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0644A - 곡류 추출물 및 곡류발아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화장품 - Google Patents

곡류 추출물 및 곡류발아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0644A
KR20040090644A KR1020030024603A KR20030024603A KR20040090644A KR 20040090644 A KR20040090644 A KR 20040090644A KR 1020030024603 A KR1020030024603 A KR 1020030024603A KR 20030024603 A KR20030024603 A KR 20030024603A KR 20040090644 A KR20040090644 A KR 20040090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mixture
cosmetic composition
g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4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4074B1 (ko
Inventor
황보식
전은자
이혜영
Original Assignee
(주)휴먼엘씨에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먼엘씨에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휴먼엘씨에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03-0024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4074B1/ko
Publication of KR20040090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0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0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61M1/002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42Reducing noise

Landscapes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수, 검은콩, 백태, 팥, 및 검은깨를 포함하는 곡류 혼합물의 추출물, 및 현미 또는 율무발아 상황균사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매우 우수한 자유 라디칼 제거능,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능, 항산화 효과 및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지며, 따라서 피부노화 방지, 주름 개선, 피부미백, 피부 보습 또는 자외선 차단 등을 목적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곡류 혼합물의 추출물 또는 곡류발아상황버섯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더욱 상승된 피부노화 방지, 주름 개선, 피부미백 등의 피부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곡류 추출물 및 곡류발아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화장품{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GRAIN EXTRACT AND FERMENTED GRAIN PHELLINUS LINTEUS EXTRACT, AND COSMETICS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우수한 자유 라디칼 제거능,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능, 항산화 효과 및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고, 따라서 피부노화 방지, 주름 개선, 피부미백, 피부보습 또는 자외선 차단 등을 목적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은 뽕나무의 고목에 드물게 자생하는 말똥진흙버섯으로 자연에 자생하는 것이 지극히 적고 뽕나무의 감소와 더불어 상황 자실체의 채취가 곤란하여 자원성이 없었으나, 인공배양이 가능하게 되어 지금은 거의 실용화되어 있는 상태이다 (특 1996-013174, 특 2000-001853, 특0180097 등).
또한, 상황 버섯은 버섯류 중에서 가장 강한 항종양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각종 피부질환을 유발하는 병원성 세균에 대한 제균 및 살균 효과도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상황버섯은 다양한 분야, 특히 피부 개선용 화장품 분야에서 폭넓게 이용되어 왔다. 예를 들면, 특허출원 제 1996-57166호는 상황의 균사체 또는 그의 배양액으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공지하고 있고; 특허출원 제 1996-69542호는 상황버섯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손상방지 및 개선효과, 면역증강효과, 미백효과, 항산화효과 등이 우수한 조성물에 대하여 공지하고 있으며; 특허출원 제 1999-11685호는 상황추출물, 상황 분말, 상황 균사체, 상황 배양물 등의 상황 성분을 함유하는 제균 및 항균 화장 비누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고; 특허출원 제 2001-8433호는 자연산 상황버섯 추출물 함유 니오좀을 함유하는 피부보습력, 탄력, 안정성 및 미백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상황버섯 성분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들은 비록 주름 방지, 피부노화, 피부 탄력 개선, 항산화 효과 등의 다양한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고 있을지라도, 이들의 효과는 한계가 있으며, 따라서 상황버섯 성분 이외의 성분을 함유하여, 피부 개선효과를 더욱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당업계에서 수행되어 왔다.예를 들면, 특허출원 제 2001-24063호에는 상황버섯추출물 및 포도발효액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주름 방지 효과, 콜라겐 섬유 생합성 효과, 및 피부 탄력 증진 효과가 더욱 개선된 조성물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 또한 상황 버섯 추출물에 의해 얻어지는 피부노화, 주름 개선, 피부 미백, 피부 탄력 개선, 피부 보습 효과 등의 다양한 피부 개선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찾고자 많은 연구를 수행한 결과, 수수, 검은콩, 백태, 팥, 및 검은깨를 포함하는 곡류 혼합물의 추출물과 현미 또는 율무발아 상황버섯 추출물(이하, 곡류발아 상황버섯 추출물이라 함)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현저하게 상승된 상기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자유 라디칼 제거능,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능, 항산화 효과 및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고, 따라서 피부노화 방지, 주름 개선, 피부미백, 피부 보습 등의 피부 개선 효과를 