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8182A - 롤링 베어링 가이드를 갖는 변위 장치 - Google Patents

롤링 베어링 가이드를 갖는 변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8182A
KR20190098182A KR1020197020638A KR20197020638A KR20190098182A KR 20190098182 A KR20190098182 A KR 20190098182A KR 1020197020638 A KR1020197020638 A KR 1020197020638A KR 20197020638 A KR20197020638 A KR 20197020638A KR 20190098182 A KR20190098182 A KR 20190098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guide
slot
window
s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0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3281B1 (ko
Inventor
빈프리트 라이히
Original Assignee
로토 프란크 펜스타 운트 투르테크놀로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토 프란크 펜스타 운트 투르테크놀로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토 프란크 펜스타 운트 투르테크놀로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98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2015/102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only the wing moving transverse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2015/102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only the wing moving transversely
    • E05D2015/1039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only the wing moving transversely the wing sliding transversely on the carria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05Y2201/692Rollers having vertical ax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윈도우 또는 도어의 고정 프레임에 대해 횡방향으로 창틀 또는 문짝을 이동시키는 변위 장치(10)에 관한 것이다. 변위 장치(10)는 횡방향 이동을 간접적으로 지지하도록 제어부(28)를 갖고, 제어부는 창틀/문짝 상에 고정식으로 장착될 수 있는 안내부(34)에 대해 구동 디바이스(12)에 의해 변위된다. 여기서, 제1 제어 돌기(24a)는 제어부(28)와 구동 디바이스(12) 사이에 제공되어, 제어부(28)의 제1 제어 슬롯(26a)에 맞물리는 동시에 안내부(34)의 제1 안내 슬롯(54a)에 맞물린다. 제1 제어 돌기(24a)는 제1 안내 슬롯(54a)에서의 지탱을 위한 제1 롤링 베어링(50)을 갖는다. 또한, 제1 제어 돌기(24a)는 제1 제어 슬롯(26a) 상의 지지를 위한 제2 롤링 베어링(52)을 가질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안내부(34)와 제어부(28) 사이에 지지 롤링 베어링이 제공될 수 있다. 변위 장치(10)는 적당한 작동력으로 고정 프레임 상에 창틀/문짝의 높은 접촉 압력을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윈도우 또는 도어의 양호한 밀봉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윈도우 또는 도어의 사용자에 의한 구동 디바이스(12)의 작동에 의해 매우 무거운 창틀/문짝의 매우 낮은 마찰의 조정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롤링 베어링 가이드를 갖는 변위 장치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윈도우 또는 도어의 고정 프레임의 주 평면을 가로질러 창틀 또는 문짝을 변위시키기 위한 변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그러한 변위 장치를 갖는 윈도우 또는 도어에 관한 것이다.
EP 2 829 679 A1호로부터, 서두에 언급한 변위 장치가 공지되어 있는데, 이 변위 장치는 창틀/문짝에 고정식으로 배치될 수 있는 안내부 및 이 안내부 상에 안내되는 제1 제어부를 갖는다. 제1 제어부는 제1 제어 돌기가 내부에서 안내되는 만곡 연장형 제1 제어 슬롯을 갖고, 제1 제어 돌기는 구동 로드의 형상인 구동 메커니즘에 고정식으로 연결된다.
WO 2007/139354 A1호는 롤러 장치가 장착되는 구동 로드의 형상인 구동 메커니즘을 개시하고, 구동 로드는 U형 단면을 갖는 안내 프로파일에 통합된다. 안내 프로파일은 제어 돌기가 내부에서 안내되는 만곡 연장형 제어 슬롯을 갖고, 제어 돌기는 구동 로드 상에 고정식으로 장착된다. 제어 돌기는 제어 돌기와 제어 슬롯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롤링 베어링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WO 2012/093382 A1호로부터, 제어 돌기를 갖는 변위 장치가 공지되어 있고, 제어 돌기는 제어 슬롯 내에서 안내된다. 제어 돌기와 제어 슬롯 사이의 마찰을 감소하기 위해, 롤링 베어링이 제어 돌기 상에 배치된다.
DE 10 2014 220 837 B3호는 롤러 장치를 갖는 변위 장치를 개시한다. 롤러 장치는 창틀/문짝에 배치될 수 있는 안내부 및 이 안내부에 대해 변위될 수 있는 롤러를 갖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롤링 베어링이 제1 제어부와 안내부 사이에 제공된다.
