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678Y1 - 수평전개방식의 전동창호 - Google Patents

수평전개방식의 전동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678Y1
KR200481678Y1 KR2020160003693U KR20160003693U KR200481678Y1 KR 200481678 Y1 KR200481678 Y1 KR 200481678Y1 KR 2020160003693 U KR2020160003693 U KR 2020160003693U KR 20160003693 U KR20160003693 U KR 20160003693U KR 200481678 Y1 KR200481678 Y1 KR 2004816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vertical frame
vertical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6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658U (ko
Inventor
장환진
이건희
박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뫼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뫼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뫼베플러스
Priority to KR20201600036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678Y1/ko
Publication of KR201600026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6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6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6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swing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4Cyl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평전개방식의 전동창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의 움직이는 범위가 제한되지 않아 창호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켜 개폐할 수 있으며, 창호가 완전 개방되는 경우 통기 내지 환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창호가 상승하여 상측에 수평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실내공간을 최대한 제한하지 않으면서 설치할 수 있는 수평전개방식의 전동창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평전개방식의 전동창호{Electric windows of the horizontal expansion method}
본 고안은 수평전개방식의 전동창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의 움직이는 범위가 제한되지 않아 창호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켜 개폐할 수 있으며, 창호가 완전 개방되는 경우 통기 내지 환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창호가 상승하여 상측에 수평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실내공간을 최대한 제한하지 않으면서 설치할 수 있는 수평전개방식의 전동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거나 실내공간 그 자체를 서로 구분하기 위해 개구부에 설치되어 개폐 및 탈착이 자유로운 창이나 문 등과 같은 가동성 공작물의 일종이다. 건물의 외벽에 구비된 개구부에서의 창호 기능은 외벽과 유사하게 외부로부터의 기상변화 또는 외부의 침입자로부터 실내를 보호하고, 외부의 소음 및 내부의 빛ㆍ소리를 차단하며, 통풍이나 환기 또는 채광의 기능을 가지고, 창호를 개폐함에 따라 외부와 실내를 차단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리고 창호는 실내공기의 환기와 채광을 목적으로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크게 프로젝트(회동식) 창호와 미닫이식 창호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전동으로 개폐되는 프로젝트 창호의 경우 아래 등록특허 또는 등록실용신안과 같이 실린더를 이용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64164호에는 건물 벽면의 개구부에 고정설치된 창호틀에 힌지결합된 창호를 개폐하며, 상기 창호틀의 상단부에 힌지결합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에 일체로 구비된 다수의 채광창으로 이루어진 창호와; 상기 창호의 좌ㆍ우 양 상단부에 인접한 상기 창호틀의 상부 내벽면에 고정설치되고, 실내 하부방향으로 절곡된 한 쌍의 절곡부재와, 전ㆍ후방단부에 한 쌍의 포트를 구비한 복동형 실린더 형태이고, 전방단부의 개구부 상에 피스톤 로드가 전후진가능하게 구비되고, 후방단부는 각 절곡부재의 자유단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한 쌍의 실린더부재와, 상기 창호의 프레임 좌우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각 실린더부재의 피스톤 로드의 자유단부가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구로 이루어지는 창호개폐조립체와; 상기 실린더부재의 양 포트에 연결되어 공압에너지를 인가하여 실린더부재의 피스톤 로드를 전후진시키는 공압인가회로와; 상기 공압인가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실린더부재로의 공압 공급을 조절함으로써 창호의 개폐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자동 개폐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21450호에는 창문틀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개폐되는 창문으로 구성되며, 상기 창문의 프레임 일측에 고정편이 설치되고, 이 고정편에 일정 길이의 사프트가 힌지 결합된 후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구동장치가 연동되게 설치된 것이며, 상기 구동장치에 연동되어 상기 샤프트가 당겨지거나 밀려짐에 의해 창문이 개폐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프로젝트 창호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 전동식 프로젝트 창호는 실린더가 창호의 일측으로 노출되어 있어 인테리어 측면에서 단점이 될 수 있으며, 창호가 회전하는 각이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64164호(2004.09.16.)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21450호(2003.07.28.)