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0129A -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0129A
KR20190090129A KR1020180008565A KR20180008565A KR20190090129A KR 20190090129 A KR20190090129 A KR 20190090129A KR 1020180008565 A KR1020180008565 A KR 1020180008565A KR 20180008565 A KR20180008565 A KR 20180008565A KR 20190090129 A KR20190090129 A KR 20190090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mycelia
rice
cosmetic composition
complex fer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9954B1 (ko
Inventor
고용식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뷰티스트
고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뷰티스트, 고용식 filed Critical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08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954B1/ko
Publication of KR20190090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9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섯 균사체 배양액으로 치아씨, 보리씨 및 쌀을 포함하는 식물 혼합물을 발효시킨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능, 보습능, 염증개선, 피지분비조절능 및 피부보소 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expanded graphite}
본 발명은 버섯 균사체를 이용하여 치아씨, 보리씨 및 쌀을 발효시킨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크게 표피, 진피 및 피하조직이 순차로 적층된 3개의 층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체내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고, 물리적 자극 또는 화학적 자극과 같은 외부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장벽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성인의 피부는 pH 4.7 ~ 5.8의 약산성을 띠며, 이는 피부 표면에 산성의 보호막을 형성하여 유해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반면 영유아의 피부는 산성 보호막이 미완성된 상태로, pH가 5.5~6.5로, 외부자극 및 자외선 등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며, 피부가 얇고 땀과 피지 분비가 활성화 되지 않아 건조한 경향이 있으며, 이에 따라 영유아의 피부는 자극을 피하고, 인위적으로 피부장벽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관리를 필요로 한다. 나아가 성인의 피부 또한, 대기오염과 알레르기 유발물질의 증가 및 식습관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대체로 거칠고 건조한 특징이 있다.
이에, 영유아부터 성인까지 피부의 자체 보호기능을 강화하여 외부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면서도, 피부의 유수분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산화능, 피부 보습능, 염증완화, 피지분비 조절 및 피부 보호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버섯 균사체 배양액으로 치아씨, 보리씨 및 쌀을 포함하는 식물 혼합물을 발효시킨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버섯 균사체는 상황버섯 균사체, 치마버섯 균사체, 느타리버섯 균사체, 표고버섯 균사체, 영지버섯 균사체 및 동충하초 균사체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서상기 식물 혼합물은 치아씨 100 중량부 대비 30 내지 200 중량부의 보리씨 및 30 내지 200 중량부의 쌀을 포함하는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복합발효추출물을 0.1 내지 1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버섯 균사체 배양액은 버섯 균사체를 25 내지 35 ℃에서 3 내지 6일간 배양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보습, 염증개선, 피지분비 조절 또는 피부보호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화장료용 복합발효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용 복합발효추출물 제조방법은
상황버섯, 치마버섯, 느타리버섯, 표고버섯, 영지버섯 및 동충하초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균사체를 배양하여 버섯 균사체 배양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버섯 균사체 배양액과 치아씨, 보리씨 및 쌀을 혼합하여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치아씨, 보리씨 및 쌀을 혼합한 뒤, 버섯 균사체 배양액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추출물을 포함하여 항산화능, 피부 보습능, 염증완화, 피지분비 조절 및 피부보호 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버섯 균사체 배양액으로 치아씨, 보리씨 및 쌀을 포함하는 식물 혼합물을 발효시킨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보습능, 염증개선, 피지분비 조절 및 피부 보호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치아씨(chia seed)는 멕시코가 원산지인 꿀풀과인 치아(Salvia hispanica)의 종자로 마그네슘, 칼륨, 철분 등의 미네랄이 풍부하며, 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하여 건강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보리(Hordeum vulgare var. hexastichon)씨는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두해살이풀인 보리의 종자로, 보습효과 및 자외선에 의한 피부자극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쌀(Oryza sativa L.)은 동남아시아를 기원으로 한 벼과 벼속의 1년생 초본의 종자이며, 피부 미백효과 및 콜라겐 합성 촉진효과가 있다.
