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462B1 -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이용 - Google Patents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이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462B1
KR102444462B1 KR1020210008970A KR20210008970A KR102444462B1 KR 102444462 B1 KR102444462 B1 KR 102444462B1 KR 1020210008970 A KR1020210008970 A KR 1020210008970A KR 20210008970 A KR20210008970 A KR 20210008970A KR 102444462 B1 KR102444462 B1 KR 102444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oxidant
skin whitening
gobon
cosmetic composition
complex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5965A (ko
Inventor
구영민
신승미
이동열
정원민
길영숙
정동규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08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462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부작용 없이 항산화 및 피부미백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식품이 개시된다.
특정 배합비로 혼합된 녹두, 백지, 천화분, 식방풍, 고본, 곽향, 감초 및 한인진의 혼합물을 특정 용매로 복합추출하여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추출물은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월등히 높고 현저히 증진된 항산화 및 미백 효과가 있어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식품의 소재(첨가재)로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식품은 세포독성과 같은 부작용 없이 항산화 및 피부미백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이용 {Composition having antioxidant and skin whitening effect and its use}
본 발명은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이용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녹두, 백지, 천화분, 식방풍, 고본, 곽향, 감초 및 한인진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미백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특히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식품으로서, 부작용 없이 항산화 및 피부미백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체 외부로부터 유입되거나, 생체 내에서 발생하는 활성 산소는 생체의 노화를 촉진시키거나, 암을 발생시키는 등 많은 문제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활성 산소에 의한 산화를 억제하는 항산화 물질에 대한 개발 및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항산화 물질은 동·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과일과 채소에 많은 생리활성성분, 토코페롤, 비타민 C, 셀레늄 등이 알려져 있다. 다만, 천연에 존재하는 항산화 물질은 피부 적용시 실질적으로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항산화력이 뛰어나고 가격이 저렴한 합성 항산화제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인체 부작용 등 안전성에 대한 우려로 그 사용이 제한된다.
희고 고운 피부를 갖고자 하는 것은 모든 사람의 한결 같은 소망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여러 원인 중 멜라닌에 의해 결정적인 작용을 하는데, 멜라닌은 생체 고분자물질로 검은 색소와 단백질의 복합체이며 사람의 머리카락과 피부색을 이루는 색소 중의 하나이다. 표피에 존재하는 멜라닌은 태양광선으로부터 들어오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색소로서 자외선에 피부가 노출될 경우 자외선 흡수에 의한 세포손상을 방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멜라닌 색소가 생성된다. 그리하여 자외선에 과다하게 노출되거나 α-MSH에 의하여 멜라닌이 생성될 수 있으며, 멜라닌이 국소적으로 과도하게 생성되거나 노화 등에 의해 피부의 생리기능이 떨어지게 되면 멜라닌이 피부표면에 침착되어 기미, 주근깨 및 다양한 색소침착을 유발하게 된다. 멜라닌은 티로신이 티로시네이즈의 작용에 의해 여러 가지 물질로 대사되는 과정 중에 최종적으로 생성하기 때문에 멜라닌의 생성효소인 티로시네이즈의 생성이 억제되거나 그 활성이 저해되며 멜라닌 생성이 감소된다.
일반적인 알려진 미백 성분으로서, 코지산(Kojic acid), 알부틴(Arbutin) 등과 같은 티로시나제 효소활성을 억제하는 물질이 있다. 이들은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톤을 밝게 하여 피부 미백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또는 유전에 기인한 기미나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의 개선이 가능하다. 그러나 피부 적용 시, 자극과 발적 등의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다.
