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4937B1 - 수평 이동형 창호 조립체용 수평 이동 모듈 - Google Patents

수평 이동형 창호 조립체용 수평 이동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937B1
KR102494937B1 KR1020220155858A KR20220155858A KR102494937B1 KR 102494937 B1 KR102494937 B1 KR 102494937B1 KR 1020220155858 A KR1020220155858 A KR 1020220155858A KR 20220155858 A KR20220155858 A KR 20220155858A KR 102494937 B1 KR102494937 B1 KR 102494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track
upper plate
area
horizont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5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220155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9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937B1/ko
Priority to PCT/KR2023/018470 priority patent/WO202410697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25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06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by displacement of the wing substantially in its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6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in which the securing part if formed or carried by a spring and moves only by distortion of the spring, e.g. sn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2015/10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accessories, e.g. sliding or rolling guides, 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2015/102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only the wing moving transverse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2015/102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only the wing moving transversely
    • E05D2015/1039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only the wing moving transversely the wing sliding transversely on the carria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 이동형 창호 조립체용 수평 이동 모듈에 대한 것으로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창호를 수평이동 시킬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창문의 틀에 부착가능하게 마련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대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롤러가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곡선 형태의 상부 가이드 트랙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마련되고 상부 가이드 트랙과 마주보게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곡선 형태로 구성되는 하부 가이드 트랙과, 상기 상부 가이드 트랙과 상기 하부 가이드 트랙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동작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동작부의 일측에는 힌지핀이 마련되고, 상기 회전동작부의 타측에는 상기 상부 가이드트랙과 상기 하부 가이드 트랙을 따라서 움직이는 이동핀이 마련되며, 상기 회전 동작부의 회전 동작에 따른 상기 상부 가이드 트랙과 상기 하부 가이드 트랙 간의 마주보는 상태와 그 사이에 있는 이동핀의 위치에 따라서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가 수평 방향으로 상대 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이동형 창호용 수평 이동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평 이동형 창호 조립체용 수평 이동 모듈{A horizontal movement module for horizontal moving type window assembly}
본 발명은 수평 이동형 창호 조립체용 수평 이동 모듈에 대한 것으로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창호를 수평이동 시킬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 조립체는 실내와 실외를 격리시키는 벽체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햇빛과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시켜 실내 환기를 가능하게 하며, 또한 바깥 조망 및 개방감을 느끼게 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창호 조립체는 크게 창문의 개폐방식에 따라 여닫이 창호 조립체와 미닫이 창호 조립체로 분류된다.
미닫이 창호 조립체는 여닫이 창호 조립체에 비하여 개폐 조작이 편리하고 미려한 장점이 있지만, 창문을 닫은 상태에서 샤시과 창문 사이에 틈새가 있어 기밀성, 수밀성 및 내풍압성면에서는 성능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미닫이 창호 조립체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창문이 닫힌 위치에서 창문의 직선이동방향에 대해 직각인 수평방향으로 창문을 이동시켜 샤시에 밀착시킴으로써 샤시과 창문 사이의 틈새를 없애 미닫이 창호 조립체의 기밀 성능을 향상시키는 수평밀착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수평밀착장치의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 10-2012-0050035호의 "수평밀착장호"가 알려져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수평밀착장치는 샤시의 레일에 걸림유지되는 롤러하우징과, 상기 창문에 고정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롤러하우징과 베이스플레이트를 연결하는 가이드플레이트 및 링크부재로 이루어지며, 베이스플레이트측의 가이드플레이트에 경사가이드홀을 형성하고, 하드웨어의 작동바에는 상기 경사가이드홀에 안내되는 가이드핀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하드웨어의 작동바가 직선운동하여 가이드핀을 경사가이드홀에 안내시키는 것에 의해 가이드플레이트 및 링크부재를 통해 롤러하우징에 대하여 베이스플레이트를 수평방향으로 근접 또는 이격시킬 수 있고, 이로써 창문을 닫을 때에는 샤시과 밀착시켜 창호 조립체의 기밀을 유지하고, 창문을 열 때에는 샤시과 이격시켜 쉽게 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공개특허 10-2016-0033690호의 "고정 문틀 상에 슬라이딩 문짝을 압착하기 위한 기구"는, 샤시의 레일에 걸림유지되는 가이드부재와, 창문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며, 가이드부재측에 경사가이드홀을 형성하고, 하드웨어의 작동바에는 상기 경사가이드홀에 안내되는 가이드핀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기 작동바가 직선운동하여 가이드핀을 경사가이드홀에 안내시키는 것에 의해 가이드부재에 대하여 고정부재를 수평방향으로 근접 또는 이격시킴으로써, 창문을 닫을 때에는 샤시과 밀착시켜 창호 조립체의 기밀을 유지하고, 창문을 열 때에는 샤시과 이격시켜 창문을 쉽게 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만, 종래 기술들은, 오로지 닫힘 상태 또는 열림상태만 구현할 수 있을 뿐, 환기를 수행하는 경우에, 불가피하게 창문의 열림 상태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보안이나 방범에 문제가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자는 한국 등록특허 10-2373584에서 환기기능을 가지면서도 방범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발명을 제안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발명의 경우, 수평 밀착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수평 이동 모듈이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이 떨어지고 조립이 어려워서 원가가 상승하고 이동 메커니즘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마련된 것으로서, 심플한 구조와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창호의 수평 이동이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가능한 