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3758A - 차량 시트용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용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3758A
KR20190113758A KR1020197015743A KR20197015743A KR20190113758A KR 20190113758 A KR20190113758 A KR 20190113758A KR 1020197015743 A KR1020197015743 A KR 1020197015743A KR 20197015743 A KR20197015743 A KR 20197015743A KR 20190113758 A KR20190113758 A KR 20190113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adjustment
base element
vehicle seat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5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9306B1 (ko
Inventor
베라 볼니크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Publication of KR20190113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2Thigh-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6Lumbar supports vertical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7Lumbar supports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bowed by applied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7Lumbar supports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bowed by applied forces
    • B60N2/6673Lumbar supports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bowed by applied forces with motor driven adjus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21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continuous pos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2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adjusting mechanisms, e.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86Side-rests
    • B60N2/99Side-rests adjustable
    • B60N2002/023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02/0288Adjustable seat wid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용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절 장치는 베이스 요소(1)와 이러한 베이스 요소의 양측에 배열된 조절 요소(2, 3) 및 지지 요소(5)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베이스 요소는 인접한 면(Y)에서 구동 장치를 통해 베이스 요소(1) 쪽으로 이동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베이스 요소의 반대쪽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지지 요소도 인접한 면(Y)에 배열되어 있고, 또 다른 구동 장치(6)를 통해 상기 베이스 요소(1) 및 조절 요소(2, 3)가 상기 지지 요소(5) 쪽으로 이동 또는 이러한 지지 요소의 반대쪽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요소(5)와 베이스 요소(1) 사이에 또 다른 구동 장치(6)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시트용 조절 장치
차량 시트용 조절 장치(adjustment device for a vehicle seat)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럼버 조절시(lumbar adjustment) 시트에 앉은 사람의 등 지지면(support surface)은 수직으로 배치되는 등받이(backrest) 내에서 개인에 맞는 최적의 시트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전후 및 상하로 조절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DE 102015120393 A1은 두 개의 조절 요소(adjustment element)가 구동 장치를 통해 베이스 요소(base element) 근접하도록 이동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베이스 요소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는 것을 공지하고 있다. 상기 두 개의 조절 요소는 상기 베이스 요소(이러한 베이스 요소의 위와 아래)의 양측에 배열되어 있고, 이러한 베이스 요소와 함께 대략 한쪽 면(plane)에 배치될 수 있다. 신축성 지지대(flexible support)는 두 개의 조절 요소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베이스 요소를 팽팽하게 한다. 상기 두 개의 조절 요소가 베이스 요소 쪽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신축성 지지대는 전술한 면에 대해 대략 수직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 인해, 등의 지지 면이 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조절 요소가 베이스 요소로부터 간격을 둘 경우, 상기 지지면은 후방으로 이동한다.
럼버 서포트(lumbar support)의 높이 조절을 위해, 지지 요소(support element)가 직간접적으로 등받이 프레임에 고정되며, 이러한 등받이 프레임은 DE 102015120393 A1에 따르면 또 다른 구동 장치를 통해 상단 조절 요소와 연결된다. 즉, 상기 조절 요소는 베이스 요소와 함께 상하로 이동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등 접촉면도 상하로 이동한다. 이러한 해결 방안은 지지 요소의 간격이 조절될 경우, 상기 지지 요소와 결합 된 조절 요소가 등받이 프레임에서 이동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상기 접촉 면이 전방으로 조절될 경우, 하단 지지 요소와 베이스 요소는 상단 조절 요소 쪽으로 이동해야 한다. 이것은 주행 방향(전후방)으로 조절시 접촉 면이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하도록 하며, (높이 조절을 위해) 또 다른 구동 장치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원치 않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WO 2011/057694 A1에 따른 해결 방안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상기 공보에서 베이스 요소와 하단 조절 요소가 일체형으로 실시되지만, 전술한 단점이 극복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류의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조절 장치는 한쪽을 조절할 때 다른 쪽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두 개의 공간 면에서 완전히 독립적으로 전후방 및 상하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청구항 1항에 기재된 특징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 장치를 통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상세한 내용은 종속항에서 설명된다.
