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8063A - 트럭 - Google Patents

트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8063A
KR20190098063A KR1020190015473A KR20190015473A KR20190098063A KR 20190098063 A KR20190098063 A KR 20190098063A KR 1020190015473 A KR1020190015473 A KR 1020190015473A KR 20190015473 A KR20190015473 A KR 20190015473A KR 20190098063 A KR20190098063 A KR 20190098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rail
contact
region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6274B1 (ko
Inventor
류야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90098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B08B1/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8Cleaning devices comprising brus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트럭은, 상하 방향 Z을 따르는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하는 브러시(22)와, 브러시(22)에 접촉하는 접촉부(23)를 구비하고, 브러시(22)의 모선 부분으로 구성되는 브러시 하부(22A)를, 레일(2)의 상면 F에 접촉하도록 배치하고, 브러시 하부(22A)의 회전 궤적에는, 상하 방향에서 볼 때 레일(2)의 상면 F과 중첩되는 제1 영역과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 레일(2)의 상면 F과 중첩되지 않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접촉부(23)를, 제2 영역에 있어서 브러시 하부(22A)에 접촉하도록 설치한다.

Description

트럭{TRUCK}
본 발명은,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트럭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트럭의 종래예가, 일본 공개특허 제2015―147519호 공보(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트럭은, 회전 브러시(46)와 가이드 브러시(48)와 회수부(47)를 구비하고 있다. 이 특허문헌 1의 트럭은, 레일(70)의 상면에 존재하는 먼지를 가이드 브러시(48)에 의해 레일(70)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모으고, 그 모은 먼지를 회전 브러시(46)에 의해 회수부(47)에 회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의 변형예의 트럭은, 브러시(46A)와 회수부(47A)를 구비하고 있다. 이 특허문헌 1에서의 변형예의 트럭은, 레일(70)의 상면에 존재하는 먼지를 브러시(46A)로 쓸어(sweep) 레일(70)로부터 떨어뜨리고, 그 떨어뜨린 먼지를 회수부(47)에 의해 회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5―147519호 공보
특허문헌 1의 회전 브러시(46), 가이드 브러시(48), 및 브러시(46A)는, 모두 그 전체가 상하 방향에서 볼 때 레일(70)과 중첩되어 있다. 이들 브러시의 존재 영역과 레일(70)에서의 가로 방향의 단부(端部)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레일(70)의 상면에서의 폭 방향의 단부를 청소하지 않도록, 레일(70)의 상면을 깨끗이 청소하기 어려웠다. 또한, 브러시에는 먼지가 부착되지만, 브러시에 먼지가 부착된 상태로 청소를 행하면, 청소 효율이 악화되므로, 이 점에서도, 레일(70)의 상면을 깨끗이 청소하기 어렵다.
따라서, 레일의 상면을 깨끗이 청소하기 쉬운 트럭의 실현이 요구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트럭의 특징적 구성은, 레일을 따라 주행하고, 상하 방향을 따르는 상하 축심(軸心; axis) 주위에서 회전하는 브러시와, 상기 브러시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브러시의 모선(毛先) 부분으로 구성되는 브러시 하부가, 상기 레일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브러시 하부의 회전 궤적에는,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상기 레일의 상기 상면과 중첩되는 제1 영역과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상기 레일의 상기 상면과 중첩되지 않는 제2 영역이 포함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2 영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하부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브러시 하부가 회전함으로써, 브러시 하부 중 적어도 일부가,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으로 이동한 후, 제2 영역으로부터 제1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회전한다. 이와 같이, 브러시 하부가 회전함으로써, 레일의 상면에서의 가로 방향의 단부도 포함하여, 레일의 상면에 존재하는 먼지를 레일로부터 쓸어 낼 수가 있다. 또한, 브러시 하부에서의 제2 영역에 존재하는 부분에 접촉부가 접촉함으로써, 브러시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브러시 하부로부터 떨어뜨릴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이 구성에 의하면, 레일의 상면을 깨끗이 청소할 수 있고, 또한 브러시 하부에 부착된 먼지를 브러시 하부로부터 떨어뜨릴 수가 있다. 그러므로, 장기간에 걸쳐 계속적으로 레일의 상면의 청소를 행할 수 있는 트럭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물품 반송차(article transport vehicle)의 측면도
도 2는 물품 반송차의 정면도
도 3은 청소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수취부의 평면도
도 5는 청소 장치의 배면도
도 6은 회전 궤적의 평면도
도 7은 다른 실시 형태(1)의 브러시의 평면도
도 8은 다른 실시 형태(2)의 브러시의 평면도
1. 실시 형태
트럭으로서의 물품 반송 트럭(article transport vehicles)을 구비한 물품 반송(搬送) 설비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 설비(article transport facility)는, 레일에 상당하는 주행 레일(2)과, 트럭으로서의 물품 반송차(3)를 구비하고 있다. 물품 반송차(3)는, 주행 레일(2)을 따라 주행하여 물품(W)을 반송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도체 기판을 수용하는 FOUP(Front Opening Unified Pod)을 물품(W)으로 하고 있다.
