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194B1 - 출입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출입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194B1
KR100898194B1 KR1020070124350A KR20070124350A KR100898194B1 KR 100898194 B1 KR100898194 B1 KR 100898194B1 KR 1020070124350 A KR1020070124350 A KR 1020070124350A KR 20070124350 A KR20070124350 A KR 20070124350A KR 100898194 B1 KR100898194 B1 KR 100898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wall
link member
closing device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4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21621A (ko
Inventor
신진철
Original Assignee
신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진철 filed Critical 신진철
Priority to KR1020070124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8194B1/ko
Publication of KR20070121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1621A/ko
Priority to PCT/KR2008/007109 priority patent/WO2009072790A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
    • E05D15/3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 with pivoted arms and slid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swinging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출입문에도 설치될 수 있고 특히 출입문이 슬라이딩될 수 있는 측방향 공간이 없거나 부족한 경우에 적합한 출입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출입문 개폐장치는, 출입문의 상단 또는 하단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연결부재와, 연결부재를 미리 정해진 구간에서 왕복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이동유니트; 출입문과 측면쪽의 벽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곳에서 연결하되, 벽체에는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출입문에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출입문이 닫힌 상태에서 이동부재에 의하여 연결부재가 벽체쪽으로 이동되면 링크부재가 회동되면서 출입문이 회전되어 개방된다.
출입문, 자동문, 회전, 회동

Description

출입문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본 발명은 출입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출입문에도 설치될 수 있고 특히 출입문이 슬라이딩될 수 있는 측방향 공간이 없거나 부족한 경우에 적합한 출입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문은 구동모터 또는 실린더 등을 이용하여 출입문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것으로서, 대부분의 자동문은 출입문을 측면쪽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개폐한다. 따라서, 출입문을 슬라이딩시키기 위해서는 출입문 측면쪽에 출입문이 슬라이딩되기 위한 공간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런데, 상기 공간이 없는 경우에는 자동문을 설치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공간이 있다고 하더라도 출입문이 슬라이딩하기에 부족한 경우에는 출입문을 작게 만드는 대신에 슬라이딩을 위한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자동문을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출입문의 크기가 작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수동문을 자동문으로 바꾸고자 하는 경우에도 위와 동일한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한편, 측면쪽에 슬라이딩을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하여 별도로 공사를 하 는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별도의 공사비가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화재 등과 같은 비상시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출입문의 도어락을 회전시켜서 출입문을 열기보다는 무의식적으로 출입문을 밀고 나가기 때문에 측면쪽으로 슬라이딩되는 출입문은 비상시에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출입문의 측방향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도 출입문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출입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출입문에도 설치될 수 있는 출입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출입문을 미는 동작에 의하여 출입문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화재 등과 같은 긴급 상황에서 실내에 갇힌 사람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개폐장치는, 출입문의 상단 또는 하단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연결부재와, 연결부재를 미리 정해진 구간에서 왕복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이동유니트; 출입문과 측면쪽의 벽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곳에서 연결하되, 벽체에는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출입문에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출입문이 닫힌 상태 에서 이동부재에 의하여 연결부재가 벽체쪽으로 이동되면 링크부재가 회동되면서 출입문이 회전되어 개방된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출입문은 좌측 출입문과 우측 출입문을 포함하고, 연결부재는 좌측출입문에 연결된 제1 연결부재와 우측출입문에 연결된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제1,2 연결부재는 출입문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이동부재에 의하여 상기 구간을 왕복이동하되,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며, 링크부재는, 좌측 출입문과 좌측 출입문의 측면쪽 벽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곳에서 연결하되, 벽체에는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좌측 출입문에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1 링크부재; 및 우측 출입문과 우측 출입문의 측면쪽 벽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곳에서 연결하되, 벽체에는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우측 출입문에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2 링크부재;를 포함한다.
삭제
여기에서, 이동부재는, 출입문의 상측 또는 하측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 및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연결부재가 가이드 레일에 의하여 가이드 되면서 이동되도록 하는 체인 또는 벨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이동부재는, 연결부재와 연결되고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하여 연결부재를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링크부재는 출입문의 두께 중심에서 앞쪽 또는 뒤쪽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편심된 곳에서 출입문과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링크부재는 출입문의 두께 중심과 대응되는 벽체의 부분보다 앞쪽 또는 뒤쪽에서 벽체에 연결되어 출입문의 두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다.
