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1345A - 글러브 타입 수관절 치료장치 - Google Patents

글러브 타입 수관절 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1345A
KR20190111345A KR1020180033367A KR20180033367A KR20190111345A KR 20190111345 A KR20190111345 A KR 20190111345A KR 1020180033367 A KR1020180033367 A KR 1020180033367A KR 20180033367 A KR20180033367 A KR 20180033367A KR 20190111345 A KR20190111345 A KR 20190111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air
disposed
airbag
thim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2280B1 (ko
Inventor
김국한
하정훈
윤훈희
Original Assignee
(주)대성마리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마리프 filed Critical (주)대성마리프
Priority to KR1020180033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280B1/ko
Priority to PCT/KR2018/004079 priority patent/WO2019182188A1/ko
Priority to CN201920349505.7U priority patent/CN210138291U/zh
Publication of KR20190111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61H1/0285Hand
    • A61H1/0288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2001/0207Nutating movement of a body part around its arti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09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61H2201/1638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6Control means thereof pneumatically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61H2205/065H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손가락(F)의 상부에 배치되는 베이스부(111)와, 상기 베이스부(111)의 하부에 장착되며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손가락(F) 둘레에 삽입되면서 손가락(F)의 몸통부분을 지지하는 탄성재질의 밴드부(112) 및, 상기 베이스부(111)의 하부에 장착되며 골무형상으로 형성되어 손가락(F)의 첫째마디가 내부에 삽입되면서 손가락(F)의 끝부분을 지지하는 골무부(113)를 포함하는 손가락 지지부(110); 각 골무부(113)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면 경직된 손가락(F)들의 간격이 측방으로 벌어지도록 팽창하며 주입된 공기가 배출되면 벌어진 간격이 좁아지도록 수축하는 측팽창 에어백(120); 및 상기 측팽창 에어백(120)과 에어튜브(131)로 연결되어 각 측팽창 에어백(120)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압발생기(130);를 포함하는 글러브 타입 수관절 치료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글러브 타입 수관절 치료장치{GLOVE TYPE HAND JOINT REHABILIT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글러브 타입 수관절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관절이 경직되어 손가락이 접힌 상태에서 펴지지 않는 고도 경직환자의 수관절을 재활치료하는데 이용되는 글러브 타입 수관절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뇌졸증, 뇌손상 또는 뇌성마비 등과 같이 중추신경계가 손상을 입은 경우 마비를 동반한 운동장애가 발생하여 관절이 경직되면서 손가락, 팔 또는 다리 등의 마비부위를 접고 펴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관절 경직증상은 신경발달치료 접근법을 이용하여 재활치료사와 일대일 운동치료를 통해 치료하거나, 경직부위를 재활치료 기구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강제로 동작시키는 방식으로 치료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종래 특허문헌으로서, 본 출원인이 2014년 2월 24일자에 출원하여 2014년 12월 4일에 등록받은 특허등록공보 제10-1471804호(손 운동장치)를 들 수 있다.
해당 특허문헌에서는 "공압에 의하여, 오른손 또는 왼손의 5개의 손가락이 서로 벌어지지 않고 오무려진 상태로 경직된 경직 환자의 5개의 손가락이 서로 벌어지거나 오무려지도록 운동시키는 손 운동장치로서, 상기 손 운동장치는, 상기 5개의 손가락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손가락 고정용 장갑; 및 상기 손가락 고정용 장갑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기 5개의 손가락이 서로 벌어지거나 오무려지도록, 상기 손가락 고정용 장갑의 일면에 부착되는 수축이완용 에어백;을 포함하고, 상기 수축이완용 에어백은, 상기 공압이 유입되고 배출되는 에어백부; 및 상기 에어백부의 공압이 배출되는 경우, 상기 5개의 손가락이 오무려지도록 하는 탄성부재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손 운동장치에 의하면, 고도 경직에 의한 운동 장치 고정 및 운동 범위 확보를 위하여 부드럽고 작은 부피의 수축이완용 에어백을 이용하여 손쉽게 착용이 가능하도록 왼손 또는 오른손의 5개의 손가락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손가락 고정용 장갑의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라고 개시하고 있다.