따라서, 제어 돌기와 제어 슬롯 사이에 롤링 베어링을 배치하면 변위 장치의 구동 중에 마찰이 감소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중 창유리를 갖는 매우 무거운 창틀/문짝은 확실하게 제어된 방식으로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조정하기가 특히 어려운 것으로 밝혀졌다. 더욱이, 공지된 해법은 사용자 친화적 조작력에 의해 제한된 접촉 압력만이 발생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창틀/문짝을 보다 용이하게 이동시키는 변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목적은 그러한 변위 장치를 갖는 윈도우 또는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변위 장치 또는 청구항 10에 따른 윈도우 또는 도어에 의해 해결된다. 종속 청구항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창틀/문짝을 위한 변위 장치에 의해 해결되고, 창틀/문짝은 변위 장치의 구동 메커니즘을 구동함으로써 확실하게 제어된 방식으로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조정된다. 변위 장치는 제1 제어 돌기 및 제1 제어 슬롯을 갖고, 제1 제어 돌기는 제1 제어 슬롯에 맞물린다. 제1 제어 슬롯은 창틀/문짝의 주 평면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창틀/문짝의 주 평면은 특히 구동 메커니즘이 걸쳐 있는 평면에 대응한다. 구동 메커니즘에 의한 제1 제어 돌기의 변위는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창틀/문짝의 조정이 발생할 수 있도록 변위 장치의 제어부의 이동을 유발한다. 변위 장치는 또한 창틀/문짝 상에 고정식으로 배치될 수 있는 안내부를 갖는다. 제1 제어 돌기는 안내부에 형성되는 제1 안내 슬롯 내에서 부분적으로 안내된다. 제1 안내 슬롯은 바람직하게는 창틀/문짝의 주 평면에서 또는 창틀/문짝의 주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1 제어 돌기는 제1 안내 슬롯의 영역에 제1 롤링 베어링을 갖고, 제1 롤링 베어링은 구동 메커니즘이 구동될 때에 제1 안내 슬롯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어부는 바람직하게는 창틀/문짝의 주 평면을 가로질러 재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안내부 상에서 제1 제어 돌기의 슬라이딩 마찰이 제거되면 구동 메커니즘의 작동이 상당히 용이하게 된다는 지식에 기초한다. 현저한 마찰 손실은 제1 제어 돌기와 제1 제어 슬롯 사이에서만 발생한다고 가정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슬라이딩 마찰은 지금까지 무시되어 왔다. 그러나, 특히 고정 프레임에 대한 창틀/문짝의 높은 접촉력(및 창틀/문짝과 고정 프레임 사이의 시일의 결과적인 압축)의 경우에, 제1 제어 돌기와 제1 안내 슬롯 사이의 마찰은 사용자에 대한 구동 메커니즘의 저항의 큰 부분을 구성한다고 밝혀졌다. 따라서, 제1 제어 돌기와 제1 안내 슬롯 사이에 제1 롤링 베어링을 배치하는 것은 변위 장치의 작동을 상당히 용이하게 한다.
제1 롤링 베어링은 볼 베어링 또는 니들 베어링의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제1 롤링 베어링은 금속 외부 링을 가질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1 롤링 베어링은 특히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추가 외부 링의 형상인 추가 바디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롤링 베어링의 외부 링은 플라스틱으로 캡슐화될 수 있다. 제1 롤링 베어링은 바람직하게는 제1 안내 슬롯에서 2 mm 미만, 특히 1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0.5 mm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0.2 m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mm 미만의 클리어런스(clearance)를 갖는다.
변위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제어 돌기는 구동 메커니즘 상에 배치되거나 형성되고, 제1 제어 슬롯은 제1 제어부 상에 배치되거나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변위 장치의 특히 간단한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제1 제어부는 안내부에 대해 한 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부 상에서 안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안내부에 대해 창틀/문짝의 주 평면에 수직 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다.
제1 제어부는 안내부 상에서 피봇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회전축은 창틀/문짝의 주 평면에 평행하게 또는 창틀/문짝의 주 평면에 배치된다.
변위 장치는 변위 장치의 하부측에서 제어부에 연결된 롤러 장치 및/또는 변위 장치의 상부측 상의 지지 장치를 가질 수 있다. 지지 장치는 회전축을 갖는 롤러를 가질 수 있고, 회전축은 특히 창틀/문짝의 주 평면에서 정렬된다.
