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886Y1 - 창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창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886Y1
KR200490886Y1 KR2020180002949U KR20180002949U KR200490886Y1 KR 200490886 Y1 KR200490886 Y1 KR 200490886Y1 KR 2020180002949 U KR2020180002949 U KR 2020180002949U KR 20180002949 U KR20180002949 U KR 20180002949U KR 200490886 Y1 KR200490886 Y1 KR 2004908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closing device
wire
open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9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038U (ko
Inventor
김주연
Original Assignee
김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연 filed Critical 김주연
Priority to KR20201800029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886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0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0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8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8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0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cord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horizontal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 쌍의 롤러에 와이어의 양단을 각각 설치하여 창문의 개폐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창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창문에 좌우로 간격을 이루며 결합된 1쌍의 브래킷에는 개폐장치와 연결된 와이어의 끝단이 고정되어 창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창문개폐장치에 있어서, 개폐장치는 문틀(P)에 밀착되는 밀착부와 후면판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구비된 전면판과; 상측과 하측에 형성된 결합부가 볼트결합에 의해 전면판의 배면에 결합되는 후면판과; 와이어를 이동시키수 있도록 간격을 이루며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1쌍의 롤러에 밀착되어 각각의 브래킷에 고정되는 와이어는 'X'의 형상을 이루도록 교차될 수 있도록 좌측의 브래킷에 고정된 와이어는 우측의 롤러에 설치되고, 우측의 브래킷에 고정된 와이어는 좌측의 롤러에 설치되어, 하측으로 연장된 좌측 또는 우측의 와이어를 당겨 창문(W)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를 제안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면판과 후면판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 한 쌍의 롤러에 의해 좌측과 우측의 와이어가 각각 원활하게 승강하게 됨으로써 창문의 개폐가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와이어에 무리한 인장력이 가해질 염려가 없어 유지관리가 더욱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단순한 구성에 의해 개폐장치가 동작함으로써 제조비용 및 제품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더욱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창문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windows}
본 고안은 와이어를 당겨 창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한 창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롤러에 와이어의 양단을 각각 설치하여 창문의 개폐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창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부에서 다양한 작업을 하는 대형공장이나 다량의 물건을 적재하거나 저장하는 대형 창고 등은 그 내부의 천장이 일반 건물에 비하여 높게 형성되어 있으며, 대형공장이나 창고 등의 천장을 높게 하여 건설하는 것은 내부에 여러 가지 설비들을 설치할 때 주변에 걸리지 않도록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대형공장이나 창고 등은 작업시 발생되는 먼지에 의하여 내부 공기가 오염되었을 때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2단 이상으로 창문을 형성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며, 또한 창문을 다단으로 설치하는 것은 자연광에 의하여 그 내부를 밝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결국, 좋은 작업 환경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대부분 대형공장이나 창고 등에는 조작이 간편하고 설치가 용이한 미닫이 창문이 많이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 공기가 오염되었을 때 오염된 공기를 환기 시켜 내부의 공기가 깨끗해지도록 창문을 수시로 열고 닫는다. 또한, 사람의 손이닿지 않는 예컨대, 천장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창문은 별도의 창문개폐장치를 설치하여 창문을 열고 닫고 있으며, 창문개폐장치는 창문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대부분 모터나 실린더 등과 같은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창문을 개폐시킨다.
