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302U - 복잡한 사용 환경에 적합한 다심 광케이블 - Google Patents

복잡한 사용 환경에 적합한 다심 광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302U
KR20230001302U KR2020230001244U KR20230001244U KR20230001302U KR 20230001302 U KR20230001302 U KR 20230001302U KR 2020230001244 U KR2020230001244 U KR 2020230001244U KR 20230001244 U KR20230001244 U KR 20230001244U KR 20230001302 U KR20230001302 U KR 202300013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optical cable
optical
core
signa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12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케이텍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케이텍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케이텍정보통신
Publication of KR202300013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30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42Multicore optical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79Manufacturing methods of optical cables
    • G02B6/4482Code or colour marking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잡한 사용 환경에 적합한 다심 광케이블은, 제1 외피 내부에 신호 전송용 광케이블 심선과 발광 확인용 광케이블 심선을 한쌍으로 한 복수개의 광케이블 심선 쌍을 포함하는 메인 케이블부와, 상기 메인 케이블부 양 끝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 케이블부 내에서 연장되는 광케이블 심선들이 제2외피로 피복되는 2개의 분기부와, 상기 제2 외피로 피복된 광케이블들이 상기 각 분기부에서 밖으로 노출되어 연장되는 분기 케이블부 및 상기 분기 케이블부의 각 신호 전송용 광케이블 끝에 결합된 광커넥터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다심 광케이블에서 각 분기 광케이블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또한, 다심 광케이블의 제조 과정에서도 복수개의 심선을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잡한 사용 환경에 적합한 다심 광케이블{Multi-core optical cable for an environment of complicated bundle use}
본 고안은 다심 광섬유 케이블(이하, '광케이블'이라 함)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광케이블이 대량으로 연결되는 복잡한 사용 환경에 특히 적합한 다심 광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전하고 정보통신 기술이 발전하면서, 사회는 과거보다 훨씬 더 많은 정보를 생산하고 이 정보들을 필요한 곳에 제공하고 있다.
유/무선 인터넷에 의해 대량의 정보들이 빠르게 교환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이렇게 대량의 정보들을 보다 빠르게 전달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술과 통신 기술도 진화하고 있다.
대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에서 빠질 수 없는 요소가 전송매체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광섬유 케이블은 유리나 플라스틱 재질의 섬유로 만들어진 정보전달 매체로서, 다른 종류의 케이블에 비해 잡음에 강하고 방해를 덜 받기 때문에 증폭을 하지 않아도 아주 먼 거리까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극저손실, 초광대역이어서 전송 매체로서는 매우 뛰어난 특성을 갖는다. 또한 가늘고 가벼우며 구부리기 쉬워 작업성의 면에서도 뛰어나기 때문에 유/무선 네트워크의 백본망 등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더욱이, 스마트폰의 광범위한 확산과 이동통신망을 통한 동영상 컨텐츠 등의 이용 수요의 증가와 그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비스가 급속히 확대되면서, 이동 통신망의 데이터 트래픽도 급증하게 되어 전 세계적으로 5G 이동통신망의 도입을 야기하게 되었다.
5G는 4G에 비하여 약 20배 이상 더 많은 통신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고, 그에 따라 기존에 설치된 기지국들은 기지국의 처리 용량이 증가할수록 공간적 환경은 훨씬 더 협소해지게 되어서, 기지국 장비들의 설치와 안정적 운용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기지국에서는 5G 스마트 구축 장비를 고집적화하여 안정적인 운용을 도모하고 있으며, 이처럼 장비의 고집적화가 진행되면서 장비 간 간격 및 광 어댑터 간 간격도 점점 조밀해지고 있다.
한편, 기지국에 고집적화되어 구축된 장비들 사이에 연결된 여러 가닥의 OJC(optical jumper cord)들은 관리의 편의나 미관을 위해 도 7의 (a)와 같이 번들로 정리되어 있다.
그리고 이렇게 많은 양의 OJC 케이블들이 번들로 뭉쳐진 상태에서 특정 케이블을 쉽게 확인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광케이블에 또 하나의 광케이블이 2중으로 겹쳐져 있는 VOJC(visible optical jumper cord)를 사용한다.
