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325B1 - 수동 개폐가 가능한 전동식 환기창 - Google Patents

수동 개폐가 가능한 전동식 환기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325B1
KR100906325B1 KR1020090018348A KR20090018348A KR100906325B1 KR 100906325 B1 KR100906325 B1 KR 100906325B1 KR 1020090018348 A KR1020090018348 A KR 1020090018348A KR 20090018348 A KR20090018348 A KR 20090018348A KR 100906325 B1 KR100906325 B1 KR 100906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opening
ventilation
closing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8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희
이양운
Original Assignee
김정희
이양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희, 이양운 filed Critical 김정희
Priority to KR1020090018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63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6Screw mechanisms
    • E05Y2201/70Nu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2Adjustable by manual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industrial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 개폐가 가능한 전동식 환기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장 등과 같이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수동으로 개폐가 불가능하여 전동으로 작동되는 환기창을 정전 등과 같이 전기가 공급되지 않은 상황에서 수동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함에 따라, 정전 등에 상관없이 환기창을 개폐할 수 있게 됨으로써, 공장 등의 환기를 원활하게 하여 환기창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한 수동 개폐가 가능한 전동식 환기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창틀에 가로질러 설치되어 전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작동스크루를 따라 수평 이동하게 나사 체결된 너트형상의 개폐부재를 일측의 창문에 설치하여 전동으로 개폐되도록 한 전동식 환기창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작동스크루의 외경 보다 큰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 상측에만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부에 장치된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작동스크루와 치합되는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창문의 양측에 각각 고정편에 의해 양단이 고정된 개폐와이어가 창문의 중앙에 고정시킨 롤러에 교차되게 걸린 채 아래로 길게 설치되어; 단전시 개폐부재와 작동스크루는 나사 체결되지 않아 작업자가 개폐와이어를 통해 수동으로 창문을 개폐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한 수동 개폐가 가능한 전동식 환기창가 제공된다.
환기창, 전동식, 수동식, 솔레노이드, 개폐와이어, 개폐부재