한편, 수관절이 경직된 경직환자는 수관절의 일부를 제한적으로 움직일 수 있거나 일부 손가락을 쥐고 펴는 동작을 할 수 있는 일반 경직환자와 수관절의 경직상태가 심하여 손가락이 접힌 상태로 굳어져 펴지지 않는 고도 경직환자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종래 특허문헌에서 개시된 손 운동장치와 같이 손가락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손가락 고정용 장갑이 손가락 전체가 삽입되는 길이로 연장형성되는 경우, 일반 경직환자를 대상으로 재활치료할 수 있으나 고도 경직환자는 손가락을 펼 수 없어 손가락을 손가락 고정용 장갑에 끼울 수 없기 때문에 재활치료가 제한될 뿐만 아니라 펴지지 않는 관절부분을 무리하게 펴려고 움직임이 큰 동작을 시도하는 경우 인대나 근육이 파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71804(2014.12.04), 손 운동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의 손가락이 접히고 펴지는 해부학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손가락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최적화 구조로 이루어져 접힌 상태로 굳어져 펴지지 않는 고도 경직환자의 손가락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는 글러브 타입 수관절 치료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글러브 타입 수관절 치료장치는, 각 손가락(F)의 상부에 배치되는 베이스부(111)와, 상기 베이스부(111)의 하부에 장착되며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손가락(F) 둘레에 삽입되면서 손가락(F)의 몸통부분을 지지하는 탄성재질의 밴드부(112) 및, 상기 베이스부(111)의 하부에 장착되며 골무형상으로 형성되어 손가락(F)의 첫째마디가 내부에 삽입되면서 손가락(F)의 끝부분을 지지하는 골무부(113)를 포함하는 손가락 지지부(110); 각 골무부(113)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면 경직된 손가락(F)들의 간격이 측방으로 벌어지도록 팽창하며 주입된 공기가 배출되면 벌어진 간격이 좁아지도록 수축하는 측팽창 에어백(120); 및 상기 측팽창 에어백(120)과 에어튜브(131)로 연결되어 각 측팽창 에어백(120)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압발생기(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띠형상으로 이루어져 손목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며 외부면에는 제1고정부(141)가 구비된 손목랩부(140); 및 상기 골무부(113)에 일단이 고정된 끈형상으로 이루어져 후방으로 당겨지면서 굽어진 손가락(F)이 펴지도록 가압하고, 타단에는 상기 제1고정부(14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고정부(151)가 구비되어 손가락(F)의 펴진 상태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견인줄(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141)와 제2고정부(151)는 상호 암수구조의 벨크로로 각각 이루어지고, 상기 제1고정부(141)는 상기 손목랩부(140)의 상부면 전체 또는 외부면 전체에 배치되어, 배치된 면적 내에서 상기 제2고정부(151)가 임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목랩부(140)는 전방측 단부가 전방으로 확장되면서 손등의 일부면적을 커버하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튜브(131) 또는 측팽창 에어백(120)에는 암수구조로 체결되는 커넥터(132)가 장착되어 상기 측팽창 에어백(120)이 공압발생기(130)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할 수 있다.
또한, 후방측에 배치되어 피치료자의 하완 하부를 지지하는 하완안착부(161)와, 상기 하완안착부(161)에 안착된 하완을 고정시키는 하완고정부(162)와, 상기 하완안착부(161)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손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하완안착부(161)와 인접한 후단에 대하여 전단이 상하로 승강 가능한 손안착부(163) 및, 상기 손안착부(163)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압발생기(130)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내부로 주입되면 상기 손안착부(163)의 전단이 상승하도록 팽창하며 주입된 공기가 배출되면 상승한 손안착부(163)의 전단이 하강하도록 수축하는 제1상팽창 에어백(164)을 포함하는 손목재활기(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목재활기(160)는, 상기 하완안착부(161)와 제1상팽창 에어백(164)의 하부에 수평배치되어 하완안착부(161)와 제1상팽창 에어백(164)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판(167)과, 상기 제1지지판(167)의 하부에 대향하여 수평배치되는 제2지지판(168) 및, 상기 제1지지판(167)과 제2지지판(168)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공압발생기(130)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내부로 주입되면 상기 제1지지판(167)이 일정높이로 상승하도록 팽창하는 제2상팽창 에어백(16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글러브 타입 수관절 치료장치에 의하면,