목적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곡류 혼합물의 에탄올 추출물과 현미 또는 율무발아 상황버섯 균사체 (이하, 상황버섯 균사체라 함)의 추출물의 혼합물 (A), 알부민 (B), 곡류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과 상황버섯 균사체의 추출물의 혼합물 (C), 및 곡류 혼합물의 추출물 (D) 등에 대한 각각의 자외선 영역의 파장에 대한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3 및 4는 영양크림처리 60일후의 피부개선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수수, 검은콩, 백태, 팥, 및 검은깨를 포함하는 곡류 혼합물의 추출물, 및 곡류발아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황버섯의 피부노화 방지, 주름 개선, 피부미백, 피부 보습 또는 자외선 차단 효과 등의 피부 개선효과를 더욱 상승시키기 위하여, 수수, 검은콩, 백태, 팥, 및 검은깨를 포함하는 곡류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곡류 혼합물의 추출물 및 곡류발아 상황버섯 추출물을 모두 함유함으로써, 현저히 상승된 피부 개선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곡류발아 상황버섯 추출물을 수득하는데 사용되는 현미는 그 형태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는 없지만, 통상적으로 벼에서 왕겨만 벗겨내고 껍질을 까지 않은 상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현미에는 비타민 B1, B2, E, 당질, 단백질, 지방, 미네랄, 리노렌산, 감마-오리자놀, 이노시톨 등의 많은 생리 활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송보현, 한국농화학회지, 30, 1987).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곡류 혼합물에 함유되는 수수(Sorghum bicolor Moench)는 비타민 B1, B2, 인, 철, 칼슘 등을 많이 함유하며, 정장(淨腸)작용 및 변비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식품 원료로서 많이 이용되는 물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수수의 추출성분들을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개선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곡류 혼합물에 함유되는 검은콩 및 백태는 리놀산과 리놀렌산이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혈중 콜레스테롤이나 지방산의 증가를 억제시킴으로써, 혈행(血行)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또한 아스파라긴산의 함량이 높아 간장이나 신장의 활동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조성물은 이러한 기능을 갖는 검은콩 및 백태를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개선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곡류 혼합물에 함유되는 팥에는 사포닌과 콜린 색소 등의 특수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뇨 작용 및 비만 억제효과를 갖고 있고, 또한 정신적 스트레스를 해소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팥의 추출 성분을 함유함으로써, 더욱 개선된 피부 개선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곡류발아 상황버섯 추출물을 수득하는데 사용되는 율무는 이뇨, 강장, 진통, 소염 등의 치료제로 쓰이고 특히 성인병을 위한 약재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껍질을 제거한 부분의 영양성분은 단백질 13.8%, 지질 5.1%, 당질 67.7%, 섬유 0.7%, 회분 1.6%, 및 약간의 미네랄과 비타민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곡류 혼합물에 함유되는 검은깨에는 항고지혈증 작용과 항산화작용이 강한 레시틴, 콜린, 리놀렌산, 세사민 등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변비를 예방하고 항염증작용이 뛰어난 식품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검은깨의 추출 성분을 함유함으로써, 더욱 향상된 피부 개선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곡류 혼합물을 추출하는 방법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유기 용매 추출 또는 열수 추출을 수행하여 수득할 수 있다.
유기 용매 추출에 의한 곡류 혼합물의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한 방법은, 중량 기준으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수수, 검은콩, 백태, 팥 및 검은깨의 혼합 비율을 건조중량대비 각각 (0.1∼5.0) : (0.1∼8.0) : (0.1∼5.0) : (0.1∼8.0) : (0.1∼8.0)의 비율로 혼합하고, 상기 곡류 혼합물을 분쇄기로 미세하게 분쇄한 후, 50∼150 메쉬 여과망으로 여과하여 수득한 건조물의 분쇄 혼합물 1㎏에, 0.5∼10배의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등의 사용가능한 유기 용매를 첨가한 다음, 50∼95℃에서 30분 내지 12시간 이상 가열하여 곡물을 추출한다. 이 추출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곡류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유기 용매 추출물에 의한 곡류 혼합물의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유기 용매 추출 방법과 동일하게 수득한 건조물의 분쇄 혼합물 1㎏에, 0.5∼10 배의 물을 첨가한 다음, 100℃에서 30분 내지 12시간 이상 가열한 후, 이 추출물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감압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함으로써, 곡류 혼합물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곡류발아 상황버섯 균사체는 하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즉, 이미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는 상황버섯 원균(농촌진흥청에서 분양; 균주명 IJ209)을 페트리접시에서 평판 배양시키고, 이를 배양 접종원으로 배양한다. 평판 접시에서 확대 배양된 상황버섯의 균사체가 약 70% 정도 자랐을 때, 이를 액체 종균으로 배양시키기 위한 전단계 배양으로 사용한다. 상황버섯 균사체 조각에 검은설탕 3.5%, 물엿 3.1%, 대두분 0.3%의 액체배지에 접종시킨 후,150rpm/28℃/8일간 배양시켜서 전 배양 접종원을 생산한다. 한편, 상황버섯의 배지 생산은 현미 또는 율무에 대해 수분을 65%로 조절하고, 이를 1000㎖ 플라스틱 용기에 50% 채워 넣은 후, 121℃에서 25분간 멸균한 다음, 식혀서 배양배지로 사용한다. 이 배양배지에서, 상술한 상황버섯 또는 상화버섯 균사체를 배양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곡류발아 상화버섯 또는 상황버섯 균사체를 수득할 수 있다.
