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4390A - 광섬유 유닛, 광섬유 케이블 및 광섬유 유닛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광섬유 유닛, 광섬유 케이블 및 광섬유 유닛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4390A
KR20190094390A KR1020197019031A KR20197019031A KR20190094390A KR 20190094390 A KR20190094390 A KR 20190094390A KR 1020197019031 A KR1020197019031 A KR 1020197019031A KR 20197019031 A KR20197019031 A KR 20197019031A KR 20190094390 A KR20190094390 A KR 20190094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fiber core
core wire
bundle
bund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9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모히로 이시무라
유타카 호시노
신야 하마구치
나오키 나카가와
요헤이 엔도
유키히코 시바타
유지 아오야기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니폰 덴신 덴와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니폰 덴신 덴와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94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3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4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formed by bundles of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Protective cove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4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formed by bundles of fibres
    • G02B6/0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formed by bundles of fibre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fibres being the same at both ends, e.g. for transporting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79Manufacturing methods of optical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1Optical cables built up from sub-bundles
    • G02B6/4411Matrix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4Central member to take up tensile loa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al Fibers, Optical Fiber Cores, And Optical Fiber Bundl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복수개의 광섬유 심선(3)의 외주에는 2개의 번들재(5a, 5b)가 마련된다. 번들재(5a, 5b)는 감는 방향을 정역 반전시키면서 되꼬아져서 복수의 광섬유 심선(3)의 외주에 감긴다. 즉, 번들재(5a, 5b)는 복수의 광섬유 심선(3)의 외주에 나선형으로 감기지 않는다. 또한, 번들재(5a, 5b)는 양자 교차부의 접합부(7)에서 접합된다. 접합부(7)는 광섬유 유닛(1)의 중심선(C) 상에 마련된다. 또한, 번들재(5a, 5b)는 중심선(C)에 의해 구분되는 약 180°의 각각의 범위(A, B)에 배치된다.

Description

광섬유 유닛, 광섬유 케이블 및 광섬유 유닛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분기 작업이 용이한 광섬유 유닛 등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의 보급에 따라, 광섬유를 일반 가정으로 직접 끌어와 고속 통신 서비스를 실현하는 FTTH(Fiber To The Home)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FTTH에 사용되는 광섬유 케이블에는 대용량의 데이터 통신에 대응하도록 광섬유 집합체가 수용되어 있다.
여기서, 광섬유 집합체는 예를 들면, 광섬유 테이프 심선 등이 다수 집합하여 형성된다. 또한, 이 광섬유 집합체를 번들재로 묶은 것을 총칭하여 광섬유 유닛이라 칭하고 있다.
이러한 광섬유 유닛으로서는, 예를 들면, 복수개의 광섬유 심선이 번들재인 2개의 끈을 서로 역방향으로 나선형으로 감아 구성되는 것이 있다(특허문헌 1).
또한, 광섬유 집합체를 묶어, 복수의 번들재를 장변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감아돌려, 2개가 교차하고 있는 교차점에서, 번들재끼리 접착되어 있는 광섬유 유닛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공보 평9-26534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11-169939호
그러나, 특허문헌과 같이, 번들재를 2개 사용하여, 서로 역방향으로 감아서 교차부를 접합하면, 분기 작업시에 접합부를 떼어내는 것이 곤란하고, 설령 교차부의 접합부를 절단했다 하더라도, 각각의 번들재를 역방향으로 감아서 풀어야만 하여 번들재 제거에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분기 작업이 용이한 광섬유 유닛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1 발명은 복수의 광섬유 심선과, 복수의 상기 광섬유 심선의 외주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번들재를 구비하며, 상기 번들재는 모두 상기 광섬유 심선의 외주에 나선형으로 감기지 않고, 적어도 1개의 상기 번들재는 복수의 상기 광섬유 심선의 외주에, 감는 방향을 정역(正逆) 반전시키면서 되꼬아져서, 상기 번들재끼리의 교차부에서 상기 번들재끼리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유닛이다.
상기 번들재의 접합부 길이가 5㎜ 이상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번들재의 접합부의 박리 강도가 0.01N 이상 2.0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번들재는 수지 테이프이고, 상기 번들재의 접합부는 열 융착에 의해 접합되어도 된다.
상기 광섬유 심선은 광섬유 테이프 심선이어도 된다.
