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2317A -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2317A
KR20130012317A KR1020110073430A KR20110073430A KR20130012317A KR 20130012317 A KR20130012317 A KR 20130012317A KR 1020110073430 A KR1020110073430 A KR 1020110073430A KR 20110073430 A KR20110073430 A KR 20110073430A KR 20130012317 A KR20130012317 A KR 20130012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upled
support
support assembly
spi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찬기
Original Assignee
(주)디에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에스시 filed Critical (주)디에스시
Priority to KR1020110073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2317A/ko
Priority to PCT/KR2011/005593 priority patent/WO2013015474A1/ko
Publication of KR20130012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3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7Lumbar supports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bowed by applied for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2Thigh-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6Lumbar supports vertical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7Lumbar supports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bowed by applied forces
    • B60N2/6673Lumbar supports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bowed by applied forces with motor driven adjus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럽버 서포트 어셈블리는 자동차 시트 내부의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척추 및 등 부위를 지지하는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고정와이어와 크로스와이어로 구성되며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되는 와이어부와, 상기 크로스와이어에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컴포트매트와, 상기 고정와이어에 구비되며, 상기 컴포트매트를 탑승자의 등 부위를 향해 회동시키는 회동수단과, 상기 회동수단을 상기 고정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4-Way Lumbar Support Assembly}
본 발명은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차량 시트 내부의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하방향 승강 가능하고, 탑승자의 등 및 허리부위를 향해 회동하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내부에는 탑승자가 앉을 수 있도록 시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시트는 탑승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시트 쿠션과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 탑승자의 팔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암레스트 및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로 이루어진다.
그 중 본 발명과 관련이 있는 시트백을 자세히 살펴보면, 시트백의 내부에는 시트백의 뼈대가 되는 시트백 프레임이 설치되고, 시트백 프레임의 내부에는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가 설치된다.
이때,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는 차량운행중 탑승자의 피로를 줄이기 위해 탑승자의 척추 형상에 맞출 수 있도록 가변형 구조를 가진다.
종래의 가변형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를 살펴보면, 시트백 프레임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봉에 돌출부를 형성한 뒤, 이 돌출부에 탑승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컴포트매트를 설치하여, 시트에 앉은 탑승자의 자세에 따라 회전봉이 회전하면서 컴포트매트를 시트백 프레임의 전후로 이동시켜 탑승자의 등 및 허리를 받쳐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변형 럼버 서포트 구조는, 회전봉의 설치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탑승자가 자신의 신체에 맞게 컴포트매트의 변형을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불편이 있다.
또한, 다수의 부품들에 의해 조립·제작됨으로써 고장 발생율이 높고, 제작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차량운행중 도로사정이나 교통상황 등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과 충격이, 돌출부를 통해 탑승자의 허리부위에 전달되면서, 탑승자가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되거나 부상발생의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탑승자가 회동수단과 승강수단을 통해 자신의 신체 조건에 알맞게 컴포트매트의 변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이 용이한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차 시트 내부의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척추 및 등 부위를 지지하는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고정와이어와 크로스와이어로 구성되며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되는 와이어부와, 상기 크로스와이어에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컴포트매트와, 상기 고정와이어에 구비되며, 상기 컴포트매트를 탑승자의 등 부위를 향해 회동시키는 회동수단과, 상기 회동수단을 상기 고정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상기 고정와이어의 양측 길이 방향 소정위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클립이 