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5579A - 지붕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지붕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5579A
KR20150025579A KR20130103246A KR20130103246A KR20150025579A KR 20150025579 A KR20150025579 A KR 20150025579A KR 20130103246 A KR20130103246 A KR 20130103246A KR 20130103246 A KR20130103246 A KR 20130103246A KR 20150025579 A KR20150025579 A KR 20150025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member
opening
roof
closing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3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1733B1 (ko
Inventor
이준용
Original Assignee
(주)용화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용화씨아이 filed Critical (주)용화씨아이
Priority to KR1020130103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733B1/ko
Publication of KR20150025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 E04B7/16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characterised by a translation movement of the movable roof part, with or without additional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3Sky-lights; Domes; Ventilating sky-lights
    • E04D13/035Sky-lights; Domes; Ventilating sky-lights characterised by having movable parts
    • E04D13/0358Sky-lights; Domes; Ventilating sky-lights characterised by having movable parts the parts moving, in their own plane, e.g. rolling or sliding, or moving in parallel planes with or without an additional movement, e.g. both pivoting and rolling or sli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3Sky-lights; Domes; Ventilating sky-lights
    • E04D13/0325Sky-lights; Domes; Ventilating sky-lights provided with ventil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건축구조물이나 축사의 내부에서 사람이나 가축 등에게 신선한 공기와 햇볕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지붕의 일부분을 개폐하는 지붕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고장이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구조적 문제점을 개선하여 내구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건물 또는 축사의 지붕을 지지하는 주프레임(11) 상에 차단부(12)와 개방부(13)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기 위한 지붕의 개폐장치로서, 상기 주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의 하부를 차단하게 된 제1차양막(10)과; 상기 주프레임 상측에 보조프레임(14)이 이격 설치되고 상기 보조프레임 하부에서 롤러(21)를 매개로 연결된 제1가동부재(2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며 상기 제1가동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의 상부 또는 하부를 차단하게 된 제2차양막(20)과; 상기 보조프레임 상부에서 롤러(31)를 매개로 연결된 제2가동부재(3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며 상기 제2가동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 또는 폐쇄부 상에 위치하게 된 채광판(30)과; 상기 제1가동부재 및 제2가동부재를 슬라이딩 가동시키는 가동부(40);를 포함하는 지붕의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지붕의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shutting roof}
본 발명은 지붕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 건축구조물이나 축사의 내부에서 사람이나 가축 등에게 신선한 공기와 햇볕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지붕의 일부분을 개폐하는 지붕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구조물이나 축사에서는 그들 내부에 있는 사람이나 가축 등에 햇볕을 내리도록 하고 내부로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게 하여 사람이나 가축 등이 신선한 공기와 햇볕을 동시에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지붕의 일부분이 개폐될 수 있게 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지붕의 개폐장치를 살펴보면, 건축물의 지붕과 분리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도어(6)와, 상기 도어(6)에 연결되되 지붕(1) 위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서 도어(6)를 이동시키는 체인(2) 또는 와이어와, 상기 체인(2)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4)와, 상기 샤프트(4)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8)를 구비하여서, 상기 체인(2)을 회전시키는 일에 따라 도어(6)를 이동시킴으로써 지붕을 개폐시키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지붕의 개폐장치에서는 상기 도어(6) 및 샤프트(4)의 길이가 일반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6)를 개방하거나 닫을 때에 그의 중량으로 인해 무게중심이 잡히지 않아 기우뚱거림 또는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되고 아울러 샤프트(4)가 회전할 때에 일측과 타측에서 서로 회전이 불일치하게 일어나 뒤틀림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붕의 일부분을 개방시키기 위한 도어(6)를 열거나 닫는 일이 불완전하게 행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286992호와 같이 건축구조물이나 축사 지붕의 일부분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게 하는 지붕의 개폐장치를 제안한 바 있으며 그 구체적인 내용은, 지붕의 메인 빔 상부에 설치되어서 체인의 회전을 안내하는 체인롤러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체인장착부; 