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3581B1 - 창호의 수평밀착장치 - Google Patents

창호의 수평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3581B1
KR102373581B1 KR1020200009013A KR20200009013A KR102373581B1 KR 102373581 B1 KR102373581 B1 KR 102373581B1 KR 1020200009013 A KR1020200009013 A KR 1020200009013A KR 20200009013 A KR20200009013 A KR 20200009013A KR 102373581 B1 KR102373581 B1 KR 102373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linear
moving
movement
linear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5322A (ko
Inventor
이재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200009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581B1/ko
Priority to CN202090000241.5U priority patent/CN216380945U/zh
Priority to EP20803429.8A priority patent/EP3880914B1/en
Priority to JP2020566566A priority patent/JP7107488B2/ja
Priority to PCT/KR2020/005913 priority patent/WO2021149873A1/ko
Priority to US17/058,628 priority patent/US20210404246A1/en
Publication of KR20210095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5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05D15/0669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with height adjus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의 수평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창틀의 레일을 따라 직선운동하여 개폐되는 창문을 직선운동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창틀에 완전히 밀착시킴으로써 창호의 기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창호의 수평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에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창문이 창틀에 밀착 또는 이격되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창틀의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를 구비하는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창문의 작동바의 이동에 의해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직선이동하는 직선이동부재 및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직선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대해 수평이동시키는 한 쌍의 동작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직선이동부재에는 상기 작동바의 작동핀이 삽입되며 창호의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바로 상기 직선이동부재가 이동하도록 하는 원형의 작동홀과, 상기 동작링크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핀이 삽입되며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연결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수평밀착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창호의 수평밀착장치 {Horizontal Close Device of Window}
본 발명은 창호의 수평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창틀의 레일을 따라 직선운동하여 개폐되는 창문을 직선운동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창틀에 완전히 밀착시킴으로써 창호의 기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창호의 수평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실내와 실외를 격리시키는 벽체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햇빛과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시켜 실내 환기를 가능하게 하며, 또한 바깥 조망 및 개방감을 느끼게 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창호는 크게 창문의 개폐방식에 따라 여닫이 창호와 미닫이 창호로 분류된다.
미닫이 창호는 여닫이 창호에 비하여 개폐 조작이 편리하고 미려한 장점이 있지만, 창문을 닫은 상태에서 창틀과 창문 사이에 틈새가 있어 기밀성, 수밀성 및 내풍압성면에서는 성능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미닫이 창호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2)이 닫힌 위치에서 창문(2)의 직선이동방향(화살표 a 방향)에 대해 직각인 수평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창문(2)을 이동시켜 창틀(1)에 밀착시킴으로써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창틀(1)과 창문(2) 사이의 틈새(G)를 없애 미닫이 창호의 기밀 성능을 향상시키는 수평밀착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상기 수평밀착장치는 창문손잡이(3)와 연동하도록 창문(2)의 테두리 둘레에 설치된 잠금시스템의 하드웨어를 이용한 것으로, 하드웨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2)의 상하, 좌우 끝단 둘레를 따라 여러 개의 작동바(4)를 연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창문손잡이(3)의 회전조작에 따라 직선왕복 운동하도록 설치된 것이다.