Description

수동 개폐가 가능한 전동식 환기창{Electromotive ventilator whose manual opening and shutting is possible}
본 발명은 수동 개폐가 가능한 전동식 환기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장 등과 같이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수동으로 개폐가 불가능하여 전동으로 작동되는 환기창을 정전 등과 같이 전기가 공급되지 않은 상황에서 수동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함에 따라, 정전 등에 상관없이 환기창을 개폐할 수 있게 됨으로써, 공장 등의 환기를 원활하게 하여 환기창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한 수동 개폐가 가능한 전동식 환기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기창은 건물에 설치된 창틀 상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건물의 내부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킴으로써 외부의 맑고 신선한 공기를 건물의 내부로 유입시켜 환기를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공장 등과 같이 단층의 높이가 상단한 곳에는 상기 환기창은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데, 이때는 사람이 직접 환기창에 접근하여 수동으로 개폐할 수 없기 때문에 전동으로 작동되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루와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수평 이동하는 는 수평 이송되는 스크루의 일측이 환기창의 일측 창문의 프레임에 연결되어 구성된 전동식 환기창을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따라서 공장 등에 환기가 필요할 경우에는 상기 전동식 환기창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높은 위치에 설치된 환기창에 접근하지 않고도 매우 간편하고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전동식 환기창은 구동모터에 전기가 공급되어 작동되는 구조이므로, 전기공사나 정전 등으로 인해 전기 공급이 중단되게 되면 전혀 작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환기창을 개폐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공장 등은 환기가 불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작업 환경에 악영향을 주게 되고 작업효율이 떨어지게 되며 작업자의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전동식으로 개폐되는 환기창을 수동으로도 개폐 가능하게 하여 단전이나 정전 등으로 인해 전기 공급이 중단된 경우에도 공장 등의 내부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창틀에 가로질러 설치되어 전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작동스크루를 따라 수평 이동하게 나사 체결된 너트형상의 개폐부재를 일측의 창문에 설치하여 전동으로 개폐되도록 한 전동식 환기창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작동스크루의 외경 보다 큰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 상측에만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부에 장치된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작동스크루와 치합되는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창문의 양측에 각각 고정편에 의해 양단이 고정된 개폐와이어가 창문의 중앙에 고정시킨 롤러에 교차되게 걸린 채 아래로 길게 설치되어; 단전시 개폐부재와 작동스크루는 나사 체결되지 않아 작업자가 개폐와이어를 통해 수동으로 창문을 개폐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한 수동 개폐가 가능한 전동식 환기창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수동 개폐가 가능한 전동식 환기창은 전기가 공급되는 상황에서는 전동식으로 개폐할 수 있고 전기의 공급이 중단된 상황에서는 수동식으로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환기창을 개폐하여 환기를 위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됨으로써, 공장 등의 내부환경을 원활하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 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 작동부에 대한 수직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수동 작동에 대한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수동 개폐가 가능한 전동식 환기창(100)은 창틀(110)에 가로질러 설치되어 전동모터(1)에 의해 회전하는 작동스크루(2)를 따라 수평 이동하게 나사 체결된 너트형상의 개폐부재(3)를 일측의 창문(120)에 설치하여 전동으로 개폐되도록 한 전동식 환기창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3)는 작동스크루(2)의 외경 보다 큰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 상측에만 나사산(4)이 형성되어 하부에 장치된 솔레노이드(5)의 작동에 의해 작동스크루(2)와 치합되는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창문(120)의 양측에 각각 고정편(6)에 의해 양단이 고정된 개폐와이어(7)가 창문(120)의 중앙에 고정시킨 롤러(8)에 교차되게 걸린 채 아래로 길게 설치되어; 단전시 개폐부재(3)와 작동스크루(2)는 나사 체결되지 않아 작업자가 개폐와이어(7)를 통해 수동으로 창문(120)을 개폐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창문(120)에는 이웃하는 다른 환기창(100)의 개폐되는 창문(120)과 연결하는 연결대(9)가 설치되어, 다른 모든 환기창(100)의 창문(120)을 일체로 개폐되도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0은 작동스크루(2)를 지지하면서 원활하게 회전되게 하는 지지대이고, 11은 작동스크루(2)와 지지대(10)를 연결하는 베어링이며, 12는 개폐부재(3)를 창문(120)에 고정시키는 고정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동 개폐가 가능한 전동식 환기창(100)은 환기를 위한 목적으로 공장 등과 같이 단층의 높이가 상단한 곳에 설치되어 전동으로 개폐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수동 개폐가 가능한 전동식 환기창(100)은 전기공사나 정전 등으로 인해 전기의 공급이 중단된 경우에는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전기의 공급에 상관없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이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모터(1)에 의해 회전되는 작동스크루(2)와 치합되어 작동스크루(2) 상에서 수평이동하여 창문(120)을 개폐되도록 하는 개폐부재(3)가 내부 상측에만 나사산(4)이 형성되고 작동스크루(2)의 외경 보다 큰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에 장치된 솔레노이드(5)의 작동시에만 작동스크루(2)와 치합되게 설치되고, 개폐되는 창문(120)의 양측에 각각 양단을 고정시킨 개폐와이어(7)가 창문(120)의 중앙에 고정한 롤러(8)에 교차되게 걸린 채 아래로 길게 설치된 구조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전기가 공급되는 상황에서는 솔레노이드(5)에 전기가 공급되어 원활하게 작동하므로 상기 솔레노이드(5)의 작동으로 개폐부재(3)가 하강된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하여 개폐부재(3)의 나사산(4)이 작동스크루(2)의 나사산과 치합되어 개폐부재(3)가 작동스크루(2) 상에서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별도로 마련된 조작스위치를 통해 전동모터(1)를 작동시키면, 전동모터(1)의 구동축에 축설된 상기 작동스크루(2)가 회전되면서 개폐부재(3)는 상 기 작동스크루(2) 상에서 수평 이동하여 창문(120)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기의 공급이 중단된 상황에서는 솔레노이드(5)에 전기가 공급되지 않아 작동하지 않으므로 개폐부재(3)가 승강된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해 개폐부재(3)의 나사산(4)과 작동스크루(2)의 나사산이 이격되어 개폐부재(3)가 작동스크루(2) 상에서 수평 이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일측의 창문(120)은 수동으로 개폐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아래까지 길게 롤러(8)에 감겨 늘어뜨려진 개폐와이어(7)의 일측을 끌어당기거나 타측을 끌어당기면 상기 창문(120)을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와이어(7)의 일측을 화살표와 같은 방향으로 끌어당기면, 개폐와이어(7)의 일측이 당겨지고 개폐와이어(7)의 타측은 느려지게 됨으로써 창문(120)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창문(120)을 닫을 때는 상기와 반대로 개폐와이어(7)의 타측을 끌어당기면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의 공급에 상관없이 수동으로 환기창(100)을 개폐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전기의 공급이 중단된 경우에 환기창(100)을 개폐할 수 없어 공장 등의 내부공기를 환기시키지 못하였던 종래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환기창(100)에 가까지 접근하지 않고도 낮은 위치에서도 환기창(100)을 개폐할 수 있게 됨으로써 추락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창문(120)에는 도 5와 같이 이웃하는 다른 환기창(100)의 창문(120)과 일체로 개폐되도록 연결하는 연결대(9)가 설치됨에 따라, 전동식으로 개 폐할 때 뿐만 아니라 수동식으로 개폐할 때도 공장 등에 설치된 다른 환기창(100)과 일체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공장 등에 설치된 복수의 환기창(100)을 일일이 개폐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 작동부에 대한 수직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동 작동에 대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동모터 2: 작동스크루
3: 개폐부재 4: 나사산
5: 솔레노이드 6: 고정편
7: 개폐와이어 8: 롤러
9: 연결대 10: 지지대
11: 베어링 12: 고정구
100: 환기창 110: 창틀
120: 창문