구비하되, 상기 고정와이어의 상부와 하부 소정 위치에는 폭 방향을 따라 상부 및 하부가이드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가이드브라켓의 양단에는 역 'U'자 형상의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이동클립에 양단이 결합되고, 중심부 양측면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한 쌍의 홀더결합부를 구비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축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핀들축과, 상기 스핀들축의 일단에 결합되어 스핀들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스핀들축 상에 서로 이격하여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스핀들너트와, 상기 홀더결합부에 설치된 한 쌍의 홀더에 서로 대칭되게 결합되는 지지와이어를 구비하되, 상기 지지와이어는 상기 스핀들너트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일측 단부가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핀들축 상에는 오른나사산과 왼나사산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와이어는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폐쇄부가 형성된 'ㄷ'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상기 지지와이어의 개방부 양단은 상기 한 쌍의 홀더결합부에 각각 끼움결합되는 와이어홀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폐쇄부는 상기 개방부로부터 소정 곡률로 상향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하부가이드브라켓의 상면 소정 위치에 형성된 결합부에 결합되는 구동부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 중심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고정너트와, 상기 구동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너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탑승자가 자신의 신체 조건에 맞게 컴포트 매트의 변형의 조절하여 탑승자의 등 및 허리부위를 체형에 맞게 지지하여 장시간 운행시 탑승자의 피로를 줄일 수있으며, 차량 주행중 럼버 서포트에 가해지는 진동과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탑승자의 부상방지와 함께 쾌적한 주행환경을 제공하며, 간단한 구조로서 제작비용과 시간을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이동수단의 작동에 의한 회동수단이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회동수단의 작동에 의한 지지와이어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이동수단의 작동에 의한 지지수단이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지지수단의 작동에 의한 지지와이어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100)는 고정와이어(112)와 크로스와이어(114)로 구성되며 시트백프레임에 고정되는 와이어부(110)와, 크로스와이어(114)에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컴포트매트(130)와, 고정와이어(112)에 구비되며, 컴포트매트(130)를 탑승자의 등 부위를 향해 회동시키는 지지수단(140)과, 지지수단(140)을 고정와이어(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160)으로 구성된다.
고정와이어(112)는 소정 굵기의 와이어가 절곡되어 전체적으로 상단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에 구비된 고정클립(122)에 의해 시트백프레임에 결합된다.
이때, 고정와이어(112)의 하단은 시트백프레임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단은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개방된 상단에는 크로스와이어(114)가 행거클립(124)에 의해 결합된다.
고정와이어(112)의 양측 길이 방향 소정 위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클립(116)이 고정와이어(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 이동클립(116)에는 후술하는 지지수단(140)의 베이스플레이트(142)가 결합된다.
또한, 고정와이어(112)의 상부와 하부 소정 위치에는 폭 방향을 따라 상부 및 하부가이드브라켓(118, 120)이 마련되며, 상부 및 하부가이드브라켓(118, 120)의 양단에는 고정와이어(112)의 양측에 삽입될 수 있게 역 'U' 자 형상의 절곡부(118a, 120a)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및 하부가이드브라켓(118, 120)은 지지수단(140)의 승하강 거리를 제한한다.
크로스와이어(114)는 직선형의 몸체에 양단이 절곡되어 결합부(114a)를 형성하고, 몸체는 고정와이어의 상단에 결합되며, 결합부(114a)는 시트백프레임의 양쪽 측면에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크로스와이어(114)의 양단에 형성되어있는 결합부(114a)는 시트백프레임과 용이하게 고정되기 위한 것으로, 결합형태에 따라 결합부(114a)의 형상은 변경되거나 생략될 수 있음 물론이다.
컴포트매트(130)는 크로스와이어(114)에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피봇 결합되어, 차량 탑승자의 척추 및 등 부위를 지지한다.
이러한, 컵포트매트(130)는 중앙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고, 컴포트매트(130)의 상부 양측은 크로스와이어(114)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132)가 형성되며, 합성수지의 재질로 제작된다.
지지수단(140)은 고정와이어(112)에 설치되어 컴포트매트(130)의 후방에 설치되며,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컴포트매트(130)를 탑승자의 등 부위를 향해 회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지지수단(140)은 이동클립(116)에 양단이 결합되고, 중심부 양측면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한 쌍의 홀더결합부(142a)를 구비하는 베이스플레이트(142)와, 베이스플레이트(142)의 상면에 축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핀들축(144)과, 스핀들축(144)의 일단에 결합되어 스핀들축(144)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46)와, 스핀들축(144) 상에 서로 이격하여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스핀들너트(148)와, 홀더결합부(142a)에 설치된 한 쌍의 홀더(150)에 회동 가능하게 서로 대칭되게 결합되는 지지와이어(152)를 구비한다.
