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9728A -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9728A
KR20190089728A KR1020190003076A KR20190003076A KR20190089728A KR 20190089728 A KR20190089728 A KR 20190089728A KR 1020190003076 A KR1020190003076 A KR 1020190003076A KR 20190003076 A KR20190003076 A KR 20190003076A KR 20190089728 A KR20190089728 A KR 20190089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s
container
waste
sorting
fiber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6651B1 (ko
Inventor
이 만 케 에디윈
찬 밀톤
야오 레이
렁 킨-밍
랴오 샤오
찬 알렉스
치 리
황 신신
Original Assignee
노베텍스 텍스타일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베텍스 텍스타일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노베텍스 텍스타일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89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31/00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 motions
    • D01G31/003Detection and removal of impuri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1/00Disintegrating fibre-containing articles to obtain fibres for re-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1/00Disintegrating fibre-containing articles to obtain fibres for re-use
    • D01G11/04Opening rags to obtain fibres for re-us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5/00Separating, e.g. sorting, fibr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9/00Opening or cleaning fibres, e.g. scutching cotton
    • D01G9/12Combinations of opening or clean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9/00Opening or cleaning fibres, e.g. scutching cotton
    • D01G9/14Details of machines or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3/00Inspecting textile materials
    • D06H3/08Inspecting textile materials by photo-electric or televis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5/00Carding machines or accessories; Card clothing; Burr-crushing or remov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carding or other preliminary-treatment machines
    • D01G15/76Stripping or cleaning carding surfaces; Maintaining cleanliness of carding area
    • D01G15/82Arrangements for confining or removing dust, fly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74Rags; Fabric scr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6Disintegrating fibre-containing textile articles to obtain fibres for re-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 재활용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제1 소독 장치; 전처리 장치; 직물 분류 장치; 저장 장치; 섬유 가공 처리 장치; 및 상기 섬유 가공 처리 장치에 설치된 제2 소독 장치를 포함한다. 제1 소독 장치, 전처리 장치, 직물 분류 장치, 저장 장치 및 섬유 가공 처리 장치는 상기 폐섬유의 전송 경로를 따라 배치된다. 상기 기술 방안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폐섬유를 기반으로 하여 규격에 맞고 위생적이고 청결한 방직 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RECYCLING FIBERS FORM TEXTILES WASTE}
본 발명은 섬유 재활용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섬유 제품의 소비가 계속 증가하면서, 원재료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폐섬유 재활용 기술 개발은 경제적 인센티브를 제공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폐섬유 재료는 태우거나 매장되어 낭비될 것이다. 폐기된 의류로부터 재생된 섬유를 재활용 하려면 충분한 물리적 강도와 위생 청결이 필요하다. 그러나 소비되지 않거나 소비된 방직 재료를 재활용하는 현재의 방법은 사용된 또는 소비된 의류와 같은 폐섬유로부터 위생적이고 청결한 방직 섬유를 생산할 수 없다. 재활용 섬유의 색상은 불순하므로, 균일한 색상을 구비한 섬유를 제조하기 위해서 염색 공정이 필요하며, 이는 추가적인 폐수 처리 장치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사용하지 않은 섬유 재료를 재활용 하는 현재의 방법은 수작업으로 수행되는 여러 단계를 거치므로 생산 효율이 상대적으로 낮다.