첫째, 피치료자의 손가락에 삽입되어 관절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손가락 지지부(110)의 경우 각 손가락(F)의 상부에 배치되는 베이스부(111)와, 상기 베이스부(111)의 하부에 장착되며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손가락(F) 둘레에 삽입되면서 손가락(F)의 몸통부분을 지지하는 밴드부(112) 및, 상기 베이스부(111)의 하부에 장착되며 골무형상으로 형성되어 손가락(F)의 첫째마디가 내부에 삽입되면서 손가락(F)의 끝부분을 지지하는 골무부(113)로 구성되는 것과 같이 인체의 손가락이 접히고 펴지는 해부학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손가락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최적화 구조로 이루어져 경직되어 접힌 상태로 굳어져 펴지지 않는 고도 경직환자의 손가락에 수관절 치료장치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둘째, 띠형상으로 이루어져 손목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며 외부면에는 제1고정부(141)가 형성된 손목랩부(140)와, 상기 골무부(113)에 일단이 고정된 끈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타단에는 제1고정부(14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고정부(151)가 형성된 견인줄(150)이 구비되어, 상기 견인줄(150)이 후방으로 당겨지면서 골무부(113)를 후방으로 견인하여 굽어진 손가락(F)이 펴지도록 가압하고, 제2고정부(151)가 제1고정부(141)에 고정되면서 손가락(F)의 펴진 상태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굽어진 손가락(F)을 펴고 접는 동작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으며 손가락(F)이 펴진 상태로 일정시간 고정시켜 손가락의 익스텐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셋째, 상기 제1고정부(141)와 제2고정부(151)는 상호 암수구조의 벨크로로 각각 이루어지고, 상기 제1고정부(141)는 손목랩부(140)의 상부면 전체 또는 외부면 전체에 배치되어 제1고정부(141)의 배치된 면적 내에서 상기 제2고정부(151)가 임의 위치에 고정되면서 견인줄(150)이 후방으로 당겨질 수 있는 범위가 증대되므로 손가락(F)의 경직 상태에 따라 견인줄(150)에 의한 손가락(F)의 접고 펴는 동작범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넷째, 상기 손목랩부(140)는 전방측 단부가 전방으로 확장되면서 손등의 일부면적을 커버하는 형태로 장착됨으로써 상기 제2고정부(151)가 고정될 수 있는 범위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에어튜브(131) 또는 측팽창 에어백(120)에는 암수구조로 체결되는 커넥터(132)가 장착되어 측팽창 에어백(120)이 공압발생기(130)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가 가능하므로, 피치료자의 손에 손가락 지지부(110)만을 장착하여 손가락(F)이 펴진 상태로 일상생활을 할 수 있으므로 재활치료의 시간과 장소에 제약이 따르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
여섯째, 후방측에 배치되어 하완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완안착부(161)와, 상기 하완안착부(161)에 안착된 하완을 고정시키는 하완고정부(162)와, 상기 하완안착부(161)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손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하완안착부(161)와 인접한 후단에 대하여 전단이 상하로 승강 가능한 손안착부(163) 및, 상기 손안착부(163)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압발생기(130)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내부로 주입되면 상기 손안착부(163)의 전단이 상승하도록 팽창하며 주입된 공기가 배출되면 상승한 손안착부(163)의 전단이 하강하도록 수축하는 제1상팽창 에어백(164)을 포함하는 손목재활기(160)가 구비되어, 상기 손가락 지지부(110)와 측팽창 에어백(120)에 의한 손가락 관절 재활치료와 상기 손목재활기(160)에 의한 손목 관절 재활치료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일곱째, 상기 손목재활기(160)는, 상기 하완안착부(161)와 제1상팽창 에어백(164)의 하부에 수평배치되어 하완안착부(161)와 제1상팽창 에어백(164)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판(167)과, 상기 제1지지판(167)의 하부에 대향하여 수평배치되는 제2지지판(168) 및, 상기 제1지지판(167)과 제2지지판(168)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공압발생기(130)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내부로 주입되면 상기 제1지지판(167)이 일정높이로 상승하도록 팽창하는 제2상팽창 에어백(169)이 구비되어, 상체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한 피치료자의 경우 상체를 굽히지 않더라도 하완 및 손을 편안한 높이에 배치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으로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글러브 