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348Y1 - 광케이블용 팬아웃코드 - Google Patents

광케이블용 팬아웃코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348Y1
KR200267348Y1 KR2020010036200U KR20010036200U KR200267348Y1 KR 200267348 Y1 KR200267348 Y1 KR 200267348Y1 KR 2020010036200 U KR2020010036200 U KR 2020010036200U KR 20010036200 U KR20010036200 U KR 20010036200U KR 200267348 Y1 KR200267348 Y1 KR 2002673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optical cable
optical
core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2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셀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셀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셀아이
Priority to KR20200100362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3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3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348Y1/ko

Links

Landscapes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케이블용 팬아웃코드에 관한 것으로, 다심의 광케이블로부터 여러 가닥의 단심 광섬유를 분기시켜주는 팬아웃코드를 구성함에 있어서, 광섬유들이 심선수에 따라 최소의 크기에서 최적의 밀도로 분기될 수 있도록 하여 다심의 광섬유가 다량으로 사용되는 광섬유어레이에 손쉽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바깥쪽으로부터 리본타입의 다심 광섬유가 인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광케이블 인입부와; 광케이블인입부를 통하여 인입된 후 분기된 여러 가닥의 단심광섬유들이 일정하게 배열된 형태로 인출되도록 가이드하는 광섬유인출부와; 한쪽 끝부분은 상기 광케이블인입부의 둘레면 외측에 끼워져 결합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상기 광섬유인출부의 둘레면 외측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의 광섬유들을 보호하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통형의 보호튜브를 포함한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광섬유인출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광섬유인출공이 분기된 단심 광섬유의 가닥수에 따라 최적의 밀도를 유지하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다심의 광섬유가 다량으로 사용되는 광섬유어레이에 손쉽게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케이블용 팬아웃코드{FAN-OUT CORD FOR OPTICAL CABLE}
본 고안은 광케이블용 팬아웃코드(Fanout Cord)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심의 광케이블로부터 여러 가닥의 단심 광섬유를 분기시켜주는 팬아웃코드를 구성함에 있어서, 광섬유들이 심선수에 따라 최소의 크기에서 최적의 밀도로 분기될 수 있도록 하여 다심의 광섬유가 다량으로 사용되는 광섬유어레이에 손쉽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한 광케이블용 팬아웃코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외적으로 랜(LAN : Local Area Network) 보급확산, 양방향 통신구현, 화상통신구현 등의 통신서비스에 관련된 가입자 회로망의 보급이 확장됨에 따라 광케이블의 수요 또한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추세에 맞추어 광케이블 형태 또한 기존의 단심 또는 소심형에서 여러 가닥의 광섬유를 하나의 묶음으로 하는 리본 타입의 다심형으로 대체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심형 광케이블의 적용과 함께 팬아웃코드, 다심형 광커넥터 등의 접속부품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다심형 광케이블은 접속시간을 단축시키고 유지보수를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케이블의 끝부분에 다심형 광커넥터가 부착된다.
실예로서 전화국에 인입되는 다심형 광케이블은 전송장비와의 연결을 위하여 MDF에 실장되는 데, 상기한 전송장비는 단심형 광커넥터를 사용하고 있어 다심형 광케이블에 연결된 다심형 광커넥터와의 직접적인 접속은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전송장비와 MDF에 실장된 광케이블상의 다심형 광커넥터를 연결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단심형 광커넥터와 다심형 광커넥터 모두에 접속이 가능한 접속부품이 요구되는 데, 이 때 사용되는 것이 팬아웃코드이다.
이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팬아웃코드는 한쪽방향으로부터 내측으로 리본타입의 다심형 광케이블이 인입되고, 반대쪽으로는 상기 다심형 광케이블로부터 분기된 여러 가닥의 단심 광섬유가 소정의 길이로 인출되도록 구성되며, 각 단심 광섬유의 단부에는 전송장비 등에 접속되는 단심형 광커넥터가 결합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팬아웃코드가 대부분 육면체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심선수에 비례하여 그 너비가 점점 커지게 되어 다심의 광섬유가 다량으로 사용되는 광섬유 어레이에는 적용하기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심의 광케이블로부터 여러 가닥의 단심 광섬유를 분기시켜주는 팬아웃코드를 구성함에 있어서, 광섬유들이 심선수에 따라 최소의 크기에서 최적의 밀도로 분기될 수 있도록 하여 다심의 광섬유가 다량으로 사용되는 광섬유어레이에 손쉽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한 광케이블용 팬아웃코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광케이블용 팬아웃코드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광케이블용 팬아웃코드에서 보호튜브와 광케이블인출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광케이블용 팬아웃코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광케이블용 팬아웃코드를 이용하여 광섬유를 분기시키는 경우 광섬유인출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팬아웃코드 20 : 광케이블인입부
22 : 사각공 30 : 광섬유인출부
32 : 광섬유인출공 34 : 접착제 도포홈
36 : 걸림홈 40 : 보호튜브
42 : 걸림부 50 : 다심 광케이블