관련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채택된 기술적 해결 책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제1 형태에 따르면,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시스템은, 제1 소독 장치; 전처리 장치; 직물 분류 장치; 저장 장치; 섬유 가공 처리 장치; 및 상기 섬유 가공 처리 장치에 설치된 제2 소독 장치를 포함한다. 제1 소독 장치, 전처리 장치, 직물 분류 장치, 저장 장치 및 섬유 가공 처리 장치는 상기 폐섬유의 전송 경로를 따라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제2 형태에 따르면,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1 소독 장치를 이용하여 폐섬유를 먼저 소독하는 단계; 소독된 폐섬유로부터 섬유가 아닌 물체를 수동으로 제거하는 단계; 금속이 부착된 조각을 검출하고, 금속이 부착된 조각을 제거하는 단계; 색상 검출 결과를 획득하고, 색상 검출 결과를 직물 분류 장치의 로봇 및 송풍기로 전송하는 단계; 로봇 및 송풍기를 통한 색상 검출 결과에 따라 소독된 폐섬유를 대응하는 분류 용기에 투입하는 단계; 분류 용기를 저장 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섬유 가공 처리 장치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면, 분류 용기를 섬유 가공 처리 장치에 전달하는 단계; 분류 용기로부터 소독된 폐섬유를 섬유 가공을 위해 더욱 작은 조각으로 절단하고, 제2 소독 장치를 이용하여 파손된 섬유를 소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의 일반적인 설명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임을 이해해야 하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유익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해 제공된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은 제1 소독 장치 및 제2 소독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된 또는 소비된 의류와 같은 폐섬유 상에서 90% 이상의 미생물을 죽일 수 있고, 동시에, 제2 소독 장치를 섬유 가공 처리 장치에 설치함으로써, 직물 표면 이외에, 직물 표면 사이의 중간층을 소독할 수 있어, 위생적이고 청결한 방직 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저장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채워진 분류 용기를 축적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고, 채워진 분류 용기를 연속적이고 자동적으로 섬유 가공 처리 장치에 공급할 수 있어, 처리량 효율성이 지속적으로 최대화 되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도시하며, 구체적인 실시 예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 예들 중 하나에 의해 제공되는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시스템의 개략도 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 중 하나에 의해 제공되는 도 1에 도시된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제1 소독 장치의 개략적인 확대도 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소독 장치의 소독 가스 훈증 기구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 중 하나에 의해 제공되는 도 1에 도시된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색상 검출 장치의 개략적인 확대도 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 중 하나에 의해 제공되는 도 1에 도시된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제2 소독 장치를 구비한 섬유 가공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확대도 이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 예들 중 하나에 의해 제공되는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예시적인 실시 예들의 설명에서 아래에 설명된 구현 예들은 본 발명과 일치하는 모든 구현들을 나타내지 않는다. 오히려 이들은 단지 첨부된 청구범위에 설명된 본 발명의 양태와 일치하는 장치 및 방법의 예에 불과하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 예들 중 하나에 의해 제공되는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시스템의 개략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시스템은 제1 소독 장치(100), 전처리 장치(200), 검출 장치(300), 색상 검출 장치(400), 직물 분류 장치(500), 저장 장치(600), 섬유 가공 처리 장치(700) 및 제2 소독 장치(800)를 포함한다. 제1 소독 장치(100), 전처리 장치(200), 검출 장치(300), 색상 검출 장치(400), 직물 분류 장치(500), 저장 장치(600), 섬유 가공 처리 장치(700)는 폐섬유의 전송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제2 소독 장치(800)는 섬유 가공 처리 장치(700)에 설치된다. 상기 시스템은 제1 소독 장치(100) 및 제2 소독 장치(800)를 포함하는 두 개의 소독 장치를 구비하기 때문에, 사용된 또는 소비된 의류와 같은 폐섬유 상에서 90% 이상의 미생물을 죽일 수 있다. 또한, 제2 소독 장치가 섬유 가공 처리 장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직물 표면 이외에, 제1 소독 장치(100) 및 제2 소독 장치(800)에 의해 직물 표면 사이의 중간층이 소독된다.
특히, 제1 소독 장치(100)는 소독 가스 훈증 장치일 수 있고, 상기 소독 가스 훈증 장치에 적용되는 소독 기체는 기체 과산화 수소, 오존 및 산화 에틸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소독 장치(100)는 입구(110), 용기(120), 컨베이어(130), 소독 가스 훈증 기구(140) 및 출구(150)를 포함한다. 추가로 도 2를 참조하면, 사용된 또는 소비된 의류와 같은 진입 재료는 먼저 입구(110)를 통하여 용기(120) 내로 공급된 다음, 진입 재료로 적재된 용기(120)는 훈증 동작 실행을 위해, 컨베이어(130)를 통하여 소독 가스 훈증 기구(140)로 이동되고, 용기(12)가 컨베이어(130)를 통해 출구(150)로 더 이동되어, 훈증된 재료(그들은 제1 소독 장치(100)의 소독 가스 훈증 기구(140)에 의해 초기에 소독됨)를 전처리 장치(200)에 제공한다. 그 후, 빈 용기(120)는 컨베이어(130)를 통하여 다시 입구(110)로 이동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기(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 방식으로 컨베이어(130)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용기(120)는 컨베이어(130)를 통해 경로 ①->②->③->④->⑤->⑥를 따라 이동하고, ①은 입구(110)를 나타내고, ③은 소독 가스 훈증 기구(140)를 나타내고, ⑤는 출구를 나타내고, ②, ④ 및 ⑥은 입구(110)로부터의 진입 재료가 출구(150)로 이동하기 전에 소독 가스 훈증 기구(140)에서 훈증되는 통로를 나타낸다. 상기 시스템은 동시에 여러 번의 훈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소독 장치(100)의 소독 가스 훈증 기구(140)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소독 가스 훈증 기구(140)는, 적어도 하나의 챔버(141), 각 챔버(141)의 용기 덮개(143), 진공 파이프 라인(145), 진공 파이프 라인, 소독제 가스 파이프 라인(147), 용기 덮개(143)를 통해 연장된 제1 플렉시블 튜브(151)를 구비한 진공 파이프 라인 밸브(149), 용기 덮개(143)를 통해 연장된 제2 플렉시블 튜브(152)를 구비한 소독제 가스 파이프 라인(145) 밸브(153), 용기 덮개(143)를 통해 연장된 제3 플렉시블 튜브(159)를 구비한 진공 차단 밸브(157), 용기 덮개(143)를 이용하여 용기(120)를 밀봉할 때 압력을 검출하도록 용기 덮개(143)에 설치된 압력계(161), 및 구동 기구(163)를 포함한다.