제1 롤링 베어링에 추가하여, 제1 제어 돌기는 제1 제어 돌기와 제1 제어 슬롯 사이의 마찰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제1 제어 슬롯의 영역에 제2 롤링 베어링을 가질 수 있다. 제2 롤링 베어링은 볼 베어링 또는 니들 베어링의 형상으로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롤링 베어링 및 제2 롤링 베어링은 동일한 형상으로 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변위 장치는 안내부와 제어부 사이에 배치되거나 형성된 지지 롤링 베어링을 갖는다. 지지 롤링 베어링은 볼 베어링의 형태, 또는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니들 롤러를 갖는 롤링 베어링의 형태로 될 수 있다.
변위 장치는 제2 제어 슬롯에 맞물리고 안내부의 제2 안내 슬롯 내에서 안내되는 제2 제어 돌기를 가질 수 있다. 제2 제어 슬롯은 창틀/문짝의 주 평면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제2 안내 슬롯은 바람직하게는 창틀/문짝의 주 평면에서 또는 창틀/문짝의 주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2 제어 돌기의 제1 롤링 베어링은 바람직하게는 제2 안내 슬롯에 2 mm 미만, 특히 1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0.5 m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mm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mm 미만의 클리어런스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제2 제어 돌기는 제2 제어 돌기를 제2 안내 슬롯 상에 지지하기 위한 제1 롤링 베어링을 갖는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2 제어 돌기는 제2 제어 돌기를 제2 제어 슬롯 상에 지지하기 위한 제2 롤링 베어링을 가질 수 있다.
제1 제어 돌기의 제1 롤링 베어링은 제2 제어 돌기의 제1 롤링 베어링과 동일할 수 있다. 제1 제어 돌기의 제2 롤링 베어링은 제2 제어 돌기의 제2 롤링 베어링과 동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제어 돌기는 제2 제어 돌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고정 프레임, 창틀/문짝, 및 전술한 변위 장치를 갖는 윈도우 또는 도어에 의해 해결된다. 안내부는 창틀/문짝에 고정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창틀/문짝은, 바람직하게는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특히 평행하게 조정될 수 있고 고정 프레임에 대해 평행하게 변위될 수 있는 슬라이드 창틀/문짝의 형상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예의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청구범위로부터, 그리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 세부 사항을 도시하는 도면으로부터 도출된다. 다양한 특징들은 각자 개별적으로 또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 복수의 무작위적인 조합으로 실행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특징들은 본 발명의 특별한 특징들이 자명하게 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도 1은 변위 장치의 등각 투영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세 II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상세 III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4는 폐쇄 장치를 갖는 창틀/문짝 상의 폐쇄측으로부터의 도면으로, 창틀/문짝은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 5는 도 4에 대응하는 묘사로서, 창틀/문짝은 고정 프레임의 주 평면을 가로질러 도 4의 묘사에 대해 재배치되어 있다.
도 6은 도 1의 상세 II의 추가적인 부분 분해도이다.
도 7은 변위 장치의 추가 실시예의 등각 투영도이다.
도 8은 변위 장치가 장착된, 도 7에 따른 영역 VIII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변위 장치가 장착된, 도 7에 따른 영역 IX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은 구동 핸들(14)을 통해 작동될 수 있는 둘레 방향 구동 로드 피팅의 형상인 구동 메커니즘(12)을 갖는 변위 장치(10)를 도시한다. 구동 메커니즘(12)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윈도우 또는 도어 상에 장착되어 절곡 둘레 방향(fold circumferential direction; 16)을 따라 연장된다. 절곡 둘레 방향(16)은 윈도우 또는 도어의 주 평면(18)(도 1에만 나타냄)에서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변위 장치(10)는 롤러 장치(20a, 20b)를 갖는 2개의 위치(a, b) 및 지지 장치(22a, 22b)를 갖는 2개의 위치(c, d)를 갖고, 롤러 장치(20a, 20b) 및 지지 장치(22a, 22b)는 절곡 둘레 방향(16)을 가로질러 각각 변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섹션 II의 구성요소의 일부를 도시한다. 구동 메커니즘(12)은 제1 제어 슬롯의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제어 슬롯(26a)과 맞물리는 핀 모양의 제1 제어 돌기(24a)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 제어 슬롯(26a)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곡 둘레 방향(16)에 대해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구동 메커니즘(12)이 절곡 둘레 방향(16)으로 재배치되면, 롤러 장치(20a)는 절곡 둘레 방향(16)에 수직으로 재배치된다. 제1 제어 슬롯(26a)은 제어부(28)에 형성된다.
