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9629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9629A
KR20190119629A KR1020197027334A KR20197027334A KR20190119629A KR 20190119629 A KR20190119629 A KR 20190119629A KR 1020197027334 A KR1020197027334 A KR 1020197027334A KR 20197027334 A KR20197027334 A KR 20197027334A KR 20190119629 A KR20190119629 A KR 20190119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filler
fitting
connector
fitting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7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8655B1 (ko
Inventor
데츠야 하타
시게키 오하라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19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01R4/2429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 H01R4/2433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one part of the base being movable to push the cable into the slo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1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01R13/501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comprising an integral hinge or a frangible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Sealing between contact members and housing, e.g. sealing inse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aterial, e.g. gels or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진동이 큰 환경하 또는 고온 환경하여도 외부의 이물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커넥터(10)는, 서로 감합 가능한 한 쌍의 제 1 감합 대상물(16) 및 제 2 감합 대상물(30)과, 제 1 감합 대상물(16) 및 제 2 감합 대상물(30) 중 적어도 일방이 가지는 콘택트(50)와, 제 1 감합 대상물(16) 및 제 2 감합 대상물(30)에 각각 마련된 제 1 충전제 (70a) 및 제 2 충전제(70b)를 구비하고, 제 1 감합 대상물(16)과 제 2 감합 대상물(30)과의 감합 시에, 제 1 충전제(70a)와 제 2 충전제(70b)는, 콘택트(50)를 위요하도록 합착하여 서로 일체화된다.

Description

커넥터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서로 감합하는 한 쌍의 감합 대상물에 각각 충전제를 배치하여, 감합 시에, 대응하는 콘택트에 있어서의 접촉부를 물 또는 먼지 등의 외부의 이물의 침입으로부터 보호하는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커버와 본체를 서로 감합시켰을 때에, 그로밋의 한 쌍의 탄성 환상(環狀) 부재가 서로 밀착함으로써, 방적(防滴) 구조를 얻는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제3028988호 공보
그러나, 한 쌍의 감합 대상물에 각각 충전제를 배치하고, 감합 시에 충전제가 서로 밀착하는 경우, 예를 들면 충전제의 진동 또는 고온 상태에 있어서의 충전제의 열팽창에 의해 접합면의 면압이 저하되거나, 접합면이 박리되거나 한다. 이에 따라, 커넥터는, 외부의 이물의 침입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목적은, 진동이 큰 환경하 또는 고온 환경하여도 외부의 이물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관점과 관련된 커넥터는,
서로 감합 가능한 한 쌍의 제 1 감합 대상물 및 제 2 감합 대상물과,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 및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 중 적어도 일방이 가지는 콘택트와,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 및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에 각각 마련된 제 1 충전제 및 제 2 충전제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과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과의 감합 시에, 상기 제 1 충전제와 상기 제 2 충전제는, 상기 콘택트를 위요하도록 합착하여 서로 일체화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과 관련된 커넥터에서는,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 및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은, 서로 접속부에 의해 접속되고,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 또는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은, 전기 도통부를 가지는 상기 콘택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 또는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은, 케이블을 보지(保持)하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과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과의 감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과 도통된 상태로 내포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과 관련된 커넥터에서는,
적어도 1개의 상기 케이블이, 감합 시에 상기 제 1 충전제 및 상기 제 2 충전제의 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콘택트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과 관련된 커넥터에서는,
상기 전기 도통부는, 압접용 홈이며,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 또는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은, 적어도 2개의 상기 케이블을 보지하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과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과의 감합 시에, 상기 압접용 홈에 의해 상기 케이블의 심선(芯線)을 협지하여, 상기 케이블끼리를 도통시켜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과 관련된 커넥터에서는,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과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과의 감합 시에, 감합 방향을 따른 단면에서 볼 때, 상기 케이블이 대응하는 부분이, 합착되어 서로 일체화된 상기 제 1 충전제 및 상기 제 2 충전제의 내부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과 관련된 커넥터에서는,
합착하여 서로 일체화된 상기 제 1 충전제 및 상기 제 2 충전제는, 신축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7 관점과 관련된 커넥터에서는,
상기 제 1 충전제 및 상기 제 2 충전제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진동이 큰 환경하 또는 고온 환경하여도 외부의 이물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 가능하다.
도 1은 절연 하우징이 전개 상태에 있을 때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커넥터, 제 1 케이블, 및 제 2 케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중계 콘택트를 구비하지 않은 상태의 제 1 분할 하우징만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2 분할 하우징만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중계 콘택트를 구비하지 않은 상태의 절연 하우징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중계 콘택트 단체(單體)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절연 하우징이 전개 상태로부터 록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의 커넥터, 제 1 케이블, 및 제 2 케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절연 하우징이 록 상태에 있을 때의 커넥터, 제 1 케이블, 및 제 2 케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IX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절연 하우징에 충전제를 장전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충전제를 장전한 커넥터의 록 상태를 나타낸 도 9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충전제를 장전한 커넥터의 록 상태를 나타내는 도 8의 XII-XII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일체화한 충전제의 신장 상태를 가상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변형예와 관련된 제 1 록부와 제 2 록부와의 결합부를 확대한 도 11에 대응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 중의 전후, 좌우, 및 상하의 방향은, 도면 중의 화살표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커넥터(10)는, 압접용 홈에 의해 케이블의 심선을 협지함으로써 케이블끼리를 도통시키는 분기 커넥터여도 되고, 2개의 회로 기판끼리를 접속하기 위한 기판 대 기판용의 커넥터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커넥터(10)는, 플렉시블 프린트 회로 기판(FPC) 또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 등의 평판 형상의 접속 대상물과 회로 기판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여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커넥터(10)는, 외부의 이물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한 임의의 커넥터에 적용 가능하다.
이하의 일 실시 형태에서는, 커넥터(10)는, 일례로서 분기 커넥터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충전제(70)를 장전하고 있지 않은 상태의 커넥터(10)의 구조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도 1은, 절연 하우징(15)이 전개 상태에 있을 때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커넥터(10),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10)는, 큰 구성 요소로서 절연 하우징(15)과 중계 콘택트(50)(콘택트)를 구비한다.
절연 하우징(15)은, 예를 들면 절연성의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한 성형품이다. 절연 하우징(15)은, 제 1 분할 하우징(16)(제 1 감합 대상물)과, 제 2 분할 하우징(30)(제 2 감합 대상물)을 가진다. 절연 하우징(15)은, 제 1 분할 하우징(16)과 제 2 분할 하우징(30)을 접속하는 연결부로서의 제 1 접속부(46) 및 제 2 접속부(47)(접속부)를 가진다. 절연 하우징(15)은, 제 1 분할 하우징(16), 제 2 분할 하우징(30), 및 제 1 접속부(46) 및 제 2 접속부(47)를 일체적으로 성형하여 가진다.