따라서, 천연물 유래로 생체에 안전하고 우수한 항산화 및 피부미백 활성을 갖는 조성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 10-2138262호 등록특허 10-1895412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기술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한 결과, 특정 배합비로 혼합된 녹두, 백지, 천화분, 식방풍, 고본, 곽향, 감초 및 한인진의 혼합물을 특정 용매로 복합추출한 조성물이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월등히 높고 현저히 증진된 항산화 및 미백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녹두, 백지, 천화분, 식방풍, 고본, 곽향, 감초 및 한인진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녹두, 백지, 천화분, 식방풍, 고본, 곽향, 감초 및 한인진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건강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녹두, 백지, 천화분, 식방풍, 고본, 곽향, 감초 및 한인진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항산화'는 세포내 대사 또는 자외선의 영향으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따라 반응성이 높은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또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에 의한 세포의 산화를 억제하는 것을 말하며, 자유 라디칼 또는 활성산소종을 제거하여 이로 인한 세포의 손상이 감소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피부미백'이라 함은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톤을 밝게 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또는 유전에 기인한 기미나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을 개선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녹두(Vigna radiate (L.) Wilczek)는 콩과(Leguminosae) 작물로 식이섬유를 포함한 당질(50~60%)과 단백질(20~24%) 함량이 높고, 지방 함량(1%)이 낮은 두류이다. 녹두는 비타민, 무기질, 플라보노이드 및 페놀화합물 등의 기능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녹두와 관련하여서는 이소플라본(isoflavone), 껍질에 함유된 바이텍신(vitexin)과 이소바이텍신(isovitexin)의항염증 및 항비만 활성 등의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민간에서는 해열, 해독제로 쓰여 왔다.
백지는 산형과의 구릿대(Angelica dahurica Bentham et Hooker)의 뿌리 부분을 지칭하는 생약명이다. 뿌리는 담황갈색인데 비대하고, 추대하면 목질화하여 죽는다. 생약으로는 1~2년생이 좋은데 꽃대가 올라오지 않은 것을 쓴다. 유행성 감기로 인한 두통, 코막힘, 콧물을 다스리는 진통약이며, 위장장애, 산전 산후두통, 어지럼증, 치통, 안면신경통, 마비 등에 유효하다. 또한 축농증으로 인한 두통, 창양, 종독, 피부궤양 등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천화분(Trichosanthes kirilowii)은 박과의 하눌타리 또는 노랑 하눌타리의 피층을 벗긴 뿌리를 말하며, 민간요법에서 항소갈작용, 청열지갈작용, 배농, 염증, 진해, 당뇨병, 해열, 이뇨, 변비, 염증, 폐병, 기침, 천식, 창종, 해열, 중풍 등에 사용되어 왔다.
식방풍(植防風)은 미나리과(Umbelliferae)에 속하는 갯기름나물(Peucedanum japonicum Thunberg)의 뿌리를 말하며, 식용이 가능하며, 특이한 향기가 있고 맛이 달아 식품 소재로 적절하다. 한의학에서는 일체의 풍증을 제거하며 진통억제, 경련발작 및 근육경련 억제, 중풍으로 인한 반신불수 등에 사용하며, 가래, 기침, 두통, 해열, 습진, 신경통 등에 사용된다고 알려져 있다.
고본 (Angelica tenuissima NAKAI.)은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전국의 깊은 산골에서 자생하는 식물이다. 고본의 맛은 맵고 따뜻하며, 매운맛은 발산작용이 강하여 외감성으로 인한 두통, 발열, 해수, 가래, 콧물에 사용하고, 또한 머리가 아픈 두정통을 멈추게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고본은 휘발성 정유를 함유하고 있는데, 정유성분은 진정, 진통, 해열, 항염증 작용을 나타낸다. 또한 차고 습한 곳에서 생활함으로써 생기는 팔·다리가 저리면서 아픈 증상을 치료하기도 하며, 백선균에 강한 억제작용을 나타내며, 신경성 피부염, 가려움증, 피부의 발진 소실효과를 가지는 약용식물 중 하나이다.
감초(甘草, Glycyrrhiza uralensis)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에 속하는 약용식물로 예로부터 한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감초는 해독, 항염증, 항암, 항당뇨, 혈당과 복부지방 감소 및 염증매개 물질 분비 억제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인진(Artemisia iwaymogi Kitam)은 국화과 다년생 목본식물로, 일명 더위지기라고도 하며, 예로부터 고혈압, 비만, 뇌졸중 치료, 간기능 보호효과, 소화, 악취제거, 항균효과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녹두, 백지, 천화분, 식방풍, 고본, 곽향, 감초 및 한인진은 100 메쉬 이상의 분말로 제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복합추출은 녹두, 백지, 천화분, 식방풍, 고본, 곽향, 감초 및 한인진의 분말을 혼합한 후, 전체 용량 대비 5 ~ 10배의 용량으로 추출용매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4 ~ 72 시간의 추출한 후 여과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추출용매로는 65~75% 메탄올 또는 65~75%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메탄올 또는 70% 에탄올을 사용한다. 추출용매로서 메탄올의 농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낮아지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떨어지고, 그리고 멜라닌 생성 저해활성이 떨어진다. 에탄올의 농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떨어지고, 그리고 멜라닌 생성 저해활성이 떨어진다.