바람직하게, 링크부재의 상측 또는 하측에 설치되고 제어부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신장되어 링크부재의 측면에 접하는 스토퍼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부재가 링크부재의 측면에 접하면, 스토퍼부재와 링크부재가 접한 측면의 반대방향으로 링크부재가 회동된다.
바람직하게, 출입문이 회전되는 방향을 제어하기 위하여 출입문이 회전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에 스토퍼돌기가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개폐장치는, 출입문의 상단 또는 하단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연결부재와, 출입문의 상측 또는 하측에 설치되고 연결부재에 연결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이동유니트; 출입문과 측면쪽의 벽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곳에서 연결하되, 벽체에는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출입문에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출입문이 닫힌 상태에서 외부의 힘에 의하여 연결부재가 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벽체쪽으로 이동되면 링크부재가 회동되면서 출입문이 회전되어 개방되고, 출입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외부의 힘이 제거되면 스프링의 탄성회복력에 의하여 출입문이 회전되면서 폐쇄된다.
바람직하게, 출입문 개폐장치는 스프링과 연결부재의 사이에 설치된 쇽 업쇼버를 더 포함하여, 개방된 출입문이 완전히 폐쇄되기 직전 또는 폐쇄된 출입문이 완전히 개방되기 직전에 쇽업쇼버에 의하여 출입문의 회전속도가 느려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개폐장치는, 출입문의 상측 또는 하측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레일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미리 정해진 구간을 왕복이동하는 몸체와, 몸체에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출입문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고정되도록 설치된 연결부와, 연결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이동유니트; 출입문과 측면쪽의 벽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곳에서 연결하되, 벽체에는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출입문에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출입문이 닫힌 상태에서 회전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연결부가 회전되면 출입문이 회전되면서 벽체쪽으로 이동되어 출입문이 개방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개폐장치는, 출입문의 상단 또는 하단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연결부재와, 연결부재를 미리 정해진 구간에서 왕복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이동유니트; 출입문의 상단에 비스듬하게 형성된 제1 사선홈 라인; 출입문의 하단에 제1 사선홈 라인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2 사선홈 라인; 및 출입문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고, 출입문의 슬라이딩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1,2 사선홈 라인에 삽입되어 출입문을 지지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이동부재에 의하여 출입문이 제1,2 사선홈 라인을 따라 이동되면서 고정돌기를 중심으로 출입문이 회전되어 출입문이 개방된다.
본 발명인 출입문 개폐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출입문의 측방향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도 출입문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기존의 출입문에도 설치될 수 있다.
셋째, 출입문을 밀거나 당기는 동작에 의하여 출입문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화재 등과 같은 긴급 상황에서 실내에 갇힌 사람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장치가 설치된 출입문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3은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의 가이드 레일과 연결부재와 벨트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출입문 개폐장치(100)는 출입문(10)의 상측 또는 하측에 설치된 이동유니트(30)와, 출입문(10)과 출입문(10)의 측면 쪽 벽체(미도시)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링크부재(50)를 포함한다.
출입문 개폐장치(100)는 출입문(10)을 회전 또는 회동시킴으로써 출입문(10)을 개폐하는 장치이다. 이동유니트(30)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출입문(1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하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부재(50)는 출입문(10)의 하단과 상단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하단과 상단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될 수도 있고, 상단과 하단 이외에 다른 곳에도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동유니트(30)는 출입문(10)의 상측에 설치되고 링크부재(50)는 하단과 상단에 각각 설치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을 하기로 한다. 이러한 사항은 제1 실시예에서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된다.
이동유니트(30)는 출입문의 상단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연결부재(34)와, 연결부재(34)를 미리 정해진 구간에서 왕복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구비한다.
연결부재(34)는 벨트(32)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벨트(32)의 왕복이동에 의하여 상기 구간을 왕복이동한다. 연결부재(34)의 왕복이동에 의하여 출입문(10)이 회전되면서 개폐된다.
이동부재는 구동모터(31)와, 구동모터(31)에 의하여 미리 정해진 구간을 왕복이동하는 벨트(32)를 구비한다.
