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6478A - 증기 터빈 시스템 - Google Patents

증기 터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6478A
KR20190116478A KR1020197027546A KR20197027546A KR20190116478A KR 20190116478 A KR20190116478 A KR 20190116478A KR 1020197027546 A KR1020197027546 A KR 1020197027546A KR 20197027546 A KR20197027546 A KR 20197027546A KR 20190116478 A KR20190116478 A KR 20190116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mpartment
outer compartment
support rod
suppor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7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3565B1 (ko
Inventor
도모유키 오니시
가츠히사 하마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16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6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7/00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 F01K7/16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the engines being only of turbine type
    • F01K7/22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the engines being only of turbine type the turbines having inter-stage steam heating
    • F01K7/223Inter-stage moisture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4Casings; Casing parts, e.g. diaphragms, casing fastenings
    • F01D25/26Double casings; Measures against temperature strain in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4Casings; Casing parts, e.g. diaphragms, casing fast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8Support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g. for turbine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30Exhaust heads, chamber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1/00Plants characterised by the engines being structurally combined with boilers or condensers
    • F01K11/02Plants characterised by the engines being structurally combined with boilers or condensers the engines being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3/00General layout or general methods of operation of complete p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D2220/31Application in turbines in steam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10Stators
    • F05D2240/14Casings or housings protecting or supporting assemblies with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Abstract

외차실(33) 안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연재하는 제1 지지봉(41)을 구비하고, 제1 지지봉(41)의 일단(41A)은, 단판(45)의 상반분의 내면(45a) 중, 로터의 축선보다도 횡방향 일방 측의 면과 접속되어 있고, 제1 지지봉(41)의 타단(41B)은 일단(41A)보다도 외차실(33)의 횡방향 타방 측에 배치된 천정판(48)의 내면(48a)과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증기 터빈 시스템
본 발명은 증기 터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7년 7월 13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2017-137198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발전 플랜트에서는, 증기 터빈을 포함하는 증기 터빈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증기 터빈은, 회전하는 터빈 로터와, 내차실(內車室)과, 외차실(外車室)을 구비한다.
내차실은 상부에 증기가 도입되는 증기 도입구를 갖는다. 내차실은 터빈 로터를 수용하고 있다. 외차실은 내차실을 수용하고 있다. 외차실은 내차실 안에서 일을 한 증기가 도출된다. 외차실은 진공 상태로 되어 있다.
증기 터빈 중 하나로서, 외차실의 횡방향 일방 측에 복수기(復水器)(콘덴서)가 배치된 사이드 콘덴서 방식의 증기 터빈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외차실은, 저판(底板), 천정판(天井板), 만곡판, 한 쌍의 단판(端板), 및 배기구를 갖는다.
천정판은 저판과 대향하도록 저판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만곡판은 배기구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만곡판은 천정판의 일단(一端), 및 저판의 일단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단판은 만곡판, 천정판, 및 저판을 터빈 로터의 축선 방향으로부터 끼워 넣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단판에는, 각각 터빈 로터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증기 터빈 시스템에서는, 증기 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가 외차실의 횡방향 일방 측에 형성된 배기구를 통해서 복수기에 공급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증기 터빈 시스템은, 증기를 하방향으로 배출하는 증기 터빈과 비교하여, 건물(建屋)의 높이 및 기초의 높이를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5-124634호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증기 터빈 시스템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차실 안이 진공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외압의 영향에 의해 외차실이 움푹 들어갈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외차실 안의 증기를 배기구로부터 배기함으로써, 외차실의 일부가 배기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변형하면, 배기구를 향하는 횡방향으로 외차실 및 내차실이 변위할 가능성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차실의 변형을 억제한 후에, 배기구를 향하는 횡방향으로 외차실 및 내차실이 변위하는 것을 억제 가능한 증기 터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증기 터빈 시스템은, 축선 주위로 회전하고, 또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터, 당해 로터를 수용하는 동시에 증기가 도입되는 내차실, 및 당해 내차실을 수용하는 동시에 횡방향 일방 측에 배기구가 형성되고, 또한 내부가 진공 상태로 된 외차실을 갖는 증기 터빈과, 상기 외차실의 상기 횡방향 일방 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구를 통함으로써, 상기 증기가 공급되는 복수기와, 상기 외차실 안에 설치되어 일방향(一方向)으로 연재(延在)하는 제1 지지봉을 구비하고, 상기 외차실은, 상기 로터의 축선이 연재하는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내차실과 대향하는 단판과, 상기 내차실의 상방에 배치되어 수평면을 따라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단판과 접속된 천정판과, 상기 천정판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수평면을 따라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단판과 접속된 저판과, 상기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와 대향하는 동시에 당해 배기구로부터 이간(離間)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외차실의 횡방향 타방 측에 배치된 상기 천정판의 단(端) 및 상기 저판의 단, 및 상기 단판과 접속된 만곡판을 갖고, 상기 제1 지지봉의 일단은, 상기 단판의 상반분(上半分)의 내면 중, 상기 축선보다도 상기 횡방향 일방 측에 위치하는 면과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 지지봉의 타단은 상기 일단보다도 상기 외차실의 횡방향 타방 측에 배치된 상기 천정판의 내면과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구성으로 된 제1 지지봉을 가짐으로써, 단판의 내면과 천정판의 내면 사이에 있어서, 제1 지지봉이 걸림봉(지지봉)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내부가 진공 상태로 된 외차실(구체적으로는, 단판 및 천정판)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으로 된 제1 지지봉을 가짐으로써, 외차실 안보다도 높은 압력으로 된 외차실의 외측의 압력에 의해 단판이 움푹 들어가는 변형을 했을 때, 단판의 변형에 의한 힘을 제1 지지봉의 일단을 통해 제1 지지봉의 타단과 접속된 천정판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제1 지지봉의 일단보다도 외차실의 횡방향 타방 측에 제1 지지봉의 타단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천정판에 전달되는 힘은, 외차실의 횡방향 일방 측으로부터 횡방향 타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횡성분(橫成分)과, 만곡판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성분(上成分)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천정판에 전달되는 힘의 상성분에 의해, 외차실의 외측의 압력에 의한 천정판의 움푹 들어가는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기구를 통해서 외차실 안의 증기를 배기할 때에 발생하는 힘(구체적으로는, 외차실의 횡방향 타방 측으로부터 횡방향 일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외차실 및 내차실을 이동시키려고 하는 힘)을 천정판에 전달되는 힘의 횡성분에 의해 약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으로 된 제1 지지봉을 가짐으로써, 외차실의 변형을 억제한 후에, 외차실 및 내차실이 배기구를 향하는 횡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증기 터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차실 안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연재하는 제2 지지봉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지지봉의 일단은, 상기 단판의 상반분의 내면 중, 상기 축선보다도 상기 횡방향 타방 측에 위치하는 면과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 지지봉의 타단은, 축선 방향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당해 제2 지지봉이 상기 외차실의 상하 방향에 대하여 평행이 되도록 상기 제2 지지봉의 일단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만곡판의 내면과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상기 구성으로 된 제2 지지봉을 가짐으로써, 단판의 내면과 만곡판의 내면 사이에 있어서, 제2 지지봉이 걸림봉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내부가 진공 상태로 된 외차실(구체적으로는, 단판 및 만곡판)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으로 된 제2 지지봉을 가짐으로써, 외차실 안보다도 높은 압력으로 된 외차실의 외측의 압력에 의해 단판이 움푹 들어가는 변형을 했을 때, 단판의 변형에 의한 힘을 제2 지지봉을 통해 만곡판의 상부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축선 방향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외차실의 상하 방향에 대하여 평행이 되도록 제2 지지봉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만곡판에 전달되는 힘은, 축선 방향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횡성분과, 만곡판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제2 지지봉이 만곡판에 전달하는 힘에는, 횡방향 타방 측으로부터 횡방향 일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성분(외차실 및 내차실을 배기구 측으로 이동시키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에 의해, 제2 지지봉을 설치하는 것에 기인하는 외차실 및 내차실의 배기구 측으로의 변위(횡방향의 변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증기 터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차실 안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연재하는 제3 지지봉을 구비하고, 상기 외차실은 상기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만곡판과 대향하는 동시에 상기 횡방향 일방 측에 배치된 상기 천정판의 단 및 상기 저판의 단, 및 상기 단판과 접속된 측판을 추가로 갖고, 상기 제3 지지봉의 일단은 상기 측판의 내면과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3 지지봉의 타단은 당해 제3 지지봉의 일단보다도 상기 횡방향 타방 측에 위치하는 상기 천정판의 내면과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구성으로 된 제3 지지봉을 가짐으로써, 측판의 내면과 천정판의 내면 사이에 있어서, 제3 지지봉이 걸림봉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내부가 진공 상태로 된 외차실(구체적으로는, 측판 및 천정판)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으로 된 제3 지지봉을 가짐으로써, 외차실 안보다도 높은 압력으로 된 외차실의 외측의 압력에 의해 측판이 만곡판 측으로 움푹 들어가도록 변형했을 때, 측판의 변형에 의한 힘을 제3 지지봉의 일단을 통해 제3 지지봉의 타단과 접속된 천정판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천정판에 전달되는 힘은, 외차실의 횡방향 일방 측으로부터 횡방향 타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횡성분과, 천정판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성분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천정판에 전달되는 힘의 상성분에 의해, 외차실의 외측의 압력에 의한 천정판의 움푹 들어가는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기구를 통해서 외차실 안의 증기를 배기할 때에 발생하는 힘(구체적으로는, 외차실의 횡방향 타방 측으로부터 횡방향 일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외차실 및 내차실을 이동시키려고 하는 힘)을 천정판에 전달되는 힘의 횡성분에 의해 약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으로 된 제3 지지봉을 가짐으로써, 외차실의 변형을 억제한 후에, 외차실 및 내차실이 배기구를 향하는 횡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증기 터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차실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저판이 고정되는 터빈 가대(架台)와, 상기 외차실 외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연재하는 제4 지지봉을 구비하고, 상기 제4 지지봉의 일단은, 상기 단판의 하반분(下半分)의 내면 중, 상기 로터의 축선보다도 상기 횡방향 타방 측의 면과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4 지지봉의 타단은 당해 제4 지지봉의 일단보다도 상기 외차실의 횡방향 타방 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4 지지봉의 일단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만곡판의 내면과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그런데 외차실의 저판이 터빈 가대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외차실의 저판과 터빈 가대와의 고정 부분이 구속점(拘束点)이 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 된 외차실에는, 구속점을 중심으로 한 모멘트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는, 만곡판 측에서는 아래로부터 위를 향하는 방향으로 모멘트가 발생하고, 배기구 측에서는 위로부터 아래를 향하는 방향으로 모멘트가 발생하며, 천정판 측에서는 횡방향 타단으로부터 횡방향 일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모멘트가 발생한다.