따라서, 창문(2)의 닫힘위치에서 작동바(4)에 구비된 고정구(5)가 창틀(1)에 고정된 스트라이커(도시안됨)와 결합되는 것에 의해 창문(2)을 창틀(1)에 견고하게 잠글 수 있도록 된 것이고, 수평밀착장치는 창틀(1)과 창문(2)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하드웨어의 작동바(4)에 연동하도록 설치되어 창문손잡이(3)의 회전 조작에 의해 창문(2)을 수평방향(도 1의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시켜 창틀(1)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를 들어 수평밀착장치의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 10-2012-0050035호의 "수평밀착장호"가 알려져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수평밀착장치는 창틀의 레일에 걸림유지되는 롤러하우징과, 상기 창문에 고정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롤러하우징과 베이스플레이트를 연결하는 가이드플레이트 및 링크부재로 이루어지며, 베이스플레이트측의 가이드플레이트에 경사가이드홀을 형성하고, 하드웨어의 작동바에는 상기 경사가이드홀에 안내되는 가이드핀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하드웨어의 작동바가 직선운동하여 가이드핀을 경사가이드홀에 안내시키는 것에 의해 가이드플레이트 및 링크부재를 통해 롤러하우징에 대하여 베이스플레이트를 수평방향으로 근접 또는 이격시킬 수 있고, 이로써 창문을 닫을 때에는 창틀과 밀착시켜 창호의 기밀을 유지하고, 창문을 열 때에는 창틀과 이격시켜 쉽게 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공개특허 10-2016-0033690호의 "고정 문틀 상에 슬라이딩 문짝을 압착하기 위한 기구"는, 창틀의 레일에 걸림유지되는 가이드부재와, 창문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며, 가이드부재측에 경사가이드홀을 형성하고, 하드웨어의 작동바에는 상기 경사가이드홀에 안내되는 가이드핀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기 작동바가 직선운동하여 가이드핀을 경사가이드홀에 안내시키는 것에 의해 가이드부재에 대하여 고정부재를 수평방향으로 근접 또는 이격시킴으로써, 창문을 닫을 때에는 창틀과 밀착시켜 창호의 기밀을 유지하고, 창문을 열 때에는 창틀과 이격시켜 창문을 쉽게 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들은 공통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드웨어의 작동바(4)에 구비한 작동핀(4a)을 수평밀착장치의 경사가이드홀(6)에 안내시켜 창문의 직선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창틀에 밀착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창문을 수평이동시킬 때 필요한 힘이 경사가이드홀(6)의 경사 시작점(P1)에서 경사 종료점(P2)까지 지속되어야 하고, 창문이 창틀에 밀착되기 시작하는 지점부터는 밀착시의 반발력이 더해져 더 큰 힘이 필요하므로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들에게는 조작이 힘들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경사가이드홀(6)의 경사 시작점(P1)과 경사 종료점(P2)의 위치는 작동핀(4a)의 직선이동 라인에 대하여 창틀과 창문의 틈새(대략 8mm)와 동일한 차이를 두어 설정되고, 상기 경사 시작점(P1)과 경사 종료점(P2)의 위치 차이는 창문의 수평이동거리(L1)가 되는 것으로, 작동핀(4a)이 직선이동하면서 경사가이드홀(6)에 한쪽방향으로만 힘을 가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경사가이드홀(6)의 경사구간인 조작구간(L2)을 길게 설정하여 경사각(C)을 작게 할수록 조작 힘은 적게 들지만 조작구간(L2)이 길어져 조작이 불편하고, 반대로 경사각(C)을 크게 하면 조작구간(L2)은 짧아지는 대신 조작 힘은 커지기 때문에 역시 조작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손잡이를 180도 회전시키지 않고 대략 90도 정도만 회전시켜도 창문을 창틀에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는 창호의 수평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창문 또는 창틀에 제조상의 오차가 있는 경우에 창문의 바퀴 등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창호의 수평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에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창문이 창틀에 밀착 또는 이격되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창틀의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를 구비하는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창문의 작동바의 이동에 의해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직선이동하는 직선이동부재 및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직선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대해 수평이동시키는 한 쌍의 동작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직선이동부재에는 상기 작동바의 작동핀이 삽입되며 창호의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바로 상기 직선이동부재가 이동하도록 하는 원형의 작동홀과, 상기 동작링크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핀이 삽입되며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연결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수평밀착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동작링크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직선이동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직선이동방향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동작각도(θ)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직선이동에 따라 동작각도(θ)가 변화되도록 구비된 제 1 링크 및 상기 제1 링크와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일단은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직선이동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직선이동에 따라 동작각도(θ)가 변화되도록 한 제2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직선이동경로와, 상기 직선이동경로와 수직한 수직이동경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경사이동경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부는 상기 창틀의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롤러 또는 바퀴조립체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창호의 수평밀착장치에 의하면 손잡이를 180도 회전시키지 않고 대략 90도 정도만 회전시켜도 창문을 창틀에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게 되어 편리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손잡이를 대략 90도 정도 회전시켜 창문을 창틀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창문을 밀어서 이동시키는 경우에 한손으로도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미닫이 창호의 수평밀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미닫이 창호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종래에 따른 미닫이 창호의 수평밀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미닫이 창호의 종단면도.
도 4는 종래에 따른 미닫이 창호의 수평밀착 방식에 이용되는 하드웨어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창문의 정면도.