즉, 무균 상태에서 상기 전 배양한 상황버섯 균사체를 접종하며, 공기와 접촉하는 면을 많게 하기 위하여 배지를 눕히거나 비스듬히 하여 배양하며, 이때 표면에 다량의 균사체가 성장함으로 이를 채취하여 상황버섯 균사체로 사용한다. 이때 배양 조건은 습도 70-80%, 온도 28℃를 유지하면서 100일간 배양한다. 배양이 완료된 것은 무균실에서 탈병하여 2-3cm두께로 절단한 후 일전한 용기에 담아 온도 30℃, 습도 90%, 이산화탄소 0.3%, 전조 500Lux의 배양실에서 5일간 2차배양을 실시하여 성형된 상화버섯균사체 및 내부의 상황버섯을 조제한다. 이렇게 성형화한 상황버섯 성형품을 열풍건조기에 넣고 65℃에서 48시간동안 열풍건조시킨 후 이를 본 발명의 현미(율무)상황버섯 균사체 및 상황버섯(곡류 상황버섯)으로 사용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곡류발아 상황버섯 또는 상황버섯 균사체의 추출물은, 상황버섯 또는 상황버섯 균사체에 1∼3 배량의 증류수를 첨가하고, 105℃∼115℃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열탕 추출하는 공정을 2∼3회 반복한 후, 감압농축함으로써, 추출물내에 다당체 성분을 포함하는 상황버섯 추출물을 얻은 다음, 얻어진 추출액을 260 메쉬(mesh)로 여과하고, 60℃에서 700㎜Hg로감압농축하여, 25 브릭스로 만드는 방법을 통해 수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 기재된 곡류 혼합물의 추출 방법 및 상황버섯 또는 상황버섯 균사체의 추출 조건은, 이들이 함유하는 생리활성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조건이며, 추출 성분의 생리 활성이 유지되는 한, 상기 추출 조건에 다양한 변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곡류발아 상황버섯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해 사용되는 원료물질인 곡류발아 상황버섯의 사용 형태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곡류발아 상황버섯, 곡류발아 상황버섯 분말, 곡류발아 상황버섯 균사체, 곡류발아 상황버섯 배양물, 바람직하게는 곡류발아 상황버섯 균사체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총 건조 중량에 대하여, 수수, 검은콩, 백태, 팥, 검은깨를 함유하는 곡류 혼합물을 추출하여 수득한 곡류 추출물을 1 내지 99 중량%, 및 곡류발아 상황버섯 추출물을 99 내지 1 중량%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곡류 혼합물의 추출물 및 곡류발아 상황버섯 추출물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의 성분만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둘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피부 미백효과 등의 피부 개선 효과에 대하여 상승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자유 라디칼 제거제, 항산화제, 항염증제 또는 자외선 차단제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따라서 기온이나 습도 변화, 그리고 자외선이나 각종 병원성 미생물 등의 외부환경 자극으로부터 체내의 기관을 보호하는피부를, 외부로부터의 지속적인 물리적 또는 화학적 자극, 또는 신진대사 결과로 발생하는 각종 위해 성분들에 의한 피부기능의 저하 및 피부의 노화현상의 촉진을 방지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술한 기능과 함께, 상황 버섯의 공지된 기능, 예컨대 항암 효과, 항바이러스 효과에 의한 여드름 치료 효과; 및 상술한 각 곡류들이 독자적으로 갖고 있는 기능 등을 피부 개선 효과의 저해 없이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기능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제형, 예컨대 스킨, 로션과 같은 유연화장수, 영양 화장수, 마사지 크림, 밀크로션과 같은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미용팩과 같은 팩, 화장용 비누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지만, 상기 제형에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제형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물질 및 그들의 함량에 대해서는 당업계에 자명하게 공지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화장 비누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현재, 화장 비누는 세척력, 탈취력, 피부보호, 피부청결 등을 주안점으로 하여 개발되고 있으며, 여러 생리활성 기능을 발휘시키기 위하여, 각종 첨가물을 소량 첨가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첨가물들은 천연물질이 아닌 화학물질이어서 피부에 문제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미약하나마 인체에 좋지 못한 영향을 끼치게 되는 단점도 있었다. 