상기 구성으로 된 제4 지지봉을 가짐으로써, 외차실의 내부보다도 높은 압력으로 된 외차실의 외측의 압력에 의해 단판이 로터의 축선 방향으로 움푹 들어가도록 변형했을 때, 단판의 변형에 의한 힘을 제4 지지봉의 일단을 통해 제4 지지봉의 타단과 접속된 만곡판의 하부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만곡판의 하부에 전달되는 힘은, 횡방향 일방 측으로부터 횡방향 타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횡성분과, 만곡판을 하방으로 밀어 내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성분(下成分)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만곡판의 하부에 전달되는 힘의 하성분에 의해 만곡판의 하부가 움푹 들어가는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만곡판 측에서 발생하는 아래로부터 위를 향하는 방향의 모멘트의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만곡판의 하부에 전달되는 힘의 횡성분에 의해 배기구를 통해서 외차실 안을 배기할 때에 발생하는 힘(구체적으로는, 외차실의 횡방향 타방 측으로부터 횡방향 일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외차실 및 내차실을 이동시키려고 하는 힘)을 약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으로 된 제4 지지봉을 가짐으로써, 외차실의 변형을 억제한 후에, 외차실 및 내차실이 배기구를 향하는 횡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증기 터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차실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저판이 고정되는 터빈 가대와, 상기 외차실 안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연재하는 제5 지지봉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외차실은 상기 저판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상기 단판의 내면과 대향하는 대향면을 포함하는 보강 리브를 갖고, 상기 제5 지지봉의 일단은, 상기 단판의 하반분의 내면 중, 상기 축선보다도 상기 횡방향 일방 측의 면과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5 지지봉의 타단은 당해 제5 지지봉의 일단보다도 상기 외차실의 횡방향 타방 측에서, 또한 상기 제5 지지봉의 일단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보강 리브의 대향면과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구성으로 된 제5 지지봉을 설치함으로써, 단판의 내면과 보강 리브의 대향면 사이에 있어서, 제5 지지봉이 걸림봉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내부가 진공 상태로 된 외차실(구체적으로는, 단판)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으로 된 제5 지지봉을 가짐으로써, 외차실 안보다도 높은 압력으로 된 외차실의 외측의 압력에 의해 단판이 로터의 축선 방향으로 움푹 들어가도록 변형했을 때, 단판의 변형에 의한 힘을 제5 지지봉의 일단을 통해 제5 지지봉의 타단과 접속된 보강 리브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보강 리브에 전달되는 힘은, 횡방향 일방 측으로부터 횡방향 타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횡성분과, 보강 리브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성분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보강 리브에 전달되는 힘의 상성분에 의해 배기구 측에서 발생하는 위로부터 아래를 향하는 방향의 모멘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보강 리브에 전달되는 힘의 횡성분에 의해 배기구를 통해서 외차실 안을 배기할 때에 발생하는 힘(구체적으로는, 외차실의 횡방향 타방 측으로부터 횡방향 일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외차실 및 내차실을 이동시키려고 하는 힘)을 약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으로 된 제5 지지봉을 가짐으로써, 외차실의 변형을 억제한 후에, 외차실 및 내차실이 배기구를 향하는 횡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증기 터빈 시스템에 있어서, 축선 방향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5 지지봉은 상기 제4 지지봉의 경사(傾斜)보다도 완만하게 경사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제5 지지봉의 경사를 제4 지지봉의 경사보다도 완만하게 함으로써, 만곡판 측 및 배기구 측에서 발생하는 모멘트를 각각 효율 좋게 저감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증기 터빈 시스템은, 축선 주위로 회전하고, 또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터, 당해 로터를 수용하는 동시에 증기가 도입되는 내차실, 및 당해 내차실을 수용하는 동시에 횡방향 일방 측에 배기구가 형성되고, 또한 내부가 진공 상태로 된 외차실을 갖는 증기 터빈과, 상기 외차실의 상기 횡방향 일방 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구를 통함으로써, 상기 증기가 공급되는 복수기와, 상기 외차실을 지지하는 터빈 가대와, 상기 외차실 안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연재하는 제1 지지봉을 구비하고, 상기 외차실은, 상기 로터의 축선이 연재하는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내차실과 대향하는 단판과, 상기 내차실의 상방에 배치되어 수평면을 따라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단판과 접속된 천정판과, 상기 천정판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수평면을 따라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단판과 접속된 저판과, 상기 로터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와 대향하는 동시에 당해 배기구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외차실의 횡방향 타방 측에 배치된 상기 천정판의 단 및 상기 저판의 단, 및 상기 단판과 접속된 만곡판을 갖고, 상기 제1 지지봉의 일단은, 상기 단판의 하반분의 내면 중, 상기 로터의 축선보다도 상기 횡방향 타방 측의 면과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 지지봉의 타단은 당해 제1 지지봉의 일단보다도 상기 외차실의 횡방향 타방 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 지지봉의 일단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만곡판의 내면과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구성으로 된 제1 지지봉을 설치함으로써, 단판의 내면과 만곡판의 내면 사이에 있어서, 제1 지지봉이 걸림봉(지지봉)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내부가 진공 상태로 된 외차실(구체적으로는, 단판 및 만곡판의 하부)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외차실의 저판이 터빈 가대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외차실의 저판과 터빈 가대와의 고정 부분이 구속점이 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 된 외차실에는, 구속점을 중심으로 한 모멘트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는, 만곡판 측에서는 아래로부터 위를 향하는 방향으로 모멘트가 발생하고, 배기구 측에서는 위로부터 아래를 향하는 방향으로 모멘트가 발생하며, 천정판 측에서는 횡방향 타단으로부터 횡방향 일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모멘트가 발생한다.
상기 구성으로 된 제1 지지봉을 가짐으로써, 외차실 안보다도 높은 압력으로 된 외차실의 외측의 압력에 의해 단판이 움푹 들어가도록 변형했을 때, 단판의 변형에 의한 힘을 제1 지지봉의 일단을 통해 제1 지지봉의 타단과 접속된 만곡판의 하부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만곡판의 하부에 전달되는 힘은, 횡방향 일방 측으로부터 횡방향 타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횡성분과, 만곡판을 하방으로 밀어 내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성분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만곡판의 하부에 전달되는 힘의 하성분에 의해 만곡판의 하부가 움푹 들어가는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만곡판 측에서 발생하는 아래로부터 위를 향하는 방향의 모멘트의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만곡판의 하부에 전달되는 힘의 횡성분에 의해 배기구를 통해서 외차실 안을 배기할 때에 발생하는 힘(구체적으로는, 외차실의 횡방향 타방 측으로부터 횡방향 일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외차실 및 내차실을 이동시키려고 하는 힘)을 약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으로 된 제1 지지봉을 가짐으로써, 외차실의 변형을 억제한 후에, 외차실 및 내차실이 배기구를 향하는 횡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증기 터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차실은 상기 저판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또한 상기 단판의 내면과 대향하는 대향면을 포함하는 보강 리브를 갖고 있고, 상기 외차실 안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연재하는 제2 지지봉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지지봉의 일단은, 상기 단판의 하반분의 내면 중, 상기 축선보다도 상기 횡방향 일방 측의 면과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 지지봉의 타단은 당해 제2 지지봉의 일단보다도 상기 외차실의 횡방향 타방 측에서, 또한 상기 제2 지지봉의 일단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보강 리브의 대향면과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상기 구성으로 된 제2 지지봉을 설치함으로써, 단판의 하반분의 내면과 보강 리브의 대향면 사이에 있어서, 제2 지지봉이 걸림봉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내부가 진공 상태로 된 외차실(구체적으로는, 단판)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으로 된 제2 지지봉을 가짐으로써, 외차실 안보다도 높은 압력으로 된 외차실의 외측의 압력에 의해 단판이 움푹 들어가도록 변형했을 때, 단판의 변형에 의한 힘을 제2 지지봉의 일단을 통해 제2 지지봉의 타단과 접속된 보강 리브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보강 리브에 전달되는 힘은, 횡방향 일방 측으로부터 횡방향 타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횡성분과, 보강 리브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성분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보강 리브에 전달되는 힘의 상성분에 의해 배기구 측에서 발생하는 위로부터 아래를 향하는 방향의 모멘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보강 리브에 전달되는 힘의 횡성분에 의해 배기구를 통해서 외차실 안을 배기할 때에 발생하는 힘(구체적으로는, 외차실의 횡방향 타방 측으로부터 횡방향 일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외차실 및 내차실을 이동시키려고 하는 힘)을 약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으로 된 제2 지지봉을 가짐으로써, 외차실의 변형을 억제한 후에, 외차실 및 내차실이 배기구를 향하는 횡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증기 터빈 시스템에 있어서, 축선 방향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봉은 상기 제1 지지봉의 경사보다도 완만하게 경사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일단이 단판의 내면과 접속되는 제2 지지봉의 경사를, 일단이 만곡판의 하반분의 내면과 접속되는 제1 지지봉의 경사보다도 완만하게 함으로써, 만곡판 측 및 배기구 측에서 발생하는 모멘트를 각각 효율 좋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증기 터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차실 안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연재하는 제3 지지봉을 구비하고, 상기 제3 지지봉의 일단은, 상기 단판의 상반분의 내면 중, 상기 로터의 축선보다도 상기 횡방향 일방 측의 면과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3 지지봉의 타단은 상기 일단보다도 상기 외차실의 횡방향 타방 측에 배치된 상기 천정판의 내면과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상기 구성으로 된 제3 지지봉을 가짐으로써, 단판의 내면과 천정판의 내면 사이에 있어서, 제3 지지봉이 걸림봉(지지봉)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내부가 