수평 이동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창문의 틀에 부착가능하게 마련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롤러가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곡선 형태의 상부 가이드 트랙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마련되고 상부 가이드 트랙과 마주보게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곡선 형태로 구성되는 하부 가이드 트랙과, 상기 상부 가이드 트랙과 상기 하부 가이드 트랙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동작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동작부의 일측에는 힌지핀이 마련되고, 상기 회전동작부의 타측에는 상기 상부 가이드트랙과 상기 하부 가이드 트랙을 따라서 움직이는 이동핀이 마련되며, 상기 회전 동작부의 회전 동작에 따른 상기 상부 가이드 트랙과 상기 하부 가이드 트랙 간의 마주보는 상태와 그 사이에 있는 이동핀의 위치에 따라서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가 수평 방향으로 상대 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이동형 창호용 수평 이동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하부 가이드 트랙은 부분적으로 상부 가이드홈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선 영역 및 상기 곡선 영역과 연결되는 직선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 하부에는 하부 플레이트가 삽입되어 이동 가능한 수용 공간부와; 상기 수용공간부의 양옆에 설치되어 하부 플레이트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는 힌지핀이 결합되는 힌지홀이 마련되며, 상기 힌지홀과 상기 상부 가이드 트랙 사이에는 창문의 이동 동작을 상기 회전 동작부에 전달하는 부품이 삽입되어 움직일 수 있는 관통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가이드 트랙은 상부 플레이트의 하면에 마련되며, 기 상부 가이드 트랙의 중앙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대칭형태의 곡선 형태를 가지며, 상기 상부 가이드 트랙의 중앙은 외측으로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가이드 트랙의 직선 영역의 일단부에는 곡선 영역이 연결되고,
직선 영역의 타단부에는 사선 트랙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 가이드 트랙의 곡선 영역 및 하부 가이드 트랙의 곡선 영역은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며, 상기 이동핀의 위치가 상부 가이드 트랙의 곡선영역과 하부 가이드 트랙의 곡선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간의 상대운동 발생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핀의 위치가 상부 가이드 트랙의 곡선 영역과 하부 가이드 트랙의 직선 영역에 위치하고, 회전 동작부가 직선 영역의 타단부 방향으로 움직여서 이동핀이 직선 영역의 타단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간의 상대적인 수평 이동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 플레이트 하면에는 상기 회전 동작부가 수용되면서 상기 회전 동작부의 이동 영역을 정의하는 리세스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는; 힌지핀이 통과하여 상부 플레이트 및 회전 동작부에 설치될 수 있는 통과 공간을 제공하는 설치홈과;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간의 상대 이동시 힌지핀이 간섭되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이동 가이드 홈이 마련되며, 설치홈과 이동 가이드홈은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고 단차진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 이동 모듈의 내부구조가 심플해지고 그 메커니즘이 단순해짐으로써 제품 생산성이 현저하게 높아질 수 있으며, 원가 우위성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부 가이드 트랙의 곡률과 하부 가이드 트랙의 일부는 곡률일치하는 영역에 이동핀이 위치한 경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간의 상대 이동이 일어나지 않으며, 곡률이 일치하지 않는 영역에 이동핀이 위치한 경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간의 상대 이동이 일어나는 바, 상대 이동이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의 상대 이동을 유발시키는 회전부재가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숨겨져 있으므로 외부 영향없이 안정적인 동작과 배치가 가능하다.
상부 가이드 트랙의 중앙부는 곡선의 정점을 이루면서 외부로 개구되어 있어서 회전 동작부 및 이에 끼워진 이동핀의 최대 회전 반경을 구현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에는 설치홈이 있어서 힌지핀을 상부 플레이트와 회전 동작부에 설치하는 경우, 하부 플레이트와의 간섭을 방지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부 플레이트에는 이동 가이드 홈이 있어서, 힌지핀 설치 완료 후,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간에 상대 이동시, 힌지핀의 헤드부가 하부 플레이트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창호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창호 조립체에서 수평 밀착이 해제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따른 창호 조립체에서 수평 밀착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창호 조립체의 걸림부와 걸림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창호 조립체의 걸림 가이드의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창호 조립체에서 걸림부와 걸림가이드 간의 상호 동작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이 적용된 창호 조립체에서 걸림부와 걸림가이드 간의 상호 동작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이동 모듈의 상부 사시도와 하부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이동 모듈의 상부 플레이트의 상부 사시도와 하부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이동 모듈의 하부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이동 모듈을 위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12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이동 모듈을 아래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13는 본 발명이 적용된 창호 조립체에서 각 동작 모드별로 달라지는 수평 이동 모듈 내에서의 이동핀의 위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14은 본 발명이 적용된 창호 조립체에서 열림 가능 모드시 수평 이동 모듈의 상태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창호 조립체에서 수평 밀착에 의한 폐쇄 모드시 수평 이동 모듈의 상태도이다.
도16는 본 발명이 적용된 창호 조립체에서 환기 모드시 수평 이동 모듈의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인,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이하 '창호 조립체'라고 한다)(10)는 레일이 형성되고 창문이 움직일 수 있는 개구부(21)를 갖는 샤시(20)와, 샤시(20) 내부에 안착되어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있는 창문(30)으로 구성된다.
창문(30)은 그 테두리에 창문 프레임(31)이 마련되고, 창문 프레임(31)의 일면에는 회전 가능한 핸들(40)이 마련된다. 핸들(40)은 상하 방향으로 180도 회전이 가능하다. 핸들(40)의 위치에 따른 창문의 상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핸들(40)의 끝단부(41)(회동부(42)의 반대편)가 위를 향하면, 창문(30)은 환기가능 상태가 된다. 창문 프레임(31)과 샤시(20) 간에 수평 밀착 상태가 아니고, 또한 창문 프레임(31)이 샤시(20)에 어느 곳에도 간섭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창문(30)과 샤시(20) 간의 배치관계는 도2와 같다.
이 경우에 후술할 창문(30)의 걸림부(도4 참조, 300)가 샤시(20)의 걸림 가이드(200) 중 제2걸림 영역(도4참조, 204)에 걸려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창문(30)이 슬라이드 이동하지 못하여 개방되지 못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창문 프레임(31)과 샤시(20)간의 좁은 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틈으로 내외부 공기가 움직이면서 환기 기능을 수행할 수있다.