여기서, 베이스플레이트(142)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얇은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구조로 이루어지며, 탑승자의 허리 위치에 대응되도록 고정와이어(112)의 양측에 고정와이어(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클립(116)에 양단이 결합된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142)의 바닥면에는 지지와이어(152)의 일측이 수용되도록, 지지와이어(152)의 곡률 형상에 대응하여 원호 형상의 홈(142b)이 형성된다.
스핀들축(144)의 일단에는 스핀들축(144)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46)가 결합되고, 이 구동부(146)는 기어박스어셈블리(146a)와 구동모터(146b)로 구성되며, 스핀들축(144)은 구동부(146)의 작동에 의해 정, 역회전한다.
또한, 스핀들축(144) 상에는 한 쌍의 스핀들너트(148)가 서로 이격하여 나사결합되고, 스핀들너트(148)는 스핀들축(144)의 회전에 의해 스핀들축(14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한 쌍의 스핀들너트(148)가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스핀들축(144) 상에 오른나사산과 왼나사산이 스핀들축(144)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핀들축(144)이 정회전하면, 한 쌍의 스핀들너트 중 도면상 왼쪽의 스핀들너트는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도면상 오른쪽의 스핀들너트는 왼쪽으로 이동하여 서로 가까워지며, 스핀들축이 역회전하면, 한 쌍의 스핀들너트 중 도면상 왼쪽의 스핀들너트는 왼쪽으로 이동하고, 도면상 오른쪽의 스핀들너트는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서로 멀어지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스핀들너트(148)가 서로 가까워지고 멀어짐에 따라, 지지와이어(152)의 일측 단부가 탑승자의 등 부위를 향해 회동하게 되고, 지지와이어(152)의 일면에 지지되는 컴포트매트(130)는 상단이 고정와이어(112)에 피봇 결합된 상태로 탑승자의 등 부위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스핀들축(144)과 스핀들너트(148)는 금속 또는 가벼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와이어(152)는 한 쌍의 스핀들너트(148) 사이에 대향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ㄷ'자 형상의 폐쇄부가 형성된다.
지지와이어(152)의 개방부 양단은 베이스플레이트(142)에 형성된 한 쌍의 홀더결합부(142a)에 각각 끼움결합되어 있는 와이어홀더(15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폐쇄부는 개방부로부터 소정 곡률로 상향 절곡되어 양쪽의 스핀들너트(148)에 각각 인접된다.
여기서, 지지와이어(152)의 일측은 스핀들너트(148)의 상측에 지지되며, 스핀들너트(148)에는 지지와이어(152)의 회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148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홈(148a)은 스핀들너트(148)의 상면 내측 모서리 부분에서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스핀들너트(148)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지지와이어(152)는 스핀들너트(148)에 형성된 가이드홈(148a)을 따라 이동하며, 지지와이어(152)의 곡률 형상에 의해 개방부의 양단을 중심으로 폐쇄부가 회동하게 된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초기상태에서는 한 쌍의 스핀들너트(148)가 서로 멀리 떨어져 있어 지지와이어(152)의 하단이 베이스플레이트(142)의 바닥면에 형성된 홈(142b)에 수용된 상태로 지지와이어(152)의 폐쇄부가 스핀들축(144)에 인접되게 위치되며, 구동부(146)의 작동에 의해 스핀들축(144)이 정회전하면, 한 쌍의 스핀들너트(148)가 서로 가까워지면서 지지와이어(152)가 가이드홈(148a)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지지와이어(152)는 개방부에서 폐쇄부로 갈수록 소정 곡률로 상향 절곡되어 있으므로, 지지와이어(152)의 폐쇄부가 상승하게 된다.