진공 상태로 된 외차실(구체적으로는, 단판 및 천정판)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으로 된 제3 지지봉을 가짐으로써, 외차실 안보다도 높은 압력으로 된 외차실의 외측의 압력에 의해 단판이 움푹 들어가는 변형을 했을 때, 단판의 변형에 의한 힘을 제3 지지봉의 일단을 통해 제3 지지봉의 타단과 접속된 천정판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제3 지지봉의 일단보다도 외차실의 횡방향 타방 측에 제3 지지봉의 타단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천정판에 전달되는 힘은, 외차실의 횡방향 일방 측으로부터 횡방향 타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횡성분과, 만곡판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성분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천정판에 전달되는 힘의 상성분에 의해, 외차실의 외측의 압력에 의한 천정판의 움푹 들어가는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기구를 통해서 외차실 안의 증기를 배기할 때에 발생하는 힘(구체적으로는, 외차실의 횡방향 타방 측으로부터 횡방향 일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외차실 및 내차실을 이동시키려고 하는 힘)을 천정판에 전달되는 힘의 횡성분에 의해 약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으로 된 제3 지지봉을 가짐으로써, 외차실의 변형을 억제한 후에, 외차실 및 내차실이 배기구를 향하는 횡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증기 터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차실 안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연재하는 제4 지지봉을 구비하고, 상기 제4 지지봉의 일단은, 상기 단판의 상반분의 내면 중, 상기 축선보다도 상기 횡방향 타방 측의 면과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4 지지봉의 타단은, 축선 방향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당해 제4 지지봉이 상기 외차실의 상하 방향에 대하여 평행이 되도록 상기 만곡판의 하반분의 내면과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상기 구성으로 된 제4 지지봉을 가짐으로써, 단판의 내면과 만곡판의 내면 사이에 있어서, 제4 지지봉이 걸림봉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내부가 진공 상태로 된 외차실(구체적으로는, 단판 및 만곡판)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으로 된 제4 지지봉을 가짐으로써, 외차실 안보다도 높은 압력으로 된 외차실의 외측의 압력에 의해 단판이 움푹 들어가는 변형을 했을 때, 단판의 변형에 의한 힘을 제4 지지봉을 통해 만곡판의 상부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축선 방향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외차실의 상하 방향에 대하여 평행이 되도록 제4 지지봉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만곡판에 전달되는 힘은, 축선 방향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횡성분과, 만곡판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성분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제4 지지봉이 만곡판에 전달하는 힘에는, 횡방향 타방 측으로부터 횡방향 일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성분(외차실 및 내차실을 배기구 측으로 이동시키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에 의해, 제4 지지봉을 설치하는 것에 기인하는 외차실 및 내차실의 배기구 측으로의 변위(횡방향의 변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증기 터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차실은 상기 만곡판과 대향하는 동시에 상기 횡방향 일방 측에 배치된 상기 천정판의 단, 상기 횡방향 일방 측에 배치된 상기 저판의 단, 및 상기 단판과 접속된 측판을 추가로 갖고, 상기 외차실 안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연재하는 제5 지지봉을 구비하고, 상기 제5 지지봉의 일단은 상기 측판의 내면과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5 지지봉의 타단은 당해 제5 지지봉의 일단보다도 상기 횡방향 타방 측에 위치하는 상기 천정판의 내면과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상기 구성으로 된 제5 지지봉을 가짐으로써, 측판의 내면과 천정판의 내면 사이에 있어서, 제5 지지봉이 걸림봉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내부가 진공 상태로 된 외차실(구체적으로는, 측판 및 천정판)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으로 된 제5 지지봉을 가짐으로써, 외차실 안보다도 높은 압력으로 된 외차실의 외측의 압력에 의해 측판이 만곡판 측으로 움푹 들어가도록 변형했을 때, 측판의 변형에 의한 힘을 제5 지지봉의 일단을 통해 제5 지지봉의 타단과 접속된 천정판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천정판에 전달되는 힘은, 외차실의 횡방향 일방 측으로부터 횡방향 타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횡성분과, 천정판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성분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천정판에 전달되는 힘의 상성분에 의해, 외차실의 외측의 압력에 의한 천정판의 움푹 들어가는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기구를 통해서 외차실 안의 증기를 배기할 때에 발생하는 힘(구체적으로는, 외차실의 횡방향 타방 측으로부터 횡방향 일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외차실 및 내차실을 이동시키려고 하는 힘)을 천정판에 전달되는 힘의 횡성분에 의해 약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으로 된 제5 지지봉을 가짐으로써, 외차실의 변형을 억제한 후에, 외차실 및 내차실이 배기구를 향하는 횡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증기 터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차실은 상기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와 대향하는 측판을 갖고, 상기 배기구는 상기 축선 방향으로 2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측판은 2개의 상기 배기구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로터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내차실을 협지하여 대향하도록 2개의 단판을 배치해도 좋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증기 터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상기 축선 방향으로 2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측판은 2개의 상기 배기구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로터의 축선 방향으로 2개의 배기구를 설치하고, 2개의 배기구 사이에 측판을 배치시켜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차실의 변형을 억제한 후에, 외차실 및 내차실이 배기구를 향하는 횡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증기 터빈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저압 증기 터빈, 복수기, 및 중간 몸통(도 1에 도시하지 않음)을 A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저압 증기 터빈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저압 증기 터빈의 A1-A2 선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내는 저압 증기 터빈의 B1-B2 선 방향의 단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구조체를 축선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나타내는 저압 증기 터빈의 C1-C2 선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나타내는 저압 증기 터빈과 중간 몸통을 이간시킨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증기 터빈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1 지지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의 1)이며, 일방의 단판에 제1 지지봉이 설치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외차실의 단면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증기 터빈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1 지지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의 2)이며, 타방의 단판에 제1 지지봉이 설치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외차실의 단면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증기 터빈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2 지지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외차실의 배기구의 하부, 및 측판의 하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구조체의 영역(D)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1 및 제2 지지봉을 축선 방향에서 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의 증기 터빈 시스템(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저압 증기 터빈(16)의 지면(紙面) 앞쪽에 있는 복수기(23)(콘덴서)를 점선으로 도시한다. 또한, 도 1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중간 몸통(21)의 도시, 및 도 3에 나타내는 배기구(56)의 도시를 생략한다. 도 1에 있어서, X 방향은 터빈 로터(18)(로터)의 축선 방향(축선(Ax) 방향), Z 방향은 연직 방향(상하 방향)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있어서, Y 방향은, X 방향 및 Z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축선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구조체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제1 실시형태의 증기 터빈 시스템(10)은, 증기 발생기(11)와, 증기 공급 라인(12)과, 분기 라인(12A)과, 고압 증기 터빈(13)과, 습분 분리 가열기(moisture separation heater)(14)와, 라인(15A, 15B)과, 저압 증기 터빈(16)과, 터빈 로터(18)와, 발전기(19)와, 중간 몸통(21)과, 신축 부재(22)와, 복수기(23)와, 터빈 가대(25)를 구비한다.
증기 발생기(11)는 증기 공급 라인(12)의 일단과 접속되어 있다. 증기 발생기(11)는 고압의 증기를 생성한다. 증기 발생기(11)는 증기 공급 라인(12)을 통해 고압 증기 터빈(13) 및 습분 분리 가열기(14)에 고압의 증기를 공급한다.
증기 공급 라인(12)은, 타단이 고압 증기 터빈(13)과 접속되어 있다. 증기 공급 라인(12)은, 고압 증기 터빈(13)에 증기 발생기(11)가 생성한 고압의 증기를 공급한다.
분기 라인(12A)은 증기 공급 라인(12)으로부터 분기되어 있다. 분기 라인(12A)의 선단은 저압 증기 터빈(16)의 증기 도입구(31A)와 접속되어 있다.
고압 증기 터빈(13)은 터빈 가대(25) 위에 고정되어 있다. 고압 증기 터빈(13)은 X 방향으로 연재하는 터빈 로터(18)의 일부를 수용하고 있다.
습분 분리 가열기(14)는 증기 발생기(11) 및 고압 증기 터빈(13)으로부터의 증기의 습분을 분리하여 가열시킨다.
라인(15A)은, 일단이 고압 증기 터빈(13)과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습분 분리 가열기(14)와 접속되어 있다. 라인(15A)은 고압 증기 터빈(13)으로부터의 증기의 습분을 습분 분리 가열기(14)에 공급한다.
라인(15B)은, 일단이 습분 분리 가열기(14)와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저압 증기 터빈(16)의 증기 도입구(31A)와 접속되어 있다. 라인(15B)은 가열한 증기를 저압 증기 터빈(16)의 증기 도입구(31A)에 공급한다.
도 1∼도 7을 참조하여, 저압 증기 터빈(16)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도 7에 나타내는 구조체에 있어서,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도 3에서는 저압 증기 터빈(16)을 구성하는 터빈 로터(18)(도 1 참조)의 도시를 생략한다. 도 4에서는 도 5∼도 7에 나타내는 제1 지지봉(41), 제2 지지봉(42), 및 제3 지지봉(43)의 도시를 생략한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저압 증기 터빈(16)의 구성 요소가 아닌 라인(15B)을 도시한다.
