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0293A - 전기 가열 장치 및 가열 장치의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가열 장치 및 가열 장치의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0293A
KR20190100293A KR1020197021455A KR20197021455A KR20190100293A KR 20190100293 A KR20190100293 A KR 20190100293A KR 1020197021455 A KR1020197021455 A KR 1020197021455A KR 20197021455 A KR20197021455 A KR 20197021455A KR 20190100293 A KR20190100293 A KR 20190100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volume
heating device
liquid inlet
liquid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1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9374B1 (ko
Inventor
크리스티안 바케르
페터 네이덴베르게르
토비아스 판넨슈틸
Original Assignee
베바스토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바스토 에스이 filed Critical 베바스토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90100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4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 F24H1/16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 F24H1/16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21Heat exchanger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 B60H1/00328Heat exchanger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of the liquid-ai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60H1/2221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arrangements of electric heaters for heating an intermediat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072Special adaptations
    • F24H1/009Special adaptations for vehicl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01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1/10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1Guiding means
    • F24H9/0015Guiding means in water 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05B1/0275Heating of spaces, e.g. rooms, wardrobes
    • H05B1/0277Electric radi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2001/2268Constructional features
    • B60H2001/2271Heat exchangers, burners, igni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2001/2268Constructional features
    • B60H2001/2287Integration into a vehicle HVAC system or vehicle dashboar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8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Details Of Fluid Heaters (AREA)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가열 장치 특히, 차량용 주차 히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 가열 장치는 액체 특히, 물을 수용하고 안내하기 위한 용적(11), 용적(11) 속으로 액체를 유입하기 위한 액체 입구(19) 및 용적(11) 밖으로 액체를 유출하기 위한 액체 출구(20)를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12) 특히, 가열 저항기가 용적(11) 내에 배치되고, 유동 경로가 증가하도록 액체 입구(19)로부터 액체 출구(20)까지 유동하는 액체가 이탈되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이탈 디바이스(14) 특히, 적어도 하나의 분리 벽이 마련된다.

Description

전기 가열 장치 및 가열 장치의 작동 방법
본 발명은 전기 가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차량용 주차(parking) 히터 및 가열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주차 히터들과 같은 차량용 전기 가열 장치는 널리 알려져 있다. 종래의 주차 히터들은 메인 유동 방향을 가진 물-운반 구역(용적)을 가진다. 또한, 물-운반 구역에는 물-운반 구역의 안과 밖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 연결들이 할당된다. 이러한 주차 히터의 연속적인 작동을 위해, 보통은 벤팅(venting)이 구비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가용 설치 공간의 사용은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내에서 가용 설치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들에 의해 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가열 장치 특히, 자동차(예를 들어, 승용차 또는 화물차)용 주차 히터에 의해 달성된다. 전기 가열 장치는, 액체 특히, 물을 수용하고 안내하기 위한 용적(volume), 용적 속으로 액체가 유입될 수 있는 액체 입구, 및 용적 밖으로 액체가 유출할 수 있는 액체 출구를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열(전기) 요소 특히, 가열(전기) 저항기가 용적 내에 마련되고, 액체 입구로부터 액체 출구로 유동하는 액체가 이탈(이러한 이탈 디바이스가 없는 전기 가열 장치와 비교할 때 유동 경로가 증가)되록, 적어도 하나의 이탈(deviating) 디바이스 특히, 적어도 하나의 분리 벽이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용적(물-운반 구역)은 가열 요소, 또는 특히, 가열 저항기가 내부에 마련(적어도 군데군데로)되는 컨테이너에 의해 형성된다. 용적, 또는 컨테이너는, 특히 직육면체(선택적으로, 라운드진 에지들을 가진) 또는 실린더형(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컨테이너는 이탈 디바이스를 가진 하나의 조각(바람직하게, 단일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컨테이너는 다수의 요소들을 구비할 수 있고 및/또는 컨테이너와 이탈 디바이스는 별개의 부품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는 금속 및/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적어도 군데군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액체 입구 및/또는 액체 출구는 라운드 단면을 가진다.