이동수단(160)은 하부가이드브라켓(120)의 상면 소정 위치에 형성된 결합부(120b)에 결합되어 전술한 지지수단(140)을 고정와이어(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시킨다.
이러한, 이동수단(160)은 하부가이드브라켓(120)의 결합부(120b)에 결합되는 구동부(162)와, 전술한 지지수단(140)의 베이스플레이트(142) 하부 중심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고정너트(164)와, 구동부(162)의 일측에 결합되어 고정너트(16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축(166)으로 구성된다.
구동부(162)는 기어박스어셈블리(162a)와 승강모터(162b)로 구성되며, 구동축(166)은 구동부(162)의 작동에 의해 정, 역회전한다.
즉, 승강모터(162b)가 정회전 하게 되면 구동축(166)도 정회전하게 되고, 고정너트(164)는 구동축(16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너트(164)가 고정되게 결합된 베이스플레이트(142)가 고정와이어(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므로 지지수단(140)도 함께 이동된다.
또한, 승강모터(162b)가 역회전 하게 되면 구동축(166)도 역회전하게 되고, 고정너트(164)는 구동축(166)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너트(164)가 고정되게 결합된 베이스플레이트(142)가 고정와이어(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므로 지지수단(140)도 함께 이동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탑승자가 이동수단(160)의 구동부(162)를 작동시켜 지지수단(140)을 고정와이어(112)의 길이 방향 소정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후, 탑승자가 지지수단(140)의 구동부(146)를 작동시키면, 스핀들축(144)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되고, 한 쌍의 스핀들너트(148)는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슬라이드 이동된다.
즉, 한 쌍의 스핀들너트(148)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면, 스핀들너트(148)의 상측 모서리에 일측이 지지된 지지와이어(152)는 그 곡률형상으로 인해 폐쇄부가 상승하여 컴포트매트(130)를 탑승자의 등 부위를 향해 밀게 된다.
이에 따라, 컴포트매트(130)는 크로스와이어(114)에 피봇 결합된 상단을 중심으로 컴포트매트(130)의 하단이 탑승자의 등 및 허리부위를 향해 이동하게 되며, 컴포트매트(130)는 탑승자의 등 및 허리부위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되면서 탑승자의 등 및 허리부위를 밀착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에 의하면, 탑승자가 자신의 신체 조건에 맞게 컴포트 매트의 변형의 조절하여 탑승자의 등 및 허리부위를 체형에 맞게 지지하여 장시간 운행시 탑승자의 피로를 줄일 수있으며, 차량 주행중 럼버 서포트에 가해지는 진동과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탑승자의 부상방지와 함께 쾌적한 주행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와이어부 146a: 기어박스어셈블리
112: 고정와이어 146b: 구동모터
114: 크로스와이어 148: 스핀들축
114a: 결합부 148a: 가이드홈
116: 이동클립 150: 홀더
118: 상부가이드브라켓 152: 지지와이어
118a: 절곡부 160: 이동수단
120: 하부가이드브라켓 162: 구동부
120a: 절곡부 162a: 기어박스어셈블리
122: 고정클립 162b: 승강모터
124: 행거클립 164: 고정너트
130: 컴포트매트 166: 구동축
132: 결합부
140: 지지수단
142: 베이스플레이트
142a: 홀더결합부
142b: 홈
144: 스핀들축
146: 구동부

Claims (7)

  1. 자동차 시트 내부의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척추 및 등 부위를 지지하는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고정와이어와 크로스와이어로 구성되며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되는 와이어부;
    상기 크로스와이어에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컴포트매트; 및
    상기 고정와이어에 구비되며, 상기 컴포트매트를 탑승자의 등 부위를 향해 회동시키는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을 상기 고정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와이어의 양측 길이 방향 소정위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클립이 구비하되,
    상기 고정와이어의 상부와 하부 소정 위치에는 폭 방향을 따라 상부 및 하부가이드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가이드브라켓의 양단에는 역 'U'자 형상의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이동클립에 양단이 결합되고, 중심부 양측면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한 쌍의 홀더결합부를 구비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축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핀들축과;
    상기 스핀들축의 일단에 결합되어 스핀들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스핀들축 상에 서로 이격하여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스핀들너트; 및
    상기 홀더결합부에 설치된 한 쌍의 홀더에 서로 대칭되게 결합되는 지지와이어를 구비하되,