도 4,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Ax는 도 1에 나타내는 X 방향으로 연재하는 터빈 로터(18)의 축선(이하, 「축선(Ax)」이라고 한다)을 나타내고 있다. 축선(Ax)은 X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축선(Ax)이 연재하는 방향을 축선(Ax) 방향이라고 한다. 도 5∼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4에 나타내는 내차실(31)의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도 6 및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3에는 도시하지 않고 있는 터빈 로터(18)를 도시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저압 증기 터빈(16)이 더블플로우 방식(복류 방식)의 증기 터빈인 경우를 예로 든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횡방향 일방 측」이란, 외차실(33) 중, 배기구(56)가 형성된 측을 나타낸다. 또한, 「횡방향 타방 측」이란, 외차실(33) 중, 만곡판(51)이 배치된 측을 나타낸다.
저압 증기 터빈(16)은, X 방향에 있어서, 고압 증기 터빈(13)과 발전기(19)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저압 증기 터빈(16)은 터빈 가대(25) 위에 고정되어 있다.
저압 증기 터빈(16)은, 터빈 로터(18)와, 내차실(31)과, 외차실(33)과, 제1 지지봉(41)과, 제2 지지봉(42)과, 제3 지지봉(43)을 갖는다.
터빈 로터(18)는 X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고, 축선(Ax) 주위로 회전한다. 또한, 터빈 로터(18)는 X 방향 또는 Y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수평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으면 좋고, 터빈 로터(18)의 연재 방향은 X 방향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터빈 로터(18)가 X 방향으로 연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이하의 설명을 행한다.
터빈 로터(18)는 내차실(31) 및 외차실(33)을 X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터빈 로터(18) 중, 고압 증기 터빈(13) 측에 배치된 일방의 단부 측은 고압 증기 터빈(13) 안에 배치되어 있고, 발전기(19) 측에 배치된 타방의 단부 측은 발전기(19) 안에 배치되어 있다.
터빈 로터(18) 중, 고압 증기 터빈(13) 안에 배치된 부분, 및 저압 증기 터빈(16) 안에 배치된 부분에는, 각각 X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단의 날개열(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터빈 로터(18)는 외차실(33)의 외측에 배치된 로터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내차실(31)은 외차실(33) 안에 수용된 상태에서 외차실(33)에 고정되어 있다. 내차실(31)은 그 내부에 공간(31B)을 구획하고 있다. 내차실(31)은 상단에 라인(15B)의 타단과 접속되는 증기 도입구(31A)를 갖는다.
증기 도입구(31A)는, 라인(15B)을 통해, 가열된 증기를 공간(31B)에 도입시킨다. 공간(31B)에 도입된 증기는 내차실(31)과 터빈 로터(18)와의 틈새를 통과하여 일을 한 후, 외차실(33) 안에 있어서의 X 방향(구체적으로는, 내차실(31)로부터 고압 증기 터빈(13)을 향하는 방향, 및 내차실(31)로부터 발전기(19)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출된다.
외차실(33)은 내부에 공간(33A)을 구획하고 있다. 공간(33A)은 진공 상태로 되어 있다. 외차실(33)의 외측의 압력은 진공 상태로 된 공간(33A)의 압력보다도 높다.
외차실(33)은, 한 쌍의 단판(45, 46)(2개의 단판)과, 저판(47)과, 천정판(48)과, 만곡판(51)과, 측판(53)과, 보강 리브(54)와, 개구부(55)와, 2개의 배기구(56)를 갖는다.
한 쌍의 단판(45, 46)은, X 방향에 있어서, 내차실(31)을 협지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단판(45, 46)은, 각각 터빈 로터(18)가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61)와, 콘부(cone portion)(62)를 갖는다. 단판(45, 46)에 형성된 개구부(61)는 X 방향에 있어서 대향 배치되어 있다. 콘부(62)는 공간(33A) 측으로 움푹 들어가는 원추 형상으로 된 부분이다. 터빈 로터(18)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로터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은 콘부(62)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저판(47)은 천정판(48)의 하방에 배치되어 수평면(X 방향 및 Y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저판(47)은 한 쌍의 단판(45, 46)의 하단, 및 측판(53)의 하단과 접속되어 있다.
저판(47)은 Z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내면(47a)을 갖는다. 내면(47a)은 외차실(33)의 내면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저판(47)은 터빈 가대(25)에 고정되어 있다. 저판(47)과 터빈 가대(25)가 접속된 부분이 구속점으로서 기능한다.
천정판(48)은 내차실(31)의 상방에 배치되어 수평면(X 방향 및 Y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천정판(48)은 한 쌍의 단판(45, 46)의 상단, 및 측판(53)의 상단과 접속되어 있다. 천정판(48)은 저판(47)의 내면(47a)에 대향하는 동시에 내면(47a)에 대하여 평행한 내면(48a)(하면)을 갖는다. 내면(48a)은 외차실(33)의 내면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만곡판(51)은 횡방향 타방 측에 배치된 천정판(48)의 단, 횡방향 타방 측에 배치된 저판(47)의 단, 및 횡방향 타방 측에 배치된 한 쌍의 단판(45, 46)과 접속되어 있다.
만곡판(51)은 Y 방향(터빈 로터(18)의 축선(Ax)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배기구(56)와 대향하고 있다. 만곡판(51)은 배기구(56)와 대향하는 내면(51a)을 갖는다. 내면(51a)은 곡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축선(Ax)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만곡판(51)과 배기구(56)가 대향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축선(Ax)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만곡판(51)과 배기구(56)를 대향 배치시켜도 좋다.
만곡판(51)은 배기구(56)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축선(Ax) 방향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만곡판(51)은, 예를 들어 터빈 로터(18)의 축선(Ax)을 중심으로 하는 반원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만곡판(51)의 형상이 터빈 로터(18)의 축선(Ax)을 중심으로 하는 반원 형상의 경우를 예로 들어 이하의 설명을 행한다.
측판(53)은 횡방향 일방 측에 배치된 천정판(48)의 단, 횡방향 일방 측에 배치된 저판(47)의 단, 및 횡방향 일방 측에 배치된 한 쌍의 단판(45, 46)과 접속되어 있다.
측판(53)은, 상부(53A)와, 하부(53B)와, 삽입부(53C)를 갖는다. 상부(53A)는 하부(53B)보다도 상방에 배치되어 있고, 천정판(48)과 접속되어 있다. 상부(53A)는 하부(53B)보다도 횡방향 일방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부(53A)의 하방으로는, 삽입부(53C)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53C)에는, 터빈 가대(25)의 지지부(25B)가 삽입된다. 지지부(25B)가 삽입부(53C)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부(53A)의 하면 및 하부(53B)의 외면은 지지부(25B)와 접촉한다.
보강 리브(54)는 저판(47)의 내면(47a)에 복수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보강 리브(54)는 서로 간격을 둔 상태에서 X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보강 리브(54)는 Y 방향으로 연재하는 판재이다.
보강 리브(54)는 배기구(56)에 대응하는 저판(47)의 내면(47a)에도 설치되어 있다. 보강 리브(54)는 단판(45, 46)의 일부와 대향하고 있다. 배기구(56)에 설치된 보강 리브(54)는, 단판(45, 46) 중, 보강 리브(54)에 근접하여 배치된 일방의 단판(단판(45) 또는 단판(46))의 내면(내면(45a) 또는 내면(46a))과 대향하는 대향면(54a)을 갖는다.
개구부(55)는 천정판(48)과 만곡판(51)과의 경계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개구부(55)에는, 내차실(31)의 증기 도입구(31A)가 배치되어 있다.
배기구(56)는 X 방향으로부터 측판(53)을 끼워 넣도록 측판(53)의 양측에 각각 하나 설치되어 있다. 2개의 배기구(56)는 측판(53)의 상부(53A)보다도 횡방향 일방 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배기구(56)는 내차실(31)로부터 외차실(33) 안으로 도출된 증기를 외차실(33) 밖으로 배기시킨다.
배기구(56)는 신축 부재(22)를 통해 중간 몸통(21)과 접속되어 있다. 배기구(56)는 중간 몸통(21)을 통해 복수기(23)에 증기를 공급한다. 배기구(56)의 형상은, 예를 들어 사각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지지봉(41)은 일방향으로 연재하는 지지봉이며, 외차실(33) 안에 4개 설치되어 있다(도 6 및 도 7 참조). 이 중 2개의 제1 지지봉(41)의 일단(41A)은, 단판(45)의 상반분의 내면(45a) 중, 터빈 로터(18)의 축선(Ax)보다도 횡방향 일방 측의 면과 접속되어 있다(도 6 참조).