이하,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 주행 레일(2)의 길이 방향을 따른 방향을 전후 방향 X라고 하고,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 전후 방향 X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가로 폭 방향 Y라고 하여 설명한다. 또한, 전후 방향 X의 한쪽 측을 전후 방향 제1 측 X1이라고 하고, 그 반대측을 전후 방향 제2 측 X2라고 한다. 또한, 가로 폭 방향 Y의 한쪽 측을 가로 폭 방향 제1 측 Y1이라고 하고, 그 반대측을 가로 폭 방향 제2 측 Y2라고 한다. 그리고, 도 1에 흰색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차(3)는, 전후 방향 제2 측 X2으로부터 전후 방향 제1 측 X1을 향해 주행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 레일(2)은, 현수 부재(5)에 의해 천정(ceiling)으로부터 현수 지지(suspended and supported)되어 있다. 주행 레일(2)은, 제1 레일부(2A)와 제2 레일부(2B)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제1 레일부(2A)와 제2 레일부(2B)는,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 가로 폭 방향 Y으로 일정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1 레일부(2A)는, 제2 레일부(2B)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 제1 측 Y1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후 방향 제2 측 X2로부터 전후 방향 제1 측 X1에서 볼 때, 제1 레일부(2A)는 제2 레일부(2B)에 대하여 우측에 위치하고, 제2 레일부(2B)는 제1 레일부(2A)에 대하여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1 레일부(2A)는, 제1 레일부(2A)에서의 가로 폭 방향 제1 측 Y1의 단부에 현수 부재(5)가 연결되어 있다. 제2 레일부(2B)는, 제2 레일부(2B)에서의 가로 폭 방향 제2 측 Y2의 단부에 현수 부재(5)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주행 레일(2)이, 레일에 상당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차(3)는, 주행 레일(2)의 상면(주행면 F)을 그 주행 레일(2)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부(9)와, 주행 레일(2)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주행부(9)에 현수 지지된(suspended and supported) 본체부(10)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10)에는, 물품(W)을 현수 상태(suspended state)로 지지하는 지지 장치(10A)나, 지지 장치(10A)를 상하 방향 Z로 이동시키는 승강 장치(10B)가 구비되어 있다.
주행부(9)는, 제1 주행 장치(traveling device)(9A)와, 이 제1 주행 장치(9A)에 대하여 전후 방향 제2 측 X2에 위치하는 제2 주행 장치(9B)를 가지고 있다.
제1 주행 장치(9A)는, 제1 주행륜(15A) 및 제2 주행륜(15B)의 한 쌍의 주행륜(15)과, 한 쌍의 주행륜(15)을 가로 폭 방향 Y를 따르는 회전 축심 주위로 회전시키는 주행용 모터(16)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주행륜(15)의 각각은, 주행 레일(2)의 주행면 F을 전동(轉動)한다. 설명을 추가하면, 한 쌍의 주행륜(15)은, 제1 주행륜(15A)이 제2 주행륜(15B)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 제1 측 Y1에 위치하도록, 가로 폭 방향 Y로 정렬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주행륜(15A)은, 제1 레일부(2A)의 주행면 F을 전동하여, 제2 주행륜(15B)은, 제2 레일부(2B)의 주행면 F을 전동한다. 그리고, 주행면 F은 위쪽을 향하고 있고, 이 주행면 F이, 주행륜(15)이 전동하고, 또한 후술하는 브러시 하부(22A)(도 3 참조)가 접촉하는 레일의 상면에 상당한다.
또한, 제1 주행 장치(9A)에는, 상하 방향 Z을 따르는 상하 축심(axis) 주위에서 회전 가능한 복수의 안내륜(guiding wheel)(17)이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안내륜(17)으로서, 제1 레일부(2A)에 접촉하는 한 쌍의 제1 안내륜(17A)과, 제2 레일부(2B)에 접촉하는 한 쌍의 제2 안내륜(17B)이 있다. 한 쌍의 제1 안내륜(17A)은, 전후 방향 X로 배열되는 상태로 제1 주행 장치(9A)에 구비되어 있고, 이들 한 쌍의 제1 안내륜(17A)의 각각이, 제1 레일부(2A)에서의 가로 폭 방향 제2 측 Y2을 향하는 측면(내측면)에 가로 폭 방향 제2 측 Y2로부터 접촉한다. 또한, 한 쌍의 제2 안내륜(17B)은, 전후 방향 X로 배열되는 상태로 제1 주행 장치(9A)에 구비되어 있고, 이들 한 쌍의 제2 안내륜(17B)의 각각이, 제2 레일부(2B)에서의 가로 폭 방향 제1 측 Y1을 향하는 측면(내측면)에 가로 폭 방향 제1 측 Y1으로부터 접촉한다.