상기 조절 장치는 두 개의 조절 요소를 구동하는 베이스 요소(base element)로 구성되고, 조절 이동은 일 측 공간 면에서 실시되며, 또한 상기 조절 장치는 지지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요소는 전술한 지지 요소에 의해 두 번째 공간 면에서 조절되며, 이때 두 개의 공간 면에서 이루어지는 조절은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상기 베이스 요소에 대해 조절 요소의 조절은 예를 들어, 주행 방향으로 차량 시트의 럼버(lumbar) 조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지지 요소를 기점으로 실시되는 베이스 요소의 조절은 상기 럼버의 높이 조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에 따라, 높이 변화없이 주행 방향으로 조절 및 주행 방향으로 조절 변화없이 높이 조절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 두 개의 조절 요소에 신축성 지지대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신축성 지지대는 일 측면에서 조절 요소를 조절할 때 이러한 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회전된다. 선택적으로, 각각의 조절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서포트 브래킷(support bracket)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서포트 브래킷은 상기 조절 요소가 이동할 때, 이러한 이동 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 방향으로 회전된다. 두 변형된 형태는 자체로 -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지지 요소와 연관된 것은 아님 - 공지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요소에 의한 조절 요소의 구동 및 상기 지지 요소에 의한 베이스 요소의 구동은 수동 또는 전기로 실시될 수 있다. 자체로 공지된 스핀들 구동 장치, 커플링 기어 또는 예를 들어 케이블 컨트롤 구동 장치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 장치를 통해 차량 시트의 등받이 럼버가 두 면에서 조절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럼버가 다른 조절 장치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머리 받침대가 상하 및 전후로 조절될 수 있으며, 발 받침대가 조절될 수 있거나, 또는 측면 서포트 또는 시트 깊이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내용은 실시 예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설명된다. 해당 도면 설명은 아래와 같다:
도 1은 선행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럼버-조절 장치를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조절 장치의 기능 원리를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 장치의 기능 원리를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럼버-조절 장치를 도시하고 있고;
도 5a-c는 또 다른 럼버-조절 장치를 세 가지 측면으로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 장치의 사용 가능성을 갖는 차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럼버-조절 장치는 베이스 요소(1) 및 이러한 베이스 요소의 양측에 배열된 조절 요소(2, 3)로 구성되며, 상기 조절 요소는 전기 구동 장치(4)를 통해 면(Y)에서 조절될 수 있고 - 정확하게 표현하면, 베이스 요소(1) 쪽으로 이동, 또는 이러한 베이스 요소의 반대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공지된 조절 장치는 지지 요소(5)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 요소도 마찬가지로 면(Y)에 배열되어 있다. 상기 지지 요소(5)에 또 다른 전기 구동 장치(6)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동 장치(6)를 통해 상기 지지 요소(5)가 이러한 지지 요소에 인접해 있는 조절 장치(3)와 결합 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베이스 요소(1)가 두 조절 요소(2, 3)와 함께 상기 지지 요소(5) 쪽으로 이동 또는 이러한 지지 요소의 반대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 요소(2, 3)는 신축성 지지대(7)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 요소(2, 3)가 겹쳐진 상태로 이동할 경우, 상기 지지대는 면(Y)에 대해 대략 수직 방향으로 조절/벤딩 된다. 여기서, 상기 럼버가 대략 주행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럼버는 또 다른 구동 장치를 통해 상하 조절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럼버 조절 장치의 조절 원리를 도시하고 있으며, 분명한 것은 두 조절 장치에서 조절은 서로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없다는 것이다. 또 다른 전기 구동 장치(6)가 작동되는 것이 아니라, 전기 구동 장치(4)를 통해 오직 신축성 지지대(7)만 주행 방향으로 조절되어야 할 경우, 시트 사용자의 등을 위한 접촉 지점(8) 높이도 불가피하게 변한다. 전술한 것은 원래 바람직하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 추후 조절되어야 한다. 연결 요소(9, 10)가 상기 지지 요소(5)와 조절 요소(3) 사이에 제공되는 것은 단점으로 작용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요소(11, 12)는 또 다른 구동 장치(6)의 구성 요소로서 제공되며, 상기 연결 요소는 지지 요소(5)를 베이스 요소(1)와 결합시킨다. 신축성 지지대(7)가 주행 방향 쪽 또는 주행 방향에 대해 반대쪽으로 조절될 경우, 상기 접촉 지점(8)의 높이는 변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럼버-조절 장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럼버-조절 장치는 차량의 등받이에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장치(13)는 전기 모터(14)로 구성되며, 맞은 편에 제공된 두 개의 나사 산 섹션을 구비한 스핀들(15)이 이러한 전기 모터에 배열되어 있다. 구동 장치는 상기 베이스 요소(1)에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베이스 요소(1)는 두 개의 조절 요소(2, 3)를 위한 가이드 부를 형성하며, 상기 두 개의 조절 요소는 이러한 조절 요소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 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스핀들(15)을 통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개의 조절 요소(2, 3)에는 신축성 지지대(7)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조절 요소(2, 3)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도면에서 아치형으로 굽은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조절 요소가 서로 반대쪽으로 이동할 경우 이완/느슨해 진다.