훈증 동작 중에, 구동 기구(163)는 먼저 용기 덮개(143)를 구동하여 용기(120)를 밀봉하도록 하향 이동시킨다(소독 가스 훈증 기구(140)가 도 3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 그 다음, 진공 파이프 라인 밸브(149)를 개방하고, 소독제 가스 파이프 라인(145) 밸브(153) 및 진공 차단 밸브(157)를 폐쇄함으로써, 용기(120)를 특정 진공도 예를 들어 -0.3barG로 진공화한다. 그 후, 소독제 가스 파이프 라인(145) 밸브(153)를 개방하고, 진공 파이프 라인 밸브(149) 및 진공 차단 밸브(157)를 폐쇄함으로써, 용기(120) 내의 압력이 대기압이 될 때까지 소독 가스를 용기(120)에 충전한 후 훈증 동작을 실행한다. 그 다음, 진공 파이프 라인 밸브(149)를 개방하고, 소독제 가스 파이프 라인(145) 밸브(153) 및 진공 차단 밸브(157)를 폐쇄함으로써, 용기(120)를 특정 진공도 예를 들어 -0.3barG로 진공화한다. 그 후, 진공 차단 밸브(157)를 개방하고, 소독제 가스 파이프 라인 밸브(153) 및 진공 파이프 라인 밸브(149)를 폐쇄함으로써, 용기(120) 내의 압력이 대기압이 될 때까지 공기를 용기(120)에 충전한 후 훈증 동작을 실행한다. 그 다음, 구동 기구(163)는 용기 덮개(143)가 용기(120)를 이탈하도록 이동시키고, 용기(120)내의 훈증 재료(900)를 전처리 장치(200)로 이동시킨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전처리 장치(200)는 운반 컨베이어(210), 수동 처리대(220), 분배기(230) 및 인덱스 컨베이어(240)를 포함한다. 운반 컨베이어(210)는 제1 소독 장치(100)의 출구(150)와 인접하여 제1 소독 장치(100)로부터의 훈증 재료를 수용한다. 수동 처리대(220)에서 단추 및 지퍼와 같은 비섬유 물체가 수동으로 제거되고, 훈증된 재료는 운반 컨베이어(210)로부터 인덱스 컨베이어(240) 상의 분배기(230)로 이동된 다음 하나씩 검출 장치(300)로 이동된다.
금속 검출 장치와 같은 검출 장치(300)는 훈증된 재료를 검출하고, 금속이 부착된 조각을 폐기한다. 그 다음, 검출된 훈증 재료는 하나씩 색상 검출 장치(400)로 이동된다.
도 4는 색상 검출 장치(400)의 개략적인 확대도 이다. 색상 검출 장치(400)는 컨베이어(410), 컨베이어 구동 모터(420), 모터 가변 속도 구동기(430), 라이트 박스(440), 라이트 박스 입구-출구 커버(450), 광 센서(460), 광원(470), 제1 카메라(480) 및 제2 카메라(49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컨베이어 구동 모터(420)는 컨베이어(410)에 결합되고, 모터 가변 속도 구동기(430)에 의해 제어되어 컨베이어(410)를 구동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A1를 따라 지시된 방향으로 이동한다. 컨베이어(410)의 이동식 훈증 재료(900)는 하나씩 라이트 박스(440) 쪽으로 이동한다. 훈증 재료(900)가 광 센서(460) 검출 위치로 이동하면, 광 센서(460)는 라이트 박스 입구-출구 커버(450)가 열리도록 제어 신호를 피드백 함으로써, 훈증 재료(900)가 하나씩 라이트 박스(440)로 이동되도록 한다. 광원(470), 제1 카메라(480) 및 제2 카메라(490)는 라이트 박스(440)에 배치된다. 광원(470)이 발광하고, 제1 카메라(480) 및 제2 카메라(490)는 훈증 재료(900)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함으로써, 훈증 재료(900)의 색상을 결정한 다음 색상 검출 결과를 획득한다. 광 센서(460)는 테스트 대상의 도달을 검출하고, 카메라(480 및 490)는 특정 지연 후 촬영하도록 트리거된다. (색상 검출 장치가 도 4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 광원(470), 제1 카메라(480) 및 제2 카메라(490)의 위치는 정확한 색상 검출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수직적으로 조절된다.
