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8785Y1 - 프로젝트 창호 - Google Patents

프로젝트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8785Y1
KR200318785Y1 KR20-2003-0002838U KR20030002838U KR200318785Y1 KR 200318785 Y1 KR200318785 Y1 KR 200318785Y1 KR 20030002838 U KR20030002838 U KR 20030002838U KR 200318785 Y1 KR200318785 Y1 KR 2003187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rotating shaft
operating
window
s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8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계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계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계림엔지니어링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87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87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swinging wing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로젝트 창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형상을 갖는 외부프레임(22)의 내측에 상부를 회동축으로 하여 전후로 회동되는 소형창호(4)가 서로 연접되게 설치되어 구성된 채광부(2)와; 상기 외부프레임(22)의 일면에 근접하게 설치된 회동샤프트(5)와, 상단은 상기 회동샤프트(5)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소형프레임(46)에 연결고정된 절곡브라켓(3)과, 상기 회동샤프트(5)의 일단에 작동축(62)이 연동되게 설치된 후 이 작동축(62)을 승하강시킴으로써 소형창호(4)가 개폐되도록 한 유압실린더(6)와, 이 유압실린더(6)를 동작시키는 스위치로 구성된 작동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대형창호 프레임의 내측에 다수로 설치된 소형창호를 개폐수단에 의해 동시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개폐시킬 수 있게 하였다.