특히, 가열 요소는 용적 내의 액체를 가열할 수 있는 요소를 의미하고, 액체 출구로부터 나올 때 액체의 온도는 액체 입구를 통해 들어갈 때의 온도와 비교하여 증가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가열 요소는 누설밀봉(leaktight)이다(즉, 그 안에 통합된 유체 채널들 없이 형성됨). 바람직하게, 가열 요소는 가열(전기) 저항기, 즉, 전류가 인가될 때 용적 내의 액체로 열이 방출되어 가열될 수 있는 구조이다. 특히, 용적 내의 가열 요소의 배치는 가열 요소가 용적의 내부로 돌출하는 배치를 의미한다. 그러나, 가열 요소가 용적의 벽의 내면 상에 배열되거나 벽 그 자체에 의해 구획되는 배치 또한 가능하다.
하나의 특정의 실시예에서, 정확하게 하나의 액체 입구와 하나의 액체 출구가 마련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액체 입구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액체 출구들이 마련되는 것도 상정할 수 있다. 특히, 이탈 디바이스에 의한 이탈은 액체 입구와 액체 출구 사이의 직접 경로가 이탈 디바이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됨으로써, 액체가 용적을 통과하여 유동할 때 액체 입구로부터 액체 출구까지 통과하기 위해 액체가 우회 경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강제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용적을 통해 유동하는(예를 들어, 액체의 적어도 일 부분이 우회 경로 없이 액체 입구로부터 액체 출구까지 유동하게 하는, 이탈 디바이스 내의 협소한 개구를 통과하여) 액체의 적어도 일 부분이 액체 입구로부터 액체 출구까지의 직접 경로 상으로 유동하는, 가능성을 배제하는 의도는 아니다. 그러나, 액체의 적어도 대부분은 이탈 디바이스에 의해 우회 경로 상으로 강제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우회 경로는, 액체 입구와 액체 출구 사이의 직접(잠재적인) 경로보다 적어도 2배 더 크고, 바람직하게 적어도 4배 더 크다.
특수한 구성들에서, 이탈 디바이스는 2개의 반대되는 벽 영역들(예를 들어, 평행하게 연장하는) 사이의 간격의 적어도 25%를 넘어, 보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50%를 넘어 연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예컨대, 실린더형(원통) 구성의 경우, 이탈 디바이스는 실린더의 적어도 25%를 넘어, 특히 적어도 50%를 넘어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핵심 개념은, 액체가 이탈 디바이스에 의해 경로 상으로 용적을 통해 유동하도록 강제함으로써, 액체 입구로부터 액체 출구까지의 액체의 "부족 현상(shorting)"이 방지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적어도 설치 위치에 독립하는) 가열 요소는 잘(적어도 실질적으로 완전히) 그리고 구획된 방식으로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 요소 주위의 유동의 본질은 설치 위치와 독립적(적어도 실질적으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벤팅은 상이한(예를 들어, 2개 또는 3개의 상이한) 설치 위치들에 만들어 질 수 있다. 종합적으로, 그러므로, 가용 설치 공간이 보다 효율적으로(전기 가열 장치의 상응하는 방위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종합적으로, 전기 가열 장치는 가변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독립적인 측면(바람직하게, 상술한 측면과 결합될 수 있는)에 따르면,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형태의 차량의 전기 가열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전기 가열 장치는 액체 특히, 물을 수용하고 안내하기 위한 용적, 용적 속으로 액체를 유입할 수 있는 액체 입구, 및 용적 밖으로 액체를 유출할 수 있는 액체 출구를 구비하고, 가열 저항기는 용적 내에 배치되고, 전기 가열 장치는 적어도 2개의, 바람직하게 적어도 3개의 상이한 설치 위치들에서 장착 및 벤팅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에 따르면, 이렇게 제안된 전기 가열 장치는, 상이한 설치 위치들에서 기능하고(연속적으로), 특히 벤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기 가열 장치는 작동될 수 있는(효과적으로) 즉, 다수의 설치 위치들에서 상응하는 열전달이 발생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기 가열 장치는 상이한 설치 위치들(설치 방위들)에 장착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것은 다수의 설치 위치들(설치 방위들)에 장착할 수 있는 상응하는 장착 디바이스들을 가정한다. 이 경우, 중력이 항상 아래로 향하기 때문에, 상이한 설치 위치들에 상이한 힘들이 작용함을 명심해야 한다. 그러므로, 제1 설치 위치는 처음에 만들어 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설치 위치는 제1 설치 위치로부터 90°각도 만큼의 전기 가열 장치의 회전에 의해 도달될 수 있다. 선택적인 제3 설치 위치는 제2 축(상이한)을 기준으로 제2 설치 위치로부터 90°각도 만큼의 회전에 의해 도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축은 제1 축에 직교한다. 예를 들어, 제1 축은 전기 가열 장치의 길이방향 연장에 평행할 수 있고, 제2 축은 제1 축에 직교(즉, 가로질러 연장)할 수 있다.