창문 프레임(31)을 개방 방향으로 움직이려고 하면, 창문 프레임(31)이 덩컬거리면서 움직이려고 하지만, 결과적으로 상술한 걸림부(300)와 걸림 안내부(200)중 제2걸림 영역(204)와의 걸림 관계에 의하여 개방되지 못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창문(30)이 움직이는 거리는 걸림부(300)가 걸림 안내부 내부에 들어간 상태에서 약간은 움직이되, 결국은 걸려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할 때 까지의 거리 정도(예, 0.5~1cm)가 된다.
핸들(40)이 지면에 대해서 수평하게 배치되면, 창문(30)은 개방 가능 상태가 된다. 창문 프레임(31)과 샤시(20) 간에 수평 밀착 상태가 아니고, 또한 창문 프레임(31)이 샤시(20)에 어느 곳에도 간섭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창문(30)과 샤시(20) 간의 배치관계는 역시 도2와 같다.
따라서, 사용자가 굵은 화살표 방향으로 창문(30)을 이동시키면, 창문 프레임(31)이 레일을 타고 이동하여 개방된 상태가 된다. 즉, 도2와 같이, 창문 프레임(31)이 도2에의 좌측방향 또는 샤시(20)의 외측 방향(도3의 상태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외측 방향)으로 배치되고, 샤시(20)의 중간 영역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된다.
사용자는 수평하게 배치된 핸들(40)을 잡고 개방 방향(굵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창문(30)이 개방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반대로 사용자가 수평하게 배치된 핸들(40)을 잡고 폐쇄 방향(굵은 화살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창문(30)이 폐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000은 후술할 수평 밀착 장치이며, 22는 수평 밀착 장치에 마련된 롤러가 안착되는 레일이다.
한편, 핸들(40)의 끝단부(41)(회동부(42)의 반대편)가 아래를 향하면, 창문(30)은 닫힘 또는 폐쇄상태가 된다. 창문 프레임(31)과 샤시(20) 간에 수평 밀착 상태가 되고, 샤시(20)에 있는 걸림 안내부(200)의 제1걸림 영역(203)에 창문(30)의 걸림부(300)가 걸리는 상태가 된다.
즉, 도3과 같이, 창문(30)이 도2 상태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일측으로(도3에서는 우측) 이동하여, 샤시(20)의 중앙부에 있는 벽(미도시) 또는 리브(미도시)에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40)은 공지된 소정의 연결 구조를 통해서 수직 작동바(32)와 연동된다. 수직 작동바(32)는 상기 창문 프레임(31)의 측면에 마련되어 핸들(40)의 회전에 따라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긴 띠 형태의 바(bar)를 말한다.
수직 작동바(32)에는 걸림부(300)가 돌출되게 마련되고, 걸림부(300)는 몸통부(301)와 몸통부(30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단차지게 형성된 걸림턱(302)을 포함한다. 미설명 부호 303은 렌치 구멍이다.
창문(30)의 닫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핸들(40)을 아랫 방향으로 회전(점선 표시 곡선 화살표)하면, 수직 작동바(32) 및 이에 연결된 걸림부(300)가 위로 올라간다.
창문(30)의 환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핸들(40)을 윗 방향으로 회전(실선 표시 곡션 화살표)하면, 수직 작동바(32) 및 이에 연결된 걸림부(300)가 아래로 내려간다.
창문(30)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여 개방 또는 폐쇄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핸들(40)을 수평방향으로 위치시키면, 수직 작동바(32) 및 이에 연결된 걸림부(300)는 위 환기 기능 및 닫힘 기능시의 수직 작동바(32) 및 이에 연결된 걸림부(300)의 위치의 중간에 위치한다.
걸림부(300)의 맞은편에는 걸림 안내부(200)가 마련된다.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 안내부(200)는 샤시(20)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걸림 안내부(200)는 나사가 삽입되는 삽입홀(202a, 202b. 202c)을 구비하는 고정판(201)과, 고정판(201)의 전면 상부 영역에 위치하는 "∩" 자 형태의 제1걸림 영역(203)과, 제1걸림 영역(203)보다 아래에 배치되며, 제1걸림 영역(203)과 이격되는 "∪'자 형태의 제2걸림 영역(204)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1걸림 영역(203)과 제2걸림 영역(204)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걸림영역(203)은 창문(30)이 샤시(20)에 수평 밀착이 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걸림 영역(203)은 하방 및 전방이 개구되는 제1측벽부(203a)와, 제1측벽부(203a)의 테두리에서 안쪽으로 연장되며 걸림부(300)가 걸리게 되는 제1테두리부(203b)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테두리부(203b)에 의하여 단차진 구조가 형성되며, 이 단차진 부분에 걸림부(300)의 걸림턱(302)가 걸려서 앞쪽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고, 이 상태에서는 창문(30)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1테두리부(203a) 및 제1측벽부(203a)에 의하여 걸림부(300)가 걸리는 제1림홈(203d)가 형성되며, 걸림홈(203d)의 개구부는 아랫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제1걸림 영역(203)의 하방 중 개구되는 부분에 인접한 측벽 및 테두리부가 일측으로 사선지게 확장된 확장부(203c)을 구비한다. 이 확장부(203c)가 제1걸림 영역(203)을 벗어난 걸림부(300)를 제2걸림 영역(204)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제2 걸림영역(204)은 창문(30)이 샤시(20)에 대해서 수평이동하여 밀착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상태에서 상술한 환기 모드가 가능하다.
