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7567A - 음료수 캔을 열기 위한 구조적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수 캔을 열기 위한 구조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7567A
KR20190087567A KR1020197018393A KR20197018393A KR20190087567A KR 20190087567 A KR20190087567 A KR 20190087567A KR 1020197018393 A KR1020197018393 A KR 1020197018393A KR 20197018393 A KR20197018393 A KR 20197018393A KR 20190087567 A KR20190087567 A KR 20190087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
panel
actuating tab
pouring
actu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8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6913B1 (ko
Inventor
마르케스 페르난데스 조앙
Original Assignee
마르케스 페르난데스 조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BR202016027747U external-priority patent/BR202016027747U2/pt
Priority claimed from BR202017003226-0U external-priority patent/BR202017003226Y1/pt
Application filed by 마르케스 페르난데스 조앙 filed Critical 마르케스 페르난데스 조앙
Publication of KR20190087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3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pull or lift t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of curved cross-section, e.g. cans of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7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 B65D21/0219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the closure presenting projecting peripheral elements receiving or surrounding the bottom or peripheral elements projecting from the bottom of a superimpose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3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ull-out tear panel, e.g. by means of a tear-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4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ivot tab and push-down tear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6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ivot tab, push-down and pull-out tear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2Unusual opening 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47Provided with additional elements other than for closing the opening
    • B65D2517/0049Straws, spouts, funnels, or other devices facilitating pouring or empt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58Other detai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59General cross-sectional shape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61U-shaped
    • B65D2517/0062U-shaped and provided with an additional U-shaped peripheral cha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91Means for venting upon initial opening
    • B65D2517/0094Means for venting upon initial opening formed as a separat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캔(L)은 벤트 패널(11)과 붓는 채널(12)을 통합하는 말단 벽(10)을 가지고, 이들 패널 모두는 부서질 수 있고 파열 라인(11a, 12a)에 의해 규정된 윤곽을 나타낸다. 제1 작동 탭(30)은 상기 벤트 패널(11)과 공동으로 상기 캔(L)으로부터 분리되기 위해 수동으로 그리고 각을 이루어 변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벤트 패널(11)에 외부 고정된다. 상기 벤트 패널(11)이 제거된 후 작동될 수 있는 제2 작동 탭(40)은 붓는 패널(12)에 외부 고정되고 엔드 로우어 투스(46)가 제공되는데, 이러한 엔드 로우어 투스(46)는 붓는 패널(12)의 파열 라인(12a)에 맞닿아 눌러지고 제2 작동 패널(40)이 옮겨질 때, 처음에는 파열 라인(12a)의 스폿 구역(12b)을 파단시키고 그 후에는 상기 말단 벽(10)으로부터 붓는 패널(12)을 분리하게 된다.

Description

음료수 캔을 열기 위한 구조적 장치
본 발명은 실용 신안으로 음료수 캔에 적용된 새로운 구조적 장치(constructive arrangement)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구조적 장치는 배출구 개구, 그리고 선택적으로 붓는 개구를 보통 상부 벽 또는 뚜껑인, 음료수 캔의 말단 벽(end wall)에 제공함으로써 음료수 캔의 신속하고 손쉬운 열기를 허용하기 위한 것이고, 사용자/소비자가 제1 작동 탭과 만약 요구된다면 제2 작동 탭을 수동으로 작동시킬 때, 각각 배출구 개구와 붓는 개구를 형성하는 벤트 패널 및 붓는 패널과 공동으로 상기 2개의 작동 탭들이 상기 개구들 각각이 풀어진 직후에 캔의 상부 말단 벽으로부터 손쉽게 그리고 신속하게 떨어지는 것을 허용한다.
각각 배출구 개구와 붓는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제1의 찢을 수 있는 패널과 제2의 찢을 수 있는 패널이 제공된 말단 벽을 가지는 캔들을 사용하는 것이 관련 분야에서는 잘 알려져 있고, 이러한 배출구 개구는 음료가 붓는 개구를 통해 캔으로부터 쏟아져 나오면서 공기가 배출구 개구를 통해 캔 내로 연속해서 들여보내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캔이 수평 위치로 기울어질 때 붓는 개구에 관하여 상부 위치를 취하도록 붓는 개구로부터 정반대로 이격되어 있다. 배출구 개구의 제공은 음료수가 균일한 흐름으로 그리고 더 신속하게 캔으로부터 방출되는 것을 허용한다.
특허 문헌들인 BR 20 2016 000915-0, BR 20 2016 006035-0, 및 US 2014/0263320A1은 전술한 구성의 타입을 예시하고, 단일 작동 탭에 비해 이러한 전술한 구성에 따른 사용자/소비자의 행위는, 처음에는 붓는 개구를 통한 음료의 방출을 돕기 위한 배출구 개구의 형성과 함께 제1 패널(벤트 패널)의 파열을 조장하고, 이는 그 후에는 단일 작동 탭에 비해 사용자/소비자의 점진적인 행위에 의해 제2 패널의 파열시 형성된다.