도 3은, 중계 콘택트(50)를 구비하지 않은 상태의 제 1 분할 하우징(16)만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제 1 분할 하우징(16)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분할 하우징(16)의 두께 방향의 일방의 면(도 3의 상면)의 외주연부는, 외주벽(17)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분할 하우징(16)의 외주벽(17)보다 내주측은, 제 1 분할 하우징(16)의 상면보다 하방으로 한층 들어간 내주측 오목부(17a)에 의해 구성된다. 내주측 오목부(17a)의 바닥면은, 제 1 분할 하우징(16)의 상면과 평행한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내주측 제 1 대향면(17b)에 의해 구성된다. 내주측 제 1 대향면(17b)보다 내주측에 위치하는 중앙 부분은, 내주측 제 1 대향면(17b)보다 하방으로 한층 들어간 중앙 제 1 오목부(17c)에 의해 구성된다. 중앙 제 1 오목부(17c)의 바닥면은, 내주측 제 1 대향면(17b)과 평행한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제 1 대향면(17d)에 의해 구성된다. 중앙 제 1 오목부(17c)와 중앙 제 1 대향면(17d)에 의해, 콘택트 장착 홈(18)이 형성된다. 콘택트 장착 홈(18)은, 고정부(18a)와, 고정부(18a)의 좌우 방향 중간에 위치하며, 고정부(18a)의 전후 폭을 좁혀 고정부(18a)를 좌우 한 쌍으로 구획 짓는 중간 볼록부(18b)를 가진다. 한 쌍의 고정부(18a)의 바닥면(중앙 제 1 대향면(17d))에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위치 결정 돌기(18c)가 돌출되게 마련된다.
제 1 분할 하우징(16)의 외주벽(17)에는, 일방의 고정부(18a)의 전후 양측에 위치하고 또한 서로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 1 케이블 장착 홈(19)이 오목하게 마련된다. 제 1 분할 하우징(16)의 외주벽(17)에는, 타방의 고정부(18a)의 전후 양측에 위치하고 또한 서로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 2 케이블 장착 홈(20)이 오목하게 마련된다. 제 2 케이블 장착 홈(20)은, 제 1 케이블 장착 홈(19)과 평행을 이룬다. 제 1 케이블 장착 홈(19) 및 제 2 케이블 장착 홈(20)의 정면 형상은, 반원형이다. 제 1 분할 하우징(16)의 외주벽(17)의 전후면에는, 한 쌍의 제 1 케이블 장착 홈(19)의 가장 깊은 바닥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외측으로 경사지는 한 쌍의 경사면(19a)이 마련된다. 마찬가지로, 제 1 분할 하우징(16)의 외주벽(17)의 전후면에는, 한 쌍의 제 2 케이블 장착 홈(20)의 가장 깊은 바닥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외측으로 경사지는 한 쌍의 경사면(20a)이 마련된다. 제 1 분할 하우징(16)의 외주벽(17)의 전후면에는, 전후의 경사면(19a, 20a)보다 하방위치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평판 형상의 덮개부(21, 22)가 마련된다. 덮개부(21, 22)의 대향면(21a, 22a)은, 경사면(19a, 20a)의 최하부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제 1 분할 하우징(16)의 외주벽(17)의 좌우 양 측면에는, 탄성을 가지는 한 쌍의 제 1 록부(25)가 형성된다. 각 제 1 록부(25)와 외주벽(17)의 전후면과의 사이에는, 한 쌍의 오목부(25a)가 형성된다. 각 제 1 록부(25)는, 제 1 분할 하우징(16)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1 록용 돌기(26)를 구비한다. 제 1 록용 돌기(26)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각 제 1 록용 돌기(26)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제 1 분할 하우징(16)의 외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6a)을 가진다. 또한, 제 1 록부(25)는, 내면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되고,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제 1 분할 하우징(16)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6b)을 가진다.
도 4는, 제 2 분할 하우징(30)만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제 2 분할 하우징(30)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2 분할 하우징(30)의 두께 방향의 일방의 면(도 4의 상면)의 외주연부에는 외주벽(31)이 돌출되게 마련된다. 제 2 분할 하우징(30)의 외주벽(31)보다 내주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외주벽(31)의 상측 가장자리부보다 한층 들어간 내주측 오목부(31a)에 의해 구성된다. 내주측 오목부(31a)의 바닥면은, 제 2 분할 하우징(30)의 상면과 평행한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내주측 제 2 대향면(31b)에 의해 구성된다. 내주측 제 2 대향면(31b)에는, 좌우 한 쌍의 단면 U자형의 제 1 가압 홈(32a) 및 제 2 가압 홈(32b)을 가지는 케이블 가압 돌기(32)가 돌출되게 마련된다. 케이블 가압 돌기(32)는, 중앙 돌기(32c)와, 중앙 돌기(32c)의 좌우 방향 양측에 돌기(32d, 32e)를 가진다. 중앙 돌기(32c)와 일방의 돌기(32d)와의 사이에 제 1 가압 홈(32a)이 형성된다. 중앙 돌기(32c)와 타방의 돌기(32e)와의 사이에 제 2 가압 홈(32b)이 형성된다.
제 2 분할 하우징(30)에는, 전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케이블 지지 아암부(35, 36)가 형성된다. 케이블 지지 아암부(35, 36)의 상면에는, 제 1 케이블 보지 홈(35a, 36a)과 제 2 케이블 보지 홈(35b, 36b)이 마련된다. 전방측의 케이블 지지 아암부(35) 및 후방측의 케이블 지지 아암부(36)는, 제 1 케이블 보지 홈(35a 및 36a)의 전단측 부분 및 후단측 부분이, 좌우에 공극에 의해 분리 분할된 한 쌍의 돌출편(片)(37a) 및 한 쌍의 돌출편(38a)에 의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전방측의 케이블 지지 아암부(35) 및 후방측의 케이블 지지 아암부(36)는, 제 2 케이블 보지 홈(35b 및 36b)의 전단측 및 후단측 부분이, 좌우에 공극에 의해 분리 분할된 한 쌍의 돌출편(37b) 및 한 쌍의 돌출편(38b)에 의해 형성된다. 각 한 쌍의 돌출편(37a, 38a, 37b, 38b), 특히 케이블 지지 아암부(35, 36)의 좌우 외측의 돌출편은, 좌우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 인접하는 돌출편끼리의 간격이 가변이다. 각 한 쌍의 돌출편(37a, 38a, 37b, 38b)에는, 서로 대향하는 클로(claw)부가, 전후 단부의 하단부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된다.
제 1 케이블 보지 홈(35a, 36a) 및 제 2 케이블 보지 홈(35b, 36b)은,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을 전체 직경에 걸쳐 삽입 보지하는(전체 직경이 수용되는) 깊이의 홈이다. 제 1 케이블 보지 홈(35a, 36a)은, 외측을 향함에 따라 상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35e, 36e)을 가진다. 즉, 제 1 케이블(60)이, 제 1 케이블 보지 홈(35a, 36a)에 삽입 보지되면, 제 1 케이블(6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블 보지 홈(35a, 36a)의 경사면(35e, 36e)을 따라, 대응하는 케이블 부분이 상하 경사 방향으로 경사진다. 마찬가지로, 제 2 케이블 보지 홈(35b, 36b)은, 경사면(35f, 36f)을 가지고, 제 2 케이블(65)도, 제 1 케이블(60)과 마찬가지의 양태로, 제 2 케이블 보지 홈(35b, 36b)에 삽입 보지된다.