Claims (2)

  1. 창틀(110)에 가로질러 설치되어 전동모터(1)에 의해 회전하는 작동스크루(2)를 따라 수평 이동하게 나사 체결된 너트형상의 개폐부재(3)를 일측의 창문(120)에 설치하여 전동으로 개폐되도록 한 전동식 환기창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3)는 작동스크루(2)의 외경 보다 큰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 상측에만 나사산(4)이 형성되어 하부에 장치된 솔레노이드(5)의 작동에 의해 작동스크루(2)와 치합되는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창문(120)의 양측에 각각 고정편(6)에 의해 양단이 고정된 개폐와이어(7)가 창문(120)의 중앙에 고정시킨 롤러(8)에 교차되게 걸린 채 아래로 길게 설치되어; 단전시 개폐부재(3)와 작동스크루(2)는 나사 체결되지 않아 작업자가 개폐와이어(7)를 통해 수동으로 창문(120)을 개폐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한 수동 개폐가 가능한 전동식 환기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120)에는 이웃하는 다른 환기창(100)의 개폐되는 창문(120)과 연결하는 연결대(9)가 설치되어, 다른 모든 환기창(100)의 창문(120)과 함께 일체로 개폐되도록 한 수동 개폐가 가능한 전동식 환기창.
KR1020090018348A 2009-03-04 2009-03-04 수동 개폐가 가능한 전동식 환기창 KR100906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348A KR100906325B1 (ko) 2009-03-04 2009-03-04 수동 개폐가 가능한 전동식 환기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348A KR100906325B1 (ko) 2009-03-04 2009-03-04 수동 개폐가 가능한 전동식 환기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6325B1 true KR100906325B1 (ko) 2009-07-07

Family

ID=41337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348A KR100906325B1 (ko) 2009-03-04 2009-03-04 수동 개폐가 가능한 전동식 환기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63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038U (ko) * 2018-06-27 2020-01-06 김주연 창문 개폐장치
CN112459655A (zh) * 2020-11-18 2021-03-09 奇瑞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前舱盖自动开启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795Y1 (ko) 1997-11-05 2000-03-15 주식회사필산 축사(畜舍)의 비상시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795Y1 (ko) 1997-11-05 2000-03-15 주식회사필산 축사(畜舍)의 비상시 환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038U (ko) * 2018-06-27 2020-01-06 김주연 창문 개폐장치
KR200490886Y1 (ko) * 2018-06-27 2020-01-16 김주연 창문 개폐장치
CN112459655A (zh) * 2020-11-18 2021-03-09 奇瑞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前舱盖自动开启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035560A (ja) シャッター装置の電源切替方法及びそのシャッター装置
KR100906325B1 (ko) 수동 개폐가 가능한 전동식 환기창
KR20170046117A (ko) 여닫이 방식의 환기 장치
KR102068117B1 (ko) 루버 시스템
KR101211959B1 (ko) 전동식 블라인드 장치
JP5199603B2 (ja) エレベータ換気装置
CN104653051A (zh) 自动开关的防尘防噪音窗
CN105841285A (zh) 一种禽类养殖场通风装置
KR100717840B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장치
KR20160047794A (ko) 실내외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 가능한 루버장치
KR101397187B1 (ko) 창문 자동 닫힘장치
KR101955379B1 (ko) 미닫이 창문용 수동 개폐장치
CN206360538U (zh) 内置式电动门窗驱动装置
KR200437383Y1 (ko) 공장용 환기창 개폐장치
KR200409039Y1 (ko) 급기댐퍼의 자동개폐장치
JP2018071957A (ja) 空家用換気装置
KR20130004711U (ko) 전동 환기창
KR20180067995A (ko) 식물공장형 시설 하우스의 환기 장치
KR101491733B1 (ko) 지붕의 개폐장치
KR20120130867A (ko) 비닐 하우스용 환기창의 자동 개폐장치
CN106351529B (zh) 内置式电动门窗驱动装置
KR101503898B1 (ko) 통풍과 채광 기능을 갖는 계사
CN116297148B (zh) 一种具有循环式控制机构的试验暴晒房
WO2021171463A1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および設置方法
JP3230748U (ja) 換気用窓パネ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