제2 주행 장치(9B)에는, 제1 주행 장치(9A)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주행륜(15), 주행용 모터(16), 및 복수의 안내륜(17)이 구비되어 있다.
제1 주행 장치(9A) 및 제2 주행 장치(9B)에는, 주행륜(15)의 하단(下端)보다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연결축(19)이 구비되어 있다. 제1 주행 장치(9A)의 연결축(19)과 본체부(10)는, 상하 방향 Z을 따르는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2 주행 장치(9B)의 연결축(19)과 본체부(10)는, 상하 방향 Z을 따르는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물품 반송차(3)는, 제1 주행 장치(9A) 및 제2 주행 장치(9B)의 각각에 있어서, 주행용 모터(16)에 의해 주행륜(15)이 회전시키고, 복수의 안내륜(17)이 주행 레일(2)에 의해 안내되는 것에 의해, 주행 레일(2)을 따라 주행한다. 또한, 물품 반송차(3)는, 제1 주행 장치(9A) 및 제2 주행 장치(9B)의 각각이 본체부(10)에 대하여 세로 축심 주위로 요동(搖動)함으로써, 주행 레일(2)이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 원호형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그 주행 레일(2)을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차(3)에는, 주행 레일(2)의 주행면 F을 청소하는 청소 장치(21)가 구비되어 있다. 청소 장치(21)는, 제1 레일부(2A)와 제2 레일부(2B)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청소 장치(21)는 제1 주행 장치(9A)와 제2 주행 장치(9B)와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레일부(2A) 및 제1 주행 장치(9A)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청소 장치(21)[도 1에 있어서 전후 방향 제1 측 X1에 위치하는 청소 장치(21)이며, 도 2에 있어서 가로 폭 방향 제1 측 Y1에 위치하는 청소 장치(21)]와, 제(1) 레일부(2A) 및 제2 주행 장치(9B)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청소 장치(21)[도 1에 있어서 전후 방향 제2 측 X2에 위치하는 청소 장치(21)]와, 제(2) 레일부(2B) 및 제1 주행 장치(9A)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청소 장치(21)[도 2에 있어서 가로 폭 방향 제2 측 Y2에 위치하는 청소 장치(21)]와, 제(2) 레일부(2B) 및 제2 주행 장치(9B)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청소 장치(21)(도시하지 않음)와의 4개의 청소 장치(21)가 물품 반송차(3)에 구비되어 있다.
청소 장치(21)는, 상하 방향 Z을 따르는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하는 브러시(22)와, 브러시(22)에 접촉하는 접촉부(23)와, 브러시(22)에 의해 쓸어진 먼지를 수취하는 수취부(24)와, 주행륜(15)의 회전을 브러시(22)에 전달하여 브러시(22)를 회전시키는 연동 기구(25)를 구비하고 있다. 수취부(24)는, 가로 폭 방향 Y에 있어서 제1 레일부(2A)와 제2 레일부(2B)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 안내륜(17)과 중첩되어 있다.
