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254B1 - 용해로용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용해로용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254B1
KR101926254B1 KR1020170038355A KR20170038355A KR101926254B1 KR 101926254 B1 KR101926254 B1 KR 101926254B1 KR 1020170038355 A KR1020170038355 A KR 1020170038355A KR 20170038355 A KR20170038355 A KR 20170038355A KR 101926254 B1 KR101926254 B1 KR 101926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riving
cylinder
chain
sp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8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9175A (ko
Inventor
황채익
Original Assignee
황채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채익 filed Critical 황채익
Priority to KR1020170038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254B1/ko
Publication of KR20180109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8Door frames; Doors, lids, removable covers
    • F27D1/1858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6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해로용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용해로에 구비되는 도어의 개폐가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한 개폐와 함께 본체와의 기밀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해로용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용해로용 도어 개폐장치{OPENING AND SHUTTIND DEVICE FOR DOOR OF SMELTING FURNACE}
본 발명은 용해로용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용해로에 구비되는 도어의 개폐가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한 개폐와 함께 본체와의 기밀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해로용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알루미늄 용해로는 로의 형식이 반사로 또는 전기로, 도가니로로서 정형화된 형태의 비중이 높은 알루미늄 잉고트(알루미늄괴)나 알루미늄 소재를 절삭하거나 가공하는 과정에서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폐 알루미늄 칩, 압축된 폐 알루미늄 캔 또는 금속 캔을 적정 크기로 분쇄한 알루미늄 스크랩 등 크기와 밀도차가 있는 다양한 성상의 알루미늄 용융 원료를 수거하여 보통 750 내지 850℃의 온도에서 다시 용해시키는 장치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0700호(2015.06.22.)에는 알루미늄 용해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알루미늄 용해로는 도어부가 모터로 이루어지는 도어구동부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밀폐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은 물론, 도어부가 가열되면서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0700호(2015.06.22.) '알루미늄 용해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해로에 구비되는 도어의 개폐가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한 개폐와 함께 본체와의 기밀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해로용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용해로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용해로용 도어 개폐장치로써, 상기 도어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권취부; 일단부가 상기 권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도어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권취부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연결부가 권취 또는 풀림되면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로용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권취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 상부에 양단부가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복수의 권취스프로킷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단부가 상기 권취스프로킷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기 도어에 연결되는 체인벨트를 포함하되, 상기 체인벨트는, 상기 권취스프로킷으로의 권취에 따라 상기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거나, 상기 권취스프로킷으로부터의 풀림에 따라 상기 도어가 닫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스프로킷; 일단부가 상기 구동스프로킷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고정되면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권취 또는 풀림되는 구동체인; 및 상기 구동체인의 양단부 사이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면서 상기 회전축으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도어가 개폐되도록 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가압수단과 상기 구동스프로킷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구동체인을 지지하는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압수단은, 실린더몸체와, 상기 실린더몸체의 하부에 인입,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실린더로드를 포함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로드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의 직진 구동에 따라 하강하며 상기 구동체인을 가압하는 한편, 상기 실린더의 후진 구동에 따라 상기 구동체인으로의 가압을 해제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는, 직진 구동에 따라 상기 구동스프로킷으로부터 상기 구동체인이 풀림되면서 상기 구동스프로킷과 함께 상기 회전축이 회전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체인벨트가 상기 권취스프로킷에 권취되면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며, 후진 구동에 따라 상기 구동체인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도어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강되면서 닫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구동체인이 상기 구동스프로킷에 권취되고, 상기 체인벨트가 상기 권취스프로킷으로부터 풀림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압수단은, 양측 및 하부가 개방되면서 내측으로 상기 가압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상부에 상기 실린더로드가 연결되는 체결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롤러는, 외주면에 환형홈이 형성되면서 상기 구동체인에 안착되는 한편, 상기 구동체인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도어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해로에 구비되는 도어의 개폐가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원활한 개폐와 함께 본체와의 기밀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해로용 도어 개폐장치가 구비된 상태의 용해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해로용 도어 개폐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해로용 도어 개폐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해로용 도어 개폐장치에서 가압수단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1에서 도어의 개폐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용해로용 도어 개폐장치(이하 "도어개폐장치"라 한다)(1)는 본체(110) 및 상기 본체(110)에 상하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120)를 포함하는 용해로(100)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120)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어개폐장치로써, 상기 도어(1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110)에 구비되는 권취부(10), 상기 권취부(10)와 상기 도어(120)를 연결하는 연결부(20) 및 상기 권취부(10)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30)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120)는 상기 구동부(3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연결부(20)가 권취 또는 풀림되면서 개폐된다.