선행기술의 전기 가열 장치들 특히, 주차 히터들에서, 통류(through-flow)의 구성 형태뿐만 아니라 물 연결들의 배치는 전기 가열 장치의 상이한 설치 위치들을 구현하는 것을 방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제한들이 극복된다. 일반적으로, 상이한 설치 위치들은 중력 벡터와 관련하여 전기 가열 장치의 상이한 방향들을 의미한다.
가열 디바이스(이탈 요소 특히, 분리 벽)는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고 및/또는 플레이트의 형태로, 또는 플레이트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탈 요소들은, 적어도 군데군데, 금속 플레이트(바람직하게, 곧은)일 수 있다. 이탈 요소의 베이스 윤곽은 정사각일 수 있다.
이탈 디바이스(이탈 요소)는 가열 요소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즉, 가열 요소에 연결되지 않고 특히, 적어도 하나 이상의 또는 모든 가열 요소(들)에 접촉되지 않는다.
이탈 디바이스는 전기 가열 장치의 근위단 내에 특히, 전기 가열 장치의 하우징 또는 하우징 부분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원위단은 자유단이다.
바람직하게, 액체 입구와 액체 출구는 서로 바로 옆에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액체 입구와 액체 출구는 전기 가열 히터(또는 용적을 형성하는 컨테이너)의 동일한 사이드(예들 들어, 동일한 벽 특히, 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 "서로 바로 옆에"라는 용어는, 특히, 액체 입구와 액체 출구 사이의 5cm 미만의 간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액체 입구와 액체 출구는 전기 가열 장치(또는 용적)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벽 특히, 그러한 길이방향 벽의 일단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이러한 일단은 길이방향 길이의 20% 범위(끝단 가장자리로부터 볼 때)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상이한 설치 위치들에서 벤팅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상이한 설치 위치들 내의 이탈 디바이스에 의해 전기 가열 장치 주위의 충분한 유동이 보장되기 때문에, 동시에 전기 가열 장치가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상이한 설치 위치들 내에서 효과적인 작동이 가능하고 즉, 가용 설치 공간의 효과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액체 입구와 액체 출구는 서로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이러한 이격 거리는 용적 내부의 두 지점들 사이의 최대 가능 거리보다 더 작고(현저하게), 예를 들어, 이러한 최대 가능 거리의 절반보다 더 작고, 바람직하게 1/4보다 더 작고, 바람직하게 1/8보다 더 작다. 예를 들어, 직육면체(완전한)의 경우, 최대 가능 거리는 공간의 대각선들에 상응할 것이다.
바람직하게, 액체 출구는 적어도 3개의 상이한 설치 위치들에서 액체 입구와 동일한 높이로 또는 액체 입구 위에 배치되고/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액체 출구는 2개의 설치 위치들에서 액체 입구의 높이로, 제3 설치 위치에서 액체 입구 위에 배치되고/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3개의 상이한 설치 위치들에서 효과적인 작동뿐만 아니라 벤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만약 액체 출구와 액체 입구가 용적의 동일한 벽 상에(바람직하게 직육면체의 경우 동일한 측벽 상에 또는 실린더의 경우 측면 상에) 배치되면, 액체 출구와 액체 입구는 이러한 벽의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고, 또는 액체 입구와 액체 출구 사이의 연결 라인이 벽 경계로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이탈 디바이스에 의해 증가되는 유동 경로는, 액체 입구와 액체 출구 사이의 간격의 길이의 적어도 2배, 바람직하게 적어도 4배, 보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8배, 보다 더 바람직하게 16배이다.
