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1335A - 엘리베이터용 피트 사다리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피트 사다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1335A
KR20190121335A KR1020197027428A KR20197027428A KR20190121335A KR 20190121335 A KR20190121335 A KR 20190121335A KR 1020197027428 A KR1020197027428 A KR 1020197027428A KR 20197027428 A KR20197027428 A KR 20197027428A KR 20190121335 A KR20190121335 A KR 20190121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pit
counterweight
elevator
use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7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0860B1 (ko
Inventor
히로노부 가마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21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9/1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laterally displace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사용 위치와 수납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사다리를 변위시킬 수 있는 변위 수단이, 사다리와 균형추를 시소 모양으로 밸런스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다리를 수납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경부하로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작업원이 시간과 노력을 들이지 않고, 사다리가 사용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로 스스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의 피트 사다리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트 사다리 장치는, 승강로에 고정된 고정 브라켓에 마련되고, 사용하는 사용 위치와, 이것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지장이 없게 수납하는 수납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사다리를 변위시킬 수 있는 변위 수단을 구비하며, 변위 수단에는, 시소 모양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장착 암이 마련되고, 장착 암의 일단에는 사다리가 장착되며, 타단에는 균형추가 장착되어 있고, 균형추측의 모멘트를 사다리측의 모멘트보다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피트 사다리 장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과 피트(pit) 바닥면과의 사이를, 보수 점검 작업자가 이동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엘리베이터용 피트 사다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에는, 피트로 내려가는 경우에 사용하는 피트 사다리 장치가 마련되어 있고,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피트 사다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피트 사다리 장치에서는, 사다리를 수납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시간과 노력이 들고 있었다. 그래서, 사다리를 수납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시간과 노력을 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피트 사다리 장치(특허문헌 1)가 있다. 또한, 스프링 등의 탄성력에 의해 사다리를 수납 위치에 유지시키고, 사용할 경우에 수납 위치로부터 꺼내서 사용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성도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0-64869호
그렇지만, 이러한 피트 사다리 장치에서는, 사다리를 수납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업의 부하는 가벼워지고 있지만, 사다리를 사용한 후, 작업원이 사용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로 되돌릴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사다리를 사용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로 되돌리는 시간과 노력이 들고 있었다. 또한, 사다리를 사용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로 되돌리는 작업을 잊어 버리면, 작업원이 다시 피트로 되돌아와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스프링 등의 탄성력에 의해 사다리를 사용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로 스스로 이동시킴으로써, 작업원이 사다리를 사용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로 되돌리는 시간과 노력이 들지 않는 구성도 있다. 그러나, 사용하지 않는 경우, 사다리의 자중에 의해서 수납 위치(예를 들면 승강로의 벽)로부터 사용 위치로 스스로 이동하지 않도록, 이 자중에 대항하여 사다리를 수납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한 스프링 등의 탄성력이 필요했다. 그래서, 사용하는 경우, 수납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로 꺼낼 때에, 미리 설정된 이 탄성력을 초과하는 힘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승강장으로부터 몸을 내밀고 작업하게 되어, 밸런스가 무너져 피트로 전락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사다리를 수납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경부하로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작업원이 시간과 노력을 들이지 않고, 사다리가 사용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로 스스로 이동하는 피트 사다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피트 사다리 장치는, 승강로에 고정된 고정 브라켓에 마련되고, 사용하는 사용 위치와, 이것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지장이 없도록 수납하는 수납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사다리를 변위시킬 수 있는 변위 수단을 구비하며, 변위 수단에는, 시소 모양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장착 암이 마련되고, 장착 암의 일단에는 사다리가 장착되며, 타단에는 균형추가 장착되어 있고, 균형추측의 모멘트를 사다리측의 모멘트보다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 위치와 수납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사다리를 변위시킬 수 있는 변위 수단이, 사다리와 균형추를 시소 모양으로 밸런스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다리를 수납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경부하로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작업원이 시간과 노력을 들이지 않고, 사다리가 사용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로 스스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의 피트 사다리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피트 사다리 장치 전체의 사용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도 1의 피트 사다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도 2의 피트 사다리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피트 사다리 장치 전체의 수납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도 4의 피트 사다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도 5의 피트 사다리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피트 사다리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실시 형태 1.