상기 용해로(100)는 알루미늄 스크랩 등을 용융하는 알루미늄 용해로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일측이 개방되면서 내측으로 알루미늄 스크랩 등이 용융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개방된 일측에 상기 도어(120)가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면서 상기 도어(120)의 승,하강에 따른 개폐에 따라 내부가 개방 또는 차단되는 형태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의 일측은 상기 용해로(100)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우측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해로(100)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권취부(10)는 상기 본체(110)의 일측 상부에 양단부가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11) 및 상기 회전축(11)에 구비되는 복수의 권취스프로킷(1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11)은 양단부가 상기 용해로(100)의 전후 방향을 향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도어개폐장치(1)는 상기 본체(110)로부터 상기 권취부(10)를 지지하는 프레임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40)는 상부에 상기 권취부(10)가 안착되는 상부프레임(41), 상기 본체(110)의 상부로부터 상기 상부프레임(41)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바(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0)는 상단부가 상기 권취스프로킷(12)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기 도어(120)에 연결되면서 상기 권취스프로킷(12)으로의 권취에 따라 상기 도어(120)가 개방되도록 하거나, 상기 권취스프로킷(12)으로부터의 풀림에 따라 상기 도어(120)가 닫히도록 하는 체인벨트(21)를 포함한다.
상기 체인벨트(21)는 상단부가 상기 권취스프로킷(12)의 외측 둘레에 분리됨이 없이 고정되면서 상기 권취스프로킷(12)으로 권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체인벨트(21)는 상기 도어(120)의 개폐에 따라 상기 권취스프로킷(12)으로 권취되거나, 상기 권취스프로킷(12)으로부터 풀림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체인벨트(21)는 하단부가 상기 도어(120)와 직접 연결되거나, 하단부에 연결부재(미도시)가 연결되면서 상기 도어(12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도어(120)의 개방시, 상기 권취스프로킷(12)에 권취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줄 또는 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는, 상기 체인벨트(21)와 상기 도어(120) 간의 연결이 안정적이면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체인벨트(21)와 상기 도어(120) 간의 연결은 공지된 다양한 형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체인벨트(21)는 상기 도어(120)의 개방시, 상기 권취스프로킷(12)에 권취되며, 상기 도어(120)의 차단시, 권취된 상태로부터 풀림되면서 상기 도어(120)가 승,하강되며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권취스프로킷(12)은 상기 도어(120)의 개방시 상기 체인벨트(21)의 상단부로 체인벨트(21)가 중첩되며 권취되지 않을 정도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권취스프로킷(12)은 상기 도어(120)의 완전 개방에 따른 회전 정시를 기준으로 상기 체인벨트(21)가 한 바퀴 못 미쳐 권취될 정도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회전축(11)에 결합되는 구동스프로킷(31), 일단부가 상기 구동스프로킷(31)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본체(11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고정되면서 상기 회전축(11)의 회전에 따라 권취 또는 풀림되는 구동체인(32) 및 상기 구동체인(32)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면서 상기 회전축(11)으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도어(120)가 개폐되도록 하는 가압수단(33)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체인(32)은 일단부가 상기 구동스프로킷(31)의 외측 둘레에 분리됨이 없이 고정되면서 상기 구동스프로킷(31)으로 권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구동체인(32)은 상기 가압수단(33)의 구동에 따른 가압은 물론, 상기 도어(120)의 개폐에 따라 상기 구동스프로킷(31)으로 권취되거나, 상기 구동스프로킷(31)으로부터 풀림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구동체인(32)은 상기 체인벨트(21)와는 반대로 상기 도어(12)의 닫힘시 상기 구동스프로킷(31)으로 권취되고, 상기 도어(120)의 개방시 상기 구동스프로킷(31)으로부터 풀림된다.