상기 VOJC(visible optical jumper cord)는 도 7의 (b), (c)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광케이블의 한쪽 끝에서 광을 주입하고 다른 쪽 끝에서 발광을 확인하여 케이블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7의 (b)는 실제 VOJC(visible optical jumper cord) 케이블에서 발광되는 것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7의 (c)는 도 7의 (b)의 케이블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도 7과 같은 종래의 VOJC 케이블은, 하나의 케이블 외피 내에 복수개의 심선들(다심)이 삽입되어 있는 다심 케이블의 경우, 도 7의 (c)에서 보는 것처럼, 복수개의 심선들이 하나의 외피 안에 삽입되어 있는 중앙의 메인 케이블 영역에만 발광을 통한 확인용 케이블이 위치하고 있어서, 중앙 좌우의 각 분기 케이블들에 대해서는 반대쪽과 연결되는 특정 케이블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이에 본 고안은 다심 광케이블에서의 분기 광케이블의 확인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그와 같은 광케이블의 제조 과정에서도 복수개의 심선을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는 새로운 다심 광케이블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9-0094390 호 (2019.08.13)
본 고안은 다심 광케이블에서 각 분기 광케이블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광케이블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또한, 다심 광케이블의 제조 과정에서도 복수개의 심선을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는 다심 광케이블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잡한 사용 환경에 적합한 다심 광케이블은, 제1 외피 내부에 하나 이상의 신호 전송용 광케이블 심선과 하나의 발광 확인용 광케이블 심선을 한 조로 한 복수개의 광케이블 심선 조를포함하는 메인 케이블부와, 상기 메인 케이블부 양 끝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 케이블부 내에서 연장되는 광케이블 심선들이 제2외피로 피복되는 2개의 분기부와, 상기 제2 외피로 피복된 광케이블들이 상기 각 분기부에서 밖으로 노출되어 연장되는 분기 케이블부 및 상기 분기 케이블부의 각 신호 전송용 광케이블 끝에 결합된 광커넥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외피는, 적어도 하나의 직경이 다른 2개 이상의 외피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분기 케이블부의 발광 확인용 광케이블들 중 적어도 하나의케이블 끝에는 페룰 발광부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분기 케이블부의 발광 확인용 광케이블은 끝 부분이 상기 신호 전송용 케이블과 벌어져 있고, 벌어지기 시작하는 지점에는 열수축튜브에 의해 신호 전송용 케이블과 묶일 수 있다.
상기 분기 케이블부의 발광 확인용 광케이블들은 상기 신호 전송용 광케이블보다 길이가 짧을 수 있다.
상기 서로 직경이 다른 외피 중 더 작은 직경의 외피는 상기 발광 확인용 광케이블 심선의 외피일 수 있다.
상기 메인 케이블부 내의 상기 신호 전송용 광케이블 심선과 상기 발광 확인용 광케이블 심선은 한 조씩 같은 색깔로 구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발광 확인용 광케이블 심선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신호 전송용 광케이블 심선과의 구분을 위한 표식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다심 광케이블에서 각 분기 광케이블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또한, 다심 광케이블의 제조 과정에서도 복수개의 심선을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케이블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메인 케이블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분기부를 중심으로 메인 케이블부와 분기 케이블부를 대비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분기부 내의 광케이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분기 케이블부의 제2 외피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광커넥터에 연결된 분기 케이블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종래의 다심 광케이블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심 광케이블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다심 광케이블에서 메인 케이블부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다심 광케이블의 실제 촬영 사진이고, 도 1의 (b)는 도 1의 (a)의 다심 광케이블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은 메인 케이블부(110)와, 분기부(120)와, 분기 케이블부(130) 및 광커넥터부(140)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케이블부(110)는 다심 광케이블에서 제1 외피(113)로 피복되어 있는 중앙 구간이다. 상기 제1 외피 내부에는 복수개의 신호 전송용 광케이블 심선들(111)과 복수개의 발광 확인용 광케이블 심선들(112)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제1 외피(113) 내부의 빈 공간에는 상기 광케이블 심선들(111, 112)을 서로 적당히 이격시켜 보호하면서 지지하기 위한 다양한 소재로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소재는, 예를 들어, 아라미드 섬유(케블라 섬유)일 수 있다.
상기 신호 전송용 광케이블 심선들(111)과 상기 발광 확인용 광케이블 심선들(112)은 서로 동일한 개수이거나, 또는 신호 전송용 광케이블 심선들(111)의 수가 발광 확인용 광케이블 심선들(112) 수의 배수(2배 등)일 수 있으다.
또한, 하나 이상의 신호 전송용 광케이블 심선과 하나의 발광 확인용 광케이블 심선이 한 조를 이루도록 심선의 외부 표면이 같은 색깔로 구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메인 케이블부(110) 내의 심선 수는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분기부(120)를 중심으로 메인 케이블부(110)와 분기 케이블부(130)를 대비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3의 분기부(120)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분기부(120)는 상기 메인 케이블부(110)의 양 끝에 위치하고, 상기 분기부(120)의 내부에서는 메인 케이블부 내에서 연장되는 광케이블 심선들(111, 112)이 제2 외피(135)로 피복되어 있다.