상기 알려진 음료 캔들은 2개의 부서질 수 있는 패널들을 가지고, 단일 작동 탭의 작동은 벤트 패널을 제거함으로써 배출구 개구뿐만 아니라 계속해서 캔의 내부로 제2 부서질 수 있는 패널, 즉 붓는 패널을 누름으로써 붓는 개구의 강제적인 형성을 초래한다. 붓는 패널은 그것의 부서질 수 있는 윤곽의 감소되고 약화되지 않은 연장부(extension) 주위에서 구부러지고 이러한 연장부는 캔의 각각의 말단 벽의 금속 포일 자체에 의해 규정된 힌지로서 작동한다. 이러한 알려진 구성에서, 붓는 패널은 캔의 말단 벽에 부착된 채로 남아 있고 캔의 내부로 돌출하며, 음료와 접촉한 채로 남아 있으면서 사용자/소비자의 섭취를 위해 캔에 전달되며, 상기 캔들이 열려지기 전에 그리고 주로 "음료수 잔(drinking glass)"으로서 사용되기 전에 드물게 효과적인 세정(cleaning)을 거치지 않을 때에는 흔히 모든 병원성 미생물이 보통 상기 캔들의 말단 벽 또는 뚜껑의 외부에 존재한다. 캔에 부착된 붓는 패널을 유지하는 것과 캔의 내부로 돌출하는 것 외에도, 단일 탭이 있는 이러한 해결책(solution)은 사용자/소비자가 음료를 흡수하기 위한 빨대를 도입하기 위해 사용될 배출구 개구만을 형성하기 위해, 벤트 패널의 파열만을 조장하는 것을 방지한다.
반면에 특허 문헌 PI 0403324-8호의 해결책은 2개의 작동 탭들을 제공하고, 이는 붓는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잡아당겨질, 다른 작동 탭으로의 접근(access)을 허용하고 배출구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하나의 작동 탭을 사용자/소비자가 잡아당길 것을 필요로 한다. 비록 음료를 흡수하기 위해 빨대를 도입하기 위해 배출구 개구의 형성만을 허용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의 해결책은 배출구 개구의 형성시 캔의 내부로 돌출하는 붓는 패널을 유지시키는 불편함을 제거하지는 않는다.
특허 문헌들인 GB353,598, US3,655,091, US4,042,144, US4,913,305, 및 BR20 2014 032067-4는 캔의 말단 벽에서 벤트 패널의 열림을 제공하기 위한 상이한 구성들을 묘사하고, 이는 단일 레버나 탭에 의해 사용자/소비자가 작동시킬 때 처음에는 붓는 패널의 부서질 수 있는 윤곽의 약해진 라인에서 국소화된 파열을 조장하여 그러한 탭 또는 레버가 그 후 사용자/소비자에 의해 잡아 당겨지는 것을 허용하고, 붓는 패널의 전체 윤곽의 파열을 완료하며, 이는 그 후 캔의 내부로 눌러지고 저장된 음료와 접촉하는 불편함 없이 캔으로부터 분리된다.
붓는 패널을 캔의 내부로 구부리는 문제점을 제거하는데 반해, 이전 단락에서 언급된 구성상 해결책들은 사용자/소비자가 균일한 흐름으로 그리고 더 신속하게 캔으로부터 음료수가 방출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배출구 개구를 제공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특허 문헌 US3,477,608은 배출구 개구의 형성을 제공하고 그 후 단일 레버나 탭에 의해 캔의 말단 벽에서의 붓는 개구의 형성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상 해결책을 개시하고, 이는 사용자/소비자에 의해 작동될 때 처음에는 벤트 패널의 완전한 파열과 붓는 패널의 부서질 수 있는 윤곽의 약해진 라인에서의 국소화된 파열을 조장하여, 사용자/소비자에 의해 그러한 단일 레버가 잡아 당겨지는 것을 허용하고, 붓는 패널의 전체 윤곽의 파열을 완료하며, 그런 다음 캔의 내부로 눌러지고 저장된 음료수와 접촉하는 불편함 없이 캔으로부터 분리된다.
비록 캔의 내부로 붓는 패널이 구부러지는 문제점을 제거하고 붓는 개구와 배출구 개구 모두를 제공하지만 특허 문서 US3,447,608에 묘사된 구성은, 만약 원한다면 더 큰 치수(dimension)를 나타내는 붓는 패널의 형성시 일어나는 분열(split)들을 야기하는 위험들 없이, 보통의 빨대에 의해 음료를 흡수하기 위해 사용자/소비자가 하나의 배출구 개구만을 장려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이들 해결책에서, 단일 탭 또는 레버가 양 개구들 모두의 강제적인 형성을 조장한다.