바람직하게, 이탈 디바이스는 용적의 크기(길이방향)의 적어도 50%, 바람직하게 적어도 80%, 보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90%를 넘고, 및/또는 최대 95%, 바람직하게 최대 92%이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이탈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 또는 정확히 하나의 연결 개구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2개의 하위용적(subvolume)들로 용적을 분리한다. 연결 개구는 액체 출구(액체 입구로부터)가 멀어지는 것보다 액체 입구로부터 더 멀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가열 요소 또는 그 영역은 2개 모두의 하위용적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탈 디바이스에 의해 구획되는 분리 표면(분리 벽)은 바람직하게 최대 20%, 보다 바람직하게 최대 10%(면적의) 개구 또는 개구들을 가진다. 다시 말해서, 분리 표면은 대부분 누설밀봉이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이탈 디바이스의 원위단(액체 입구로부터 이격되어 면하는)에만 하위용적들 사이에 통로가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가열 요소의 개별 구역들로의 벤팅 및/또는 유동을 개선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통로들(적어도 더 작은)은 액체 입구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탈 디바이스(분리 벽)는 이탈 디바이스의 길이방향 크기에 직교되는 액체 공급의 단면이 액체 입구 및/또는 액체 출구로부터 시작하는 퍼널(funnel)의 형상을 좁아지게 하거나 넓어지게 한다. 이탈 디바이스(분리 벽)는 제1 사이드로부터 제2 사이드(반대 사이드, 선택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까지 대각선으로 연장할 수 있다. 좁아지게 하거나 넓어지게(퍼널의 모양을) 함으로써, 용적을 통과하는 유동이 효과적으로 얻어질 수 있고(심지어 상이한 설치 위치들에서), 전반적으로 효율을 개선한다.
용적을 구획하는 하우징과 이탈 디바이스는 단일-조각(일체로) 컴포넌트로서 생산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생산비가 감소될 수 있고 밀봉 위치들(부가적인)이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관형(tubular) 가열 본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layer) 히터는 가열 요소 또는 그 부분으로서 제공된다. 특히, 관형 가열 본체는 전기 도체(선택적으로 누설밀봉 즉 내부 유체 채널들이 없는)의 구불구불한 및/또는 스크류-형상 및/또는 나선-형상의 프로파일을 의미할 수 있다. 특히, 레이어 히터는 전기 도체가 서포트(예, 하우징 내벽) 상에 편평하게(예를 들어, 적어도 5cm2 또는 10cm2 이상으로) 적용되는 가열 요소이다. 예를 들어, 이와 관련하여 WO 2013/186106 A 및 WO 2013/030048 A1이 참조된다. 이러한 문헌들에 개시된 히터들은 전압(또는 전류의 유동)이 인가될 때 가열되는 전기 가열 레이어를 구비한다. 특히, 관형 가열 본체의 사용은 제조가 용이한 기하학적 구조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형태의 전기 가열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형태의 전기 가열 장치 또는 전술한 형태의 차량의 작동 방법에 의해 달성되고, 액체는 액체 입구를 통해 유입되고, 증가된 온도로 액체 출구를 통해 유출된다. 바람직하게, 용적 밖으로 액체의 유동은 차량 내부 특히, 승객 시트를 가열, 및/또는 추진 요소 특히, 엔진을 가열(또는 예열)시키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예열 디바이스 및/또는 보조 가열 디바이스로서 특히, 주차 히터로서, 전술한 형태의 가열 장치의 사용이 제안된다.
가열 요소(전기 가열 저항기)에는 차량의 전류 공급(예를 들어, 차량 배터리)에 의해 및/또는 전기망(외부)에 의해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하위용적들은 각각 용적(총)의 적어도 10%, 바람직하게 적어도 20%, 보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40%를 포함한다.
용적은 적어도 200cm3, 바람직하게 1,000cm3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서, 용적은 적어도 5cm, 바람직하게 적어도 12cm 길이(길이방향 크기)일 수 있다. 상한은 40cm, 바람직하게 30cm일 수 있다. 폭 및/또는 깊이 및/또는 직경(예를 들어, 실린더형 실시예의 경우)는 예를 들어, 적어도 4cm, 바람직하게 적어도 6cm일 수 있다. 상응하는 상한은 12cm, 바람직하게 8cm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기 가열 장치는 설치 위치에 장착을 위해, 상응하는 고정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보어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도면들의 도움으로 더 상세하게 설명될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움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가열 장치의 측면도(부분적으로 투명하게 묘사되거나 허용된 벽들을 가진)를 도시한다.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 및 동일한 효과를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부호들이 사용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를 도시한다(전기 가열 장치의 내부를 부분적으로 볼 수 있도록 벽 요소(22)는 도 2에서 볼 수 있음). 가열 장치의 하우징(10)은 대략적으로 직육면체(라운드진 가장자리들을 가짐)로 구성된다. 하우징(10)에 의해 구획되는 상응하는 용적(11) 역시 직육면체(라운드진 가장자리들을 가짐)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용적(11) 내부에는 관형 가열 본체를 구비하는 가열 요소(12)가 있다. 관형 가열 본체(13)는 전류의 존재에 의해 용적(11) 내의 액체(물)가 가열될 수 있도록 가열된다.