제1 레일부(2A)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청소 장치(21)의 브러시(22)는, 평면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상기 브러시(22)는, 상기 브러시(22)의 회전 궤적 E의 중심 P2보다 전후 방향 제1 측 X1[물품 반송차(3)의 전후 방향에서의 전방측]의 부분이, 가로 폭 방향 Y에 있어서 제1 레일부(2A)에 대하여 제2 레일부(2B)가 존재하는 측(좌측)으로 이동하도록 회전하고, 제1 레일부(2A)의 주행면 F 상에 존재하고 있는 먼지를 수취부(24)를 향해 쓸어낸다. 제1 레일부(2A)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청소 장치(21)의 브러시(22)는, 전후 방향 X에서 볼 때 제1 주행륜(15A)과 중첩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레일부(2B)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청소 장치(21)의 브러시(22)는, 평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상기 브러시(22)는, 상기 브러시(22)의 회전 궤적 E의 중심 P2보다 전후 방향 제1 측 X1의 부분이, 가로 폭 방향 Y에 있어서 제2 레일부(2B)에 대하여 제1 레일부(2A)가 존재하는 측(우측)으로 이동하도록 회전하고, 제2 레일부(2B)의 주행면 F 상에 존재하고 있는 먼지를 수취부(24)를 향해 쓸어낸다. 제1 레일부(2A)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청소 장치(21)의 브러시(22)는, 전후 방향 X에서 볼 때 제2 주행륜(15B)과 중첩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브러시 하부(22A)가, 전후 방향 X에서 볼 때 제1 주행륜(15A) 또는 제2 주행륜(15B)의 가로 폭 방향 Y의 일부가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브러시 하부(22A)가, 전후 방향 X에서 볼 때 제1 주행륜(15A) 또는 제2 주행륜(15B)의 가로 폭 방향 Y의 전체와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브러시 하부(22A)가, 전후 방향 X에서 볼 때 제1 주행륜(15A) 또는 제2 주행륜(15B)과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주행 장치(9A)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청소 장치(21)의 브러시(22)는, 제1 주행 장치(9A)에 구비되어 있는 주행륜(15)에 대하여 전후 방향 제1 측 X1에 위치한다. 제2 주행 장치(9B)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청소 장치(21)의 브러시(22)는, 제2 주행 장치(9B)에 구비되어 있는 주행륜(15)에 대하여 전후 방향 제2 측 X2에 위치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청소 장치(21)는, 제1 주행 장치(9A) 및 제1 레일부(2A)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청소 장치(21)를 나타내고 있다. 이 청소 장치(21)의 브러시(22)는, 주행륜(15)에 대하여 전후 방향 제1 측 X1[물품 반송차(3)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제1 주행 장치(9A)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청소 장치(21)의 브러시(22)는, 평면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연동 기구(25)에 의해 주행륜(15)의 회전축인 제1 회전축(31)과 연동(連動) 연결되어 있다. 이하, 청소 장치(21)에 대하여,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청소 장치(21)를 예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동 기구(25)는, 제1 회전축(31)에 고정된 제1 기어(32)와, 브러시(22)의 회전축인 제2 회전축(33)에 고정된 제2 기어(34)를 가지고 있다. 제2 기어(34)는, 제1 기어(32)에 치합(齒合)되어 있다. 연동 기구(25)는, 복수의 기어에 의해 주행륜(15)에 연동하여 브러시(22)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기어(32) 및 제2 기어(34)로서, 헬리컬 기어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제1 회전축(31) 및 제1 기어(32)는, 가로 폭 방향 Y를 따르는 축심 주위로 회전하고, 제2 회전축(33) 및 제2 기어(34)는, 상하 방향 Z을 따르는 축심 주위로 회전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러시(22)의 모선 부분으로 구성되는 브러시 하부(22A)가, 주행 레일(2)의 주행면 F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브러시(22)는, 제2 회전축(33)의 하단에 고정된 유지부(36)와, 이 유지부(36)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연장되는 자세로 유지부(36)에 장착된 모부(毛部)(37)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모부(37)의 하부가 주행 레일(2)의 주행면 F에 접촉되고 있다. 즉, 이 모부(37)의 하부가 브러시 하부(22A)에 상당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러시 하부(22A)는,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의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에 있어서, 브러시 하부(22A)의 중심 P1과 제2 회전축(33)의 회전 축심이 같은 위치로 되어 있고, 브러시 하부(22A)의 중심 P1이, 브러시 하부(22A)의 회전 궤적 E의 중심 P2과 같은 위치로 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러시 하부(22A)의 회전 궤적 E에는,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 주행 레일(2)의 주행면 F과 중첩되는 제1 영역 E1와,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 주행 레일(2)의 주행면 F과 중첩되지 않는 제2 영역 E2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영역 E2에는,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 수취부(24)와 중첩되는 제3 영역(E3)와,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 수취부(24)와 중첩되지 않는 제4 영역(E4)이 포함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취부(24)는, 주행 레일(2)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 제2 측 Y2에 위치하도록 주행부(9)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수취부(24)는, 회전 궤적 E의 제2 영역 E2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취부(24)는, 제2 영역 E2의 전후 방향 X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또한 제2 영역 E2의 가로 폭 방향 Y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고, 