색상 검출 결과를 획득한 후, 훈증 재료(900)는 라이트 박스(440)로부터 이출되어 직물 분류 장치(500)로 이동된다. 동시에, 색상 검출 결과는 직물 분류 장치(500)로 전송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직물 분류 장치(500)는, 분배기(510), 분류 용기(520), 로봇(미도시) 및 송풍기(미도시)를 포함한다. 로봇 및 송풍기는 색상 검출 결과를 수신한 다음, 색상 검출 결과에 따라 훈증 재료를 대응하는 분류 용기(520)에 투입한다. 직물 분류 장치(500)는 로봇 및 송풍기를 이용하여 완성된 훈증 재료를 분류 용기(520)에 투입하기 때문에, 먼지 문제는 제거되거나 완화된다. 또한 직물 분류 장치(500)의 로봇은 색상 검출 장치(400)로부터 색상 검출 결과를 수신한 후, 색상 검출 결과에 따라 훈증 재료를 대응하는 분류 용기(520)에 자동으로 투입함으로써, 높은 자동화 및 고 정밀도로 구현할 수 있다. 분류 용기(520)가 가득 차면, 가득 찬 분류 용기(520)는 무인 운반차(AGV)(530)에 의해 무인 운반차 경로를 따라 저장 장치(600)로 전송된다.
저장 장치(600)는 저장 영역(610), 분류 용기(520)를 운반하기 위한 복수열의 지지 기구(620), 인접한 지지 기구(620) 열 사이의 트랙(630) 및 트랙(630) 상에서 미끄러지며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 카트(640)를 포함한다. 카트(640)는 분류 용기(520)를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다. 명령이 하류로부터 수신되면, 카트(640)는 생산을 위해 대응하는 분류 용기(520)를 섬유 가공 처리 장치(700)로 자동 이송한다.
섬유 가공 처리 장치(700)는 분류 용기(520)로부터 색상이 선별된 직물과 같은 훈증 재료(900)를 꺼내어, 섬유 가공을 위해 더 작은 조각으로 절단한다. 일 실시 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 가공 처리 장치(700)는 공급 포트(710) 및 컨베이어(720)를 포함한다. 먼지 커버(730)는 공급 포트(710)를 제외한 전체 섬유 가공 처리 장치(700)를 덮는다. 또한, 섬유 가공 처리 장치(700)는 동작 환경으로부터 먼지를 흡입하기 위해 먼지 커버(730) 내에 위치한 노즐(740)을 포함할 수 있다. 훈증 재료(900)가 섬유 가공 처리 장치(700)로 진입하기 전에 색상 분류되어 있기 때문에, 이후 염색 공정 및 폐수 처리가 제거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다.
도 5는 제2 소독 장치(800)를 구비한 섬유 가공 처리 장치(700)의 개략적인 확대도 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소독 장치(800)는 UV 광원을 포함하는 자외선 소독 장치일 수 있다. 자외선은 색상 분류된 직물로부터 절단된 섬유와 같은 훈증 재료(900)를 소독하는 환경적으로 친숙한 방식이다.
이상의 설명은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시스템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 예들 중 하나에 의해 제공되는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단계 S601 내지 S608을 포함한다.
단계 S601은 사용된 또는 수비된 의류를 먼저 소독하는 것이다.
단계 S602는 수동으로 비섬유 물체를 제거하는 것이다.
단계 S603은 금속이 부착된 조각을 검출하고, 금속이 부착된 조각을 제거하는 것이다.
단계 S604는 색상 검출 결과를 획득하고, 색상 검출 결과를 직물 분류 장치의 로봇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단계 S605는 색상 검출 결과에 따라 사용된 또는 소비된 의류를 분류 용기에 투입하는 것이다.