또한, 통상의 비누는 알칼리 금속비누로서 야자유, 당유, 대두유, 올리브유, 탐핵유 등의 식물성유지와 우지, 돈지, 양지, 어유 등의 동물성유지로부터 얻어진 지방산과 나트륨 또는 칼륨을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알칼리 금속염과 함께중화시킴으로써 제조되며, 따라서 세균에 의해 감염되거나 상처가 생긴 피부의 경우, 치유가 용이하지 않고, 감염 및 상처가 더욱 번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화장 비누는 상화버섯 추출물 및 곡류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매우 우수한 피부개선효과, 특히 피부미백효과와 항산화 효과가 탁월하고 안전성이 우수한 화장비누로서 제조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화장 비누를 사용함으로써, 상기한 문제점들이 해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화장 비누를 사용할 경우, 세안 또는 목욕시 비누에 포함된 생리활성 성분이 비누와 함께 용해되어 곡류 추출물과 상황에 포함된 영양물질이 피부로 침투되어 피부미용을 증진시켜주며, 제균 및 항균 성분에 의하여 피부의 각종 세균들이 제거되어 여드름 등과 같은 각종 피부질환의 발병 예방은 물론 치료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 화장품, 피부 노화방지용 화장품, 주름 개선용 화장품,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품, 피부 보습용 화장품, 피부 손상 방지용 화장품, 항바이러스성 여드름 치료용 화장품, 자와선 차단용 화장품 등의 화장품을 제조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곡류 혼합물의 에탄올 추출
수수, 검은콩, 백태, 팥 및 검은깨를 중량 비율로 1 : 2 : 1 : 2 : 2로 혼합하고, 이를 깨끗하게 수세한 후, 자연 건조시켰으며, 이 건조물을 분쇄기로 미세하게 분쇄한 다음, 50∼150 메쉬 여과망으로 여과하였다. 분쇄 혼합물 1㎏에 2ℓ의 75% 에탄올을 첨가하여 75℃에서 4시간동안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이 가열 추출 용액을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잔사를 침전시키는 방법으로 제거하였다. 잔사가 제거된 에탄올 추출용액을 60℃에서 700㎜Hg의 조건으로 로타리에바퍼레이터(rotary evaporator; 아일라사, 일본)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는 방식으로 에탄올을 제거하였으며, 에탄올이 제거된 추출용액을 동결건조하여 곡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이하, 이를 'G-EtOH'라 칭함).
[실시예 2] 곡류 혼합물의 열수 추출
수수, 검은콩, 백태, 팥 및 검은깨를 중량 비율로 1 : 2 : 1 : 2 : 2 로 혼합하고, 혼합물을 깨끗하게 수세한 후, 자연 건조시켰으며, 이 건조물을 분쇄기로 미세하게 분쇄한 다음, 50∼150 메쉬 여과망으로 여과하였다. 분쇄 혼합물 1㎏에 1ℓ의 물을 첨가하여 100℃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곡류에 함유되어 있는 수용성 생리활성 성분을 추출하였다. 이 가열 추출 용액을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잔사를 침전시키는 방법으로 제거하였다. 잔사가 제거된 열수 추출용액을 60℃에서 700㎜Hg의 조건으로 감압 농축하는 방법으로 에탄올을 제거하였으며, 에탄올이 제거된 추출용액을 동결건조하여 곡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이하, 이를 'G-W'라 칭함).
[실시예 3] 상황버섯 균사체의 열수 추출
곡류발아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균사체를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중량대비 2배의 증류수를 가하여 105℃에서 2시간 동안 열탕 추출하였으며, 추출 후수용액층은 다른 용기에 옮긴 후, 잔사에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한번 더 추출하여 1차 추출용액과 합하였다. 이 추출액을 260 메쉬(mesh)로 여과하고 60℃에서 700㎜Hg로 감압농축하여 25 Brix로 만들어서 사용하였다(이하, 'P-W'라 칭함).
[실시예 4] 각 추출물의 성분 분석
상기에서 조제된 곡류 추출물 및 상황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한국화학시험 연구소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0-18호의 규정에 의거하여, 일반 성분 및 미네랄 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각각의 성분들을 비교한 결과, 조단백질 및 조지방의 함량이 G-EtOH가 G-W보다 많았으나 조섬유 및 탄수화물의 함량은 G-W에서 많이 추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P-W의 경우 조단백질, 조섬유, 그리고 탄수화물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칼슘을 비롯한 무기물의 함량은 곡류 추출물에 비해 매우 높았으며, 3가지의 모든 추출물에는 수은과 세레늄 등의 중금속은 검출되지 않았다.