용적(11)은 분리 벽(분리 금속 플레이트)(14)에 의해 2개의 하위용적들(15,16)로 세분된다. 이 경우, 분리 벽(14)은 하나(길이방향)의 사이드 벽(17)으로부터 반대 사이드 벽(18)까지 대각선으로(경사지게) 연장한다. 사이드 벽(17) 상에는 액체 입구(19)와 액체 출구(20)가 있다(구체적으로, 하우징(10)의 길이방향 크기와 관련하여 서로 바로 옆으로). 구체적으로, 액체 입구(19)와 액체 출구(20)는 사이드 벽(17)의 끝단 영역(21) 내에 위치된다. 대안적으로, 액체 입구는 참조 부호 20에 배치될 수 있고, 액체 출구는 참조부호 19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보어(bore)들(21)은 가열 디바이스를 장착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전기 가열 디바이스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일부 구성요소들(특히, 벽들)은 투명하게 묘사되었다. 특히, 도 2로부터, 전기 가열 저항기(가열 요소)(12)가 용적의 전체 길이방향 크기를 넘어(거의) 연장(이러한 길이방향 크기의 적어도 90%를 넘어)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가열 저항기는, 하나의 벽(22)으로부터, 가열 요소 터미널들(23)을 통과하여, 반대 벽(23)까지(거의) 연장한다. 분리 벽(14)의 원위단(24)은 유사하게 도 2에 도시된다. 나아가서, 분리 벽(14)은 벽(22)으로부터 용적 속으로 멀리(용적의 길이방향 크기의 3/4을 넘어) 연장하지만, 바람직하게 가열 요소(12)까지 멀리 연장하지는 않는다. 어떤 경우에도, 액체는 하나의 하위용적으로부터 다른 하위용적까지 연결 개구(25)를 통해 원위단(24) 주위를 유동할 수 있으므로, 액체는 액체 입구(19)로부터 액체 출구(20)까지 유동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제1 설치 위치(수평)를 도시하고, 물 연결들(액체 입구(19)와 액체 출구(20))은 사이드 벽(17)(이 경우, 용적의 상부 사이드 또는 물-운반 구역을 구획하는) 상의 일단에 배치된다.
제2(가능한) 설치 위치(길이방향 축에 대해 90°만큼 회전됨)에서, 물 연결들은 물-운반 구역(용적)에 대해 측방으로(그 후, 수직으로 향하는 벽 상에) 위치되고, 액체 출구는 액체 입구 위에 위치되어 있다.
제3(가능한) 설치 위치("수직"' 수평 설치 위치로부터 교차축을 기준으로 90°만큼 회전된)에서, 물 연결들(액체 입구(19)와 액체 출구(20))은 용적의 상단(물-운반 구역)에 측방으로 배치된다. 용적(11)이 하위용적들(15,16)로 세분화되는 사실은 액체(물)가 액체 입구로부터 액체 출구(20)까지 직접적으로 유동하지 않음으로써 가열 요소(12)를 피하는 것을 보장한다. 세분화는 분리 벽(14)(분리 금속 플레이트)에 의해 가능해 진다. 분리 벽(14)은 바람직하게 금속으로 제조되고 플레이트(분리 벽의 두께는 바람직하게 4m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 2mm 미만임)의 형태로 구성된다. 이탈 요소(분리 벽(14))는 2개의 물 연결들(액체 입구(19)와 액체 출구(20)) 사이에 배치되고, 이것은 물-운반 구역(용적)을 2개의 부분들로 나눈다. 분리 벽(14)을 넘거나 그 주위에서 유동하기 위한 리세스는, 물이 틀림없이 전체 가열 요소 주위에서 유동하도록, 물 연결들로부터 가장 큰 간격에 있는 구역(즉, 수평 설치 위치 내의 바닥에) 내에만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벤팅의 목적을 위해 또는 가열 요소의 개별 구역들로 제어된 유동을 위해, 분리 벽(분리 금속 플레이트)(14) 내에 다른 통로들을 어느 정도 제공할 수 있다.
위에서 기술된 모든 구성요소들은 개별 구성으로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서 본 발명의 필수적인 것으로서 청구되었고, 특히 상세한 내용은 도면들에 도시되었다. 그 변형들은 당업자에게 익숙하다.