도 1 ~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피트 사다리 장치를 설명하는 것으로, 도 1은 피트 사다리 장치 전체의 사용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피트 사다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피트 사다리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피트 사다리 장치 전체의 수납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4의 피트 사다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피트 사다리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2)이 세워 마련되고, 승강로(1) 내의 피트부(3)에는, 피트 사다리 장치(4)가 고정 브라켓(5)를 매개로 하여 가이드 레일(2)에 장착되어 있다. 피트 사다리 장치(4)는,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지장이 없는 위치로서, 승강장(6)으로부터 작업자의 손이 닿는 위치에 배치되고, 사다리(7)와, 이 사다리(7)를 사용하는 사용 위치와 수납하는 수납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변위시킬 수 있는 변위 장치(8)를 구비하고 있다. 변위 장치(8)는, 장착 암(9)과, 이 장착 암(9)의 일단에 장착되는 균형추(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장착 암(9)의 타단에는, 균형추(10)와 균형을 이루도록 사다리(7)가 장착되어 있다. 사다리(7)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변위 장치(8)가 마련되어 있고, 변위 장치(8)는 고정 브라켓(5)를 매개로 하여 가이드 레일(2)에 장착되어 있다.
장착 암(9)은, 한 쌍으로 수평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고, 이 장착 암(9)의 일단에 끼워지도록 균형추(10)가 장착되고, 타단에 끼워지도록 사다리(7)가 장착된다. 장착 암(9)의 타단의 양측에는, 각각 회전축(11)이 수평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 사다리(7)는, 길이 방향이 연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사다리(7)를 형성하는 지지 기둥의 측면이며, 또한 사다리(7)의 중심(重心) 위치보다 상부에서 회전축(11)에 장착되어 있다. 즉, 장착 암(9)의 타단에는, 회전축(11)에 의해서 사다리(7)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장착 암(9)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는 사다리(7)와 균형추(10)와의 사이에는, 장착 암(9)을 시소 모양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12)이 마련되어 있다. 회전축(12)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변위 장치(8)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장착 암(9)이 회전축(12)을 지점(支點)으로 시소 모양으로 요동했을 때, 장착 암(9)의 일단에 마련된 균형추(10)는, 장착 암(9)의 요동과 함께 변위하여 상하로 이동한다. 또한, 장착 암(9)의 타단에 마련된 사다리(7)도, 장착 암(9)의 요동과 함께 변위하여 상하로 이동한다. 이 때, 사다리(7)는 장착 암(9)에 대해서 회전축(12)에 의해 회동함과 아울러 회전축(12)에 매달리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사다리(7)는 회전축(12)보다 하측이 무겁기 때문에, 회전축(12)에 지지되면서, 길이 방향이 연직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변위한다.
장착 암(9)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는 사다리(7)와 균형추(10)는, 회전축(12)을 지점으로 시소 모양으로 밸런스시키고 있다. 여기서, 밸런스란, 사다리(7)측의 모멘트와 균형추(10)측의 모멘트와의 균형 상태를 의미하고 있다. 즉, 이 사다리(7)측의 모멘트는, 사다리(7)의 중량(W1)과 회전축(12)로부터 사다리(7)까지의 거리(L1)와의 적(積, 곱)으로 나타내어지며, 균형추(10)측의 모멘트는, 균형추(10)의 중량(W2)과 회전축(12)로부터 균형추(10)까지의 거리(L2)와의 적(積, 곱)으로 나타내어진다. 즉, 모멘트의 밸런스는, 사다리(7)측의 모멘트와 균형추(10)측의 모멘트가 다음의 관계식 (1)을 만족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1) … (W1)×(L1)<(W2)×(L2)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 형태 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피트 사다리 장치(4)를 수납 위치에 배치하는 경우, 사다리(7) 및 균형추(10)의 각 중량, 사다리(7) 및 균형추(10)로부터 회전축(12)까지의 각 거리의 값을 관계식 (1)에서 나타내는 모멘트의 밸런스를 만족하도록, 미리 조정해 둔다. 이것에 의해, 시소 모양의 장착 암(9)은, 회전축(12)에서 보아, 모멘트가 큰 균형추(10)측은 하강하고, 모멘트가 작은 사다리(7)측은 상승함으로써, 사다리(7)측이 상측, 균형추(10)측이 하측이 되도록 변위하여 배치된다. 이 때, 사다리(7)는 길이 방향이 연직 방향을 유지하는 한편으로, 균형추(10)는 장착 암(9)과 함께 사다리(7)측을 향하여 경사져 하강하기 때문에, 사다리(7)와 균형추(10)는 서로 접근하여 배치된다. 즉, 상부로부터 보아 피트 사다리 장치(4)는, 사다리(7)와 균형추(10)가 가장 접근해서 배치되어 있는 상태, 즉, 이것이 수납 위치에 배치된 상태이다.