일반성분 분석
G-EtOH G-W P-W
수분(%) 7.3 6.8 91.5
회분(%) 3.8 3.7 2.1
조단백질(%) 8.1 6.5 3.9
조지방(%) 0.5 0.2 0.2
조섬유(%) 0.3 0.6 0.4
탄수화물(%) 79.2 82.2 1.9
알루미늅(mg/kg) 10.7 17.8 4.2
칼슘(mg/kg) 411.4 347.9 821.1
칼륨(mg/kg) 330.6 221.3 484.3
마그네슘(mg/kg) 117.7 233.7 43.5
망간(mg/kg) 64.8 42.3 02
나트륨(mg/kg) 132.9 117.1 2259.1
인(mg/kg) 89.7 113.7 1517.0
수은(mg/kg) - - -
셀레늄(mg/kg) - - -
[실시예 5]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
미백효과를 갖기 위한 기본 요건 중의 하나는 자외선에 대한 흡수능력이다. 따라서 자외선에 대한 각 시료 및 복합물의 흡수능력을 자외선 스펙트럼으로 분석한 결과(도 1), G-EtOH와 P-W의 혼합물(4:1, 건조중량%, A)은 300∼240nm까지 폭 넓은 범위에서 강한 자외선 흡수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G-W와 P-W의 혼합물 (4:1, 건조중량%, C)에서는 280∼245nm 사이에서 강한 흡수력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알부민(B)이나 곡류추출물 (G-EtOH : G-W=1:1, 건조중량%, D)은 상황버섯 균사체 추출물보다 흡수능력이 적거나 비교적 파장이 긴 곳에서 흡수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G-EtOH와 P-W의 혼합물 또는 G-W와 P-W의 혼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 보다 더욱 상승된 자외선 흡수 작용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자유 라디칼 소거능력
0.2mM 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 메탄올 용액 0.5ml에 각각의 시료 혼합물을 첨가한 다음, 10% 에탄올 용액 1ml를 더 첨가한 후, 37℃에서 10분간 방치하고, 이어서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프리라디칼의 소거능력은 자유 라디칼을 50%(SC50)의 농도로 나타내었으며, 그 함량은 아래 식으로 측정하였다.
자유 라디칼 억제율(%) = 〔1-(시료군-대조군)/기준군〕×100
곡류의 G-EtOH과 G-W을 비교할 경우, 에탄올 추출물이 더 강한 자유 라디칼 소거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W의 경우, 전체적으로 곡류 추출물보다 약한 프리라디칼 소거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G-W와는 큰 차이가 없었다. G-EtOH와 P-W(4:1혼합, 건조중량%) 혼합물과 G-W와 P-W(4:1혼합, 건조중량%)혼합물의 경우, 상기 시료를 각각 이용하는 것보다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G-EtOH와 P-W의 혼합물이 가장 가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G-EtOH와 P-W의 혼합물 또는 G-W와 P-W의 혼합물은 자유 라디칼 제거능에 있어서 상승 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프리라디칼 소거능력
시료농도(%)시료 0.2 0.4 0.6 0.8 1.0 2.0
G-EtOH 18 30 48 62 76 83
G-W 22 34 46 58 67 78
P-W 27 34 45 50 62 78
G-EtOH와 P-W(4:1혼합, 건조중량%) 32 42 54 71 83 88
G-W와 P-W(4:1혼합, 건조중량%) 28 36 51 73 77 85
비타민 C 28 32 34 48 65 72
[실시예 7] 티로시나제 활성에 대한 효과
티로시나제는 생체내에서 티로신의 산화과정을 촉진시켜 멜라닌을 생성하게 하는 것을 도와주는 효소이다. 즉, 이 효소의 활성이 강하면 멜라닌의 생성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것을 의미하며, 이 효소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면 상대적으로 미백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Pomerantz, S. H., J. Biochem., 24, 1966). 상기 시료들을 1mg/ml농도로 조제하여 15㎕씩 마이크로플레이트(96웰)에 넣고, 0.1M 인산 완충액(pH 6.86) 150㎕, 1.5mM L-티로신 용액 25㎕를 넣은 후, 2.5단위/㎖ 티로시나제(mushroom tyrosinase, Sigma, USA, 0.05M 인산완충액, pH 6.8)7㎕를 첨가하고,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다음, 49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저해율(%) = 《〔(D-C)-(B-A)〕/(D-C)》×100