10...하우징
11...용적
12...가열 요소
13...관형 가열 본체
14...이탈 디바이스(분리 벽)
15,16...하위용적
17,18...사이드 벽
19...액체 입구
20...액체 출구
21...보어
22,23...벽
24...원위단
25...연결 개구

Claims (13)

  1. 전기 가열 장치 특히, 차량용 주차(parking) 히터로서,
    액체 특히, 물을 수용하고 안내하기 위한 용적(volume)(11), 상기 용적(11) 속으로 액체를 유입하기 위한 액체 입구(19) 및 용적(11) 밖으로 액체를 유출하기 위한 액체 출구(20)를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열 요소(12) 특히, 가열 저항기가 상기 용적(11) 내에 배치되고,
    유동 경로가 증가되도록 상기 액체 입구(19)로부터 상기 액체 출구(20)까지 유동하는 액체가 이탈되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이탈(deviating) 디바이스(14) 특히, 적어도 하나의 분리 벽이 마련된, 전기 가열 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전기 가열 장치는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 적어도 3개의 상이한 설치 위치들에서 장착되고 벤팅(vent)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전기 가열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서,
    상기 액체 입구(19)와 상기 액체 출구(20)는 서로 바로 옆에 및/또는 상기 전기 가열 장치의 동일한 사이드 상에 배치된, 전기 가열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액체 입구(19)와 상기 액체 출구(20)는, 상기 용적 내부의 2개의 지점들 사이의 최대 가능 거리보다 현저히 더 작은 예를 들어, 상기 최대 가능 거리의 절반보다 더 작게, 바람직하게 1/4보다 더 작게, 서로로부터 이격된, 전기 가열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액체 출구(20)는, 적어도 3개의 상이한 설치 위치들에서 상기 액체 입구(19)와 동일한 높이로 또는 액체 입구(19) 위에 놓이는, 전기 가열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이탈 디바이스(14)에 의해 증가되는 유동 경로의 길이는, 상기 액체 입구(19)와 상기 액체 출구(20) 사이의 간격의 적어도 2배, 바람직하게 적어도 4배, 보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8배인, 전기 가열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이탈 디바이스(14)는 상기 용적(11)을 적어도 하나 또는 정확하게 하나의 연결 개구(25)에 의해 서로 연결된 적어도 2개의 하위용적(subvolume)들(15,16)로 분리하고,
    상기 연결 개구(25)는 상기 액체 출구(20)가 이격되는 것보다 상기 액체 입구(19)로부터 더 이격되어 있고, 및/또는
    가열 요소(12) 또는 가열 요소의 영역은 2개 모두의 하위용적들(15,16) 내에 바람직하게 배치되어 있는, 전기 가열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이탈 디바이스(14) 특히, 상기 분리 벽은, 상기 액체 입구(19) 및/또는 액체 출구(20)로부터 시작하는 퍼널(funnel)의 모양에서, 상기 이탈 디바이스(14)의 길이방향 크기에 직교하는 액체 공급의 단면이 좁아지게 하거나 넓어지게 하도록, 배치되고 향하고, 및/또는
    상기 이탈 디바이스(14) 특히, 분리 벽은, 제1 사이드로부터 제2 사이드까지 비스듬하게 연장하는, 전기 가열 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서,
    적어도 하나의 관형(tubular) 가열 본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layer) 히터가 상기 가열 요소(12) 또는 그 부분으로서 마련되는, 전기 가열 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의 전기 가열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
  11. 청구항 10에 따른 차량을 위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 가열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액체 입구(19)를 통해 액체를 유입시키는 단계; 및
    증가된 온도로 액체 출구(20)를 통해 액체를 유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기 가열 장치의 작동 방법.
  12. 청구항 11에서,
    상기 용적(11) 밖으로 유출하는 액체는 차량의 내부 특히, 승객의 시트(seat)를 가열하고, 및/또는 추진(propulsion) 요소 특히, 엔진을 가열하기 위해 사용되는, 차량용 전기 가열 장치의 작동 방법.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 가열 장치를 예열 디바이스 및/또는 보조 가열 디바이스로서 특히, 주차 히터로서 사용하기 위한 가열 장치의 용도.