다음으로, 피트 사다리 장치(4)를 사용하는 사용 위치에 배치하는 경우, 수납 위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다리(7) 및 균형추(10)의 각 중량, 사다리(7) 및 균형추(10)로부터 회전축(12)까지의 각 거리의 값을 관계식 (1)에서 나타내는 모멘트의 밸런스를 만족하도록, 미리 조정해 둔다. 다만, 수납 위치에 배치하는 경우와 동일하도록 조정해도 좋지만, (W2)×(L2)의 값이 (W1)×(L1)의 값보다 크고, 또한 양자의 차이가 가능한 한 작아지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다리(7)를 수납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로 꺼내기 위해서 필요한 모멘트(F)는 다음의 관계식 (2)로 나타내어진다.
(2) … (F)=(W2)×(L2)-(W1)×(L1)
즉, 사다리(7)를 수납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로 꺼낼 때, 관계식 (2)의 (F)에 대항하고, 또한 (F)를 초과하는 모멘트가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F)를 작아지도록 조정했을 경우, 이 (F)에 대항하고, 또한 (F)를 초과하는 모멘트는 작아지기 때문에, 사다리(7)를 수납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로 필요 최소한의 모멘트로 꺼낼 수 있다. 그래서, (W2)×(L2)의 값이 (W1)×(L1)의 값보다 크고, 또한 (F)가 가능한 한 작아지도록, 사다리(7) 및 균형추(10)의 각 중량, 사다리(7) 및 균형추(10)로부터 회전축(12)까지의 각 거리의 값이 관계식 (2)을 만족하도록 미리 조정해 둔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가 승강장(6)으로부터 수납 위치에 있는 사다리(7)에 손을 걸고, 사다리(7)를 사용 위치로 이동시킬 때, 미리 작아지도록 조정된 (F)에 대항하는 모멘트만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 중에는 작업자의 체중이 사다리(7)에 항상 작용함으로써, 작업자의 체중에 의한 하중이, (F)보다도 충분히 크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사용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 후에는, 작업자가 사다리(7)으로부터 떨어지면, 피트 사다리 장치(4)는 상기 (1)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에 의해, 스스로 사용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로 변위하여 위치한다.
