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4469A - 스위칭 전원 - Google Patents

스위칭 전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4469A
KR20190104469A KR1020187018614A KR20187018614A KR20190104469A KR 20190104469 A KR20190104469 A KR 20190104469A KR 1020187018614 A KR1020187018614 A KR 1020187018614A KR 20187018614 A KR20187018614 A KR 20187018614A KR 20190104469 A KR20190104469 A KR 20190104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coil
switching element
current
output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8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9387B1 (ko
Inventor
마사지 하네다
Original Assignee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4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H02M3/3357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having at least one active switching elemen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 H02M3/3359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having at least one active switching elemen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having a synchronous rectifier circuit or a synchronous freewheeling circui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Amplifiers (AREA)
  • Oscillators With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AREA)

Abstract

포워드 방식의 스위칭 전원에 있어서 리셋 회로를 불필요하게 하며 또한 트랜스에 축적된 에너지를 2차측에 출력 가능하게 한다.
트랜스와, 1차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도통 또는 차단하도록 온 오프 구동되는 스위칭 소자(Q)와, 2차 코일의 일단과 출력단(3) 사이에 접속된 초크 코일과, 2차 코일의 타탄과 출력단(4) 사이에 접속되어 온일 때에 2차 코일의 타단의 전위에 대하여 순 바이어스이며 오프일 때에 역 바이어스가 되는 제 1 정류 수단과, 2차 코일의 일단과 출력단(4) 사이에 접속되어 온일 때에 2차 코일의 일단의 전위에 대하여 역 바이어스이며 또한 오프일 때에 순 바이어스가 되는 제 2 정류 수단과, 2차 코일의 타단과 출력단(3) 사이에 접속되어 온일 때에 2차 코일의 타단의 전위에 대하여 역 바이어스이며 온프일 때에 순 바이어스가 되는 제 3 정류 수단과, 출력단 사이의 평활 콘덴서를 갖는 스위칭 전원.

Description

스위칭 전원
본 발명은 포워드 방식의 스위칭 전원에 관한 것이다.
트랜스의 1차 코일에 입력되는 직류 전력을 스위칭 소자에 의해 온 오프함으로써 2차 코일로부터 소망하는 직류 전력을 인출하는 절연형 스위칭 전원은 주지이다. 절연형 스위칭 전원에 있어서의 포워드 방식도 또한 주지이다.
포워드 방식에서는 스위칭 소자의 온 기간에 1차 코일에 여자(勵磁)전류가 흐르고, 상호 유도에 의해 권수비에 따라 2차 코일에 부하 전류가 흐르고, 대응해서 1차 코일에도 부하 전류가 흐른다. 2차 코일의 부하 전류는 출력 다이오드와 외부에 부착된 초크 코일을 통해 출력됨과 아울러, 외부에 부착된 초크 코일을 여자하여 자기 에너지를 축적한다. 스위칭 소자의 오프 기간에는 외부에 부착된 초크 코일에 축적된 자기 에너지를 방출하도록 플라이휠 다이오드를 통해 출력 전류가 흐른다.
포워드 방식은 온 기간에 여자 전류에 의해 트랜스에 축적된 자기 에너지를 오프 기간에 방출하기 위해서 트랜스의 1차측에 리셋 회로가 필요하다. 리셋 회로는 일반적으로 다이오드, 콘덴서, 및 저항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1차 코일에 리셋용 코일을 부가한 구성도 있으며, 다양한 구성의 리셋 회로가 공지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등).