KR1020197021455A 2017-03-23 2018-03-21 전기 가열 장치 및 가열 장치의 작동 방법 KR1022893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06250.5 2017-03-23
DE102017106250.5A DE102017106250A1 (de) 2017-03-23 2017-03-23 Elektrisches Heizgerät
PCT/EP2018/057088 WO2018172387A1 (de) 2017-03-23 2018-03-21 Elektrisches heizgerä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293A true KR20190100293A (ko) 2019-08-28
KR102289374B1 KR102289374B1 (ko) 2021-08-11

Family

ID=618005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455A KR102289374B1 (ko) 2017-03-23 2018-03-21 전기 가열 장치 및 가열 장치의 작동 방법
KR1020197027857A KR102314435B1 (ko) 2017-03-23 2018-03-23 전기 히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7857A KR102314435B1 (ko) 2017-03-23 2018-03-23 전기 히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200009943A1 (ko)
EP (2) EP3601899A1 (ko)
JP (3) JP2020507502A (ko)
KR (2) KR102289374B1 (ko)
CN (3) CN110291344A (ko)
DE (2) DE102017106250A1 (ko)
WO (2) WO20181723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19041A1 (de) 2018-08-06 2020-02-06 Webasto SE Elektrisches Heizgerät
DE102020123066A1 (de) * 2019-11-18 2021-05-20 Borgwarner Ludwigsburg Gmbh Durchlauferhitzer
CN110966752A (zh) * 2019-12-27 2020-04-07 马丽玲 一种电胶加热装置
CN112895846B (zh) * 2021-02-02 2022-04-26 镇江海姆霍兹传热传动系统有限公司 电动车辆、电加热器及其电加热腔总成
KR102591211B1 (ko) * 2021-09-06 2023-10-19 (주) 존인피니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윔업을 위한 히팅모듈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7988B2 (ja) * 1986-06-30 1996-10-30 日本エラストマ−株式会社 耐衝撃性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JP2011143780A (ja) * 2010-01-13 2011-07-28 Sanden Corp 加熱装置
WO2013157430A1 (ja) * 2012-04-20 2013-10-24 サンデン株式会社 加熱装置
US20140086566A1 (en) * 2011-09-30 2014-03-27 Ralph Waechter Electric Heating Device for Heating Fluids
US20150117846A1 (en) * 2011-12-15 2015-04-30 Behr Gmbh & Co. Kg Electrically operable heating device
EP2884817A1 (de) * 2013-12-13 2015-06-17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Elektrische Heizvorricht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KR20160009961A (ko) * 2014-07-17 2016-01-2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의 인덕션 히터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9848A (ja) * 1981-09-18 1983-03-24 Sanyo Electric Co Ltd 給湯装置
US7127158B1 (en) * 2005-07-12 2006-10-24 Jen-Yen Yen Water sprayer and heater assembly for windshield wiper
EP2127924B1 (de) * 2006-06-28 2011-01-05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Elektrische Heizvorrichtung
CN201066202Y (zh) * 2007-05-29 2008-05-28 巫嘉雄 车用流体加热器
WO2011054970A2 (de) * 2009-11-09 2011-05-12 Dbk David + Baader Gmbh Elektrischer heizer
JP2011144976A (ja) * 2010-01-13 2011-07-28 Sanden Corp 加熱装置
EP2440005B1 (de) * 2010-10-08 2015-12-23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Elektrische Heiz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102011081831A1 (de) 2011-08-30 2013-02-28 Webasto Ag Elektrische Heizeinheit, Heiz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Heizeinheit
DE102012004594B4 (de) * 2012-03-07 2016-09-15 Borgwarner Ludwigsburg Gmbh Elektrische Heizvorrichtung zum Beheizen von Flüssigkeiten
DE102011054406B4 (de) * 2011-09-30 2013-05-23 Borgwarner Beru Systems Gmbh Elektrische Heizvorrichtung zum Beheizen von Flüssigkeiten
JP2013180690A (ja) * 2012-03-02 2013-09-12 Mitsubishi Heavy Ind Ltd 熱媒体加熱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用空調装置
DE102012207301A1 (de) * 2012-05-02 2013-11-07 Webasto Ag Heiz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m Kühlen einer elektronischen Steuereinrichtung der Heizvorrichtung
DE102012209936A1 (de) 2012-06-13 2013-12-19 Webasto Ag Elektrische Heiz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EP2689945B1 (de) * 2012-07-24 2017-05-31 MAHLE Behr GmbH & Co. KG Heizvorrichtung
DE102012107600B4 (de) * 2012-08-20 2015-10-08 Borgwarner Ludwigsburg Gmbh Elektrische Heizvorrichtung zum Beheizen von Fluiden