상기와 같은 조건의 본 발명에 따른 복합추출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현저히 증진시키고, 더불어 DPPH 라디칼 소거활성 및 멜라닌 생성 저해활성 (미백 활성)이 현저히 증진된다.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에서 녹두는 17~25 중량%, 백지는 17~25 중량%, 천화분은 17~25 중량%, 식방풍은 11~15 중량%, 고본은 11~15 중량%, 곽향은 11~15 중량%, 감초는 6~10 중량% 및 한인진은 2~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에서 녹두, 백지, 천화분, 식방풍, 고본, 곽향, 감초 및 한인진이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면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미흡하며 DPPH 라디칼 소거활성 및 멜라닌 생성 저해 활성이 미흡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초과로 포함되면 인체 독성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에서, 총 플라보노이드는 1.8 mg CE/g 이상으로 함유된다 (도 2).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IC50)은 612 ppm 이하이다 (도 1).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활성(405nm에서 흡광도)은 0.33 이하이다 (도 5).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은 고농도(500ppm)에서도 세포독성이 없어 안전하다 (도 4).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과 같은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과 같은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과 같은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과 같은 메이크업 제거제, 클렌징 폼, 비누, 바디 워쉬, 물휴지 등과 같은 세정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복합추출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복합추출물을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이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충분한 항산화 및 피부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제조비용이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및 피부미백 효과가 우수하다 (도 1, 도 2, 및 도 5).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따라서, 본 발명은 녹두, 백지, 천화분, 식방풍, 고본, 곽향, 감초 및 한인진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건강식품'은 상기 복합추출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에 식품첨가물로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항산화 및 피부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상기 복합추출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복합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복합추출물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은 원료에 대하여 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3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건강식품이 음료일 경우 감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특정 배합비로 혼합된 녹두, 백지, 천화분, 식방풍, 고본, 곽향, 감초 및 한인진의 혼합물을 특정 용매로 복합추출하여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추출물은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월등히 높고 현저히 증진된 항산화 및 미백 효과가 있어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식품의 소재(첨가제)로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식품은 세포독성과 같은 부작용 없이 항산화 및 피부미백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 (IC50)을 분석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mg GAE/g)을 분석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mg GAE/g)을 분석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추출물의 세포독성 검사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활성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이 더 상세히 설명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제조예 : 복합추출물의 제조
녹두, 백지, 천화분, 식방풍, 고본, 곽향, 감초 및 한인진은 건조된 것을 구입하여 100 메쉬로 분말화하여 각각의 분말을 준비하였다.
각각의 분말을 하기 표 1과 같은 함량으로 혼합하였다.
원료 배합량 (중량%)
녹두 20
백지 20
천화분 20
방풍 10
고본 10
곽향 10
감초 7
한인진 3
추출용매를 70% 에탄올 (실시예 1), 100% 에탄올 (비교예 1), 70% 메탄올 (실시예 2), 100% 메탄올 (비교예 2) 및 증류수 (비교예 3)을 각각 준비하였다.
각각 혼합분말의 용량 대비 5배(v/w)의 추출용매를 첨가하고, 2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추출한 후, 필터페이퍼로 여과하여 복합추출물의 제조하였다.