그런데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창문을 개폐시키는 종래의 미닫이 창문용 개폐장치는 조작부의 구동력을 창문에 전달할 수 있도록 동력전달 수단이나 조작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 등이 더 설치되어야 하므로,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그 구조가 복잡한 만큼 창문개폐장치의 고장 발생률이 높을 뿐 아니라 고장시 수리나 보수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더욱이 창문개폐장치의 구조가 복잡하면,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0717840호에서는 조작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줄임과 동시에 유지보수가 편리한 미닫이 창문용 개폐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창문용 개폐장치는 문틀의 양측에 제1조작부 및 제2조작부를 각각 결합하고, 이들을 별도로 조정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지 못하고,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의 롤러에 와이어의 양단을 각각 설치하여 창문의 개폐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창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단순한 구성에 의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창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창문 개폐장치는 창문에 좌우로 간격을 이루며 결합된 1쌍의 브래킷에는 개폐장치와 연결된 와이어의 끝단이 고정되어 창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창문개폐장치에 있어서, 개폐장치는 문틀(P)에 밀착되는 밀착부와 후면판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구비된 전면판과; 상측과 하측에 형성된 결합부가 볼트결합에 의해 전면판의 배면에 결합되는 후면판과; 와이어를 이동시키수 있도록 간격을 이루며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1쌍의 롤러에 밀착되어 각각의 브래킷에 고정되는 와이어는 'X'의 형상을 이루도록 교차될 수 있도록 좌측의 브래킷에 고정된 와이어는 우측의 롤러에 설치되고, 우측의 브래킷에 고정된 와이어는 좌측의 롤러에 설치되어, 하측으로 연장된 좌측 또는 우측의 와이어를 당겨 창문(W)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창문 개폐장치에 의하면, 전면판과 후면판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 한 쌍의 롤러에 의해 좌측과 우측의 와이어가 각각 원활하게 승강하게 됨으로써 창문의 개폐가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와이어에 무리한 인장력이 가해질 염려가 없어 유지관리가 더욱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단순한 구성에 의해 개폐장치가 동작함으로써 제조비용 및 제품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더욱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개폐장치가 설치된 창문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개폐장치에 의해 개방된 창문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개폐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개폐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개폐장치를 분해한 평면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창문 개폐장치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문틀(P)의 하측 중앙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와이어(20)를 하측으로 당김에 따라 브래킷(10)이 결합된 창문(W)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개폐를 하고자 하는 창문(W)에는 좌우로 간격을 이루며 한 쌍의 브래킷(10)을 볼트로 결합하고, 각각의 브래킷(10)에는 와이어(20)의 양측 끝단을 고정한다.
상기 와이어(20)는 개폐장치(100)의 내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 롤러(40)에 의해 원활하게 당길 수 있으며, 상기 브래킷(10)에 고정된 와이어(20)는 'X' 의 형상을 이루며 결합되는데, 즉 우측의 브래킷(10)에 고정된 와이어(20)는 좌측의 롤러(40)에 설치되며, 좌측의 브래킷(10)에 고정된 와이어(20)는 우측의 롤러(40)에 설치된다.
따라서 도 1에서 나타낸 화살표의 방향과 같이 좌측의 와이어(20)를 하측으로 당기게 되면, 우측에 고정된 브래킷(10)에 인장력이 가해짐에 따라 창문(W)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된다.
이와는 반대로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의 와이어(20)를 하측으로 당기게 되면, 좌측에 고정된 브래킷(10)에 인장력이 가해져 창문(W)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밀폐된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본 고안의 창문 개폐장치는 문틀(P)에 결합되는 하나의 개폐장치(100)에 의해 창문(W)을 개폐할 수 있으며, 상기 개폐장치(100)는 도 3 및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문틀(P)에 볼트로 고정되는 전면판(30)과, 상기 전면판(30)에 형성된 축홀(31)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 한 쌍의 롤러(40)와, 상기 전면판(30)의 배면에 결합되는 후면판(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면판(30)의 양측에는 문틀(P)에 밀착하여 볼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밀착부(32)가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밀착부(32)에는 볼트가 관통하는 복수의 볼트홀(33)이 형성되어 있고, 전면판(30)의 중앙부 상측과 하측에는 배면 측으로 절곡된 결합부(34)가 대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34)에는 복수의 