선행 기술에 공지되어 있는 것처럼, 상기 지지 요소(5)는 상기 베이스 요소(1) 및 조절 요소(2, 3) 위에 배열되어 있고, 시트 등받이 프레임(도시되어 있지 않음)과 연결되어 있다. 연결 부품(11, 12)은 상단 조절 요소(3)가 아니라, 베이스 요소(1)와 연결되어 있다. 이것은 상기 조절 요소(2, 3)를 조절할 때 접촉 지점(8)의 높이가 변하지 않도록 한다.
도 5a~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실시 형태에 동일한 장점이 제공된다. 여기서, 전기 모터(14)는 상기 베이스 요소(1)의 위쪽에 배열되어 있으며, 맞은 편에 제공된 2단 스핀들(15)을 작동시킨다. 상기 신축성 지지대(7)는 서포트 브래킷(16, 17)에 의해 지지 되고, 상기 조절 요소(2, 3) 이동시, 아치형으로 굽은 형태로 제공되고/이완된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상기 베이스 요소(1)와 연결된 구동 장치(4)는 상기 베이스 요소(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또 다른 구동 장치(6)와 연결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 장치의 사용 가능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차량 시트는 시트 면(18)과 등받이(19)를 구비한다. 조절 장치는 등받이(19)에서 럼버 조절 장치(20) 또는 등받이(19) 뒤에서 머리 받침대 조절 장치(21)로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시트 면(18) 영역에서 상기 조절 장치는 예를 들어, 측면 서포팅 조절 장치(22), 시트 깊이 조절 장치(23) 또는 발 받침대 조절 장치(24)(또한, 발 뒤꿈치 서포팅 조절 장치)로서 실시될 수 있다.

Claims (10)

  1. 베이스 요소(1)와 이러한 베이스 요소의 양측에 배열된 조절 요소(2, 3) 및 지지요소(5)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조절 요소는 인접한 면(Y)에서 구동 장치(4)를 통해 베이스 요소(1) 쪽으로 이동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베이스 요소의 반대쪽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지지 요소도 인접한 면(Y)에 배열되어 있고, 또 다른 구동 장치(6)를 통해 상기 베이스 요소(1) 및 조절 요소(2, 3)가 상기 지지 요소(5) 쪽으로 이동 또는 이러한 지지 요소의 반대쪽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되는 차량 시트용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5)와 베이스 요소(1) 사이에 또 다른 구동 장치(6)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신축성 지지대(7)는 두 개의 조절 요소(2, 3)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대(7)는 조절 요소(2, 3)가 이동할 때, 면(Y)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요소(2, 3)는 적어도 하나의 서포트 브래킷(16, 17)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서포트 브래킷은 조절 요소(2, 3)가 이동할 때, 면(Y)에 대해 대략 수직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4) 및/또는 또 다른 구동 장치(6)는 수동 또는 전기 스핀들 구동 장치, 커플링 기어, 케이블 컨트롤 구동 장치, 또는 전술한 것으로부터 결합 된 구동 장치로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면(Y)은 차량 시트 사용자의 등 부분 지지 면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차량 시트의 등받이에 놓여 있고, 상기 조절 장치는 럼버-지지대(2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요소(1)는 면(Y)에서 상기 지지 요소(5) 아래에 배열되어 있고, 조절 요소(2, 3)는 상기 베이스 요소(1)의 위와 아래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요소(1)는 면(Y)에서 상기 지지 요소(5)의 아래에 배열되어 있고, 조절 요소는 상기 베이스 요소(1)의 좌우 측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면(Y)은 대략 차량 시트 사용자의 머리 지지 면에 대래 대략 평행하게 차량 시트의 머리 받침대에 놓여 있고, 머리 받침대 조절 장치(21)로서 상기 조절 장치는 지지면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면(Y)은 차량 시트의 시트면(18) 아래에서 대략 수직 방향으로 놓여 있고, 발 받침대 조절 장치(24)로서 조절 장치는 차량 시트의 발 받침대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면(Y)은 등 받침대(19)의 측면 에지 또는 차량 시트의 시트 면(18)의 에지 영역에 놓여 있고, 측면 서포팅 조절 장치(22)로서 조절 장치는 측면 서포팅 위치 또는 시트 깊이 조절 장치(23)로서 조절 장치는 차량 시트의 시트 깊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장치.