EP2797381B1 (de) * 2013-04-26 2016-03-09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Elektrische Heizvorricht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2014225348A (ja) * 2013-05-15 2014-12-04 三菱重工オートモーティブ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熱媒体加熱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車両用空調装置
CN104566935A (zh) * 2013-10-23 2015-04-2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液体电加热器
CN203687327U (zh) * 2013-12-13 2014-07-0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Ptc液体加热装置
GB2537715B (en) * 2014-04-14 2018-10-03 Norcros Group Holdings Ltd An instantaneous electric water heater, a heat exchanger and an electric shower
JP2016180546A (ja) * 2015-03-24 2016-10-13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加熱装置
JP2016180547A (ja) * 2015-03-24 2016-10-13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加熱装置
CN204669631U (zh) * 2015-06-02 2015-09-23 华中科技大学 一种ptc电热管及电动汽车水暖加热器
CN205351729U (zh) * 2015-12-15 2016-06-29 上海鹰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水加热器
CN205768493U (zh) * 2016-05-30 2016-12-07 新昌县儒岙镇中意小礼品加工厂 一种汽车配件领域的多功能高效智能化加热器
CN205783724U (zh) * 2016-07-07 2016-12-07 上海子誉电子陶瓷有限公司 一种抗腐蚀大功率液体加热器
CN205818862U (zh) * 2016-07-19 2016-12-21 湖北美标汽车制冷系统有限公司 电动汽车ptc水加热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7988B2 (ja) * 1986-06-30 1996-10-30 日本エラストマ−株式会社 耐衝撃性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JP2011143780A (ja) * 2010-01-13 2011-07-28 Sanden Corp 加熱装置
US20140086566A1 (en) * 2011-09-30 2014-03-27 Ralph Waechter Electric Heating Device for Heating Fluids
US20150117846A1 (en) * 2011-12-15 2015-04-30 Behr Gmbh & Co. Kg Electrically operable heating device
WO2013157430A1 (ja) * 2012-04-20 2013-10-24 サンデン株式会社 加熱装置
EP2884817A1 (de) * 2013-12-13 2015-06-17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Elektrische Heizvorricht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KR20160009961A (ko) * 2014-07-17 2016-01-2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의 인덕션 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9159340U (zh) 2019-07-26
KR20190120306A (ko) 2019-10-23
EP3600928A1 (de) 2020-02-05
US20200009943A1 (en) 2020-01-09
JP2020507502A (ja) 2020-03-12
KR102314435B1 (ko) 2021-10-18
DE102017106250A1 (de) 2018-09-27
DE202017103969U1 (de) 2018-01-29
WO2018172387A1 (de) 2018-09-27
CN110662665A (zh) 2020-01-07
CN110291344A (zh) 2019-09-27
JP2020511763A (ja) 2020-04-16
JP2022017233A (ja) 2022-01-25
US20200023713A1 (en) 2020-01-23
JP6974765B2 (ja) 2021-12-01
EP3601899A1 (de) 2020-02-05
WO2018172509A1 (de) 2018-09-27
KR102289374B1 (ko) 202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0293A (ko) 전기 가열 장치 및 가열 장치의 작동 방법
KR101913121B1 (ko) 독립제어 피티씨히터 및 장치
US10367241B2 (en) Receiving device for receiving at least one energy storage component
US8203839B2 (en) Cooling devices, power modules, and vehicles incorporating the same
CN100567843C (zh) 电热装置
CN108886211A (zh) 具有冷却的接触元件的插拔连接件
US20160156080A1 (en) Receiving device for receiving at least one energy storage component
US20150343345A1 (en) Fuel filter for diesel engine
CN110463369A (zh) 变换器
KR20110020177A (ko) 유체 가열장치
CN104285109A (zh) 用于车辆的加热装置和冷却所述加热装置的电子控制单元的方法
CN107710867A (zh) 流体加热装置
JP2016208765A (ja)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101766569B1 (ko) 차량 가열 회로용 전기 히터
US20180310365A1 (en) Electric heating device
US11933520B2 (en) Fluid-hea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3299743B1 (en) Electric heater
US20230020708A1 (en) Device for cooling battery cells of a traction battery of a motor vehicle and traction battery
JP6559528B2 (ja) 流体加熱装置
US9578687B2 (en) Continuous-flow heater
CN206611690U (zh) 冷却装置
JP2017072293A (ja) 流体加熱装置
KR101737049B1 (ko) 콤팩트 타입의 질소 가열 장치
CN216886301U (zh) 具有散热功能的充电座及具有其的车辆
JP2018022688A (ja) バッテリモジュールおよびバッテ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