단계 S606은 분류 용기를 저장 장치에 저장하는 것이다.
단계 S607은 하류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면, 생산을 위해 분류 용기를 섬유 가공 처리 장치에 전달하는 것이다.
단계 S608은 분류 용기로부터 색상 분류된 직물과 같은 사용된 또는 소비된 의류를 꺼내어 섬유 가공을 위해 더 작은 조각으로 절단하고, 사용된 또는 소비된 의류를 소독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의해 제공된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소독 가스 훈증 장치와 간은 제1 소독 장치 및 UV 소독 장치와 같은 제2 소독 장치를 포함하기 때문에, 사용된 또는 소비된 의류와 같은 폐섬유 상에서 90% 이상의 미생물을 죽일 수 있다. 또한 제2 소독 장치를 섬유 가공 처리 장치에 설치함으로써, 직물 표면 이외에, 직물 표면 사이의 중간층을 소독할 수 있다.
저장 장치의 존재는 채워진 분류 용기를 축적하여 채워진 분류 용기를 연속적이고 자동적으로 섬유 가공 처리 장치(700)에 공급할 수 있어, 처리량 효율성이 지속적으로 최대화 된다.
먼지 커버(730)는 공급 포트(710)를 제외한 섬유 가공 처리 장치(700) 전체를 덮어 섬유 먼지 또는 공기 중의 세균이 섬유 가공 처리 장치(700)의 외부로 흩어져서 2차 오염을 막을 수 있다.
직물 분류 장치(500)는 로봇과 송풍기를 이용하여 분류된 재료를 분류 용기(520)에 투입하여 먼지 문제를 제거하거나 경감시킨다.
이상의 방법에 따라 상기 장치에 의해 재활용된 섬유로 제조된 면조각(cotton carding)은 방적을 통하여 진일보된 직물을 짜는 실(yarn)으로 가공하도록 충분한 물리적 특성(예를 들어 양호한 섬유 강도 및 촉감)을 가지며, 그런 다음 편직 또는 방직을 통해 직물을 가공한 다음 옷이나 기타 섬유 제품을 만든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정확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4)

  1.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시스템으로써,
    제1 소독 장치;
    전처리 장치;
    직물 분류 장치;
    저장 장치;
    섬유 가공 처리 장치; 및
    상기 섬유 가공 처리 장치에 설치된 제2 소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소독 장치, 전처리 장치, 직물 분류 장치, 저장 장치 및 섬유 가공 처리 장치는 상기 폐섬유의 전송 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독 장치는 소독 가스 훈증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독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챔버, 상기 폐섬유를 운반하는 용기, 각 챔버의 용기 덮개, 진공 파이프 라인, 소독 가스 파이프 라인, 상기 용기 덮개를 통해 연장된 제1 플렉시블 튜브를 구비한 진공 파이프 라인 밸브, 상기 용기 덮개를 통해 연장된 제2 플렉시블 튜브를 구비한 소독 가스 파이프 라인 밸브, 상기 용기 덮개를 통해 연장된 제3 플렉시블 튜브를 구비한 진공 차단 밸브, 상기 용기 덮개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를 밀봉할 때 압력을 검출하도록 상기 용기 덮개에 설치된 압력계, 및 상기 용기 덮개를 구동하여 상기 용기를 밀봉하거나 상기 용기 덮개를 용기로부터 제거하도록 배치된 구동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독 장치는 자외선 소독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가공 처리 장치 전체를 덮는 먼지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가공 처리 장치는 상기 먼지 커버 내에 위치한 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검출 장치 및 색상 검출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소독 장치, 상기 전처리 장치, 상기 검출 장치, 상기 색상 검출 장치, 상기 직물 분류 장치, 상기 저장 장치 및 상기 섬유 가공 처리 장치는 상기 폐섬유의 상기 전송 경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검출 장치는,
    라이트 박스;
    상기 라이트 박스를 통하여 연장된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에 연결된 컨베이어 구동 모터;
    라이트 박스 입구-출구 커버;
    상기 폐섬유의 상기 전송 경로에서 상기 라이트 박스 입구-출구 커버 전방에 위치한 광 센서;
    상기 라이트 박스에 배치된 광원;
    상기 라이트 박스에 배치된 제1 카메라;
    상기 라이트 박스에 배치된 제2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 상기 제1 카메라 및 상기 제2 카메라는 색상 검출 결과를 획득하도록 감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박스에 대한 상기 광원의 수직 위치는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박스에 대한 상기 제1 카메라 및 상기 제2 카메라 각각의 수직 위치는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시스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검출 장치는 모터 가변 속도 구동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시스템.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분류 장치는 분배기, 분류 용기, 로봇 및 송풍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봇 및 상기 송풍기는 상기 색상 검출 결과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장치는 저장 영역, 분류 용기를 운반하기 위해 상기 저장 영역에 위치한 복수열의 지지 기구, 인접한 지지 기구 열 사이의 트랙 및 상기 트랙 상에서 미끄러지며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 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시스템.