A : 저해제를 넣은 것의 반응 전 흡광도
B : 저해제를 넣은 것의 반응 후 흡광도
C : 저해제를 넣지 않은 것의 반응 전 흡광도
D : 저해제를 넣지 않은 것의 반응 후 흡광도
티로시나제에 대한 억제 활성은 비처리구의 흡광도를 100으로 할 경우, 이에 대한 활성을 50% 저해하는 농도(IC50)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G-EtOH와 P-W의 혼합물 (4:1혼합, 건조중량%) 및 G-W와 P-W의 혼합물 (4:1혼합, 건조중량%)의 경우에, 상기 시료를 각각 이용하는 것보다 더 강한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G-EtOH와 P-W(4:1혼합)혼합물이 가장 강한 억제능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G-EtOH와 P-W의 혼합물 또는 G-W와 P-W의 혼합물은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에 있어서 상승 작용이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효과 (%)
시 료 머쉬룸 티로시나제(IC50)
G-EtOH 0.415
G-W 0.447
P-W 0.387
G-EtOH와 P-W(4:1혼합, 건조중량%) 0.299
G-W와 P-W(4:1혼합, 건조중량%) 0.318
코직산(Sigma, USA) 0.042
하이드로퀴논(Sigma, USA) 0.016
알부틴 0.422
[실시예 8] 항산화 효과
리놀산을 이용하여 각 추출물이 자동산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는 항산화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8㎖ 캡튜브에 10mM 리놀산용액 3㎖와 시료 추출물(4㎎/㎖) 0.075㎖를 첨가한 후, 잘 혼합하여 4℃에 24시간 방치하였다. 반응액 0.1㎖에 75% 에탄올수용액 4.7㎖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30% 티오시안산암모니움용액 0.1㎖와 염화 제 1 철 시약 0.l㎖를 첨가하고 3분간 반응시킨 후, 5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항산화효과는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G-EtOH와 P-W혼합물은 87.5%의 항산화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G-W와 P-W혼합물은 83.4%였다. 이는 비타민 C와 거의 같은 수준이었으며, 각각의 추출물을 사용한 것보다는 유의적으로 강한 항산화력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리놀산에 대한 항산화 효과
시 료 항산화 효과(%)
G-EtOH 52.9
G-W 50.7
P-W 54.8
G-EtOH와 P-W(4:1혼합, 건조중량%) 87.5
G-W와 P-W(4:1혼합, 건조중량%) 83.4
비타민 C 85.4
알부틴 93.2
[실시예 9] 화장품의 조제
표 5의 비율로 조제한 영양 크림을 사용하여 21∼ 24세의 삼육대학교 학생 24명을 대상으로 피부 상태를 조사한 후, 보습력, T존 유분(건성도), U존 유분(기름정도), 모공의 크기, 그리고 탄력도 등 4가지 항목을 주안점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주름은 젊은 학생인 관계로 거의 없었기 때문에 측정에서 제외하였다. 시험방법으로는 피검자의 안면 왼쪽부에는 영양크림을, 오른쪽부에는 대조구 크림을 3개월간 사용하도록 하였다. 크림 사용이전의 안면 양쪽부의 피부상태를 측정해 놓은 후, 크림사용 3개월 후 동일부위를 재측정하여 피부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피부측정은 24℃, 상대습도 40%의 항온항습실에서 하였으며, 눈꼬리 부위의 주름을 레플리커(replica)로 떠서 비시오메타 시스템 (Visiometer system ; C&K사)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 대상자 중 3명의 피부상태(그림 2, 3, 4)만을 예시로 나타내었으며, 대부분 보습력은 개선되었으며, T존 유분(건성도), U존 유분(기름정도), 그리고 피부 탄력도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6).