제 1 케이블 보지 홈(35a, 36a)의 전후 단부의 상방 개구부 가까이(돌출편(37a, 38a)의 각 대향면)에는, 한 쌍의 탈락 방지 돌기(35c)와 한 쌍의 탈락 방지 돌기(36c)가 마련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케이블 보지 홈(35b, 36b)의 전후 단부의 상방 개구부 가까이(돌출편(37b, 38b)의 각 대향면)에는, 한 쌍의 탈락 방지 돌기(35d)와 한 쌍의 탈락 방지 돌기(36d)가 마련된다. 탈락 방지 돌기(35c, 36c 및 35d, 36d)는,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이 제 1 케이블 보지 홈(35a, 36a) 및 제 2 케이블 보지 홈(35b, 36b)에 삽입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 때, 각 한 쌍의 돌출편(37a, 38a) 및 각 한 쌍의 돌출편(37b, 38b)은, 좌우 방향의 간격(한 쌍의 탈락 방지 돌기(35c, 36c 및 35d, 36d)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휜다.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이 제 1 케이블 보지 홈(35a, 36a) 및 제 2 케이블 보지 홈(35b, 36b)에 삽입되면, 한 쌍의 탈락 방지 돌기(35c, 36c 및 35d, 36d)가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을 가압한다. 즉, 각 한 쌍의 돌출편(37a, 38a) 및 각 한 쌍의 돌출편(37b, 38b)은, 탄성적으로 좌우 방향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휜다. 따라서, 각 한 쌍의 돌출편(37a, 38a) 및 각 한 쌍의 돌출편(37b, 38b)은, 제 1 케이블 보지 홈(35a, 36a) 및 제 2 케이블 보지 홈(35b, 36b)에 삽입된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의 케이블 연장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항을 주면서 허용한다. 동시에, 각 한 쌍의 돌출편(37a, 38a) 및 각 한 쌍의 돌출편(37b, 38b)은, 제 1 케이블 보지 홈(35a, 36a) 및 제 2 케이블 보지 홈(35b, 36b)으로부터 이탈하려고 하는 힘에 저항을 주어 쉽게 빠지지 않도록 빠짐 방지로서 작용하면서, 일정 이상의 외력에 의한 이탈을 가능하게 한다. 이 빠짐 방지 작용은, 제 2 분할 하우징(30)의 상하(표리)를 반전시켜도 유지된다.
제 2 분할 하우징(30)의 외주벽(31)의 좌우 양 측면에는, 한 쌍의 제 2 록부(39)가 형성된다. 한 쌍의 제 2 록부(39)는, 제 2 분할 하우징(30)의 내면에 형성된다. 각 제 2 록부(39)는, 제 2 분할 하우징(30)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 2 록용 돌기(40)를 가진다. 각 제 2 록부(39)의 전후 양단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볼록벽(41)이 형성된다. 각 제 2 록용 돌기(40)는, 대략 직방체 형상이며, 한 쌍의 볼록벽(41) 사이에 걸쳐지도록, 제 2 분할 하우징(30)의 내면에 형성된다. 즉, 제 2 록용 돌기(4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5는, 중계 콘택트(50)를 구비하지 않은 상태의 절연 하우징(15)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 1 분할 하우징(16)과 제 2 분할 하우징(30)은, 제 1 분할 하우징(16)측으로부터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전후 한 쌍의 제 1 접속부(46)와, 제 2 분할 하우징(30)측으로부터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전후 한 쌍의 제 2 접속부(47)와, 제 1 접속부(46)와 제 2 접속부(47)를 접속하는 굴곡 용이부(48)에 의해 연결된다. 전후 한 쌍의 제 1 접속부(46)와 전후 한 쌍의 제 2 접속부(47)는, 전개 상태에서 서로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굴곡 용이부(48)는, 전후의 제 1 접속부(46) 및 제 2 접속부(47)보다 박육(薄肉)으로 되어 있다. 전후의 제 1 접속부(46)와 제 2 접속부(47)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굴곡 용이부(48)를 절곡선으로서, 도 1, 도 5 등에 있어서 골 접기(valley fold)(제 1 분할 하우징(16)과 제 2 분할 하우징(30)이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 가능(용이)하다. 또한 제 1 접속부(46)는, 제 2 접속부(47)보다 휨 강성이 작게 설정된다.
제 1 분할 하우징(16), 제 1 접속부(46), 굴곡 용이부(48), 제 2 접속부(47),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은, 도 1 및 도 5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에 있어서, 자율적으로 이 전개 상태를 유지하는 정도의 강도(강성)를 구비한다.
도 6은, 중계 콘택트(50) 단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중계 콘택트(50)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중계 콘택트(50)는, 스프링 탄성을 구비한 구리 합금(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동, 티탄동) 또는 코르손계 구리 합금의 박판을 순송금형(스탬핑)을 이용하여 도면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 중계 콘택트(50)의 표면에는, 니켈 도금으로 하지(下地)를 형성한 후에, 주석 구리 도금 또는 주석 도금(혹은 금 도금)이 실시된다.
중계 콘택트(5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 형상의 기편(基片)(51)과, 기편(51)의 전후 양측 가장자리부의 일방의 단부에 돌출되게 마련된, 기편(51)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 형상의 한 쌍의 제 1 케이블 압접편(52)과, 기편(51)의 전후 양측 가장자리부의 타방의 단부에 돌출되게 마련된, 기편(51)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 형상의 한 쌍의 제 2 케이블 압접편(54)을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기편(51)의 좌우 2개소에는 원형의 위치 결정 구멍(51a)이 형성된다. 전후의 제 1 케이블 압접편(52)과 제 2 케이블 압접편(54)에는, 기편(51)측을 향해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슬릿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압접용 홈(53)과 제 2 압접용 홈(55)이 각각 형성된다. 제 1 압접용 홈(53)의 상단 개구부는, 선단부(52a)에 의해 상방을 향해 확대되는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2 압접용 홈(55)의 상단 개구부는, 선단부(54a)에 의해 상방을 향해 확대되는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전후 한 쌍의 제 1 케이블 압접편(52)과 제 2 케이블 압접편(54)은, 폭협부(축소부)(52b와 54b)를 개재하여 기편(51)과 접속된다. 좌우 방향에 위치하는 제 1 케이블 압접편(52)과 제 2 케이블 압접편(54)과의 대향 가장자리부의 간격은, 폭협부(52b와 54b)와의 대향 가장자리의 간격보다 좁다. 폭협부(52b와 54b)의 사이에는, 여유부(51b)가 마련된다. 제 1 케이블 압접편(52)과 제 2 케이블 압접편(54)과의 사이에는, 인슐레이터 등, 다른 부재가 개재되지 않는다.
중계 콘택트(50)는, 제 1 분할 하우징(16)과 제 2 분할 하우징(30)과의 감합 상태에 있어서,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과 도통된 상태로 내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계 콘택트(50)는, 제 1 분할 하우징(16)과 제 2 분할 하우징(30)과의 감합 시에, 제 1 압접용 홈(53) 및 제 2 압접용 홈(55)에 의해 절연성의 피복(62) 및 피복(67)을 절단하여,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끼리를 도통시킨다. 즉, 중계 콘택트(50)는, 감합 시에, 제 1 압접용 홈(53) 및 제 2 압접용 홈(55)에 의해 심선(61) 및 심선(66)을 협지하여,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끼리를 도통시킨다.
제 1 케이블(60)과 제 2 케이블(65)은, 도전성 및 가요성을 가지는 재료(예를 들면 구리 또는 알루미늄)로 이루어지는 심선(61, 66)(연선(撚線) 또는 단선)의 표면을 튜브 형상 또한 가요성 및 절연성을 가지는 피복(62, 67)으로 각각 덮은 것이다. 제 1 케이블(60)은, 배선 대상물(예를 들면 자동차 등)의 내부에 처음부터 배선하고 또한 배선 대상물의 전원과 접속하는 케이블이다. 한편, 제 2 케이블(65)은, 제 1 케이블(60)에 대하여 나중에 추가로 접속하는 케이블이며, 그 일단(전단)에는 전자기기 또는 전기기기(예를 들면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 등이 접속된다.