이때, 식물 혼합물은 치아씨, 보리씨 및 쌀이 낱알 형태로 혼합되어 있거나, 치아씨, 보리씨 및 쌀이 분쇄된 입자 상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치아씨, 보리씨 및 쌀은 각각 피부미용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치아씨, 보리씨 및 쌀을 혼합하고, 버섯 균사체 배양액으로 배양함으로써 종래 치아씨, 보리씨 및 쌀의 추출로 추출하기 어려웠던 유효성분까지 추출하여 피부미용에 더욱 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치아씨, 보리씨 및 쌀을 포함하는 식물 혼합물을 버섯 균사체 배양액으로 발효하여 생물전환(bioconversion)을 통해 종래 추출이 어려웠던 유효성분을 추출할 뿐만 아니라, 치아씨, 보리씨 및 쌀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의 상호작용으로 치아씨, 보리씨 및 쌀의 유효성분 추출을 더욱 촉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치아씨, 보리씨 및 쌀을 혼합하여 버섯 균사체 배양액으로 배양한 복합발효추출물은 종래 항산화제로 알려진 부틸히드록시아니솔(butylated hydroxyanisole, BHT) 대비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으며, 치아씨와 보리, 보리씨와 쌀 또는 치아씨와 쌀을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물 대비 항산화효과가 5% 이상, 최대 15% 까지 우수한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복합발효추출물의 우수한 항산화능은 치아씨, 보리씨 및 쌀의 식물 혼합물을 버섯 균사체 배양액으로 배양하는 과정에 의해서만 도출될 수 있는 효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서, 식물 혼합물은 치아씨 100 중량부 대비 30 내지 200 중량부의 보리씨 및 30 내지 200 중량부의 쌀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좋게는, 상기 식물 혼합물은 치아씨 100 중량부 대비 50 내지 200 중량부의 보리씨 및 50 내지 200 중량부의 쌀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범위에서, 치아씨, 보리씨 및 쌀 추출물의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더욱 우수한 항산화능 및 보습관련인자의 발현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서, 버섯 균사체는 상황버섯 균사체, 치마버섯 균사체, 느타리버섯 균사체, 표고버섯 균사체, 영지버섯 균사체 및 동충하초 균사체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버섯 균사체 배양액은, 버섯 균사체를 25 내지 35 ℃에서 3 내지 6일간 배양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서 버섯 균사체 배양액은 배지상에서 버섯 균사체를 배양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때 배지는 통상적으로 버섯 균사체의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인 경우 제한없이 이용이 가능하나, 구체적이고 비한정적인 일 예로 감자 포도당 한천 배지에서 배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서 복합발효추출물은 치아씨, 보리씨 및 쌀을 포함하는 식물 혼합물에 버섯 균사체 배양액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발효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구체적이고 비한정직인 일예로 25 내지 30 ℃에서 3 내지 10일간 발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발효 후 발효로 회수된 발효물은 5 내지 10 배 중량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최종적으로 복합 발효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이고 비한정적인 일예로 추출은 발효물과 추출용매를 혼합한 뒤, 100 내지 120 ℃에서 8 내지 10시간 동안 가열하고, 잔류하는 추출물을 여과하여 최종적으로 복합발효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추출용매는 통상적으로 천연물의 추출에 이용되는 용매인 경우 제한없이 이용이 가능하다. 구체적이고 비한정적인 일예로 추출용매는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이소프로판올, n-프로판올,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헥산,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페트로레움에테르 및 디에틸에테르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좋게는, 상기 추출용매는 3-부틸렌글리콜 : 정제수가 3:7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으며, 혼합용매를 추출용매로 이용할 경우 추출효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서, 복합발효추출물은 항산화, 피부보습, 염증개선, 피지분비조절 및 피부보호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복합발효추출물은 치아씨와 보리, 보리씨와 쌀 또는 