알려진 해결책들에 관련되고 위에서 언급된 결점들로 인해,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수 캔의 열림을 위한 구조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고, 이는 사용자/소비자가 배출구 개구의 형성을 제공하는 것을 허용하고, 그 후 만약 원한다면 배출구 개구로부터 이격된 붓는 개구의 형성을 제공하는 것을 허용하여, 이러한 개구들 모두는 캔의 말단 벽의 각각의 패널들에 의해 형성되고, 이러한 패널들은 배출구 개구 및 붓는 개구를 형성하고, 캔으로부터 바깥족으로 완전히 분리된다.
본 발명의 구조적 장치는 말단 벽을 포함하는 타입의 음료수 캔에 적용되고, 그러한 경우 말단 벽으로부터 이격된 배출구 개구와, 더 큰 윤곽을 갖는 붓는 개구가 규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 패널들 모두 파열 라인에 의해 총체적으로 규정된 윤곽을 가지고, 벤트 패널에 외부 부착되는 뜯어내는 단부(extracting end portion)와, 캔의 말단 벽으로부터 떨어져 수동으로 그리고 각을 이루어 변위되며 벤트 패널과 공동으로 말단 벽으로부터 분리되는 그립 단부를 가지는 제1 작동 탭과, 배출구 개구가 제거된 후 선택적으로 작동되고 붓는 패널에 외부 부착되고 로우어 엔드 투스(lower end tooth)가 제공되는 펀칭 단부를 제공하는 제2 작동 탭이 또한 제공되고, 이러한 로우어 엔드 투스는 붓는 패널의 윤곽을 규정하는 파열 라인의 마주 대하는 스폿 구역(confronting spot region)(12b)에 맞닿아 눌러지며, 그립 단부(grip end portion)가 제공되고, 캔의 말단 벽으로부터 떨어진, 그립 단부를 수동으로 그리고 각을 이루어 변위시키는 것은 처음에는 파열 라인의 상기 스폿 구역을 파단시키고, 그 후에는 상기 말단 벽으로부터 붓는 패널을 분리시킨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구조적 장치에 대한 가능한 실시예의 예를 통해 주어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도 1은 닫힌 상태로 나타내고, 본 발명에서 제안된 제1 작동 탭 및 제2 작동 탭이 제공된,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 타입의 음료수 캔의 상부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캔의 상부의 확대된 개략 단면도로서 위에 적층된 다른 캔의 바닥을 추가로 예시하는 도면.
도 2a는 도 2에서 예시된 캔의 상부의 중앙 구역의 확대된 상세 도면.
도 3은 도 1의 캔의 상부의 확대된 개략 단면도로서, 제2 작동 탭은 아직 활성화되지 않았고 붓는 패널이 말단 벽으로부터 아직 분리되지 않았지만 배출구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말단 벽으로부터 벤트 패널의 분리를 시작하기 위해 사용자/소비자에 의해 제1 작동 탭이 옮겨지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1의 캔의 상부의 확대된 개략 단면도로서, 제1 작동 탭과 연관된 벤트 패널이 이미 캔으로부터 분리되어 버려지고, 제2 작동 탭의 그립 부분이 이미 처음 올라가는 각 변위에 맡겨져서 제2 작동 탭의 엔드 로우어 투스와 마주 대하는 구역에서 각각의 파열 라인의 파열을 야기하는 도면.
도 5는 도 4에 예시된 개략 단면도를 나타내지만 제2 작동 탭의 그립 부분은 캔의 말단 벽으로부터 떨어져 이미 뚜렷하게 옮겨져 있고, 붓는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파열 라인의 남아 있는 부분의 파열을 개시하고 캔에 관련하여 붓는 패널의 잇따른 분리를 개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에 예시된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내지만, 배출구 개구와 붓는 개구의 형성을 위해 2개의 작동 탭들과 2개의 패널들이 캔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버려져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첨부 도면들에 예시되고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적 장치는 말단 벽(10)을 포함하는 타입의 음료수 캔(L)에 적용되고, 이러한 말단 벽(10)은 흔히 캔(L)의 원통형 측벽(20)의 끝 부분들 중 하나에서 규정된 인접한 테두리(21)에 의해 둘러싸인 상부 뚜껑의 형태로 흔히 되어 있다. 말단 벽(10)은 벤트 패널(11)과 붓는 패널(12)을 통합하고, 이들은 일반적으로 정반대로 마주 보는 배열로 이격되어 있다. 붓는 패널(12)의 윤곽은 일반적으로 벤트 패널(11)의 윤곽보다 훨씬 더 크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벤트 패널(11)과 붓는 패널(12)은 각각의 파열 라인들(11a, 12a)에 의해 완전히 규정된 윤곽들을 가지고, 이들은 상기 각각의 패널들이 배출구 개구(A1)(도 4, 도 5, 및 도 6에 예시된 것처럼)를 형성하고 계속해서 그리고 선택적으로 각각 붓는 개구(A2)(도 5와 도 6에 더 잘 예시된 것처럼)를 형성하기 위해, 그것들의 윤곽들을 따라서 상기 각각의 패널들이 파열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캔의 타입은 관련 분야에 공지된 상이한 방식들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러한 방식들은 본 발명의 부분이 아니다.