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직프레임 내에 실린더 내지 실린더 로드가 삽입되어 외부에서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심플한 디자인의 수평전개방식의 전동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창호의 움직이는 범위가 제한되지 않아 창호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켜 개폐할 수 있는 수평전개방식의 전동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창호가 수평하게 완전 개방되므로 통기 내지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창호가 상측으로 상승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실내공간을 최대한 제한하지 않는 구조의 수평전개방식의 전동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수평전개방식의 전동창호는 한 쌍의 수직틀 및 상,하부 수평틀을 포함하는 창호와; 상기 수직틀의 양측에 병설되며 상기 수직틀과 마주보는 면에 종방향의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하에 배치되는 상,하부 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도어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 상단으로 삽입 설치되어 실린더 로드를 승강시키는 실린더와; 상단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부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하단은 상기 수직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창호 지지바와; 상기 창호가 상기 실린더 로드에 연동하여 승강하면서 회전하도록 일단은 상기 실린더 로드의 하단부에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홀을 통해 상기 수직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연결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평전개방식의 전동창호의 수직틀이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 로드가 상승하면 상기 수직틀의 하단부가 후방 쪽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연결축의 타단은 상기 수직틀의 전면과 후면 사이의 세로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수직틀의 후면 쪽으로 편심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평전개방식의 전동창호의 창호 지지바는 상단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부 전면에서 돌출된 제1고정편에 힌지 결합하고, 하단은 상기 수직틀의 전면에 고정된 제2고정편에 힌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평전개방식의 전동창호의 연결축에는 상기 가이드홀에 결합하는 가이드롤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평전개방식의 전동창호의 상부 수평프레임은 상기 상부 수평틀의 상면과 마주보는 수평부와, 상기 상부 수평틀의 후면과 마주보는 수직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평전개방식의 전동창호의 수평부에는 상기 상부 수평틀과의 이격공간 사이에 채워지는 섬유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부에는 상기 수직틀을 고정하는 이엠락(electromagnetic lock, EM Lock) 고정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평전개방식의 전동창호는 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창호를 개폐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수평전개방식의 전동창호는 창호의 움직이는 범위가 제한되지 않아 창호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켜 개폐할 수 있으며, 창호가 수평하게 완전 개방되는 경우 통기 내지 환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창호가 상승하여 상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실내공간을 최대한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평전개방식의 전동창호는 수직프레임 내에 실린더 내지 실린더 로드가 삽입되어 외부에서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심플한 디자인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 1a, 1b는 본 고안에 따른 수평전개방식의 전동창호가 닫히고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a, 2b, 2c는 본 고안에 따른 수평전개방식의 전동창호가 닫힌 상태에서 오픈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3a, 3b, 3c는 각각 도 1a의 A-A, B-B, C-C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가이드홀에 가이드롤러 및 연결축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종래 전동 창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1b는 본 고안에 따른 수평전개방식의 전동창호가 닫히고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2a, 2b, 2c는 본 고안에 따른 수평전개방식의 전동창호가 닫힌 상태에서 오픈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며, 도 3a, 3b, 3c는 각각 도 1a의 A-A, B-B, C-C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가이드홀에 가이드롤러 및 연결축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수평전개방식의 전동창호(100)는 크게 창호(110)와, 도어프레임(130)과, 실린더(140)와, 컨트롤러(143)를 포함한다.
상기 창호(110)는 유리창(111)의 4면을 둘러싸도록 한 쌍의 수직틀(113), 상,하부 수평틀(115,115a)을 구비한다.
상기 도어프레임(130)은 건물 벽체(W)에 고정되고 상기 창호(110)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직틀(113)의 양측에 병설되는 수직프레임(131)과, 상기 수직프레임(131)의 상하에 배치되는 상,하부 수평프레임(135,135a)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프레임(131)에서 상기 수직틀(113)과 마주보는 면(133c)에 종방향의 가이드홀(133)이 형성된다.
상기 상,하부 수평프레임(135,135a) 및 상기 상,하부 수평틀(115,115a)과 치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예를 들어 상기 상부 수평프레임(135)은 상기 상부 수평틀(115)의 상면과 마주보는 수평부(136)와, 상기 상부 수평틀(115)의 후면과 마주보는 수직부(138)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평부(136)에는 상기 상부 수평틀(115)과의 이격공간 사이에 채워지는 섬유부재(137)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섬유부재(137)는 mohair 섬유인 것을 예시할 수 있으며 상기 창호의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으면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수직부(138)에는 전자석 부착 방식으로 상기 수직틀을 고정하는 이엠락(electromagnetic lock, EM Lock) 고정장치(139)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40)는 상기 컨트롤러(143)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으로 작동하는 구동모터(141)와, 상기 구동모터(141)의 동력으로 상하로 승강하는 실린더 로드(145)를 구비한다.
상기 실린더(140)는 상기 컨트롤러(143)에서 상기 구동모터(141)를 온-오프 함으로써 실린더 로드(145)의 승강이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140) 및 실린더 로드(145)는 상기 수직프레임(131)의 상단부를 통해 삽입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 로드(145)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홀(133)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하는 가이드롤러(147)가 설치된다.