벨트(32)는 구동풀리(31a)와 종동풀리(31b) 사이를 왕복이동하면서 연결부재(34)를 이동시킨다. 바람직하게, 벨트(32)가 왕복이동되는 상기 구간은 출입문(10)을 완전히 개방하거나 완전히 폐쇄할 수 있는 거리이다.
바람직하게, 이동부재는 연결부재(34)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35)을 구비한다. 가이드 레일(35)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결부재(34)의 롤러(36)를 지지하면서 가이드 한다.
한편, 이상에서는 벨트(32)에 의하여 연결부재(34)가 왕복이동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벨트(32) 대신에 체인(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연결부재(34)가 체인에 연결되어 체인의 왕복이동에 의하여 연결부재(34)가 왕복이동될 수도 있다.
또한, 연결부재(34)가 실린더(미도시)에 연결되어 실린더의 팽창과 수축에 의하여 왕복이동될 수도 있다. 실린더로는 공압 실린더 또는 유압 실린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사항은 제1 실시예에서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삭제
링크부재(50)는 출입문(10)과 출입문(10)의 측면쪽 벽체(미도시)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링크부재(50)는 출입문(10)과 벽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곳에서 연결한다. 링크부재(50)는 출입문(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크부재(50)는 상단과 하단에는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벽체에는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도 4a 내지 도 4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결부재(34)가 벽체쪽으로 이동되면 링크부재(50)가 뒤쪽으로 회동되면서 출입문(10)이 회전되어 개방된다.
한편, 링크부재(50)의 회동방향에 따라 출입문(10)의 회전방향이 결정되는데, 도 5a 내지 도 5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링크부재(50)가 앞쪽으로 회동되면 출입문(10)의 회전방향도 도 4a 내지 도 4c와는 반대방향으로 바뀐다.
출입문(10)의 회전방향을 제어하기 위하여 출입문(10)이 회전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에 출입문(10)과 접하도록 스토퍼돌기(51)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스토퍼 돌기(51)는 출입문(10)이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출입문(10)의 양쪽에 스토퍼 돌기(51)가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출입문(10) 내부의 스토퍼돌기(51)와 외부의 스토퍼돌기(51) 중에서 원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의 스토퍼돌기(51)가 상승하도록 하고 반대편의 스토퍼돌기(51)를 하강시키면 출입문(10)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스토퍼돌기(51)를 이용하여 출입문(10)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링크부재(50)가 편심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링크부재(50)가 출입문(10)의 두께 중심에서 뒤쪽(도 6a) 또는 앞쪽(도 6b)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편심된 곳에서 출입문(10)과 연결된다. 링크부재(50)가 출입문(10)의 두께 중심에서부터 뒷쪽으로 편심되는 곳에서 출입문(10)과 연결되면 출입문(10)은 도 4a 내지 도 4c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전되고, 링크부재(50)가 출입문(10)의 두께 중심에서부터 앞쪽으로 편심되는 곳에서 출입문(10)과 연결되면 출입문(10)은 도 5a 내지 도 5c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전된다.
또한,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링크부재(50)와 벽체가 연결되는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출입문(10)의 회전방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링크부재(50)가 출입문(10)의 두께 중심과 대응되는 벽체의 부분보다 뒤쪽에서 벽체에 연결(도 7a)되면 출입문(10)이 도 5a 내지 도 5c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전되고, 링크부재(50)가 출입문(10)의 두께 중심과 대응되는 벽체의 부분보다 앞쪽에서 벽체에 연결(도 7b)되면 출입문(10)이 도 4a 내지 도 4c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전된다.
아울러, 링크부재(50)의 상측 또는 하측에 설치되고 제어부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신장되어 링크부재(50)의 측면에 접하는 스토퍼부재(미도시)에 의하여 출입문(10)의 회전방향이 제어될 수도 있다. 상기 스토퍼부재가 신장되어 링크부재(50)의 측면에 접하면, 스토퍼부재와 링크부재(50)가 접한 측면의 반대방향으로 링크부재(50)가 회동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장치가 개방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출입문 개폐장치(100a)는 연결부재(34)가 출입문(10) 상단의 전 구간에 걸쳐서 왕복이동하고, 링크부재(50)는 출입문(10) 상단의 중심부분에 연결된다. 따라서, 출입문(10)은 뒤쪽으로 완전히 개방된다. 출입문(10)은 위에서 설명된 출입 문(10)의 회전방향 조절수단에 의하여 앞쪽으로 완전히 개방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장치가 설치된 출입문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B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11a 내지 도 11c는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가 개방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9 내지 도 11c에서 도 1 내지 도 8c에서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출입문(11)(12)은 좌측출입문(11)과 우측출입문(12)을 포함하는데, 출입문 개폐장치(100b)는 이러한 출입문(11)(12)에 적합하다. 출입문 개폐장치(100b)는 연결부재(34a)(34b)와 이동부재를 구비하는 이동유니트(30a)와, 링크부재(50a)(50b)를 포함한다.