캔(L)은 또한 본 발명의 용도에 적절한 임의의 금속 합금에서 그리고 단일 피스로 구성되고 보유 요소(35)에 의해 벤트 패널(11)에 외부 부착된 임의의 알려진 구성을 갖는 뜯어내는 단부(31)를 가지는 제1 작동 탭(30)을 포함하고, 이러한 보유 요소(35)는, 예를 들면 리벳(35a)의 형태를 취할 수 있고, 말단 벽(10)의 벤트 패널(11)에 밀봉되어 통합되어 있다. 제1 작동 탭(30)은 그립 단부(32)를 더 포함하고, 이러한 그립 단부(32)는 일반적으로 고리 형상을 가지며, 캔(L)의 말단 벽(10)으로부터 떨어져 수동으로 그리고 각을 이루어 변위되고, 벤트 패널(11)의 파열 라인(11a)을 파단시키고 도 4에 예시된 것처럼 캔(L)의 말단 벽(10)으로부터 벤트 패널(11)을 분리시킨다.
제1 작동 탭(30)의 뜯어내는 단부(31)는 단일 피스로 그리고 힌지 구역(33a)을 통해 힌지 구역(33a)으로 열린 둥글게 된 "C"자의 형태를 갖는 절단부(cutout)(34)에 의해 제1 작동 탭(30)으로부터 잘려내어지는 탭 부분(33)을 통합할 수 있고, 상기 탭 부분(33)이 벤트 패널(11)에 대해 외부적으로 보유 요소(35)에 부착된 제1 작동 탭(30)의 부분을 규정하는 것을 허용한다.
제1 작동 탭(30)의 뜯어내는 단부(31)는 상기 파열 라인(11a)의 마주 대하는 스폿 구역(11b)에 맞닿아 눌러지기 위해 탭 부분(33)의 힌지 구역(33a)에 대해 그리고 잘려내어진 부분(34)에 대해서 외부에 있는 구역에서, 벤트 패널(11)의 파열 라인(11a) 위에 위치한 엔드 로우어 투스(36)를 더 통합할 수 있어서, 상기 스폿 구역(11b)에서 후자(latter)를 파단시키며, 배출구 개구(11)의 처음 파열이 일어날 때까지 제1 작동 탭(30)의 그립 부분(32)의 올라가는 각 변위가 힌지 구역(33a) 주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허용하고, 제1 작동 탭(30)의 점진적으로 올라가는 각 변위를 가지고 파열 라인(11a)의 완전한 파열과, 캔(L)에 관한 제1 작동 탭(30)과 벤트 패널(11)의 잇따라 일어나는 완전한 분리를 얻는다.
처음에 탭 부분(33)의 힌지 구역(33a) 주위에서의 이루어지는 제1 작동 탭(30)의 수동으로 그리고 각을 이루어 변위되는 것은 파열 라인(11a)의 처음의 그리고 최후의 국소화된 파열을 야기하고, 엔드 로우어 투스(36)가 제공될 때에는 작동 탭(30)의 점진적이고 수동으로 그리고 각을 이루어 상승하는 변위는 벤트 패널(11)의 파열 라인(11a)의 완전한 파열을 야기하며, 그런 다음 캔(L)으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되어 보유 요소(35)와 공동으로 배출구 개구(A1)(도 4, 도 5, 및 도 6 참조)를 형성하는데, 이러한 배출구 개구(A1)는 사용자가 이러한 식으로 음료수를 흡수하기를 원할 때 빨대를 받을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치수가 정해짐으로써 엎지를 위험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구조적 장치는 제2 작동 탭(40)을 더 포함하고, 이러한 제2 작동 탭(40)은 임의의 알려진 구성의 그리고 예를 들면 말단 벽(10)의 붓는 패널(12)에 밀봉되게 통합된 리벳(45a)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 보유 요소(45)에 의해 붓는 패널(12)에 외부에서 부착된 펀칭 단부(41)와 고리 형상의 그립 단부(42)를 가지고, 이러한 그립 단부(42)는 붓는 패널(12)의 파열 라인(12a)을 파단시키고 캔(L)의 말단 벽(10)으로부터 붓는 패널(12)을 완전히 분리시키기 위해 제1 작동 탭(30)이 제거된 후 캔(L)의 벽(10)으로부터 떨어져 수동으로 그리고 각을 이루어 변위되는 것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그로 인해 붓는 개구(A2)를 형성한다(도 5 및 도 6 참조). 이러한 구성은 벤트 패널(11)의 파열 라인(11a)의 축 방향 돌출부가 제2 작동 탭(40)의 그립 부분(42)의 고리 형상의 내부에 포함되는 것을 허용한다.
