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144B1 -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144B1
KR102356144B1 KR1020210076709A KR20210076709A KR102356144B1 KR 102356144 B1 KR102356144 B1 KR 102356144B1 KR 1020210076709 A KR1020210076709 A KR 1020210076709A KR 20210076709 A KR20210076709 A KR 20210076709A KR 102356144 B1 KR102356144 B1 KR 102356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wder
pomegranate
skin
l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용해
Original Assignee
고흥석류친환경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흥석류친환경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고흥석류친환경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210076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1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류 발효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석류 발효 분말은 세포독성이 없고,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며, 엘라스타아제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and health functional food for skin whitening and anti-wrinkle}
본 발명은 석류 발효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조직 중 직접적으로 외부환경에 노출되어 있으며, 인체의 내부와 외부환경 사이의 방어벽 역할을 하여 화학물질이나 자외선을 포함한 외부 환경오염 물질 및 미생물의 침입을 방어함으로써 주위환경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한다. 또한 피부는 멜라닌, 헤모글로빈(hemoglobin), 카로틴(carotene) 등에 의해 색이 결정되는데 이 중에서도 멜라닌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멜라닌은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것 이외에도 자외선 흡수 작용, 자유 라디칼 소거제(free radical scavenger) 등과 같은 피부 보호 작용을 수행한다. 그러나 자외선의 과다노출, 대기 오염, 스트레스 등과 같은 외부의 환경 변화에 의하여 멜라닌이 과다하게 생성되면 피부 내에서 색소 침착 현상을 일으켜 피부의 흑화(melanism) 또는 기미, 주근깨 등의 원인이 된다. 피부의 흑화는 내적 및 외적 요인에 대한 피부 세포의 반응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대표적인 요인은 자외선 노출로 인한 것이다. 즉,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면 티로시나아제(tyrosinase)가 활성화되는데, 상기 티로시나아제가 피부조직에 존재하는 티로신에 작용하여 도파(DOPA) 및 도파퀴논(dopaquinone)을 생성시키는 산화 과정에 의하여, 피부 색소 세포인 멜라노사이트(melanocyte) 내의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멜라닌이라는 중합체가 합성되며, 이러한 멜라닌이 피부의 각질 형성 세포인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로 전달되고 각질화 과정에 의해 피부 표면에 도달하여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게 된다. 따라서, 멜라닌은 우리 인체에 없어서는 안되는 자외선 방어제이며, 또한 단백질, 지질, 핵산 등과 같은 생체성분을 변형시키는 다양한 라디칼을 제거하는 효과적인 자유 라디칼 소거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멜라닌이 국소적으로 과도하게 합성되거나, 피부 병변 및 노화에 따른 피부의 생리 기능이 떨어지게 되면, 멜라닌이 피부 표면에 침착되어 기미, 주근깨 및 다양한 색소 침착을 유발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피부 흑화의 원인과 기작이 밝혀지면서, 미백 화장료의 제조에 있어 피부 흑화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저해 효과를 갖는 물질들을 화장료에 배합하거나, 또는 멜라닌 생성과정 중에서 일부 반응을 저해함으로써 멜라닌의 생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물질로는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코지산(kojic acid),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등의 화학 물질과 상백피 추출물, 감초 추출물 등의 식물 추출물이 있다. 하지만, 아스코르브산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분자 자체의 안정성이 낮아서 멜라닌 생성 억제제로 적합하지 않으며, 코지산은 티로시나아제의 저해활성이 우수하지만, 화장료에 배합할 때 변색되고 경시 변화에 따라서 역가가 저하되는 등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자극이 커서 사용상 한계가 있고, 하이드로퀴논은 피부 자극 및 안전성 문제로 인하여 화장료에서의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신규하고 효과적인 미백 성분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석류(Punica granatum L., Pomegranate)는 석류과(Punicaceae)에 속하는 낙엽성 소목의 열매로 이란을 중심으로 아열대 및 열대 각지에 널리 퍼져 있는 식물이다. 예부터 촌충의 구제, 설사, 이질, 구내염, 장출혈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석류열매와 줄기껍질, 그리고 뿌리껍질을 건조하여 한약재로 많이 쓰여 왔으며, 근래에는 고혈압과 동맥경화, 항산화, 항염증, 항암 등의 임상적 효능을 가진 90여 종의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석류의 주요 성분은 알칼로이드인 이소펠레티에린(isopelletierine)이며, 그 외 타닌인 퓨니칼린(punicalin), 이눌린(inuline), 만니톨(mannitol), 소르비톨(sorbitol), 말산(mal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석류나무의 수피, 잎, 과피에는 에라지타닌(ellagitannin)과 갈로타닌(gallotanin)이 풍부하고, 잎에는 아피게닌(apigenin), 루테인(lutein) 등의 배당체가 함유되어 있다. 