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390B1 -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 - Google Patents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390B1
KR101879390B1 KR1020170178136A KR20170178136A KR101879390B1 KR 101879390 B1 KR101879390 B1 KR 101879390B1 KR 1020170178136 A KR1020170178136 A KR 1020170178136A KR 20170178136 A KR20170178136 A KR 20170178136A KR 101879390 B1 KR101879390 B1 KR 101879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optical
light
optical fiber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8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
Priority to KR1020170178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3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79Manufacturing methods of optical cables
    • G02B6/4482Code or colour mark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33Core or cladding made from organic material, e.g. polymer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302Polyurethanes or polythiourethanes; Polyurea or polythiou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3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B3/38 or H01B3/302
    • H01B3/305Polyamides or polyesteram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3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vinylhalogenides or other halogenoethylenic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3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vinylhalogenides or other halogenoethylenic compounds
    • H01B3/445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vinylhalogenides or other halogenoethylenic compounds from vinylfluorides or other fluoroethylenic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7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acrylic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6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distinguishing or length mar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ptical Fibers, Optical Fiber Cores, And Optical Fiber Bun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케이블을 이용하면서도 다수개의 통신용 광섬유 케이블을 식별할 수 있는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외피 내에 다수의 광섬유 케이블이 삽입된 통신용 광섬유 케이블 몸체부; 및 상기 통신용 광섬유 케이블 몸체부의 일측에 대응되게 길이 방향으로 일체로 고정되고, 외부 재질의 거칠기가 내부 재질의 거칠기와 다르게 이루어져, 일측으로 흡광된 빛(L)을 길이 방향의 외부 재질로 발광시키면서 타측으로 전달하는 플라스틱 재질의 식별 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Description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Device for identifying optical line with optical fiber cables}
본 발명은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케이블을 이용하면서도 다수개의 통신용 광섬유 케이블을 식별할 수 있는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수요의 증가 및 광가입자 시대를 맞이하여 광케이블의 설치가 증가하면서 광네트워크로부터의 광케이블을 각각의 광가입자 및 전송장비에 용이하게 분배 및 접속하기 위하여 광분배함 및 광접속함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광분배함 및 광접속함에서는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광케이블을 각각의 광가입자 및 전송장비에 적절하게 분배 및 접속하기 위하여 광점퍼코드를 사용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광점퍼코드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광코드(101)의 양단에 광커넥터(102)를 접속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광점퍼코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광코드의 양단의 외부피복을 소정길이만큼 탈피하여 각각 광커넥터와 접속한 후, 탈피 및 접속된 부분에 다시 외부피복을 입혀서 접속된 부분을 고정하고 외부환경으로 광코드가 노출되지 않도록 제조된다. 사용에 있어서, 이러한 광점퍼코드는 외부로부터 광분배함 및 광접속함으로 인입되는 광케이블로부터 분기된 광코드들이 광점퍼코드의 일단에 있는 커넥터에 연결되고 각각의 광가입자 및 전송장비로부터의 광 코드들은 광점퍼코드의 타단에 있는 광커넥터에 연결된다. 즉, 인입되는 광케이블로부터 분기된 하나의 광코드를 광가입자 또는 전송장비로부터의 하나의 광코드에 연결하기 위해서 중간에 하나의 광점퍼코드가 사용되야 한다.
이러한 광점퍼코드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 광점퍼코드의 숫자가 증가하면 광분배함 및 광접속함에서 이들이 차지하는 부피는 증가하게 되며 광점퍼코드의 여장처리가 곤란하게 되고 광분배함 및 광접속함의 설계에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이러한 광점퍼코드를 제작하기 위하여 각각의 광코드마다 트레이(Tray) 위에서 외부피복을 탈피하고, 양단에 광커넥터를 접속하고 다시 외부 피복을 입혀 제작한 후 광분배함 및 광접속함에서 사용하여야 하므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게 되며 제작상 번거로움이 따른다. 또한, 이러한 광점퍼코드의 광커넥터는 통상적으로 단일 색상이므로 고장 및 오류가 발생한 경우 다수개의 광점퍼코드들이 배선된 상태에서 유지보수를 위하여 해당 광점퍼코드를 찾는 데 불편함이 있다.