제2 작동 탭(40)의 펀칭 단부(41)는 단일 피스로 그리고 힌지 구역(43a)을 통해, 힌지 구역(43a)에 열린 둥글게 된 "C"자 형태를 갖는 잘려내진 부분(44)에 의해 제2 작동 탭(40)으로부터 잘려내어지고, 상기 탭 부분(43)이 붓는 패널(12)에 대해 외부적으로 보유 요소(45)에 부착되는 제2 작동 탭(40)의 부분을 규정하는 것을 허용하는 탭 부분(43)을 통합한다.
제2 작동 탭(40)의 펀칭 단부(41)는 탭 부분(44)의 힌지 구역(43a)에 그리고 잘려내어진 부분(44)에 대해 외부에 파열 라인(12a)의 마주 대하는 스폿 구역(12b)에 맞닿아 눌러지도록 붓는 패널(12)의 파열 라인(12a) 위에 위치한 엔드 로우어 투스(46)를 또한 통합하여 후자를 상기 스폿 구역(12b)에서 파단시키고 붓는 패널(12)의 처음 파열이 일어날 때까지 제2 작동 탭(40)의 그립 부분(42)의 오르는 각 변위가 힌지 구역(43a) 주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허용하며, 제2 작동 탭(40)의 각 변위가 점진적으로 오름에 따라 파열 라인(12a)의 완전한 파열과 보유 요소(45)의 붓는 패널(12)의 이어지는 완전한 분리, 및 캔(L)에 관한 제2 작동 탭(40)의 이어지는 완전한 분리를 얻는다.
예시된 구성에서, 제1 작동 탭(30)의 뜯어내는 단부(31)는 제2 작동 탭(40)의 고리 형상의 그립 단부(42)를 통해 위치가 정해지고, 이 경우 제1 작동 탭(30)의 그립 단부(32)는 제2 작동 탭(40)의 펀칭 단부 위에 위치가 정해지며, 제1 작동 탭(30)의 뜯어내는 단부(31)는 제2 작동 탭(40)의 그립 단부(42) 아래에 위치가 정해진다.
전술한 구성으로 만약 사용자/소비자가 빨대를 사용하지 않고 캔으로부터 직접 음료수를 흡수하기를 바란다면, 그/그녀가 처음에 제1 작동 탭(30)과 함께 벤트 패널(11)을 분리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 다음 사용자/소비자는 붓는 패널(12)과 함께 캔(L)의 말단 벽(10)으로부터 그것을 분리하도록, 제2 작동 탭(40)의 그립 부분(42)을 수동으로 그리고 각을 이루어 변위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예시된 것처럼, 벤트 패널(11)과 붓는 패널(12)이 여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제1 작동 탭(30)과 제2 작동 탭(40)이 캔(L)의 말단 벽(10)과 캔(L)의 주변 테두리(21)의 평면 사이에 위치한 채로 도 2에 예시된 것처럼 적층된 동일한 캔(L)의 바닥과 충돌하지 않고 남아 있는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구조상 해결책은 사용자/소비자가 제1 작동 탭(30)을 움직임으로써 배출구 개구(A1)만을 형성할지 또는 그 후 제2 작동 탭(40)을 옮김으로써 붓는 개구(A2)를 또한 형성할지를 고르는 것을 허용한다. 하지만 상기 2개의 패널들 중 임의 하나는 각각의 개구를 만들어낼 때 캔(L)의 내부로 돌출하지 않으면서 캔(L)의 상부 벽(1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위 설명에 관하여 사이즈, 재료들, 기하학적 형태들, 기능들, 작동 모드들, 장착 배열들 및 용법의 변동들을 포함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성분들에 대한 이상적인 치수 관계들은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명백한 것으로 간주된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하고, 도면들에서 예시되고 명세서에서 묘사된 것들과 동등한 모든 관계들이 본 발명에 의해 망라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을 실행하는 하나의 방식만이 본 명세서에서 예시되었지만, 본 명세서에 수반되는 청구항들에서 규정된 보호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부품들의 형상 및 형성에 대한 수정예들이 만들어질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8)

  1. 말단 벽(end wall)(10)을 포함하는 타입의 음료수 캔을 열기 위한 구조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말단 벽(10)은 파단 가능한 방식으로(in a breakable way) 벤트 패널(vent panel)(11)과, 상기 벤트 패널(11)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붓는 패널(pouring panel)(12)을 통합하고,