타입 수관절 치료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지지부가 손가락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지지부의 골무부가 견인줄에 의해 후방으로 견인되면서 손가락이 펴지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목재활기의 구성 및 동작원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글러브 타입 수관절 치료장치(100)는 인체의 손가락이 접히고 펴지는 해부학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손가락에 용이하게 삽입되될 수 있도록 최적화 구조로 이루어져 접힌 상태로 굳어져 펴지지 않는 고도 경직환자의 손가락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치료장치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지지부(110), 측팽창 에어백(120) 및 공압발생기(13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손가락 지지부(110)는 피치료자의 손에 장착되어 측팽창 에어백(120) 및 후술되는 견인줄(150)에 의한 수관절 운동이 가능하도록 각 손가락(F)을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1), 밴드부(112) 및 골무부(113)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111)는 밴드부(112) 및 골무부(113)가 피치료자의 손에 배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부재로서 각 손가락(F)의 상부를 커버하는 형상으로 수평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111)는 측팽창 에어백(120)에 의해 각 골무부(113)들의 간격이 벌어지는 정도를 고려하여 전방으로 갈수록 면적이 증대되는 아치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밴드부(112)와 골무부(113)는 각 손가락(F)에 삽입되어 수관절 운동을 유도하는 수단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드부(112)는 베이스부(111)의 하부에 장착되며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손가락(F) 둘레에 삽입되면서 손가락(F)의 몸통부분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골무부(113)는 베이스부(111)의 하부에 장착되며 골무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후방측으로 개구된 삽입홈(114)이 형성되어 손가락(F)의 첫째마디가 삽입홈(114)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손가락(F)의 끝부분을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111) 상에서 골무부(113)는 전단에 배치되고 밴드부(112)는 골무부(113)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후방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도면에서와 같이 밴드부(112)를 손가락(F)의 몸통부분에 먼저 끼워 결합한 후 골무부(113)를 회동시켜 굽어진 손가락(F)의 첫째마디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부(112)가 고무와 같이 탄성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골무부(113)가 손가락(F)의 첫째마디에 삽입될 때 당겨지는 가압력에 의해 신장되어 골무부(113)가 더욱 큰 회동범위로 회동하면서 손가락(F)의 첫째마디에 삽입될 수 있으므로 더욱 용이하게 손가락 지지부(110)를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측팽창 에어백(120)는 팽창 및 수축하면서 경직된 손가락(F)에 측방향 움직임을 유발시키는 수단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골무부(113)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면 경직된 손가락(F)들의 간격이 측방으로 벌어지도록 하며 주입된 공기가 배출되면 벌어진 간격이 좁아지도록 수축한다.
여기서, 각 측팽창 에어백(120)는 '∩' 자 형상으로 접어진 상태로 각 골무부(113) 사이에 수납되어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하면서 측방으로 확장되는 길이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공압발생기(130)는 측팽창 에어백(120)이 팽창, 수축하는데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측팽창 에어백(120)과 에어튜브(131)로 연결되어 각 측팽창 에어백(120)에 공기를 주입한다.