상기 제2 외피(135)는 적어도 하나의 직경이 다른 2개 이상의 외피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2 외피의 예로서, 2개의 서로 직경이 다른 외피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8자형 외피를 도시하였지만, 큰 직경의 외피 2개와 작은 직경의 외피 하나가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서로 직경이 다른 2개 이상의 외피 중 더 큰 직경의 외피(131)에는 신호 전송용 광케이블 심선(111)이 삽입되고, 더 작은 직경의 외피(132)에는 발광 확인용 광케이블 심선(112)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2종류의 광케이블 심선들(111, 112)은 한 조씩 같은 색으로 구분되어 있으므로, 상기 메인 케이블부(110) 내에서 연장되는 심선들을 상기 분기부에서 제2 외피(135)로 피복함에 같은 색깔로 구분되는 한 조의 심선들끼리 상기 일체형 제2 외피(135)에 삽입하게 되므로, 제조 과정에서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분기부(120)와 광커넥터부(140) 사이에서 발광 확인용 광케이블 수를 신호 전송용 광케이블 수보다 적게 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분기부에서 광케이블 심선에 제2 외피를 씌울 때 불필요한 발광 확인용 광케이블을 잘라내고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제2 외피(135) 내에 상기 2종류의 심선들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서로 직경이 다른 2개의 외피 중 더 큰 직경의 외피(131)에는 신호 전송용 광케이블 심선(111)이 삽입되어야 하고, 더 작은 직경의 외피(132)에는 발광 확인용 광케이블 심선(112)이 삽입되어야 하므로, 제2 외피(135)에 심선들을 삽입할 때에는 메인 케이블부(110)에서 연장되는 심선들이 어떤 종류의 심선인지를 알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도 5에서와 같이 발광 확인용 광케이블 심선(112)에는 일정 간격으로 케이블 구분용 표식(115)이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다심 광케이블 제조 과정에서, 작업자는, 이 표식에 의해 심선의 종류를 구분하여 제2 외피(135)의 바른 위치에 각 심선을 정확히 삽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광커넥터(140)에 연결된 분기 케이블을 도시한 것이다.
도 1과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분기 케이블부(130)는 상기 각 분기부(120)에서 일체형 제2 외피(135)로 피복된 복수개의 광케이블들이 분기부(120) 밖으로 연장되어 노출된 구간이다.
상기 분기 케이블부(130)의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은, 하나이상의 신호 전송용 광케이블과 하나의 발광 확인용 광케이블이 한 조씩 제2 외피로 피복되어 있다.
상기 분기 케이블부(130)의 신호 전송용 광케이블 끝에는 광커넥터부(140)가 결합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발광 확인용 광케이블의 끝에는 페룰 발광부(133)가 부착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발광 확인용 광케이블은, 연결된 케이블을 선별하는 발광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므로 광커넥터에는 연결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광커넥터에 연결되어야 하는 신호 전송용 광케이블보다 짧게 형성하고, 끝에는 발광 확인을 위한 구성이 부착되는 것이다.
상기 페룰 발광부(133)는 광케이블의 맞은편 끝에서 주입되는 광을 발광시켜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페룰은 광접속기를 사용한 접속에서 심선의 정렬을 위해 사용되는 실린더 형태의 부품으로서 내부에 광섬유를 수용할 수 있는 하나의 미세한 구멍(hall)이 관통되어 있다. 스테인레스강, 세라믹, 또는 폴리머 등의 소재로 제작되며, 본 고안과 같이 단순히 발광을 확인하는 용도로서는 가격면에서 효용이 높은 폴리머 소재의 페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기 케이블부의 상기 발광 확인용 광케이블은 끝 부분이 상기 신호 전송용 케이블과 벌어져 있고, 벌어지기 시작하는 지점에는 열수축 튜브(134)에 의해 신호 전송용 케이블과 묶여 있게 함으로써, 페룰 발광부(133)를 부착하기 위해 서로 분리된 외피가 광케이블을 따라 계속해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심 광케이블은, 신호 전송용 심선과 발광 확인용 심선을 메인 케이블부 외피 내에 함께 내장하고, 메인 케이블부를 벗어나 분기되는 구간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직경이 다른 2개 이상의 외피들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외피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신호 전송용 광케이블에 발광 확인용 광케이블이 함께 한 조로 연장되게 함으로써, 무수히 많은 광케이블들이 번들로 배치되고 관리되는 복잡한 사용 환경에서도 상기 발광 확인용 광케이블을 통해 다심 광케이블의 분기선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필수적 특징을 유지한 채로 다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음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본적으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질 것이지만, 특허청구범위 기재사항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도출되는 구성은 물론 그와 등가인 구성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메인 케이블부
111 : 신호 전송용 광케이블
112 : 발광 확인용 광케이블
113 : 제1 외피
115 : 케이블 구분용 표식
120 : 분기부
130 : 분기 케이블부
131 : 신호 전송용 광케이블 외피
132 : 발광 확인용 광케이블 외피
133 : 페룰 발광부
134 : 열수축 튜브
135 : 제2 외피
140 : 광커넥터

Claims (2)

  1. 제1 외피 내부에 하나 이상의 신호 전송용 광케이블 심선과 하나의 발광 확인용 광케이블 심선을 한 조로 한 복수개의 광케이블 심선 조를 포함하는 메인 케이블부;