시험예 1. 복합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분석
항산화 활성은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DPPH는 안정된 라디칼를 가지며, 천연소재의 항산화 활성 측정에 많이 사용되고 DPPH의 라디칼을 소거시켜 탈색되는 것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보라색에서 투명한색으로 변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지방질 산화뿐만 아니라 생체 내 대사과정에서 생성된 프리 라디칼에 의한 노화억제를 측정할 수 있는 기준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내지 3의 복합추출물 시료 각각 20 ㎕를 96 웰-플레이트에 분주하고, 에탄올에 녹인 1.5×10-4 M DPPH 용액(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100 ㎕를 첨가하여 10분간 반응시킨 후, Multimicroplate reader-SpectraMax M5 (Molecular Devices, USA)로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에탄올만 첨가한 시료의 흡광도를 기준값(blank)으로 하고 각각의 복합추출물 시료의 용매를 넣은 것을 대조구로 측정하여 DPPH 라디칼을 50%를 소거하는데 필요한 시료 농도 (Inhibitory Concentration 50(IC50))를 라디칼 소거능(IC50)으로 산출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냈다. 양성대조구로 비타민C를 사용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추출물인 실시예 1은 305 ppm, 실시예 2는 611.2 ppm의 DPPH 라디칼 소거능(IC50)을 나타냈고, 비교예 1(100% 에탄올의 추출용매 사용)의 복합추출물은 1207 ppm, 비교예 3(증류수를 추출용매로 사용)의 복합추출물은 1200 ppm의 DPPH 라디칼 소거능(IC50)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추출용매로 70% 에탄올과 70% 메탄올을 사용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현저히 증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측정은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내지 3의 복합추출물 시료 각각을 에탄올과 혼합한 후, 2% 알루미늄 클로라이드 용액을 1:1 비율로 첨가하여 1시간 반응시킨 후, Multimicroplate reader-SpectraMax M5(Molecular Devices, USA)로 43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0∼250 ㎍/ml의 갈산를 이용하여 표준 곡선을 작성하고 시료 1 g당 갈산의 함량(mg)으로 환산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추출물인 실시예 1은 1.8 mg CE/g, 실시예 2는 3.2 mg CE/g을 나타냈고, 비교예 1(100% 에탄올의 추출용매 사용)의 복합추출물은 0.9 mg CE/g, 비교예 3(증류수를 추출용매로 사용)의 복합추출물은 0.6 mg CE/g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추출용매로 70% 에탄올과 70% 메탄올을 사용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현저히 증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3. 총 폴리페놀 함량 분석
총 폴리페놀 함량의 측정은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내지 3의 복합추출물 시료 각각을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한 후 1 N Folin-Ciocalteu (Sigma, USA) 시약을 넣고 실온에서 3분간 반응시킨 다음, 10% 소듐 카보네이트 용액을 80 ㎕ 첨가하여 1시간 반응시킨 후, Multimicroplate reader-SpectraMax M5(Molecular Devices, USA)로 76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0∼200 ㎍/ml의 갈산를 이용하여 표준 곡선을 작성하고 시료 1 g당 갈산의 함량(mg)으로 환산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추출물인 실시예 1은 13.6 mg CE/g, 실시예 2는 12 mg CE/g으로 총 폴리페놀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비교예 3(증류수를 추출용매로 사용)의 복합추출물은 9.4 mg CE/g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냈다.
시험예 4. 세포독성 분석
악성흑색종 세포주인 B16F10 세포를 penicillin-streptomycin 100 unit/ml과 10% 소태아혈청(Gibco, MD, USA)이 함유된 Dublecco's Modified Eagle 배지(Gibco, MD, USA)를 사용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으며, 2일 간격으로 계대 배양하였다. 세포생존율 측정을 위해 B16F10 세포를 1×105 cells/ml로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내지 3의 복합추출물 시료 각각을 500ppm으로 처리 후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CellTiter 96 aqueous non-radioactive cell proliferation 분석 시약 (Promega, WI, USA)을 첨가한 후,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4시간 반응시켜 Multimicroplate reader-SpectraMax M5(MolecularDevices, USA)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추출 조성물(실시예 1, 실시예 2)은 세포 생존율 시험 결과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5. 멜라닌 생성 저해활성 분석
악성흑색종 세포주인 B16F10 세포를 penicillin-streptomycin 100 unit/ml과 10% 소태아혈청(Gibco, MD, USA)이 함유된 Dublecco's Modified Eagle 배지(Gibco, MD, USA)를 사용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으며, 2일 간격으로 계대 배양하였다.
B16F10 세포를 1×105 cells/ml로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α-MSH (α-멜라노사이트 자극 호르몬;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1 μM과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내지 3의 복합추출물 시료 각각을 500ppm으로 처리하여 3일간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고 세포를 수거하여 PBS (Phosphate-buffered saline)로 2회 수세하여 수획하였다. 10% 디메틸술폭사이드 (DMSO, sigma, Solon, Ohio, USA)가 첨가된 1 N NaOH 용액을 처리하여 75℃에서 1시간 동안 세포에서 생성된 멜라닌을 용해시키고 Multimicroplatereader-SpectraMax M5(Molecular Devices, USA)를 이용하여 405 nm에서 각각의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냈다. 대조구로서 α-MSH만을 처리하고, 그리고 양성대조구로서 알부틴을 처리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시험하고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도 도 5에 나타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α-MSH만을 처리한 대조구에서는 흡광도가 0.54로 멜라닌 생성량이 정상 (0.25)에 비하여 2배 이상 높아진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복합추출물인 실시예 1은 0.33, 실시예 2는 0.29을 나타내어 멜라닌 생성량이 감소되어 거의 정상의 수치에 가까웠다.