제2걸림 영역(204)은 상방 및 전방이 개구되는 제2측벽부(204a)와, 제2측벽부(204a)의 테두리에서 안쪽으로 연장되며 걸림부(300)가 걸리게 되는 제2테두리부(204b)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2테두리부(204b)에 의하여 단차진 구조가 형성되며, 이 단차진 부분에 걸림부(300)의 걸림턱(302)가 걸려서 앞쪽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고, 이 상태에서는 창문(30)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2테두리부(204a) 및 제2측벽부(204a)에 의하여 걸림부(300)가 걸리는 제2림홈(204d)이 형성되며, 제2걸림홈(204d)의 개구부는 윗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제2걸림 영역(204)의 상방 중 개구되는 부분의 내측의 양면에는 경사부 또는 챔퍼부가 마련된다. 이는 걸림부(300)가 하강한 이후에 하강 제2걸림홈(204d)내부로 용이하게 진입하도록 안내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1걸림홈(203d) 및 제2걸림홈(204d)는 뒤가 모두 뚫려져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걸림 안내부(200)의 무게 및 재료의 양을 줄이기 위함이다.
제1걸림 영역(203) 및 제2걸림 영역(204) 사이에는 이격 공간부(S)가 마련되어 있으며, 걸림부(300)가 제1걸림 영역(203)에서 벗어나 하강하거나, 걸림부(300)가 제2걸림 영역(204)에 벗어나 상승하여 이격 공간부(S)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창문(30)을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외력을 가하면(예, 핸들을 잡고 개방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걸림부(300)가 걸림 안내부(200)에 걸리는 것이 없기 때문에 원활하게 창문(30)이 슬라이드 이동하여 개방될 수 있다.
제1걸림 영역(203)의 수직 중심선(C1)과 제2걸림 영역(204)의 수직 중심선(C2)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됨으로써 걸림부(300)가 제1걸림 영역(203) 또는 제2걸림 영역(204)에 위치한 경우 샤시의 수평 밀착 또는 수평 밀착 해제를 유도한다. 그리고, 걸림부(300)가 이격 공간부(S)에 위치한 경우, 창문 프레임의 샤시에 대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다.
도6(a), 7(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300)가 제1걸림홈(203d)에 위치한 경우, 창문(30)은 샤시(20)에 수평 밀착되어 있으며, 걸림부(300)의 걸림턱(302)은 제1테두리(203b, 도5참조)에 걸려 있기 때문에, 창문(30)은 절대 열릴수 없으며, 창문(30)과 샤시(20)간의 수평 간격도 없다.
이 상태에서는 외부 공기의 유입이 완전히 차단된다.
이 상태에서 핸들(40)을 위로 서서히 올려서 회전하여 핸들(40)이 수평상태가 되면, 창문(30)의 수평 밀착 상태가 해제되면서, 도6(b) 및 도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300)가 이격 공간부(S)에 위치한다. 도6(b)에서는 걸림부(300)가 가려서 보이지 않지만, 그 위치는 대략적으로 설치홀(202c)의 앞이 된다.
도6(a). 7(a)와 같은 수평 밀착 상태에서 핸들(40)을 90도 회전하여 수평상태로 변환시키면, 수평 밀착이 해제되고, 도6(b) 및 도7(b)와 같은 개방 가능상태가 되며, 그 과정에서 걸림부(300)는 하강하면서 확장부(203c)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하강한다.
그 이후, 이격 공간부(S)에 위치하게 된다.
걸림부(300)가 이격 공간부(S)에 위치하면 걸림부(300)가 걸리는 곳이 없으므로, 용이하게 창문이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개방될 수 있다.
한편, 그 상태에서 90도를 위로 회전시켜 핸들(40)이 위를 향하면, 도6(c)와 도7(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300)가 제2걸림 영역(204)에 위치한다.
걸림부(300)는 하강하여 제2걸림홈(204d)에 진입하고, 걸림턱(302)은 제2테두리(204b)에 걸리므로, 전방 방향(창문의 개방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다만, 수평 밀착 상태가 해제되어 샤시(20)과 창문(30)이 수평 이격되어 있어서 약간의 틈새가 발생하고, 또한, 창문(30)을 움직이려고 하면, 덜컹 거리면서 약간은 요동을 할 수 있다.
창문(30) 측면과 샤시(20)의 내측면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므로 이 틈새들을 통해서 환기가 가능하다.
창문(30)의 수평 밀착 동작 또는 수평 밀착 해제 동작을 유발하는 수평 이동 모듈(10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이동 모듈(100)은 창문 프레임의 상면이나 하면에 설치되는 상부 플레이트(1100)와, 상부 플레이트(1100)에 하부에 수평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하부 플레이트(1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평 이동이라 함은 수직 롤러(1310)의 진행방향에 대해서 직교 방향이 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러한 수평 이동에 의하여 창문 프레임이 샤시에 밀착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1200)의 아래에는 롤러 유닛(1300)이 마련된다.
롤러 유닛(1300)은 수직으로 세워져서 레일의 가운데 부분을 따라 이동하는 수직롤러(1310)와, 수평으로 눕혀져서 레일의 양 측벽에 지지되어 이동을 가이드 하는 수평 롤러(1320)를 포함한다.
도8 및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1100)의 상면에는 창문 프레임이 체결되는 체결부재(미도시)가 삽입되는 체결홀(1101)이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운데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장공 형태의 관통홀(1102)이 연결된다.
상술한 창문 프레임의 수직작동바(32)와 연결된 수평 작동바(도11참조, 33)가 창문 프레임의 하면이나 상면을 따라서 길게 배치되고, 수평 작동바(33)에 연결된 연결 보스(34)가 관통홀(1102)을 통과하여 후술할 회전 동작부(1400)에 삽입된다.
따라서, 핸들(도1참조, 40)이 움직이면, 수직 작동바(32)와 수평 작동바(33)가 움직이고, 이에 따라서 회전 동작부(1400)가 움직이면서 상부 플레이트(1100) 및 하부 플레이트(1200) 간의 수평 상대 운동이 발생한다.