    상기 지지와이어는 상기 스핀들너트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일측 단부가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축 상에는 오른나사산과 왼나사산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와이어는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폐쇄부가 형성된 'ㄷ'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와이어의 개방부 양단은 상기 한 쌍의 홀더결합부에 각각 끼움결합되는 와이어홀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폐쇄부는 상기 개방부로부터 소정 곡률로 상향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하부가이드브라켓의 상면 소정 위치에 형성된 결합부에 결합되는 구동부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 중심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고정너트와, 상기 구동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너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KR1020110073430A 2011-07-25 2011-07-25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KR2013001231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430A KR20130012317A (ko) 2011-07-25 2011-07-25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PCT/KR2011/005593 WO2013015474A1 (ko) 2011-07-25 2011-07-29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430A KR20130012317A (ko) 2011-07-25 2011-07-25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317A true KR20130012317A (ko) 2013-02-04

Family

ID=47601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430A KR20130012317A (ko) 2011-07-25 2011-07-25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012317A (ko)
WO (1) WO201301547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754B1 (ko) * 2014-08-22 2016-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럼버 서포트 장치
US9796309B2 (en) 2015-06-02 2017-10-24 Hyundai Motor Company Lumbar support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05920A1 (de) * 2017-03-20 2018-09-2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KR20200123569A (ko) * 2019-04-22 2020-10-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럼버 서포트 장치
EP4063191B1 (en) * 2021-03-26 2024-01-03 Fico Cables Lda Lumbar suppor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958U (ja) * 1991-10-21 1993-05-14 株式会社タチエス 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KR101006730B1 (ko) * 2008-07-22 2011-01-10 (주)디에스시 럼버서포트 장치
KR101078232B1 (ko) * 2008-12-04 2011-11-01 대동모벨시스템 주식회사 시트 등받이 조절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754B1 (ko) * 2014-08-22 2016-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럼버 서포트 장치
US9415714B2 (en) 2014-08-22 2016-08-16 Hyundai Motor Company Lumber support apparatus for vehicle
US9796309B2 (en) 2015-06-02 2017-10-24 Hyundai Motor Company Lumbar support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15474A1 (ko) 201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1011B2 (en)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US9126508B2 (en) Upper seatback pivot system
KR101664697B1 (ko)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KR20130012317A (ko)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KR101592754B1 (ko) 자동차의 럼버 서포트 장치
CN105480123A (zh) 扭杆上部座椅靠背支撑总成
US11338714B2 (en) Vehicle seat with cantilevered headrest assembly and positioning system
US9315130B2 (en) Articulating head restraint
JPH1059037A (ja) 傾動可能な背部を有するチャイルドシート
JP2015098194A5 (ko)
KR102441388B1 (ko) 차량의 시트쿠션 틸팅장치
US20050017561A1 (en) Seat, seat recliner mechanism, and seat recliner system
CN105480124A (zh) 手动的上部座椅靠背支撑件
JP5613838B2 (ja) 車両座席用ヘッドレスト
KR101724915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KR101220939B1 (ko) 럼버서포트 어셈블리
KR101440147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20120119281A (ko)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KR101220944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
KR20120047421A (ko)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JP2018039459A (ja) 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
KR200482595Y1 (ko) 시트백 틸팅 장치
JP6932697B2 (ja) 車両シート
CN217048375U (zh) 一种座椅骨架
CN215663086U (zh) 一种汽车后排座椅扶手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