이에 비하여 비교예 1(100% 에탄올의 추출용매 사용)의 복합추출물은 흡광도가 0.58, 비교예 2(100% 메탄올의 추출용매 사용)의 복합추출물은 0.51, 및 비교예 3(증류수를 추출용매로 사용)의 복합추출물은 0.51로 나타나, 대조구와 거의 유사하거나 더 많은 멜라닌 생성량을 보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추출물은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는 활성이 현저히 증진됨을 알 수 있다.

Claims (8)

  1. 녹두, 백지, 천화분, 식방풍, 고본, 곽향, 감초 및 한인진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녹두, 백지, 천화분, 식방풍, 고본, 곽향, 감초 및 한인진의 분말을 혼합한 후, 전체 용량 대비 5 ~ 10배의 용량으로 65~75% 메탄올 또는 65~75% 에탄올의 추출용매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4 ~ 72 시간의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녹두는 17~25 중량%, 백지는 17~25 중량%, 천화분은 17~25 중량%, 식방풍은 11~15 중량%, 고본은 11~15 중량%, 곽향은 11~15 중량%, 감초는 6~10 중량% 및 한인진은 2~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총 플라보노이드를 1.8 mg CE/g 이상으로 함유하고, DPPH 라디칼 소거능 (IC50)이 612 ppm 이하이고, 멜라닌 생성 저해활성(405nm에서 흡광도)은 0.3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 클렌징 폼, 비누, 바디 워쉬, 및 물휴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6. 녹두, 백지, 천화분, 식방풍, 고본, 곽향, 감초 및 한인진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건강식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녹두, 백지, 천화분, 식방풍, 고본, 곽향, 감초 및 한인진의 분말을 혼합한 후, 전체 용량 대비 5 ~ 10배의 용량으로 65~75% 메탄올 또는 65~75% 에탄올의 추출용매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4 ~ 72 시간의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건강식품.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총 플라보노이드를 1.8 mg CE/g 이상으로 함유하고, DPPH 라디칼 소거능 (IC50)이 612 ppm 이하이고, 멜라닌 생성 저해활성(405nm에서 흡광도)은 0.3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건강식품.
KR1020210008970A 2021-01-21 2021-01-21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이용 KR102444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970A KR102444462B1 (ko) 2021-01-21 2021-01-21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이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970A KR102444462B1 (ko) 2021-01-21 2021-01-21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이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965A KR20220105965A (ko) 2022-07-28
KR102444462B1 true KR102444462B1 (ko) 2022-09-16

Family

ID=82607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970A KR102444462B1 (ko) 2021-01-21 2021-01-21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이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4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551B1 (ko) 2004-11-12 2011-02-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미백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9232715B2 (en) * 2008-03-31 2015-07-09 Shiseido Company Ltd. Prepara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wrinkles, to be taken orally, through injection, or through external application to skin, and cosmetic method
KR101007515B1 (ko) * 2008-06-30 2011-01-1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안페논이 함유된 더위지기 추출분획조성물
KR101805004B1 (ko) * 2010-04-06 2017-12-07 (주)아모레퍼시픽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022476A (ko) * 2011-08-24 2013-03-07 (주)더페이스샵 더위지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03757B1 (ko) * 2015-12-29 2017-12-04 주식회사 잇츠한불 생약재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95412B1 (ko) 2017-01-09 2018-09-06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38262B1 (ko) 2020-03-31 2020-07-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엔메틸베라트라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551B1 (ko) 2004-11-12 2011-02-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미백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965A (ko)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3438A (ko) 가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071414B1 (ko) 과나바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561149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474998B1 (ko) 피부 주름 생성 억제 및 주름 개선 활성을 갖는 백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472974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73375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444462B1 (ko)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이용
KR2017013740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3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30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73376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73379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00042090A (ko) 자스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503191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61150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48897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651353B1 (ko) 골든 크로쿠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미백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356144B1 (ko)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KR102659269B1 (ko) 미백 활성 및 항염 활성을 나타내는 번행초 추출물
KR2017013692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85725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