여기서, 상기 공압발생기(130)로는 수동 공기공급수단과 자동 공기공급수단을 각각 이용할 수 있는데, 고무블로워와 같은 수동 공기공급수단을 이용하는 경우 글러브 타입 수관절 치료장치(100)를 휴대용으로 이용할 수 있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수관절 재활치료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전동펌프와 같은 자동 공기공급수단을 이용하는 경우 정밀한 공기주입이 가능하며 측팽창 에어백(120)의 신속한 팽창 및 수축 동작이 기능하여 재활치료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피치료자의 손가락에 삽입되어 관절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손가락 지지부(110)의 경우 각 손가락(F)의 상부에 배치되는 베이스부(111)와, 상기 베이스부(111)의 하부에 장착되며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손가락(F) 둘레에 삽입되면서 손가락(F)의 몸통부분을 지지하는 밴드부(112) 및, 상기 베이스부(111)의 하부에 장착되며 골무형상으로 형성되어 손가락(F)의 첫째마디가 내부에 삽입되면서 손가락(F)의 끝부분을 지지하는 골무부(113)로 구성되는 것과 같이 인체의 손가락이 접히고 펴지는 해부학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손가락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최적화 구조로 이루어져 접힌 상태로 굳어져 펴지지 않는 고도 경직환자의 손가락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글러브 타입 수관절 치료장치(100)는 손목랩부(140)와 견인줄(150)이 구비되어, 손가락 지지부(110)와 측팽창 에어백(120)에 의한 손가락의 측방 벌림 운동이외에 손가락(F)을 접고 펴는 동작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재활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목랩부(140)는 띠형상으로 이루어져 손목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며 외부면에는 제1고정부(141)가 형성되고, 상기 견인줄(150)은 골무부(113)에 일단이 고정된 끈형상으로 이루어져 후방으로 당겨지면서 굽어진 손가락(F)이 펴지도록 가압하고, 타단에는 상기 제1고정부(14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고정부(151)가 형성되어 손가락(F)의 펴진 상태를 선택적으로 고정시켜 손가락(F)의 익스텐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141)와 제2고정부(151)는 상호 암수구조의 벨크로로 각각 이루어지고, 상기 제1고정부(141)는 손목랩부(140)의 상부면 전체 또는 외부면 전체에 배치되어 제1고정부(141)의 배치된 면적 내에서 상기 제2고정부(151)가 임의 위치에 고정되면서 견인줄(150)이 후방으로 당겨질 수 있는 범위가 증대되므로 손가락(F)의 경직 상태에 따라 견인줄(150)에 의한 손가락(F)의 접고 펴는 동작범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더불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목랩부(140)는 전방측 단부가 전방으로 확장되면서 손등의 일부면적을 커버하는 형태로 장착됨으로써 상기 제2고정부(151)가 고정될 수 있는 범위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에어튜브(131) 또는 측팽창 에어백(120)에는 암수구조로 체결되는 커넥터(132)가 장착되어 측팽창 에어백(120)이 공압발생기(130)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가 가능하므로, 피치료자의 손에 손가락 지지부(110)만을 장착하여 손가락(F)이 펴진 상태로 일상생활을 할 수 있으므로 재활치료의 시간과 장소에 제약이 따르지 않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글러브 타입 수관절 치료장치(100)는 손목재활기(160)가 구비되어 손가락 재활운동 이외에 손목 재활운동을 병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목재활기(160)는 후방측에 배치되어 하완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완안착부(161)와, 상기 하완안착부(161)에 안착된 하완을 고정시키는 하완고정부(162)와, 상기 하완안착부(161)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손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하완안착부(161)와 인접한 후단에 대하여 전단이 상하로 승강 가능한 손안착부(163) 및, 상기 손안착부(163)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압발생기(130)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내부로 주입되면 상기 손안착부(163)의 전단이 상승하도록 팽창하며 주입된 공기가 배출되면 상승한 손안착부(163)의 전단이 하강하도록 수축하는 제1상팽창 에어백(164)을 포함하는 손목재활기(160)가 구비되어, 상기 손가락 지지부(110)와 측팽창 에어백(120)에 의한 손가락 관절 재활치료와 상기 손목재활기(160)에 의한 손목 관절 재활치료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손목재활기(160)의 외부에는 각 부들을 커버하기 위한 덮개부(171)가 장착되고, 상기 제1상팽창 에어백(164)은 에어튜브(133)를 통해 공압발생기(130)에 연결되어 팽창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받으며 요구되는 상향 팽창범위에 따라 도면에서와 같이 두 개 이상의 에어백이 함께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완안착부(161)와 제1상팽창 에어백(164)의 하부에 수평배치되어 하완안착부(161)와 제1상팽창 에어백(164)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판(167)과, 상기 제1지지판(167)의 하부에 대향하여 수평배치되는 제2지지판(168) 및, 상기 제1지지판(167)과 제2지지판(168)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공압발생기(130)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내부로 주입되면 상기 제1지지판(167)이 일정높이로 상승하도록 팽창하는 제2상팽창 에어백(169)이 구비되어, 상체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한 피치료자의 경우 상체를 굽히지 않더라도 하완 및 손을 편안한 높이에 배치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글러브 타입 수관절 치료장치 110...손가락 지지부