영양크림(크림로션)의 조성 (단위 : 중량%)
재료명 영양크림 대조구
스테아린산 2.50 2.50
왁스 1.00 1.00
글리세린 스테아레이트 1.20 1.20
폴리글리세릴-3 메틸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 0.50 0.50
식용유 3.00 3.00
뷰틸 파라핀 0.20 0.20
스쿠알렌 1.50 1.50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2.00 2.00
뷰틸렌 글리콜 3.00 3.00
토코페롤 1.50 1.50
리놀렌산 1.00 1.00
디메티콘 0.50 0.50
메틸 파라핀 0.15 0.15
이미다졸리디닐 요소 0.15 0.15
EDTA 0.05 0.05
판테놀 1.50 1.50
레시틴 1.00 1.00
글리세린 8.00 8.00
뷰티렌 글리콜 2.00 2.00
히아루론산 3.50 3.50
디에탄올아민 0.30 0.30
폴리아크릴아마이드 0.80 0.80
카보머 0.12 0.12
맥주효모 0.30 0.30
G-EtOH와 P-W(4:1혼합) 10.00 0.00
수용성 키토산 1.00 1.00
질경이 추출물 1.30 1.30
100%로 조정 100%로 조정
합계 100 100
영양크림에 의한 피부상태 변화 (단위 : 명)
측정항목 영양크림 대조구
도포 전 도포 후 도포 전 도포 후
보습력 낮다 6 2 6 4
보통 12 9 12 11
높다 6 13 6 9
T존 유분 부족 7 3 7 5
정상 12 17 12 13
과다 7 4 7 6
U존 유분 부족 16 8 16 12
정상 6 13 6 10
과다 2 3 2 2
피부 탄력 나쁘다 3 2 3 3
보통 15 10 15 14
좋다 6 12 6 7
주름 적다 21 23 21 21
보통 3 1 3 3
많다 0 0 0 0
[실시예 10] 영양크림의 피부 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피부 탄력성에 대한 곡류 추출물의 효과를 실험하기 위하여 30∼35세의 중년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왼쪽눈 가장자리에 하루 두 번 상기 영양크림을 도포하였다. 오른쪽 눈가장자리는 대조구의 크림을 처리하였다. 각각 처리하고 60일 후에 피부 표면의 피부 탄력성을 Cutometer SEM 474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Cutometer SEM 474은 주름의 깊이를 측정하는 것으로, 탄력도는 대조군에 비해 감소한 값을 %로 나타낸 것이며, 피검자 20명의 펴균치로 표시하였다. 대조구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영양크림을 도포한 처리구에서는 그 효과가 뛰어난 것이 확인되어 본 발명 화장품은 피부의 탄력뿐만 아니라 피부 노화에 의한 피부 주름을 효과적으로 치유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영양크림에 의한 피부 탄력성 변화
처리구 함량(%)
0일 30일 60일
영양크림 11.8 20.6 38.9
대조구 10.7 12.4 13.8
[실시예 11] 제형
상기 실시예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볼 경우, 곡류 추출물과 상황버섯의 복합물은 피부 노화억제, 미백효과, 항산화, 그리고 항바이러스성을 가지고 있음을 입증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하기와 같은 제형으로 화장용 제제를 만들어 사용하기로 하였다.
제형예 1. 화장수(스킨로션)
원료명 함량(%)
G-EtOH와 P-W(4:1혼합) 1.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수용성키토산 0.4
에탄올 10.0
맥주효모 0.2
트리에탄올아민 0.1
정제수 100으로 조정
합계 100
제형예 2. 마사지 크림
원료명 함량(%)
G-EtOH와 P-W(4:1혼합) 0.5
밀납 9.0
폴리솔베이트 60 2.0
피오이 60 경화피마자유 2.3
맥주효모 1.0
유동파라핀 38.0
스쿠알란 7.0
카프릴릭 3.5
글리세린 5.5
부틸렌글리콜 2.5
프로필렌글리콜 3.0
수용성 키토산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100으로 조정
합계 100
제형예 3. 팩
원료명 함량(%)
G-EtOH와 P-W(4:1혼합) 0.5
폴리비닐알코올 13.0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글리세린 5.0
알란토인 0.1
에탄올 6.0
노닐페닐에테르 0.3
폴리솔베이트 60 0.3
수용성 키토산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100으로 조정
합계 100
제형예 4. 화장비누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얻은 곡류 추출물(에탄올 및 열수 추출물), 상황버섯, 상황버섯 균사체 추출물 및 각 추출물을 혼합하여 공지의 비누 조성물에 1∼50중량%를 첨가하고 통상의 비누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비누를 제조하여 피부 노화방지용 화장비누로 사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매우 우수한 자유 라디칼 제거능,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능, 항산화 효과 및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지며, 따라서 피부노화 방지, 주름 개선, 피부탄력 증가, 피부미백, 자회선 차단, 보습력 증가 등을 목적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조성물 총 건조 중량에 대하여, 수수, 검은콩, 백태, 팥, 검은깨를 함유하는 곡류 혼합물을 추출하여 수득한 곡류 추출물 1 내지 99 중량%, 및 현미 또는 율무발아 상황버섯 추출물 99 내지 1 중량%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류 혼합물의 추출물은, 중량 기준으로 수수, 검은콩, 백태, 팥, 및 검은깨의 혼합 비율을 각각 (0.1∼5.0) : (0.1∼8.0) : (0.1∼5.0) : (0.1∼8.0) : (0.1∼8.0)로 혼합하고, 상기 곡류 혼합물을 분쇄기로 미세하게 분쇄한 후, 50∼150 메쉬 여과망으로 여과하여 수득한 건조 형태의 분쇄 혼합물 1㎏에, 0.5∼10배의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등의 사용가능한 유기 용매를 첨가한 다음, 50∼95℃에서 30분 내지 12시간 이상 가열하여 곡류을 추출하는 유기 용매 추출 방법에 의해 수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곡류 혼합물의 추출물은 수수, 검은콩, 백태, 팥, 및 검은깨의 혼합 비율을 각각 (0.1∼5.0) : (0.1∼8.0) : (0.1∼5.0) : (0.1∼8.0) : (0.1∼8.0)로 혼합하고, 혼합물을 분쇄기로 미세하게 분쇄한 후, 50∼150 메쉬 여과망으로 여과하여 수득한 건조 형태의 분쇄 혼합물 1㎏에, 0.5∼10 배의 물을 첨가한 다음, 100℃에서 30분 내지 12시간 이상 가열하는 열수 추출 방법에 의해 수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곡류발아 상황버섯 추출물은 현미 또는 율무발아 상황버섯, 현미 또는 율무발아 상황버섯 균사체, 또는 이의 혼합물에 1∼3 배량의 증류수를 첨가하고, 105℃∼115℃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열탕 추출하는 공정을 2∼3회 반복한 후, 감압농축함으로써, 추출물내에 다당체 성분을 포함하는 상황버섯 추출물을 얻은 다음, 얻어진 추출액을 260 메쉬(mesh)로 여과하고, 60℃에서 700㎜Hg로 감압농축하여, 25 브릭스(Brix)로 만드는 방법을 통해 수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품.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화장품.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품.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품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비누.