KR1020197015743A 2017-03-20 2018-03-19 차량 시트용 조절 장치 KR1022193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05920.2 2017-03-20
DE102017105920.2A DE102017105920A1 (de) 2017-03-20 2017-03-20 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PCT/EP2018/056641 WO2018172199A1 (de) 2017-03-20 2018-03-19 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758A true KR20190113758A (ko) 2019-10-08
KR102219306B1 KR102219306B1 (ko) 2021-02-24

Family

ID=61837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743A KR102219306B1 (ko) 2017-03-20 2018-03-19 차량 시트용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219306B1 (ko)
DE (1) DE102017105920A1 (ko)
WO (1) WO20181721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44026B2 (ja) * 2020-11-04 2024-03-0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45489A1 (en) * 2012-11-29 2014-05-29 Daimay North America Automotive, Inc. Four-way adjustable headrest
KR20140076782A (ko) * 2012-12-13 2014-06-23 이향호 풋레스트 장치
KR101470213B1 (ko) * 2013-10-17 2014-12-08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101664697B1 (ko) * 2015-06-02 2016-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41559A1 (de) * 1975-09-18 1977-03-24 Bama Bueroeinrichtungs Ges Mbh Rueckenstuetze fuer sitze aller art
JPH0534958U (ja) * 1991-10-21 1993-05-14 株式会社タチエス 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US6056360A (en) * 1996-06-17 2000-05-02 American Components, Inc. Adjustable lumbar seat support
DE29706398U1 (de) * 1997-04-10 1997-05-22 Megaplast Sa Rückenstütze für Lehnen,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sitzen
WO2003031222A1 (en) * 2001-10-11 2003-04-17 L & P Property Mangement Company Power lumbar mechanism
EP1590196B1 (en) * 2003-01-22 2011-11-02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An automatically actuating ergonomic support system for a fold down seat
DE102008047249A1 (de) * 2008-09-10 2010-03-11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Rückenlehnenstruktur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EP2476343B1 (en) 2009-11-16 2013-09-18 Schukra Gerätebau GmbH Adjusting device for a lumbar support and method of adjusting a lumbar support
KR101199909B1 (ko) * 2010-02-12 2012-11-09 (주)디에스시 4방향 조절이 가능한 럼버서포트 장치
DE102010061788A1 (de) * 2010-11-23 2012-05-2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orrichtung zur Einstellung einer Lordosenstütze
KR20120119281A (ko) * 2011-04-21 2012-10-31 (주)디에스시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KR20130012317A (ko) * 2011-07-25 2013-02-04 (주)디에스시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EP2626239A1 (en) * 2012-02-10 2013-08-14 Schukra Gerätebau GmbH Lumbar support device for a ventilated seat
FR3005008B1 (fr) * 2013-04-26 2015-07-17 Faurecia Sieges Automobile Siege de vehicule comportant un nez d'assise ajustable
KR101592754B1 (ko) * 2014-08-22 2016-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럼버 서포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45489A1 (en) * 2012-11-29 2014-05-29 Daimay North America Automotive, Inc. Four-way adjustable headrest
KR20140076782A (ko) * 2012-12-13 2014-06-23 이향호 풋레스트 장치
KR101470213B1 (ko) * 2013-10-17 2014-12-08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101664697B1 (ko) * 2015-06-02 2016-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72199A1 (de) 2018-09-27
DE102017105920A1 (de) 2018-09-20
KR102219306B1 (ko)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7102199A (ru) Узел сидень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для мотор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и спинка сиденья для мотор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04442466B (zh) 机动车儿童安全座椅
JP2015098194A5 (ko)
KR101672718B1 (ko) 4-방향 럼버 서포트
US9751429B2 (en) Device for adjusting the seat length for a motor vehicle seat and seat comprising such a device
US7819474B2 (en) Adjustable thigh support for a motor vehicle seat
KR101601535B1 (ko) 헤드레스트 장치
US20150157526A1 (en) Massage apparatus for massage chair
KR101592754B1 (ko) 자동차의 럼버 서포트 장치
US20080157578A1 (en) Adjustable Thigh Support for Automobile Seat Via Adjustment Plate
KR101576377B1 (ko) 헤드레스트 리클라이닝 모듈
US10160361B2 (en) Four-way electric power actuation head restraint
KR20210072923A (ko)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
KR20190066673A (ko) 차량용 릴렉스 시트
JP2013244862A (ja) アームレスト装置
US20190046385A1 (en) Massage apparatus for massage chair and having massage device
CN105034894A (zh) 动力头枕电连接器
KR20190113758A (ko) 차량 시트용 조절 장치
CN204687872U (zh) 一种多功能汽车座椅
KR101600199B1 (ko)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WO2012043120A1 (ja) リクライニング椅子およびこれを備える椅子式マッサージ機
KR101724915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CN109311413A (zh) 车辆座椅的头枕控制装置及方法
CN104325898B (zh) 汽车座椅前后位置调节装置
KR101547275B1 (ko) 의자용 팔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