볼트홀(35)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전면판(30)의 배면에는 롤러(40)가 설치되며, 상기 롤러(40)는 후면판(50)을 관통한 축볼트(41)의 선단이 전면판(30)의 축홀(31)을 관통함으로써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상기 후면판(50)의 상측과 하측에는 전면으로 절곡된 결합부(51)가 절곡 형성되어 있어 전면판(30)의 결합부(34)와 볼트홀(35)(52)을 관통한 볼트에 의해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개폐장치(100)는 전면판(30)과 후면판(50)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 한 쌍의 롤러(40)에 의해 좌측과 우측의 와이어(20)가 각각 원활하게 승강하게 됨으로써 창문(W)의 개폐가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와이어(20)에 무리한 인장력이 가해질 염려가 없어 유지관리가 더욱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단순한 구성에 의해 개폐장치(100)가 동작함으로써 제조비용 및 제품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더욱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10 : 브래킷 20 : 와이어
30 : 전면판 31 : 축홀
32 : 밀착부 33, 35, 52 : 볼트홀
34, 51 : 결합부 40 : 롤러
41 : 축볼트 50 : 후면판
100 : 개폐장치

Claims (3)

  1. 창문에 좌우로 간격을 이루며 결합된 1쌍의 브래킷에는 개폐장치와 연결된 와이어의 끝단이 고정되어 창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창문개폐장치에 있어서,
    개폐장치(100)는 문틀(P)에 밀착되는 밀착부(32)와 후면판(5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34)가 구비된 전면판(30)과; 상측과 하측에 형성된 결합부(51)가 볼트결합에 의해 전면판(30)의 배면에 결합되는 후면판(50)과; 와이어(20)를 이동시키수 있도록 간격을 이루며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롤러(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1쌍의 롤러(40)에 밀착되어 각각의 브래킷(10)에 고정되는 와이어(20)는 'X'의 형상을 이루도록 교차될 수 있도록 좌측의 브래킷(10)에 고정된 와이어(20)는 우측의 롤러(40)에 설치되고, 우측의 브래킷(10)에 고정된 와이어(20)는 좌측의 롤러(40)에 설치되어, 하측으로 연장된 좌측 또는 우측의 와이어(20)를 당겨 창문(W)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개폐장치.
  2. 삭제
  3. 삭제
KR2020180002949U 2018-06-27 2018-06-27 창문 개폐장치 KR2004908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949U KR200490886Y1 (ko) 2018-06-27 2018-06-27 창문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949U KR200490886Y1 (ko) 2018-06-27 2018-06-27 창문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038U KR20200000038U (ko) 2020-01-06
KR200490886Y1 true KR200490886Y1 (ko) 2020-01-16

Family

ID=69155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949U KR200490886Y1 (ko) 2018-06-27 2018-06-27 창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886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325B1 (ko) * 2009-03-04 2009-07-07 김정희 수동 개폐가 가능한 전동식 환기창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3890U (ja) * 1993-05-17 1994-12-02 敬博 岡 遠隔引違い窓開閉システム
KR20100011068U (ko) * 2009-05-04 2010-11-12 이동호 창문 개폐장치
KR200477639Y1 (ko) * 2013-07-22 2015-07-06 이한성 내구성 증대 및 제작이 용이한 미닫이 창문용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325B1 (ko) * 2009-03-04 2009-07-07 김정희 수동 개폐가 가능한 전동식 환기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038U (ko) 202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7840B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장치
CN109057675B (zh) 单边操控中空玻璃内置百叶窗
KR100704451B1 (ko) 문 자동개폐장치
KR200490886Y1 (ko) 창문 개폐장치
ITBO20060169A1 (it) Porta di tipo apribile e richiudibile tramite automatismo.
CN205000807U (zh) 一种翻板门门机装置
KR102215732B1 (ko) 복수개의 창호가 연동되는 미닫이 창호의 자동개폐작동시 비상멈춤장치
CN111395932B (zh) 手自一体中空玻璃内置百叶窗
CN205277206U (zh) 净化门
KR20030032632A (ko) 개폐문용 바람막이 장치
KR20130004711U (ko) 전동 환기창
CN218507340U (zh) 升降机防护门系统
CN211851550U (zh) 一种具有抽风功能的入户门结构
KR200477639Y1 (ko) 내구성 증대 및 제작이 용이한 미닫이 창문용 개폐장치
KR200481172Y1 (ko) 가변설치수단을 갖는 전동블라인드
KR20200137415A (ko) 창호용 틈새 방지구
KR200357487Y1 (ko) 강화유리 도어 차폐장치
CA2168814A1 (en) Double-hung window arrangement and an electrical window operator for operating an upper sash section of such an arrangement
CN213869636U (zh) 一种双层玻璃内置百叶窗用转角插座
CN111395933B (zh) 自主供电手自一体中空玻璃内置百叶窗
JP3230748U (ja) 換気用窓パネル装置
CN214303621U (zh) 一种嵌入推拉式室内门窗遮阳装置
KR200441738Y1 (ko) 고가의 미닫이 창문용 개폐장치
JP2618203B2 (ja) オーバーヘッドドア装置
KR200373323Y1 (ko) 저소음형 셔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