또한, 석류는 과즙보다 껍질과 씨부분에 기능성 성분의 함량뿐만 아니라, 항암 및 항산화 활성이 높으며,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 대응 물질도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최근 석류씨 중의 푸닉산(punicic acid), 에스트로겐(estrogen), 에스트라디올(estradiol), β-시토스테롤(β-sitosterol)의 생리활성 및 섭취 효과가 보고되면서 석류씨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다. 석류나 콩과류에서 발견되는 피토에스트로겐(phytoestrogen)의 주성분은 이소플라본과 리그난 등의 페놀성 화합물이며, 이들 페놀성 화합물은 천연의 성호르몬과 공통성을 갖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암, 심장혈관질환, 골다공증 등의 만성질환에 대해서 예방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38547호에는 피부진정 효과를 갖는 석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03-0025067호에는 석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석류 발효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석류 발효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석류 발효 분말이 세포 독성이 없으며, 멜라닌 생성 저해 활성 및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이 현저한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석류 발효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석류 발효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석류 발효 분말은 피부 미백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미백 및 피부 주름 개선을 위한 화장료 및 건강기능식품 등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석류, 곰취 분말, 나한과 분말 및 물을 혼합한 혼합물에 표고버섯 균사체를 혼합하여 배양한 배양물을 건조한 후 분쇄한 석류 발효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석류 63~67 중량%, 곰취 분말 8~12 중량%, 나한과 분말 8~12 중량% 및 물 13~17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석류 65 중량%, 곰취 분말 10 중량%, 나한과 분말 10 중량% 및 물 15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석류 발효 분말은 바람직하게는 석류 63~67 중량%, 곰취 분말 8~12 중량%, 나한과 분말 8~12 중량% 및 물 13~17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에 표고버섯 균사체를 혼합하여 20~30℃에서 12~16일 동안 배양한 배양물을 건조한 후 분쇄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석류 65 중량%, 곰취 분말 10 중량%, 나한과 분말 10 중량% 및 물 15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에 표고버섯 균사체를 혼합하여 25℃에서 14일 동안 배양한 배양물을 건조한 후 분쇄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은 그의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50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35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 특히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이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석류, 곰취 분말, 나한과 분말 및 물을 혼합한 혼합물에 표고버섯 균사체를 혼합하여 배양한 배양물을 건조한 후 분쇄한 석류 발효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 연고,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젤,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 로션 및 바디 클렌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각 제형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아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형광물질, 살진균제, 굴수성 유발물질, 보습제, 방향제, 방향제 담체, 단백질, 용해화제, 당 유도체, 일광차단제, 비타민, 식물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부형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석류 발효 분말
(1)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석류 과실 65 중량%, 곰취잎 분말 10 중량%, 나한과 분말(오붐주식회사) 10 중량% 및 정제수 15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121℃에서 30분 동안 멸균하였다.
(2) 상기 (1)단계의 멸균한 혼합물에 배양된 표고버섯 균사체를 혼합하여 25℃에서 14일 동안 배양하였다.
(3) 상기 (2)단계의 배양한 배양물을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였다.
비교예 1. 석류 분말
석류 과실을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였다.
비교예 2. 석류 발효 분말
(1) 석류 과실을 121℃에서 30분 동안 멸균하였다.
(2) 상기 (1)단계의 멸균한 석류 과실을 배양된 표고버섯 균사체를 혼합하여 25℃에서 14일 동안 배양하였다.
