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9635A - 자동차의 횡방향 주차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횡방향 주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9635A
KR20190089635A KR1020180008435A KR20180008435A KR20190089635A KR 20190089635 A KR20190089635 A KR 20190089635A KR 1020180008435 A KR1020180008435 A KR 1020180008435A KR 20180008435 A KR20180008435 A KR 20180008435A KR 20190089635 A KR20190089635 A KR 20190089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unit
present
par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학
Original Assignee
김창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학 filed Critical 김창학
Priority to KR1020180008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9635A/ko
Publication of KR20190089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6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3/00Vehicle-manoeuvring devices separate from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1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by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횡방향 주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방향인 전후 방향으로만 이동하는 자동차의 횡렬 주차시 자동차를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주차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횡방향 주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장방형태의 몸체로 형성된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몸체 상측으로 자동차의 바디와 유압잭으로 연결되어 프레임부의 몸체를 승하강 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에 의해 승하강되는 몸체 전후방에 체인으로 연결된 주차바퀴를 횡으로 형성하고 상기 주차바퀴가 회전할 수 있도록 체인을 스프로킷으로 연결하는 구동모터로 형성된 구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횡방향 주차장치{The lateral parking system of a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횡방향 주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방향인 전후 방향으로만 이동하는 자동차의 횡렬 주차시 자동차를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주차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횡방향 주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면 등에 마련한 주차공간에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주차방법으로는 벽면에 주차된 차량이 하나도 없을 경우에는 운전자가 전진하면서도 주차를 가능하므로 운전자가 별도의 조작 없이 쉽게 주차공간에 주차할 수 있으나, 벽면에 이미 주차된 차량이 있고 주차된 차량의 사이로 차량을 주차해야 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차량을 주차된 차량의 사이로 주차하기 위해서는 먼저 차량을 주차공간과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시켜 후진 또는 전진을 하면서 핸들을 좌,우회전시켜 차량을 주차된 차량을 피해 주차공간으로 삽입 가능케 하면서 다시 핸들을 풀어 역회전으로 돌려 전진 또는 후진을 하면서 주차공간으로 주차시키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주차방법은 운전자의 운전습관이나 운전감각에 따라 차이가 나지만 능숙한 운전자의 경우 한두번의 좌, 우회전을 하면서 전진과 후진으로 주차 가능케 할 수도 있지만 운전이 미숙한 경우에는 많은 횟수의 좌,우회전을 하면서 전진과 후진으로 주차하여야 많은 시간이 소요됨과 동시에 주차를 완전하게 하고도 운전자가 차량에서 내려보면 주차된 차량이 삐딱하게 주차되어 다시 차량에 탑승하여 재주차하는 일이 빈번하였다.
또한, 차량을 주차할 경우에는 인접한 차량과 평행하게 주차하여 인접한 차량의 출발시 불편을 주지 않아야 하므로 이러한 벽면에 주차된 차량의 사이에 주차하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핸들을 잡고 여러번의 좌,우로 회전하면서 후진과 전진을 번갈아 하는 것으로 이때, 핸들이 쉽게 돌아가는 파워핸들이 아닌 경우와 힘이 약한 여성운전자 또는 노약자인 경우에는 여간 불편하지 않아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렇게 운전자의 감각이 초보이거나 여성 또는 노약자의 경우 간편하게 벽면에 주차된 차량의 사이에 주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좀 멀더라도 넓은 주차공간으로 이동시키거나 아예 공터 같은 곳에 주차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벽면에 주차된 차량의 사이에 주차하기 위해서는 주차된 차량 사이의 폭으로 주차할 경우 차량을 좌,우회전하면서 차량을 전진, 후진하면서 주차공간으로 삽입시켜야 하므로 운전자의 감각에 따라 주차할 차량의 폭보다 많은 양의 여유가 필요한 문제점으로 인해 여유로운 주차할 공간을 선택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주차하기에 어려움이 있어 불편하였다.
이러한 불편함을 감안하고자 특허공개 제1993-16624호 주차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주차장치는 자동차에 형성된 것이 아니라 별도의 주차장치를 설치해야 사용할 수 있으며 주차장치가 없는 곳은 주차의 불편함이 상존하였으며 시설 투자비용 또한 많은 금액을 소요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동차에 횡주차 장치를 설치한다고 하여도 구조가 복잡하고 자동차의 주행중 오염물질로 인하여 작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수직방향인 전후 방향으로만 이동하는 자동차의 횡렬 주차시 자동차를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주차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횡방향 주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장방형태의 몸체로 형성된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몸체 상측으로 자동차의 바디와 유압잭으로 연결되어 프레임부의 몸체를 승하강 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에 의해 승하강되는 몸체 전후방에 체인으로 연결된 주차바퀴를 횡으로 형성하고 상기 주차바퀴가 회전할 수 있도록 체인을 스프로킷으로 연결하는 구동모터로 형성된 구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횡방향 주차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와 구동부는 자동차가 정지된 상태에서 가동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속도센서의 측정값이 0일때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횡방향 주차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수직방향인 전후 방향으로만 이동하는 자동차의 횡렬 주차시 자동차를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주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횡방향 주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횡방향 주차장치가 적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횡방향 주차장치의 하강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횡방향 주차장치의 횡방향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횡방향 주차장치의 주차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성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횡방향 주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의 횡방향 주차장치는 장방형태의 프레임부(10)와, 상기 프레임부(10)의 상측에 형성되는 승하강부(20)와, 자동차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30)로 구성된다.
상기의 프레임부(10)는 사각형상의 몸체(11)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부(10)의 몸체(11) 상측으로 몸체(11)를 승하기 시키는 승하강부(20)로 구성된다.
상기의 승하강부(20)는 프레임부(10)의 몸체(11) 상측으로 자동차의 바디(21) 저면에 유압잭(22) 상단이 연결되어 프레임부(10)의 몸체(11)를 승하강 시키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기 승강부(20)에 의해 승하강되는 몸체(11) 전후방에는 구동부(30)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동부(30)는 몸체(11) 전후방에 형성된 횡으로 축설된 주차바퀴(32)를 체인(31)으로 연결 형성하고 상기 주차바퀴(32)가 회전할 수 있도록 체인(31)을 스프로킷(33)으로 연결하는 구동모터(34)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승하강부(20)의 유압잭(22)과 구동부(30)의 구동모터(34)는 자동차가 정지된 상태로 작동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속도센서 값이 0 일때 작동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 주차된 자동차의 빈 공간과 자동차의 측면이 일치하도록 자동차를 세운 후 자동차를 정지시킨다.
이때 주차공간과 자동차의 크기를 느낌으로 세울 수 있으나 측면에 센서를 부착하여 자동차의 전후 길이와 주차 공간의 크기를 측정하여 주차를 할 수 있어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자동차의 크기가 주차공간에 주차할 수 있을 경우 자동차 내부에 설치된 작동스위치에 의해 유압잭(22)을 가동시켜 프레임부(10)의 몸체(11)를 하강시킨다.
이렇게 프레임부(10)의 몸체(11)가 하강되면 몸체(11)에 형성된 주차바퀴(32)가 지면과 접촉하며 이러한 상태에서도 계속 유압잭(22)을 가동시키면 자동차의 전후방에 있는 바퀴를 지면과 이격시키게 되고 이격된 자동차는 구동부(30)의 주차바퀴(32)로만 지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구동모터(34)의 구동을 통하여 스프로킷(33)을 회전시키면 체인(31)에 의해 구동력을 주차바퀴(32)로 전달하여 주차바퀴(32)를 회전시킨다.
이렇게 주차바퀴(32)를 회전시키면 횡으로 축설된 주차바퀴(32)의 회전에 의해 자동차가 횡으로 이동하여 주차된다.
자동차의 주차 완료 후 구동모터(34)를 정지시키고 승강부(20)의 유압잭(22)을 가동시켜 주차바퀴(32)를 지면과 이격시키면 주차가 완료되고 다시 자동차를 운행하기 위해서는 위 작동 순서와 동일하게 작동을 하여 자동차를 주차공간에서 이탈시켜 운행을 할 수 있다.
10 : 프레임부 11 : 몸체
20 : 승강부 21 : 바디
22 : 유압잭 30 : 구동부
31 : 체인 32 : 주차바퀴
33 : 스프로킷 34 : 구동모터