Description

프로젝트 창호 { a project window }
본 고안은 프로젝트 창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소형창호를 등간격으로 배치하고, 이들 소형창호들이 유압식 구동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한 프로젝트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실내공기의 환기와 채광을 목적으로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크게 프로젝트(회동식) 창호와 미닫이식 창호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트 창호는 상단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되면서 개방되는 창호로써 대형공장건물에서 환기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다수의 창호를 설치하였으나 많은 창호를 일일이 수동으로 개폐하기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고, 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대형창호 프레임의 내측에 다수로 연접된 소형창호를 상하로 회동되게 설치하되, 각 소형창호가 자동 개폐장치에 의해 동시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개폐되도록 한 프로젝트 창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트 창호를 보여주는 일부분해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A, B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트 창호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채광부 3 : 절곡브라켓
4 : 소형창호 5 : 회동샤프트
22 : 외부프레임 24 : 통공
42 ; 가이드홈 44 : 회동축
46 : 소형프레임 48 : 투명판체
52 ; 베어링 54 ; 회동고리
62 : 작동축 64 : 부시
540 : 장공 620 : 끼움고리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외부프레임의 내측에 다수의 소형창호가 서로 연접되게 설치되어 구성된 채광부와; 상기 소형창호의 전면과 회동샤프트에 부착된 절곡브라켓과, 이 회동샤프트에 연결되어 상하로 승하강되면서 소형창호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를 구비한 작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트 창호를 보여주는 일부분해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A, B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채광부(2)는 장방형 또는 특정형상으로 된 외부프레임(22)의 내측에 다수의 소형창호(4)가 서로 연접되게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소형창호(4)는 상부측에는 외부프레임(22)의 내측에 형성된 통공(24)에 끼워지는 회동축(44)이 돌출 형성되고, 수직변의 하부측에는 절곡브라켓(3)의 하단이 끼움결합되는 가이드홈(42)이 형성된 소형프레임(46)의 내측에 투명판체(48)가 구비된 것이다.
이때 상기 투명판체(48)의 재질로는 유리 및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작동부(C)는 상기 외부프레임(22)의 일면에 근접하게 설치된 회동샤프트(5)와, 상기 회동샤프트(5) 및 소형프레임(46)에 연결고정된 절곡브라켓(3)과, 이 절곡브라켓(3)에 연결된 채 상하로 승하강되면서 소형창호(4)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유압실린더(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동샤프트(5)는 외부프레임(22)의 수직벽에 설치된 다수의 베어링(52)에 관통되게 설치된 것으로, 일측에는 장공(540)을 갖는 회동고리(54)가 사선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타측에는 절곡브라켓(3)의 상단부가 연결고정된다.
상기 절곡브라켓(3)은 대략 ' フ '형태로 절곡된 봉체로써 상단부는 회동샤프트(5)에 연결되고, 하단부에 로울러(32)가 구비되며, 이 로울러(32)가 상기 소형프레임(46)의 가이드홈(42)에 슬라이드되게 끼움결합된다.
즉, 상기 절곡브라켓(3)이 회동될 때 상기 로울러(32)가 연동되면서 상기 가이드홈(42) 내에서 슬라이딩되도록 하였다.
상기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6)는 일단에 실린더몸체가 설치되고 그 내부에 진퇴동작을 하는 작동축(62)이 형성된 통상의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실린더몸체가 별도의 고정대(7)에 고정된다.
상기 작동축(62)은 끝단에 연동볼트(65)가 삽입되는 끼움고리(620)가 형성되며, 도 3a 및 도 3b에서 보이듯이, 상기 끼움고리(620)는 상기 회동고리(54)의 장공(540)과 맞대어진 후 연동볼트(65)가 체결되어 연결된다.
이때 상기 맞대어진 끼움고리(620)와 장공(540)의 내주연에는 부시(bush)(64)가 삽입된 후 그 내측으로 연동볼트(65)가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작동축(62)의 승하강시 연동볼트(65)가 장공(540)의 내주연을 따라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부시(64)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이므로 부시외에도 통상의 베어링(bearing)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절곡브라켓(3)의 절곡된 각도는 상기 회동고리(54)의 장공(540)의 길이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즉, 장공(540)의 길이가 짧으면 회전각도가 작으므로 이 작은 회전각도로도 소형창호(4)가 개폐될 수 있도록 절곡브라켓(3)의 절곡된 각도가 크게 형성되며, 장공(540)의 길이가 길면 회전각도가 커지므로 절곡된 각도가 작게 형성되도 소형창호(4)의 개폐가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6)의 설치위치와 작동축(62)의 움직임 및 연동볼트(65)와 장공(540)에 가해지는 마찰부하를 고려하여 상기 장공(540)의 길이를 너무 짧거나 길게 형성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개방측으로 온(on)시키면 상기 유압실린더(6)의 작동축(62)이 하강하면서 부시(64)가 결합된 연동볼트(65)가 장공(540)의 하부측 내주연을 따라 하부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회동고리(54)가 장공(540)을 타고 이동할때 하부로 누르는 힘이 발생되고, 이 힘이 상기 회동고리(54) 및 회동샤프트(5), 절곡브라켓(3)에 전달되어 회동되게 함으로써 최종에는 소형창호(4)를 외측으로 밀쳐서 회동 개방되게 한다.
이와 반대로 스위치를 폐쇄측으로 온(on)시키면 상기 유압실린더(6)의 작동축(62)이 승강하면서 상술한 동작순서의 역순으로 진행되므로 소형창호가 역방향으로 회동되어 폐쇄된다.
상기 스위치(도시되지 않음)는 통상의 온오프(on-off)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이에 부가하여 동작개시 또는 종료 시간을 미리 설정해줄 수 있는 타이머(timer)기능이 부가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트 창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구동수단으로써 상기 공압 및 유압실린더(6) 대신에 전동모터부재(D30')를 채용한 것이다.
상기 전동모터부재(D30')는 본체(22') 내부에 설치된 모터(25')의 축에 피니언기어(23')를 구비하고, 작동축(62)의 일단에 랙기어부(160')를 형성시킨 후 상기 피니언기어(23')와 랙기어부(160')가 치합되게 한 것으로, 상기 모터축의 피니언기어(23')가 회전하면 이에 연동되어 상기 작동축(62)이 전후로 이동되게 하였다.
이때 상기 작동축(62)의 이동길이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전동모터부재(D30')의 양측의 통공에 리미트스위치(21')를 설치하고, 상기 작동축(62)의 랙기어부(160')에는 상기 리미트스위치(21')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제한돌기부(162')를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작동축(62)이 이동되다가 상기 제한돌기부(162')가 리미트스위치(21')를 접촉하면 모터(25')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트 창호는 대형창호 프레임의 내측에 다수로 설치된 소형창호를 유압,공압실린더 또는 전동모터부재에 의한 개폐수단에 의해 동시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개폐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7)

  1. 일정형상을 갖는 외부프레임의 내측에 일단을 회동축으로 하여 타단이 전후로 회동되는 소형창호가 서로 연접되게 설치되어 구성된 채광부와;
    상기 외부프레임의 일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동샤프트와, 일단은 상기 회동샤프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소형프레임에 연결고정된 절곡브라켓과, 상기 회동샤프트의 일단에 연동되게 설치된 작동축과, 이 작동축을 승하강시킴으로써 소형창호가 개폐되도록 한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와, 이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를 동작시키는 스위치로 구성된 작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창호.
  2. 일정형상을 갖는 외부프레임의 내측에 일단을 회동축으로 하여 타단이 전후로 회동되는 소형창호가 서로 연접되게 설치되어 구성된 채광부와;
    상기 외부프레임의 일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동샤프트와, 일단은 상기 회동샤프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소형프레임에 연결고정된 절곡브라켓과, 상기 회동샤프트의 일단에 연동되게 설치된 작동축과, 이 작동축을 승하강시킴으로써 소형창호가 개폐되도록 한 전동모터부재와, 상기 전동모터부재를 동작시키는 스위치로 구성된 작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창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프레임의 수직변의 일측에는 절곡브라켓의 하단이 끼움결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창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브라켓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된 채 슬라이딩되도록 로울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창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샤프트의 일측에는 장공을 갖는 회동고리가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작동축의 끝단에 끼움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고리가 장공상에서 부시를 갖는 연동볼트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작동축이 장공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회동샤프트가 회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창호.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모터부재는 본체 내부에 설치된 모터의 축에 피니언기어를 구비하고, 작동축의 일단에 랙기어부를 형성시킨 후 상기 피니언기어와 랙기어부가 치합되게 한 것으로, 상기 피니언기어가 회전하면 이에 연동되어 상기 작동축이 승하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창호.
  7.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양측의 통공에 리미트스위치를 설치하고, 상기 작동축의 랙기어부에는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제한돌기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작동축이 이동되다가 상기 제한돌기부가 리미트스위치를 접촉하면 모터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창호.
KR20-2003-0002838U 2002-12-04 2003-01-29 프로젝트 창호 KR20031878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213 2002-12-04
KR20020036213 2002-12-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8785Y1 true KR200318785Y1 (ko) 2003-07-04