  14. 제 1항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소독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폐섬유를 먼저 소독하는 단계;
    소독된 상기 폐섬유로부터 섬유가 아닌 물체를 수동으로 제거하는 단계;
    금속이 부착된 조각을 검출하고, 상기 금속이 부착된 조각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색상 검출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색상 검출 결과를 상기 직물 분류 장치의 로봇 및 송풍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로봇 및 상기 송풍기를 통한 상기 색상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소독된 폐섬유를 대응하는 분류 용기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분류 용기를 상기 저장 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섬유 가공 처리 장치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분류 용기를 상기 섬유 가공 처리 장치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분류 용기로부터 소독된 상기 폐섬유를 섬유 가공을 위해 더욱 작은 조각으로 절단하고, 상기 제2 소독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더욱 작은 조각을 소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방법.
KR1020190003076A 2018-01-22 2019-01-10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1666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877,375 2018-01-22
US15/877,375 US10458047B2 (en) 2018-01-22 2018-01-22 System and method for recycling fibers from textiles was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728A true KR20190089728A (ko) 2019-07-31
KR102166651B1 KR102166651B1 (ko) 2020-10-19

Family

ID=65023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076A KR102166651B1 (ko) 2018-01-22 2019-01-10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58047B2 (ko)
EP (1) EP3530778B1 (ko)
JP (1) JP2019126806A (ko)
KR (1) KR102166651B1 (ko)
CN (2) CN110064639A (ko)
TW (1) TWI6839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58047B2 (en) * 2018-01-22 2019-10-29 Novetex Textile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cycling fibers from textiles waste
EP3846948A4 (en) * 2018-09-06 2022-05-04 Tompkins Robotics, Inc. PARCEL AND ARTICLE SORTING SYSTEM AND PROCEDURES WITH TARGET CONTAINER REMOVAL
CN110191981B (zh) * 2019-03-29 2022-05-31 香港纺织及成衣研发中心有限公司 用于服装到服装回收的方法和系统
CN111020869A (zh) * 2019-12-27 2020-04-17 泉州飞鹰无纺布有限责任公司 利用废料制备阻燃无纺布的制作方法
CN111101375B (zh) * 2020-01-03 2022-08-23 上海韶涵旅游用品制造有限公司 一种利用废旧纺织品生产阻燃包袋的方法
CN111172629B (zh) * 2020-01-21 2022-01-21 苏州市纤维检验院 一种羽绒组分及含量检测系统、以及羽绒质量检测方法
IT202000015499A1 (it) * 2020-06-26 2021-12-26 Barbara Biscotti Utilizzazione di apparecchi con motoventilatori per la sanificazione microbiologica di ambienti chiusi
CN112442747A (zh) * 2020-11-18 2021-03-05 颍上鑫鸿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废旧纺织品制造再生纤维的方法和再生纤维
CN112316182B (zh) * 2020-11-24 2021-05-28 浙江肯特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废弃口罩处理设备及方法
CN113668102B (zh) * 2020-12-30 2022-08-23 苏州多道自动化科技有限公司 纺纱自动输送机器人
CN113062016B (zh) * 2021-03-12 2022-04-15 杭州永信纺织有限公司 一种开棉机
KR102501340B1 (ko) * 2021-05-12 2023-02-2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축전식 탈염공정의 전처리장치
KR20230077045A (ko) 2021-11-25 2023-06-01 허정 폐섬유의 업사이클링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CN114210598B (zh) * 2021-12-14 2023-11-28 福建永荣锦江股份有限公司 一种锦纶废丝分拣机及其分拣方法
US11655397B1 (en) 2022-06-30 2023-05-23 CreateMe Technologies LLC Methods of assembling apparel products having cycloalkene adhesives
US11530336B1 (en) 2022-06-30 2022-12-20 CreateMe Technologies LLC Methods of assembling apparel products having cyclodextrin-azobenzene adhesives