도 2a는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 기술에 따른 개선 방법에 따른 광점퍼코드의 측면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광점퍼코드는 다수개의 광코드(203)를 외부재킷(206)을 통하여 집합한 광케이블(201), 광케이블(201)로부터 분기된 다수개의 광코드(203), 광케이블(201)로부터 다수개의 광섬유(203)를 분기하기 위하여 광케이블(201) 양단의 외부피복를 탈피하고 분기 후에 다시 외부피복을 입혀 마무리 처리한 분기 접속부(202) 및 분기된 다수의 광코드(203)의 양단에 접속되는 광커넥터(205)로 구성된다.
도 1a는 일반적인 광점퍼코드의 측면 예시도로서 도 1a에 도시된 광점퍼코드는 하나의 광코드(101)의 양단에 광커넥터(102)를 접속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도 1a에 도시된 광점퍼코드와 비교할 때, 도 2a에 도시된 광점퍼코드는 광 점퍼코드를 제작하기 위한 광케이블(201)에 다수개의 광코드(203)가 외부재킷을 통하여 집합되므로 하나의 일체화된 광점퍼코드로서 도1a에 도시된 하나의 광코드로 제작된 다수개의 광점퍼코드를 대신할 수 있다.
도 2b는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 기술에 따른 개선 방법에 따른 광점퍼코드의 광케이블(201) 부분의 단면도이다. 광섬유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광코드(203) 및 광코드를 감싸는 외부재킷(206)으로 구성된다. 물론 이는 가장 단순한 경우를 예로 든 것으로서 기온, 습도등의 주변 환경이나 연장길이 등을 고려할 때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경우에 따라서는 중심인장선을 추가할 수도 있고 외부재킷을 다중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광분배반 및 광접속함에서 광점퍼코드가 사용될 경우는 가장 단순한 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와 같은 광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광선로 상에 수백 내지 수만 가닥의 광케이블이 배치되기 때문에 특정의 케이블에 대한 연결 위치를 찾는데 많은 인력과 시간이 투입되는바, 비록 고도의 전문성과 경험을 지닌 숙련자라 할지라도 각종 검사 장비를 지니고 작업해야 할뿐더러 연결에 오류나 착오가 발생하여 반복적으로 재작업하는 상황이 매우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에 통상 2∼3시간 정도가 소요되는 작업을 8∼9시간 내지 며칠씩 걸리는 경우도 허다해서 결국 많은 비용부담은 물론, 일반소비자들의 불편으로 이어진다.
일 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88316호에 따르면, ‘투광성 재질의 중공형 보호튜브(24) 및 상기 보호튜브(24)의 내부에 일정간격의 유격을 가지고 포함되는 이엘(EL)와이어(22)로 이루어진 발광케이블; 수지 절연피복(32)을 포함하는 전자실드 와이어(31)에 있어서, 상기 수지 절연피복(32)의 외면에 추가로 결합하는 도전성 고분자 수지피복(34)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발광 케이블과 나란히 병설되는 전자실드 와이어로 이루어진 신호케이블; 및 상기 발광케이블과 신호케이블을 모두 내부에 포함하여 피복하며, 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진 최외각피복(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마이크 케이블.’을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발광 마이크 케이블의 경우 반복적인 굴곡이나 굽힘을 받는 마이크 케이블을 요지로 하고 있어 광분배함과 같이 무수한 다발의 광선로를 지닌 광통신 시스템 상에서 특정의 연결케이블을 식별하는 용도로 활용하기에 부적합하고,
또 다른 예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0031165호에 따르면, ‘꼬여진 한쌍의 동선으로 이루어진 전화선을 다수 개 구비하는 다심케이블에서 전화선의 동일선번 및 동일 선로를 검사하는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심케이블(20)의 일측에서 전화선과 연결되는 전원수단(30)과, 상기 다심케이블(20)의 타측에서 상기 전원수단(30)에 연결된 전화선과 동일한 전화선을 확인하는 검사수단(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케이블에서 전화선의 동일선번 및 동일선로를 검사하는 검사장치.’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검사장치는 다수의 LED를 종횡으로 배열시킨 검사장치를 구비해야 하므로 광분배함과 같이 무수한 다발의 광선로를 지닌 광통신 시스템 상에서 특정의 연결케이블을 식별하는 용도로 활용하기에 어려웠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88316호 "발광 마이크 케이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0031165호 "다심케이블에서 전화선의 동일선번 및 동일선로를 검사하는 검사장치"