일본 특허공개 평 9-2756681호 공보
그러나, 포워드 방식의 스위칭 전원에 있어서의 일반적인 리셋 회로에서는 리셋 전류가 다이오드를 통해 콘덴서를 충전하고, 콘덴서에 축적된 에너지가 저항에 의해 소비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전력이 헛되이 소비되게 된다. 또한, 1차 코일에 리셋용 코일을 부가한 구성은 트랜스가 커진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리셋 전류를 입력측으로 회생시키는 구성의 리셋 회로도 공지이지만, 2차측에 전력을 보낼 수는 없다.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포워드 방식의 스위칭 전원에 있어서 리셋 회로를 불필요하게 함과 아울러, 트랜스에 축적된 자기 에너지를 2차측의 전력으로서 출력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괄호 안의 부호는 후술하는 도면 안의 부호이며, 참고를 위해서 붙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스위칭 전원에 있어서,
트랜스(T)와,
입력 전압에 의해 상기 트랜스(T)의 1차 코일(N1)에 흐르는 전류를 도통 또는 차단하기 위해서 온 오프 구동되는 제어단을 구비하는 스위칭 소자(Q)와,
상기 트랜스의 2차 코일(N2)의 일단과 제 1 출력단(3) 사이에 접속된 초크 코일(CH)과,
상기 트랜스(T)의 2차 코일(N2)의 타단과 제 2 출력단(4)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스위칭 소자(Q)의 온 시에 상기 2차 코일(N2)의 타단에 발생하는 전위에 대하여 순 바이어스가 되며 또한 오프 시에 상기 2차 코일(N2)의 타단에 발생하는 전위에 대하여 역 바이어스가 되는 제 1 정류 수단(D1)과,
상기 트랜스(T)의 상기 2차 코일(N2)의 일단과 상기 제 2 출력단(4)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스위칭 소자(Q)의 온 시에 상기 2차 코일(N2)의 일단에 발생하는 전위에 대하여 역 바이어스가 되며 또한 오프 시에 상기 2차 코일(N2)의 일단에 발생하는 전위에 대하여 순 바이어스가 되는 제 2 정류 수단(D2)과,
상기 트랜스(T)의 상기 2차 코일(N2)의 타단과 상기 제 1 출력단(3)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스위칭 소자(Q)의 온 시에 상기 2차 코일(N2)의 타단에 발생하는 전위에 대하여 역 바이어스가 되며 또한 오프 시에 상기 2차 코일(N2)의 타단에 발생하는 전위에 대하여 순 바이어스가 되는 제 3 정류 수단(D3)과,
상기 제 1 출력단(3)과 상기 제 2 출력단(4) 사이에 접속된 평활 콘덴서(C)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류 수단(D1), 상기 제 2 정류 수단(D2), 및 상기 제 3 정류 수단(D3)이 각각 다이오드인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 제 1 정류 수단(D1) 대신에 상기 트랜스(T)의 2차 코일(N2)의 타단과 제 2 출력단(4) 사이에 접속된 전류로와 상기 전류로를 흐르는 전류를 도통 또는 차단하기 위해서 온 오프 구동되는 제어단을 구비하는 제 2 스위칭 소자(Q2)를 갖고,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Q2)는 상기 스위칭 소자(Q)와 동기해서 온 오프 구동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류 수단(D2) 및 상기 제 3 정류 수단(D3)이 각각 다이오드인 것이 적합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포워드 방식의 스위칭 전원에 있어서, 2차측의 구성 요소로서 종래의 초크 코일, 출력 다이오드 및 플라이휠 다이오드에 상당하는 정류 수단에 추가하여 제 3 정류 수단을 추가함으로써 종래의 포워드 방식에 있어서의 출력 전류에 추가하여 스위칭 소자의 온 기간에 트랜스에 축적된 자기 에너지를 방출시키는 전류를 오프 기간에 2차 코일에 흘려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트랜스의 이용 효율이 향상한다.
이 결과, 트랜스의 자기 리셋을 행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포워드 방식에 있어서의 1차측의 리셋 회로가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리셋 회로에 의한 전력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적합하게는 다이오드인 정류 수단을 1개 추가하는 것만으로 리셋 회로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회로 전체를 컴팩트하게 하며 또한 저비용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트랜스에 축적된 자기 에너지를 2차측에 전류로서 출력할 수 있으므로 종래보다 큰 전력 변환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칭 전원의 제 1 실시형태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회로에 있어서의 온 기간의 전류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회로에 있어서의 오프 기간의 전류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회로도에 있어서의 전압 및 전류의 시간 변화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칭 전원의 제 2 실시형태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회로에 있어서의 온 기간의 전류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낸 회로에 있어서의 오프 기간의 전류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칭 전원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칭 전원은 한쌍의 입력단과 한쌍의 출력단 사이에서 트랜스를 통해 전력 변환을 행하는 절연형의 것이다. 한쌍의 입력단 사이에 직류 전력이 공급된다. 공급되는 직류 전력은 다른 임의의 직류 전원의 출력이어도 좋고, 교류 전원의 정류 후의 출력이어도 좋다. 따라서, 입력되는 직류 전압은 일정전압의 경우 이외에 일극성이 변동하는 전압의 경우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교류 정류 후의 맥류, 방형파, 삼각파 등이다. 한쌍의 출력단에는 부하가 접속된다(도면에서는 생략).