치아씨와 쌀을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물 대비 항산화효과가 5% 이상, 최대 15% 까지 뛰어나고, HAS-3을 기준으로 한 보습 인자 발현 증가율이 3% 이상, 최대 7%까지 우수하며, TNF-α를 기준으로 한 염증매개인자 발현 억제율이 4 내지 7% 높으며, 5α-Reductase Type-1을 기준으로 한 피지분비 완화효과가 2 내지 9% 우수하며, 자극에 의한 세포 생존률을 기준으로 한 피부세포 보호 효과가 3 내지 10% 높은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피부보습, 염증개선 및 피부보호 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복합발효추출물을 0.1 내지 10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는 0.3 내지 5 중량% 포함할 수 있으나,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및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 가능한 제형인 경우 제한이 없다. 구체적이고 비한정적인 일예로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로션, 영양크림, 수분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앰플, 화장수, 오일, 팩, 스크럽제,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블러셔, 섀도우, 아이브로우, 하이라이터, 젤, 패치, 비누 또는 세안제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복합발효추출물 외에 안료, 계면활성제, 다가알코올 또는 오일 등의 보습성분, 방부제, 금속이온 봉쇄제, 천연 또는 합성 고분자 물질, 자외선 차단 물질, 치아씨, 보리씨 및 쌀 이외의 천연 성분 추출물, 증점제, pH 조절제, 향료 및 살균제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화장료용 복합발효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용 복합발효추출물 제조방법은
상황버섯, 치마버섯, 느타리버섯, 표고버섯, 영지버섯 및 동충하초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균사체를 배양하여 버섯 균사체 배양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버섯 균사체 배양액과 치아씨, 보리씨 및 쌀을 혼합하여 숙성하는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발효추출물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복합발효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항산화, 피부보습, 염증개선, 피지분비조절 및 피부보호 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으며,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중복기재를 방지하기 위한 관점에서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버섯 균사체 배양액의 제조
먼저, 영지버섯, 표고버섯 및 치마버섯을 균주로 하여 Potato Dextrose Agar(PDA, DIFCO, USA) 평판배지에 계대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영지버섯, 표고버섯 및 치마버섯 균사체를 PDA 배지에서 30℃ 정도의 온도에서 10일간 배양하였다. 얻어진 상기 버섯 균사체를 접종용 칼로 잘라 Potato Dextrose Broth 배지에 접종하여 진탕 배양한다. 배양 4일 후 Waring blender를 사용하여 각각의 균체를 1초씩 5회 처리하고 10mL를 다시 Potato Dextrose Broth(100 mL)에 접종하여 버섯 균사체를 준비한다.
복합발효추출물의 제조
상기 배양된 표고버섯 균사체를 이용하여 치아씨, 보리씨 및 쌀 복합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의 비율로 치아씨, 보리씨 및 쌀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표고버섯 균사체와 혼합 한 뒤, 27~30℃의 온도에서 5일간 배양하여 발효시켰다. 발효물을 회수하여 10배 중량의 1,3-부틸렌글리콜과 정제수 3:7 (w/w) 비율의 혼합 용매에 혼합하고, 3일간 침적하여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00℃로 8시간 끓여서 추출하였다. 여과지(Qualitive Filter Papers NO.2)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여액 상태로 수득하였다.
[비교예 1 내지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하기 표 1의 함량으로 식물원료를 혼합한 뒤, 발효하여 복합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식물 혼합물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1 치아씨 30g 30g - 30g
2 보리씨 30g 30g 30g -
3 30g - 30g 30g
[실시예 2]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로션의 제조
하기 표 2의 중량비로 복합발효추출물 외에 다른 조성을 혼합하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내지 7]
하기 표 2의 중량비로 발효추출물을 혼합하여 로션을 제조하였다.