본 발명은 플라스틱 케이블을 이용하면서도 다수개의 통신용 광섬유 케이블을 식별할 수 있는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거리의 통신용 광섬유 케이블을 식별할 수 있는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측면에서도 통신용 광섬유 케이블을 식별할 수 있는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는 하나의 외피 내에 다수의 광섬유 케이블이 삽입된 통신용 광섬유 케이블 몸체부; 상기 통신용 광섬유 케이블 몸체부로부터 상기 다수의 광섬유 케이블을 분기하기 위해 광섬유 케이블의 양단 외피를 탈피하여 분기하고, 다시 외부 피복을 입혀 마무리 처리한 분기 접속부; 분기된 다수의 광섬유 케이블의 양단에 접속되는 광커넥터; 및 상기 통신용 광섬유 케이블 몸체부의 일측에 대응되게 길이 방향으로 일체로 고정되고, 외부 재질의 거칠기가 내부 재질의 거칠기와 다르게 이루어져, 일측으로 흡광된 빛(L)을 길이 방향의 외부 표면으로 발광시키면서 타측으로 전달하는 식별 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에서 상기 식별 케이블의 일측에 투입되는 빛(L)은 190~3500㎚의 파장대역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에서 상기 식별 케이블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성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코어(cor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성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코어의 외부를 둘러싸는 클래딩(cladding); 및 투명 LSZH(low smoke zero Halogen)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클래딩의 외부를 둘러싼 케이블 자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에서 상기 식별 케이블의 클래딩은 외부 표면을 적어도 500 메쉬(mesh) 이상의 사포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1차 표면 처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에서 상기 식별 케이블의 물리적으로 1차 표면 처리된 클래딩의 외부 표면에 아세트산에틸(C4H8O2) 용액을 분사하여 화학적으로 2차 표면 처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에서 상기 식별 케이블의 1차 및 2차 표면 처리된 클래딩 부분은 식별 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1미터 이상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에서 상기 식별 케이블의 코어(core)와 클래딩(cladding)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투과하는 광선을 균일하게 확산시키고, 집광, 법선 방향으로의 굴절 등의 광학적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광반사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에서 상기 식별 케이블의 코어(core)에 포함되는 광반사 조성물은 실리카,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알루미늄, 황화바륨, 마그네슘실리케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선택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에서 상기 식별 케이블의 클래딩(cladding)에 포함되는 광반사 조성물은 아크릴 수지, 아크릴로니트릴 수지,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선택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에서 상기 광반사 조성물은 0.01% 질량 이상 1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에서 상기 광반사 조성물의 입자는 0.1 내지 10㎛의 크기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첫째, 광통신 시스템의 광분배함 간을 연결하는 다수 개의 통신용 광섬유 케이블의 식별이 용이하다.
둘째, 광통신 시스템의 광분배함 사이가 장거리일 때에도 다수 개의 통신용 광섬유 케이블을 식별할 수 있다.
셋째, 다수 개의 통신용 광섬유 케이블을 측면에서도 식별할 수 있다.