상부 플레이트(1100)의 하부에는 슬롯 형태의 수용 공간부(1103)가 마련되며, 수용 공간부(1103)의 양측면에는 측벽부(1104)가 마련된다. 수용 공간부(1103)에는 하부 플레이트(1200)가 수평 상대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수용된다.
상부 플레이트(1100)와 하부 플레이트(1200) 간의 원활하고도 안정적인 상대 운동을 위해서 상부 플레이트(1100)의 측벽(1104) 내면에는 제1단차부(1105)가 마련되고, 하부 플레이트(1200)의 측벽 외측에는 제1단차부(1105)에 맞물리는 제2단차부(1205)가 마련된다.
상부 플레이트(1100)의 하면에는 대칭되는 곡선 형태의 상부 가이드 트랙(1110)이 마련되어 있고, 그 반대편에는 힌지홀(1120)이 마련되어 있다. 상부 가이드 트랙(1110)은 후술할 하부 가이드 트랙(1210)과 협업하여 수평 이동을 유발하는 구성요소이고, 힌지홀(1120)은 후술할 회전 동작부(1400)의 힌지핀(1410)이 설치되는 곳이다.
상부 플레이트(1100)의 하면 중앙영역에는 오목하게 들어간 리세스부(1130)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 리세스부(1130)에 회전 동작부(1400)가 수용되고, 리세스부(1130) 내에서 회전 동작부(1400)가 회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리세스부(1130) 내부 영역에 상기 힌지홀(1120), 관통홀(1102), 상부 가이드 트랙(1110)이 형성되며, 상부 가이드 트랙(1110)은 곡선의 정점 영역이 외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는 제한적인 공간 내에서 회전 동작부(1400)의 회전 반경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도10은 하부 플레이트(1200)의 사시도이다.
하부 플레이트(1200)의 상면에는 하부 가이드 트랙(1210)이 마련된다
하부 가이드 트랙(1210)은 상부 가이드 트랙(1110)과 같은 좌우 대칭 곡선 형태가 아니고, 곡선영역(1210a)과 직선영역(1210b)과, 사선영역(1210c)과 보조 영역(1210d)이 혼합되어 있는 구조가 된다.
하부 가이드 트랙(1210)의 구체적인 특징과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하부 가이드 트랙(1210)이 위치한 부분의 반대편 측면에는 이중 단턱 형태의 반원모양의 홈과, U자 형의 홈이 형성된다.
반원모양의 홈은 설치홈(1231)이고, U자형 홈은 이동 가이드 홈(1232)이다.
설치홈(1231)은 상부 플레이트(1100)와 하부 플레이트(1200)와 회전 동작부(1400)가 조립된 상태에서 힌지핀(1410)을 설치하기 위한 통과 구간이다.
설치홈(1231)과 이동 가이드홈(1232)은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고 이중으로 단차진 형태로 마련된다.
즉, 설치홈(1231)을 통해서 아래에서 위로 힌지핀(1410)을 향하게 하여 힌지핀(1410)이 차례로 회전 동작부(1400)의 홀(1401)과 상부 플레이트(1100)의 힌지홀(1101)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 경우, 힌지핀(1410)의 헤드부가 설치홈(1231) 인근에 위치하지만, 설치홈(1231)과는 간섭이 되지 않게 한다.
한편, 이동 가이드 홈(1232)은 힌지핀(1410)이 설치완료된 후, 상부 플레이트(1100)와 하부 플레이트(1200)가 서로 상대운동을 할 경우, 힌지핀(1410)의 헤드부가 하부 플레이트(1200)에 간섭되지 않도록, 그 이동이 자유롭게 가이드 할 수 있는 홈(1232)이다.
이에 의하여 도14(c)~ 도 16(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1100)와 하부 플레이트(1200)간의 이동이 있는 경우, 힌지핀(1410)의 헤드부가 하부 플레이트(1200)에 간섭되지 않고 자유롭게 외부로 노출되거나 하부 플레이트(1200)에 가려질 수 있다.
도10 내지 도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1100)와 하부 플레이트(1200) 사이에는 회전 동작부(1400)가 설치된다.
회전 동작부(1400)의 일단부에는 홀(1401)이 형성되어 힌지핀(1410)이 설치되고, 타단부에도 홀(1402)이 형성되어 이동핀(1420)이 설치된다. 이동핀(1420)의 상부인 헤드부는 상부 가이드 트랙(1110)에 배치되고, 이동핀(1420)의 하부는 하부 가이드 트랙(1210)에 배치된다.
상기 힌지핀(1410)과 이동핀(1420)은 각각의 홀(1401, 1402)을 통과한 이후에 통과한 끝 부분이 코킹되거나 확경되거나 리벳팅되어 그 외주면이 커져서 홀(1402, 140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 동작부(1400)는 양 단부에 곡선 테두리가 마련되고, 가운데는 직선 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동작부(1400)의 가운데에는 장공 형태의 보스홀(1403)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 작동바(33)와 회전 동작부(1400)가 결합보스(34)에 의하여 결합된다. 즉, 결합보스(34)가 수평 작동바(33)의 보스홀(33a)과 상부 플레이트(1100)의 관통홀(1102)과, 회전 동작부(1400)의 보스홀(1403)에 설치되어 수평 작동바(33)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그 이동 동작이 회전 동작부(1400)에 전달되어 회전 동작부(1400)의 회전 운동을 유발한다.
회전 동작부(1400)는 힌지핀(1410)을 중심으로 하여 부채꼴 모양의 궤적을 그리면서 움직일 수 있다. 힌지핀(1410)은 상부 플레이트(1100)의 힌지홀(1120)에 고정되어 회전 동작부(1400)의 회전 중심이 된다.