60 : 단심 광섬유.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광케이블용 팬아웃코드는 바깥쪽으로부터 리본타입의 다심 광섬유가 인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광케이블 인입부와; 광케이블인입부를 통하여 인입된 후 분기된 여러 가닥의 단심광섬유들이 일정하게 배열된 형태로 인출되도록 가이드하는 광섬유인출부와; 한쪽 끝부분은 상기 광케이블인입부의 둘레면 외측에 끼워져 결합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상기 광섬유인출부의 둘레면 외측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의 광섬유들을 보호하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통형의 보호튜브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보호튜브의 양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광케이블인입부와 광섬유인출부의 외측 둘레면에는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접착제도포홈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보호튜브의 일측단은 중심쪽으로 절곡된 걸림부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광케이블인입부의 외측 둘레면에는 상기 걸림부가 끼워져 걸리도록 하는 걸림홈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광케이블용 팬아웃코드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광케이블용 팬아웃코드(10)는 광케이블인입부(20)와 광섬유인출부(30) 및 보호튜브(40)의 3가지 부품이 서로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광케이블인입부(20)는 그 선단에 리본타입의 다심 광케이블(50)과 동일한 형태의 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중심선을 따라 입구보다 확장된 크기를 갖는 일정한 길이의 사각공(22)이 형성된다.
상기 광섬유인출부(30)는 광케이블인입부(2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대칭이 되도록 위치되며, 내부에는 중심선을 따라 소정의 크기를 갖는 광섬유인출공(32)이 형성된다.
상기 광케이블인입부(20)와 광섬유인출부(30)의 뒷부분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보호튜브(40)의 양단이 끼워진 상태에서 동일 평면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보호튜브(40)의 두께에 해당되는 크기만큼 단차(段差)지게 형성되고, 상기 보호튜브(40)의 양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부분의 둘레면상에는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소정 폭의 접착제도포홈(3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광섬유인출부(30)의 내측에 형성되는 광섬유인출공(32)은 다심형 광케이블(50)로부터 분기되는 단심 광섬유(60)의 가닥수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지지만 밀도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그 내측둘레면을 따라 여러 가닥의 광섬유들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고리형으로 배치되도록 하고, 중심에는 잔여분의 광섬유가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호튜브(40)는 금속(SUS)으로 이루어지며, 그 양단은 각각 광케이블인입부(20)와 광섬유인출부(30)의 외측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의 광섬유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그 길이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광케이블용 팬아웃코드에서 보호튜브와 광케이블인출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을 보인 분리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보호튜브(40)와 광케이블인출부(30)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메카니즘으로서 위에서 설명한 접착제에 의한 결합방식 이외에, 보호튜브(40)의 일측단 가장자리를 중심쪽으로 구부려 걸림부(42)가 형성되도록 하고, 이에 대응되는 광섬유인출부(30)의 외측둘레면에는 상기 걸림부(42)가 끼워져 걸리도록 하는 걸림홈(36)이 형성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광케이블용 팬아웃코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광케이블용 팬아웃코드를 이용하여 광섬유를 분기시키는 경우 광섬유인출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다심형의 광케이블(50)을 분기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외측으로부터 광케이블인입부(20) 선단에 형성된 입구와 내부의 확장된 크기를 갖는 사각공(22)을 통하여 다심형의 광케이블(50)을 진입시킨다.
진입된 광케이블(50)로부터 여러 가닥의 단심 광섬유(60)를 분기시킨 다음 보호튜브(40)의 한쪽 끝을 광케이블진입부의 외측둘레면에 끼워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보호튜브(40)의 내측에 위치되는 여러 가닥의 단심 광섬유(60)를 다시 광섬유인출부(30)의 내측 중심선상에 형성된 광섬유인출공(32)을 통하여 밖으로 인출시킨다.
이 때, 상기 분기되는 단심 광섬유(60)가 8가닥이라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섬유인출공(32)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7가닥을 링형상으로 밀착되게 배치하고, 나머지 한가닥은 중심선상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밖으로 인출되도록 한다.
또, 상기 분기되는 단심 광섬유(60)가 12가닥이라면, 광섬유인출공(32)의 중심부에 3가닥을 밀착되게 배치하고, 광섬유인출공(32)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9가닥의 단심 광섬유(60)가 링형상으로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외부로 인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분기된 단심 광섬유(60)들이 광섬유인출부(30)의 바깥쪽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보호튜브(40)의 다른쪽 끝부분을 상기 광섬유인출부(30)의 외측둘레면에 끼워 결합시킨다.
상기 보호튜브(40)를 광케이블인입부(20)와 광섬유인출부(30)의 외측둘레면에 끼워결합하기 전에 미리 광케이블인입부(20)와 광섬유인출부(30)의 외측둘레면에 형성된 접착제도포홈(34)에 접착제를 도포하면, 보호튜브(40)가 이탈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또, 보호튜브(40)와 광케이블인입부(30)를 서로 결합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접착제를 이용할 수 도 있으나, 보호튜브(40)의 일측단에 걸림부(42)가 형성된 구조라면 광케이블인출부(30)의 외측에 형성된 걸림홈(36)에 상기 걸림부(42)를 끼워 맞춰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광섬유인출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광섬유인출공이 분기된 단심 광섬유의 가닥수에 따라 최적의 밀도를 유지하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다심의 광섬유가 다량으로 사용되는 광섬유어레이에 손쉽게 적용될 수 있다.