도 7은, 절연 하우징(15)이 전개 상태로부터 록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의 커넥터(10),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절연 하우징(15)이 록 상태에 있을 때의 커넥터(10),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IX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절연 하우징(15), 중계 콘택트(50),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을 일체화하여, 제 1 케이블(60)과 제 2 케이블(65)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면서 커넥터(10)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우선 조립 작업자가 손 등에 의해 도 1, 도 5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에 있는 제 1 분할 하우징(16)의 콘택트 장착 홈(18)에 대하여 중계 콘택트(50)의 하부를 감합한다. 구체적으로는, 여유부(51b)를 중간 볼록부(18b)에 감합시키면서 기편(51)을 콘택트 장착 홈(18)의 바닥부에 감합한다. 또한, 제 1 케이블 압접편(52)의 기편(51)측의 반부(半部)(도 1, 도 2에서는 하반부)를 대응하는 고정부(18a)에 감합하고 또한 제 2 케이블 압접편(54)의 기편(51)측의 반부를 대응하는 고정부(18a)에 감합한다. 기편(51)의 한 쌍의 위치 결정 구멍(51a)에 대하여 제 1 분할 하우징(16)의 한 쌍의 위치 결정 돌기(18c)가 감합되므로(도 2, 도 9), 중계 콘택트(50)가 제 1 분할 하우징(16)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중계 콘택트(50)를 제 1 분할 하우징(16)에 장착하면, 전후의 제 1 케이블 장착 홈(19)을 지나는 축선 상에 전후의 제 1 압접용 홈(53)이 위치하고, 또한, 전후의 제 2 케이블 장착 홈(20)을 지나는 축선 상에 전후의 제 2 압접용 홈(55)이 위치한다.
계속해서, 조립 작업자가 손 등에 의해, 전후의 탈락 방지 돌기(35c와 36c, 35d와 36d)에 의한 저항에 맞서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을 압입한다(도 1 참조). 그 때, 각 돌출편(37a, 38a, 37b, 38b)은 탄성력에 저항하여 휘어, 대향하는 탈락 방지 돌기(35c와 36c, 35d와 36d)의 간격을 넓힌다.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이 제 1 케이블 보지 홈(35a, 36a) 및 제 2 케이블 보지 홈(35b, 36b)에 압입되면, 대향하는 탈락 방지 돌기(35c와 36c, 35d와 36d)의 간격이 좁아진다. 이에 따라,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은, 제 1 케이블 보지 홈(35a, 36a)의 바닥부 및 제 2 케이블 보지 홈(35b, 36b)의 바닥부와 탈락 방지 돌기(35c와 36c 및 35d와 36d)와의 사이에 협지된다. 이에 따라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은, 케이블 연장 방향의 이동이 저항을 받으면서 가능하므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전개 상태의 커넥터(10)에 대한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의 연장 방향의 위치 조정이 가능하다.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이 제 1 케이블 보지 홈(35a, 36a) 및 제 2 케이블 보지 홈(35b, 36b)으로부터 이탈하려고 하면, 이탈을 저지하는 저항을 받는다. 따라서, 커넥터(10)를 상하 반대로 해도,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이, 제 1 케이블 보지 홈(35a, 36a) 및 제 2 케이블 보지 홈(35b, 36b)으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는다. 또한,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은, 일정 이상의 가압력에 의해 제 1 케이블 보지 홈(35a, 36a) 및 제 2 케이블 보지 홈(35b, 36b)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커넥터(10)의 교환, 및 커넥터(10)에 착탈하는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의 변경이 용이하다.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을 좌우 방향으로 나열하고, 제 1 케이블 보지 홈(35a, 36a) 및 제 2 케이블 보지 홈(35b, 36b)에 감합 보지한 상태로, 전후의 굴곡 용이부(48)를 중심으로 제 2 분할 하우징(30)(전후의 제 2 접속부(47))을 제 1 분할 하우징(16)(전후의 제 1 접속부(46))에 대하여 접근하도록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 1 분할 하우징(16)측의 제 2 록용 돌기(40)가, 대응하는 제 1 록용 돌기(26)의 경사면(26a)에 맞닿는다. 더 회전시키면, 당해 제 2 록용 돌기(40)가 대응하는 경사면(26a)을 하방으로 슬라이딩하면서, 대응하는 제 1 록용 돌기(26)가, 제 1 분할 하우징(16)의 내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한편, 제 2 접속부(47)측에 위치하는 케이블 가압 돌기(32)의 제 2 가압 홈(32b)이, 제 2 케이블(65)의 중간부를, 제 2 압접용 홈(55)의 안측(하방)으로 조금 압입함으로써, 제 2 케이블(65)의 중간부가, 전후의 제 2 케이블 압접편(54)의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간다.
손 등에 의해 제 2 분할 하우징(30)을 전후의 굴곡 용이부(48)를 중심으로 제 1 분할 하우징(16)에 대하여 접근하는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제 2 접속부(47)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케이블 가압 돌기(32)의 제 1 가압 홈(32a)이, 제 1 케이블(60)의 중간부를 제 1 케이블 압접편(52)의 선단부(52a)에 대하여 제 1 압접용 홈(53)의 연장 돌출 방향 또는 이에 가까운 방향으로 꽉 누른다. 따라서, 제 1 케이블(60)이 선단부(52a)와 케이블 가압 돌기(32)에 의해 협지된다.
제 1 케이블(60)과 제 2 케이블(65)을 중계 콘택트(50)의 선단부(52a, 54a)에 재치한 후에,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한 일반적인 공구(예를 들면, 플라이어)에 의해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을,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가압하면, 각 제 2 록용 돌기(40)가, 대응하는 제 1 록용 돌기(26)에 대하여 계합(engaging)한다. 또한, 제 2 록부(39)의 각 볼록벽(41)이, 대응하는 오목부(25a)와 감합된다. 이에 따라, 제 1 분할 하우징(16)이 제 2 분할 하우징(30) 내에 수용되고, 제 1 록부(25)와 제 2 록부(39)는, 감합한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의 내측에서 계합한다.