상기 체인롤러에 의한 체인장착부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H형상 빔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대를 통해 메인 빔의 상부에 장착되는 레일 빔; 상부에 채광판이 구비되고, 상기 체인의 회전에 따라서 롤러를 통해 상기 레일 빔을 따라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도어; 상기 도어가 이동되도록 상기 체인을 회전시키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회동을 제어하는 구동부재; 상기 도어의 중량에 의한 무게중심을 잡아주며 상기 샤프트의 뒤틀림 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체인장착부에 설치되되 상기 체인과 연결되어서 상기 도어의 개폐에 대응하여 상기 레일 빔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중량체; 및 상기 중량체의 이동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연결되어서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는 펼쳐지고 폐쇄될 때는 접혀져서 건축구조물이나 축사 내부로 들어오는 햇빛을 차단하는 차양막;으로 구성된 지붕의 개폐장치(특허문헌 1)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경우 차양막이 고리를 통해 와이어에 지그재그 형태로 매달린 상태에서 펼쳐지거나 겹쳐질 때 차양막과 고리, 고리와 와이어 간에 서로 간섭을 일으켜서 작동 불능 상태가 되거나 차양막이 찢어지는 등 구조적 문제점이 있으며, 더욱이 차양막을 설치하는 것이 어렵고 유지보수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286992호 등록특허공보(2013.7.23 공고)
상기의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고장이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구조적 문제점을 개선하여 내구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량된 지붕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붕을 지지하는 주프레임 상에 차단부와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기 위한 지붕의 개폐장치로서, 상기 주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의 하부를 차단하게 된 제1차양막과; 상기 주프레임 상측에 보조프레임이 이격 설치되고 상기 보조프레임 하부에서 롤러를 매개로 연결된 제1가동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며 상기 제1가동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의 상부 또는 하부를 차단하게 된 제2차양막과; 상기 보조프레임 상부에서 롤러를 매개로 연결된 제2가동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며 상기 제2가동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 또는 폐쇄부 상에 위치하게 된 채광판과; 상기 제1가동부재 및 제2가동부재를 슬라이딩 가동시키는 가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가동부는, 모터와, 상기 지붕의 경사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축설된 구동풀리와, 상기 지붕의 경사 하측에 설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된 종동축과, 상기 종동축에 축설된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 및 종동풀리와 연결되어 상측 라인과 하측 라인을 가지는 체인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가동부재는 상기 체인와이어의 하측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제2가동부재는 상기 체인와이어의 상측 라인에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인와이어의 하측 라인은 상기 제1가동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하측 라인에는 상기 제1가동부재와 접촉시 경사 상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하는 푸셔가 구비되며, 상기 체인와이어의 상측 라인은 상기 제2가동부재에 고정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축에는 수동식 회전 손잡이가 연결되어 상기 모터에 대체하여 수동식으로 구동축을 회전 가능하게 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붕의 일부분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선택 개폐할 수 있으므로 필요시 언제든지 개폐가 가능하고, 환기가 용이하여 위생적이며, 차양막이 와이어에 매달려서 이동하는 구조가 아니라 펼쳐진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구조이므로 안정적이면서도 고장이나 손상의 우려가 없기 때문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대단히 경제적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붕의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붕의 개폐장치 전체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절개한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3 구성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B부 확대도.
도 6은 도 5 구성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붕의 개폐장치에 의한 지붕의 닫힘 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붕의 개폐장치에 의한 지붕의 열림 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인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이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기술이거나 용이하게 도출되는 정도의 기술에 대해서는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붕의 개폐장치 전체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을 절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 구성 상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3의 B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5 구성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건물 또는 축사의 지붕에는 필요에 따라 실내로 햇빛이 들게 하거나 환기를 시키기 위해 지붕의 일부분을 개방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지붕 하부에 주프레임(11)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지붕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주프레임(11) 상의 경사진 부분에서 하측에는 차단부(12)를 설치하여 태양광이나 비, 눈 등을 차단하며, 주프레임(11) 상의 경사진 부분에서 상측에는 개방부(13)를 형성한다.