롤러 장치(20a)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30a, 30b)를 갖는다. 또한, 이 경우에, 롤러 장치(20a)는 지지 롤러(32)를 갖는다. 지지 롤러(32)는 나머지 롤러 장치(20a)의 폭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이는 지지 롤러(32)를 지지함으로써 롤러 장치(20a) 상의 횡방향 힘이 회피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상세 III의 표현을 도시한다. 지지 장치(22a)는 또한 수직 회전축 둘레에 배치된 지지 롤러(32)를 갖는다. 도 2에 따른 구성과 유사하게, 상세 Ⅲ 영역에서의 변위 장치(10)는 제1 제어 돌기(24a)가 맞물리는 제1 제어 슬롯(보이지 않음)을 갖는 제어부(28)를 갖는다. 더욱이, 변위 장치(10)는 도 2에 따른 변위 장치(10)에 도시되지 않은 안내부(34)를 갖는다. 안내부(34)는 창틀/문짝(40) 상에 고정식으로 장착된다(도 4, 도 5 참조). 제1 제어 돌기(24a)는 안내부(28) 내의 미도시된 제1 안내 슬롯 상에 장착되어 절곡 둘레 방향(16)으로 구동 메커니즘(12)의 작동 중에 마찰을 감소시킨다. 제1 제어 돌기(24a)는 안내부(34)를 통해 맞물리고 제어부(28) 내에 맞물린다.
도 4는 고정 프레임(38) 및 창틀/문짝(40)을 갖는 윈도우 또는 도어(36)의 폐쇄측에서 본 도면을 도시한다. 구동 메커니즘(12)은 창틀/문짝(40) 상에 장착된다. 구동 메커니즘은 러닝 레일(42) 상의 롤러 장치(20a)에 의해 지지된다. 창틀/문짝(40)과 고정 프레임(38) 사이에는 간극(44)이 있다. 따라서, 창틀/문짝(40)은 고정 프레임(38)의 둘레 방향 시일(46)에 맞닿지 않는다.
지지 롤러(32)는 수직 웨브로서 형성된 고정 프레임(38)의 가이드(48)와 맞닿는다. 도시된 위치에서, 창틀/문짝(40)은 고정 프레임(38)에 대해 변위될 수 있고, 지지 롤러(32)는 가이드(48) 상에 자체 지지되거나 가이드 상에서 롤링할 수 있다. 윈도우 또는 도어(36)의 상부 영역에서, 고정 프레임(38)은 또한 여기서 홈 모양으로 형성된 가이드(48)를 갖는다. 지지 롤러(32)(또한, 도 3 참조)는 가이드(48) 내에서 안내된다.
도 5는 구동 메커니즘(12)을 작동시킨 후에 윈도우 또는 도어(36)를 도시한다. 구동 메커니즘(12)의 구동에 의해, 롤러 장치(도 5에서는 롤러 장치(20a)가 보임) 및 지지 장치(도 5에서는 지지 장치(22a)가 보임)가 재배치된다. 이는 창틀/문짝(40)이 고정 프레임(38)에 접근함으로써 시일(46)이 창틀/문짝(40)과 고정 프레임(38) 사이에서 클램핑되고 압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6은 도 1의 상세 II에 따른 변위 장치(10)의 추가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제1 제어 돌기(24a)가 원통형 형상을 갖고 구동 메커니즘(12) 상에 배치된다는 것을 도시한다. 제1 제어 돌기(24a)는 제1 롤링 베어링(50) 및 제2 롤링 베어링(52)을 갖는다. 제1 롤링 베어링(50)은 안내부(34)의 제1 안내 슬롯(54a) 내에서 제1 제어 돌기(24a)의 저-마찰 안내를 위해 사용된다. 제2 롤링 베어링(52)은 안내부(28)의 제1 제어 슬롯(26a) 내에서 제1 제어 돌기(24a)의 저-마찰 안내를 위해 사용된다.
제1 안내 슬롯(54a)은 절곡 둘레 방향(16)의 방향으로 또는 절곡 둘레 방향(16)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반면, 제1 제어 슬롯(26a)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곡 둘레 방향(16)을 가로질러 형성된다. 롤러 장치(20a)는 제어부(28) 상에 배치된다. 이와 유사하게 상세 III(도 3 참조) 영역의 변위 장치(10)가 형성되고, 제어부(28)는 롤러 장치(20a) 대신에 지지 장치(22a)(도 3 참조)를 갖는다.