KR10-2003-0024603A 2003-04-18 2003-04-18 곡류 추출물 및 곡류발아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화장품 KR100534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4603A KR100534074B1 (ko) 2003-04-18 2003-04-18 곡류 추출물 및 곡류발아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4603A KR100534074B1 (ko) 2003-04-18 2003-04-18 곡류 추출물 및 곡류발아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화장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0644A true KR20040090644A (ko) 2004-10-26
KR100534074B1 KR100534074B1 (ko) 2005-12-06

Family

ID=37371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4603A KR100534074B1 (ko) 2003-04-18 2003-04-18 곡류 추출물 및 곡류발아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407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831B1 (ko) * 2003-06-17 2006-01-24 한불화장품주식회사 발아된 검은콩 및 검은쌀 단백질분해효소로 가수분해한 펩타이드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9083289A1 (ko) * 2017-10-25 2019-05-02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장건강 및 장개선 효능을 가지는 수수 및 팥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53095B1 (ko) 2020-11-06 2021-05-17 주식회사 허브테라피 여드름 피부 개선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 기능성 화장품
KR102621129B1 (ko) * 2023-03-20 2024-01-08 김도현 곡물 및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738B1 (ko) 2012-12-12 2014-09-22 문현주 팥물 발효-효소 처리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2414B1 (ko) 2015-07-29 2018-01-30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돌미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831B1 (ko) * 2003-06-17 2006-01-24 한불화장품주식회사 발아된 검은콩 및 검은쌀 단백질분해효소로 가수분해한 펩타이드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9083289A1 (ko) * 2017-10-25 2019-05-02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장건강 및 장개선 효능을 가지는 수수 및 팥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46255A (ko) * 2017-10-25 2019-05-07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장건강 및 장개선 효능을 가지는 수수 및 팥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53095B1 (ko) 2020-11-06 2021-05-17 주식회사 허브테라피 여드름 피부 개선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 기능성 화장품
KR102621129B1 (ko) * 2023-03-20 2024-01-08 김도현 곡물 및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4074B1 (ko) 2005-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415B1 (ko) 유색미 미강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130085012A (ko)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66320B1 (ko)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20090002677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36804B1 (ko) 버섯을 이용한 전복 버섯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180069199A (ko) 발효콩, 발효쌀, 발효감자, 발효인삼 및 발효율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력과 미백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76938B1 (ko) 천연식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34074B1 (ko) 곡류 추출물 및 곡류발아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화장품
KR20110109568A (ko) 맥주 효모를 이용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051939B1 (ko) 황칠나무 추출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화장품 조성물
KR100841072B1 (ko) 천연곡물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960571B1 (ko) 살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살구 추출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피부미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94733B1 (ko)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미, 주근깨,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01686A (ko) 사향, 당귀, 산수유, 녹용 및 상황버섯, 영지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꽃송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105225A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49067A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20749A (ko) 동충하초로 발효된 인삼과 그 추출물 및 그 용도
KR102117761B1 (ko) 홍해삼 유래 저염 펩타이드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8695B1 (ko) 뽕나무뿌리와 모란뿌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122448A (ko)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4961B1 (ko) 콩꼬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207560B1 (ko) 빗죽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3631227A (zh) 抗老化剂、抗氧化剂、抗炎剂、及美白剂、以及化妆品
KR102520908B1 (ko) 영여자 숙성액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영여자 숙성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