(1) 제 1 실시형태
<스위칭 전원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칭 전원의 제 1 실시형태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회로는 입력단(1)과 입력단(2) 사이에 직류 전력이 공급된다. 즉, 직류 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출력단(3)과 출력단(4) 사이에 직류 전력이 출력된다. 이하에서는 입력측의 기준 전위인 입력단(2)에 대하여 입력단(1)이 정전위가 되는 입력 전압이 인가되고, 출력측의 기준 전위인 출력단(4)에 대하여 출력단(3)이 정전위가 되는 전압이 출력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회로는 1차 코일(N1)과 2차 코일(N2)을 구비하는 트랜스(T)를 갖는다. 각 코일의 권취 개시 단자를 검정 동그라미로 나타내고 있다(검정 동그라미는 코일의 극성을 나타낸다). 코일에 대해서 「일단」과 「타단」이라고 하는 경우에는 「권취 개시 단자」와 「권취 종료 단자」의 경우와, 「권취 종료 단자」와 「권취 개시 단자」의 경우의 쌍방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스위칭 전원은 포워드 방식의 회로를 기본 구성으로 하므로 1차 코일(N1)과 2차 코일(N2)은 밀결합인 것, 즉 자기 결합의 결합 계수가 1에 가까운 것이 적합하다.
1차 코일(N1)의 일단(본 예에서는 권취 개시 단자)이 입력단(1)에 접속되어 있다. 1차 코일(N1)의 타단(본 예에서는 권취 종료 단자)에 N채널 FET인 스위칭 소자(Q)의 드레인이 접속되고, 소스가 입력단(2)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칭 소자(Q)의 제어단인 게이트에는 제어 전압(Vg)으로서 소정의 스위칭 주파수 및 듀티비의 펄스 전압이 입력된다.
이 경우, 제어 전압(Vg)이 소스(입력단(2)) 전위에 대하여 정전위일 때 스위칭 소자(Q)는 온이 되어 1차 코일(N1)과 입력단(2) 사이의 전류로가 도통한다. 제어 전압(Vg)이 0일 때 스위칭 소자(Q)는 오프가 되어 1차 코일(N1)과 입력단(2) 사이의 전류로는 차단된다.
스위칭 소자(Q)로서 FET 이외에, 예를 들면 IGBT 또는 바이폴러트랜지스터 등의 스위칭 소자를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스위칭 전원은 포워드 방식을 기본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일반적인 포워드 방식에 있어서 필수인 트랜스 1차측의 리셋 회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불필요하다.
2차 코일(N2)의 일단(본 예에서는 권취 개시 단자)과 출력단(3) 사이에는 초크 코일(CH)이 접속되어 있다.