회전 궤적 E의 제2 영역 E2의 일부인 제3 영역(E3)의 전체의 아래쪽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취부(24)는,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바닥부(41)와, 그 바닥부(41)의 주위 에지를 형성하는 4변에 세워 설치된 제1 벽부(42), 제2 벽부(43), 제3 벽부(44) 및 제4 벽부(45)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벽부(42) 및 제2 벽부(43)는, 전후 방향 X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제1 벽부(42)는, 제2 벽부(43)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 제1 측 Y1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3 벽부(44) 및 제4 벽부(45)는, 가로 폭 방향 Y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제3 벽부(44)는, 제4 벽부(45)에 대하여 전후 방향 제1 측 X1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벽부(42)는, 주행 레일(2)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레일 측벽부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수취부(24)는, 주행 레일(2)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레일 측벽부를 구비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벽부(42)는, 제2 영역 E2의 전후 방향 제1 측 X1의 단부보다 전후 방향 제1 측 X1까지 연장되고, 또한 제2 영역 E2의 전후 방향 제2 측 X2의 단부보다 전후 방향 제2 측 X2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벽부(42) 중, 전후 방향 X에 있어서 회전 궤적 E의 중심 P2보다 전후 방향 제2 측 X2에 있는 부분을 제1 부분(42A)이라고 하고, 회전 궤적 E의 중심 P2보다 전후 방향 제1 측 X1에 있는 부분을 제2 부분(42B)이라고 하고, 제1 부분(42A)은, 제2 부분(42B)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제2 벽부(43), 제3 벽부(44) 및 제4 벽부(45)는, 제1 부분(42A)과 같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부(41)는, 주행면 F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또한, 제1 벽부(42)의 제1 부분(42A)의 상단(上端)은, 브러시 하부(22A)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벽부(42)의 제1 부분(42A)이 브러시 하부(22A)에 접촉하도록 제1 부분(42A)의 높이가 설정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제1 벽부(42)의 제2 부분(42B)의 상단은, 브러시 하부(22A)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벽부(42)의 제2 부분(42B)이 브러시 하부(22A)에 접촉되지 않도록 제2 부분(42B)의 높이가 설정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1 벽부(42)의 제1 부분(42A)의 상단은, 주행면 F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제1 벽부(42)의 제2 부분(42B)의 상단은, 주행면 F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3,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부(23)는, 제1 벽부(42)의 상단부 중, 제2 영역 E2에서의 브러시 회전 방향의 하류측 단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제2 영역 E2에 있어서 브러시 하부(22A)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제1 벽부(42)의 제1 부분(42A)에서의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 제2 영역 E2과 중첩되는 부분은, 그 상단부가 브러시 하부(22A)에 접촉하고, 또한 제2 영역 E2에서의 브러시 회전 방향의 하류측 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 제1 부분(42A)에서의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 제2 영역 E2과 중첩되는 부분의 상단부에 의해, 접촉부(23)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벽부(42) 중, 전후 방향 X에 있어서 회전 궤적 E의 중심 P2보다 전후 방향 제2 측 X2에 있는 부분을 제1 부분(42A)이라고 하고, 상기 제1 부분(42A)에서의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 제2 영역 E2과 중첩되는 부분의 상단부에 의해 접촉부(23)를 구성하고 있다. 그러므로, 접촉부(23)는, 전후 방향 X에 있어서 회전 궤적 E의 중심 P2으로부터 회전 궤적 E의 외측 에지부까지 존재하고 있고, 또한 가로 폭 방향 Y에 있어서 수취부(24)의 가로 폭 방향 제1 측 Y1의 끝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접촉부(23)는, 회전 궤적 E의 직경 방향 중앙부로부터 회전 궤적 E의 직경 방향 외측 에지부까지의 전역에서, 브러시 하부(22A)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궤적 E의 직경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회전 궤적 E의 중심 P2과 접촉부(23)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회전 궤적 E의 직경 방향 중앙부에서의 상기 간극에 상당하는 부분에 대하여는, 접촉부(23)는 브러시 하부(22A)에 접촉하지 않는다. 즉, 접촉부(23)는, 회전 궤적 E의 직경 방향 중앙부에서의 전술한 간극을 제외하고, 회전 궤적 E의 직경 방향 중앙부로부터 회전 궤적 E의 직경 방향 외측 에지부까지의 전역에서, 브러시 하부(22A)에 접촉한다. 그리고, 브러시 하부(22A)에서의 제3 영역(E3)을 통과하는 부분에 대하여는, 그 전체가 접촉부(23)에 접촉한다. 그리고, 회전 궤적 E의 직경 방향 중앙부에, 이와 같은 접촉부(23)가 접촉하지 않는 간극이 형성되는 경우라도, 브러시 하부(22A)의 직경 방향 중앙부에는 먼지가 비교적 쉽게 부착되지 않으므로, 큰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또한, 브러시 하부(22A)의 전체에 모부(37)를 설치하는 것은 아니고, 브러시 하부(22A)에서의, 이와 같은 접촉부(23)에 접촉하지 않는 부분에는 모부(37)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청소 장치(21)는, 물품 반송차(3)가 주행함에 따라서 브러시(22)가 상하 방향 Z을 따르는 축심 주위로 회전하여, 브러시 하부(22A)의 전후 방향 제1 측 X1의 부분에 의해 주행면 F 상에 존재하는 먼지를 가로 폭 방향 제2 측 Y2로 쓸어내고, 그 먼지를 수취부(24)에 의해 수취할 수 있다. 그리고, 브러시 하부(22A)에서의 제2 영역 E2에 위치하는 부분에 접촉부(23)가 접촉함으로써, 브러시 하부(22A)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수취부(24)에 떨어뜨릴 수가 있다.