    상기 메인 케이블부 양 끝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 케이블부 내에서 연장되는 광케이블 심선들이 제2외피로 피복되는 2개의 분기부;
    상기 제2 외피로 피복된 광케이블들이 상기 각 분기부에서 밖으로 노출되어 연장되는 분기 케이블부; 및
    상기 분기 케이블부의 신호 전송용 광케이블 끝에 결합된 광커넥터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외피는, 적어도 하나의 직경이 다른 2개 이상의 외피가 길이 방향의 외측면이 나란하도록 붙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서로 직경이 다른 외피 중 더 작은 직경의 외피는 상기 발광 확인용 광케이블 심선의 외피이며,
    상기 메인 케이블부 내의 상기 신호 전송용 광케이블 심선과 상기 발광 확인용 광케이블 심선은 한 조씩 같은 색깔로 구분되어 있고,
    상기 발광 확인용 광케이블 심선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신호 전송용 광케이블 심선과의 구분을 위한 표식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 광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케이블부의 상기 발광 확인용 광케이블들 중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끝에는 페룰 발광부가 부착되고,
    상기 분기 케이블부의 상기 발광 확인용 광케이블은 끝 부분이 상기 신호 전송용 케이블과 벌어져 있고, 벌어지기 시작하는 지점에는 열수축 튜브에 의해 신호 전송용 케이블과 묶여 있으며,
    상기 분기 케이블부의 상기 발광 확인용 광케이블들은 상기 신호 전송용 광케이블보다 길이가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 광케이블.
KR2020230001244U 2020-07-17 2023-06-20 복잡한 사용 환경에 적합한 다심 광케이블 KR20230001302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2580 2020-07-17
KR2020200002580 2020-07-17
KR2020200002723U KR20220000228U (ko) 2020-07-17 2020-07-27 복잡한 사용 환경에 적합한 다심 광케이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723U Division KR20220000228U (ko) 2020-07-17 2020-07-27 복잡한 사용 환경에 적합한 다심 광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302U true KR20230001302U (ko) 2023-06-26

Family

ID=800487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723U KR20220000228U (ko) 2020-07-17 2020-07-27 복잡한 사용 환경에 적합한 다심 광케이블
KR2020230001244U KR20230001302U (ko) 2020-07-17 2023-06-20 복잡한 사용 환경에 적합한 다심 광케이블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723U KR20220000228U (ko) 2020-07-17 2020-07-27 복잡한 사용 환경에 적합한 다심 광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000228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4390A (ko) 2016-12-21 2019-08-13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광섬유 유닛, 광섬유 케이블 및 광섬유 유닛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4390A (ko) 2016-12-21 2019-08-13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광섬유 유닛, 광섬유 케이블 및 광섬유 유닛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228U (ko) 202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0209B2 (ja) コネクタ付光ファイバケーブル
CA2015306C (en) Optical fiber cable
EP0683901B1 (en) Fiber optic cable having buffer tubes with optical fiber bundles therein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6347172B1 (en) Cable having side-emitting fiber under transparent or translucent cable jacket
US9690061B2 (en) Multifiber subunit cable
CN112888978B (zh) 具有用于多路熔接的带化接口的光纤扇出组件及其制造方法
CN104169771A (zh) 用于光缆的视觉跟踪仪系统
CN103502864A (zh) 光纤电缆束
CN104040389A (zh) 光纤以及光缆
US20200225435A1 (en) Fiber multitube optical fiber cable
CN112334809B (zh) 光纤电缆
KR20230001302U (ko) 복잡한 사용 환경에 적합한 다심 광케이블
US20090087152A1 (en) Optical Cable, Arrangement for Connecting a Multiplicity of Optical Waveguid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Cable
KR101879390B1 (ko)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
JP2019066889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CN113284665B (zh) 一种光电复合缆及光电系统
JP6365459B2 (ja)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光ファイバケーブルおよび光ファイバコード
CN116420102A (zh) 光纤带芯线
JP6533254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EP3226047B1 (en) Single layer optical fiber cable for microduct application
KR20140051538A (ko) 타이트버퍼 광섬유 및 이를 이용한 분배용/분기용 케이블
CN211554409U (zh) 具有子单元设计的光缆组件
CN217846701U (zh) 一种柔性光纤线接头装置和柔性光纤线
KR200294708Y1 (ko) 다심분리형 광점퍼코드
KR200267348Y1 (ko) 광케이블용 팬아웃코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