도 1a는 일반적인 싱글 라인 광 점퍼 코드의 예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2a는 개선 기술에 따른 다심 분리형 광점퍼 코드의 예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3a는 종래 기술에 따른 광선로 식별 케이블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선로 검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의 식별 케이블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식별 케이블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식별 케이블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식별 케이블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식별 케이블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식별 케이블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없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개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어떤 실시 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 블록 내에 명기된 기능 또는 동작이 흐름도에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는 두 블록이 실제로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관련된 기능 또는 동작에 따라서는 상기 블록들이 거꾸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하나의 외피 내에 다수의 광섬유 케이블이 삽입된 통신용 광섬유 케이블 몸체부(100), 상기 통신용 광섬유 케이블 몸체부(100)의 일측에 대응되게 길이 방향으로 일체로 고정되고, 외부 재질의 거칠기가 내부 재질의 거칠기와 다르게 이루어져, 일측으로 흡광된 빛(L)을 길이 방향의 외부 재지로 발광시키면서 타측으로 전달하는 플라스틱 재질의 식별 케이블(200), 상기 통신용 광섬유 케이블 몸체부(100)로부터 상기 다수의 광섬유 케이블을 분기하기 위해 광섬유 케이블의 양단 외피를 탈피하여 분기하고, 다시 외부 피복을 입혀 마무리 처리한 분기 접속부(300), 분기된 다수의 광섬유 케이블의 양단에 접속되는 광커넥터(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식별 케이블(200)은 상기 통신용 광섬유 케이블 몸체부(100)에 대응되게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고, 식별을 위하여 발광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식별 케이블은 통신용 광섬유 케이블 몸체부(100)에 고정된 상태로 양 끝단이 각각 분리된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 식별 케이블(200)의 일단에 빛(L)을 발산하여 타단에 빛(L)이 전달되도로가는 조광기(500)을 사용한다. 조광기(50)는 상술한 통신용 광섬유 케이블 몸체부(100)과 식별 케이블(200)과는 별도로 구성된 것으로 작업자가 휴대한 상태로 상기 식별 케이블(200) 상에 빛(L)을 발산하여, 케이블을 식별할 수 있도록하는 구성이다. 조광기(500)의 빛(L)은 작업자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적색 등의 색을 가진 빛이 식별에 유리하다. 조광기(500)는 빛(L)의 직진성이 강하면서 식별 케이블(200)을 수용할 수 있어 외부로 빛(L)이 벗어나지 않도록 빛(L)이 발광되는 부위는 많은 양의 빛(L)이 발산하게 된다. 상기 조광기(500)에 의해 식별 케이블(200)의 일측에 투입되는 빛(L)은 190~3500㎚의 파장대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의 식별 케이블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의 식별 케이블(200)는 코어(210)와 클래딩(220) 및 외부 재킷(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코어(210)와 클래딩(220) 및 외부 재킷(230)은 각각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코어(210)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성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클래딩(220)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성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케이블 쟈켓(230)은 고온에서도 견디고 유독가스 배출이 적은 화재확산 방지용 투명 LSZH(low smoke zero Halogen)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식별 케이블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조광기(500)는 휴대를 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만약 조광기(500)의 부재 시에는 광분배함(OFD)나 각종 장비의 광원을 이용한 빛(L)을 이용하여 무방하고, 레이저포인트, 스마트폰의 후레쉬를 사용하여도 가능하지만 발산되는 빛(L)이 약하거나 외부로 이탈되는 것으로 인해 반대측 빛(L)의 발산은 약할 수 있다. 따라서, 조광기(500)의 빛을 장거리로 보내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식별 케이블의 코어(core)(210)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성분(211) 외에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투과하는 광선을 균일하게 확산시키고, 집광, 법선 방향으로의 굴절 등의 광학적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1 광반사 조성물(2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반사 조성물(212)은 실리카,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알루미늄, 황화바륨, 마그네슘실리케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선택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식별 케이블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a의 실시 예와 달리,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성분(221) 외에, 상기 코어(210) 층으로부터 새어 나오는 빛과 제1 광반사 조성물(212)에 의해 반사 및 굴절된 빛을 광학적으로 향상시켜 집광 및 굴절 기능을 수행하는 제2 광반사 조성물(2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광반사 조성물(222)은 아크릴 수지, 아크릴로니트릴 수지,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선택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식별 케이블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b의 실시 예의 개선된 형태로서, 케이블 쟈켓(230)은 투명 LSZH(231) 외에 일측에 투입된 빛이 