상기와 같이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승강로(1) 내에 배치되고, 승강장(6)으로부터 피트로 출입하는 피트 사다리 장치(4)에 있어서, 승강로(1)에 고정된 고정 브라켓(5)에 설치되고, 사용하는 사용 위치와, 이것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지장이 없도록 수납하는 수납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사다리(7)를 변위시킬 수 있는 변위 장치(8)를 구비하며, 변위 장치(8)에는, 시소 모양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장착 암(9)이 마련되고, 장착 암(9)의 일단에는 사다리(7)가 장착되며, 타단에는 균형추(10)가 장착되어 있고, 균형추(10)측의 모멘트를 사다리(7)측의 모멘트보다 크게 한 것에 의해, 사다리(7)를 수납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경부하로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작업원이 시간과 노력을 들이지 않고, 사다리(7)가 사용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로 스스로 이동하는 피트 사다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장착 암(9)은, 한 쌍으로 수평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고, 한 쌍의 장착 암(9)의 일단에는 제1 회전축(11)이 마련되며, 한 쌍의 장착 암(9)의 타단에는 균형추(10)가 끼워지도록 장착되어 있고, 사다리(7)는, 사다리(7)의 중심(重心) 위치보다 상부에서 제1 회전축(1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한 쌍의 장착 암(9)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는 사다리(7)와 균형추(10)와의 사이에는, 한 쌍의 장착 암(9)을 시소 모양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회전축(12)이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사다리(7)를 수납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경부하로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작업원이 시간과 노력을 들이지 않고, 사다리(7)가 사용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로 스스로 이동하는 피트 사다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피트 사다리 장치(13)를 설명하는 것으로,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피트 사다리 장치(13)의 균형추(14)는, 복수의 추가 겹쳐져 형성되어 있는 점이 다르며, 그 이외의 동일한 부분에 동일한 기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 있어서, 균형추(14)는, 복수의 추가 겹쳐져 형성되어 있다. 이 복수의 추는, 최소 단위가 1개이며, 이 1개의 추는 평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1개의 평판과 동일한 형상의 평판이 1개로부터 복수개 중 어느 하나로 선택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 형태 2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관계식 (1) 및 관계식 (2)를 만족하도록, 변위 장치(15)에 있어서의 사다리(7) 및 균형추(14)의 각 중량, 사다리(7) 및 균형추(14)로부터 회전축(12)까지의 각 거리의 값을 미리 조정한다. 이 때, 균형추(14)의 무게를 조정하는 경우, 우선 처음에, 평판의 추를 복수개 겹쳐 배치한다. 다음으로, 변위 장치(15)에 있어서의 사다리(7)와의 모멘트 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해, 이 평판을 1개 또는 복수개 추가하거나, 배치된 추로부터 1개 또는 복수개의 평판을 빼내는 것에 의해, 최적인 밸런스가 얻어지도록 균형추(14)의 중량이 선택적으로 조정된다.
상기와 같이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균형추(14)는, 복수의 추가 겹쳐져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사다리(7) 및 균형추(14)의 각 중량, 사다리(7) 및 균형추(14)로부터 회전축(12)까지의 각 거리의 값에 따라서, 균형추(14)를 형성하는 평판을 1개 또는 복수개 추가하거나, 빼내는 것에 의해 균형추(14)의 중량을 조정한다. 즉, 균형추(14)를 구성하는 평판의 갯수를 증감하는 것만으로, 균형추(14)의 중량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변위 장치(15)에 있어서의 모멘트의 밸런스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2 ~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피트 사다리 장치(4)를 설명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피트 사다리 장치(4)는 사용 위치에 배치된 사다리(7)의 하단부는, 피트부(3)의 피트면에 맞닿는 점이 다르며, 그 이외의 동일한 부분에 동일한 기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 있어서, 사용 위치에 있는 사다리(7)의 하단부는, 피트부(3)의 피트면에 맞닿아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 형태 3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사용 위치에 배치된 사다리(7)를 작업자가 승강할 때, 작업자의 승강에 의해서 작용하는 하중이 사다리(7)로부터 장착 암(9) 및 고정 브라켓(5)을 거쳐 가이드 레일(2)에 작용한다. 이 때, 피트 사다리(7)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가이드 레일(2)의 강도가 필요하게 된다. 여기서, 가이드 레일(2)의 강도가 낮은 경우, 이 하중에 의해서 가이드 레일(2)이 변형하여 버릴 가능성이 있다.