이때 본 발명은 후술하는 채광판(30)을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차단부(12) 또는 개방부(13)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개방부(13)를 개폐할 수 있게 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주프레임(11) 상에서 상기 개방부(13)의 하부 공간에는 제1차양막(10)을 설치하여 해당 공간을 영구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상기 제1차양막(10)은 상기 개방부(13)의 하측 대략 1/2 공간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프레임(11) 상측 방향으로는 주프레임(11)과 평행하게 보조프레임(14)을 설치하며, 이때 상기 보조프레임(14)은 상기 주프레임(11)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한다.
상기 보조프레임(14) 하부에는 일정 길이를 가진 제1가동부재(22)가 롤러(21)를 매개로 보조프레임(14)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프레임(14)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가동부재(22)에는 제2차양막(20)이 설치된다.
일 예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롤러(21)는 상기 제1가동부재(22)의 양측 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H'빔 형태의 보조프레임(14)의 하측 플랜지 위에서 활주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가동부재(22)는 보조프레임(14)에 매달려서 이동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차양막(20)은 상기 개방부(13) 공간의 대략 1/2 공간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제1가동부재(22)가 보조프레임(14)에 매달린 상태로 아래로 슬라이드 이동하였을 경우 제2차단막(20)이 상기 제1차단막(10) 상에 놓이게 하며, 반대로 제1가동부재(22)가 위로 슬라이드 이동하였을 경우 제1차단막(10)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나머지 개방부(13) 공간을 차단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보조프레임(14) 상부에는 일정 길이를 가진 제2가동부재(32)가 롤러(31)를 매개로 보조프레임(14)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프레임(14)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일 예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롤러(31)는 상기 제2가동부재(32)의 양측 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보조프레임(14)의 상단에서 활주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가동부재(22)는 보조프레임(14)을 타고 이동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가동부재(32)에는 채광판(30)이 설치된다. 상기 채광판(30)은 적어도 상기 개방부(13)를 폐쇄할 수 있는 정도의 폭을 가지며, 상기 제2가동부재(32)가 보조프레임(14)을 타고 위로 슬라이드 이동하였을 경우 채광판(30)이 상기 개방부(13)를 폐쇄할 수 있게 하고, 반대로 제2가동부재(32)가 아래로 슬라이드 이동하였을 경우 차단부(12) 상에 놓이게 된다.
가동부(40)는 상기 제1가동부재(22)와 상기 제2가동부재(32)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전기적으로 구동하는 모터(41)와, 상기 지붕의 경사 상측에 설치된 구동축(42), 상기 구동축(42)에 축설된 구동풀리(43), 상기 지붕의 경사 하측에 설치된 종동축(45), 상기 종동축(45)에 축설된 종동풀리(44) 및 상기 구동풀리(43)와 종동풀리(44)를 연결하는 체인와이어(46)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축(42)은 상기 모터(41)와 연결되어 모터(41) 구동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되고, 상기 종동풀리(44)는 상기 구동풀리(42)와 체인와이어(46)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서 구동축(42)이 회전 구동하는 것에 연동하여 종동축(43)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체인와이어(46)는 체인이거나 와이어일 수 있고, 상기 구동풀리(43) 및 종동풀리(44)를 감는 형태로 연결됨으로써 일종의 무한궤도와 같은 형태로 되어 상측 라인과 하측 라인을 가지며, 상기 제1가동부재(22)는 상기 체인와이어(46)의 하측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제2가동부재(32)는 상기 체인와이어(46)의 상측 라인에 연결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1가동부재(22)에는 가이드홀(23)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체인와이어(46)의 하측 라인은 상기 가이드홀(23)을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체인와이어(46)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1가동부재(22)는 슬라이드 이동하지 않는다.
다만, 상기 체인와이어(46)의 하측 라인에는 푸셔(24)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푸셔(24)는 체인와이어(46)가 회전할 때 상기 제1가동부재(22)와 소정 부분에 접촉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푸셔(24)와 제1가동부재(22)가 접촉되었을 때 상기 제1가동부재(22)가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데, 이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도 7 및 도 8의 작용 설명에서 더 구체화될 것이다.
