 이동수단(40)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사선방향으로 결합하도록 힘살편(5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힘살편(50)은 수직프레임(30)과 이동수단(40)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사선방향으로 결합 구비하는 것으로서, 수평프레임(10), 승강부(20), 수직프레임(30), 이동수단(40)이 각각 필요에 따라 결합하여 리프트기기(L)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는 있으나, 이들 구성들의 결합력만으로는 사실상 배관파이프(P)를 승하강하여 이송하는 작업에서는 다소의 무리가 뒤따를 수 있다. 즉, 각 구성요소들 간의 결합력이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프레임(30)과 이동수단(40)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이들 구성간의 결합부위를 기준으로 하여 사선방향으로 힘살편(50)을 더 구비하여 결합한다. 힘살편(50)을 더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요소들 간의 결합력을 더욱 더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배관파이프(P)의 승하강 및 이송작업에서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배관파이프 이송리프트는 수평프레임을 구비하여 좌우이동이 가능한 승강부와, 전후이동이 가능한 이동수단 및 상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수직프레임 등의 결합을 간편하게 유기적으로 구성함에 따라 배관파이프 등의 승하강 작업과 운반 및 적재 작업 등이 매우 손쉬우면서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또 승하차 및 적재작업 시의 전후 이동이 가능하여 넓고 좁음에 따른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플랜트 상에서의 배관파이프를 설치하는 높이 등에 따라 수직프레임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작용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 도르래 2 : 차량
3 : 플랜트 10 : 수평프레임
11 : 레일 20 : 승강부
21 : 본체 23 : 이동롤러
25 : 거치공 30 : 수직프레임
31 : 조절수단 33 : 제1수직프레임
35 : 제2수직프레임 37 : 고정핀
37' : 관통공 40 : 이동수단
41 : 고정대 43 : 이동롤러
50 : 힘살편 L : 리프트기기
P : 배관파이프

Claims (4)

  1. 차량(2) 또는 플랜트(3) 상에 중량의 배관파이프(P) 등을 적재하도록 도르래(1)를 이용하여 승하강하는 리프트기기(L)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L)의 상부 중앙에 수평으로 구비하고, 저면에 레일(11)을 구비하는 수평프레임(10);
    상기 수평프레임(10)의 레일(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도르래(1)상에 배관파이프(P)를 승하강할 수 있도록 레일(11)에 지지되어 좌우 이동하도록 이동롤러(23)가 장착된 본체(21)와, 본체(21)에 승하강하는 도르래(1)를 거치하는 거치공(25)을 구비하는 승강부(20);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양쪽에 수직 결합하고, 수평프레임(10)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제1수직프레임(33)의 내부에 제2수직프레임(35)을 삽설한 상태에서 고정핀(37)의 개폐여부에 따라 높이 변경이 가능하여 수평프레임(10)의 상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수단(31)을 구비하는 수직프레임(30); 및
    상기 수직프레임(30)의 하단에 고정대(41)를 각각 구비하고, 전후이동이 가능하게 고정대(41) 상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이동롤러(43)를 각각 구비하는 이동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파이프 등의 운반과 하역에 유용한 이송 리프트기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30)과 이동수단(40)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사선방향으로 결합하도록 힘살편(5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파이프 등의 운반과 하역에 유용한 이송 리프트기기.
KR1020160005156A 2016-01-15 2016-01-15 배관파이프 등의 운반과 하역에 유용한 이송 리프트기기 KR101693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156A KR101693446B1 (ko) 2016-01-15 2016-01-15 배관파이프 등의 운반과 하역에 유용한 이송 리프트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156A KR101693446B1 (ko) 2016-01-15 2016-01-15 배관파이프 등의 운반과 하역에 유용한 이송 리프트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446B1 true KR101693446B1 (ko) 2017-01-05

Family

ID=57835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5156A KR101693446B1 (ko) 2016-01-15 2016-01-15 배관파이프 등의 운반과 하역에 유용한 이송 리프트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4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90171A (zh) * 2019-10-29 2020-02-14 国网山东省电力公司聊城供电公司 一种简易可拆卸电力吊装工具
KR20220012043A (ko) 2020-07-22 2022-02-03 이민서 레일가이드를 이용한 이송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340U (ko) * 1997-02-01 1998-10-15 김기은 조립식 간이 크레인
KR200314588Y1 (ko) 2003-02-05 2003-05-27 제천수 건축자재 운반용 리프트
KR20150003249U (ko) * 2014-02-20 2015-08-3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다용도 중량물 인양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340U (ko) * 1997-02-01 1998-10-15 김기은 조립식 간이 크레인
KR200314588Y1 (ko) 2003-02-05 2003-05-27 제천수 건축자재 운반용 리프트
KR20150003249U (ko) * 2014-02-20 2015-08-3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다용도 중량물 인양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90171A (zh) * 2019-10-29 2020-02-14 国网山东省电力公司聊城供电公司 一种简易可拆卸电力吊装工具
CN110790171B (zh) * 2019-10-29 2022-04-08 国网山东省电力公司聊城供电公司 一种简易可拆卸电力吊装工具
KR20220012043A (ko) 2020-07-22 2022-02-03 이민서 레일가이드를 이용한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405692B2 (en) Conveyance system for object to be conveyed and conveyance method
US20190316421A1 (en) Drilling rig
KR102190090B1 (ko) 승하강식 고정 수단이 도입된 다용도 판재 리프팅 시스템
KR101693446B1 (ko) 배관파이프 등의 운반과 하역에 유용한 이송 리프트기기
KR101055521B1 (ko) 크레인
CN213738231U (zh) 一种钢结构生产用搬运装置
CN205293920U (zh) 一种中部对开式车架预装辊道线
EA007437B1 (ru) Подъемный механизм для строите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KR101479866B1 (ko) 폐자동차 처리용 차량 반전장치
CN205442332U (zh) 一种涂料提升倾倒装置用倾倒输送架体
CN108100896B (zh) 一种管道提升输送装置及方法
CN210710588U (zh) 高度受限狭小空间内预制管沟的吊装系统
CN108285085B (zh) 管道安装垂直水平运输工具及运输方法
KR100826617B1 (ko) 천창유리 설치용 운반 공급장치
CN112374328A (zh) 一种建筑工地升降运输平台
RU177894U1 (ru) Шахта грузового подъёмника
CN216583959U (zh) 一种可移动的垂直运输支架
CN219486164U (zh) 一种搅拌机水泥运输升降装置
CN205709690U (zh) 一种托架升运车
JP6510212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の解体方法、組立方法、及び解体組立装置
CN219384495U (zh) 一种沼气罐安装专用提升机
CN213112240U (zh) 一种建筑工程管道安装提升装置
CN109650283A (zh) 一种系泊设备分段预装顶升装置
CN214218030U (zh) 一种简易垂直运输机
CN217947300U (zh) 一种土木工程双向卸载式升降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