111...베이스부 112...밴드부
113...골무부 120...측팽창 에어백
130...공압발생기 131,133...에어튜브
132,134...커넥터 140...손목랩부
141...제1고정부 150...견인줄
151...제2고정부 160...손목재활기
161...하완안착부 162...하완고정부
163...손안착부 164...제1상팽창 에어백
167...제1지지판 168...제2지지판
169...제2상팽창 에어백 F...손가락

Claims (7)

  1. 각 손가락(F)의 상부에 배치되는 베이스부(111)와, 상기 베이스부(111)의 하부에 장착되며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손가락(F) 둘레에 삽입되면서 손가락(F)의 몸통부분을 지지하는 밴드부(112) 및, 상기 베이스부(111)의 하부에 장착되며 골무형상으로 형성되어 손가락(F)의 첫째마디가 내부에 삽입되면서 손가락(F)의 끝부분을 지지하는 골무부(113)를 포함하는 손가락 지지부(110);
    각 골무부(113)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면 경직된 손가락(F)들의 간격이 측방으로 벌어지도록 팽창하며 주입된 공기가 배출되면 벌어진 간격이 좁아지도록 수축하는 측팽창 에어백(120); 및
    상기 측팽창 에어백(120)과 에어튜브(131)로 연결되어 각 측팽창 에어백(120)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압발생기(130);를 포함하는 글러브 타입 수관절 치료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띠형상으로 이루어져 손목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며 외부면에는 제1고정부(141)가 구비된 손목랩부(140); 및
    상기 골무부(113)에 일단이 고정된 끈형상으로 이루어져 후방으로 당겨지면서 굽어진 손가락(F)이 펴지도록 가압하고, 타단에는 상기 제1고정부(14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고정부(151)가 구비되어 손가락(F)의 펴진 상태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견인줄(1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러브 타입 수관절 치료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141)와 제2고정부(151)는 상호 암수구조의 벨크로로 각각 이루어지고,
    상기 제1고정부(141)는 상기 손목랩부(140)의 상부면 전체 또는 외부면 전체에 배치되어, 배치된 면적 내에서 상기 제2고정부(151)가 임의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러브 타입 수관절 치료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손목랩부(140)는 전방측 단부가 전방으로 확장되면서 손등의 일부면적을 커버하는 형태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러브 타입 수관절 치료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튜브(131) 또는 측팽창 에어백(120)에는 암수구조로 체결되는 커넥터(132)가 장착되어 상기 측팽창 에어백(120)이 공압발생기(130)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러브 타입 수관절 치료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에 있어서,
    후방측에 배치되어 피치료자의 하완 하부를 지지하는 하완안착부(161)와,
    상기 하완안착부(161)에 안착된 하완을 고정시키는 하완고정부(162)와,
    상기 하완안착부(161)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손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하완안착부(161)와 인접한 후단에 대하여 전단이 상하로 승강 가능한 손안착부(163) 및,
    상기 손안착부(163)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압발생기(130)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내부로 주입되면 상기 손안착부(163)의 전단이 상승하도록 팽창하며 주입된 공기가 배출되면 상승한 손안착부(163)의 전단이 하강하도록 수축하는 제1상팽창 에어백(164)을 포함하는 손목재활기(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러브 타입 수관절 치료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손목재활기(160)는,
    상기 하완안착부(161)와 제1상팽창 에어백(164)의 하부에 수평배치되어 하완안착부(161)와 제1상팽창 에어백(164)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판(167)과,
    상기 제1지지판(167)의 하부에 대향하여 수평배치되는 제2지지판(168) 및,
    상기 제1지지판(167)과 제2지지판(168)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공압발생기(130)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내부로 주입되면 상기 제1지지판(167)이 일정높이로 상승하도록 팽창하는 제2상팽창 에어백(16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러브 타입 수관절 치료장치.