한편, 상기 체인와이어(46)의 상측 라인은 상기 제2가동부재(32)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고, 이에 따라 체인와이어(46)가 회전할 때 상기 제2가동부재(32)는 연동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구동축(42)에는 수동식 회전 손잡이가 기어나 체인 또는 벨트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정전이나 고장 등의 원인에 의해 모터(41)를 구동할 수 없을 경우, 사용자가 직접 회전 손잡이를 회전시켜서 상기 구동축(42)을 구동시킴으로써 제2차양막(20) 및 채광판(30)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15'는 '용마루부'로서, 지붕의 최상단에서 상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지붕과 용마루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환기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모터(41)나 구동축(42) 등을 커버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붕의 개폐장치에 의한 지붕의 닫힘 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붕의 개폐장치에 의한 지붕의 열림 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로서, 이하의 작용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제2차양막(20)은 제1차양막(10) 위에 배치되어 개방부(13)(도면부호는 도 2 참조)의 상측 공간을 개방하고 있고, 동시에 채광판(30)이 개방부(13) 전체 공간을 덮고 있으므로, 실내 환기는 이루어지지 않는 반면, 채광판(30)을 통해 햇빛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는 상태이다.
이때 환기를 위해 사용자가 모터(41) 또는 수동식 회전 손잡이(미도시)를 이용하여 구동축(41)을 회전시키면, 구동풀리(43)가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체인와이어(46)가 도면에서 시계반대방향, 즉 체인와이어(46)의 상측 라인은 좌측으로 하향 이동하고, 하측 라인은 우측으로 상향 이동한다.
이에 따라 체인와이어(46)의 상측 라인에 고정되어 있는 제2가동부재(32) 및 채광판(30)이 동시에 좌측으로 하향 이동하면서 지붕의 개방부(13)를 개방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체인와이어(46)의 하측 라인에 고정된 푸셔(24)가 우측으로 상향 이동하게 되는데, 푸셔(24)와 제1가동부재(22)가 접하는 시점부터 제1가동부재(22)를 밀어올리거나 끌어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 제2차양막(20)이 제1차양막(10)의 상측에서 벗어나 개방부(13)의 상측 공간을 덮을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채광판(30)은 개방부(13)를 완전히 벗어나 있고 제1차양막(10)과 제2차양막(20)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통풍이 가능하면서도 햇빛을 가릴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체인와이어(46)를 역회전시키면, 채광판(30)은 체인와이어(46)의 상측 라인과 함께 우측으로 상향 이동하여 개방부(13)를 폐쇄하고, 동시에 제2차양막(20)은 자중에 의해서 체인와이어(46)의 하측 라인과 함께 좌측으로 하향 이동하여 도 7과 같은 상태로 전환된다.
이상의 설명은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제1차양막 11: 주프레임
12: 차단부 13: 개방부
14: 보조프레임 15: 용마루부
20: 제2차양막 21: 롤러
22: 제1가동부재 23: 가이드홀
24: 푸셔(pusher)
30: 채광판 31: 롤러
32: 제2가동부재 33: 고정부
40: 가동부 41: 모터
42: 구동축 43: 구동풀리
44: 종동풀리 45: 종동축
46: 체인와이어

Claims (4)

  1. 지붕을 지지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주프레임 상의 경사 하측 및 경사 상측에 각각 차단부와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를 슬라이드 개폐하기 위한 지붕의 개폐장치로서,
    상기 주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의 하부를 차단하게 된 제1차양막과; 상기 주프레임 상측에 보조프레임이 이격 설치되고 상기 보조프레임 하부에서 롤러를 매개로 연결된 제1가동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며 상기 제1가동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의 상부 또는 하부를 차단하게 된 제2차양막과; 상기 보조프레임 상부에서 롤러를 매개로 연결된 제2가동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며 상기 제2가동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 또는 폐쇄부 상에 위치하게 된 채광판과; 상기 제1가동부재 및 제2가동부재를 슬라이딩 가동시키는 가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의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모터와, 상기 지붕의 경사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축설된 구동풀리와, 상기 지붕의 경사 하측에 설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된 종동축과, 상기 종동축에 축설된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 및 종동풀리와 연결되어 상측 라인과 하측 라인을 가지는 체인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가동부재는 상기 체인와이어의 하측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제2가동부재는 상기 체인와이어의 상측 라인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의 개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와이어의 하측 라인은 상기 제1가동부재의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하측 라인에는 상기 제1가동부재와 접촉되어 경사 상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푸셔가 구비되며, 상기 체인와이어의 상측 라인은 상기 제2가동부재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의 개폐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에는 수동식 회전 손잡이가 연결되어 상기 모터에 대체하여 수동식으로 구동축을 회전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의 개폐장치.