상기 창호(110)는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상측에는 창호 지지바(150)에 의해 지지되고, 하측에는 상기 실린더 로드(145)에 결합하여 지지된다.
먼저, 상기 창호 지지바(150)는 상기 수직프레임(131)과 수직틀(113)을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단은 상기 수직프레임(131)의 상단부 전면(131a)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하단은 상기 수직틀(11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창호 지지바(150)는 상단은 상기 수직프레임(131)의 상단부 전면에 고정되는 제1고정편(151)에 힌지(155) 결합하고, 상기 창호 지지바(150)의 하단은 상기 수직틀(113)의 전면에 고정된 제2고정편에 힌지(155a)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 로드(145)가 화살표 a 방향으로 상승하면 상기 수직프레임(131)의 하단은 상기 제1고정편(151)과 연결되는 힌지(155)를 축으로 하여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은 화살표 c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창호 지지바(150)는 힌지(155)를 기준으로 화살표 d 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음으로, 상기 수직틀(113) 및 상기 수직프레임(131)은 연결축(160)에 의해 결합하는데, 상기 연결축(160)은 상기 창호(110)가 상기 실린더 로드(145)와 연동하여 승강하면서 회전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축(160)은 상기 실린더 로드(145)의 하단부에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홀(133)을 통해 상기 수직틀(113)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축(160)은 일단에는 상기 실린더 로드(145)의 하단부에 결합된 베어링(161)이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베어링(161)에 삽입되고 상기 수직틀(113)에 고정된 연결부(163)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축(160)의 연결부(163)는 상기 수직틀(113)의 전면(113a)과 후면(113b) 사이의 중심선(114)을 기준으로 상기 수직틀(113)의 후면(113b) 쪽으로 편심하여 결합된다.
한편, 상기 창호(110)가 닫힌 경우, 상기 제1고정편(151)은 상기 제2고정편(153)에 비해 돌출되기 때문에 상기 창호 지지바(150)는 하단부로 갈수록 상기 수직프레임(131) 내지 수직틀(113) 쪽으로 기울어진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프레임(131)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연결부가 상기 수직틀(113)의 후면으로 치우쳐 편심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창호 지지바(150)가 기울어진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실린더 로드(145)가 상승할 때 상기 수직틀(113)이 수직하게 배치된 수직틀(113)의 하단부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수평전개방식의 전동창호가 전개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a 및 도 2a를 참조하면, 창호가 닫히면 실린더 로드(145)가 하강한 상태이며, 상부 수평틀(115)은 이엠락(electromagnetic lock, EM Lock) 고정장치(139)를 통해 상부 수평프레임(135)에 고정되어 있다.
도 1b 및 도 2b를 참조하면, 창호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는 상기 이엠락 장치(139)를 해제한 다음, 컨트롤러(143)를 통해 실린더(140)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사용자는 유,무선 방식의 조작스위치(미도시)로 상기 콘트롤러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40)가 구동하여 실린더 로드(145)가 상승하면 연결축(160)을 통해 수직프레임(131)과 결합한 수직틀(113)은 하부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도 1c 및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실린더 로드(145)가 실린더(140) 하단부까지 완전히 상승하면 창호(110)는 수평하게 전개된다. 이때, 상기 창호(110)가 상기 수직프레임(131)의 가로 중심선보다 높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창호(110)에 의해 구획되는 개구부는 상부 개구부(170) 보다 하부 개구부(171)가 더 크게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전동창호 110 : 창호
111 : 유리창 113 : 수직틀
114 : 중심선 115 : 수평틀
130 : 도어프레임 131 : 수직프레임
133 : 가이드홀 135 : 수평프레임
136 : 수평부 137 : 섬유부재
138 : 수직부 139 : 이엠락 고정장치
140 : 실린더 141 : 구동모터
143 : 컨트롤러 145 : 실린더 로드
147 : 가이드롤러 150 : 창호 지지바
151 : 제1고정편 153 : 제2고정편
155 : 힌지 160 : 연결축
161 : 베어링 163 : 연결부
170 : 상부 개구부 171 : 하부 개구부
W : 벽체

Claims (1)

  1. 한 쌍의 수직틀 및 상,하부 수평틀을 포함하는 창호와;
    상기 수직틀의 양측에 병설되며 상기 수직틀과 마주보는 면에 종방향의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하에 배치되는 상,하부 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도어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 상단으로 삽입 설치되어 실린더 로드를 승강시키는 실린더와;
    상단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부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하단은 상기 수직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창호 지지바와;