또한, 케이블 가압 돌기(32)는,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의 중간부를 제 1 압접용 홈(53) 및 제 2 압접용 홈(55)의 안측(바닥면측)으로 더 압입한다. 따라서, 제 1 케이블(60)이 선단부(52a)로부터 제 1 압접용 홈(53)의 대략 중앙부까지 압입되고 또한 제 2 케이블(65)이 선단부(54a)로부터 제 2 압접용 홈(55)의 대략 중앙부까지 압입된다. 이 때, 케이블 가압 돌기(32)의 제 1 가압 홈(32a)과 제 2 가압 홈(32b)에 의한 제 1 케이블(60)과 제 2 케이블(65)과의 가압 방향이 상하 방향(제 1 압접용 홈(53) 및 제 2 압접용 홈(55)의 연장 방향)과 대략 평행해진다. 이에 따라, 제 1 압접용 홈(53)의 내면(좌우 양면)에 의해 제 1 케이블(60)의 피복(62)의 좌우 양 측부가 찢어지고 또한 제 2 압접용 홈(55)의 내면(좌우 양면)에 의해 제 2 케이블(65)의 피복(67)의 좌우 양 측부가 찢어진다. 따라서, 절연 하우징(15)이 폐쇄 상태로 보지되었을 때에, 제 1 압접용 홈(53)의 내면(한 쌍의 대향면)이 심선(61)의 양 측부에 대하여 균등 또한 확실하게 접촉(압접)하고, 또한 제 2 압접용 홈(55)의 내면(한 쌍의 대향면)이 심선(66)의 양 측부에 대하여 균등 또한 확실하게 접촉(압접)한다. 즉, 커넥터(10)의 내부에 있어서 제 1 케이블(60)의 심선(61)과 제 2 케이블(65)의 심선(66)이 중계 콘택트(50)를 개재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심선(61, 66)의 양 측부의 일방에 대하여 제 1 압접용 홈(53) 및 제 2 압접용 홈(55)의 내면이 과도하게 강하게 닿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심선(61, 66)의 일부가 제 1 압접용 홈(53) 및 제 2 압접용 홈(55)에 의해 절단되는 경우가 없다. 이 때문에 심선(61, 66)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지 않으므로,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에 인장력이 작용해도 심선(61, 66)이 완전히 절단될 우려는 작다. 따라서,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과 중계 콘택트(50)와의 접촉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분할 하우징(16)과 제 2 분할 하우징(30)이 폐쇄 상태로(감합하여) 보지(록)된 상태에서는, 제 1 분할 하우징(16)의 덮개부(21, 22)의 대향면(21a, 22a)이, 제 1 케이블 보지 홈(35a, 36a)과 제 2 케이블 보지 홈(35b, 36b)의 개구부(도 4의 상방의 개구부)의 일부를 막고 있다. 또한, 제 1 케이블(60)은, 제 1 분할 하우징(16)의 한 쌍의 경사면(19a), 및 대응하는 제 2 분할 하우징(30)의 경사면(35e, 36e)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워진다. 제 2 케이블(65)은, 제 2 분할 하우징(30)의 한 쌍의 경사면(20a), 및 대응하는 제 2 분할 하우징(30)의 경사면(35f, 36f)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워진다.
이하에서는, 충전제(70)를 장전한 상태의 커넥터(10)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충전제(70)는,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에 각각 마련된다(제 1 충전제(70a) 및 제 2 충전제(70b)). 제 1 충전제(70a) 및 제 2 충전제(70b)는, 제 1 분할 하우징(16)과 제 2 분할 하우징(30)과의 감합 시에, 합착되어 서로 일체화된다. 충전제(70)는, 방수용 겔, UV 경화 수지, 또는 접착제 등 중, 합착성을 가지는 임의의 재료여도 된다. 특히, 충전제(70)는, 방수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하는 UV 경화 수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충전제(70)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아크릴 수지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폴리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 실리콘아크릴레이트, 아미노 수지 아크릴레이트, 우레탄비닐에테르, 폴리에스테르비닐에테르, 실리콘계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에틸렌-폴리스티렌계 엘라스토머 등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재료에 의해 구성된다. 특히, 충전제(70)는, 합착성, 탄성, 및 내열성을 동시에 가지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절연 하우징(15)에 충전제(70)를 장전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충전제(70)를 장전한 커넥터(10)의 록 상태를 나타낸 도 9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충전제(70)를 장전한 커넥터(10)의 록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8의 XII-XII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일체화한 충전제(70)의 신장 상태를 가상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분할 하우징(16)의 내주측 제 1 대향면(17b)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의 내주측 제 2 대향면(31b)에, 충전제(70)를 개재시킨다.
제 1 분할 하우징(16)의 내주측 제 1 대향면(17b)에 개재시킨 제 1 충전제(70a)는, 하면의 평면 형상이 내주측 제 1 대향면(17b)과 대략 동일하며, 중계 콘택트(50)의 주위를 둘러싸는 각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충전제(70a)의 높이는, 제 1 분할 하우징(16)과 제 2 분할 하우징(30)이 감합되었을 때에, 제 1 충전제(70a)와 제 2 충전제(70b)가 합착되는 높이이다.
제 2 분할 하우징(30)의 내주측 제 2 대향면(31b)에 개재시킨 제 2 충전제(70b)는, 하면의 평면 형상이 내주측 제 2 대향면(31b)과 대략 동일하며, 케이블 가압 돌기(32)의 주위를 둘러싸는 각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2 충전제(70b)의 높이는, 제 1 분할 하우징(16)과 제 2 분할 하우징(30)이 감합되었을 때에, 제 1 충전제(70a)와 제 2 충전제(70b)가 합착되는 높이이다.
즉, 제 1 충전제(70a) 및 제 2 충전제(70b)는, 제 1 분할 하우징(16)과 제 2 분할 하우징(30)과의 감합 시에 있어서, 후술하는 압축 상태를 실현하기 위해,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의 두께 분만큼 서로 중첩할 필요가 있다. 바꿔 말하면, 감합 전의 제 1 충전제(70a)의 높이와 제 2 충전제(70b)의 높이를 서로 더한 높이는, 감합 후에 합착한 제 1 충전제(70a) 및 제 2 충전제(70b)의 높이보다 약간 크다. 따라서, 제 1 충전제(70a)의 상면에 의해 구성되는 합착면은, 감합 전에 있어서는, 합착 직전의 압축 상태에 있어서의 제 1 충전제(70a)의 합착면보다 감합측(상측)에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충전제(70b)의 상면에 의해 구성되는 합착면은, 감합 전에 있어서는, 합착 직전의 압축 상태를 가정한 경우에 있어서의 제 2 충전제(70b)의 합착면보다 감합측(상측)에 위치한다. 이 때, 합착 직전의 서로 압축 상태에 있는 제 1 충전제(70a) 및 제 2 충전제(70b)의 합착면을 감합 중심면으로 하면, 제 1 충전제(70a)의 감합 전에 있어서의 합착면은, 감합 중심면보다 감합측(상측)에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충전제(70b)의 감합 전에 있어서의 합착면은, 감합 중심면에 대응하는 평면보다 감합측(상측)에 위치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로부터, 커넥터(10)를 록 상태로 천이시키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합한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의 내부 전체가 충전제(70)에 의해 충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분할 하우징(16)과 제 2 분할 하우징(30)이 록 상태가 되었을 때에, 충전제(70)는, 내주측 제 1 대향면(17b)과 내주측 제 2 대향면(31b)에 밀착되고, 또한, 중계 콘택트(50)의 주위를 위요한다. 이 때, 제 1 충전제(70a) 및 제 2 충전제(70b)는, 서로 찌부러뜨려 한번 압축 상태가 됨으로써, 수소 결합 등의 화학 반응에 의해 일체화된다. 즉, 합착한 충전제(70)에서는, 통상의 Si겔 등의 점착성을 가지는 재료끼리를 접합시킨 경우와 달리, 접합면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상으로부터, 충전제(70)는, 중계 콘택트(50)의 주위를 밀폐한다.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은, 록 상태에서 충전제(70)의 내측에 배치되는 중계 콘택트(5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돌출한다. 즉,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은, 중계 콘택트(50)에 있어서의 압접 부분으로부터 전후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 돌출한다.