KR1020130103246A 2013-08-29 2013-08-29 지붕의 개폐장치 KR101491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246A KR101491733B1 (ko) 2013-08-29 2013-08-29 지붕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246A KR101491733B1 (ko) 2013-08-29 2013-08-29 지붕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579A true KR20150025579A (ko) 2015-03-11
KR101491733B1 KR101491733B1 (ko) 2015-03-25

Family

ID=53021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246A KR101491733B1 (ko) 2013-08-29 2013-08-29 지붕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7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3594A (zh) * 2019-03-13 2019-05-17 碳十四空间科技河北有限公司 天文台屋顶滑动自锁装置及天文台屋顶结构
KR20220157189A (ko) * 2021-05-20 2022-11-29 주식회사 해두리농자재 축사지붕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672B2 (ja) * 1986-12-18 1994-10-05 株式会社竹中工務店 スライド式開閉屋根装置
KR20090005343U (ko) * 2007-11-29 2009-06-03 신수영 개폐식 아케이드
KR20090121491A (ko) * 2008-05-22 2009-11-26 최진영 돔형 지붕의 개폐장치
KR101286992B1 (ko) * 2011-08-25 2013-07-23 (주)용화씨아이 지붕의 개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3594A (zh) * 2019-03-13 2019-05-17 碳十四空间科技河北有限公司 天文台屋顶滑动自锁装置及天文台屋顶结构
CN109763594B (zh) * 2019-03-13 2024-04-16 重庆市巫山城市建设(集团)有限公司 天文台屋顶滑动自锁装置及天文台屋顶结构
KR20220157189A (ko) * 2021-05-20 2022-11-29 주식회사 해두리농자재 축사지붕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733B1 (ko) 2015-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4730B2 (ja) シャッター装置の電源切替方法及びそのシャッター装置
US20100050530A1 (en) Sliding Door
KR101693796B1 (ko)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JP2008531872A (ja) 滑動式ドア構造
KR100620456B1 (ko) 더블 트러스트 레일 온실 천창 개폐장치
US6289963B1 (en) Dual closure system for overhead doors
KR101491733B1 (ko) 지붕의 개폐장치
KR102068117B1 (ko) 루버 시스템
KR101286992B1 (ko) 지붕의 개폐장치
JP5353941B2 (ja) ブラインド装置と窓枠との構造
KR101588967B1 (ko) 접이식 수평덧창 및 수평도어
KR101170061B1 (ko) 전동 슬라이드 갤러리 창을 포함한 구조물
CN101131065A (zh) 采光可调节的窗户
EP1854957A3 (en) Device for the motorisation of sliding shutters
CN211818941U (zh) 一种组合式铝合金窗
CN208168675U (zh) 洁净室单双开自动感应平移门
KR101442124B1 (ko) 슬라이드 블럭형 발코니 블라인드
CN203223157U (zh) 一种一体窗
KR100906325B1 (ko) 수동 개폐가 가능한 전동식 환기창
KR101503898B1 (ko) 통풍과 채광 기능을 갖는 계사
CN205742770U (zh) 一种软驱动智能开启天窗
CN201071674Y (zh) 采光可调节的窗户
KR20110097155A (ko) 상하, 좌우, 전동식 무대 모형막
JPH09317253A (ja) 開閉式屋根
KR101252724B1 (ko)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투입구가 형성된 건축물의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