연결부재(34a)(34b)는 좌측출입문(11)에 연결된 제1 연결부재(34a)와 우측출입문(12)에 연결된 제2 연결부재(34b)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재(34a)와 제2 연결부재(34b)는 구동모터(31)에 의하여 왕복이동하는 벨트(32b)에 연결된다. 벨트(32b)는 구동풀리(31a)와 종동풀리(31b) 사이에서 미리 정해진 구간을 왕복이동한다.
바람직하게, 제1 연결부재(34a)는 좌측출입문(11)을 완전히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구간을 왕복이동하고, 제2 연결부재(34b)는 우측출입문(12)을 완전히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구간을 왕복이동한다.
따라서, 제1 연결부재(34a)는 가이드 레일(35)에 의하여 가이드되면서 이동되고, 제2 연결부재(34b)는 가이드 레일(35)에 의하여 가이드되면서 이동된다.
제1 연결부재(34a)는 구동풀리(31a)에서 종동풀리(31b)쪽으로 이동하는 벨트(32b)에 연결되고, 제2 연결부재(34b)는 종동풀리(31b)에서 구동풀리(31a)쪽으로 이동하는 벨트(32b)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연결부재(34a)와 제2 연결부재(34b)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므로, 좌측출입문(11)과 우측출입문(12)은 동시에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링크부재(50a)(50b)는 출입문(11)(12)과 벽체를 연결한다.
링크부재(50a)(50b)는 좌측출입문(11)에 연결된 제1 링크부재(50a)와 우측출입문(12)에 연결된 제2 링크부재(50b)를 포함한다. 제1 링크부재(50a)는 좌측출입문(11)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링크부재(50b)는 우측출입문(12)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링크부재(50a)는 좌측출입문(11)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벽체에는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제2 링크부재(50b)는 우측출입문(12)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벽체에는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제1 연결부재(34a)와 제2 연결부재(34b)를 하나의 구동모터(31)를 이용하여 동시에 이동시킴으로써 좌측출입문(11)과 우측출입문(12)을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부재(34a)와 제2 연결부재(34b)를 각각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이동시키면 좌측출입문(11)과 우측출입문(12)이 독립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좌측출입문(11)과 우측출입문(12)이 동시에 개방됨에 따라 발생하는 부작용 예를 들면, 외부의 찬공기, 더운 공기, 오염된 공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장치가 출입문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출입문 개폐장치(100c)는 출입문(10)의 상측에 설치된 가이드레일(35)과, 가이드레일(35)을 따라 이동되고 출입문(1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연결부재(34)와, 연결부재(34)를 관통하도록 출입문(10)의 상측에 설치된 가이드 봉(37)과, 가이드 봉(37)의 중공에 설치된 스프링(38)과, 출입문(10)과 출입문(10)의 측면 쪽 벽체(미도시)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링크부재(50)를 포함한다. 도 12의 참조부호 중에서 도 1 내지 도 11c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출입문 개폐장치(100c)는 외부의 힘(예를 들어, 사람이 가하는 힘에 의하여)에 의하여 출입문(10)이 스프링(37)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출입문(10)이 개방되고, 개방된 출입문(10)이 스프링(38)의 탄성회복력에 의하여 폐쇄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가이드 봉(37)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봉으로써, 연결부재(34)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가이드 봉(37)은 스프링(37)의 수축과 신장 시에 스프링(37)을 가이드 한다.
스프링(38)은 가이드 봉(37)의 중공에 설치된다. 된다. 스프링(38)의 한쪽 끝단은 연결부재(34)에 연결되고, 스프링(38)의 다른쪽 끝단은 가이드봉(37)의 바닥(37a)에 고정된다.