제1 발명에 의하면, 여러 번들재가 모두 나선형으로 감기지 않고, 그 중 적어도 1개가 감는 방향을 정역 반전시키면서 되꼬아져서, 번들재끼리의 교차부에서 접합된다. 이 때문에, 되꼬아진 번들재를 잡아당김으로써, 용이하게 접합부의 접합을 떼어낼 수 있다. 또한, 접합부를 떼어내면, 번들재를 되감지 않고, 내부의 광섬유 심선을 꺼낼 수 있다. 이 때문에, 분기 작업성이 양호하다.
특히, 번들재의 접합부 길이가 5㎜ 이상이면, 제조 중 등에 접합부가 떨어질 일이 없고, 번들재의 접합부 길이가 20㎜ 이하이면, 접합부인 직선부가 너무 길어지는 것으로 인하여 광섬유 심선이 튀어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번들재의 접합부의 박리 강도가 0.01N 이상 2.0N 이하이면, 제조 중 등에 접합부가 떨어지는 일이 없고, 또한, 분기 작업 시에 접합부를 박리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번들재가 수지 테이프이고, 번들재의 접합부가 열 융착에 의해 접합되면, 광섬유 유닛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광섬유 심선이 복수의 광섬유 소선으로 이루어지는 광섬유 테이프 심선이면, 복수의 광섬유 테이프 심선이 묶인 광섬유 유닛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제2 발명은, 제1 발명과 관련되는 복수의 광섬유 유닛과, 텐션 부재와, 상기 광섬유 유닛의 외주에 마련되는 외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이다.
제2 발명에 의하면, 분기 작업성이 우수한 광섬유 케이블을 얻을 수 있다.
제3 발명은, 복수의 광섬유 심선을 묶어서, 상기 광섬유 심선의 외주에 복수개의 번들재를 연속하여 보내면서, 상기 광섬유 심선의 일방측에서 상기 번들재끼리 접합부에서 접합하여, 상기 광섬유 심선의 장변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광섬유 심선을 상기 일방측의 접합부에 맞닿도록 상기 번들재와 상기 광섬유 심선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번들재를 상기 광섬유 심선의 타방측으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상기 광섬유 심선의 타방측에서 상기 번들재끼리 접합부에서 접합하여, 상기 광섬유 심선의 장변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광섬유 심선을 상기 타방측의 접합부에 맞닿도록 상기 번들재와 상기 광섬유 심선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번들재를 상기 광섬유 심선의 상기 일방측으로 이동시키는 공정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유닛의 제조 방법이다.
제3 발명에 의하면, 분기 작업성이 우수한 광섬유 유닛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기 작업이 용이한 광섬유 유닛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광섬유 유닛(1)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광섬유 유닛(1)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a는 광섬유 유닛(1)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b는 광섬유 유닛(1)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a는 광섬유 유닛(1)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b는 광섬유 유닛(1)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c는 광섬유 유닛(1)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a는 광섬유 유닛(1a)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는 광섬유 유닛(1a)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는 광섬유 유닛(1b)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b는 광섬유 유닛(1b)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a는 광섬유 케이블(10)을 나타내는 도면.
도 6b는 광섬유 케이블(10a)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광섬유 유닛(1)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a는 광섬유 유닛(1)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광섬유 유닛(1)의 장 방향에 수직인 단면도이다. 광섬유 유닛(1)은 광섬유 심선(3), 번들재(5a, 5b)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광섬유 심선(3)의 개수는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복수개의 광섬유 심선(3)의 외주에는 2개의 번들재(5a, 5b)가 마련된다. 또한, 번들재의 개수는 복수개라면 개수는 상관없지만, 2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번들재(5a, 5b)는 예를 들면, 수지 테이프이다.
번들재(5a, 5b)는 감는 방향을 정역 반전시키면서 되꼬아져서, 복수의 광섬유 심선(3)의 외주에 감긴다. 즉, 번들재(5a, 5b)는 복수의 광섬유 심선(3)의 외주에 나선형으로 감기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번들재(5a)는 광섬유 유닛(1)의 둘레 방향 범위(B)에서, 감는 방향을 정역 반전시키면서 광섬유 심선(3)의 외주에 마련된다. 마찬가지로, 번들재(5b)는 광섬유 유닛(1)의 둘레 방향 범위(A)에서, 감는 방향을 정역 반전시키면서 광섬유 심선(3)의 외주에 마련된다.