2차 코일(N2)의 타단(본 예에서는 권취 종료 단자)과 출력단(4) 사이에는 다이오드(D1)가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D1)의 극성은 애노드가 출력단(4)측, 캐소드가 2차 코일의 타단측이 되는 방향이다. 다이오드(D1)는 스위칭 소자(Q)의 온 시에 2차 코일(N2)의 타단에 발생하는 전위에 대하여 순 바이어스가 되며, 또한 스위칭 소자(Q)의 오프 시에 2차 코일(N2)의 타단에 발생하는 전위에 대하여 역 바이어스가 되는 방향에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 2차 코일(N2)의 일단과 출력단(4) 사이에는 다이오드(D2)가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D2)의 극성은 애노드가 출력단(4)측, 캐소드가 2차 코일(N2)의 일단측이 되는 방향이다. 다이오드(D2)는 스위칭 소자(Q)의 온 시에 2차 코일(N2)의 일단에 발생하는 전위에 대하여 역 바이어스가 되며, 또한 스위칭 소자(Q)의 오프 시에 2차 코일(N2)의 일단에 발생하는 전위에 대하여 순 바이어스가 되는 방향에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 2차 코일(N2)의 타단과 출력단(3) 사이에는 다이오드(D3)가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D3)의 극성은 애노드가 2차 코일(N2)의 타단측, 캐소드가 출력단(3)측이 되는 방향이다. 다이오드(D3)는 스위칭 소자(Q)의 온 시에 2차 코일(N2)의 타단에 발생하는 전위에 대하여 역 바이어스가 되며, 또한 스위칭 소자(Q)의 오프 시에 2차 코일(N2)의 타단에 발생하는 전위에 대하여 순 바이어스가 되는 방향에서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D1, D2, D3)는 순 바이어스의 전압(애노드가 캐소드에 대하여 고전위)이 인가되면 도통하고, 역 바이어스의 전압(애노드가 캐소드에 대하여 저전위)에 대하여 차단되는 정류 수단 중 하나이다. 정류 수단에는 정류 소자인 다이오드 이외에 다이오드와 등가인 정류 디바이스 또는 정류 회로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출력단(3)과 출력단(4) 사이에는 평활 콘덴서(C)가 접속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이들 출력단(3)과 출력단(4) 사이에는 부하가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스위칭 전원의 다른 구성예로서 1차측의 기준 전위인 입력단(2)에 대하여 입력단(1)이 부전위가 되는 입력 전압을 인가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그 경우, 2차측의 각 다이오드의 극성을 역방향으로 한다.
<스위칭 전원의 동작>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회로에 있어서의 온 기간의 전류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회로에 있어서의 오프 기간의 전류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회로도에 있어서의 전압 및 전류의 시간 변화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온 기간의 동작
도 2는 온 기간의 전류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스위칭 소자(Q)의 게이트에 입력되는 펄스 전압인 제어 전압(Vg)은, 예를 들면 도 4(A)와 같다. 제어 신호(Vg)가 온이 되면 스위칭 소자(Q)의 전류로가 도통하고, 직류 전압이 1차 코일(N1)의 일단에 인가되어 1차 코일(N1)의 일단이 정전위, 타단이 부전위가 된다. 이에 따라 입력단(1)→1차 코일(N1)→스위칭 소자(Q)→입력단(2)의 경로로 전류(id)가 흐른다. 전류(id)의 온 기간의 변화는 도 4(B)와 같다.
1차 코일(N1)에 전류가 흐르면 트랜스(T)의 코어를 통해 2차 코일(N2)을 통과하는 자속이 증가하고, 상호유도에 의한 기전력이 2차 코일(N2)에 발생하여 2차 코일(N2)의 일단이 정전위, 타단이 부전위가 된다. 이에 따라 다이오드(D1)가 순 바이어스가 되어 도통하고, 2차 코일(N2)→초크 코일(CH)→출력단(3)→부하(또는 평활 콘덴서(C))→출력단(4)→다이오드(D1)의 경로로 제 1 전류(i1)가 흐른다. 제 1 전류(i1)의 온 기간의 변화는 도 4(C)와 같다. 제 1 전류(i1)는 일반적인 포워드 방식에 있어서의 온 기간의 출력 전류에 상당한다.
2차측의 제 1 전류(i1)는 초크 코일(CH)의 여자 전류이기도 하고, 이에 따라 초크 코일(CH)에 자기 에너지가 축적된다.
다이오드(D2)는 2차 코일(N2)의 일단이 정전위가 되어 역 바이어스가 되므로 전류는 흐르지 않는다. 다이오드(D3)도 2차 코일(N2)의 타단이 부전위가 되어 역 바이어스가 되므로 전류는 흐르지 않는다.