스프링(38)은 연결부재(34)가 벽체쪽으로 이동된 후 즉, 출입문(10)이 개방 된 후에 탄성회복력을 제공하여 출입문(10)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스프링(38)과 연결부재(34)의 사이에는 쇽 업쇼버(39)가 설치된다. 쇽 업쇼버(39)는 개방된 출입문이 완전히 폐쇄되기 직전, 또는 폐쇄된 출입문이 완전히 개방되기 직전에 출입문(10)의 회전속도가 느려지도록 한다. 따라서, 출입문 개폐장치(100c)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장치의 가이드 레일과, 몸체와, 연결부와, 회전모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3의 참조부호 중에서 도 1 내지 도 12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는 출입문(10)의 상측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35)과, 가이드 레일(35)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미리 정해진 구간을 왕복이동하는 몸체(41)와, 몸체(41)에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출입문(10)의 상단에는 고정되도록 설치된 연결부(43)와, 연결부(43)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45) 및, 출입문(10)과 측면쪽의 벽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곳에서 연결하는 링크부재(도 13에는 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는 회전모터(45)가 연결부(43)를 몸체(41)에 대하여 회전시키면 출입문(10)이 회전되고, 출입문(10)의 회전에 의하여 몸체(41)가 가이드 레일(35)을 따라 벽체쪽으로 이동되면서 출입문(10)이 벽체쪽으로 이동되어 개방된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장치가 개방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c의 참조부호 중에 서 도 1 내지 도 13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는 출입문(10)을 벽체쪽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슬라이딩시키면서 출입문(10)을 회전시켜 개방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는, 연결부재(34)와 이동부재(도 14a 내지 도 14c에 미도시)를 포함하는 이동유니트와, 출입문(10)의 상단에 비스듬하게 형성된 제1 사선홈 라인(13)과, 출입문(10)의 하단에 제1 사선홈 라인(13)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2 사선홈 라인(도 14a 내지 도 14c에 미도시) 및, 제1,2 사선홈 라인에 삽입되어 출입문(10)을 지지하는 고정돌기(55)를 포함한다.
연결부재(34)는 출입문(10)의 상단 또는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이동부재에 의하여 미리 정해진 구간을 왕복이동하면서 출입문(10)을 우측 문틀(15)쪽으로 슬라이딩시킨다. 한편, 미설명 참조부호 14는 좌측문틀을 나타낸다.
이동부재는 구동모터(미도시)와,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하여 미리 정해진 구간을 왕복이동하는 벨트(미도시)를 구비한다. 한편, 이동부재로는 실린더, 가이드 봉(도 12의 37)과 스프링(도 12의 38)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연결부재(34)와 이동부재에 관해서는 전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사선홈 라인(13)은 출입문(10)의 상단에 비스듬하게 형성된 홈이고, 제2 사선홈 라인은 출입문(10)의 하단에 제1 사선홈 라인(13)과 평행하게 형성된 홈이다.
고정돌기(55)는 출입문(10)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고, 출입문(10)의 슬라이딩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1,2 사선홈 라인에 삽입되어 출입문(10)을 지지한다. 즉, 출입문(10)은 이동부재에 의하여 벽체쪽으로 이동되는데, 고정돌기(55)가 제1,2 사선홈 라인에 삽입되어 때문에 출입문(10)의 슬라이딩은 고정돌기(55)와 제1,2 사선홈 라인에 의하여 가이드되고, 이러한 슬라이딩과 동시에 출입문(10)은 고정돌기(5)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출입문(10)의 회전은 우측 문틀(15)에 의하여 정지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이동부재에 의하여 출입문이 개폐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외부의 힘(예를 들어, 사람의 힘)에 의하여 수동으로 출입문이 개폐되는 데에도 본 발명의 출입문 개폐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장치가 설치된 출입문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3은 도 1의 출입문 개폐장치의 가이드 레일과 연결부재와 벨트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의 출입문 개폐장치가 개방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의 출입문 개폐장치가 도 4a 내지 도 4c에서의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개방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출입문 개폐장치에서 링크부재가 출입문에 편심되도록 연결된 것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7a 및 도 7b는 도 1의 출입문 개폐장치에서 링크부재가 벽체에 편심되도록 연결된 것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장치가 개방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장치가 설치된 출입문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9의 출입문 개폐장치가 개방되는 모습을 순차적으 로 보여주는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장치가 출입문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장치의 가이드 레일과, 몸체와, 연결부와, 회전모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장치가 개방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출입문 11 : 좌측출입문
12 : 우측출입문 30 : 이동유니트
50, 50a, 50b : 링크부재
100, 100a, 100b, 100c : 출입문 개폐장치

Claims (14)

  1. 출입문의 상단 또는 하단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연결부재와, 연결부재를 미리 정해진 구간에서 왕복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이동유니트; 및
    출입문과 측면쪽의 벽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곳에서 연결하되, 벽체에는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출입문에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출입문이 닫힌 상태에서 이동부재에 의하여 연결부재가 벽체쪽으로 이동되면 링크부재가 회동되면서 출입문이 회전되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개폐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은 좌측 출입문과 우측 출입문을 포함하고,