안내부(34)는 창틀/문짝(40)(도 4 및 도 5 참조) 상에 고정식으로 배치되고, 즉 강성 및 고정형이며, 여기서는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안내부(34)와 제어부(28) 사이에 가이드(56)가 제공되고, 가이드는 절곡 둘레 방향(16)을 가로질러 안내부(34)에 대해 제어부(28)의 제한된 이동만을 허용한다. 이 예에서, 가이드(56)는 도브테일 가이드(dovetail guide)의 형상이다.
도 7은 변위 장치(10)의 추가 예를 도시한다. 변위 장치(10)는 제1 제어 돌기(24a) 및 제2 제어 돌기(24b)를 갖는다. 제어 돌기(24a, 24b)는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더욱이, 양 제어 돌기(24a, 24b)는 도 6에 따른 제1 제어 돌기(24a)와 동일하다. 양 제어 돌기(24a, 24b)는 구동 메커니즘(12) 상에 배치된다.
제1 제어 돌기(24a)는 여기서 한쪽으로만 개방된 제1 안내 슬롯(54a) 내에서 안내된다. 제2 제어 돌기(24b)는 또한 여기서 개방되어 있는 제2 안내 슬롯(54b) 내에서 안내된다. 더욱이, 제1 제어 돌기(24a)는 제1 제어 슬롯(26a)에 맞물리고 제2 제어 돌기(24b)는 제2 제어 슬롯(26b)에 맞물린다. 변위 장치(10)가 구동될 때에, 제1 제어 돌기(24a)는 이 제1 제어 돌기에 할당된 슬롯(26a, 54a)으로부터 나온다. 이렇게 빠져나오기 직전에, 제2 제어 돌기(24b)는 할당된 슬롯(26b, 54b)에 진입하여, 제어부(28)(도 8 및 도 9 참조)의 연속적인 안내가 보장된다.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는 전체가 참조되는 DE 10 2014 220 837 B3호에 유사하게 설명되어 있다.
도 8은 영역 Ⅷ(도 7 참조)에서의 변위 장치(10)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8은 제1 안내부(34) 상에서의 제1 롤링 베어링(50)의 안내 및 제어부(28) 상에서의 제2 롤링 베어링(52)의 안내를 도시한다. 거리(A 및 B)(도 8에서 명료하게 확대 도시됨)로 구성되는, 안내부(34) 및 제어부(28)에서의 제1 제어 돌기(24a)의 수평 클리어런스는 0.5 mm 미만이다. 이상적으로, 클리어런스는 0을 향하게 된다. 롤링 베어링(50, 52)의 내부 링은 스페이서 링(58)에 의해 이격되어 있다.
도 9는 영역 IX(도 7 참조)에서 변위 장치(10)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9는 지지 롤링 베어링(60)이 제어부(28)와 안내부(34) 사이에 배치된다는 것을 도시한다. 이는 매우 무거운 창틀/문짝(40)(도 4, 도 5 참조)조차도 저-마찰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든 도면을 요약하면, 본 발명은 윈도우 또는 도어(36)의 고정 프레임(38)을 가로질러 윈도우 또는 도어(36)의 창틀/문짝(40)을 이동시키는 변위 장치(10)에 관한 것이다. 변위 장치(10)는 횡방향 이동을 간접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제어부(28)를 갖고, 제어부는 구동 디바이스(12)에 의해 창틀/문짝(40) 상에 고정식으로 장착될 수 있는 안내부(34)에 대해 변위된다. 제1 제어 돌기(24a)는 제어부(28)와 구동 디바이스(12) 사이에 제공되어, 제어부(28)의 제1 제어 슬롯(26a)에 맞물리는 동시에 안내부(34)의 제1 안내 슬롯(54a)에 맞물린다. 제1 제어 돌기(24a)는 제1 안내 슬롯(54a)에서의 지탱을 위한 제1 롤링 베어링(50)을 갖는다. 또한, 제1 제어 돌기(24a)는 제1 제어 슬롯(26a) 상의 지지를 위한 제2 롤링 베어링(52)을 가질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안내부(34)와 제어부(28) 사이에 지지 롤링 베어링(60)이 제공될 수 있다. 변위 장치(10)는 적당한 작동력으로 고정 프레임(38)에 대해 창틀/문짝(40)의 높은 접촉 압력을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윈도우 또는 도어(36)의 양호한 밀봉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윈도우 또는 도어(36)의 사용자에 의한 구동 디바이스(12)의 작동에 의해 매우 무거운 창틀/문짝(40)의 매우 낮은 마찰의 조정이 가능하다.