    상기 구조적 장치는 상기 패널들(11, 12)이 완전히 파열 라인(rupture line)(11a, 12a)에 의해 규정되는 윤곽을 가지고, 상기 벤트 패널(11)에 외부 부착되는 뜯어내는 단부(extracting end portion)(31)와, 상기 캔(L)의 상기 말단 벽(10)으로부터 떨어져 수동으로 그리고 각을 이루어 변위 가능한 그립 단부(grip end portion)(32)를 가지고 상기 벤트 패널(11)과 함께 상기 캔(L)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제1 작동 탭(actuation tab)(30)과 상기 벤트 패널(11)이 제거된 후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제2 작동 탭(40)이 또한 제공되고, 상기 제2 작동 탭(40)은 단일 피스(piece)로 그리고 힌지 구역(43a)을 통해 상기 제2 작동 탭(40)으로부터 잘라내어지는 탭 부분(43)을 통합하고 상기 붓는 패널(12)에 외부 부착되는 상기 제2 작동 탭(40)의 부분을 규정하는 펀칭 단부(41)를 가지며, 상기 탭 부분(43)에는 상기 붓는 패널(12)의 상기 윤곽을 규정하는 상기 파열 라인(12a)의 마주 대하는 스폿 구역(confronting spot region)(12b)에 맞닿아 눌러지는 엔드 로우어 투스(end lower tooth)(46)가 제공되고, 상기 제2 작동 탭(40)은 상기 캔(L)의 상기 말단 벽(10)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그립 단부(42)를 또한 가지며, 상기 그립 단부(42)를 수동으로 그리고 각을 이루게 변위시키는 것은 처음에는 상기 파열 라인(12a)의 상기 스폿 구역(12b)을 파단시키고 그 후에는 상기 말단 벽(10)으로부터 상기 붓는 패널(12)을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을 열기 위한 구조적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절단부(cutout)(44)는 상기 힌지 구역(43a)으로 열린 둥글게 된 "C"자의 형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을 열기 위한 구조적 장치.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 탭(30)의 상기 뜯어내는 단부(31)는 단일 피스로 그리고 힌지 구역(33a)을 통해, 절단부(34)에 의해 상기 각각의 작동 탭(30)으로부터 잘라내어지는 탭 부분(33)을 통합하여 상기 탭 부분(33)이 상기 벤트 패널(11)에 외부 부착되는 상기 제1 작동 탭(30)의 상기 부분을 규정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을 열기 위한 구조적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34)는 상기 힌지 구역(33a)으로 열린 둥글게 된 "C"자의 형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을 열기 위한 구조적 장치.
  5.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 탭(30)의 상기 뜯어내는 단부(31)는 상기 파열 라인(11a)의 마주 대하는 스폿 구역(11b)에 맞닿아 눌러질 엔드 로우어 투스(36)를 통합하고, 상기 힌지 구역(33a) 주위에서 상기 제1 작동 탭(30)의 상기 그립 부분(32)의 상승하는 각 변위(ascending angular displacement)시에는 상기 벤트 패널(11)의 상기 처음 파열을 일으키고, 그 후에는 상기 파열 라인(11a)의 상기 완전한 파열과, 상기 캔(L)에 관한 상기 벤트 패널(11) 및 상기 제1 작동 패널(30)의 상기 완전한 분리를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을 열기 위한 구조적 장치.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 탭(30)의 상기 뜯어내는 부분(31)과 상기 제2 작동 탭(40)의 상기 펀칭 부분(41)은 리벳(35a, 45a)의 형태를 갖는 보유 수단(retention means)(35, 45)을 통해 상기 벤트 패널(11)과 상기 붓는 패널(12)에 각각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을 열기 위한 구조적 장치.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작동 탭(40)의 상기 그립 단부(42)는 고리 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벤트 패널(11)의 상기 파열 라인(11a)의 상기 축 방향 돌출물(axial projection)이 상기 제2 작동 탭(40)의 상기 그립 부분(42)의 상기 고리 형상의 상기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을 열기 위한 구조적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 탭(30)의 상기 뜯어내는 단부(31)는 상기 제2 작동 탭(40)의 상기 고리 모양의 그립 단부를 통해 위치하고, 상기 제1 작동 탭(30)의 상기 그립 단부(32)는 상기 제2 작동 탭(40)의 상기 펀칭 단부(41) 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작동 탭(30)의 상기 뜯어내는 단부(31)는 상기 제2 작동 탭(40)의 상기 그립 단부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을 열기 위한 구조적 장치.