US11632995B1 (en) 2022-06-30 2023-04-25 CreateMe Technologies LLC Methods of assembling apparel products having disulfide adhesives
US11730217B1 (en) 2022-06-30 2023-08-22 CreateMe Technologies LLC Methods of disassembling apparel products having cycloalkene adhesives
US11692111B1 (en) * 2022-06-30 2023-07-04 CreateMe Technologies LLC Methods of disassembling apparel products having shape memory adhesives
US11542413B1 (en) 2022-06-30 2023-01-03 CreateMe Technologies LLC Methods of disassembling apparel products having imine adhesives
US11712873B1 (en) 2022-06-30 2023-08-01 CreateMe Technologies LLC Boronate adhesives for apparel products
US11905440B1 (en) 2022-06-30 2024-02-20 Createme Technologies Inc. Disulfide adhesives for apparel products
US11542412B1 (en) 2022-06-30 2023-01-03 CreateMe Technologies LLC Methods of disassembling apparel products having cyclodextrin-azobenzene adhesives
US11857013B1 (en) 2022-06-30 2024-01-02 Createme Technologies Inc. Methods of assembling apparel products having shape memory adhesives
US11634616B1 (en) 2022-06-30 2023-04-25 CreateMe Technologies LLC Methods of assembling apparel products having boronate adhesives
US11752234B1 (en) 2022-06-30 2023-09-12 CreateMe Technologies LLC Shape memory adhesives for apparel products
US11849791B1 (en) 2022-06-30 2023-12-26 Createme Technologies Inc. Methods of assembling apparel products having imine adhesives
US11653709B1 (en) 2022-06-30 2023-05-23 CreateMe Technologies LLC Methods of disassembling apparel products having disulfide adhesives
US11732159B1 (en) 2022-06-30 2023-08-22 CreateMe Technologies LLC Methods of disassembling apparel products having boronate adhesives
US11713405B1 (en) 2022-06-30 2023-08-01 CreateMe Technologies LLC Methods of disassembling apparel products having thioester adhesives
US11730215B1 (en) 2022-06-30 2023-08-22 CreateMe Technologies LLC Thioester adhesives for apparel products
US11530340B1 (en) 2022-06-30 2022-12-20 CreateMe Technologies LLC Cyclodextrin-azobenzene adhesives for apparel products
US11629272B1 (en) 2022-06-30 2023-04-18 CreateMe Technologies LLC Methods of assembling apparel products having thioester adhesives
KR20240027240A (ko) 2022-08-23 2024-03-04 주식회사 플러스앤파트너스 염색이 필요없는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9925A (en) * 1994-01-21 1996-05-28 Burlington Industries, Inc. Denim fabric made from denim waste
KR20030047237A (ko) * 2001-12-08 2003-06-18 문명곤 폐합성섬유를 이용한 섬유판재 제조방법
KR20040049322A (ko) * 2001-10-26 2004-06-11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고성능 섬유를 함유한 물품의 재활용 방법
KR20060080310A (ko) * 2005-01-05 2006-07-10 한택환 폐합성섬유를 이용한 다용도 화섬판재 제조방법
KR20110005094A (ko) * 2009-07-09 2011-01-17 박중성 폐직물을 이용한 재활용 섬유제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재활용 섬유제품
KR20130137747A (ko) * 2012-06-08 2013-12-18 이형주 폐현수막의 로프 재활용 방법
KR20140143689A (ko) * 2014-04-25 2014-12-17 조선옥 폐로프를 활용한 필라멘트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한 필라멘트
US20150166745A1 (en) * 2013-11-22 2015-06-18 Cnh Industrial Canada, Ltd. Method To Process Oilseed Flax Fiber For Use In Biocomposite Material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55682B2 (en) * 2011-06-10 2018-01-02 Columbia Insurance Company Methods of recycling synthetic turf, methods of using reclaimed synthetic turf, and products comprising same
CN102743773B (zh) * 2012-07-19 2014-05-21 武健 环氧乙烷预热灭菌解析一体柜及灭菌作业方法
CN204803459U (zh) * 2015-07-08 2015-11-25 侯林君 再生可纺纤维生产设备微金属清理装置