(중량%) 대조예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실시예 2
비교예 1 - 0.5 - - -
비교예 2 - - 0.5 - -
비교예 3 - - - 0.5 -
실시예 1 - - - - 0.5
밀납1 ) 1.0 1.0 1.0 1.0 1.0
폴리솔베이트 602) 1.5 1.5 1.5 1.5 1.5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3 ) 0.5 0.5 0.5 0.5 0.5
유동 파라핀4 ) 10.0 10.0 10.0 10.0 10.0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5 ) 0.5 0.5 0.5 0.5 0.5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6 ) 0.5 0.5 0.5 0.5 0.5
스테아린산7 ) 1.5 1.5 1.5 1.5 1.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8 )
1.0 1.0 1.0 1.0 1.0
프로필렌글리콜9 ) 3.0 3.0 3.0 3.0 3.0
카르복시폴리머10 ) 0.1 0.1 0.1 0.1 0.1
트리에탄올아민11 ) 0.2 0.2 0.2 0.2 0.2
방부제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1) 대명케미칼, CAS 8012-89-3
2) special chem, CAS 9005-67-8
3) special chem, CAS 8007-43-0
4) 대명케미칼, CAS 8012-95-1
5) special chem, CAS 1338-41-6
6) special chem, CAS 11099-07-3
7) 대명케미칼, CAS 1957-11-04
8) special chem, CAS 68004-11-5
9) 대명케미칼, CAS 57-55-6
10) 대명케미칼, CAS 9003-04-07
11) 대명케미칼, CAS 102-71-6
복합발효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확인
실시예 1 에서 수득한 치아씨, 보리씨 및 쌀 복합발효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실 조건에서 다른 항산화제 즉, BHT를 비교샘플로 하여, NBT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크산틴과 크산틴옥시다제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를 NBT법에 의해 측정하고 피검물질이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효과, 즉 활성산소 소거효과를 평가하였다. 크산틴과 크산틴옥시다제에 의해 생성된 활성산소를 니트로블루테트라졸리움(Nitro Blue Tetrazolium;NBT)과 반응시켜 이것에 의해 생성되는 청색을 파장 560nm에서 측정하는 것으로 활성산소 소거율을 측정하였으며, 구체적인 활성산소 소거율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바이알(5ml vial)에 0.05M Na2CO3 2.4ml, 3mM 크산틴 용액 0.1ml, 3mM EDTA 용액 0.1ml, BSA 용액 0.1ml 및 0.72mM NBT 용액 0.1ml를 가하고, 여기에 DMSO(dimethyl sulfoxide)에 0.1(wt/v)% 농도로 제조한 시료용액 0.1ml을 첨가하고 25℃에서 10분간 방치한다. 그 후 크산틴 옥시다제 용액 0.1ml을 가하여 빨리 교반하고 25℃ 에서 20분간의 배양을 개시한다. 그 후 6Mm CuCl2 용액 0.1ml을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560nm에서의 흡광도 St를 측정한다. 공시험은 시료용액 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한 것을 상기와 똑같이 조작해 흡광도 Bt를 측정한다. 역시, 시료용액의 블랭크(Blank)는 크산틴 옥시다제 용액 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해 똑같이 조작하여 흡광도 Bo를 측정한다. 효과의 결과는 하기 식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억제율(%) = 〔1(StSo)/(BtBo)〕× 100
St : 시료용액의 효소 반응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t : 공시험용액의 효소 반응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So : 시료용액의 효소 무첨가시 반응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o : 공시험용액의 효소 무첨가시 반응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처리농도(w/v%) 항산화효과(%)
실시예 1 0.1 93
비교예 1 0.1 88
비교예 2 0.1 81
비교예 3 0.1 86
BHT(butylated hydroxyanisole,
DUKSAN KOREA)
0.1 90
상기 표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0.1(wt/v)% 농도에서 시험한 시료 모두에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복합발효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대조군인 BHT 보다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복합발효추출물의 보습 효과 확인
섬유아세포(CCD-986Sk)를 10% FBS가 첨가된 IMDM 배지를 이용하여 5×105 cell/well로 조절한 후 12 well plate에 접종하고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에 의한 추출물을 0.22 ㎛로 여과한 후, 사용배지를 이용하여 농도별 제조하여 준비한다. 이를 세포에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해당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이하에서 시료의 처리는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배양된 세포에서 RNA를 추출하여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을 통해 Hyaluronan Synthase3(HAS-3)의 발현 증가율을 확인하였다. HAS-3 발현 증가율은 하기 식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으로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을 사용하였다.
HAS-3 발현율(%)=(시료 HAS-3 발현양/대조군 HAS-3 발현양)×100
시료명 처리농도(w/v%) 보습 효과(%)
실시예 1 0.1 91.2
비교예 1 0.1 88.2
비교예 2 0.1 84.9
비교예 3 0.1 85.2
Hyaluronic Acid(히아루론산) 0.05 85.8
상기 표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0.1(w/v)% 농도에서 시험한 시료 모두에서 보습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치아씨, 보리씨 및 쌀 혼합물을 버섯균사체로 발효시켜 제조되는 실시예 1의 추출물은 우수한 보습 효과를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히아루론산 보다 우수한 보습 효과를 나타내었다.
복합발효추출물의 염증 매개 인자 발현 감소효과 확인
RAW264.7 세포를 10% FBS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5×105 cell/well로 조절한 후 12 well plate에 접종하고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뒤 12시간 동안 기아상태를 유지시킨 후, LPS 10 ng/mL과 시료를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서 RNA를 추출하여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을 통해 TNFα의 발현 억제율을 확인하였다. TNFα 발현억제율은 하기 식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으로는 덱사메타손(Dexamethason)을 사용하였다.