이들 2개의 제1 지지봉(41)의 타단(41B)은 일단(41A)보다도 외차실(33)의 횡방향 타방 측에 배치된 천정판(48)의 내면(48a)과 접속되어 있다. 2개의 제1 지지봉(41)은 간격을 두고 Y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나머지 2개의 제1 지지봉(41)의 일단(41A)은, 단판(46)의 상반분의 내면(46a) 중, 터빈 로터(18)의 축선(Ax)보다도 횡방향 일방 측의 면과 접속되어 있다(도 7 참조). 이들 나머지 2개의 제1 지지봉(41)의 타단(41B)은 일단(41A)보다도 외차실(33)의 횡방향 타방 측에 배치된 천정판(48)의 내면(48a)과 접속되어 있다. 나머지 2개의 제1 지지봉(41)은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제1 지지봉(41)을 가짐으로써, 단판(45, 46)의 내면(45a, 46a)과 천정판(48)의 내면(48a) 사이에 있어서, 제1 지지봉(41)이 걸림봉(지지봉)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내부가 진공 상태로 된 외차실(33)(구체적으로는, 단판(45, 46) 및 천정판(48))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으로 된 제1 지지봉(41)을 가짐으로써, 외차실(33) 안보다도 높은 압력으로 된 외차실(33)의 외측의 압력에 의해, 단판(45, 46)이 움푹 들어가는 변형을 했을 때, 단판(45, 46)의 변형에 의한 힘을 제1 지지봉(41)의 일단(41A)을 통해 제1 지지봉(41)의 타단(41B)과 접속된 천정판(48)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제1 지지봉(41)의 일단(41A)보다도 외차실(33)의 횡방향 타방 측에 제1 지지봉(41)의 타단(41B)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천정판(48)에 전달되는 힘은, 외차실(33)의 횡방향 일방 측으로부터 횡방향 타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횡성분(이하, 「횡성분(S1)」이라고 한다)과, 만곡판(51)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성분(이하, 「상성분(U1)」이라고 한다)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천정판(48)에 전달되는 힘의 상성분(U1)에 의해, 외차실(33)의 외측의 압력에 의한 천정판(48)의 움푹 들어가는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기구(56)를 통해서 외차실(33) 안의 증기를 배기할 때에 발생하는 힘(구체적으로는, 외차실(33)의 횡방향 타방 측으로부터 횡방향 일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외차실(33) 및 내차실(31)을 이동시키려고 하는 힘)을 천정판(48)에 전달되는 힘의 횡성분(S1)에 의해 약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으로 된 제1 지지봉(41)을 가짐으로써, 외차실(33)의 변형을 억제한 후에, 외차실(33) 및 내차실(31)이 배기구(56)를 향하는 횡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5∼도 7에서는, 일례로서, 외차실(33) 안에 4개의 제1 지지봉(41)을 설치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외차실(33) 안에 설치하는 제1 지지봉(41)의 수는 하나 이상이면 좋고, 4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한 쌍의 단판(45, 46) 중, 일방의 단판에만 제1 지지봉(41)을 설치해도 좋다.
제2 지지봉(42)은 일방향으로 연재하는 지지봉이다. 제2 지지봉(42)은, 양단이 외차실(33)의 내면에 접속된 상태에서 외차실(33) 안에 2개 설치되어 있다.
일방의 제2 지지봉(42)의 일단(42A)은, 단판(45)의 상반분의 내면(45a) 중, 터빈 로터(18)의 축선(Ax)보다도 횡방향 타방 측의 면과 접속되어 있다.
일방의 제2 지지봉(42)의 타단(42B)은, 축선(Ax) 방향에서 본 상태(도 6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제2 지지봉(42)이 외차실(33)의 Z 방향(상하 방향)에 대하여 평행이 되도록, 제2 지지봉(42)의 일단(42A)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만곡판(51)의 내면(51a)과 접속되어 있다.
타방의 제2 지지봉(42)의 일단(42A)은, 단판(46)의 상반분의 내면(45a) 중, 터빈 로터(18)의 축선(Ax)보다도 횡방향 타방 측의 면과 접속되어 있다.
타방의 제2 지지봉(42)의 타단(42B)은, 축선(Ax) 방향에서 본 상태(도 7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제2 지지봉(42)이 외차실(33)의 Z 방향(상하 방향)에 대하여 평행이 되도록, 제2 지지봉(42)의 일단(42A)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만곡판(51)의 내면(51a)과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제2 지지봉(42)을 가짐으로써, 단판(45, 46)의 내면(45a, 46a)과 만곡판(51)의 내면(51a) 사이에 있어서, 제2 지지봉(42)이 걸림봉(지지봉)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내부가 진공 상태로 된 외차실(33)(구체적으로는, 단판(45, 46) 및 만곡판(51))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으로 된 제2 지지봉(42)을 가짐으로써, 외차실(33) 안보다도 높은 압력으로 된 외차실(33)의 외측의 압력에 의해 단판(45, 46)이 움푹 들어가는 변형을 했을 때, 단판(45, 46)의 변형에 의한 힘을 제2 지지봉(42)을 통해 만곡판(51)의 상부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축선(Ax) 방향에서 본 상태(도 6 및 도 7 참조)에 있어서, 외차실(33)의 Z 방향(상하 방향)에 대하여 평행이 되도록 제2 지지봉(42)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만곡판(51)에 전달되는 힘은, 축선(Ax) 방향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횡성분(이하, 「횡성분(S2)」이라고 한다)과, 만곡판(51)의 상부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성분(이하, 「상성분(U2)」이라고 한다)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지지봉(42)으로부터 만곡판(51)에 전달되는 힘에는, 횡방향 타방 측으로부터 횡방향 일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성분(외차실(33) 및 내차실(31)을 배기구(56) 측으로 이동시키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에 의해, 제2 지지봉(42)을 설치하는 것에 기인하는 외차실(33) 및 내차실(31)의 배기구(56) 측으로의 변위(횡방향의 변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5∼도 7에서는, 일례로서, 외차실(33) 안에 2개의 제2 지지봉(42)을 설치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외차실(33) 안에 설치하는 제2 지지봉(42)의 수는 하나 이상이면 좋고, 2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한 쌍의 단판(45, 46) 중, 일방의 단판에만 제2 지지봉(42)을 설치해도 좋다.
제3 지지봉(43)은 일방향으로 연재하는 지지봉이다. 제3 지지봉(43)은, 양단이 외차실(33)의 내면에 접속된 상태에서 외차실(33) 안에 2개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제3 지지봉(43)의 일단(43A)은 측판(53)의 상부(53A)의 내면(53Aa)과 접속되어 있다. 2개의 제3 지지봉(43)의 타단(43B)은 제3 지지봉(43)의 일단(43A)보다도 횡방향 타방 측에 위치하는 천정판(48)의 내면(48a)과 접속되어 있다. 2개의 제3 지지봉(43)은 X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된 제3 지지봉(43)을 가짐으로써, 측판(53)의 상부(53A)의 내면(53Aa)과 천정판(48)의 내면(48a) 사이에 있어서, 제3 지지봉(43)이 걸림봉(지지봉)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내부가 진공 상태로 된 외차실(33)(구체적으로는, 측판(53) 및 천정판(48))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으로 된 제3 지지봉(43)을 가짐으로써, 외차실(33) 안보다도 높은 압력으로 된 외차실(33)의 외측의 압력에 의해, 측판(53)의 상부(53A)가 만곡판(51) 측으로 움푹 들어가도록 변형했을 때, 측판(53)의 상부(53A)의 변형에 의한 힘을 제3 지지봉(43)의 일단(43A)을 통해 제3 지지봉(43)의 타단(43B)과 접속된 천정판(48)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천정판(48)에 전달되는 힘은, 외차실(33)의 횡방향 일방 측으로부터 횡방향 타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횡성분(이하, 「횡성분(S3)」이라고 한다)과, 천정판(48)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성분(이하, 「상성분(U3)」이라고 한다)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천정판(48)에 전달되는 힘의 상성분(U3)에 의해, 외차실(33)의 외측의 압력에 의한 천정판(48)의 움푹 들어가는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기구(56)를 통하여 외차실(33) 안의 증기를 배기할 때에 발생하는 힘(구체적으로는, 외차실(33)의 횡방향 타방 측으로부터 횡방향 일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외차실(33) 및 내차실(31)을 이동시키려고 하는 힘)을 천정판(48)에 전달되는 힘의 횡성분(S3)에 의해 약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으로 된 제3 지지봉(43)을 가짐으로써, 외차실(33)의 변형을 억제한 후에, 외차실(33) 및 내차실(31)이 배기구(56)를 향하는 횡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5∼도 7에서는, 일례로서, 외차실(33) 안에 2개의 제3 지지봉(43)을 설치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외차실(33) 안에 설치하는 제3 지지봉(43)의 수는 하나 이상이면 좋고, 2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설명한 제1∼제3 지지봉(41∼43)으로서는, 예를 들어 금속(예를 들어, 탄소강)제 봉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제3 지지봉(41∼43)의 양단(일단(41A∼43A), 및 타단(41B∼43B))과 외차실(33)의 내면과의 접속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용접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용접 대신에 플랜지 부착 봉을 볼트 고정해도 좋다.
다음에, 도 1을 참조하여, 발전기(19)에 대하여 설명한다. 발전기(19)는 터빈 가대(25) 위에 고정되어 있다. 발전기(19)는 터빈 로터(18)의 일부를 수용하고 있다. 발전기(19)는, 터빈 로터(18)의 회전 에너지에 의해 발전기(19)가 발전한다.
다음에, 도 2 및 도 8을 참조하여, 중간 몸통(2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구조체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또한, 도 8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신축 부재(22)의 도시를 생략한다.
중간 몸통(21)은 저압 증기 터빈(16)과 복수기(23)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중간 몸통(21)은 Y 방향으로 연재하는 부재이다. 중간 몸통(21)은, 유입구(21A)와, 유출구(21B)와, 유로(21C)를 갖는다.
유입구(21A)는 저압 증기 터빈(16)과 대향하는 측에 2개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유입구(21A)는 X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2개의 유입구(21A)는 Y 방향에 있어서 각각 하나의 배기구(56)와 대향하고 있다. 유입구(21A)는 테두리 형상으로 된 신축 부재(22)를 통해 외차실(33)의 배기구(56)와 접속되어 있다. 유입구(21A)에는, 내차실(31)로부터 외차실(33) 안으로 도출된 증기가 배기된다.
유출구(21B)는 복수기(23)와 대향하는 측에 설치되어 있다. 유출구(21B)는 유로(21C)를 통해 유입구(21A)와 연통하고 있다. 유출구(21B)는 복수기(23)와 접속되어 있다. 유출구(21B)를 통과한 증기는 복수기(23) 안에 공급된다.
유로(21C)는 중간 몸통(21)에 내설(內設)되어 있다. 유로(21C)는 유입구(21A)와 유출구(21B)를 접속하고 있으며, 유로(21C)는 증기가 유통하기 위한 경로이다.
복수기(23)는 저압 증기 터빈(16)의 외차실(33)의 횡방향 일방 측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기(23)는 지지면(1) 위에 재치(載置)되어 있다.