또한, 번들재(5a, 5b)는 양자 교차부의 접합부(7)에서 접합된다. 도시한 예에서, 양측 접합부(7)는 광섬유 유닛(1)의 중심선(C) 상에 마련된다. 또한, 번들재(5a, 5b)는 중심선(C)에 의해 구분되는 약 180°(번들재(5a, 5b)는 일부 래핑된다)의 각각의 범위(A, B)에 배치된다. 또한, 번들재(5a, 5b)의 감는 범위는 180°인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번들재(5a, 5b)를 역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용이하게 접합부(7)를 떼어낼 수 있다. 또한, 접합부(7)를 떼어내면, 번들재(5a, 5b)가 떨어져, 내부의 광섬유 심선(3)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b에서, 우측 접합부(7)를 떼어내면, 번들재(5a, 5b)는 좌측 접합부(7)만으로 접합되어, 번들재(5a, 5b)의 우측 반을 완전히 개구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번들재(5a, 5b)가 나선형으로 감겨 있는 경우와 같이, 번들재(5a, 5b)를 되감을 필요가 없다.
또한, 광섬유 유닛(1)의 장변 방향에 대한 또 다른 접합부(7)의 길이는 5㎜ 이상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부(7)의 길이가 5㎜ 미만에서는, 제조 중 등에 접합부(7)가 떨어져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접합부(7)의 길이가 20㎜를 초과하면, 번들재(5a, 5b)가 광섬유 심선(3)과 같은 방향으로 접합되는 직선 범위가 길어지기 때문에, 광섬유 유닛(1)으로부터 광섬유 심선(3)이 튀어나오기 쉬워져, 취급성이 나빠진다.
또한, 접합부(7)의 최대 박리 강도는 0.01N 이상 2.0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박리 강도는 JIS K 6854의 필링 시험을 이용한 강도 값이다. 최대 박리 강도가 0.01N 미만에서는, 제조 중에 접합부(7)가 떨어져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최대 박리 강도가 2.0N을 초과하면, 접합력이 너무 강해, 분기 작업시 등에 번들재(5a, 5b)의 접합부(7)를 떼어내는 것이 곤란해져, 광섬유 심선(3)을 손상시켜버릴 우려가 있다.
다음으로, 광섬유 유닛(1)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광섬유 심선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광섬유 심선(3)이 묶여서, 광섬유 심선(3) 다발이 형성된다. 이어서, 광섬유 심선 다발의 외주에 2개의 번들재(5a, 5b)가 공급된다.
2개의 번들재(5a, 5b)를 연속하여 보내면서, 우선,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섬유 심선(3)의 일방측(도면에서는 아래쪽)에 번들재(5a, 5b)가 배치된다. 또한, 번들재(5a, 5b)의 일부가 접합부(7)에서 접합된다. 예를 들면, 가열된 치구로, 번들재(5a, 5b)를 끼워넣음으로써, 용이하게 양자를 열 융착시킬 수 있다. 또한, 번들재(5a, 5b)는 접착제 등 다른 수단으로 접합되어도 된다.
다음으로, 광섬유 심선(3)의 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도면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광섬유 심선(3)을, 일방측의 접합부(7)에 맞닿도록, 번들재(5a, 5b)와 광섬유 심선(3)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도면 중 화살표 D, E), 번들재(5a, 5b)를 광섬유 심선(3)의 타방측(도면에서는 위쪽)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번들재(5a, 5b)와 광섬유 심선(3)의 상대적인 이동은 어느 한쪽만을 이동시켜도 되고, 양자를 이동시켜도 된다.
다음으로,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섬유 심선(3)의 타방측(도면에서는 위쪽)에서, 번들재(5a, 5b)끼리 근접시킨다(도면 중 화살표 F).
또한,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번들재(5a, 5b)끼리 접합한다. 번들재(5a, 5b)끼리의 접합 후, 번들재(5a, 5b)를 역방향으로 되꼰다(도 2b의 근접 방향(F)과 역방향으로 이간시킨다). 이어서, 광섬유 심선(3)을, 먼저 접합한 타방측의 접합부(7)에 맞닿도록, 번들재(5a, 5b)와 광섬유 심선(3)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도면 중 화살표 G, H), 번들재(5a, 5b)를 광섬유 심선(3)의 일방측(도면에서는 아래쪽)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섬유 심선(3)의 일방측(도면에서는 아래쪽)에서, 번들재(5a, 5b)끼리 근접시킨다(도면 중 화살표 I).
또한,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번들재(5a, 5b)끼리 접합 후, 번들재(5a, 5b)를 역방향으로 되꼰다(도 3b의 근접 방향(I)과 역방향으로 이간시킨다). 다음으로, 광섬유 심선(3)을, 먼저 접합한 일방측의 접합부(7)에 맞닿도록, 번들재(5a, 5b)와 광섬유 심선(3)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도면 중 화살표 J, K), 번들재(5a, 5b)를 광섬유 심선(3)의 타방측(도면에서는 위쪽)으로 이동시킨다.