KR1020197018393A 2016-11-25 2017-11-22 음료수 캔을 열기 위한 구조적 장치 KR1024669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RBR2020160277472 2016-11-25
BR202016027747U BR202016027747U2 (pt) 2016-11-25 2016-11-25 arranjo construtivo para abertura de uma lata de bebida
BRBR2020170032260 2017-02-17
BR202017003226-0U BR202017003226Y1 (pt) 2017-02-17 2017-02-17 Arranjo construtivo para abertura de uma lata de bebida
PCT/BR2017/050354 WO2018094492A1 (en) 2016-11-25 2017-11-22 Constructive arrangement for the opening of a beverage ca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567A true KR20190087567A (ko) 2019-07-24
KR102466913B1 KR102466913B1 (ko) 2022-11-11

Family

ID=62195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8393A KR102466913B1 (ko) 2016-11-25 2017-11-22 음료수 캔을 열기 위한 구조적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434046B2 (ko)
EP (1) EP3544899B1 (ko)
JP (1) JP7096262B2 (ko)
KR (1) KR102466913B1 (ko)
CN (1) CN110114277B (ko)
CA (1) CA3044700A1 (ko)
ES (1) ES2863373T3 (ko)
MX (1) MX2019006080A (ko)
PL (1) PL3544899T3 (ko)
WO (1) WO2018094492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2597A (en) * 1988-10-13 1989-10-10 Hisao Hanafusa Beverage container with dual dispensing tabs
US5819973A (en) * 1996-12-31 1998-10-13 Traub, Sr.; John J. Beverage container lid having a lift tab for opening an aperture and vent hole
US20030098306A1 (en) * 2001-11-29 2003-05-29 Teng-Jui Cho Can
US20140008365A1 (en) * 2012-07-09 2014-01-09 Silgan Containers Llc Can end and related method
WO2014158115A1 (en) * 2013-03-28 2014-10-02 Emi̇rcan Necat Beverage can opening ring made of metal
US20140374419A1 (en) * 2012-01-03 2014-12-25 Anheuser-Busch Inbev S.A. Can Comprising a First, Dispense Opening and Second, Vent Opening
WO2015104659A1 (en) * 2014-01-08 2015-07-16 International Patents And Brands Corporation Lid for containers of substances and container of substances comprising said lid
WO2016163981A1 (en) * 2015-04-06 2016-10-13 Aptargroup, Inc. Closure for a container, closure components, and method of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53598A (en) 1929-10-28 1931-07-30 Gustaf Lambert Ericsson Improvements in opening devices for sheet metal cans and boxes
US3301434A (en) 1964-12-11 1967-01-31 Harvey Aluminum Inc Can opener
US3221924A (en) 1964-12-11 1965-12-07 Harvey Aluminum Inc Can opener
US3477608A (en) 1968-11-21 1969-11-11 Ermal C Fraze Easy-opening can end having vent means
US3618815A (en) 1970-05-04 1971-11-09 Aluminum Co Of America Easy-opening device for a container end
US3655091A (en) 1970-09-21 1972-04-11 American Can Co Full-open end closure provided with distortion resistant shoulder in countersink wall
US4042144A (en) 1976-11-10 1977-08-16 Van Dorn Company Pull tab construction for full panel pull-out ends for easy opening cans
US4094435A (en) 1977-10-21 1978-06-13 Clyde Kennedy Pull tab beverage can opener
US4913305A (en) 1989-02-27 1990-04-03 Hisao Hanafusa Beverage container with bifurcated dispensing lid
JPH04311452A (ja) * 1991-04-10 1992-11-04 Kuwabara Yasunaga 飲料缶用易開口性蓋
CN2101643U (zh) * 1991-07-30 1992-04-15 路小利 带进气孔易拉罐及其开启装置
EP0670804A1 (en) * 1992-12-05 1995-09-13 Carnaudmetalbox Sa Easy open end
CN1029106C (zh) 1993-04-29 1995-06-28 范国伟 容器罐盖封口
JPH07132937A (ja) * 1993-11-02 1995-05-23 Kishimoto Akira 開口容易な蓋
US5397014A (en) 1993-12-22 1995-03-14 Aydt; Robert Dual aperture retained tab
DK33995A (da) * 1995-03-30 1996-10-01 Glud & Marstrand As Dåse med låg med letåbningsanordning
IT1280461B1 (it) 1995-09-11 1998-01-20 Cesare Mongarli Contenitore, particolarmente per bevande.