도 5는 종래에 따른 미닫이 창호의 수평밀착장치에 적용된 경사가이드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수평밀착장치의 사시도,
도 7은 상기 창호의 수평밀착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상기 창호의 수평밀착장치의 평면도,
도 9는 창문이 창틀에 밀착하지 않은 상태, 즉 '열림' 상태(A)와, 창문이 창틀에 밀착한 상태, 즉 '닫힘' 상태(B)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상기 수평밀착장치를 복수개, 예를 들어 4개 구비한 창문을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11은 상기 수평밀착장치의 직선이동부재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선이동부재의 가이드홀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를 구비한 수평밀착장치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분해사시도,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밀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수평밀착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수평밀착장치(100)의 사시도이며, 도 7은 상기 창호의 수평밀착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창호의 수평밀착장치(100)의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창호의 수평밀착장치(100)는 창문(미도시)에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110)와, 창문(미도시)이 창틀(미도시)에 밀착 또는 이격되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창틀의 레일(미도시)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178)를 구비하는 이동플레이트(12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에 연결되어 상기 창문(미도시)의 작동바(미도시)의 이동에 의해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직선 이동하는 직선이동부재(130) 및 상기 직선이동부재(130)의 직선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플레이트(120)를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에 대해 수평 이동시키는 동작링크(140, 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10)는 창문(미도시)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에 상기 이동플레이트(120)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이동플레이트(120)는 창문(미도시)이 창틀(미도시)에 밀착 또는 이격되는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이동플레이트(120)에는 상기 창틀의 레일(미도시)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178)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창호의 손잡이(12)(도 10 참조)를 조작하여 상기 창호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플레이트(120)와 고정플레이트(110) 간에 상대 이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이동플레이트(120)는 전술한 이동부(178)에 의해 창틀(미도시)의 레일(미도시)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고정플레이트(110)가 창틀(미도시)에 밀착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게 된다. 결국, 상기 고정플레이트(110)가 연결된 창문(미도시)이 창틀(미도시)에 밀착하게 된다.
상기 창호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12)를 반대방향으로 조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10)가 창틀(미도시)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게 되어 상기 창호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에는 상기 이동플레이트(120)가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부(112)에 의해 상기 이동플레이트(120)의 양단부를 수직방향으로 구속하되, 상기 이동플레이트(120)는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부(112)에 수용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직선이동부재(13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이동플레이트(120)와 고정플레이트(110)는 서로 간에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의 상면에 전술한 이동플레이트(120)가 배치된 경우에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의 하면에는 상기 직선이동부재(130)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의 상면이라 함은 바퀴(179)가 연결된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직선이동부재(130)는 창문에 설치되는 하드웨어의 작동바(미도시)와 연동하여 작동바(미도시)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창문 수평이동 조작구간, 즉 창문 손잡이의 회전 조작에 따라 창문이 실질적으로 수평이동을 개시하여 창틀에 밀착될 때까지의 구간에서 하드웨어의 작동바(미도시)와 연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직선이동부재(130)의 이동거리는 즉, 창문 수평이동 조작구간은 짧게 구성하는 것이 조작성 향상을 위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바(미도시)와 직선이동부재(130)의 연동구조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직선이동부재(130)에 작동바(미도시)의 작동핀(미도시)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원형의 작동홀(1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홀(132)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창문의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곧바로 상기 직선이동부재(130)가 이동하거나, 또는 창문의 손잡이의 회전과 동시에 상기 직선이동부재(130)가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창문의 손잡이를 종래와 같이 180도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90도만 회전시켜도 창문을 창틀에 밀착시키거나 또는 창문을 창틀에서 이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창문의 손잡이를 90도만 회전시키는 경우에 상기 손잡이를 잡고서 창문을 열거나 닫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종래와 같이 창문의 손잡이를 180도 회전시키게 되면 손잡이가 다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므로 한 손으로 손잡이를 잡고서 창문을 미는 것이 곤란하여 다른 손으로 창문을 잡고서 밀어야 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손잡이를 90도만 회전시켜서 창문을 창틀에서 이격시킬 수 있으므로, 손잡이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손잡이를 한 손으로 잡고서 여닫는 것이 가능해져서 창문의 여닫이 동작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와 직선이동부재(130)는 제1 링크(140)로 연결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120)와 직선이동부재(130)는 제2 링크(150)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링크(140)의 일단은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직선이동부재(13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 링크(150)의 일단은 상기 이동플레이트(1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직선이동부재(130)에 연결된다.