KR1020180033367A 2018-03-22 2018-03-22 글러브 타입 수관절 치료장치 KR102082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367A KR102082280B1 (ko) 2018-03-22 2018-03-22 글러브 타입 수관절 치료장치
PCT/KR2018/004079 WO2019182188A1 (ko) 2018-03-22 2018-04-06 글러브 타입 수관절 치료장치
CN201920349505.7U CN210138291U (zh) 2018-03-22 2019-03-19 手套式手关节治疗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367A KR102082280B1 (ko) 2018-03-22 2018-03-22 글러브 타입 수관절 치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345A true KR20190111345A (ko) 2019-10-02
KR102082280B1 KR102082280B1 (ko) 2020-02-27

Family

ID=67987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367A KR102082280B1 (ko) 2018-03-22 2018-03-22 글러브 타입 수관절 치료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82280B1 (ko)
CN (1) CN210138291U (ko)
WO (1) WO20191821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24202A1 (it) 2019-12-17 2021-06-17 Univ Degli Studi Magna Graecia Di Catanzaro Dispositivo biomeccatronico per diagnosi automatizzata di patologie reumatiche
CN112057293A (zh) * 2020-07-29 2020-12-11 湖州市中心医院 手指康复运动系统
CN112043248B (zh) * 2020-09-03 2021-07-20 山东大学 一种柔性诊脉手及中医脉诊仪
CN111920647A (zh) * 2020-09-09 2020-11-13 上海司羿智能科技有限公司 分指气路系统、气动手指康复训练装置及检测方法
CN112353630B (zh) * 2020-09-28 2022-07-22 东华大学 气动腕部外骨骼辅助部件
CN114931489B (zh) * 2022-06-01 2023-05-26 浙江大学 一种预防picc相关性静脉血栓形成的辅助锻炼工具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8959A (ja) * 1982-08-11 1984-02-15 萬デザイン株式会社 腕関節、手、手指の機能改善用手袋
JPS6350326U (ko) * 1986-09-22 1988-04-05
JPH0591653U (ja) * 1992-05-11 1993-12-14 日東工器株式会社 手指等の機能改善器
JPH07231919A (ja) * 1994-02-24 1995-09-05 Nitto Kohki Co Ltd 手指等の機能改善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529937A (ja) * 2010-03-23 2013-07-25 イドロジェネット エスアールエル 手リハビリ装置
KR101471804B1 (ko) 2014-02-24 2014-12-10 (주)대성마리프 손 운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813B1 (ko) * 2012-02-29 2012-11-19 주식회사 네오케어 손 마사지장치
KR20140055317A (ko) * 2012-10-31 2014-05-09 김유진 에어백을 이용한 관절의 재활용 치료장치
JP2016159049A (ja) * 2015-03-04 2016-09-05 学校法人幾徳学園 手指関節リハビリ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8959A (ja) * 1982-08-11 1984-02-15 萬デザイン株式会社 腕関節、手、手指の機能改善用手袋
JPS6350326U (ko) * 1986-09-22 1988-04-05
JPH0591653U (ja) * 1992-05-11 1993-12-14 日東工器株式会社 手指等の機能改善器
JPH07231919A (ja) * 1994-02-24 1995-09-05 Nitto Kohki Co Ltd 手指等の機能改善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529937A (ja) * 2010-03-23 2013-07-25 イドロジェネット エスアールエル 手リハビリ装置
KR101471804B1 (ko) 2014-02-24 2014-12-10 (주)대성마리프 손 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82188A1 (ko) 2019-09-26
CN210138291U (zh) 2020-03-13
KR102082280B1 (ko) 2020-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2280B1 (ko) 글러브 타입 수관절 치료장치
KR101093954B1 (ko) 수관절 재활치료 훈련기구
KR101941089B1 (ko) 볼타입 수관절 재활치료기 및 이를 포함하는 수관절 재활치료 시스템
CN108926457A (zh) 康复训练装置
KR101215528B1 (ko) 숄더형 에어 마사지 장치
US4907574A (en) Prom exercise device for opposing contracture
KR102227425B1 (ko) 관절재활 치료시스템
KR101468845B1 (ko) 물리치료 기능을 구비한 공기압 마사지장치
US9522095B2 (en) Devices for mobilizing the hip joint capsule and methods of using same
JP3220296U (ja) 人体ストレッチ装置
US20170252253A1 (en) Lower body and spine joint moving device for restoring bodily balan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8546460A (ja) 人体のための処理装置
KR101876075B1 (ko) 수관절 재활치료 장치
JP6495521B1 (ja) エアー加圧装具
CN210138292U (zh) 笔式手关节治疗装置
JP2020028689A (ja) ストレッチ兼用マッサージ器
JPH0798045B2 (ja) 脊椎牽引装置
CN105560002A (zh) 一种力量姿态可调节的导轨式全角度肘膝关节治疗床
CN217366474U (zh) 二维一体功能位康复器具
KR20190101225A (ko) 허벅지 고정유닛, 종아리 고정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근력 보조 로봇
KR101995481B1 (ko) 저주파 발생패드가 구비된 운동기구
JPH04200481A (ja) 下肢ストレッチング装置
JP2007229432A (ja) 反発力活用足上がり楽チン伸縮自在装置
RU2277895C2 (ru) Шарни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зиотерапии детского церебрального паралича путем формирования двигательных навыков ходьбы у ребенка
KR20220127103A (ko) 신체 균형을 위한 온열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