또한, 충전제(70)는,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의 피복(62, 67)의 표면을 (중계 콘택트(50)와의 전기적 도통을 방해하지 않고) 둘러싼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분할 하우징(16)과 제 2 분할 하우징(30)과의 감합 시에, 감합 방향, 즉 상하 방향을 따른 단면 시에 있어서,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이, 서로 일체화된 제 1 충전제(70a) 및 제 2 충전제(70b)의 내부에 배치된다. 바꿔 말하면, 합착한 충전제(70)는 접합면을 갖지 않으므로,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이 대응하는 부분은, 충전제(70)에 완전히 내장된다. 이와 같이, 통상의 Si겔 등의 점착성을 가지는 재료끼리를 접합시킨 경우와 달리, 피복(62, 67)의 표면과 충전제(70)와의 사이에는, 공극이 대부분 형성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3에 가상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분할 하우징(16)과 제 2 분할 하우징(30)을 상하 방향을 따라 분리시켰다고 해도, 한번 합착한 제 1 충전제(70a) 및 제 2 충전제(70b)는, 분리되지 않는다. 즉, 합착한 제 1 충전제(70a) 및 제 2 충전제(70b)는 접합면을 갖지 않으므로, 접합면이 박리된다고 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합착한 제 1 충전제(70a) 및 제 2 충전제(70b)는, 제 1 분할 하우징(16)과 제 2 분할 하우징(30)을 상하 방향을 따라 분리시켰다고 해도, 일체적으로 신장된 채, 중계 콘택트(50)의 주위를 계속해서 밀폐한다. 충전제(70)는, 합착성과 함께 탄성도 가지는 경우, 커넥터(10)의 진동 등에 의해 어느 정도 신축한다. 이 경우라도, 합착한 제 1 충전제(70a) 및 제 2 충전제(70b)는, 서로 일체화된 채 균일하게 신축한다. 즉, 합착한 제 1 충전제(70a) 및 제 2 충전제(70b)에 작용하는 응력의 분포는, 전체에 걸쳐 대략 균일하다.
이와 같이, 한번 합착한 제 1 충전제(70a) 및 제 2 충전제(70b)는, 종래의 점착성을 가지는 재료끼리를 접합시킨 경우와 달리, 역학적인 작용 또는 열팽창 등에 의해 접합면이 박리되어 서로 분리된다고 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은, 충전제(70)가 과다한 경우에 충전제(70)의 잉여분이 들어가는 공간(28 및 43)을 각각 가진다(도 11). 공간(28 및 43)은,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이 감합된 상태에서, 한 쌍의 제 1 록부(25)의 내면을 따라 형성되고, 충전제(70)의 하방 및 상방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공간(28 및 43)은, 록 시에 충전제(70)의 잉여분을 흡수하여 모을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10)는,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로의 가압력 등에 대하여, 개체마다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충전제(70)는, 제 1 분할 하우징(16)의 한 쌍의 제 1 록부(25)의 내면과 맞닿는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록용 돌기(26) 및 제 2 록용 돌기(40)의 계합면(27)은, 그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따른 충전제(70)의 폭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을 감합시켰을 때에, 제 2 록용 돌기(40)의 표면은, 제 1 록부(25)의 외면과 맞닿는다. 이에 따라 형성되는 맞닿음면(42)은, 충전제(70)와 맞닿는 제 1 록부(25)의 내면과 대략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충전제(70)의 구성에 의해, 커넥터(10)는, 물 또는 먼지 등의 외부의 이물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커넥터(10)는, 합착하여 서로 일체화된 충전제(70)가 중계 콘택트(50)를 위요하므로, 외부의 이물이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의 심선(61, 66)에 접촉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특히, 커넥터(10)는, 피복(62, 67)의 표면과 충전제(70)와의 사이에 공극이 대부분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이 대응하는 부분을 충전제(70)의 내부에 배치시키므로, 방수성이 우수하다. 이와 같이, 커넥터(10)는,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을 보지하는 경우여도, 방수성을 향상시켜, 그 밖의 외부의 이물의 침입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 1 충전제(70a) 및 제 2 충전제(70b)는, 합착에 의해 일체화되므로, 점착성을 가지는 종래의 재료끼리를 접합시키는 경우와 비교해, 결합력이 대폭으로 증대한다. 바꿔 말하면, 제 1 충전제(70a) 및 제 2 충전제(70b)의 접합면은 소실되므로, 접합면이 박리된다고 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없다. 따라서, 커넥터(10)는, 제 1 충전제(70a) 및 제 2 충전제(70b)가 분리되려고 하는 힘에 대한 저항력을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커넥터(10)에서는, 접합면이 소실되므로, 점착성을 가지는 종래의 재료끼리를 접합시키는 경우와 달리, 점착력이 약해져 접합면의 일부에 형성된 근소한 간극으로부터 물이 침입한다고 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커넥터(10)는, 충전제(70) 전체에 가해지는 수압에 대하여, 중계 콘택트(50)와 심선(61, 66)과의 접촉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10)는, 방수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종래, 점착성을 가지는 재료끼리의 접합을 유지하기 위해 비교적 큰 압력을 가할 필요가 있었지만, 커넥터(10)에서는, 접합면이 소실되어 일체되므로, 큰 압력을 가할 필요는 없다. 즉, 커넥터(10)는,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의 감합 보지력을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하지 않아, 충분한 방수성을 얻을 수 있다.
합착한 제 1 충전제(70a) 및 제 2 충전제(70b)는, 서로 일체화된 채 균일하게 신축되므로, 역학적인 작용 또는 열팽창 등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커넥터(10)는, 방수성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종래, 진동이 큰 환경하 또는 고온 환경하에서는, 점착성을 가지는 재료끼리의 접합면의 면압이 저하되거나, 접합면이 박리되거나 하여, 방수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현상도 발생할 수 있지만, 커넥터(10)는, 그와 같은 현상을 배제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진동이 큰 환경하 또는 고온 환경하여도 충분한 방수성을 유지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재료를 충전제(70)로서 이용함으로써, 합착성, 탄성, 및 내열성을 동시에 가지는 최적의 방지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10)는, 상기 서술한 각종 효과를 보다 현저하게 나타낼 수 있다.
충전제(70)가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에 밀착되므로, 가령 커넥터(10)의 외측에 있어서 가해진 외력에 의해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이 흔들려 굴곡되었다고 해도, 커넥터(10)는,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의 굴곡에 기인하는 움직임 또는 응력이 중계 콘택트(50)와의 압접부에 전달하는 것을 억지하여, 접촉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충전제(70)가, 제 1 록부(25)의 내면과 맞닿음으로써, 탄성을 가지는 제 1 록부(25)는, 충전제(70)의 팽창 또는 팽윤에 의한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의 탄성력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 변형하려고 한다. 커넥터(10)에서는 내측에서 록부가 구성되므로, 외측으로의 탄성 변형에 의해, 커넥터(10)는, 제 1 록부(25)와 제 2 록부(39)와의 계합을 더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 1 록용 돌기(26) 및 제 2 록용 돌기(40)의 계합면(27)이, 충전제(70)와 맞닿는 제 1 록부(25)의 내면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폭 위치에 있음으로써, 충전제(70)의 팽창력 등을 효율 좋게 계합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맞닿음면(42)이 충전제(70)와 맞닿는 제 1 록부(25)의 내면과 대략 평행이 됨으로써, 충전제(70)의 팽창력 등은, 제 1 록부(25) 및 제 2 록용 돌기(40)의 표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으로 전달되어, 충전제(70)의 팽창력 등을 더 효율 좋게 계합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그 결과, 커넥터(10)는,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의 밀착 상태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10)는,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의 탄성력이 작용한 상태여도,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의 개방 작용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커넥터(10)는, 방수성을 유지할 수 있다. 당해 효과는, 상온하에 있어서도 나타나지만, 고온하에 있어서 충전제(70)의 팽창이 커질수록, 보다 현저하게 나타난다.