한편, 가이드 레일(2)의 강도는, 엘리베이터 칸의 용량이나 속도, 승강 높이등의 스펙에 따라서 소정의 안전률이 확보되도록 결정되어 있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칸의 용량이 작고, 저속 또는 승강 높이가 낮은 영역에서는, 가이드 레일(2)의 강도는 낮아지는 경향에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영역에서는, 피트 사다리(7)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 강도로는 부족할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엘리베이터 사용상 설정 기준은 만족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피트 사다리(7)를 사용하는 것만을 위해서 가이드 레일(2)의 강도를 높이지 않으면 안된다. 그래서, 사용 위치에 있어서 사다리(7)의 하단부를 피트부(3)의 피트면에 맞닿게 함으로써, 가이드 레일(2)에 작용하는 하중을 사다리(7)의 하단부에서 지지시킨다. 이것에 의해, 피트 사다리(7)를 사용할 때에, 가이드 레일(2)에 작용하는 하중을 큰 폭으로 경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실시 형태 3에 의하면, 사용 위치에 배치된 사다리(7)의 하단부는, 피트부(3)의 피트면에 맞닿아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가이드 레일(2)에 작용하는 하중은, 사다리(7)의 하단부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가이드 레일(2)에 작용하는 하중을 큰 폭으로 경감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2)에 작용하는 하중이 큰 폭으로 경감됨으로써, 가이드 레일(2)의 강도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사다리(7)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변위 장치(8)를 마련하고 있지만, 상부에 1개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사다리(7)에는, 사다리(7)의 중심(重心) 위치보다 상부에 적어도 1개의 변위 장치(8)가 장착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실시 형태 2에서는, 균형추(14)의 최소 단위를 1개의 평판으로 구성하고 있지만, 그 형상은 평판이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면, 균형추(14)의 최소 단위를 1개의 블록 형상이나 구 모양의 추로 구성한다. 또한, 이 추를 1개 또는 복수개의 단위로 수용하고, 또한 그 수량을 용이하게 증감할 수 있는 수용 케이스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 산업상 이용 가능성 >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과 피트 바닥면과의 사이를, 보수 점검 작업자가 이동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엘리베이터용 피트 사다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1 : 승강로 2 : 가이드 레일
3 : 피트부 4, 13 : 피트 사다리 장치
5 : 고정 브라켓 6 : 승강장
7 : 사다리 8, 15 : 변위 장치
9 : 장착 암 10, 14 : 균형추
11, 12 : 회전축

Claims (4)

  1.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에 배치되고, 승강장으로부터 피트로 출입하는 피트 사다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에 고정된 고정 브라켓에 마련되고, 사용하는 사용 위치와, 이것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지장이 없도록 수납하는 수납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상기 사다리를 변위시킬 수 있는 변위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변위 수단에는, 시소 모양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장착 암이 마련되고, 상기 장착 암의 일단에는 상기 사다리가 장착되며, 타단에는 균형추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균형추측의 모멘트를 상기 사다리측의 모멘트보다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피트 사다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 암은, 한 쌍으로 수평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장착 암의 일단에는 제1 회전축이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장착 암의 타단에는 상기 균형추가 끼워지도록 장착되어 있고,
    상기 사다리는, 상기 사다리의 중심(重心) 위치보다 상부에서 상기 제1 회전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장착 암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는 상기 사다리와 상기 균형추와의 사이에는, 상기 한 쌍의 장착 암을 시소 모양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회전축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피트 사다리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균형추는, 복수의 추가 겹쳐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피트 사다리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위치로 배치된 상기 사다리의 하단부는, 피트면에 맞닿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피트 사다리 장치.