Claims (3)

  1. 바깥쪽으로부터 리본타입의 다심 광섬유가 인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광케이블 인입부와;
    광케이블인입부를 통하여 인입된 후 분기된 여러 가닥의 단심광섬유들이 일정하게 배열된 형태로 인출되도록 가이드하는 광섬유인출부와;
    한쪽 끝부분은 상기 광케이블인입부의 둘레면 외측에 끼워져 결합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상기 광섬유인출부의 둘레면 외측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의 광섬유들을 보호하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통형의 보호튜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용 팬아웃코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튜브의 양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광케이블인입부와 광섬유인출부의 외측 둘레면에는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접착제도포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용 팬아웃코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튜브의 일측단은 중심쪽으로 절곡된 걸림부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광케이블인입부의 외측 둘레면에는 상기 걸림부가 끼워져 걸리도록 하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용 팬아웃코드.
KR2020010036200U 2001-11-23 2001-11-23 광케이블용 팬아웃코드 KR2002673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200U KR200267348Y1 (ko) 2001-11-23 2001-11-23 광케이블용 팬아웃코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200U KR200267348Y1 (ko) 2001-11-23 2001-11-23 광케이블용 팬아웃코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348Y1 true KR200267348Y1 (ko) 2002-03-09

Family

ID=73113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200U KR200267348Y1 (ko) 2001-11-23 2001-11-23 광케이블용 팬아웃코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3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4176B2 (en) Fiber optic drop cables and preconnectorized assemblies
US7113679B2 (en) Fiber optic drop cables and preconnectorized assemblies having toning portions
US7111990B2 (en) Figure-eight preconnectorized fiber optic drop cables and assemblies
US7090407B2 (en) Preconnectorized fiber optic drop cables and assemblies for efficient deployment
US9696500B2 (en) Female hardened optical connectors for use with hybrid receptacle
US7844158B2 (en) Mini drop terminal
JP7183400B2 (ja) 光ファイバサブアセンブリ及び光ファイバコネクタ
US20040223720A1 (en) Preconnectorized fiber optic drop cables and assemblies
US20050281510A1 (en) Fiber optic cable and plug assembly
JP2008500578A (ja) 複合成形中間分岐点を有する配線ケーブル組立体
US7630610B2 (en) Loop back plug with protective dust cap
KR200267348Y1 (ko) 광케이블용 팬아웃코드
WO2020248919A1 (zh) 一种光纤插芯及多芯光纤连接器
KR100441661B1 (ko) 팬아웃코드
CN211554409U (zh) 具有子单元设计的光缆组件
KR100290181B1 (ko) 리본형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
US11243367B2 (en) Multiple cable size fiber optic transition assemblies
KR200294708Y1 (ko) 다심분리형 광점퍼코드
KR100276071B1 (ko) 다심광섬유케이블용성단케이블
KR19990017500A (ko) 광선단 케이블 처리구조
JP6533254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KR100391091B1 (ko) 광 다심 점퍼 코드 케이블
EP3206066B1 (en) Preconnectorized optical cable assembly
KR100276072B1 (ko) 다심 광섬유 케이블용 성단조립체
KR20230001302U (ko) 복잡한 사용 환경에 적합한 다심 광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