US5695085A (en) * 1996-10-11 1997-12-09 Hadener; Albert K. Beverage can with an opener
JP2000053142A (ja) * 1998-08-05 2000-02-22 Hitoshi Kohata 液体貯留缶
BRPI0403324B1 (pt) * 2004-08-03 2015-07-07 João Marques Fernandes Arranjo para abertura de lata de bebida
ITUD20070159A1 (it) 2007-09-07 2007-12-07 Internat Patents And Brands Co Contenitore per una sostanza, in particolare una bevanda, con elemento di chiusura apribile a strappo
US8292112B2 (en) 2007-10-23 2012-10-23 Charles Chang Aluminum container
CN201338772Y (zh) * 2009-01-06 2009-11-04 无锡统一实业包装有限公司 易于堆栈的樽型铁易拉罐
CN202481441U (zh) * 2011-11-19 2012-10-10 邝会全 一种易拉罐的易拉省力装置
EP2612822A1 (en) * 2012-01-03 2013-07-10 Anheuser-Busch InBev S.A. Can comprising a first, dispense opening and second, vent opening and a single pull tab
EP2612823A1 (en) * 2012-01-03 2013-07-10 Anheuser-Busch InBev S.A. Can comprising a maxi-dispense opening and a vent opening
US9156585B2 (en) * 2012-04-04 2015-10-13 Anheuser-Busch Inbev S.A. Double opening beverage can lid system
US9181007B2 (en) 2013-03-12 2015-11-10 Rexam Beverage Can Company Beverage can end with vent port
BR202014032067U2 (pt) * 2014-12-19 2015-07-07 Edilberto Acacio Da Silva Disposição construtiva introduzida em lacre para embalagem de bebidas
US20170057692A1 (en) 2015-09-01 2017-03-02 Joao Marques Fernandes Constructive arrangement for the opening of a beverage can
BR202016006035U2 (pt) 2016-03-18 2017-09-26 Marques Fernandes João Improvement in constructive disposal for opening a can of drink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2597A (en) * 1988-10-13 1989-10-10 Hisao Hanafusa Beverage container with dual dispensing tabs
US5819973A (en) * 1996-12-31 1998-10-13 Traub, Sr.; John J. Beverage container lid having a lift tab for opening an aperture and vent hole
US20030098306A1 (en) * 2001-11-29 2003-05-29 Teng-Jui Cho Can
US20140374419A1 (en) * 2012-01-03 2014-12-25 Anheuser-Busch Inbev S.A. Can Comprising a First, Dispense Opening and Second, Vent Opening
US20140008365A1 (en) * 2012-07-09 2014-01-09 Silgan Containers Llc Can end and related method
WO2014158115A1 (en) * 2013-03-28 2014-10-02 Emi̇rcan Necat Beverage can opening ring made of metal
WO2015104659A1 (en) * 2014-01-08 2015-07-16 International Patents And Brands Corporation Lid for containers of substances and container of substances comprising said lid
WO2016163981A1 (en) * 2015-04-06 2016-10-13 Aptargroup, Inc. Closure for a container, closure components, and method of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9006080A (es) 2019-11-18
ES2863373T3 (es) 2021-10-11
JP7096262B2 (ja) 2022-07-05
PL3544899T3 (pl) 2021-07-05
EP3544899A1 (en) 2019-10-02
KR102466913B1 (ko) 2022-11-11
US11434046B2 (en) 2022-09-06
US20200317396A1 (en) 2020-10-08
WO2018094492A1 (en) 2018-05-31
CA3044700A1 (en) 2018-05-31
CN110114277B (zh) 2021-12-10
JP2019535608A (ja) 2019-12-12
EP3544899A4 (en) 2020-06-10
EP3544899B1 (en) 2021-01-06
CN110114277A (zh) 2019-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64921B1 (en) Double opening system for beverage cans
JP2007022567A (ja) 分別廃棄性に優れたキャップ
US10968009B2 (en) Constructive arrangement for the opening of a beverage can
KR19980017992A (ko) 폐기시 용기로 부터 분리 가능한 캡
AU2016204140A1 (en) Double Opening System for Beverage Cans
JP3923071B1 (ja) イージーオープン型缶とその開口方法
KR20190087567A (ko) 음료수 캔을 열기 위한 구조적 장치
US3303960A (en) Can top having an easy opening means
JP2010260578A (ja) ヒンジ式注出栓
JP5362457B2 (ja) 分別廃棄性に優れたヒンジキャップ
JP2008213924A (ja) 分別機構付きヒンジキャップ
JP5384000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5027019B2 (ja) 打栓性及び分別廃棄性に優れた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6601787B2 (ja) 分別廃棄性が向上したヒンジキャップ
JP4895916B2 (ja) 注出キャップ
JP4205772B2 (ja)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2007302291A (ja) 分別廃棄性の良好なキャップ
JP5384001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H0120268Y2 (ko)
JP5367351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2002080052A (ja) 打栓式合成樹脂製容器蓋
JP5005569B2 (ja) ヒンジキャップ
US3418956A (en) Can top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3192060A (ja) 液体噴出器
BR202017003226U2 (pt) Arranjo construtivo para abertura de uma lata de bebi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