복수기(23)는 중간 몸통(21)을 통해 저압 증기 터빈(16)으로부터 공급된 증기로부터 열을 빼앗음으로써, 증기를 액화시켜 물을 생성한다. 복수기(23)에서 생성된 물은 증기 발생기(11)로 되돌아가서 재이용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저압 증기 터빈(16)의 외차실(33)의 횡방향 일방 측에 복수기(23)를 배치시킨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외차실(33)의 횡방향 양측에 복수기(23)를 배치시켜도 좋다.
다음에,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터빈 가대(25)에 대하여 설명한다. 터빈 가대(25)는 지지면(1) 위에(예를 들어, 건물의 바닥면 위에) 고정되어 있다.
터빈 가대(25)는 고압 증기 터빈(13), 저압 증기 터빈(16), 및 발전기(19)를 지지하는 동시에 이들의 위치를 규제하고 있다. 터빈 가대(25)의 중앙부에는, 외차실(33)의 하부의 일부가 수용되는 오목부(25A)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5A)는 외차실(33)의 저판(47)과 대향하는 저면(25Aa)을 갖는다.
터빈 가대(25)는 저면(25Aa)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출(延出)되고, 외차실(33)의 삽입부(53C)에 삽입되는 지지부(25B)를 갖는다. 지지부(25B)는 오목부(25A)에 수용된 외차실(33)을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터빈 가대(25)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콘크리트, 철근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터빈 가대(25)는 적어도 일부가 강철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1 실시형태의 증기 터빈 시스템(10)에 의하면, 위에서 설명한 제1 지지봉(41)을 가짐으로써, 단판(45, 46)의 내면(45a, 46a)과 천정판(48)의 내면(48a) 사이에 있어서, 제1 지지봉(41)을 걸림봉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내부가 진공 상태로 된 외차실(33)(구체적으로는, 단판(45, 46) 및 천정판(48))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으로 된 제1 지지봉(41)을 가짐으로써, 외차실(33) 안보다도 높은 압력으로 된 외차실(33)의 외측의 압력에 의해, 단판(45, 46)이 움푹 들어가는 변형을 했을 때, 단판(45, 46)의 변형에 의한 힘을 제1 지지봉(41)의 일단(41A)을 통해 제1 지지봉(41)의 타단(41B)과 접속된 천정판(48)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제1 지지봉(41)의 일단(41A)보다도 외차실(33)의 횡방향 타방 측에 제1 지지봉(41)의 타단(41B)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천정판(48)에 전달되는 힘은, 외차실(33)의 횡방향 일방 측으로부터 횡방향 타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횡성분(S1)과, 만곡판(51)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성분(U1)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천정판(48)에 전달되는 힘의 상성분(U1)에 의해, 외차실(33)의 외측의 압력에 의한 천정판(48)의 움푹 들어가는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기구(56)를 통해서 외차실(33) 안의 증기를 배기할 때에 발생하는 힘(구체적으로는, 외차실(33)의 횡방향 타방 측으로부터 횡방향 일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외차실(33) 및 내차실(31)을 이동시키려고 하는 힘)을 천정판(48)에 전달되는 힘의 횡성분(S1)에 의해 약화시킬 수 있다.
즉, 제1 실시형태의 증기 터빈 시스템(10)에 의하면, 상기 구성으로 된 제1 지지봉(41)을 가짐으로써, 외차실(33)의 변형을 억제한 후에, 외차실(33) 및 내차실(31)이 배기구(56)를 향하는 횡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외차실(33)의 내면과 접속된 지지봉으로서, 제1∼제3 지지봉(41∼43)을 설치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제2 및 제3 지지봉(42, 43)은 필요에 따라 설치하면 좋고,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다.
또한, 외차실(33) 안에 제1 지지봉(41)과 제2 지지봉(42)을 조합하여 배치시켜도 좋고, 제1 지지봉(41)과 제3 지지봉(43)을 조합하여 배치시켜도 좋다.
또한, 외차실(33)을 보강하는 관점에서 외차실(33)의 외면에 복수의 리브를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 리브의 교점에 대응하는 단판(45, 46)의 내면(45a, 46a)에 제1 및 제2 지지봉(41, 42)의 일단(41A, 42A)을 접속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형태)
도 9∼도 13을 참조하여, 제2 실시형태의 증기 터빈 시스템(7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도 11에서는, 증기 터빈 시스템(70)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일부의 구성 요소만 도시한다. 도 9∼도 13에 있어서, 먼저 설명한 도 1∼도 8에 나타내는 구조체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또한, 도 9∼도 13에 있어서,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제2 실시형태의 증기 터빈 시스템(70)은, 제1 실시형태의 증기 터빈 시스템(10)을 구성하는 제1∼제3 지지봉(41∼43) 대신에 제1 및 제2 지지봉(71, 72)을 갖는 것 이외에는, 증기 터빈 시스템(10)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1 지지봉(71)은 일방향으로 연재하고 있고, 외차실(33) 안에 4개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제1 지지봉(71)의 일단(71A)은, 단판(45)의 하반분의 내면(45a) 중, 터빈 로터(18)의 축선(Ax)보다도 횡방향 타방 측의 면과 접속되어 있다(도 9 참조).
이들 2개의 제1 지지봉(71)의 타단(71B)은 제1 지지봉(71)의 일단(71A)보다도 외차실(33)의 횡방향 타방 측에 배치되고, 또한 제1 지지봉(71)의 일단(71A)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만곡판(51)의 내면(51a)과 접속되어 있다.
나머지 2개의 제1 지지봉(71)의 일단(71A)은, 단판(46)의 하반분의 내면(46a) 중, 터빈 로터(18)의 축선(Ax)보다도 횡방향 타방 측의 면과 접속되어 있다(도 10 참조).
이들 나머지 2개의 제1 지지봉(71)의 타단(71B)은 제1 지지봉(71)의 일단(71A)보다도 외차실(33)의 횡방향 타방 측에 배치되고, 또한 제1 지지봉(71)의 일단(71A)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만곡판(51)의 내면(51a)과 접속되어 있다(도 10 참조).
그런데 외차실(33)의 저판(47)이 도 1에 나타내는 터빈 가대(25)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저판(47)과 터빈 가대(25)와의 고정 부분이 구속점이 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 된 외차실(33)에는, 구속점을 중심으로 한 모멘트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는, 만곡판(51) 측에서는 아래로부터 위를 향하는 방향으로 모멘트가 발생하고, 배기구(56) 측에서는 위로부터 아래를 향하는 방향으로 모멘트가 발생하며, 천정판(48) 측에서는 횡방향 타단으로부터 횡방향 일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모멘트가 발생한다.
상기 구성으로 된 제1 지지봉(71)을 가짐으로써, 외차실(33) 안보다도 높은 압력으로 된 외차실(33)의 외측의 압력에 의해, 단판(45, 46)이 움푹 들어가도록 변형했을 때, 단판(45, 46)의 변형에 의한 힘을 제1 지지봉(71)의 일단(71A)을 통해 제1 지지봉(71)의 타단(71B)과 접속된 만곡판(51)의 하부에 전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만곡판(51)의 하부에 전달되는 힘은, 횡방향 일방 측으로부터 횡방향 타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횡성분(이하, 「횡성분(S4)」이라고 한다)과, 만곡판(51)을 하방으로 밀어 내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성분(이하, 「하성분(D1)」이라고 한다)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만곡판(51)의 하부에 전달되는 힘의 하성분(D1)에 의해 만곡판(51)의 하부가 움푹 들어가는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만곡판(51) 측에서 발생하는 아래로부터 위를 향하는 방향의 모멘트의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만곡판(51)의 하부에 전달되는 힘의 횡성분(S4)에 의해 배기구(56)를 통해서 외차실(33) 안을 배기할 때에 발생하는 힘(구체적으로는, 외차실(33)의 횡방향 타방 측으로부터 횡방향 일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외차실(33) 및 내차실(31)(도 4 참조)을 이동시키려고 하는 힘)을 약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으로 된 제1 지지봉(71)을 가짐으로써, 외차실(33)의 변형을 억제한 후에, 외차실(33) 및 내차실(31)이 배기구(56)를 향하는 횡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외차실(33) 안에 4개의 제1 지지봉(71)을 설치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외차실(33) 안에 설치하는 제1 지지봉(71)의 수는 하나 이상이면 좋고, 4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한 쌍의 단판(45, 46) 중, 일방의 단판에만 제1 지지봉(71)을 설치해도 좋다.
제2 지지봉(72)은 일방향으로 연재하고 있고, 외차실(33) 안에 2개 설치되어 있다. 일방의 제2 지지봉(72)의 일단(72A)은, 단판(45)의 하반분의 내면(45a) 중, 터빈 로터(18)의 축선(Ax)보다도 횡방향 일방 측의 면과 접속되어 있다.
일방의 제2 지지봉(72)의 타단(72B)은, 제2 지지봉(72)의 일단(72A)보다도 외차실(33)의 횡방향 타방 측에서, 또한 제2 지지봉(72)의 일단(72A)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보강 리브(54)의 대향면(54a)과 접속되어 있다.
타방의 제2 지지봉(72)의 일단(72A)은, 단판(46)의 하반분의 내면(46a) 중, 터빈 로터(18)의 축선(Ax)보다도 횡방향 일방 측의 면과 접속되어 있다.