이상을 반복함으로써, 번들재(5a, 5b)가 광섬유 심선(3)의 외주에 나선형으로 감기지 않고(여러 둘레에 걸쳐 동일 방향으로 연속하여 감기지 않고), 광섬유 유닛(1)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번들재(5a, 5b)를 끼워넣는 치구의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접합부(7)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번들재(5a, 5b)의 공급 속도와, 번들재(5a, 5b)와 광섬유 심선(3)의 이동 타이밍을 상대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접합부(9)의 피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번들재(5a, 5b) 양자를, 정역 반전시켜 되꼬는 방법을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번들재 중, 적어도 1개를 정역 반전시켜 되꼬면 된다.
도 4a는 광섬유 유닛(1a)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광섬유 유닛(1a)은, 광섬유 유닛(1)과 거의 같은 구성이지만, 번들재(5a)만을 정역 반전시켜 되꼬며, 번들재(5b)는 광섬유 유닛(1a)의 장변 방향에 대략 직선형으로 배치된다.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번들재(5a)는 광섬유 유닛(1)의 둘레 방향 범위(L)에서, 감는 방향을 정역 반전시키면서 마련되어, 번들재(5b)는, 둘레 방향의 위치가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즉, 번들재(5a)는, 광섬유 심선(3) 외주의 약 360° 범위에서 정역 반전하면서 되꼬아진다.
또한, 이 경우에도, 번들재(5a, 5b)의 접합과, 번들재(5a, 5b)와 광섬유 심선(3)의 상대적 위치 이동을 반복함으로써, 광섬유 유닛(1a)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단심 광섬유 심선(3)을 번들재(5a, 5b)로 묶은 예를 나타냈지만, 복수의 광섬유 테이프 심선에 적용해도 된다.
도 5a는 광섬유 유닛(1b)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광섬유 유닛(1b)의 장변 방향으로 수직인 단면도이다. 광섬유 유닛(1b)은 광섬유 유닛(1)과 거의 같은 구성이지만, 단심 광섬유 심선(3) 대신 광섬유 테이프 심선(3a)이 적용된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광섬유 테이프 심선(3a)이 4심인 예를 나타내지만, 심수는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3개의 광섬유 테이프 심선(3a)에 의한 광섬유 유닛(1b)의 예를 나타내지만, 광섬유 테이프 심선(3a)의 개수는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광섬유 유닛(1b)에 대하여서도, 광섬유 유닛(1a)과 같이, 번들재(5a)는, 광섬유 유닛(1b)의 둘레 방향의 대략 전체 둘레에, 감는 방향을 정역 반전시키면서 마련되어, 번들재(5b)는, 둘레 방향의 위치가 거의 변화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광섬유 유닛(1)을 사용한 광섬유 케이블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광섬유 유닛(1)을 사용한 예를 나타내지만, 광섬유 유닛(1a, 1b)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a는 광섬유 케이블(1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술한 방법으로 얻어진 복수의 광섬유 유닛(1)이 꼬아 합쳐져서, 그들 외주에 폴리프로필렌사 등의 완충체(11)가 마련되어, 케이블 코어가 형성된다.
또한, 얻어진 케이블 코어의 외주에, 강선 등으로 이루어지는 텐션 부재(15) 및 찢는 끈(17)이 배치되고, 또한, 광섬유 유닛(1)으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코어와, 텐션 부재(15) 등의 외주에 폴리에틸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외피(13)가 압출 피복된다. 즉, 외피(13)의 내부에는, 케이블 코어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의 텐션 부재(15)가 마련되며, 텐션 부재(15)의 대향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케이블 코어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찢는 끈(17)이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6a에 나타내는 광섬유 케이블(10) 외에, 예를 들면 도 6b에 나타내는 슬롯을 사용한 광섬유 케이블(10a)이어도 된다.