코어층(210)과 클래딩층(220)을 통과하거나, 제1 및 제2 광반사 조성물(212, 222)에 의해 굴절된 빛을 다시 집광하거나 굴절시키기 위한 제3 광반사 조성물(2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광반사 조성물(232)은 상기 제1 광반사 조성물(212) 또는 제2 광반사 조성물(222)와 동일한 물질이거나, 혹은 두 조성물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광반사 조성물(212, 222, 232)의 함유량은 코어층(210)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성분과, 클래딩층(220)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성분 및 케이블 쟈켓(230)의 투명 LSZH(low smoke zero Halogen) 재질에 대하여 0.01% 질량 이상 1질량% 이하의 함유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광반사 조성물(212, 222, 232)의 입자 크기는 0.1 내지 10㎛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식별 케이블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층(210), 클래딩층(220) 및 케이블 쟈켓(230)의 내부 구성은 동일하며, 도 7의 제3 실시 예와 달리, 클래딩(220)의 외부 표면을 물리적으로 표면처리한 실시 예이다. 상기 클래딩(220)의 외부 표면의 일부분(223)을 적어도 500메쉬(mesh) 이상의 사포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연마하는 1차 표면처리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이러한 1차 표면처리부분(223)은 소정 거리(W)를 두고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식별 케이블(200)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1미터 이상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식별 케이블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식별 케이블(200)에서 1차 표면처리된 클래딩의 외부 표면의 일부분(223)에 아세트산에틸(C4H8O2) 용액을 분사하여 화학적으로 2차 표면 처리한 영역(224)을 포함한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1차적으로 물리적 표면처리 후 2차적으로 화학적 표면처리를 수행하면 광의 집광, 반사 및 굴절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조광기(500)를 통해 식별 케이블(200)의 일측에 형성된 식별 케이블(200)의 일측에 빛(L)을 발산시키게 되면, 코어층(210)에 포함된 제1 광반사 조성물(212)와, 클래딩층(220)에 포함된 제2 광반사 조성물(222)에 의해 굴절된 빛은 제3 광반사 조성물(232)에 의해 다시 집광되거나, 굴절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식별 케이블(200)의 타측을 통해 빛(L)이 발산하게 되어 식별이 가능하다. 또한, 식별 케이블(200)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클래딩층(220)의 1차 및 2차 표면처리된 부분(223, 224)을 통해 방출되는 빛을 통해 식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광통신 시스템의 장거리에 놓인 광분배함 간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통신용 광섬유 케이블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구성하여 편의성이 증진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1: 광코드 102: 광커넥터
201: 광케이블 203: 광코드
205: 광커넥터 206: 외부 재킷
22: 이엘 와이어 24: 보호튜브
31: 전자실드 와이어 34: 수지피복
40: 최외각 피복 10: 검사수단
20: 다심케이블 30: 전원수단
100: 통신용 광섬유 케이블 몸체부 200: 식별 케이블
210: 코어층 211: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12: 제1 광반사 조성물 220: 클래딩층
221: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222: 제2 광반사 조성물
223: 1차 표면처리 영역 224: 2차 표면처리 영역
230: 케이블 쟈켓 231: 투명 LSZH
232: 제3 광반사 조성물

Claims (12)

  1. 하나의 외피 내에 다수의 광섬유 케이블이 삽입된 통신용 광섬유 케이블 몸체부; 및
    상기 통신용 광섬유 케이블 몸체부에 길이 방향으로 일체로 고정되고, 일단으로 흡광된 빛이 길이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유도하는 식별 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식별 케이블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성분으로 이루어지되, 진행하는 빛의 일부를 외부로 누출시키기 위한 제1광반사 조성물로서 실리카,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알루미늄, 황화바륨, 마그네슘실리케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이 혼합되어 형성된 코어(core);
    상기 코어의 외부를 둘러싸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olytetrafluoroethylene) 성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코어로부터 누광된 빛을 외부로 발산시키기 위한 제2광반사 조성물로서, 아크릴 수지, 아크릴로니트릴 수지,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미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이 혼합되어 형성된 클래딩(cladding); 및
    상기 클래딩의 외부를 둘러싸되, 투명 LSZH(low smoke zero Halogen) 재질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자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클래딩의 외측부에는 적어도 500 메쉬(mesh) 이상의 사포를 이용하여 표면 처리한 1차 표면처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1차 표면처리부 외표면에 아세트산에틸(C4H8O2) 용액을 분사하여 화학적으로 처리된 제2차 표면처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반사 조성물 및 제2광반사 조성물은 0.01% 질량 이상 1% 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반사 조성물 및 제2광반사 조성물의 입자크기는 0.1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케이블의 일측에 투입되는 빛(L)은 190~3500㎚의 파장대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70178136A 2017-12-22 2017-12-22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 KR101879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136A KR101879390B1 (ko) 2017-12-22 2017-12-22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136A KR101879390B1 (ko) 2017-12-22 2017-12-22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390B1 true KR101879390B1 (ko) 2018-07-18