수평 작동바(33)의 양단에 있는 홀(33b)은 수직 작동바(32)와 연결되는 연결부재(미도시)가 설치되는 홀이다.
하부 플레이트(1200)에는 롤러 유닛(1300)이 설치된다. 하부 플레이트(1200)의 하부에는 롤러 유닛(1300)설치를 위한 돌출부(1220)가 마련되어 있다.
롤러 유닛(1300)은 두 개의 수직 롤러(1310)와, 한 개의 수평 롤러(1320)로 구성된다.
수직 롤러(1310)는 양 측면의 지지 브라켓(1330) 및 수평축(1311)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지지 브라켓(1330)의 중심이 돌출부(1220)의 측면에 마련된 고정축(1221)에 고정된다. 수평 롤러(1320)는 돌출부(1220)의 하면홀(1222)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축(1321)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된다.
도13(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가이드 트랙(1110)의 모습은 상부 플레이트(1100)의 상면에서는 보이지 않고, 그 윤곽만 보이며, 도1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1100)의 하면에서 보인다.
상부 가이드 트랙(1110)은 그 중심영역(정점 영역)에서 양 단으로 갈수록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대칭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중심영역은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동작부(1400)의 최대 회전반경을 확보하도록 바깥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도13(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가이드 트랙(1210)은 수평 이동 모듈(1000)에서 상부 가이드 트랙(1110)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곡선 영역(1210a)과, 직선 영역(1210b), 사선 트랙(1210c), 그리고 보조 트랙(1210d)으로 구성된다.
직선 영역(1210b)의 일단부에 곡선 영역(1210a)이 연결되고, 직선 영역(1210b)의 타단부에 사선 영역(1210c)이 연결되며, 사선 영역(1210c)의 끝에 직선 형태의 보조 영역(1210d)이 마련된다.
직선 영역(1210b)의 끝에 사선 영역(1210c)을 두고 다시 사선영역(1210c)의 끝에 직선 형태의 보조 영역(1210d)을 둔 이유는 핸들의 하향 회전 각도를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수평 밀착에 의한 수평 이동시 과도한 가압(이동핀의 상부 가이드 트랙 측면 가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13(b) 및 도13(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창호의 동작 모드별(수평 밀착에 의한 잠금모드, 수평 밀착 해제에 의한 개방가능 모드, 수평 밀착은 해제이나 걸림부에 의한 개방 방지 및 환기 모드)에 따른 이동핀(1420)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이동핀(1420)의 헤드부는 몸체부보다 직경이 크다. 이동핀(1420)의 헤드부는 상부 가이드 트랙(1110)에 설치되고, 이동핀(1420)의 몸체부의 하단은 하부 가이드 트랙(1210)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부 가이드 트랙(1110)에 표시된 점의 직경이 하부 가이드 트랙(1210)에 표시된 점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동핀(1420)이 가운데 구간(open으로 표시)있는 경우, 도1 및 도4의 개방모드이며, 핸들(40)은 수평상태가 된다. 이 경우에는 상부 가이드 트랙(1110)의 중심 영역 또는 중앙 영역 또는 정점 영역의 곡선의 접선 기울기가 0도가 되기 때문에, 그 접선이 직선과 동일하고, 하부 가이드 트랙(1210)의 직선 영역(1210b)과 동일한 각도가 된다.
이 경우, 샤시(20)과 창문 프레임(31)은 이격 상태가 된다.
이동핀(1420)이 도13(b)(c) 기준으로 왼쪽 구간(Locking으로 표시)에 있는 경우, 도1 및 4의 밀착 또는 폐쇄 모드이며, 핸들은 하향 상태가 된다.
이 경우에 이동핀(1420)은 상부 가이드 트랙(1110)의 왼쪽 곡선구간(Locking으로 표시)에 배치되는 한편, 하부 가이드 트랙(1210)의 직선 영역(1210b)에 위치한다. 상부 가이드 트랙(1110)의 정중앙을 제외한 좌우영역은 곡선구간이고, 하부 가이드 트랙(1210)의 직선 영역(1210b)은 말 그대로 직선구간이므로 곡률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에 의하여 이동핀(1420)은 움직이면서 상부 가이드 트랙(1110) 측면을 가압하여 상부 플레이트(1100)를 수평 이동시킨다.
하부 플레이트(1200)는 레일 상에 그 수평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부 플레이트(1100)가 상대 이동을 하여 창문 프레임(31)이 수평동작하여, 샤시에 밀착된다.
이동핀(1420)이 도13(b)(c) 기준으로 오른쪽에 있는 경우, 도1 및 4의 환기 모드이며, 핸들(40)은 상향 상태가 된다.
이 경우에 이동핀(1420)은 상부 가이드 트랙(1110)의 오른쪽 곡선영역(Ventilation)에 배치되는 한편, 하부 가이드 트랙(1210)의 곡선 영역(1210a)에 위치한다. 상부 가이드 트랙(1110)의 곡선영역 곡률과 하부 가이드 트랙(1210)의 곡선 영역(1210a)의 곡률은 동일한 곡률이므로 이동핀(1420)이 상부 가이드 트랙(1110)의 오른쪽 곡선 영역 및 하부 가이드 트랙(1210)의 오른쪽 곡선영역(1210a)에서 움직이면 상부 플레이트(1100)와 하부 플레이트(1200)간의 상대 수평 이동은 발생하지 않는다.
도14 내지 도16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4는 창문 프레임(31)이 샤시에서 이격되어 밀착해제되고, 걸림부(300)가 걸림 안내부()에 걸리지 않아서 자유롭게 샤시이 움직일 수 있는 개방 모드이다.