    연결부재는 좌측출입문에 연결된 제1 연결부재와 우측출입문에 연결된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제1,2 연결부재는 출입문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이동부재에 의하여 상기 구 간을 왕복이동하되,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며,
    링크부재는,
    좌측 출입문과 좌측 출입문의 측면쪽 벽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곳에서 연결하되, 벽체에는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좌측 출입문에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1 링크부재; 및
    우측 출입문과 우측 출입문의 측면쪽 벽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곳에서 연결하되, 벽체에는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우측 출입문에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2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개폐장치.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이동부재는,
    출입문의 상측 또는 하측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 및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연결부재가 가이드 레일에 의하여 가이드 되면서 이동되도록 하는 체인 또는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개폐장치.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이동부재는,
    연결부재와 연결되고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하여 연결부재를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개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링크부재는 출입문의 두께 중심에서 앞쪽 또는 뒤쪽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편심된 곳에서 출입문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개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링크부재는 출입문의 두께 중심과 대응되는 벽체의 부분보다 앞쪽 또는 뒤쪽에서 벽체에 연결되어 출입문의 두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개폐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링크부재의 상측 또는 하측에 설치되고 제어부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신장되어 링크부재의 측면에 접하는 스토퍼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부재가 링크부재의 측면에 접하면, 스토퍼부재와 링크부재가 접한 측면의 반대방향으로 링크부재가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개폐장 치.
  10. 제1항에 있어서,
    출입문이 회전되는 방향을 제어하기 위하여 출입문이 회전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에 스토퍼돌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개폐장치.
  11. 출입문의 상단 또는 하단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연결부재와, 출입문의 상측 또는 하측에 설치되고 연결부재에 연결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이동유니트; 및
    출입문과 측면쪽의 벽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곳에서 연결하되, 벽체에는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출입문에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출입문이 닫힌 상태에서 외부의 힘에 의하여 연결부재가 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벽체쪽으로 이동되면 링크부재가 회동되면서 출입문이 회전되어 개방되고,
    출입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외부의 힘이 제거되면 스프링의 탄성회복력에 의하여 출입문이 회전되면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개폐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스프링과 연결부재의 사이에 설치된 쇽 업쇼버를 더 포함하여,
    개방된 출입문이 완전히 폐쇄되기 직전 또는 폐쇄된 출입문이 완전히 개방되 기 직전에 쇽업쇼버에 의하여 출입문의 회전속도가 느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개폐장치.
  13. 출입문의 상측 또는 하측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레일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미리 정해진 구간을 왕복이동하는 몸체와, 몸체에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출입문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고정되도록 설치된 연결부와, 연결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이동유니트; 및
    출입문과 측면쪽의 벽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곳에서 연결하되, 벽체에는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출입문에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출입문이 닫힌 상태에서 회전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연결부가 회전되면 출입문이 회전되면서 벽체쪽으로 이동되어 출입문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개폐장치.
  14. 출입문의 상단 또는 하단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연결부재와, 연결부재를 미리 정해진 구간에서 왕복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이동유니트;
    출입문의 상단에 비스듬하게 형성된 제1 사선홈 라인;
    출입문의 하단에 제1 사선홈 라인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2 사선홈 라인; 및
    출입문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고, 출입문의 슬라이딩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1,2 사선홈 라인에 삽입되어 출입문을 지지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이동부재에 의하여 출입문이 제1,2 사선홈 라인을 따라 이동되면서 고정돌기를 중심으로 출입문이 회전되어 출입문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개폐장치.