이 때, 상기 제1 링크(140) 및 제2 링크(150)는 상호 대칭으로 상기 직선이동부재(130)에 배치되어 상기 직선이동부재(130)의 직선이동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미리 정해진 각도의 동작각도(θ)를 가지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직선이동부재(130)의 직선이동에 따라 동작각도(θ)가 변화하여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와 이동플레이트(120)가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링크(140)와 제2 링크(150)는 상기 직선이동부재(130)를 사이에 두고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직선이동부재(130)에 대하여 동일한 위치 조건이 되게 하며, 상기 제1 링크(140) 및 제2 링크(150)의 길이는 동일하게 하여 상기 이동플레이트(12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10)가 수직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링크(140)의 일단에는 제1 연결홀(141)이 형성되고, 제1 힌지(144)가 상기 제1 연결홀(141)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의 제1 고정홀(113)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링크(150)의 일단에는 제2 연결홀(151)이 형성되고, 제2 힌지(128)가 상기 이동플레이트(120)의 제2 고정홀(126)을 관통하여 제2 연결홀(151)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에는 상기 제2 힌지(128)가 지나가도록 형성되는 오목부(115)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힌지(128)는 상기 오목부(115)를 단순히 지나가도록 배치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에는 체결 또는 연결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링크(140)와 제2 링크(150)의 타단은 상기 직선이동부재(13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하나의 연결핀(154)에 의해 연결된다. 즉, 상기 연결핀(154)은 상기 제1 링크(140)의 타단에 형성된 제3 연결홀(142)과 상기 제2 링크(150)의 타단에 형성된 제4 연결홀(152)을 연결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직선이동부재(130)의 이동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상기 제1 링크(140) 및 제2 링크(150)의 일단에 연결된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와 이동플레이트(120)에 최대한 균일한 힘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직선이동부재(130)에는 상기 제1 링크(140)와 제2 링크(150)를 서로 연결시키는 상기 연결핀(154)이 삽입되며 상기 직선이동부재(13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연결핀(154)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131)은 상기 직선이동부재(130)가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링크(140)와 제2 링크(150)를 서로 연결시키는 상기 연결핀(154)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홀(131)은 상기 직선이동부재(130)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직선이동경로(1310)(도 11 참조)와, 상기 직선이동경로와 수직한 수직이동경로(1312)(도 11 참조)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홀(131)이 직선이동경로(1310)와 수직이동경로(1312)를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수평밀착장치(100)를 창문에 복수개 구비하는 경우에 각 수평밀착장치(100)에 전달되는 힘이 다르더라도 상기 창문을 용이하게 닫고 열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이동플레이트(120)에 구비되는 상기 이동부(178)는 상기 창틀(미도시)의 레일(미도시)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롤러(320)(도 15 참조) 또는 바퀴(179)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창문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평밀착장치(100)의 경우 바퀴(179)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창문의 상부에 구비되는 수평밀착장치(100)의 경우 가이드롤러(320)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평밀착장치(100)의 제작의 용이성을 위하여 상기 수평밀착장치(100)에 가이드롤러(320)와 바퀴(179)를 모두 구비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창문의 크기 및 창틀의 크기가 규격화되어 제공되는 경우에도 제작의 공차 등으로 인해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창문에 구비된 이동부(178)가 상기 창틀(미도시)의 레일에 정확하게 접촉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창문의 이동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동플레이트(120)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178)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19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190)에 의해 바퀴(179) 등과 같은 이동부(178)의 높이를 조절하여 창틀의 레일에 상기 이동부(178)가 정확하게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178)가 바퀴(179)로 구성된 경우에 상기 바퀴(179)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양측에 가이드바(17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171)는 상기 바퀴(179)가 일렬로 배치된 경우에 상기 바퀴(179)를 양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바(171)에는 상기 바퀴(179)의 회전축(174, 177)이 관통하여 연결되는 관통홀(172, 17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퀴(179)를 한 쌍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회전축(174, 177) 및 관통홀(172, 173)도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가이드바(171)의 중앙부에는 상기 가이드바(171)를 고정하는 고정축(176)이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축(176)은 상기 가이드바(171)의 중앙 관통홀(170)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경우에 상기 높이조절부(190)는 상기 