도1 및 도4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핸들(40)을 수평으로 한 상태를 의미하며, 도13(b) 및 도13(c)에서 이동핀(1420)이 상부 가이드 트랙(1110) 및 하부 가이드 트랙(1210)의 중심에 위치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회전 동작부(1400)는 수직 롤러(1310)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 플레이트(1100)의 장변 일측은 하부 플레이트(1200)의 장변 일측(S2 표시)에 거의 일치되어 있고, 상부 플레이트(1100)의 장변 타측은 하부 플레이트의 타측(S1)보다 더 돌출되게 된다.
이 상태의 창문 프레임(31)과 샤시(20)의 상대 위치는 도2와 같다.
이러한 개방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40)을 하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 동작부(1400)는 도15 기준으로 힌지핀(1410)을 중심으로 왼쪽으로 회전이동을 하며, 도14(b) 및 도14(c)에서의 이동핀(1420)이 왼쪽으로 이동한 상태로 된다.
이동핀 및 회전 동작부(1400)가 중심 영역에서 왼쪽으로 이동할수록 이동핀(1420)이 상부 가이드 트랙(1110)의 측면을 더욱더 세게 밀면서 이동핀(1420)이 상부 가이드 트랙(1110)의 곡선영역과 하부 가이드 트랙(1210)의 직선 영역(1210b) 및 잔여영역(1210c, 1210d)의 교차지점을 타고 이동한다.
이동핀(1420)은 하부 가이드 트랙(1210)의 직선 영역(1210b) 및 사선 영역(1210c)과 보조 영역(1210d)까지 이동 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상부 플레이트(1100)가 도14의 위치와 정반대로 이동한다.
즉, 상부 플레이트(1100)의 장변 일측은 하부 플레이트(1200)의 장변 일측(S2 표시)보다 돌출되어 있고, 상부 플레이트(1100)의 장변 타측은 하부 플레이트(1200)의 타측(S1)에 거의 일치하게 된다.
이 상태의 창문 프레임(31)과 샤시(20)의 상대 위치는 도3과 같다.
한편, 개방 상태 또는 잠금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40)을 상향으로 회전시키면,환기 모드로서 회전 동작부(1400)는 힌지핀(1410)을 중심으로 오른쪽으로 회전이동을 하며, 도13(b) 및 도13(c)에서의 이동핀(1420)이 오른쪽으로 이동한 상태로 된다.
개방 상태에서 환기 모드로 핸들(40)을 동작하면, 개방 상태의 상부 플레이트(1100)및 하부 플레이트(1200) 간의 상대 위치와 비교하여 변화는 발생하지 않고, 단지 회전 동작부(1400) 및 이동핀(1420)의 위치 및 상태만 변화할 뿐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가이드 트랙(1110)의 곡선 영역과 하부 가이드 트랙(1210)의 곡선 영역(1210a)의 곡률과 길이가 동일 또는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이동핀(1420)은 그 영역내에서는 저항을 받지 않고 움직이며, 이 때문에, 개방 모드에서 환기 모드로 변화하더라도 상부 플레이트(1100)와 하부 플레이트(1200) 간의 위치 변화는 발생하지 않는다.
즉, 환기 모드에서도 상부 플레이트(1100)의 장변 일측은 하부 플레이트(1200)의 장변 일측(S2 표시)에 거의 일치되어 있고, 상부 플레이트(1100)의 장변 타측은 하부 플레이트(1200)의 타측(S1)보다 더 돌출되게 된다.
다만, 폐쇄 또는 잠금 모드에서 환기 모드로 변환을 위하여 핸들(40)을 돌리면(핸들 단부 하향에서 상향)으로 바꾸면, 상부 플레이트(1100)가 도15(c)의 위치에서 도16(c)의 위치로 바뀐다.
그리고, 폐쇄 또는 잠금 모드에서 개방 모드로 변환을 위하여 핸들(40)을 돌리면(핸들 단부 하향에서 핸들 단부 수평)으로 바꾸는 경우에는 상부 플레이트(1100)가 도15(c)의 위치에서 도14(c)의 위치로 바뀐다
이 상태의 창문 프레임과 샤시의 상대 위치는 도2와 같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창호 조립체 20: 샤시
30: 창문 31: 창문 프레임
40: 핸들 41: 핸들 끝단부
200: 걸림 안내부 203: 제1걸림 영역
204: 제2걸림영역 300: 걸림부
1000: 수평 이동 모듈 1100: 상부 플레이트
1110: 상부 가이드 트랙 1200: 하부 플레이트
1210: 하부 가이드 트랙 1300: 롤러 유닛
1400: 회전 동작부 1410: 힌지핀
1420: 이동핀

Claims (10)

  1. 창문의 틀에 부착가능하게 마련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대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롤러가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곡선 형태의 상부 가이드 트랙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마련되고 상부 가이드 트랙과 마주보게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곡선 형태로 구성되는 하부 가이드 트랙과,
    상기 상부 가이드 트랙과 상기 하부 가이드 트랙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동작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동작부의 일측에는 힌지핀이 마련되고,
    상기 회전동작부의 타측에는 상기 상부 가이드트랙과 상기 하부 가이드 트랙을 따라서 움직이는 이동핀이 마련되며,
    상기 회전 동작부의 회전 동작에 따른 상기 상부 가이드 트랙과 상기 하부 가이드 트랙 간의 마주보는 상태와 그 사이에 있는 이동핀의 위치에 따라서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가 수평 방향으로 상대 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이동형 창호용 수평 이동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이드 트랙은
    부분적으로 상부 가이드홈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선 영역 및 상기 곡선 영역과 연결되는 직선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이동형 창호용 수평 이동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 하부에는 하부 플레이트가 삽입되어 이동 가능한 수용 공간부와; 상기 수용공간부의 양옆에 설치되어 하부 플레이트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이동형 창호용 수평 이동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는 힌지핀이 결합되는 힌지홀이 마련되며,
    상기 힌지홀과 상기 상부 가이드 트랙 사이에는 창문의 이동 동작을 상기 회전 동작부에 전달하는 부품이 삽입되어 움직일 수 있는 관통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이동형 창호용 수평 이동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 트랙은 상부 플레이트의 하면에 마련되며,
    상기 상부 가이드 트랙의 중앙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대칭형태의 곡선 형태를 가지며,
    상기 상부 가이드 트랙의 중앙은 외측으로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이동형 창호용 수평 이동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이드 트랙의 직선 영역의 일단부에는 곡선 영역이 연결되고,