KR1020197027428A 2017-03-30 2017-03-30 엘리베이터용 피트 사다리 장치 KR1022108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13233 WO2018179211A1 (ja) 2017-03-30 2017-03-30 エレベータ用ピット梯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335A true KR20190121335A (ko) 2019-10-25
KR102210860B1 KR102210860B1 (ko) 2021-02-02

Family

ID=63677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7428A KR102210860B1 (ko) 2017-03-30 2017-03-30 엘리베이터용 피트 사다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40772B2 (ko)
JP (1) JP6702504B2 (ko)
KR (1) KR102210860B1 (ko)
CN (1) CN110494382B (ko)
DE (1) DE112017007336T5 (ko)
WO (1) WO20181792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9211A1 (ja) * 2017-03-30 2018-10-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ピット梯子装置
CN112027840B (zh) * 2019-12-25 2021-09-10 迅达(中国)电梯有限公司 电梯底坑爬梯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7673A (ja) * 1998-09-14 2000-03-28 Anan Denki Kk 梯子装置
JP2004224497A (ja) * 2003-01-22 2004-08-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ピット梯子
JP2010064869A (ja) * 2008-09-11 2010-03-25 Toshiba Elevator Co Ltd ピット梯子装置
KR20100064869A (ko) 2008-12-05 2010-06-1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 반사판 필터를 이용한 휴대형 센서 호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5263A (en) * 1969-09-29 1971-04-20 Cheyenne A Reinhard Folding fire escape ladder
US3601220A (en) * 1970-01-05 1971-08-24 Richard Saucier Retractable ladder
JPH0325478U (ko) 1989-07-21 1991-03-15
JPH10196260A (ja) * 1997-01-10 1998-07-28 Mitsubishi Heavy Ind Ltd 建物の垂直壁用固定梯子
US6012545A (en) * 1998-01-15 2000-01-11 Faleide; Erling Foldable vehicle ladder system
JP3445235B2 (ja) * 2000-09-19 2003-09-08 松下電工株式会社 ロフト梯子装置
US20060042883A1 (en) * 2004-09-02 2006-03-02 Gary Scott Elevator pit safety device
US7721849B2 (en) * 2006-10-12 2010-05-25 Thomas Graffy Retractable ladder
JP2011230920A (ja) * 2010-04-30 2011-11-1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点検作業用安全装置
US8944211B2 (en) * 2011-03-03 2015-02-03 Richard C. BLASKA Retractable ladder
US10662708B2 (en) * 2014-11-18 2020-05-26 Daniel K. Snarr Window well egress apparatus
WO2018179211A1 (ja) * 2017-03-30 2018-10-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ピット梯子装置
JP6991334B2 (ja) * 2018-07-09 2022-01-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ピット梯子装置
KR20200050555A (ko) * 2018-11-02 2020-05-12 우정기업(주)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7673A (ja) * 1998-09-14 2000-03-28 Anan Denki Kk 梯子装置
JP2004224497A (ja) * 2003-01-22 2004-08-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ピット梯子
JP2010064869A (ja) * 2008-09-11 2010-03-25 Toshiba Elevator Co Ltd ピット梯子装置
KR20100064869A (ko) 2008-12-05 2010-06-1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 반사판 필터를 이용한 휴대형 센서 호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02504B2 (ja) 2020-06-03
US11440772B2 (en) 2022-09-13
US20200039786A1 (en) 2020-02-06
KR102210860B1 (ko) 2021-02-02
WO2018179211A1 (ja) 2018-10-04
CN110494382A (zh) 2019-11-22
CN110494382B (zh) 2021-03-09
JPWO2018179211A1 (ja) 2019-11-07
DE112017007336T5 (de) 2019-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229790B1 (pl) Ruchoma dźwignica
CA2972295C (en) Eccentric loading adjusting mechanism and method for parallel suspension platform
JP6793060B2 (ja) 機械式駐車装置のパレット落下防止装置
US9090437B2 (en) Trolley of overhead crane
KR20190121335A (ko) 엘리베이터용 피트 사다리 장치
US20190299036A1 (en) Security fall protection device
WO2006033160A1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装置
WO2015159319A1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出入り装置
WO2021192129A1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梯子装置
JP6991334B2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梯子装置
WO2021038629A1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装置
JP6147858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206408499U (zh) 一种落锤式弯沉仪的横梁升降装置
CN218708437U (zh) 一种调整轿厢平衡器具
JPH066858B2 (ja) 自動倉庫の保守作業用梯子装置
RU141705U1 (ru) Грузовой двухканатный подъемник
JP6767680B2 (ja) エレベータ用釣合い錘及びそれを備えるエレベータ
JP2005059978A (ja) 車両点検若しくは整備用リフト装置
NL2014362B1 (en) Ferris wheel.
KR100813770B1 (ko)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
KR20150083357A (ko) 플레어 팁 핸들링 장치의 비상정지 시스템
JP2023161648A (ja) 搭乗橋
JP2021181372A (ja)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548122A (en) Asterio guerra
JP2021098565A (ja) エレベーター装置用緩衝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装置並びにバッファクリアランス調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