타방의 제2 지지봉(72)의 타단(72B)은 제2 지지봉(72)의 일단(72A)보다도 외차실(33)의 횡방향 타방 측에서, 또한 제2 지지봉(72)의 일단(72A)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보강 리브(54)의 대향면(54a)과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구성으로 된 제2 지지봉(72)을 설치함으로써, 단판(45, 46)의 하반분의 내면(45a, 46a)과 보강 리브(54)의 대향면(54a) 사이에 있어서, 제2 지지봉(72)이 걸림봉(지지봉)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내부가 진공 상태로 된 외차실(33)(구체적으로는, 단판(45, 46))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으로 된 제2 지지봉(72)을 가짐으로써, 외차실(33) 안보다도 높은 압력으로 된 외차실(33)의 외측의 압력에 의해, 단판(45, 46)이 움푹 들어가도록 변형했을 때, 단판(45, 46)의 변형에 의한 힘을 제2 지지봉(72)의 일단(72A)을 통해 제2 지지봉(72)의 타단(72B)과 접속된 보강 리브(54)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보강 리브(54)에 전달되는 힘은, 횡방향 일방 측으로부터 횡방향 타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횡성분과, 보강 리브(54)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성분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보강 리브(54)에 전달되는 힘의 상성분에 의해, 배기구(56) 측에서 발생하는 위로부터 아래를 향하는 방향의 모멘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보강 리브(54)에 전달되는 힘의 횡성분에 의해, 배기구(56)를 통해서 외차실(33) 안을 배기할 때에 발생하는 힘(구체적으로는, 외차실(33)의 횡방향 타방 측으로부터 횡방향 일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외차실(33) 및 내차실(31)(도 4 참조)을 이동시키려고 하는 힘)을 약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으로 된 제2 지지봉(72)을 가짐으로써, 외차실(33)의 변형을 억제한 후에, 외차실(33) 및 내차실(31)이 배기구(56)를 향하는 횡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외차실(33) 안에 2개의 제2 지지봉(72)을 설치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외차실(33) 안에 설치하는 제2 지지봉(72)의 수는 하나 이상이면 좋고, 2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한 쌍의 단판(45, 46) 중, 일방의 단판에만 제2 지지봉(72)을 설치해도 좋다.
상기 설명한 제1 및 제2 지지봉(71, 72)으로서는, 예를 들어 금속(예를 들어, 탄소강)제 봉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및 제2 지지봉(71, 72)의 양단(일단(71A, 72A), 및 타단(71B, 72B))과 외차실(33)의 내면과의 접속에는, 예를 들어 용접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용접 대신에 플랜지 부착 봉을 볼트 고정해도 좋다.
다음에, 도 13을 참조하여, 제1 및 제2 지지봉(71, 72)의 경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단판(45) 측에 배치된 제1 및 제2 지지봉(71, 72)을 축선(Ax)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3에 있어서, 도 9 및 도 11에 나타내는 구조체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선(Ax) 방향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제2 지지봉(72)은 제1 지지봉(71)의 경사보다도 완만하게 경사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일단(72A)이 단판(45, 46)의 내면(45a, 46a)과 접속되는 제2 지지봉(72)의 경사를, 일단(71A)이 만곡판(51)의 하반분의 내면(51a)과 접속되는 제1 지지봉(71)의 경사보다도 완만하게 함으로써, 만곡판 측 및 배기구 측에서 발생하는 모멘트를 각각 효율 좋게 저감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의 증기 터빈 시스템(70)에 의하면, 위에서 설명한 제1 지지봉(71)을 가짐으로써, 제1 지지봉(71)을 통해 만곡판(51)의 하부에 전달되는 힘의 하성분에 의해 만곡판(51)의 하부가 움푹 들어가는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만곡판(51) 측에서 발생하는 아래로부터 위를 향하는 방향의 모멘트의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만곡판(51)의 하부에 전달되는 힘의 횡성분에 의해 배기구(56)를 통해서 외차실(33) 안을 배기할 때에 발생하는 힘(구체적으로는, 외차실(33)의 횡방향 타방 측으로부터 횡방향 일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외차실(33) 및 내차실(31)(도 4 참조)을 이동시키려고 하는 힘)을 약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으로 된 제1 지지봉(71)을 가짐으로써, 외차실(33)의 변형을 억제한 후에, 외차실(33) 및 내차실(31)이 배기구(56)를 향하는 횡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외차실(33) 안에 제1 및 제2 지지봉(71, 72)을 설치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제2 지지봉(72)은 필수의 구성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적당히 설치하면 좋다.
또한, 외차실(33)을 보강하는 관점에서 외차실(33)의 외면에 복수의 리브를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 리브의 교점에 대응하는 단판(45, 46)의 내면에 제1 지지봉(71)의 일단(71A), 및 제2 지지봉(72)의 일단(72A)을 접속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실시형태의 증기 터빈 시스템(70)에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1 지지봉(41)을 제3 지지봉으로서 적용해도 좋고,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2 지지봉(42)을 제4 지지봉으로서 적용해도 좋다. 또한, 제2 실시형태의 증기 터빈 시스템(70)에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3 지지봉(43)을 제5 지지봉으로서 적용해도 좋다.
이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3 지지봉(41∼43)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실시형태의 증기 터빈 시스템(70)에 적용함으로써,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관련된 특정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형·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1 지지봉(71)을 제4 지지봉으로 하여 제1 실시형태의 증기 터빈 시스템(10)에 적용해도 좋다. 이 경우,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1 지지봉(7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2 지지봉(72)을 제5 지지봉으로 하여, 제1 실시형태의 증기 터빈 시스템(10)에 적용해도 좋다. 이 경우,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2 지지봉(72)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증기 터빈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1: 지지면
10, 70: 증기 터빈 시스템
11: 증기 발생기
12: 증기 공급 라인
12A: 분기 라인
13: 고압 증기 터빈
14: 습분 분리 가열기
15A, 15B: 라인
16: 저압 증기 터빈
18: 터빈 로터
19: 발전기
21: 중간 몸통
21A: 유입구
21B: 유출구
21C: 유로
22: 신축 부재
23: 복수기
25: 터빈 가대
25A: 오목부
25Aa: 저면
25B: 지지부
31: 내차실
31A: 증기 도입구
31B, 33A: 공간
33: 외차실
41, 71: 제1 지지봉
41A, 42A, 43A, 71A, 72A: 일단
41B, 42B, 43B, 71B, 72B: 타단
42, 72: 제2 지지봉
43: 제3 지지봉
45, 46: 단판
45a, 46a, 47a, 48a, 51a, 53Aa: 내면
47: 저판
48: 천정판
51: 만곡판
53: 측판
53A: 상부
53B: 하부
53C: 삽입부
54: 보강 리브
54a: 대향면
55, 61: 개구부
56: 배기구
62: 콘부
Ax: 축선

Claims (14)

  1. 축선 주위로 회전하고, 또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터, 당해 로터를 수용하는 동시에 증기가 도입되는 내차실, 및 당해 내차실을 수용하는 동시에 횡방향 일방 측에 배기구가 형성되고, 또한 내부가 진공 상태로 된 외차실을 갖는 증기 터빈과,
    상기 외차실의 상기 횡방향 일방 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구를 통함으로써, 상기 증기가 공급되는 복수기와,
    상기 외차실 안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연재하는 제1 지지봉
    을 구비하며,
    상기 외차실은, 상기 로터의 축선이 연재하는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내차실과 대향하는 단판과, 상기 내차실의 상방에 배치되어 수평면을 따라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단판과 접속된 천정판과, 상기 천정판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수평면을 따라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단판과 접속된 저판과, 상기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와 대향하는 동시에 당해 배기구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외차실의 횡방향 타방 측에 배치된 상기 천정판의 단 및 상기 저판의 단, 및 상기 단판과 접속된 만곡판을 갖고,
    상기 제1 지지봉의 일단은, 상기 단판의 상반분의 내면 중, 상기 축선보다도 상기 횡방향 일방 측에 위치하는 면과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 지지봉의 타단은 상기 일단보다도 상기 외차실의 횡방향 타방 측에 배치된 상기 천정판의 내면과 접속되어 있는 증기 터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차실 안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연재하는 제2 지지봉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지지봉의 일단은, 상기 단판의 상반분의 내면 중, 상기 축선보다도 상기 횡방향 타방 측에 위치하는 면과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 지지봉의 타단은, 축선 방향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당해 제2 지지봉이 상기 외차실의 상하 방향에 대하여 평행이 되도록 상기 제2 지지봉의 일단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만곡판의 내면과 접속되어 있는 증기 터빈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차실 안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연재하는 제3 지지봉을 구비하고,
    상기 외차실은 상기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만곡판과 대향하는 동시에 상기 횡방향 일방 측에 배치된 상기 천정판의 단 및 상기 저판의 단, 및 상기 단판과 접속된 측판을 추가로 가지며,
    상기 제3 지지봉의 일단은 상기 측판의 내면과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3 지지봉의 타단은 당해 제3 지지봉의 일단보다도 상기 횡방향 타방 측에 위치하는 상기 천정판의 내면과 접속되어 있는 증기 터빈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차실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저판이 고정되는 터빈 가대와,
    상기 외차실 안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연재하는 제4 지지봉
    을 구비하며,
    상기 제4 지지봉의 일단은, 상기 단판의 하반분의 내면 중, 상기 로터의 축선보다도 상기 횡방향 타방 측의 면과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4 지지봉의 타단은 당해 제4 지지봉의 일단보다도 상기 외차실의 횡방향 타방 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4 지지봉의 일단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만곡판의 내면과 접속되어 있는 증기 터빈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차실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저판이 고정되는 터빈 가대와,
    상기 외차실 안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연재하는 제5 지지봉
    을 추가로 가지며,
    상기 외차실은 상기 저판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상기 단판의 내면과 대향하는 대향면을 포함하는 보강 리브를 갖고,
    상기 제5 지지봉의 일단은, 상기 단판의 하반분의 내면 중, 상기 축선보다도 상기 횡방향 일방 측의 면과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5 지지봉의 타단은 당해 제5 지지봉의 일단보다도 상기 외차실의 횡방향 타방 측에서, 또한 상기 제5 지지봉의 일단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보강 리브의 대향면과 접속되어 있는 증기 터빈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축선 방향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5 지지봉은 상기 제4 지지봉의 경사보다도 완만하게 경사하고 있는 증기 터빈 시스템.