Family

ID=49410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838U KR200318785Y1 (ko) 2002-12-04 2003-01-29 프로젝트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8785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168B1 (ko) * 2010-11-10 2012-12-28 (주)금강유리산업 이중 연동 도어 구조를 갖는 시스템 창호
KR200464950Y1 (ko) * 2011-07-26 2013-01-24 임영학 미닫이 창문의 자동 개폐장치
KR101465040B1 (ko) * 2012-08-21 2014-12-04 최병두 회전식 들창문 개폐장치
KR101465041B1 (ko) * 2012-08-21 2014-12-04 최병두 회전식 창문 개폐장치
KR101472211B1 (ko) * 2012-06-15 2014-12-11 박상훈 자동 개폐창문
CN106121432A (zh) * 2016-08-26 2016-11-16 周佩龙 一种气门开启用气缸驱动式推动装置
KR102021464B1 (ko) * 2019-04-10 2019-09-16 라인테크닉스 주식회사 급속배기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168B1 (ko) * 2010-11-10 2012-12-28 (주)금강유리산업 이중 연동 도어 구조를 갖는 시스템 창호
KR200464950Y1 (ko) * 2011-07-26 2013-01-24 임영학 미닫이 창문의 자동 개폐장치
KR101472211B1 (ko) * 2012-06-15 2014-12-11 박상훈 자동 개폐창문
KR101465040B1 (ko) * 2012-08-21 2014-12-04 최병두 회전식 들창문 개폐장치
KR101465041B1 (ko) * 2012-08-21 2014-12-04 최병두 회전식 창문 개폐장치
CN106121432A (zh) * 2016-08-26 2016-11-16 周佩龙 一种气门开启用气缸驱动式推动装置
KR102021464B1 (ko) * 2019-04-10 2019-09-16 라인테크닉스 주식회사 급속배기장치
WO2020209531A1 (ko) * 2019-04-10 2020-10-15 라인테크닉스 주식회사 급속배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18785Y1 (ko) 프로젝트 창호
KR102236387B1 (ko) 공동주택용 자동개폐형 복도 창문
KR200216904Y1 (ko) 창문 개폐장치
KR100509343B1 (ko) 전동식 루버개폐장치
KR100673826B1 (ko) 건축물 외벽용 인테리어패널의 개폐장치
EP1703038A2 (en) Roof vent
CN112081516A (zh) 中空玻璃内置百叶窗用的磁力传动驱动装置
KR101825255B1 (ko) 자동 및 수동 전환이 가능한 리프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
KR200331770Y1 (ko) 전동식 갤러리 창호
KR200307142Y1 (ko) 다중연동식 회전창호
KR200321450Y1 (ko) 전동식 프로젝트 창호
JP3016341U (ja) 換気扇の通風門自動開閉構造
KR20130004711U (ko) 전동 환기창
KR200340249Y1 (ko) 전동식 루버개폐장치
KR200214106Y1 (ko) 비닐하우스용 개폐기의 브라켓트
KR920002383Y1 (ko) 건물용 배연창의 자동 개폐장치
CN112196445A (zh) 一种双层玻璃内置百叶窗用帘片翻转机构
KR200310630Y1 (ko) 미닫이 창호
KR200307832Y1 (ko) 안전발코니 겸용 창호시스템
AU2018101154A4 (en) Window or Door Assembly
KR20150025579A (ko) 지붕의 개폐장치
CN216381007U (zh) 一种防水通风的外窗结构
KR100416915B1 (ko) 에어컨디셔너의 셔터 개폐장치
KR200231006Y1 (ko) 창문자동개폐장치
CN213627377U (zh) 中空玻璃内置百叶窗用的磁传动驱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