상기 구동스프로킷(31)은 상기 도어(120)의 닫힘시 상기 구동체인(32)의 일단부로 구동체인(32)이 중첩되며 권취되지 않을 정도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구동스프로킷(31)은 상기 도어(120)의 완전 닫힘에 따른 회전 정지시를 기준으로 상기 구동체인(32)이 한 바퀴 못 미쳐 권취될 정도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부(40)는 상기 귄취부(10)의 타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41)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가압수단(33)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43)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권취부(10)의 타측은 좌측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구동체인(32)은 타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43)에 고정되며, 상기 가압수단(33)은 상기 구동체인(32)의 양단부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구동체인(32)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여 상기 도어(120)가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가압수단(33)과 상기 구동스프로킷(31)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4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면서 상기 구동체인(32)을 지지하는 가이드롤러(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34)는 스크로킷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상기 구동체인(32)의 권취 또는 풀림에 따라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구동체인(32)의 진행을 가이드한다.
상기 구동체인(32)은 타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43)에 직접 고정되거나, 타단부에 연결부재(미도시)가 연결되면서 상기 지지프레임(4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도어(120)의 개폐 시, 상기 롤러(34)에 접하지 않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줄 또는 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는, 상기 구동체인(32)과 상기 지지프레임(43) 간의 연결이 안정적이면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구동체인(32)과 상기 지지프레임(430) 간의 연결은 공지된 다양한 형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가압수단(33)은 실린더몸체(35a) 및 상기 실린더몸체(35a)의 하부에 인입,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실린더로드(35b)를 포함하는 실린더(35), 상기 실린더로드(35b)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체인(32)을 가압하는 가압롤러(36)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35)는 일반적인 형태의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프레임(43)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린더(35)는 직진구동시, 상기 실린더로드(35b)가 상기 실린더몸체(35a)로부터 인출되도록 하며, 후진구동시, 상기 실린로드(35b)가 상기 실린더몸체(35a)이 인입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실린더로드(35b)는 상기 실린더(35)의 직진,후진구동에 따라 승,하강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가압롤러(36)는 상기 실린더로드(35b)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다양한 형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압수단(33)은 상기 가압롤러(36)와 상기 실린더로드(35b)를 연결하는 체결프레임(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프레임(37)은 양측 및 하부가 개방되는 'ㄷ'자 형태를 이루며 하부 내측으로 상기 가압롤러(36)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로 상기 실린더로드(35b)의 상부가 결합된다.
상기 가압롤러(36)는 외주면에 상기 구동체인(32)의 양단부 사이가 인입되는 환형홈(36a)이 형성되면서 상기 구동체인(32)에 안착되는 한편, 상기 구동체인(3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실린더(35)의 구동에 따른 상기 도어(120)의 개폐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실린더(35)는 직진 구동시, 상기 가압롤러(36)가 하강되면서 상기 구동체인(32)을 가압하여 상기 구동스프로킷(31)과 함께 상기 회전축(11)이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축(11)의 회전에 따라 상기 구동스프로킷(31)으로 구동체인(32)이 권취되는 한편, 상기 권취스프로킷(12)으로 상기 체인벨트(21)가 권취되면서 상기 도어(120)가 승강되며 개방되도록 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실린더(35)는 후진 구동시, 하강된 상태의 상기 가압롤러(36)가 승강되면서 상기 구동체인(32)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도어(120)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강되도록 한다.