Claims (2)

  1. 장방형태의 몸체(11)로 형성된 프레임부(10)와,
    상기 프레임부(10)의 몸체(11) 상측으로 자동차의 바디(21)와 유압잭(22)으로 연결되어 프레임부(10)의 몸체(11)를 승하강 시키는 승강부(20)와,
    상기 승강부(20)에 의해 승하강되는 몸체(11) 전후방에 체인(31)으로 연결된 주차바퀴(32)를 횡으로 형성하고 상기 주차바퀴(32)가 회전할 수 있도록 체인(31)에 스프로킷(33)으로 연결되는 구동모터(34)로 형성된 구동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횡방향 주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20)와 구동부(30)는 자동차가 정지된 상태에서 가동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속도센서의 측정값이 0일때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횡방향 주차장치.
KR1020180008435A 2018-01-23 2018-01-23 자동차의 횡방향 주차장치 KR201900896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435A KR20190089635A (ko) 2018-01-23 2018-01-23 자동차의 횡방향 주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435A KR20190089635A (ko) 2018-01-23 2018-01-23 자동차의 횡방향 주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635A true KR20190089635A (ko) 2019-07-31

Family

ID=67474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435A KR20190089635A (ko) 2018-01-23 2018-01-23 자동차의 횡방향 주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96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67145A1 (zh) 一种扣板式停车设备
KR20100134988A (ko) 2륜차의 안전 주행 보조용의 보조 바퀴를 구비한 자동 모터 구동 스탠드 장치
CN111044528B (zh) 一种汽车轮胎磨损图像处理装置
CN108423094B (zh) 连杆式自动化双层自行车停车装置
CN207499557U (zh) 跨道路式自助存取型智能立体车库装置
CN110804965B (zh) 一种可自动检测车辆超载的智能路政卡口装置
KR20190089635A (ko) 자동차의 횡방향 주차장치
CN110344626B (zh) 一种方便操控的电驱动平面移动停车位
CN107139893A (zh) 一种汽车的辅助泊车系统
CN106760731A (zh) 一种连杆式可升降无避让立体停车位
JPS58161632A (ja) トラツククレ−ン
CN106627382A (zh) 一种可减小车辆与站台间隙的智能踏板机构
CN206691087U (zh) 一种汽车的辅助泊车系统
CN106671850B (zh) 一种具有液压装车斗的农用拖车和引导走直调整方法
CN205526369U (zh) 一种agv物流小车用辅助板控制装置
CN108327776A (zh) 一种包含手动转向结构的工业车辆
CN207274647U (zh) 一种小型车辆侧方位停车移车机
CN107762214A (zh) 跨道路式自助存取型智能立体车库装置
CN206319668U (zh) 一种连杆式可升降无避让立体停车位
CN217819361U (zh) 汽车aeb测试牵引装置
CN204703570U (zh) 智能式垂直升降停车设备
CN220039772U (zh) 一种可移动式汽车侧面防护刚度检测装置
CN206502566U (zh) 一种半电动堆高车
CN220667122U (zh) 一种汽车智能仓储装置
CN214365259U (zh) 一种汽车搬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