TNFα 발현억제율(%)=100-[(시료 TNFα 발현양/대조군 TNFα 발현양)×100]
시료명 처리농도(w/v%) TNFα 발현 억제율(%)
실시예 1 0.1 70.8
비교예 1 0.1 65.8
비교예 2 0.1 66.7
비교예 3 0.1 63.5
덱사메타손(Dexamethason) 0.05 66.5
상기 표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0.1(w/v)% 농도에서 시험한 시료 모두에서 염증 완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버섯 균사체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실시예 1의 풋치아씨, 보리씨 및 쌀 복합발효추출물은 가장 우수한 염증 완화 효과를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덱사메타손 보다 우수한 염증 완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복합발효추출물의 피지분비 완화 효과 확인
각질형성세포(HaCaT)를 10% FBS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5×105 cell/well로 조절한 후 12 well plate에 접종하고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뒤 시료를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서 RNA를 추출하여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을 통해 5α-Reductase Type Ⅰ 의 발현 억제율을 확인하였다. 5α-Reductase Type Ⅰ 발현 증가율은 하기 식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으로는 덱사메타손 (Dexamethason)을 사용하였다.
5α-Reductase Type Ⅰ 발현억제율(%)=100-[(시료 5α-Reductase Type Ⅰ 발현양/대조군 5α-Reductase Type Ⅰ 발현양)×100]
시료명 처리농도(w/v%) 5α-Reductase Type Ⅰ
발현 억제율(%)
실시예 1 0.1 60.1
비교예 1 0.1 63.7
비교예 2 0.1 68.5
비교예 3 0.1 62.5
덱사메타손 (Dexamethason) 0.05 60.0
상기 표 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0.1(w/v)% 농도에서 시험한 시료 모두에서 염증 완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1의 복합발효추출물은 가장 우수한 피지 분비 조절 효과를 나타내었다.
복합발효추출물의 피부세포 보호 효과 확인
사람 유래 섬유아세포 1×105 cells/well 의 농도로 96 well plate에 배양하고 10% FBS를 함유하는 IMDM 배지 0.2㎖를 공급한 후 18시간 동안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여기에 DMSO에 녹인 시료용액을 처리 한 다음 2 MED의 자외선 양을 10분간 조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의 생존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MTT assay는 배양한 세포에 MTT 용액 0.1㎖을 가한 후 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배지는 제거하고 DMSO 0.5㎖를 넣어 형성된 포마잔을 ELISA를 사용하여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덱사메타손을 사용하였다.
시료명 처리농도(w/v%) 세포 생존율(%)
실시예 1 0.1 82.5
비교예 1 0.1 72.5
비교예 2 0.1 76.2
비교예 3 0.1 78.8
덱사메타손(Dexamethason) 0.05 80.2
상기 표 7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0.1(w/v)% 농도에서 시험한 시료 모두에서 자외선으로부터 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버섯 균사체 발효 치아씨, 보리씨 및 쌀 복합발효추출물은 우수한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덱사메타손 보다 우수한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복합발효추출물의 피부자극 완화 효과 확인
현재 피부 알레르기 증상이 없는 20 내지 30대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하완의 안쪽 부위에 테입 스트리핑 법(Tape Stripping Method)을 통한 피부자극을 유발한 후, 본 발명에 따른 버섯균사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와 함유되지 않는 화장료를 도포하여 유발된 자극이 진정되는 정도를 상대평가 하였다. 먼저 하완의 안쪽 부위 두 곳에 일반 스카치 테잎으로 30회 테이핑을 하여 피부 홍반을 유발하였다. 홍반 유발된 후, 본 발명에 따른 버섯균사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를 도포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화장료를 도포하였다. 도포 후 3시간 후 피부자극 정도를 평가하였다.
<피부자극정도(홍반) 평가>
0 (무반응) 1 (매우 경미한 홍반흔적) 2 (희미한 또는 가벼운 홍반)
3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4 (뚜렷한 홍반) 5 (심한 홍반)
시료명 피부 자극 정도
실시예 2 0 0
비교예 5 2 1
비교예 6 2 1
비교예 7 1 1
대조예 2 2
상기 표 8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의 치아씨, 보리씨 및 쌀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로션 조성물은 상기 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대조예 및 비교예 5 내지 7에 비해 피부자극완화 효과가 우수하였다.