Claims (11)

  1. 윈도우 또는 도어(36)의 고정 프레임(38)의 주 평면을 가로질러 윈도우 또는 도어(36)의 창틀/문짝(40)을 변위시키기 위한 변위 장치(10)로서,
    a) 창틀/문짝(40)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곡 둘레 방향(fold circumferential direction; 16)으로 이동될 수 있는 구동 메커니즘(12);
    b) 제1 제어 돌기(24a);
    c) 제어부(28);
    d) 제1 제어 슬롯(26a)으로서, 상기 제1 제어 돌기(24a)는 부분적으로 제1 제어 슬롯(26a) 내에 통합되고, 상기 제1 제어 슬롯(26a)은, 구동 메커니즘(12)에 의한 제1 제어 돌기(24a)의 변위가 제1 제어부(28)를 변위시키도록 창틀/문짝(40)의 주 평면(18)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것인 제1 제어 슬롯(26a);
    e) 창틀/문짝(40) 상에 움직일 수 없게 장착될 수 있고, 제1 제어 돌기(24a)가 부분적으로 통합되는 제1 안내 슬롯(54a)을 갖는 안내부(34)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8)는 창틀/문짝(40)을 고정 프레임(38)에 대해 변위시키도록 안내부(34)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인 변위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돌기(24a)는 제1 안내 슬롯(54a) 내에서 제1 제어 돌기(24a)의 저-마찰 안내를 위한 제1 롤링 베어링(5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돌기(24a)는 상기 구동 메커니즘(12) 상에 배치되거나 형성되고, 상기 제1 제어 슬롯(26a)은 제1 제어부(28) 상에 배치되거나 형성되는 것인 변위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34) 상에서 제1 제어부(28)가 안내되고, 상기 제1 제어부(28)는 상기 창틀/문짝(40)의 주 평면(18)을 가로질러, 특히 창틀/문짝(40)의 주 평면(18)에 수직 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인 변위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제어부(28)가 상기 안내부(34)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축은 상기 창틀/문짝(40)의 주 평면(18)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인 변위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장치(10)는 상기 제어부(28) 상에 배치되거나 형성되는 롤러 장치(20a, 20b) 및/또는 상기 고정 프레임(38) 상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 장치(22a, 22b)를 갖는 것인 변위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돌기(24a)는 제1 제어 슬롯(26a) 내에서 제1 제어 돌기(24a)의 저-마찰 안내를 위한 제2 롤링 베어링(52)을 갖는 것인 변위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장치(10)는 상기 안내부(34)와 제1 제어부(28) 사이에 지지 롤링 베어링(60)을 갖는 것인 변위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장치는 상기 제어부(28)의 구동을 위한 제2 제어 돌기(24b)와 제2 제어 슬롯(26b)을 갖고, 상기 제2 제어 돌기(24b)는 부분적으로 제2 제어 슬롯(26b)에 통합되며 상기 안내부(34)는 제2 제어 돌기(24b)가 부분적으로 통합되는 제2 안내 슬롯(54b)을 갖는 것인 변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돌기(24b)는 상기 제1 제어 돌기(24a)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인 변위 장치.
  10. 윈도우 또는 도어(36)로서,
    고정 프레임(38), 창틀/문짝(40) 및 상기 창틀/문짝을 상기 고정 프레임(38)에 대해 안내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변위 장치(10)를 포함하는 윈도우 또는 도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문짝(40)은, 상기 고정 프레임(38)으로부터 조정될 수 있고 상기 고정 프레임(38)에 평행하게 변위될 수 있는 슬라이드 창틀/문짝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인 윈도우 또는 도어.