WO2017011722A1 (en) * 2015-07-15 2017-01-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for clean fiber recovery from contaminated articles
CN105562361B (zh) * 2015-12-23 2017-12-22 西安工程大学 一种织物分拣机器人自主分拣方法
CN105665299A (zh) * 2016-01-25 2016-06-15 侯林君 废旧衣物再生可纺纤维生产设备的自动分类分拣机组的操作方法
CN205833650U (zh) * 2016-01-25 2016-12-28 侯林君 废旧衣物再生可纺纤维生产设备的自动分类分拣机组
JP6505045B2 (ja) * 2016-04-11 2019-04-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用済み吸収性物品からパルプ繊維を回収する方法
CN106000917A (zh) * 2016-07-15 2016-10-12 安徽东锦资源再生科技有限公司 废旧纤维制品智能颜色分拣装置及分拣方法
CN106245125B (zh) * 2016-09-12 2018-12-11 安徽新创智能科技有限公司 废旧衣物环保高效再生系统及再生方法
CN206278768U (zh) * 2016-12-12 2017-06-27 天津市金宝永来制衣有限公司 一种新型利用废旧衣服生产涤纶纤维专用纺丝卷绕装置
CN107237011B (zh) * 2017-03-09 2019-04-30 林雁 通用生活服装类废旧纺织物再生可纺纤维生产线
US10458047B2 (en) * 2018-01-22 2019-10-29 Novetex Textile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cycling fibers from textiles wast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9925A (en) * 1994-01-21 1996-05-28 Burlington Industries, Inc. Denim fabric made from denim waste
KR20040049322A (ko) * 2001-10-26 2004-06-11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고성능 섬유를 함유한 물품의 재활용 방법
KR20030047237A (ko) * 2001-12-08 2003-06-18 문명곤 폐합성섬유를 이용한 섬유판재 제조방법
KR20060080310A (ko) * 2005-01-05 2006-07-10 한택환 폐합성섬유를 이용한 다용도 화섬판재 제조방법
KR20110005094A (ko) * 2009-07-09 2011-01-17 박중성 폐직물을 이용한 재활용 섬유제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재활용 섬유제품
KR20130137747A (ko) * 2012-06-08 2013-12-18 이형주 폐현수막의 로프 재활용 방법
US20150166745A1 (en) * 2013-11-22 2015-06-18 Cnh Industrial Canada, Ltd. Method To Process Oilseed Flax Fiber For Use In Biocomposite Materials
KR20140143689A (ko) * 2014-04-25 2014-12-17 조선옥 폐로프를 활용한 필라멘트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한 필라멘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8450187U (zh) 2019-02-01
CN110064639A (zh) 2019-07-30
US10458047B2 (en) 2019-10-29
US20190226125A1 (en) 2019-07-25
TW201932673A (zh) 2019-08-16
JP2019126806A (ja) 2019-08-01
EP3530778B1 (en) 2022-04-27
TWI683939B (zh) 2020-02-01
KR102166651B1 (ko) 2020-10-19
EP3530778A1 (en)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6651B1 (ko) 폐섬유로부터 섬유를 재활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2198872B (zh) 用于对容器灭菌的设备
CN102112374B (zh) 无菌填充系统的“容器的无菌性级别”验证方法以及无菌填充系统
US8636949B2 (en) Electron beam sterilization apparatus
CN101795716B (zh) 用于容器灌装的活性灭菌地带
EP0290139B1 (en) Apparatus for sterilizing film and like packaging material
KR100845533B1 (ko) 플라즈마 멸균시스템의 액체 정량 공급장치
KR20210049818A (ko) 무균 충전기 및 그 정화 방법
CN213347018U (zh) 医用无纺布生产环氧乙烷灭菌装置
KR101398813B1 (ko) 진공 포장기의 파지 필름 포집장치
US7459133B2 (en) System for automatic/continuous sterilization of packaging machine components
JP3695476B2 (ja) 無菌充填包装装置及び無菌充填包装装置の殺菌方法
CN211434271U (zh) 一种纺织加工用纺织品消毒装置
CN113697751A (zh) 内容物充填系统的检验方法及内容物充填系统
JP6259838B2 (ja) インキュベー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細胞培養システム、加湿水の供給方法
US11142743B2 (en) Microorganism contamination inspection system
US20170036387A1 (en) Facility for producing containers, comprising a device for disinfecting a transfer wheel
US11273437B2 (en) Cell treatment apparatus
CN214165507U (zh) 一种消毒供应用打包装置
CN113164634A (zh) 无菌填充机腔室内的杀菌方法
CN220950029U (zh) 一种物料传送装置
CN216456161U (zh) 一种塑料制品加工用高效消毒机
CN219762442U (zh) 一种食用罐头高温灭菌装置
JP3022456B2 (ja) 固形物食品用蒸煮釜及び蒸煮装置
JPS63272643A (ja) 無菌充填シ−ル装置の殺菌および殺菌液の除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