이동플레이트(120)에서 상기 창틀(미도시)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178)의 고정축(176)이 관통하는 돌출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2)는 상기 이동플레이트(120)에서 상기 창틀(미도시)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돌출부(122)는 상기 이동플레이트(120)와 별도의 부재로 도시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이동플레이트(12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돌출부(122)에는 상기 이동부(178)의 고정축(176)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며 상기 고정축(176)이 관통하는 수직가이드홀(1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가이드홀(124)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176)이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에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190)는 상기 이동플레이트(120)의 상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하우징(150)과, 상기 이동하우징(150)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하우징(15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축(176)이 상기 수직가이드홀(124)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이동가이드홀(15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하우징(15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태로 제공되어 그 내측 수용부(152)에 전술한 이동부(178)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하우징(150)에는 이동가이드홀(154)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가이드홀(154)은 상기 수직가이드홀(124)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178)의 고정축(176)이 상기 이동하우징(150)의 이동가이드홀(154)과 수직가이드홀(124)을 관통하여 배치된 경우에 상기 이동하우징(150)이 상기 이동플레이트(120)의 상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좌우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고정축(176)은 상기 이동가이드홀(154) 및 수직가이드홀(124)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결국, 상기 이동하우징(150)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이동부(178)가 고정된 고정축(176)을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이동부(178)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하우징(150)을 상기 이동플레이트(120)의 상면에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16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부재(167)는 볼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167)의 헤드(168)는 상기 이동플레이트(120)의 상면에 고정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단부(169)는 상기 이동하우징(150)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하우징(15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하우징(150)의 이동방향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에 고정브라켓(160)이 상기 이동플레이트(120)의 상면에 배치된다. 상기 고정브라켓(160)은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161)에 의해 상기 이동플레이트(120)의 상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160)에는 상기 이동부재(167)의 헤드(168)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안착부(16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167)의 헤드(168)는 상기 고정브라켓(160)의 안착부(162)에 안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이동부재(167)의 나사산이 형성된 단부(169)는 상기 이동하우징(150)의 체결홀(미도시)에 체결된다.
결국, 상기 이동부재(167)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이동부재(167)의 단부(169)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상기 이동하우징(150)이 상기 이동플레이트(120)의 상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좌우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이동부(178)가 고정된 고정축(176)을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이동부(178)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부(178)의 상부에는 마감부재(180)가 체결될 수 있다.
도 9는 상기 수평밀착장치(100)의 평면도, 즉 상기 이동부(178)의 반대쪽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의 (A)는 창문이 창틀에 밀착하지 않은 상태, 즉 '열림' 상태이며 도 9의 (B)는 창문이 창틀에 밀착한 상태, 즉 '닫힘' 상태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의 (A)와 같이 창문이 열림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를 대략 90도 정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직선이동부재(130)가 화살표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직선이동부재(1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링크(140)와 제2 링크(150)를 연결하는 연결핀(154)이 상기 직선이동부재(130)의 가이드홀(131)을 따라 상기 직선이동부재(130)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도 9의 (B)와 같이 상기 제1 링크(140)와 제2 링크(150)의 동작각도(θ)가 커지게 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120)와 고정플레이트(110)가 상대 이동을 하게 되어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상기 이동플레이트(120)와 고정플레이트(110)가 이격되면 상기 이동플레이트(120)는 전술한 이동부(178)에 의해 창틀의 레일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고정플레이트(110)가 상기 창틀에 밀착하게 된다.