충전제(70)가 높은 점도도 가지는 경우, 커넥터(10)는,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간의 개방을 더 억제할 수 있다. 즉,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의 내면에 충전제(70)가 배치됨으로써, 록 상태에서 각각의 충전제(70)가 점착된다. 당해 점착력이, 감합한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의 개방에 대한 저항력이 된다.
커넥터(10)는, 감합된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의 내부에 록 기구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요철 또는 관통 구멍이 적은 대략 평면 형상으로 외주벽(31)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10)는, 방수성을 보다 높일 수 있어, 먼지 및 오일 등의 그 밖의 이물의 침입도 더 억지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록용 돌기(26) 및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록용 돌기(40)가 계합되어, 계합면(27)이 동일 방향으로 연장된 평면을 구성함으로써, 계합면(27)의 면적을 넓혀, 계합을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0)는, 계합면(27)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수평이 됨으로써, 계합하는 힘을 제 1 록용 돌기(26) 및 제 2 록용 돌기(40)간에서 전달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커넥터(10)는, 종래의 외측에 형성되는 록부와 비교하여, 제 1 록용 돌기(26) 및 제 2 록용 돌기(40)의 폭을 넓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10)는, 록력을 보다 향상시켜, 록 상태를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록부(25) 및 제 2 록부(39) 자체의 강도도 늘어나기 때문에, 커넥터(10)는, 록부의 파손을 억지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제 1 록부(25)가 경사면(26b)을 가짐으로써,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의 감합 시에, 제 1 록부(25)의 선단이 충전제(70)에 파고 들거나, 충전제(70)를 깎아 내거나 하는 것을 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그 본질적인 특징으로부터 멀어지지 않고,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 이외의 다른 소정의 형태로 실현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따라서, 앞선 기술은 예시적인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범위는, 앞선 기술에 의해서가 아니라, 부가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다. 모든 변경 중 그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몇 가지의 변경은, 그 중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도 14는, 변형예와 관련된 제 1 록부(25)와 제 2 록부(39)의 결합부를 확대한, 도 11에 대응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록용 돌기(26) 및 제 2 록용 돌기(40)의 계합면(27)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대략 수평인 평면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계합면(27)이, 감합된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있어도 된다. 커넥터(10)는, 당해 단면 형상에 의해, 록이 해제될 가능성을 더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록부(25)를 제 1 분할 하우징(16)에 형성하고, 제 2 록부(39)를 제 2 분할 하우징(30)에 형성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탄성을 가지는 제 1 록부(25)가, 중계 콘택트(50)를 구비하지 않는 제 2 분할 하우징(30)측에 형성되고, 제 2 록부(39)가, 중계 콘택트(50)를 구비하는 제 1 분할 하우징(16)측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제 1 록부(25) 및 제 2 록부(39)의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에 있어서의 형성 위치도,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분할 하우징(16) 및 제 2 분할 하우징(30)을 감합시켜 록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면, 임의의 형성 위치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록부(25) 및 제 2 록부(39)는, 제 1 록용 돌기(26) 및 제 2 록용 돌기(40)를 각각 구비하고, 제 1 록용 돌기(26)와 제 2 록용 돌기(40)가 계합되는 록 수단을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록부(25) 및 제 2 록부(39)는, 임의의 록 수단을 가져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케이블(60) 및 제 2 케이블(65)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 돌기(35c, 36c 및 35d, 36d)를 제 1 케이블 보지 홈(35a, 36a) 및 제 2 케이블 보지 홈(35b, 36b)에 마련했지만, 탈락 방지 돌기는, 케이블 가압 돌기(32)의 제 1 가압 홈(32a) 및 제 2 가압 홈(32b)에 각각 마련해도 된다.
중계 콘택트(50)는, 제 2 케이블(65)을 압접하는 타입이지만, 제 2 케이블(65)을 압착하는 타입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제 2 케이블(65)은, 미리 중계 콘택트(50)에 압착 접속해 두고, 이 상태에서 중계 콘택트(50)를 제 1 분할 하우징(16)에 장착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중계 콘택트(50)의 한 쌍의 제 1 압접용 홈(53) 및 제 2 압접용 홈(55)의 일방 대신에, 케이블 압착 단자가 형성된다. 제 2 분할 하우징(30)에는, 잔존하는 압접용 홈에 대응시켜 하나의 케이블 지지 아암부(35 또는 36)가 마련된다.
반대로, 각 케이블의 커넥터(10)에 의해 지지된 부위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열된 3개 이상의 케이블이 커넥터(10)에 의해 접속되어도 된다. 이 경우, 하나의 중계 콘택트에(좌우 방향으로 나열된) 3쌍 이상의 압접용 홈이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복수의 중계 콘택트의 각각에 압접용 홈이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중계 콘택트에 2쌍 이상의 압접용 홈이 형성되어, 각 압접용 홈에 의해 케이블(심선)이 압접되어도 된다.
상기에서는, 제 1 분할 하우징(16)이 제 1 감합 대상물에 대응하고, 제 2 분할 하우징(30)이 제 2 감합 대상물에 대응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응 관계는, 반대여도 된다.
10 커넥터
15 절연 하우징
16 제 1 분할 하우징(제 1 감합 대상물)
17 외주벽
17a 내주측 오목부
17b 내주측 제 1 대향면
17c 중앙 제 1 오목부
17d 중앙 제 1 대향면
18 콘택트 장착 홈
18a 고정부
18b 중간 볼록부
18c 위치 결정 돌기
19 제 1 케이블 장착 홈
19a 경사면
20 제 2 케이블 장착 홈
20a 경사면
21, 22 덮개부
21a, 22a 대향면
25 제 1 록부
25a 오목부
26 제 1 록용 돌기
26a, 26b 경사면
27 계합면
28 공간
30 제 2 분할 하우징(제 2 감합 대상물)
31 외주벽
31a 내주측 오목부
31b 내주측 제 2 대향면
32 케이블 가압 돌기
32a 제 1 가압 홈
32b 제 2 가압 홈
32c 중앙 돌기
32d, 32e 돌기
35, 36 케이블 지지 아암부
35a, 36a 제 1 케이블 보지 홈
35b, 36b 제 2 케이블 보지 홈
35c, 36c 탈락 방지 돌기
35d, 36d 탈락 방지 돌기
35e, 36e 경사면
35f, 36f 경사면
37a, 37b, 38a, 38b 돌출편
39 제 2 록부
40 제 2 록용 돌기
41 볼록벽
42 맞닿음면
43 공간
46 제 1 접속부(접속부)
47 제 2 접속부(접속부)
48 굴곡 용이부
50 중계 콘택트(콘택트)
51 기편
51a 위치 결정 구멍
51b 여유부
52 제 1 케이블 압접편
52a 선단부
52b 폭협부
53 제 1 압접용 홈(전기 도통부, 압접용 홈)
54 제 2 케이블 압접편
54a 선단부
54b 폭협부
55 제 2 압접용 홈(전기 도통부, 압접용 홈)
60 제 1 케이블(케이블)
61 심선
62 피복
65 제 2 케이블(케이블)
66 심선
67 피복
70 충전제
70a 제 1 충전제
70b 제 2 충전제

Claims (7)

  1. 서로 감합 가능한 한 쌍의 제 1 감합 대상물 및 제 2 감합 대상물과,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 및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 중 적어도 일방이 가지는 콘택트와,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 및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에 각각 마련된 제 1 충전제 및 제 2 충전제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과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과의 감합 시에, 상기 제 1 충전제와 상기 제 2 충전제는, 상기 콘택트를 위요하도록 합착되어 서로 일체화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 및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은, 서로 접속부에 의해 접속되고,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 또는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은, 전기 도통부를 가지는 상기 콘택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 또는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은, 케이블을 보지하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과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과의 감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과 도통한 상태로 내포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상기 케이블이, 감합 시에 상기 제 1 충전제 및 상기 제 2 충전제의 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콘택트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커넥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도통부는, 압접용 홈이며,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 또는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은, 적어도 2개의 상기 케이블을 보지하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과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과의 감합 시에, 상기 압접용 홈에 의해 상기 케이블의 심선을 협지하여, 상기 케이블끼리를 도통시키는, 커넥터.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합 대상물과 상기 제 2 감합 대상물과의 감합 시에, 감합 방향을 따른 단면에서 볼 때, 상기 케이블이 대응하는 부분이, 합착되어 서로 일체화된 상기 제 1 충전제 및 상기 제 2 충전제의 내부에 배치되는,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합착하여 서로 일체화된 상기 제 1 충전제 및 상기 제 2 충전제는, 신축하는, 커넥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충전제 및 상기 제 2 충전제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커넥터.