Family

ID=63048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136A KR101879390B1 (ko) 2017-12-22 2017-12-22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3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7844A (zh) * 2018-12-03 2019-02-19 深圳市联讯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可见光快速寻线系统
KR102324061B1 (ko) * 2020-12-31 2021-11-10 주식회사 파인 양단부 식별이 가능한 광케이블
US11527338B2 (en) 2020-08-31 2022-12-13 Talentis Corp. Patch cord inspecting system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527A (ja) * 1994-07-04 1996-01-19 Hitachi Cable Ltd 側面発光型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00031165A (ko) * 1998-11-04 2000-06-05 이계철 다심케이블에서 전화선의 동일선번 및 동일선로를 검사하는 검사장치
KR200388316Y1 (ko) * 2005-02-14 2005-06-30 안영상 발광 마이크 케이블
KR20060078796A (ko) * 2004-12-31 2006-07-05 주식회사 효성 표면발광 플라스틱 광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1257603A (ja) * 2010-06-09 2011-12-22 Sumitomo Electric Ind Ltd コネクタ付集合光ケーブル
JP5341391B2 (ja) * 2008-05-16 2013-11-13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側面発光型光ファイバ
KR101602621B1 (ko) * 2015-08-20 2016-03-17 박선자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
US20160341922A1 (en) * 2015-05-20 2016-11-24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Traceable cable with side-emitting optical fiber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527A (ja) * 1994-07-04 1996-01-19 Hitachi Cable Ltd 側面発光型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00031165A (ko) * 1998-11-04 2000-06-05 이계철 다심케이블에서 전화선의 동일선번 및 동일선로를 검사하는 검사장치
KR20060078796A (ko) * 2004-12-31 2006-07-05 주식회사 효성 표면발광 플라스틱 광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88316Y1 (ko) * 2005-02-14 2005-06-30 안영상 발광 마이크 케이블
JP5341391B2 (ja) * 2008-05-16 2013-11-13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側面発光型光ファイバ
JP2011257603A (ja) * 2010-06-09 2011-12-22 Sumitomo Electric Ind Ltd コネクタ付集合光ケーブル
US20160341922A1 (en) * 2015-05-20 2016-11-24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Traceable cable with side-emitting optical fiber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101602621B1 (ko) * 2015-08-20 2016-03-17 박선자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7844A (zh) * 2018-12-03 2019-02-19 深圳市联讯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可见光快速寻线系统
US11527338B2 (en) 2020-08-31 2022-12-13 Talentis Corp. Patch cord inspecting system
KR102324061B1 (ko) * 2020-12-31 2021-11-10 주식회사 파인 양단부 식별이 가능한 광케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3706A (en) Light traceable transmission conduit assembly
US6347172B1 (en) Cable having side-emitting fiber under transparent or translucent cable jacket
KR101879390B1 (ko)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
US9671551B2 (en) Visual tracer system for fiber optic cable
EP2056148B1 (en) Optical fiber cables
CA1251964A (en) Image fibers
US8718426B2 (en) Optical fiber cables
US20160341922A1 (en) Traceable cable with side-emitting optical fiber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20120106906A1 (en) Stranded optical cable with connectors
AU2012250856B2 (en) Optical fiber cable bundle
US20080285924A1 (en) Optical fiber cables
CN101957484A (zh) 一种紧包光纤、双芯室内光缆及其加工方法
CN112334809B (zh) 光纤电缆
KR101602621B1 (ko)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
US20090087152A1 (en) Optical Cable, Arrangement for Connecting a Multiplicity of Optical Waveguid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Cable
JP2019066889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KR100559646B1 (ko) 다심 소형의 인입용 광케이블
KR100516822B1 (ko) 광점퍼코드
KR20140051538A (ko) 타이트버퍼 광섬유 및 이를 이용한 분배용/분기용 케이블
JP6533254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KR20230001302U (ko) 복잡한 사용 환경에 적합한 다심 광케이블
KR102324061B1 (ko) 양단부 식별이 가능한 광케이블
JP2005062769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KR20010088554A (ko) 전원케이블이 내장된 광섬유 케이블의 구조
US20190317290A1 (en) Selectively-illuminated cable clad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