2. 그 외의 실시 형태
다음에, 트럭의 그 외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에 있어서, 브러시 하부(22A)의 중심 P1을, 브러시 하부(22A)의 회전 궤적 E의 중심 P2과 같은 위치로 하였으나,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에 있어서, 브러시 하부(22A)의 중심 P1을, 브러시 하부(22A)의 회전 궤적 E의 중심 P2에 대하여 편심(偏心)시켜도 된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브러시 하부(22A)의 회전 궤적 E의 중심 P2이,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 주행 레일(2)의 주행면 F과 중복되는 위치에 있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브러시 하부(22A)의 회전 궤적 E의 중심 P2이,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 주행 레일(2)의 주행면 F과 중복되지 않는 위치, 즉 회전 궤적 E의 제2 영역 E2 내에 배치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는, 브러시 하부(22A)의 회전 궤적 E의 중심 P2이,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 주행 레일(2)의 주행면 F의 에지부, 즉 회전 궤적 E의 제1 영역 E1과 제2 영역 E2과의 경계부에 배치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브러시 하부(22A)의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의 형상을 원형으로 하였으나, 브러시 하부(22A)의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의 형상은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러시 하부(22A)의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의 형상을 직사각형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2 회전축(33)(회전 궤적 E의 중심 P2)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의 브러시 하부(22A)의 장변(長邊) 방향에서의 한쪽의 단부에 배치해도 되고, 도시와는 달리, 직사각형상의 브러시 하부(22A)의 장변 방향에서의 중앙부에 배치해도 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취부(24)를,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으로 형성하고, 또한 제1 벽부(42)의 상단부에 접촉부(23)를 형성하였으나, 수취부(24)의 형상은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수취부(24)의 평면에서 볼 때 형상을 사다리꼴이나 반원 형상 등의 직사각형 이외의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제1 벽부(42)에서의 제1 부분(42A)의 높이를 주행면 F보다 낮게 하여 브러시 하부(22A)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제1 벽부(42)의 상단부에 접촉부(23)를 형성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제1 벽부(42)에 접촉부(23)를 형성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취부(24)의 바닥부(41)에 접촉부(23)를 세워 설치되는 등, 접촉부(23)를 별개로 설치해도 된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연동 기구(25)를, 복수의 기어에 의해 구성하였지만, 연동 기구(25)를, 회전체[예를 들면, 풀리(pully)]와 그 회전체에 권취한 케이블체(예를 들면, 벨트)에 의해 구성하는 등, 다른 기구(機構)를 사용하여 구성해도 된다.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접촉부(23)를, 회전 궤적 E의 직경 방향 중앙부로부터 회전 궤적 E의 직경 방향 외측 에지부까지의 전역에서, 브러시 하부(22A)에 접촉하도록 형성하였으나, 접촉부(23)가 브러시 하부(22A)에 접촉하는 범위는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회전 궤적 E의 외측 에지부만에 있어서, 접촉부(23)가 브러시 하부(22A)에 접촉하도록 접촉부(23)를 형성해도 된다.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트럭이, 물품(W)을 반송 가능한 물품 반송차(3)로서, 레일의 상면의 청소와 물품(W)의 반송과의 양쪽을 행할 수 있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트럭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트럭이, 레일의 상면의 청소와 물품(W)의 반송 중 레일의 상면의 청소만을 행하는 청소용 트럭이어도 된다.
(8)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주행 장치(9A)와 제2 주행 장치(9B)와의 각각에 청소 장치(21)를 설치했지만, 제1 주행 장치(9A)와 제2 주행 장치(9B) 중 어느 한쪽에만 청소 장치(21)를 구비해도 된다.
(9) 그리고, 전술한 각각의 실시 형태에서 개시된 구성은, 모순이 생기지 않는 한, 다른 실시 형태에서 개시된 구성과 조합시켜 적용할 수도 있다.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도,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각종 개변(改變; modification)을 행할 수 있다.