KR1020070124350A 2007-12-03 2007-12-03 출입문 개폐장치 KR100898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350A KR100898194B1 (ko) 2007-12-03 2007-12-03 출입문 개폐장치
PCT/KR2008/007109 WO2009072790A2 (en) 2007-12-03 2008-12-02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350A KR100898194B1 (ko) 2007-12-03 2007-12-03 출입문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621A KR20070121621A (ko) 2007-12-27
KR100898194B1 true KR100898194B1 (ko) 2009-05-18

Family

ID=39138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4350A KR100898194B1 (ko) 2007-12-03 2007-12-03 출입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98194B1 (ko)
WO (1) WO200907279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66448A1 (en) * 2012-01-11 2014-12-18 Vieler International Gmbh + Co. Kg Device for opening a panel, in particular a glass panel, on a sales counter
KR101896407B1 (ko) * 2015-07-29 2018-09-07 박정원 양방향 개방 도어 시스템
KR200481678Y1 (ko) * 2016-06-27 2016-10-31 주식회사 뫼베플러스 수평전개방식의 전동창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0001A (ja) 2000-03-30 2001-10-10 Delta Kogyo Co Ltd ドアの開閉装置
KR20020078880A (ko) * 2001-04-11 2002-10-19 장경일 여닫이 기능을 갖는 미닫이 방식 자동도어장치
KR20050070066A (ko) * 2002-10-25 2005-07-05 도르마 게엠베하 앤드 콤파니 케이쥐 슬라이딩 벽
KR20060133392A (ko) * 2005-06-20 2006-12-26 박종문 풀오픈 도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0001A (ja) 2000-03-30 2001-10-10 Delta Kogyo Co Ltd ドアの開閉装置
KR20020078880A (ko) * 2001-04-11 2002-10-19 장경일 여닫이 기능을 갖는 미닫이 방식 자동도어장치
KR20050070066A (ko) * 2002-10-25 2005-07-05 도르마 게엠베하 앤드 콤파니 케이쥐 슬라이딩 벽
KR20060133392A (ko) * 2005-06-20 2006-12-26 박종문 풀오픈 도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621A (ko) 2007-12-27
WO2009072790A3 (en) 2009-08-20
WO2009072790A2 (en) 200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68997B (zh) 用于提升滑动门窗的开启和关闭设备
KR200468123Y1 (ko) 게이트도어의 개,폐상태 록킹수단을 가진 출입통제용 게이트장치
KR100898194B1 (ko) 출입문 개폐장치
US20230265705A1 (en) A door operator system
KR20180125146A (ko) 양문형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MX2012009773A (es) Puerta levadiza que tiene una guia de hoja de puerta movil.
SK11012001A3 (sk) Posuvná stena s bočne posuvnými stenovými elementmi
KR101169607B1 (ko) 안전문
KR102042312B1 (ko) 창짝의 개폐가 용이한 미서기 창호용 자동닫힘장치
KR101060234B1 (ko) 미서기 창호 시스템의 개폐 장치
JPS5855313B2 (ja) 自動車の窓昇降装置
KR102147697B1 (ko) 적어도 리프팅 되며,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윈도우 또는 도어의 윙을 위한 피팅장치.
EP3042017B1 (en) Weathertight window or door having at least one sliding wing
KR101865413B1 (ko)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
KR20050015979A (ko) 리프팅 이동 전기자
EP1970514B1 (en) A sliding door or window
AU2017360021B2 (en) Door driving mechanism for a swing door
EP1873342A1 (en) Counterframe for a concealed sliding door with self-closing device
RU2630566C1 (ru) Механизм прислонно-сдвижной двери
CN218347259U (zh) 一种滑动型人防门
RU2173757C1 (ru) Подъемно-поворотные ворота
IT1314432B1 (it) Dispositivo motorizzato di apertura/chiusura di un serramento,particolarmente adatto per porte o portoni.
CA2987602A1 (en) Casement sliding operator
KR101060230B1 (ko) 도어 개폐 작동 장치 및 도어 개폐 장치
KR20170055269A (ko) 개폐속도조절 및 자동이송이 가능한 폴딩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