광섬유 케이블(10a)은 슬롯(19)의 외주에 형성된 복수의 슬롯 홈(21)에 각각 광섬유 유닛(1)이 배치된다. 또한, 텐션 부재(15)는, 슬롯(19)의 대략 중심에 마련되며, 슬롯(19)의 외주에 필요에 따라 가압하여 감은 후에 외피(13)가 형성된다. 이 경우라도, 광섬유 케이블(10)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번들재(5a, 5b)가 각각 동일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감기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둘레 방향 범위에서 감는 방향이 정역 반전하도록 광섬유 심선(3) 또는 광섬유 테이프 심선(3a)의 외주에 마련되기 때문에, 접합부(7) 파단이 용이함과 동시에, 번들재(5a, 5b)를 되감지 않고 용이하게 내부의 광섬유 심선(3)을 꺼낼 수 있다. 때문에, 광섬유 심선(3) 또는 광섬유 테이프 심선(3a)의 분기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번들재(5a, 5b)의 접합부(7) 길이가 5㎜ 이상 20㎜ 이하이기 때문에, 제조 중 등에 접합부(7)가 떨어지는 일이 없고, 접합부(7)인 직선부가 너무 길어지는 것으로 인하여 광섬유 심선이 튀어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번들재의 접합부의 박리 강도가 0.01N 이상 2.0N 이하이기 때문에, 제조 중 등에 접합부(7)가 떨어지지 않고, 또한, 분기 작업 시에 접합부(7)를 박리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번들재(5a, 5b)가 수지 테이프이고, 번들재(5a, 5b)의 접합부(7)가 가열 융착에 의해 접합되기 때문에, 광섬유 유닛(1, 1a, 1b)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상,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좌우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도출할 수 있는 것은 분명하며, 그것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면, 번들재(5a, 5b) 교차부의 접합부(7)에서, 번들재(5a, 5b)의 래핑 부분의 상하 관계(외주 측과 내주 측의 위치 관계)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 접합부(7)에서는, 번들재(5a)가 외주 측에, 번들재(5b)가 내주 측에 배치되고, 다른쪽 접합부(7)에서는, 이와 반대로, 번들재(5b)가 외주 측에, 번들재(5a)가 내주 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느 접합부(7)에서도, 번들재(5a)가 외주 측에 배치되고, 번들재(5b)가 내주 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광섬유 유닛(1a, 1b)에서도 마찬가지이다.
1, 1a, 1b : 광섬유 유닛
2 : 광섬유 소선
3 : 광섬유 심선
3a : 광섬유 테이프 심선
5a, 5b : 번들재
7 : 접합부
9 : 접착부
10, 10a : 광섬유 케이블
11 : 완충체
13 : 외피
15 : 텐션 부재
17 : 찢는 끈
19 : 슬롯
21 : 슬롯 홈

Claims (7)

  1. 복수의 광섬유 심선과,
    복수의 상기 광섬유 심선의 외주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번들재
    를 구비하며,
    상기 번들재는, 모두 상기 광섬유 심선의 외주에 나선형으로 감기지 않고, 적어도 1개의 상기 번들재는, 복수의 상기 광섬유 심선의 외주에, 감는 방향을 정역 반전시키면서 되꼬아져서, 상기 번들재끼리의 교차부에서, 상기 번들재끼리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번들재의 접합부 길이가, 5㎜ 이상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번들재의 접합부의 박리 강도가, 0.01N 이상 2.0N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번들재는 수지 테이프이고, 상기 번들재의 접합부는, 열 융착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심선은, 광섬유 테이프 심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유닛.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수의 광섬유 유닛과,
    텐션 부재와,
    상기 광섬유 유닛의 외주에 마련되는 외피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7. 복수의 광섬유 심선을 묶어, 상기 광섬유 심선의 외주에, 복수개의 번들재를 연속하여 보내면서,
    상기 광섬유 심선의 일방측에서 상기 번들재끼리 접합부에서 접합하여, 상기 광섬유 심선의 장변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광섬유 심선을 상기 일방측의 접합부에 맞닿도록 상기 번들재와 상기 광섬유 심선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번들재를 상기 광섬유 심선의 타방측으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상기 광섬유 심선의 타방측에서 상기 번들재끼리 접합부에서 접합하여, 상기 광섬유 심선의 장변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광섬유 심선을 상기 타방측의 접합부에 맞닿도록 상기 번들재와 상기 광섬유 심선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번들재를 상기 광섬유 심선의 상기 일방측으로 이동시키는 공정
    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유닛의 제조 방법.