3. 상기 실시 형태의 개요
이하, 상기에 있어서 설명한 트럭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트럭은, 레일을 따라 주행하고, 상하 방향을 따르는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하는 브러시와, 상기 브러시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브러시의 모선 부분으로 구성되는 브러시 하부가, 상기 레일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브러시 하부의 회전 궤적에는,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상기 레일의 상기 상면과 중첩되는 제1 영역과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상기 레일의 상기 상면과 중첩되지 않는 제2 영역이 포함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2 영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하부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브러시 하부가 회전함으로써, 브러시 하부 중 적어도 일부가,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으로 이동한 후, 제2 영역으로부터 제1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회전한다. 이와 같이, 브러시 하부가 회전함으로써, 레일의 상면에서의 가로 방향의 단부도 포함하여, 레일의 상면에 존재하는 먼지를 레일로부터 쓸어 낼 수가 있다. 또한, 브러시 하부에서의 제2 영역에 존재하는 부분에 접촉부가 접촉함으로써, 브러시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브러시 하부로부터 떨어뜨릴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이 구성에 의하면, 레일의 상면을 깨끗이 청소할 수 있고, 또한 브러시 하부에 부착된 먼지를 브러시 하부로부터 떨어뜨릴 수가 있다. 그러므로, 장기간에 걸쳐 계속적으로 레일의 상면의 청소를 행할 수 있는 트럭을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2 영역에서의 상기 브러시의 회전 방향의 하류측 단부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하부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브러시 하부가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회전하여 레일의 상면의 먼지를 쓸어 내는 동작이 접촉부에 의해 방해할 수 있는 것이 없기 때문에, 레일의 상면의 먼지를 효율적으로 쓸어 낼 수가 있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하면, 브러시 하부에 부착되어 있었던 먼지가 제2 영역에 있어서 자중(自重)에 의해 브러시 하부로부터 떨어진 후, 제2 영역의 하류측 단부에 있어서 브러시 하부에 접촉부가 접촉한다. 즉, 비교적 먼지의 부착이 적은 상태에서 브러시 하부에 접촉부를 접촉시켜, 자중에 의해 브러시 하부로부터 떨어지지 않았던 먼지를 접촉부에 의해 떨어뜨릴 수가 있다. 따라서, 브러시 하부에 부착된 먼지를 효율적으로 브러시 하부로부터 떨어뜨릴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회전 궤적의 직경 방향 중앙부로부터 상기 회전 궤적의 직경 방향 외측 에지부까지의 전역에서, 상기 브러시 하부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브러시 하부에 대하여 접촉부가 광범위하게 접촉하므로, 브러시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브러시 하부로부터 효과적으로 떨어뜨릴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회전 궤적의 상기 제2 영역을 덮도록 형성된 상자형의 수취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브러시에 의해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을 향해 쓸어내어진 먼지를 수취부에 의해 수취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일의 상면으로부터 쓸어내어진 먼지가 주변으로 비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취부는, 상기 레일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레일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레일 측벽부의 상단부 중, 상기 제2 영역에서의 상기 브러시의 회전 방향의 하류측 단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취부의 레일 측벽부에서의 상단부의 일부에 의해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접촉부를 별도 구비할 필요가 없고, 트럭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의 상기 상면을 전동하는 주행륜과, 상기 주행륜의 회전을 상기 브러시에 전달하여 상기 브러시를 회전시키는 연동 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주행륜의 회전을 연동 기구에 의해 브러시에 전달함으로써, 브러시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용(專用)의 구동부를 별도 구비하지 않고, 브러시를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러시 하부는, 상기 상하 방향에서 볼 때의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 하부의 중심이, 상기 브러시 하부의 상기 회전 궤적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하 방향에서 볼 때의 브러시 하부의 크기로 비교하여, 브러시 하부의 회전 궤적을 크게 할 수있으므로, 브러시에 의해 레일의 상면에서의 비교적 넓은 면적을 청소할 수 있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트럭에 이용할 수 있다.
2: 주행 레일(레일)
3: 물품 반송차(트럭)
15: 주행륜
22: 브러시
22A: 브러시 하부
23: 접촉부
24: 수취부
25: 연동 기구
42: 제1 벽부(레일 측벽부)
E: 회전 궤적
E1: 제1 영역
E2: 제2 영역
F: 주행면(상면)
P1: 브러시 하부의 중심
P2: 회전 궤적의 중심
Z: 상하 방향

Claims (7)

  1.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트럭(truck)으로서,
    상하 방향을 따르는 상하 축심(axis) 주위에서 회전하는 브러시; 및
    상기 브러시에 접촉하는 접촉부;
    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의 모선(毛先) 부분으로 구성되는 브러시 하부가, 상기 레일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브러시 하부의 회전 궤적에는,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상기 레일의 상기 상면과 중첩되는 제1 영역과,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상기 레일의 상기 상면과 중첩되지 않는 제2 영역이 포함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2 영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하부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트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2 영역에서의 상기 브러시의 회전 방향의 하류측 단부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하부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트럭.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회전 궤적의 직경 방향 중앙부로부터 상기 회전 궤적의 직경 방향 외측 에지부까지의 전역에서, 상기 브러시 하부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트럭.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궤적의 상기 제2 영역을 덮도록 형성된 상자형의 수취부를 더 포함하는 트럭.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취부는, 상기 레일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레일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레일 측벽부의 상단부 중, 상기 제2 영역에서의 상기 브러시의 회전 방향의 하류측 단부(端部)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트럭.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상기 상면을 전동(轉動)하는 주행륜과, 상기 주행륜의 회전을 상기 브러시에 전달하여 상기 브러시를 회전시키는 연동 기구를 더 포함하고 있는 트럭.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하부는, 상기 상하 방향에서 볼 때의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 하부의 중심이, 상기 브러시 하부의 상기 회전 궤적의 중심으로부터 편심(偏心)되어 있는, 트럭.