KR1020197020638A 2016-12-19 2017-12-06 롤링 베어링 가이드를 갖는 변위 장치 KR1023732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25385.9A DE102016225385A1 (de) 2016-12-19 2016-12-19 Verlagerungsanordnung mit Wälzlagerführung
DE102016225385.9 2016-12-19
PCT/EP2017/081694 WO2018114337A1 (de) 2016-12-19 2017-12-06 Verlagerungsanordnung mit wälzlagerführ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182A true KR20190098182A (ko) 2019-08-21
KR102373281B1 KR102373281B1 (ko) 2022-03-10

Family

ID=60627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0638A KR102373281B1 (ko) 2016-12-19 2017-12-06 롤링 베어링 가이드를 갖는 변위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085216B2 (ko)
EP (1) EP3555397B1 (ko)
KR (1) KR102373281B1 (ko)
CN (1) CN110088420B (ko)
CA (1) CA3063624C (ko)
DE (1) DE102016225385A1 (ko)
PL (1) PL3555397T3 (ko)
WO (1) WO201811433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4937B1 (ko) * 2022-11-18 2023-02-06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수평 이동형 창호 조립체용 수평 이동 모듈
KR20230133496A (ko) * 2022-03-11 2023-09-19 (주)명진 미닫이 창호의 수평밀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25385A1 (de) * 2016-12-19 2018-06-21 Roto Frank Ag Verlagerungsanordnung mit Wälzlagerführung
DE102018111201A1 (de) * 2018-05-09 2019-11-14 Roto Frank Ag Beschlaganordnung für ein Schiebefenster oder eine Schiebetür
DE102018116417A1 (de) * 2018-07-06 2020-01-09 Roto Frank Fenster- und Türtechnologie GmbH Vormontierte Beschlaggruppe und Beschlaganordnung für ein Fenster oder eine Tür
CN110242164B (zh) * 2019-07-26 2024-05-07 深圳好博窗控技术股份有限公司 平移结构、滑轮及门窗组件
DE102019216524B4 (de) * 2019-07-31 2021-05-27 Roto Frank Fenster- und Türtechnologie GmbH Beschlaganordnung für einen parallelabstellbaren Flügel und Verschlussanordnung für eine Gebäudeöffnung
DE102019215332A1 (de) 2019-10-07 2021-04-08 W. Gessmann Gmbh Lichtsignalvorrichtung für ein fahrerloses Transportsystem
DE102020210443A1 (de) * 2020-08-17 2022-02-17 Roto Frank Fenster- und Türtechnologie GmbH Laufwagenanordnung mit wälzlagergeführter Kraftabtragung in Verschieberichtung sowie Fenster oder Tür mit einer solchen Laufwagenanordnung
DE102020210444A1 (de) * 2020-08-17 2022-02-17 Roto Frank Fenster- und Türtechnologie GmbH Laufwagen mit Höhenverstellung sowie Fenster oder Tür mit einem solchen Laufwagen
DE102021201882A1 (de) 2021-02-26 2022-09-01 Roto Frank Fenster- und Türtechnologie GmbH Einfache Steuerzapfenbefestigung
DE102021201885A1 (de) * 2021-02-26 2022-09-01 Roto Frank Fenster- und Türtechnologie GmbH Andruckeinrichtung für ein Fenster oder eine Tür
DE202021100989U1 (de) 2021-02-26 2022-05-31 Roto Frank Fenster- und Türtechnologie GmbH Beschlaganordnung für ein Fenster oder eine Tür
DE102022204890A1 (de) * 2022-05-17 2023-11-23 Roto Frank Fenster- und Türtechnologie GmbH Barrierefreie Schiebetür mit einem querabstellbaren Flüge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3690A (ko) * 2013-07-22 2016-03-28 로토 프란크 아게 고정 문틀 상에 슬라이딩 문짝을 압착하기 위한 기구
WO2016058756A1 (de) * 2014-10-15 2016-04-21 Roto Frank Ag Laufwagen eines abstellbaren schiebeflügel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0936A (en) * 1970-12-07 1972-05-09 David W Bryson Window construction
JPS5926751B2 (ja) * 1979-08-16 1984-06-30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サッシの気密装置
US4538323A (en) * 1983-02-24 1985-09-03 Lawrence Brothers, Inc. Bearing supported truck assembly for sliding door
JPS60155882U (ja) * 1984-03-26 1985-10-17 木下 日雄 冷蔵庫の自動扉
US5012611A (en) * 1990-07-19 1991-05-07 Lava Group Inc. Sealing mechanism for a window set