KR1020197019031A 2016-12-21 2016-12-21 광섬유 유닛, 광섬유 케이블 및 광섬유 유닛의 제조 방법 KR201900943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88170 WO2018116420A1 (ja) 2016-12-21 2016-12-21 光ファイバユニット、光ファイバケーブル、および光ファイバユニット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390A true KR20190094390A (ko) 2019-08-13

Family

ID=62627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9031A KR20190094390A (ko) 2016-12-21 2016-12-21 광섬유 유닛, 광섬유 케이블 및 광섬유 유닛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59780B2 (ko)
JP (1) JPWO2018116420A1 (ko)
KR (1) KR20190094390A (ko)
CN (1) CN110088654B (ko)
WO (1) WO20181164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228U (ko) 2020-07-17 2022-01-25 주식회사케이텍정보통신 복잡한 사용 환경에 적합한 다심 광케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1965B1 (fr) * 2019-10-14 2021-11-05 Acome Faisceau de fibres optiqu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534A (ja) 1995-05-10 1997-01-2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複合架空線
JP2011169939A (ja) 2010-02-16 2011-09-0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ユニット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4781B2 (ja) 2007-02-07 2012-11-14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
JP5294585B2 (ja) 2007-08-02 2013-09-18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10095666A (ja) 2008-10-18 2010-04-30 Taiyo Yuden Co Ltd 接合方法及びこの方法を利用して製造された電子装置
JP2012088454A (ja) * 2010-10-18 2012-05-10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5272066B2 (ja) 2011-03-23 2013-08-28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ユニット、光ファイバユニットの製造方法、光ファイバユニットを用いた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
JP5777998B2 (ja) * 2011-10-17 2015-09-1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ユニット、光ファイバケーブル
WO2015052951A1 (ja) * 2013-10-07 2015-04-16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ユニット、光ファイバ分岐方法、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15215448A (ja) 2014-05-09 2015-12-03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6027186B1 (ja) * 2015-05-21 2016-11-16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6078586B2 (ja) * 2015-05-26 2017-02-08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ユニット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6163516B2 (ja) 2015-05-26 2017-07-12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ユニットの製造方法
US9977207B2 (en) * 2015-06-03 2018-05-22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Optical fiber cable with bonded core elements
US9869838B2 (en) * 2015-11-25 2018-01-16 Fujikura Ltd. Optical fiber cab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6138999B1 (ja) * 2016-05-20 2017-05-31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ユニット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534A (ja) 1995-05-10 1997-01-2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複合架空線
JP2011169939A (ja) 2010-02-16 2011-09-0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ユニット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228U (ko) 2020-07-17 2022-01-25 주식회사케이텍정보통신 복잡한 사용 환경에 적합한 다심 광케이블
KR20230001302U (ko) 2020-07-17 2023-06-26 주식회사케이텍정보통신 복잡한 사용 환경에 적합한 다심 광케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088654B (zh) 2021-04-09
US10859780B2 (en) 2020-12-08
JPWO2018116420A1 (ja) 2019-10-24
US20190302384A1 (en) 2019-10-03
CN110088654A (zh) 2019-08-02
WO2018116420A1 (ja)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24092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及びその分岐方法
JP6639773B2 (ja) ルースチューブ型光ファイバユニット
JP6657976B2 (ja) 間欠連結型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および光ケーブル
JP2020024257A (ja)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光ファイバケーブル、および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の融着接続方法
JP6492979B2 (ja) ガラス繊維集束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94390A (ko) 광섬유 유닛, 광섬유 케이블 및 광섬유 유닛의 제조 방법
JP2008249824A (ja) 光ケーブル
JP5158893B2 (ja) 光ファイバユニット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5823247B2 (ja) 光ファイバユニット、光ファイバユニットの製造方法、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6329912B2 (ja)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光ファイバケーブル
IT9019720A1 (it) Giunto per cavi ed anime di cavi a fibre ottiche e metodo per la sua realizzazione
JP6298507B1 (ja) 光ファイバユニット
JP6409813B2 (ja) 光ファイバユニット、光ファイバケーブルおよび光ファイバユニットの製造方法
TWI647500B (zh) Optical fiber unit, optical fiber cab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fiber unit
TWI646362B (zh) 光纖單元及光纖電纜
TWI615649B (zh) 光纖單元及光纖纜線
JP6353582B2 (ja) 光ファイバユニット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17009925A (ja) 光ファイバユニット、光ファイバケーブル、および光ファイバユニットの製造方法
TWI802857B (zh) 光纖纜線
JPWO2019139018A1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およ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2016080749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TWI818525B (zh) 光纖纜線及光纖纜線製造方法
TWI663440B (zh) 光纖單元及光纖電纜
JP2022012477A (ja) 光ファイバユニット製造方法、光ケーブル製造方法、光ファイバユニット製造装置及び光ケーブル製造装置
JP2022128317A (ja) マルチコアファイバ及びマルチコアファイ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