한편, 도 10은 상기 수평밀착장치(100A, 100B, 100C, 100D)를 복수개, 예를 들어 4개 구비한 창문을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11은 상기 수평밀착장치(100A, 100B, 100C, 100D)의 직선이동부재(130A, 130B, 130C, 130D)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창문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수평밀착장치(100A, 100B, 100C, 100D)가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4개의 수평밀착장치(100A, 100B, 100C, 100D)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손잡이(12)를 대략 90도 회전시켜 창문을 창틀에 밀착시키려는 경우 작동바(미도시)의 이동에 의해 직선이동부재(130A, 130B, 130C, 130D)가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직선이동부재(130A, 130B, 130C, 130D)의 이동에 의해 상기 직선이동부재(130A, 130B, 130C, 130D)의 가이드홀(131A, 131B, 131C, 131D)에 의해 상기 연결핀(130A, 130B, 130C, 130D)에 상기 직선이동부재(130A, 130B, 130C, 130D)의 이동방향을 따라 힘이 가해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 직선이동부재(130A, 130B, 130C, 130D)에 의해 상기 연결핀(130A, 130B, 130C, 130D)에 작용하는 힘은 상기 수평밀착장치(100A, 100B, 100C, 100D)가 창문에 배치된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에 4개의 수평밀착장치(100A, 100B, 100C, 100D)가 배치된 경우에 손잡이(12)에서 제일 가까운 제1 수평밀착장치(100A)의 연결핀(154A)에 상대적으로 가장 큰 힘이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12)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제4 수평밀착장치(100D)의 연결핀(154D)에 상대적으로 가장 작은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12)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제4 수평밀착장치(100D)의 연결핀(154D)에 상기 직선이동부재(130D)의 가이드홀(131D)에 의해 적절한 힘이 가해지도록 구성하게 되면 상기 손잡이(12)에서 제일 가까운 제1 수평밀착장치(100A)의 연결핀(154A)에는 상기 직선이동부재(130A)의 가이드홀(131A)에 의해 과도한 힘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수평밀착장치(100)에서 상기 가이드홀(131A)은 상기 직선이동부재(130)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직선이동경로(1310)와, 상기 직선이동경로(1310)와 수직한 수직이동경로(1312)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4 수평밀착장치(100D)의 연결핀(154D)이 상기 가이드홀(131D)의 직선이동경로(1310)의 일단부에 닿아 적절한 힘을 받는 경우에 상기 제1 수평밀착장치(100A)의 연결핀(154A)은 상대적으로 더 큰 힘을 받게 되어 상기 수직이동경로(1312)를 따라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만약, 상기 가이드홀(131)에 상기 수직이동경로(1312)가 생략된다면 상기 손잡이(12)에 가깝게 배치된 제1 수평밀착장치(100A) 또는 제2 수평밀착장치(100A)의 연결핀(154A, 154B)에는 과도한 힘이 작용하여 손상 또는 파손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직이동경로(1312)는 상기 직선이동부재(13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연결핀(154)에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연결핀(154)의 파손 또는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핀(154)이 힘이 작용하는 방향에 벗어나도록 하는 회피경로에 해당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12)에 제일 가까운 제1 수평밀착장치(100A)의 연결핀(154A)은 상기 수직이동경로(1312)의 최하단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12)에서 제일 멀리 떨어진 제4 수평밀착장치(100D)의 연결핀(154D)은 상기 수직이동경로(1312)의 최상단부 또는 상기 직선이동경로(1310)의 일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수평밀착장치(100B)의 연결핀(154B)과 제3 수평밀착장치(100C)의 연결핀(154C)은 상기 수직이동경로(1312)를 따라 제1 수평밀착장치(100A)의 연결핀(154A)과 상기 제4 수평밀착장치(100D)의 연결핀(154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선이동부재(1300, 2300)의 가이드홀(1310, 231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의 (A)에서 상기 가이드홀(1310)은 상기 직선이동부재(1300)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경사이동경로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사진 이동경로에 의해 연결핀에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연결핀(154)이 상기 경사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힘이 과도하게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2의 (B)는 전술한 도 7의 직선이동부재(130)의 가이드홀(131)과 형태는 동일하지만 180도 회전하여 형성된 가이드홀(2310)을 도시한다.