(3) 상기 (2)단계의 배양한 배양물을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였다.
비교예 3. 석류 분말
(1)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석류 과실 65 중량%, 곰취잎 분말 10 중량%, 나한과 분말(오붐주식회사) 10 중량% 및 정제수 15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121℃에서 30분 동안 멸균하였다.
(2) 상기 (1)단계의 멸균한 혼합물을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였다.
비교예 4. 석류 발효 분말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석류 발효 분말을 제조하되, (1)단계의 혼합 시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석류 과실 65 중량%, 곰취잎 분말 20 중량% 및 정제수 15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이용하여, 석류 발효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석류 발효 분말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석류 발효 분말을 제조하되, (1)단계의 혼합 시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석류 과실 65 중량%, 나한과 분말(오붐주식회사) 20 중량% 및 정제수 15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이용하여, 석류 발효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건강기능식품
상기 실시예 1의 석류 발효 분말 35 중량%와 콜라겐 분말 45 중량%, 유자 추출 분말 10 중량%, 석류 물 추출 분말 5 중량%, 비타민 C 분말 2 중량% 및 포도당 3 중량%를 혼합하여 분말 형태의 피부 미용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크림 화장료
상기 실시예 1의 석류 발효 분말과 글리세린, 세테아릴알코올, 폴리소르베이트, 디메치콘, 베타인, 스테아린산, 솔비탄스테아레이트, 광물유, 프리옥타노인, 트리에탄올아민, 방부제, 향료, 색소 및 증류수 등을 적정량 배합하였다.
실험예 1. 세포 생존율 분석
B16F10 마우스 멜라노마 세포를 배양하여 96-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1×105 세포수/㎖를 분주하고 배양하여 24시간 동안 안정화시킨 후, 석류 분말을 각각 100 및 200 ㎍/㎖의 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반응 후 MTT(3-(4,5-디메틸디아졸-2-일)-2,5-데펜테르라졸리움 프로미드) 시약을 10㎕ 첨가하여 4시간 동안 포르마잔(formazan)을 형성시켰다. 반응이 끝나면 배지를 제거하고 디메틸 설폭시드(dimethyl sulfoxide; DMSO)로 포르마잔을 용해시켜 ELISA 리더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값에 대한 비율로 계산하였다.
상대적인 세포 생존률(%)
구분 추출물의 농도
100 ㎍/㎖ 200 ㎍/㎖
무처리 100
실시예 1 103 105
비교예 1 110 105
비교예 2 99 98
비교예 3 105 100
비교예 4 97 95
비교예 5 104 100
그 결과, 상기 표 1에 비교한 바와 같이, 모든 처리 농도에서 실시예 1과 비교예들의 석류 분말은 세포 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 확인
멜라닌 생성량 측정은 B16/F10 멜라노 세포를 배양하여 24 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세포를 1×105 세포/웰에 시료를 처리한 후 48시간 배양하였다. 48시간 배양한 후 각 웰을 PBS로 세척한 후 0.2N NaOH 용액 400 ㎕를 첨가하고 60℃에서 1시간 동안 용해하였으며, ELISA 리더(Molecular Devices, USA)를 이용하여 405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멜라닌(melanin) 생성 저해능(%)
구분 시료의 농도
100 ㎍/㎖ 200 ㎍/㎖
실시예 1 52±0.8a 69±0.7a
비교예 1 35±0.7d 44±2.2e
비교예 2 43±0.3c 56±3.2c
비교예 3 42±1.4c 51±0.8d
비교예 4 47±0.8b 60±1.3b
비교예 5 48±1.2b 61±0.2b
그 결과, 상기 표 2에 비교한 바와 같이, 100 및 200 ㎎/㎖의 시료 처리 시 실시예 1이 비교예들에 비해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가 현저하였으며, 비교예 1이 가장 낮은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3.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확인
본 발명의 시료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0.4M의 Tris-HCl 버퍼 (pH 8.6)을 50 ㎕, 농도별 시료를 50 ㎕, 50 mM의 Tris-HCl 버퍼(pH 8.6)에 0.6 U/ml이 되도록 희석한 효소(ex-porcine pancreas) 50 ㎕를 넣고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기질(methoxysuccinyl-LAla-L-Val-5-nitroanilide)을 100 ㎕를 넣은 후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다시 4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엘라스타아제(elastase) 저해율(%)
구분 시료의 농도
100 ㎍/㎖ 200 ㎍/㎖
실시예 1 40±0.6a 55±1.3a
비교예 1 22±0.5e 34±1.1f
비교예 2 31±1.3c 43±1.8d
비교예 3 28±1.1d 39±1.0e
비교예 4 33±1.7c 47±1.1c
비교예 5 36±1.0b 51±0.4b
그 결과, 표 3에 개시한 바와 같이, 모든 시료에서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시예 1의 석류 발효 분말의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p<0.05).