KR1020190015473A 2018-02-13 2019-02-11 트럭 KR1026462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23262A JP6897592B2 (ja) 2018-02-13 2018-02-13 台車
JPJP-P-2018-023262 2018-0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063A true KR20190098063A (ko) 2019-08-21
KR102646274B1 KR102646274B1 (ko) 2024-03-08

Family

ID=67645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473A KR102646274B1 (ko) 2018-02-13 2019-02-11 트럭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897592B2 (ko)
KR (1) KR102646274B1 (ko)
CN (1) CN110155634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58679U (ko) * 1976-05-26 1977-12-02
JPS56134918U (ko) * 1980-03-07 1981-10-13
JP2015147519A (ja) 2014-02-07 2015-08-20 村田機械株式会社 有軌道台車
JP2016223101A (ja) * 2015-05-28 2016-12-28 株式会社交通建設 鉄道レール表面清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519A (ja) * 1983-06-20 1985-01-08 Toshiba Corp トロリ−コンベアレ−ルの清掃装置
JPS6281610U (ko) * 1985-06-25 1987-05-25
DE8708721U1 (ko) * 1987-04-07 1987-10-15 Bormet, Horst, 6108 Weiterstadt, De
US7610650B2 (en) * 2006-01-09 2009-11-03 Sumco Corporation Vehicle for cleaning
CN100572675C (zh) * 2007-08-24 2009-12-23 中国国际海运集装箱(集团)股份有限公司 导轨上表面清扫装置
SE534362C2 (sv) * 2010-04-01 2011-07-26 Elways Ab Ett för ett eller fler, elektriskt framdrivbara, fordon anpassat system. (Snöplogsarrangemang)
JP2014514994A (ja) * 2011-03-28 2014-06-26 ディバーシ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クリーニング装置
CN205362031U (zh) * 2015-11-27 2016-07-06 世仓智能仓储设备(上海)股份有限公司 穿梭车轨道清扫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58679U (ko) * 1976-05-26 1977-12-02
JPS56134918U (ko) * 1980-03-07 1981-10-13
JP2015147519A (ja) 2014-02-07 2015-08-20 村田機械株式会社 有軌道台車
JP2016223101A (ja) * 2015-05-28 2016-12-28 株式会社交通建設 鉄道レール表面清掃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6274B1 (ko) 2024-03-08
CN110155634B (zh) 2022-04-26
JP2019137276A (ja) 2019-08-22
JP6897592B2 (ja) 2021-06-30
CN110155634A (zh) 2019-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27633A (zh) 机器人吸尘器
CN102961086B (zh) 驱动轮总成及具有该驱动轮总成的机器人吸尘器
US20140165328A1 (en) Autonomous cleaning machine
US10130233B2 (en) Robot cleaner
JP7117606B2 (ja) 自律走行型掃除機
KR101562244B1 (ko) 지하철 건식 세척장치용 브러시 동작어셈블리
CN108471920A (zh) 表面维护机器
JP2016055742A (ja) 除雪装置、車両、及び軌道系交通システム
CN102123640A (zh) 设有清洁器件的窗组件
CN103945952A (zh) 用于铣削点焊电极的焊接区域的装置
US20190090703A1 (en) Wheel assembly and robot cleaner having same
JPH06508046A (ja) スウィーピング装置
JP2020039558A (ja) 掃除ロボットの掃除機
KR20190098063A (ko) 트럭
KR101562245B1 (ko) 지하철 건식 세척장치용 리프팅어셈블리
CN111329404A (zh) 清洁机器人
CN103892774B (zh) 自动吸尘器
JP5800722B2 (ja) 乗客コンベアの踏板清掃装置
CN106377216B (zh) 一种过滤网清洁机构
JP7390004B2 (ja) 太陽光パネル保守装置
JPH1120921A (ja) レーザ裁断機のコンベヤ装置
JP6092316B2 (ja) 回転式掃除及び吸塵装置
EP3569127B1 (en) Robot cleaner
JPH07255646A (ja) 建築物の窓清掃装置
KR101142807B1 (ko) 브러쉬가 장착된 보조 휠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로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