  7. 축선 주위로 회전하고, 또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터, 당해 로터를 수용하는 동시에 증기가 도입되는 내차실, 및 당해 내차실을 수용하는 동시에 횡방향 일방 측에 배기구가 형성되고, 또한 내부가 진공 상태로 된 외차실을 갖는 증기 터빈과,
    상기 외차실의 상기 횡방향 일방 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구를 통함으로써, 상기 증기가 공급되는 복수기와,
    상기 외차실을 지지하는 터빈 가대와,
    상기 외차실 안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연재하는 제1 지지봉
    을 구비하며,
    상기 외차실은, 상기 로터의 축선이 연재하는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내차실과 대향하는 단판과, 상기 내차실의 상방에 배치되어 수평면을 따라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단판과 접속된 천정판과, 상기 천정판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수평면을 따라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단판과 접속된 저판과, 상기 로터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와 대향하는 동시에 당해 배기구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외차실의 횡방향 타방 측에 배치된 상기 천정판의 단 및 상기 저판의 단, 및 상기 단판과 접속된 만곡판을 갖고,
    상기 제1 지지봉의 일단은, 상기 단판의 하반분의 내면 중, 상기 로터의 축선보다도 상기 횡방향 타방 측의 면과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 지지봉의 타단은 당해 제1 지지봉의 일단보다도 상기 외차실의 횡방향 타방 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 지지봉의 일단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만곡판의 내면과 접속되어 있는 증기 터빈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차실은 상기 저판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또한 상기 단판의 내면과 대향하는 대향면을 포함하는 보강 리브를 갖고 있으며,
    상기 외차실 안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연재하는 제2 지지봉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지지봉의 일단은, 상기 단판의 하반분의 내면 중, 상기 축선보다도 상기 횡방향 일방 측의 면과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 지지봉의 타단은 당해 제2 지지봉의 일단보다도 상기 외차실의 횡방향 타방 측에서, 또한 상기 제2 지지봉의 일단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보강 리브의 대향면과 접속되어 있는 증기 터빈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축선 방향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봉은 상기 제1 지지봉의 경사보다도 완만하게 경사하고 있는 증기 터빈 시스템.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차실 안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연재하는 제3 지지봉을 구비하고,
    상기 제3 지지봉의 일단은, 상기 단판의 상반분의 내면 중, 상기 로터의 축선보다도 상기 횡방향 일방 측의 면과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3 지지봉의 타단은 상기 일단보다도 상기 외차실의 횡방향 타방 측에 배치된 상기 천정판의 내면과 접속되어 있는 증기 터빈 시스템.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차실 안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연재하는 제4 지지봉을 구비하고,
    상기 제4 지지봉의 일단은, 상기 단판의 상반분의 내면 중, 상기 축선보다도 상기 횡방향 타방 측의 면과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4 지지봉의 타단은, 축선 방향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당해 제4 지지봉이 상기 외차실의 상하 방향에 대하여 평행이 되도록 상기 만곡판의 하반분의 내면과 접속되어 있는 증기 터빈 시스템.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차실은 상기 만곡판과 대향하는 동시에 상기 횡방향 일방 측에 배치된 상기 천정판의 단, 상기 횡방향 일방 측에 배치된 상기 저판의 단, 및 상기 단판과 접속된 측판을 추가로 갖고,
    상기 외차실 안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연재하는 제5 지지봉을 구비하며,
    상기 제5 지지봉의 일단은 상기 측판의 내면과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5 지지봉의 타단은 당해 제5 지지봉의 일단보다도 상기 횡방향 타방 측에 위치하는 상기 천정판의 내면과 접속되어 있는 증기 터빈 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판은,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내차실을 협지하여 대향하도록 2개 배치되어 있는 증기 터빈 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차실은 상기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와 대향하는 측판을 갖고,
    상기 배기구는 상기 축선 방향으로 2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측판은 2개의 상기 배기구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증기 터빈 시스템.
KR1020197027546A 2017-07-13 2018-07-11 증기 터빈 시스템 KR1023835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37198A JP6884660B2 (ja) 2017-07-13 2017-07-13 蒸気タービンシステム
JPJP-P-2017-137198 2017-07-13
PCT/JP2018/026177 WO2019013250A1 (ja) 2017-07-13 2018-07-11 蒸気タービン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478A true KR20190116478A (ko) 2019-10-14
KR102383565B1 KR102383565B1 (ko) 2022-04-06

Family

ID=65002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7546A KR102383565B1 (ko) 2017-07-13 2018-07-11 증기 터빈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35256B2 (ko)
JP (1) JP6884660B2 (ko)
KR (1) KR102383565B1 (ko)
CN (1) CN110462167B (ko)
DE (1) DE112018001604B4 (ko)
WO (1) WO20190132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27756A (ja) * 2021-02-22 2022-09-01 三菱重工コンプレッサ株式会社 蒸気タービン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5505A (ja) * 2001-02-06 2002-08-23 Mitsubishi Heavy Ind Ltd 蒸気タービンの車室構造
JP2015124634A (ja) 2013-12-25 2015-07-0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蒸気タービン
JP2017096194A (ja) * 2015-11-25 2017-06-01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蒸気タービンの外部車室支持構造、蒸気タービンの外部車室、蒸気タービン、及び蒸気タービン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2598A (en) 1975-11-11 1978-07-25 Westinghouse Electric Corp. Single case low pressure turbine
DE19523923C2 (de) * 1995-06-30 2003-09-18 Alstom Niederdruck-Dampfturbine
US6971842B2 (en) * 2003-09-22 2005-12-06 General Electric Company Low pressure steam turbine exhaust hood
DE10353451A1 (de) * 2003-11-15 2005-06-16 Alstom Technology Ltd Dampfturbine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olchen Dampfturbine
CH698879B1 (de) * 2006-06-30 2009-11-30 Alstom Technology Ltd Strömungsmaschine.
JP5180652B2 (ja) * 2008-03-31 2013-04-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蒸気タービンの車室構造
JP5002610B2 (ja) 2009-03-25 2012-08-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タービン支持架台及びそれを用いた蒸気タービン設備
ITMI20091872A1 (it) * 2009-10-28 2011-04-29 Alstom Technology Ltd "sistema di involucri per una turbina a vapore"
EP2372111A1 (en) 2010-03-27 2011-10-05 Alstom Technology Ltd Low pressure turbine with two independent condensing systems
JP5499348B2 (ja) 2011-01-14 2014-05-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蒸気タービンの排気装置
CN203939533U (zh) * 2014-03-17 2014-11-12 杭州创博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汽轮机排汽缸
EP2921656B1 (en) * 2014-03-20 2019-05-08 Ansaldo Energia Switzerland AG Turbomachine and method for disassembling such a turbomachine
JP6235502B2 (ja) * 2015-01-27 2017-11-22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蒸気タービン設備
CN206016874U (zh) * 2016-08-29 2017-03-15 淮沪电力有限公司田集第二发电厂 电厂汽轮机低压缸加固装置
EP3299592B1 (en) * 2016-09-21 2020-03-18 Doosan Skoda Power S.r.o. Exhaust casing for a low pressure steam turbine system
JP6484284B2 (ja) 2017-05-10 2019-03-13 オークラ輸送機株式会社 指示装置、仕分システム、指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5505A (ja) * 2001-02-06 2002-08-23 Mitsubishi Heavy Ind Ltd 蒸気タービンの車室構造
JP2015124634A (ja) 2013-12-25 2015-07-0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蒸気タービン
JP2017096194A (ja) * 2015-11-25 2017-06-01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蒸気タービンの外部車室支持構造、蒸気タービンの外部車室、蒸気タービン、及び蒸気タービン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13250A1 (ja) 2019-01-17
KR102383565B1 (ko) 2022-04-06
CN110462167B (zh) 2022-03-29
US11035256B2 (en) 2021-06-15
DE112018001604B4 (de) 2023-12-07
US20210108538A1 (en) 2021-04-15
DE112018001604T5 (de) 2019-12-24
JP2019019715A (ja) 2019-02-07
JP6884660B2 (ja) 2021-06-09
CN110462167A (zh) 201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16478A (ko) 증기 터빈 시스템
RU2645510C2 (ru) Заготовка и моноблочный лопаточный модуль для промежуточного корпуса газотурбинного двигателя
CN101981279A (zh) 蒸汽轮机的机室构造
US20090178779A1 (en) Heat exchanger
WO2016093737A1 (ru) Парогенератор с горизонтальным пучком теплообменных труб и способ его сборки
CN103140652B (zh) 涡轮外部机室、涡轮外部机室用架台及涡轮外部机室用架台的施工方法
JP6087803B2 (ja) 蒸気タービン
US9102024B2 (en) Clearance increasing jig of heat transfer tube and additional installation method of vibration suppression member
JP2018084203A (ja) 蒸気タービン
JP6701052B2 (ja) 蒸気タービンシステム
US8596227B2 (en) Steam generator
JP4558513B2 (ja) 復水器及びその組立方法
JP6427436B2 (ja) タービン発電機基礎台、タービン建屋、およびタービン建屋の構築方法
JP6932722B2 (ja) 底部支持型ボイラ
CN102575477A (zh) 带有脚手架元件的脚手架系统和用于搭建脚手架系统的方法
CN107923611B (zh) 湿分分离器及蒸汽涡轮设备
JP5971709B2 (ja) 湿分分離加熱器及び原子力発電プラント
FI100206B (fi) Tukirakenne leijukerrospolttokattilaa varten
CN103354852A (zh) 干燥部的框架
JP5135196B2 (ja) 原子力発電所のタービン建屋
JP4408398B2 (ja) 原子力発電所のタービン建屋
RU2793872C1 (ru) Внутренний цилиндр низкого давления паровой турбины
JP2006152823A (ja) タービン建屋の配置構造
JP7112723B2 (ja) 工具棚
CN204041132U (zh) 汽轮机缸体及轴承模块和汽轮机之间的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