US5836111A (en) * 1996-04-16 1998-11-17 Fine Industries, Inc. Opening-closing device for windows
KR100729222B1 (ko) * 2005-12-29 2007-06-19 이광석 미서기 창호 시스템의 개폐장치 및 개폐방법
KR100671256B1 (ko) 2006-05-30 2007-01-19 이광석 미서기 창호 시스템의 이동창 창짝 프레임 조립체의 결합구조
BRPI0700831A (pt) * 2007-03-16 2008-11-04 Fabio Gadioli sistema de estrutura e perfis para vedação hermética e acústica em janelas e portas deslizantes
DE202009016043U1 (de) 2009-11-23 2010-08-12 Siegenia-Aubi Kg Beschlag für einen verschiebbaren Flügel von Fenstern oder Türen
WO2012093382A1 (en) 2011-01-06 2012-07-12 Setal Ltd. Sliding and sealing closure system
KR101402940B1 (ko) * 2012-04-01 2014-06-27 주식회사 필로브 알루미늄 샤시 구조의 슬라이딩 창호 시스템의 이동창 설치 구조
SE538949C2 (sv) * 2013-12-02 2017-02-28 Assa Oem Ab Beslag för skjutbara dörrar eller fönster samt system och dörr respektive fönster innefattande ett sådant beslag
CN105804592B (zh) 2014-12-30 2018-01-19 广东合和建筑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平移门窗用传动装置
CN205805165U (zh) 2016-06-03 2016-12-14 孙朝霞 门窗系统
CN205669368U (zh) 2016-06-03 2016-11-02 孙朝霞 活动门窗装配组件
CN105909155B (zh) 2016-06-03 2018-06-26 孙朝霞 门窗系统
DE102016225385A1 (de) * 2016-12-19 2018-06-21 Roto Frank Ag Verlagerungsanordnung mit Wälzlagerführung
DE102018116417A1 (de) * 2018-07-06 2020-01-09 Roto Frank Fenster- und Türtechnologie GmbH Vormontierte Beschlaggruppe und Beschlaganordnung für ein Fenster oder eine Tü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3690A (ko) * 2013-07-22 2016-03-28 로토 프란크 아게 고정 문틀 상에 슬라이딩 문짝을 압착하기 위한 기구
WO2016058756A1 (de) * 2014-10-15 2016-04-21 Roto Frank Ag Laufwagen eines abstellbaren schiebeflügel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3496A (ko) * 2022-03-11 2023-09-19 (주)명진 미닫이 창호의 수평밀착장치
KR102494937B1 (ko) * 2022-11-18 2023-02-06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수평 이동형 창호 조립체용 수평 이동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088420B (zh) 2021-07-20
KR102373281B1 (ko) 2022-03-10
PL3555397T3 (pl) 2021-05-17
US11085216B2 (en) 2021-08-10
EP3555397A1 (de) 2019-10-23
US20190345749A1 (en) 2019-11-14
CA3063624C (en) 2023-11-21
EP3555397B1 (de) 2020-11-04
DE102016225385A1 (de) 2018-06-21
CA3063624A1 (en) 2019-12-06
CN110088420A (zh) 2019-08-02
WO2018114337A1 (de)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3281B1 (ko) 롤링 베어링 가이드를 갖는 변위 장치
AU2013206568B2 (en) Guiding device, carriage and running rail
KR20170067879A (ko) 해제 가능한 슬라이딩 리프의 캐리지
KR20160033690A (ko) 고정 문틀 상에 슬라이딩 문짝을 압착하기 위한 기구
US9347257B2 (en) Lifting door having a movable door leaf guide
US8677565B2 (en) Hinge for doors of domestic appliances such as ovens, dishwashers or the like
KR20100009382A (ko) 챔버의 도어개폐장치
JP2013520589A (ja) 移動可能なドアリーフガイドを有する昇降ドア
EP2712990A1 (en) Carriage unit for sliding door or window of the lift and slide type
EP3299752A1 (en) Refrigerator
WO2012042409A1 (en) Sliding door or window
KR101060234B1 (ko) 미서기 창호 시스템의 개폐 장치
JP2021506498A (ja) 引出しガイド
KR20080089989A (ko) 엘리베이터 도어행거의 슬라이드장치
AT514944B1 (de) Möbelantrieb
JP6173017B2 (ja) バックル折り機用のバックルプレートユニット
KR100898194B1 (ko) 출입문 개폐장치
KR20200121148A (ko) 슬라이딩 도어 개폐시스템
EP2712994B1 (en) Carriage unit for sliding door or window of the lift and slide type
JP3824270B2 (ja) スライドドア装置
KR101303561B1 (ko) 차량의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구조
KR20210012137A (ko) 슬라이드 도어용 호차
EP3708752A1 (en) Fitting for a lifting-sliding element
KR20100044323A (ko) 창문시스템
RU2017102197A (ru) Ходовой механизм с эксцентриковой направляющей цапфой, а также раздвижная дверь или раздвижное окно с таким ходовым механизм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