Claims (7)

  1. 버섯 균사체 배양액으로 치아씨, 보리씨 및 쌀을 포함하는 식물 혼합물을 발효시킨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 균사체는 상황버섯 균사체, 치마버섯 균사체, 느타리버섯 균사체, 표고버섯 균사체, 영지버섯 균사체 및 동충하초 균사체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인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혼합물은 치아씨 100 중량부 대비 30 내지 200 중량부의 보리씨 및 30 내지 200 중량부의 쌀을 포함하는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복합발효추출물을 0.1 내지 10 중량% 포함하는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 균사체 배양액은 버섯 균사체를 25 내지 35 ℃에서 3 내지 6일간 배양하여 제조된 것인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5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용 조성물은 피부보습, 염증개선, 피지분비 조절 또는 피부보호용인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상황버섯, 치마버섯, 느타리버섯, 표고버섯, 영지버섯 및 동충하초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균사체를 배양하여 버섯 균사체 배양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버섯 균사체 배양액과 치아씨, 보리씨 및 쌀을 혼합하여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용 복합발효추출물 제조방법.
KR1020180008565A 2018-01-24 2018-01-24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59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565A KR102059954B1 (ko) 2018-01-24 2018-01-24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565A KR102059954B1 (ko) 2018-01-24 2018-01-24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129A true KR20190090129A (ko) 2019-08-01
KR102059954B1 KR102059954B1 (ko) 2019-12-30

Family

ID=67615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565A KR102059954B1 (ko) 2018-01-24 2018-01-24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9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88843A (zh) * 2020-09-07 2021-08-24 北京工商大学 大米灵芝菌复合发酵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356144B1 (ko) * 2021-06-14 2022-02-08 고흥석류친환경영농조합법인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584B1 (ko) * 2020-11-20 2023-03-24 상황미인(주) 자외선 및 미세먼지 차단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786B1 (ko) 2007-08-31 2008-10-22 (주)미애부 바실러스 속 엠에비 06 균주를 이용한 곡류 발효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0889930B1 (ko) 2008-08-27 2009-03-24 이태봉 곡물을 이용한 차가버섯 균사체와 상황버섯 균사체의 복식 대량 배양방법, 이에 의해 배양된 차가버섯 균사체와 상황 버섯 균사체를 포함하는 식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662272B1 (ko) 2015-03-24 2016-10-05 상황미인(주) 흑미의 배아와 미강 추출물 및 보리 추출물 혼합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88843A (zh) * 2020-09-07 2021-08-24 北京工商大学 大米灵芝菌复合发酵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356144B1 (ko) * 2021-06-14 2022-02-08 고흥석류친환경영농조합법인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9954B1 (ko) 201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6320B1 (ko)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CN106821948B (zh) 将利用银耳菌丝体的松萝发酵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化妆品组合物
KR101332214B1 (ko) 연꽃, 쌀, 개똥쑥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77362B1 (ko) 상황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58887B1 (ko) 히카마, 콜리플라워, 말로우 및 아이슬란드 이끼 천연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보습,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90129A (ko)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28939B1 (ko) 생물전환공법의 식물유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아토피 및 건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45476B1 (ko)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산자나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05091A (ko) 발효식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헤어샴푸
KR20170052811A (ko) 녹차추출물의 효모발효액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190045455A (ko) 갈대 추출물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50292B1 (ko) 천삼, 녹각영지, 백호은침으로 구성된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80107B1 (ko) 버섯균사체 발효 제비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94733B1 (ko)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미, 주근깨,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90105225A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041351A (ko) 수염틸란드시아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22448A (ko)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07560B1 (ko) 빗죽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1816B1 (ko) 월귤 열매 추출물을 흑효모 균사체로 발효한 월귤 열매 흑효모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5534A (ko) 천연배지를 이용한 잔나비걸상버섯 균사체 배양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72353B1 (ko) 수선화 비늘줄기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40090644A (ko) 곡류 추출물 및 곡류발아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화장품
KR102122475B1 (ko) 강황 잎,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1201A (ko) 미백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