상기 도어(120)의 하강에 따라 권취된 상기 체인벨트(21)가 풀림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11)이 회전되면서 풀림된 상기 구동체인(32)이 상기 구동스프로킷(31)에 권취되고 상기 권취스프로킷(12)에 권취된 상기 체인벨트(21)가 풀림되면서 상기 도어(120)가 하강되며 닫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도어개폐장치(1)는 상기 도어(120)의 개폐시, 상기 도어(120)를 지지하는 힘이 상기 복수의 권취스프로킷(12), 상기 구동스프로킷(31) 및 상기 가압롤러(36)로 분산됨으로써 적은 동력으로도 상기 도어(120)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개폐장치(1)는 상기 실린더(35)가 하방향으로 직진구동되면서 중량체인 상기 도어(120)를 들어올려 개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후진구동시에는 상기 도어(120)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강되면서 닫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은 동력으로 도어(120)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도어(120)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강되면서 닫힐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본체(110)와의 기밀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용해로용 도어 개폐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도어개폐장치 10 : 권취부
11 : 회전축 12 : 권취스프로킷
20 : 연결부 21 : 체인벨트
30 : 구동부 31 : 구동스프로킷
32 : 구동체인 33 : 가압수단
34 : 가이드롤러 35 : 실린더
35a : 실린더몸체 35b: 실린더로드
36 : 가압롤러 36a : 환형홈
37 : 체결프레임 40 : 프레임부
41 : 상부프레임 42 : 지지바
43 : 지지프레임 100 : 용해로
110 : 본체 120 : 도어

Claims (7)

  1.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용해로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용해로용 도어 개폐장치로써,
    상기 도어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권취부;
    일단부가 상기 권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도어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권취부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연결부가 권취 또는 풀림되면서 개폐되고,
    상기 권취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 상부에 양단부가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복수의 권취스프로킷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단부가 상기 권취스프로킷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기 도어에 연결되는 체인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스프로킷;
    일단부가 상기 구동스프로킷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고정되면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권취 또는 풀림되는 구동체인;
    상기 구동체인의 양단부 사이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면서 상기 회전축으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도어가 개폐되도록 하는 가압수단; 및
    상기 가압수단과 상기 구동스프로킷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구동체인을 지지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수단은,
    실린더몸체와, 상기 실린더몸체의 하부에 인입,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실린더로드를 포함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로드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의 직진 구동에 따라 하강하며 상기 구동체인을 가압하는 한편, 상기 실린더의 후진 구동에 따라 상기 구동체인으로의 가압을 해제하는 가압롤러; 및
    양측 및 하부가 개방되면서 내측으로 상기 가압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상부에 상기 실린더로드가 연결되는 체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롤러는,
    외주면에 환형홈이 형성되면서 상기 구동체인에 안착되는 한편, 상기 구동체인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로용 도어 개폐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로.
KR1020170038355A 2017-03-27 2017-03-27 용해로용 도어 개폐장치 KR101926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355A KR101926254B1 (ko) 2017-03-27 2017-03-27 용해로용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355A KR101926254B1 (ko) 2017-03-27 2017-03-27 용해로용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175A KR20180109175A (ko) 2018-10-08
KR101926254B1 true KR101926254B1 (ko) 2018-12-06

Family

ID=63864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8355A KR101926254B1 (ko) 2017-03-27 2017-03-27 용해로용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2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167B1 (ko) 2021-02-08 2022-07-07 황채익 도어의 개폐와 씰링이 일체로 가능한 도어 씰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167B1 (ko) 2021-02-08 2022-07-07 황채익 도어의 개폐와 씰링이 일체로 가능한 도어 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175A (ko) 201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6254B1 (ko) 용해로용 도어 개폐장치
US7685949B2 (en) Feeding door of heat treatment furnace
CN207176356U (zh) 一种血压计袖带自动裁切机
CN209835459U (zh) 一种房屋建筑施工用起吊设备
CN112278894A (zh) 一种冶金容器倾翻机构
CN205976880U (zh) 库房用电动整体上移门
CN210399952U (zh) 一种真空感应炉上加料系统
CN209455977U (zh) 电解铜生产吊装装置
CN214703142U (zh) 一种金属材料冲击试验装置
KR102419167B1 (ko) 도어의 개폐와 씰링이 일체로 가능한 도어 씰링 시스템
CN208775901U (zh) 一种上料装置
CN211254949U (zh) 一种水泥压块吊装辅助装置
CN210103301U (zh) 一种快速开启的料篮
CN214003376U (zh) 一种冶金容器倾翻机构
JP2003130548A (ja) ロータリーレトルト炉
CN214456242U (zh) 转运装置
CN219807661U (zh) 一种建筑用物料吊运装置
CN218201971U (zh) 一种电动提升机过载警报装置
CN214245611U (zh) 电缸自动挂脱梁
CN219977067U (zh) 一种真空感应炉的加料装置
CN216074512U (zh) 一种带有榨笼电动开合装置的挤水机
CN217098463U (zh) 一种废弃塑料管切割破碎设备用预放支架
CN102767951B (zh) 用于烧结机或带式焙烧机的可开闭的密封装置
CN217953090U (zh) 一种新型均热熔炉设备
CN215854724U (zh) 一种建筑用简易式吊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