    직선 영역의 타단부에는 사선 트랙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이동형 창호용 수평 이동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부 가이드 트랙의 곡선 영역 및 하부 가이드 트랙의 곡선 영역은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며,
    상기 이동핀의 위치가 상부 가이드 트랙의 곡선영역과 하부 가이드 트랙의 곡선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간의 상대운동 발생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이동형 창호용 수평 이동 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핀의 위치가 상부 가이드 트랙의 곡선 영역과 하부 가이드 트랙의 직선 영역에 위치하고, 회전 동작부가 직선 영역의 타단부 방향으로 움직여서 이동핀이 직선 영역의 타단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간의 상대적인 수평 이동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이동형 창호용 수평 이동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부 플레이트 하면에는 상기 회전 동작부가 수용되면서 상기 회전 동작부의 이동 영역을 정의하는 리세스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이동형 창호용 수평 이동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는;
    힌지핀이 통과하여 상부 플레이트 및 회전 동작부에 설치될 수 있는 통과 공간을 제공하는 설치홈과;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간의 상대 이동시 힌지핀이 간섭되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이동 가이드 홈이 마련되며,
    설치홈과 이동 가이드홈은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고 단차진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이동형 창호용 수평 이동 모듈.




KR1020220155858A 2022-11-18 2022-11-18 수평 이동형 창호 조립체용 수평 이동 모듈 KR102494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5858A KR102494937B1 (ko) 2022-11-18 2022-11-18 수평 이동형 창호 조립체용 수평 이동 모듈
PCT/KR2023/018470 WO2024106978A1 (ko) 2022-11-18 2023-11-16 수평 이동형 창호 조립체용 수평 이동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5858A KR102494937B1 (ko) 2022-11-18 2022-11-18 수평 이동형 창호 조립체용 수평 이동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4937B1 true KR102494937B1 (ko) 2023-02-06

Family

ID=85224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5858A KR102494937B1 (ko) 2022-11-18 2022-11-18 수평 이동형 창호 조립체용 수평 이동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94937B1 (ko)
WO (1) WO20241069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6978A1 (ko) * 2022-11-18 2024-05-23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수평 이동형 창호 조립체용 수평 이동 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182A (ko) * 2016-12-19 2019-08-21 로토 프란크 펜스타 운트 투르테크놀로지 게엠베하 롤링 베어링 가이드를 갖는 변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327B1 (ko) * 2012-10-24 2013-04-12 (주)코리아쇼와록 수평밀착창호의 잠금모듈
KR101731775B1 (ko) * 2017-02-13 2017-04-28 이재선 미닫이 창호의 수평밀착장치
KR102373581B1 (ko) * 2020-01-23 2022-03-11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창호의 수평밀착장치
KR102364758B1 (ko) * 2020-02-25 2022-02-18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환기 기능 및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
KR102494937B1 (ko) * 2022-11-18 2023-02-06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수평 이동형 창호 조립체용 수평 이동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182A (ko) * 2016-12-19 2019-08-21 로토 프란크 펜스타 운트 투르테크놀로지 게엠베하 롤링 베어링 가이드를 갖는 변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6978A1 (ko) * 2022-11-18 2024-05-23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수평 이동형 창호 조립체용 수평 이동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06978A1 (ko) 2024-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01370B1 (en) Ventilation and locking system and closure assembly equipped with such a system
US5243783A (en) Locking slide block
JP2000104455A (ja) 扉組立体
KR102494937B1 (ko) 수평 이동형 창호 조립체용 수평 이동 모듈
CN216380945U (zh) 具有换气功能及水平紧贴功能的门窗组装体
JP7446655B2 (ja) 換気機能及び水平密着機能を有する建具組立体
KR100970687B1 (ko) 문짝과 고정 보더 사이에 제어 가능한 밀봉 요소를 구비한 슬라이딩 창호
KR102364758B1 (ko) 환기 기능 및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
JPH1025942A (ja) 窓ステー
KR102497045B1 (ko) 수평 이동형 창호 조립체용 수평 이동 모듈
JP3079037B2 (ja) シャッター
JPH0658037A (ja) 全開放型ドア
HU220200B (hu) Szellőzőberendezés ablakok vagy ajtók részére
KR101735455B1 (ko) 다단 슬라이딩 도어
KR20090131872A (ko) 개선된 힌지부를 가지는 프로젝트 및 케이스먼트 운동이가능한 창호
KR100385305B1 (ko) 행잉타입 슬라이딩 창호의 리프터
JPS634795Y2 (ko)
JP4689880B2 (ja) 引き違い折畳み開閉自在のサッシ
JP2003239607A (ja) 窓換気用ステー
KR200485763Y1 (ko) 복수개로 이루어진 여닫이 창호의 연동 개폐구조
JP2024123899A (ja) 開閉窓
JP2001280018A (ja) 引き違い開閉と折畳み開閉の双方を自在とした引き違い戸
KR100385304B1 (ko) 행잉타입 슬라이딩 창호의 리프터
JP2002155671A (ja) 折畳み自在の引き違いサッシ
JP2571908Y2 (ja) 両側引分け式引戸の施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