또한, 1차 코일(N1)에 흐르는 전류(id)는 2차 코일(N2)과의 상호유도에 의한 부하 전류와 트랜스(T)에 자기 에너지를 축적하는 여자 전류를 포함하는 것이다. 온 기간에는 여자 전류에 의해 트랜스(T)의 자속이 증가하여 자기 에너지가 축적된다.
·오프 기간의 동작
도 3은 오프 기간의 전류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제어 신호(Vg)가 오프가 되면, 스위칭 소자(Q)의 전류로가 차단되어 1차 코일(N1)을 흐르는 전류(id)는 소실된다. 이에 따라 1차 코일(N1) 및 2차 코일(N2)에 역기전력이 발생한다.
역기전력에 의해 2차 코일(N2)의 타단이 정전위가 되고, 다이오드(D1)는 역 바이어스가 되므로 제 1 전류(i1)는 흐르지 않는다.
한편, 2차측에서는 초크 코일(CH)에 축적된 자기 에너지를 방출하도록 제 2 전류(i2)가 흐른다. 제 2 전류(i2)의 경로는 초크 코일(CH)→출력단(3)→부하(또는 평활 콘덴서)→출력단(4)→다이오드(D2)이다. 제 2 전류(i2)의 오프 기간의 변화는 도 4(D)와 같다. 제 2 전류(i2)는 일반적인 포워드 방식에 있어서의 오프 기간의 출력 전류에 상당하고, 제 2 전류(i2)에 관해서 다이오드(D2)는 플라이휠 다이오드로서 기능한다.
또한, 역기전력에 의해 2차 코일(N2)의 일단이 부전위, 타단이 정전위가 되고, 다이오드(D2) 및 다이오드(D3)이 모두 순 바이어스가 되어 도통하고, 2차 코일(N2)→다이오드(D3)→출력단(3)→부하(또는 평활 콘덴서)→출력단(4)→다이오드(D2)의 경로로 제 3 전류(i3)가 흐른다. 제 3 전류(i3)의 오프 기간의 변화는 도 4(E)와 같다.
따라서, 온 기간에 트랜스(T)에 축적된 자기 에너지는 2차 코일(N2)을 통하는 제 3 전류(i3)가 흐름으로써 방출된다. 제 3 전류(i3)도 출력 전류가 되므로 트랜스의 이용 효율이 향상한다. 도 4(F)는 2차측으로 흐르는 전체 전류를 나타낸다. 출력단(3)과 출력단(4) 사이에 출력되는 전압(Vo)과 전류(Io)는 평활 콘덴서(C)에 의해 평활화되며, 도 4(G)와 같다.
본 발명의 스위칭 전원은 포워드 방식을 기본 구성으로 하면서 다이오드(D3)를 더 추가함으로써 온 기간에 트랜스에 축적된 자기 에너지를 오프 기간에 2차측의 출력 전류로서 방출할 수 있으므로 1차측의 리셋 회로가 불필요하게 된다. 종래에는 오프 시에 발생하는 스파이크 전압에 의한 스위칭 소자의 내압 대책이 필요했지만, 자기 에너지가 2차측으로 방출됨으로써 스파이크 대책도 불필요하게 된다.
(2) 제 2 실시형태
도 5~도 7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칭 전원의 제 2 실시형태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다이오드(D1) 대신에 제 2 스위칭 소자(Q2)를 갖는다.
제 2 스위칭 소자(Q2)는 이 예에서는 N채널 FET이다. 드레인이 2차 코일(N2)의 타단에 접속되고, 소스가 출력단(4)에 접속되어 있다. 즉, 제 2 스위칭 소자(Q2)의 전류로는 2차 코일(N2)의 타단과 출력단(4) 사이에 접속된다. 제 2 스위칭 소자(Q2)는 1차 코일(N1)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Q)와 동기해서 온 오프 구동된다. 따라서, 제 2 스위칭 소자(Q2)의 제어단인 게이트에는 스위칭 소자(Q)와 같은 제어 전압(Vg)이 입력된다.
도 6은 온 기간의 전류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온 기간에 있어서의 1차측의 동작은 제 1 실시형태와 같다.