이 경우, 전술한 도 7의 실시예와 유사한 동작을 나타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201)를 구비한 수평밀착장치(200)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에서는 높이조절부(201)를 중심으로 도시하였음을 밝혀둔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수평밀착장치(2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고정플레이트(210)와, 이동플레이트(2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10)와 이동플레이트(220)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가 바퀴(260)로 구성된 경우에 상기 바퀴(260)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양측에 가이드바(26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262)는 상기 바퀴(260)가 일렬로 배치된 경우에 상기 바퀴(260)를 양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바(262)에는 상기 바퀴(260)의 회전축(270)이 관통하여 연결되는 관통홀(26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퀴(260)를 한 쌍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회전축(270) 및 관통홀(265)도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가이드바(262)의 중앙부에는 상기 가이드바(262)를 고정하는 고정축(280)이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축(280)은 상기 가이드바(262)의 중앙 관통홀(266)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높이조절부(201)는 상기 이동플레이트(220)에서 상기 창틀(미도시)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의 고정축(280)이 관통하는 돌출부(2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22)는 상기 이동플레이트(220)에서 상기 창틀(미도시)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부(222)에는 상기 이동부의 고정축(280)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며 상기 고정축(280)이 관통하는 수직가이드홀(22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201)는 상기 이동플레이트(220)의 상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하우징(250)과, 상기 이동하우징(250)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하우징(25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축(280)이 상기 수직가이드홀(224)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이동가이드홀(25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하우징(25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바(262)의 중앙부를 상부에서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22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하우징(250)에는 이동가이드홀(252)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가이드홀(252)은 상기 수직가이드홀(224)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의 고정축(280)이 상기 이동하우징(250)의 이동가이드홀(252)과 수직가이드홀(224)을 관통하여 배치된 경우에 상기 이동하우징(250)이 상기 이동플레이트(220)의 상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좌우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고정축(280)은 상기 이동가이드홀(252) 및 수직가이드홀(224)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결국, 상기 이동하우징(250)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이동부가 고정된 고정축(280)을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이동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하우징(250)을 상기 이동플레이트(220)의 상면에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2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부재(230)는 볼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230)의 헤드(232)는 상기 이동플레이트(220)의 상면에 고정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단부(234)는 상기 이동하우징(250)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하우징(25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하우징(250)의 일측면에는 상기 이동하우징(250)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고정브라켓(226)이 상기 이동플레이트(220)의 상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230)의 헤드(232)는 상기 고정브라켓(226)에 안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이동부재(230)의 나사산이 형성된 단부(234)는 상기 이동하우징(250)의 체결홀(254)에 체결된다.
결국, 상기 이동부재(23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이동부재(230)의 단부(234)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상기 이동하우징(250)이 상기 이동플레이트(220)의 상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좌우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이동부가 고정된 고정축(280)을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이동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밀착장치(3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도 6 및 도 7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이동부(178)에 바퀴(179) 뿐만 아니라 가이드롤러(320)를 함께 구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평밀착장치(300)는 상기 이동부(178)에 바퀴(179)와 함께 가이드롤러(320)를 함께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수평밀착장치(300)는 창문의 상부 또는 하부에 모두 장착될 수 있게 되어 제작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플레이트(120)의 돌출부(122)의 상부에 상기 가이드롤러(32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추가 회전축(31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320)는 상기 추가 회전축(31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롤러(320)와 상기 바퀴(179)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롤러(320)의 직경, 상기 바퀴(179)의 직경 및 상기 가이드바(17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 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수평밀착장치
110 : 고정플레이트
120 : 이동플레이트
130 : 직선이동부재
140 : 제1 링크
150 : 제2 링크
178 : 이동부
190 : 높이조절부

Claims (5)

  1. 창문에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
    창문이 창틀에 밀착 또는 이격되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창틀의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를 구비하는 이동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창문의 작동바의 이동에 의해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직선이동하는 직선이동부재; 및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직선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대해 수평이동시키는 한 쌍의 동작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직선이동부재에는 상기 작동바의 작동핀이 삽입되며 창호의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바로 상기 직선이동부재가 이동하도록 하는 원형의 작동홀과, 상기 동작링크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핀이 삽입되며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연결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직선이동경로와, 상기 직선이동경로의 일 단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된 수직이동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직선이동부재를 수납시키고,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도록 양 단부가 개구된 작동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수평밀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링크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직선이동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직선이동방향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동작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직선이동에 따라 동작각도가 변화되도록 구비된 제 1 링크; 및
    상기 제1 링크와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일단은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직선이동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직선이동부재의 직선이동에 따라 동작각도가 변화되도록 한 제2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수평밀착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창틀의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롤러 또는 바퀴조립체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수평밀착장치.