Claims (6)

  1. 석류 63~67 중량%, 곰취 분말 8~12 중량%, 나한과 분말 8~12 중량% 및 물 13~17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에 표고버섯 균사체를 혼합하여 배양한 배양물을 건조한 후 분쇄한 석류 발효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류 발효 분말은 석류 63~67 중량%, 곰취 분말 8~12 중량%, 나한과 분말 8~12 중량% 및 물 13~17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에 표고버섯 균사체를 혼합하여 20~30℃에서 12~16일 동안 배양한 배양물을 건조한 후 분쇄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석류 63~67 중량%, 곰취 분말 8~12 중량%, 나한과 분말 8~12 중량% 및 물 13~17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에 표고버섯 균사체를 혼합하여 20~30℃에서 12~16일 동안 배양한 배양물을 건조한 후 분쇄한 석류 발효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외용 연고,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젤,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 로션 및 바디 클렌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76709A 2021-06-14 2021-06-14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KR102356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709A KR102356144B1 (ko) 2021-06-14 2021-06-14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709A KR102356144B1 (ko) 2021-06-14 2021-06-14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144B1 true KR102356144B1 (ko) 2022-02-08

Family

ID=80252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709A KR102356144B1 (ko) 2021-06-14 2021-06-14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1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5950A (ko) * 2001-12-27 2003-07-04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석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73856B1 (ko) * 2006-06-02 2007-11-06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나한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라이터펜계화합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190078911A (ko) * 2017-12-27 2019-07-05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곤드레 열수 추출물 및 곰취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 개선용 또는 면역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190090129A (ko) * 2018-01-24 2019-08-01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5950A (ko) * 2001-12-27 2003-07-04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석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73856B1 (ko) * 2006-06-02 2007-11-06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나한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라이터펜계화합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190078911A (ko) * 2017-12-27 2019-07-05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곤드레 열수 추출물 및 곰취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 개선용 또는 면역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190090129A (ko) * 2018-01-24 2019-08-01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837B1 (ko) 병풀 부정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43200B1 (ko) 상동나무 열매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090080153A (ko)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071414B1 (ko) 과나바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539209B1 (ko) 알바수련꽃 추출물, 레몬머틀잎 추출물 및 사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항산화, 항염, 피부 자극완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77708B1 (ko)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백복령 발효 추출물, 율무 발효 추출물 및 초석잠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425559B1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863895B1 (ko)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초석잠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356144B1 (ko)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KR101854766B1 (ko) 미백 효능을 갖는 트리히드록시 이소플라본 및 감초 추출물의 복합체
KR102471009B1 (ko) 왕자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51353B1 (ko) 골든 크로쿠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미백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539089B1 (ko) 백지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조성물
KR102444462B1 (ko)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이용
KR102296938B1 (ko) 긴산꼬리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515649B1 (ko) 층층갈고리둥굴레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40026B1 (ko) 철쭉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068808B1 (ko) 봉황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079713B1 (ko) 탈리늄 크랏시톨리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00043717A (ko) 익소라 콕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876319B1 (ko) 야관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230049467A (ko)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ib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10057458A (ko) 이팝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용 조성물
KR20210106661A (ko)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140645B1 (ko) 글라디올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