1차 코일(N1)에 전류가 흐르면, 상호 유도에 의한 기전력이 2차 코일(N2)에 발생하고, 2차 코일(N2)의 일단이 정전위, 타단이 부전위가 되는 점도 제 1 실시형태와 같다. 이때, 제 2 스위칭 소자(Q2)는 제어 전압(Vg)에 의해 온으로 되어 있으므로 전류로가 도통 상태이다. 이에 따라 2차 코일(N2)→초크 코일(CH)→출력단(3)→부하(또는 평활 콘덴서(C))→출력단(4)→제 2 스위칭 소자(Q2)의 경로로 제 1 전류(i1)가 흐른다. 제 2 스위칭 소자(Q2)로 치환함으로써 제 1 실시형태의 다이오드(D1)에 비해 온 기간의 손실이 적어진다. 그 밖의 동작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같다.
도 7은 오프 기간의 전류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온 기간에 있어서의 1차측의 동작은 제 1 실시형태와 같다.
역 기전력에 의해 2차 코일(N2)의 타단이 정전위가 된다. 이때, 제 2 스위칭 소자(Q2)는 제어 전압(Vg)에 의해 오프가 되어 있으므로 전류로가 차단 상태이다. 따라서, 제 1 전류(i1)는 흐르지 않는다.
한편, 다이오드(D2) 및 다이오드(D3)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 2 전류(i2) 및 제 3 전류(i3)가 흐른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 2 스위칭 소자(Q2)는 N채널 FET가 아니라 P채널 FET로 할 수도 있다.
T : 트랜스 N1 : 1차 코일
N2 : 2차 코일 1, 2 : 입력단
3, 4 : 출력단 Q : 스위칭 소자
D1, D2, D3 : 다이오드 C : 평활 콘덴서

Claims (4)

  1. 트랜스(T)와,
    입력 전압에 의해 상기 트랜스(T)의 1차 코일(N1)에 흐르는 전류를 도통 또는 차단하도록 온 오프 구동되는 제어단을 구비하는 스위칭 소자(Q)와,
    상기 트랜스의 2차 코일(N2)의 일단과 제 1 출력단(3) 사이에 접속된 초크 코일(CH)과,
    상기 트랜스(T)의 2차 코일(N2)의 타단과 제 2 출력단(4)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스위칭 소자(Q)의 온 시에 상기 2차 코일(N2)의 타단에 발생하는 전위에 대하여 순 바이어스가 되며 또한 오프 시에 상기 2차 코일(N2)의 타단에 발생하는 전위에 대하여 역 바이어스가 되는 제 1 정류 수단(D1)과,
    상기 트랜스(T)의 상기 2차 코일(N2)의 일단과 상기 제 2 출력단(4)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스위칭 소자(Q)의 온 시에 상기 2차 코일(N2)의 일단에 발생하는 전위에 대하여 역 바이어스가 되며 또한 오프 시에 상기 2차 코일(N2)의 일단에 발생하는 전위에 대하여 순 바이어스가 되는 제 2 정류 수단(D2)과,
    상기 트랜스(T)의 상기 2차 코일(N2)의 타단과 상기 제 1 출력단(3)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스위칭 소자(Q)의 온 시에 상기 2차 코일(N2)의 타단에 발생하는 전위에 대하여 역 바이어스가 되며 또한 오프 시에 상기 2차 코일(N2)의 타단에 발생하는 전위에 대하여 순 바이어스가 되는 제 3 정류 수단(D3)과,
    상기 제 1 출력단(3)과 상기 제 2 출력단(4) 사이에 접속된 평활 콘덴서(C)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전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류 수단(D1), 상기 제 2 정류 수단(D2), 및 상기 제 3 정류 수단(D3)이 각각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전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류 수단(D1) 대신에 상기 트랜스(T)의 2차 코일(N2)의 타단과 제 2 출력단(4) 사이에 접속된 전류로와 상기 전류로를 흐르는 전류를 도통 또는 차단하도록 온 오프 구동되는 제어단을 구비하는 제 2 스위칭 소자(Q2)를 갖고,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Q2)는 상기 스위칭 소자(Q)와 동기해서 온 오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전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류 수단(D2) 및 상기 제 3 정류 수단(D3)이 각각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전원.