KR1020197027334A 2017-03-22 2017-03-22 커넥터 KR1022386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11535 WO2018173169A1 (ja) 2017-03-22 2017-03-22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629A true KR20190119629A (ko) 2019-10-22
KR102238655B1 KR102238655B1 (ko) 2021-04-12

Family

ID=63586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7334A KR102238655B1 (ko) 2017-03-22 2017-03-22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886639B2 (ko)
EP (1) EP3605742A4 (ko)
JP (1) JP6401869B1 (ko)
KR (1) KR102238655B1 (ko)
CN (1) CN110431718B (ko)
BR (1) BR112019019688B1 (ko)
MX (1) MX2019011185A (ko)
WO (1) WO20181731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44344B2 (ja) * 2019-03-05 2022-09-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線の接続構造及び圧接端子
JP6689469B1 (ja) * 2019-04-10 2020-04-28 三菱電機株式会社 電磁接触器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7610A (ja) * 1992-02-05 1993-08-27 Toyota Motor Corp コネクタ
JP3028988U (ja) 1996-03-13 1996-09-17 ヤーマン株式会社 光脱毛装置
JPH11204192A (ja) * 1995-04-28 1999-07-30 Fujix:Kk 電線接続部品
DE10142363A1 (de) * 2001-08-30 2003-03-27 Delphi Tech Inc Elektrischer Verbinder
WO2009059335A1 (en) * 2007-10-31 2009-05-07 Detnet South Africa (Pty) Limited Detonator connector
JP2012248527A (ja) * 2011-05-31 2012-12-13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116097A (ja) * 2012-12-06 2014-06-26 Kyocera Connector Products Corp 分岐コネクタ
JP2016189329A (ja) * 2016-04-27 2016-11-04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分岐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3918A (en) * 1981-08-18 1984-01-03 Minnesota Mining & Manufacturing Company Re-enterable service wire splice closure
US4444447A (en) * 1982-05-24 1984-04-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ectrical wire connector
US4954098A (en) * 1989-11-01 1990-09-0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ealed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FR2655779B1 (fr) * 1989-12-12 1992-01-17 Entrelec Sa Connecteur pour cable multiconducteur electromagnetiquement blinde.
JP3081760B2 (ja) * 1993-11-10 2000-08-28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保護カバー
JP3119119B2 (ja) * 1995-05-17 2000-12-18 住友電装株式会社 圧接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963918B2 (ja) * 1998-03-17 1999-10-18 株式会社ニチフ端子工業 コネクタ
CA2357642A1 (en) 2000-09-22 2002-03-22 Marconi Communications, Inc. System for sealing electrical connections in a terminal block
US6398581B1 (en) * 2000-12-19 2002-06-04 American Standard Inc. Bus connector and method for integrating electrical test points in the bus connector
JP3935036B2 (ja) * 2002-09-27 2007-06-20 株式会社フジクラ フラットハーネス
JP2005251400A (ja) * 2004-03-01 2005-09-15 Yazaki Corp 電線端末用キャップ
DE102007043517A1 (de) * 2007-09-12 2009-03-19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Vorrichtung zur Kontaktierung elektrischer Leiter
WO2010059613A2 (en) 2008-11-18 2010-05-2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ealant-filled enclosures and methods for environmentally protecting a connection
JP5380750B2 (ja) * 2009-12-24 2014-01-08 日立金属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204799A (ja) * 2011-03-28 2012-10-22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12103789A1 (de) * 2012-04-30 2013-10-31 Sma Solar Technology Ag Kabelclip für Modulelektronik
US8888509B2 (en) 2012-07-13 2014-11-18 Allied Motion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9614361B2 (en) * 2012-12-11 2017-04-04 Dsm&T Company, Inc. Waterproof seal for electrical assemblies
CN204179340U (zh) * 2014-10-25 2015-02-25 广东顺科通信设备实业有限公司 一种电池组高压连接器
JP5966041B1 (ja) * 2015-03-27 2016-08-10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分岐コネクタ
JP2017001119A (ja) 2015-06-08 2017-01-05 株式会社朝日Fr研究所 マイクロ化学チ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966926B (zh) * 2015-06-19 2017-10-10 新乡市光明电器有限公司 蜂窝形多头插座的连接护套
CN107534245B (zh) * 2015-09-14 2019-12-24 京瓷株式会社 分支连接器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7610A (ja) * 1992-02-05 1993-08-27 Toyota Motor Corp コネクタ
JPH11204192A (ja) * 1995-04-28 1999-07-30 Fujix:Kk 電線接続部品
JP3028988U (ja) 1996-03-13 1996-09-17 ヤーマン株式会社 光脱毛装置
DE10142363A1 (de) * 2001-08-30 2003-03-27 Delphi Tech Inc Elektrischer Verbinder
WO2009059335A1 (en) * 2007-10-31 2009-05-07 Detnet South Africa (Pty) Limited Detonator connector
JP2012248527A (ja) * 2011-05-31 2012-12-13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116097A (ja) * 2012-12-06 2014-06-26 Kyocera Connector Products Corp 分岐コネクタ
JP2016189329A (ja) * 2016-04-27 2016-11-04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分岐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05742A1 (en) 2020-02-05
US20200036111A1 (en) 2020-01-30
WO2018173169A1 (ja) 2018-09-27
KR102238655B1 (ko) 2021-04-12
JP6401869B1 (ja) 2018-10-10
CN110431718B (zh) 2021-03-30
EP3605742A4 (en) 2020-11-18
CN110431718A (zh) 2019-11-08
JPWO2018173169A1 (ja) 2019-04-11
BR112019019688A2 (pt) 2020-03-24
BR112019019688B1 (pt) 2020-12-15
MX2019011185A (es) 2020-02-07
US10886639B2 (en) 202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45037B (zh) 分支连接器
KR102384162B1 (ko) 커넥터
KR102275108B1 (ko) 커넥터
CN110199441B (zh) 连接器
KR20190119629A (ko) 커넥터
KR102216099B1 (ko) 커넥터
WO2019124064A1 (ja) コネクタ
KR102262341B1 (ko) 커넥터 및 곤포체
KR20190093673A (ko) 커넥터
CN109155486B (zh) 分支连接器
JP6940451B2 (ja) コネクタ
JP6993214B2 (ja) コネクタ及び取付方法
WO2018173685A1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