    상기 창호가 상기 실린더 로드에 연동하여 승강하면서 회전하도록 일단은 상기 실린더 로드의 하단부에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홀을 통해 상기 수직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연결축;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틀이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 로드가 상승하면 상기 수직틀의 하단부가 후방 쪽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연결축의 타단은 상기 수직틀의 전면과 후면 사이의 세로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수직틀의 후면 쪽으로 편심하여 결합되고,
    상기 창호 지지바는 상단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부 전면에서 돌출된 제1고정편에 힌지 결합하며, 하단은 상기 수직틀의 전면에 고정된 제2고정편에 힌지 결합하고,
    상기 실린더 로드가 최대로 상승하면 상기 창호는 수평하게 전개되며,
    상기 제1고정편은 상기 상부 수평프레임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축은 상기 제1고정편과 수직프레임의 가로 중심선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프레임이 상기 수평하게 전개된 창호에 의해 상부 개구부와 하부 개구부로 구획되고,
    상기 연결축에는 상기 가이드홀에 결합하는 가이드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 수평프레임은 상기 상부 수평틀의 상면과 마주보는 수평부와, 상기 상부 수평틀의 후면과 마주보는 수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부에는 상기 상부 수평틀과의 이격공간 사이에 채워지는 섬유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부에는 상기 수직틀을 고정하는 이엠락(electromagnetic lock, EM Lock) 고정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창호를 개폐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수평전개방식의 전동창호.
KR2020160003693U 2016-06-27 2016-06-27 수평전개방식의 전동창호 KR2004816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693U KR200481678Y1 (ko) 2016-06-27 2016-06-27 수평전개방식의 전동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693U KR200481678Y1 (ko) 2016-06-27 2016-06-27 수평전개방식의 전동창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103 Division 2015-0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658U KR20160002658U (ko) 2016-07-29
KR200481678Y1 true KR200481678Y1 (ko) 2016-10-31

Family

ID=56613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693U KR200481678Y1 (ko) 2016-06-27 2016-06-27 수평전개방식의 전동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678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525Y1 (ko) 2014-08-18 2014-12-08 주식회사 알엠케이 회전가능한 아이디씨용 방화창문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인먼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3663A (en) * 1992-10-09 1994-12-20 Aprimatic S.P.A. Device for motorizing an overhead swinging door for a garage or the like, and motorized overhead swinging door provided with this device
KR200321450Y1 (ko) 2003-05-12 2003-07-28 주식회사 계림엔지니어링 전동식 프로젝트 창호
KR100564164B1 (ko) 2004-04-08 2006-03-28 안기완 창호 자동 개폐시스템
KR100898194B1 (ko) * 2007-12-03 2009-05-18 신진철 출입문 개폐장치
KR101472211B1 (ko) * 2012-06-15 2014-12-11 박상훈 자동 개폐창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525Y1 (ko) 2014-08-18 2014-12-08 주식회사 알엠케이 회전가능한 아이디씨용 방화창문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인먼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658U (ko) 2016-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102013017327B1 (pt) dispositivo de guia para um elemento deslizante e mecanismo de movimento para um dispositivo de guia
KR102068117B1 (ko) 루버 시스템
KR200481678Y1 (ko) 수평전개방식의 전동창호
CN109915005B (zh) 中空百叶顶部操作系统
US9074419B2 (en) Window covering multi-lift system
KR101397187B1 (ko) 창문 자동 닫힘장치
KR20130004711U (ko) 전동 환기창
KR101588967B1 (ko) 접이식 수평덧창 및 수평도어
KR200318785Y1 (ko) 프로젝트 창호
KR101936360B1 (ko) 전동 폴딩도어
KR200300416Y1 (ko) 이중 유리창의 블라인드 절첩/전개를 위한 승강견인자안내장치
CN102797412A (zh) 一种电机隐藏式电动玻璃百叶
KR200287075Y1 (ko) 이중 유리창
KR102043592B1 (ko) 편의성 및 방범성을 높인 창호
KR200340253Y1 (ko) 개폐가 용이한 방범창
CN219431742U (zh) 一种电动外挂式百叶窗系统
AU2018101154A4 (en) Window or Door Assembly
CN217760768U (zh) 一种百叶窗结构
CN218599912U (zh) 一种建筑幕墙隐藏式通风器结构
CN207598089U (zh) 一种螺杆开窗器
CN207673213U (zh) 一种改造后的新型节能推拉窗
RU2004105063A (ru) Окно или дверь
JPH0643430Y2 (ja) 建物用窓
JPH08240083A (ja) シャッター装置
JP3323172B2 (ja) 内開き可能な開きド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