KR1020187018614A 2017-01-23 2017-11-16 스위칭 전원 KR1024493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09456 2017-01-23
JP2017009456A JP2018121390A (ja) 2017-01-23 2017-01-23 スイッチング電源
PCT/JP2017/041327 WO2018135119A1 (ja) 2017-01-23 2017-11-16 スイッチング電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469A true KR20190104469A (ko) 2019-09-10
KR102449387B1 KR102449387B1 (ko) 2022-09-30

Family

ID=62908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8614A KR102449387B1 (ko) 2017-01-23 2017-11-16 스위칭 전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8121390A (ko)
KR (1) KR102449387B1 (ko)
WO (1) WO201813511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23037B2 (en) * 2020-06-02 2022-05-03 X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Forward converter with secondary LCD connected in series to realize excitation energy transfer
US11342850B2 (en) * 2020-06-02 2022-05-24 Xi'an Morda Core 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Forward converter with secondary LCD connected in parallel to realize forward and backward energy transmiss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82779B (zh) * 2020-06-02 2022-12-09 西安科技大学 抑制输出能量倒流的副边串联lcd励磁能量转移正激变换器
CN111682777B (zh) * 2020-06-02 2022-12-09 西安科技大学 一种可避免储能电容反向充电的副边并联lcd正激变换器
CN113014109B (zh) * 2021-03-16 2022-12-09 西安科技大学 一种副边采用lc自复位电路的正激变换器及系统
CN112886824B (zh) * 2021-03-16 2023-06-02 西安科技大学 一种副边采用三个二极管的正反激组合变换器及系统
CN113014110B (zh) * 2021-03-16 2022-12-09 西安科技大学 一种副边并联lcd电路的正激变换器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78263A (ja) * 1988-04-27 1989-11-08 Nec Corp ピーク電圧除去回路
JPH09275681A (ja) 1996-04-04 1997-10-21 Nec Eng Ltd フォワードコンバータ
JPH11235029A (ja) * 1998-02-18 1999-08-27 Tdk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5768A (ja) * 1996-01-25 1997-08-05 Hitachi Ltd 同期整流回路
JPH1141927A (ja) * 1997-07-16 1999-02-12 Fujitsu Ltd Dc/dcコンバータ
CN105144562B (zh) * 2013-05-21 2017-10-31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开关电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78263A (ja) * 1988-04-27 1989-11-08 Nec Corp ピーク電圧除去回路
JPH09275681A (ja) 1996-04-04 1997-10-21 Nec Eng Ltd フォワードコンバータ
JPH11235029A (ja) * 1998-02-18 1999-08-27 Tdk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23037B2 (en) * 2020-06-02 2022-05-03 X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Forward converter with secondary LCD connected in series to realize excitation energy transfer
US11342850B2 (en) * 2020-06-02 2022-05-24 Xi'an Morda Core 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Forward converter with secondary LCD connected in parallel to realize forward and backward energy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35119A1 (ja) 2018-07-26
JP2018121390A (ja) 2018-08-02
KR102449387B1 (ko) 2022-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9387B1 (ko) 스위칭 전원
JP5088386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5590032A (en) Self-synchronized drive circuit for a synchronous rectifier in a clamped-mode power converter
US8169796B2 (en) Isolated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CN109196765B (zh) Dc/dc转换器
JP5790563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9490717B2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JP5408161B2 (ja) 自励式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JP2007195283A (ja) 多出力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4465717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16185045A (ja) 電力変換装置
JP6942040B2 (ja) 絶縁型スイッチング電源
JP2017034793A (ja) アクティブクランプ型dc−dcコンバータ回路
JP2009171829A (ja) 絶縁型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6394823B2 (ja) 電力変換装置
KR102537358B1 (ko) 절연형 스위칭 전원
KR102640341B1 (ko) 절연형 스위칭전원
JP6968127B2 (ja) 力率改善コンバータ
KR101024306B1 (ko) 직류/직류 변환 장치
JP2012138984A (ja) リンギングチョークコンバータ
JPH09275681A (ja) フォワードコンバータ
JP2007221905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