KR1020200009013A 2020-01-23 2020-01-23 창호의 수평밀착장치 KR102373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013A KR102373581B1 (ko) 2020-01-23 2020-01-23 창호의 수평밀착장치
CN202090000241.5U CN216380945U (zh) 2020-01-23 2020-05-04 具有换气功能及水平紧贴功能的门窗组装体
EP20803429.8A EP3880914B1 (en) 2020-01-23 2020-05-04 Window/door assembly having ventilation function and horizontal sealing function
JP2020566566A JP7107488B2 (ja) 2020-01-23 2020-05-04 換気機能及び水平密着機能を有する窓組立体
PCT/KR2020/005913 WO2021149873A1 (ko) 2020-01-23 2020-05-04 환기 기능 및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
US17/058,628 US20210404246A1 (en) 2020-01-23 2020-05-04 Windows and doors assembly having ventilation function and horizontal contact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013A KR102373581B1 (ko) 2020-01-23 2020-01-23 창호의 수평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322A KR20210095322A (ko) 2021-08-02
KR102373581B1 true KR102373581B1 (ko) 2022-03-11

Family

ID=77315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013A KR102373581B1 (ko) 2020-01-23 2020-01-23 창호의 수평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35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863B1 (ko) 2021-10-14 2021-12-30 주식회사 다우 슬라이딩 창호 수평밀착용 이동체 및 이를 구비한 창호시스템
KR102494937B1 (ko) * 2022-11-18 2023-02-06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수평 이동형 창호 조립체용 수평 이동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795B1 (ko) * 2010-04-07 2012-05-08 주식회사 시안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 및 이를 위한 높이조절구
KR101254327B1 (ko) * 2012-10-24 2013-04-12 (주)코리아쇼와록 수평밀착창호의 잠금모듈
KR101469252B1 (ko) * 2012-04-13 2014-12-09 주식회사 윈테크 코리아 창문용 밀폐장치
KR101731775B1 (ko) * 2017-02-13 2017-04-28 이재선 미닫이 창호의 수평밀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795B1 (ko) * 2010-04-07 2012-05-08 주식회사 시안 측방 조절이 가능한 창호용호차 및 이를 위한 높이조절구
KR101469252B1 (ko) * 2012-04-13 2014-12-09 주식회사 윈테크 코리아 창문용 밀폐장치
KR101254327B1 (ko) * 2012-10-24 2013-04-12 (주)코리아쇼와록 수평밀착창호의 잠금모듈
KR101731775B1 (ko) * 2017-02-13 2017-04-28 이재선 미닫이 창호의 수평밀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322A (ko) 202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3581B1 (ko) 창호의 수평밀착장치
KR101731775B1 (ko) 미닫이 창호의 수평밀착장치
CA1281597C (en) Corner locking and associated pivot means for extruded plastic sash windows
US20210404246A1 (en) Windows and doors assembly having ventilation function and horizontal contact function
KR101943161B1 (ko) 착탈식 방향전환형 연동도어 이송장치
US20240167308A1 (en) Window assembly having horizontal closing function and ventilation function
KR102364758B1 (ko) 환기 기능 및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
KR102363063B1 (ko) 높이 조절부를 구비한 창호의 바퀴 모듈
JP6748605B2 (ja) 戸車および建具
KR20110124519A (ko) 수평 밀착 창호의 잠금모듈
KR102147697B1 (ko) 적어도 리프팅 되며,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윈도우 또는 도어의 윙을 위한 피팅장치.
KR101211761B1 (ko) 개선된 힌지부를 가지는 프로젝트 및 케이스먼트 운동이가능한 창호
KR101698458B1 (ko)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
KR101251239B1 (ko) 창호의 프로젝트 및 케이스먼트 제어용 하드웨어
KR200325944Y1 (ko) 미닫이문의 롤러조립체
JP7403439B2 (ja) 開閉装置用の安全装置
US11866966B2 (en) Device for constraining the opening of doors or windows
TWI727330B (zh) 動作裝置及門窗
WO2004040091A1 (ja) 引戸用ランナー装置
US20210276829A1 (en) Elevator Door Engagement Device
US20210404218A1 (en) Sash lock assembly for fenestration systems
JPH0712606Y2 (ja) 引違い障子の移動装置
JPH0450385Y2 (ko)
JPH0738632Y2 (ja) 可動間仕切壁における防音ブラケットの操作ケース
JPH0750539Y2 (ja) すべり出し窓のスイ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