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5513A - 타이어 구성요소를 형성하도록 스트립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타이어 구성요소를 형성하도록 스트립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5513A
KR20190085513A KR1020197014204A KR20197014204A KR20190085513A KR 20190085513 A KR20190085513 A KR 20190085513A KR 1020197014204 A KR1020197014204 A KR 1020197014204A KR 20197014204 A KR20197014204 A KR 20197014204A KR 20190085513 A KR20190085513 A KR 20190085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plane
holding
support
stri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4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6713B1 (ko
Inventor
예로엔 반 티노벤
휴고 바트 젠베르겐
코넬리스-얀 오토
카렐 요하네스 반 아센베르
오트 헤츠마
피터 코넬리스 메이어스
게리트 로이 니란드
Original Assignee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filed Critical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90085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38Textile inserts, e.g. cord or canvas layers, for tyres; Treatment of inserts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29D30/42Endless textile bands without bead-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02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29C65/7847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using vacuum to hold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4Single butt joints
    • B29C66/1142Single butt to butt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6Single bevelled joints,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bevelled in the joint area
    • B29C66/1162Single bevel to bevel joints, e.g. mitre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4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the joint having the same thickness as the thickness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29C66/435Making large sheets by joining smaller ones or strips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lastics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1Fibre-reinforced materials
    • B29C66/7214Fibre-reinforce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length of the fibres
    • B29C66/72141Fibres of continuous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7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375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uncured, partially cured or fully cured
    • B29C66/7375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uncured, partially cured or fully cured the to-be-joined area of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uncured, i.e. non cross-linked, non vulcanized
    • B29C66/7375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uncured, partially cured or fully cured the to-be-joined area of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uncured, i.e. non cross-linked, non vulcanized the to-be-joined areas of both parts to be joined being unc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6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6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said pressing elements being supported or backed-up by springs or by resili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Reciprocating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2Joining or pressing tools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Reciprocating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4Joining or pressing tools pivoting around on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1Fibre-reinforced materials
    • B29C66/7212Fibre-reinforce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38Textile inserts, e.g. cord or canvas layers, for tyres; Treatment of inserts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29D30/42Endless textile bands without bead-rings
    • B29D2030/421General aspects of the joining methods and devices for creating the bands
    • B29D2030/422Butt jo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38Textile inserts, e.g. cord or canvas layers, for tyres; Treatment of inserts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29D30/42Endless textile bands without bead-rings
    • B29D2030/421General aspects of the joining methods and devices for creating the bands
    • B29D2030/424General aspects of the joining methods and devices for creating the bands the joining devices being angular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38Textile inserts, e.g. cord or canvas layers, for tyres; Treatment of inserts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29D30/42Endless textile bands without bead-rings
    • B29D2030/421General aspects of the joining methods and devices for creating the bands
    • B29D2030/426General aspects of the joining methods and devices for creating the bands the joining devices being longitudinal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38Textile inserts, e.g. cord or canvas layers, for tyres; Treatment of inserts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29D30/42Endless textile bands without bead-rings
    • B29D2030/421General aspects of the joining methods and devices for creating the bands
    • B29D2030/427Positioning the bands at the joining are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38Textile inserts, e.g. cord or canvas layers, for tyres; Treatment of inserts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29D30/42Endless textile bands without bead-rings
    • B29D2030/421General aspects of the joining methods and devices for creating the bands
    • B29D2030/428Positioning the bands at the overlapping joining are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0/00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L2030/003Plies; Br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yre Mould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구성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제 1 스트립의 후단부를 제 2 스트립의 선단부에 연결하는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연결 장치는 지지 표면을 갖는 지지 부재 및 제 2 스트립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표면을 갖는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이 연결 장치는 상기 선단부가 나머지보다 지지 평면에 더 가까운 연결 배향으로 제 2 스트립의 선단부를 위치시키도록 구성되고, 이 연결 장치는 제 2 스트립의 선단부를 배치시키도록 배치 방향인 제 1 성분 및 제 1 스트립의 후단부와 제 2 스트립의 선단부가 접촉하도록 연결 방향인 제 2 성분을 갖는 지지 부재와 유지 부재 사이의 상대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이어 구성요소를 형성하도록 스트립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타이어 구성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스트립들을 연결하여 연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WO 2011/099846 A1은 스플라이스된 스트립으로부터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하고, 여기에서 제 1 스트립이 절단되어 스트립이 배출 컨베이어 상에 배치된다. 제 1 스트립을 절단한 후에 제 2 스트립이 절단되고 배출 컨베이어 상에 배치된다. 그 후에 제 1 및 제 2 스트립이 스플라이스된다. 제 1 스트립의 절단과 제 2 스트립을 배출 컨베이어 상에 배치하는 단계 사이에 제 2 스트립이 배출 컨베이어 위에서 유지되고, 제 1 스트립의 단부와 상기 단부로 스플라이스될 제 2 스트립의 단부 사이의 돌출된 분리 거리가 측정되며, 측정된 분리 거리에 기초하여 제 1 스트립이 제 2 스트립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위되어 제 1 스트립의 단부가 제 2 스트립에 대해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그 후에 제 2 스트립이 배출 컨베이어 상에 배치된다.
위의 방법은 배출 컨베이어의 수송 방향에서 제 2 스트립에 대해 제 1 스트립을 정확하게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배출 컨베이어와 제 2 스트립을 유지하는 그리퍼 사이에 오차 증가가 불가피하다. 높이 방향에서 0.5m에 이르는 오차 증가는 흔하다. 오직 수십 mm의 높이를 갖는 일부 스트립에서, 이러한 오차 증가는 수용될 수 없다. 또한, 만약 스트립이 소위 "경사진 스플라이스"와 연결된다면, 배출 컨베이어 상에서 제 1 스트립에 대해 중첩하는 제 2 스트립의 오정렬은 도 18에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위에서 스트립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날카로운 에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돌출 에지는 상기 표면에 도포될 후속 타이어 층의 변형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 품질이 향상될 수 있는, 타이어 구성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스트립을 연결하는 연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 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타이어 구성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제 1 스트립의 후단부를 제 2 스트립의 선단부에 연결하는 연결 장치를 제공하고, 제 1 스트립 및 제 2 스트립을 각각 연결선의 대향하는 측면 상의 제 1 스트립 위치 및 제 2 스트립 위치의 지지 평면 내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 표면을 갖는 지지 부재 및 제 2 스트립을 제 2 스트립 위치의 지지 평면 위에서 연장하는 유지 평면 내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 표면을 갖는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유지 부재는 유지 평면에 평행한 돌출 방향으로 제 1 돌출 거리에 걸쳐 유지 부재로부터 제 1 스트립 위치를 향해 돌출하는 선단부를 갖는 유지 표면에 제 2 스트립을 유지하도록 배치되고, 연결 장치는 선단부가 제 2 스트립의 나머지보다 지지 평면에 더 가까운 연결 배향으로 제 2 스트립의 선단부를 위치시키도록 배치되고, 연결 장치는 지지 부재와 유지 부재 사이의 상대 운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대 운동은 지지 평면과 접촉하는 연결 배향으로 제 2 스트립의 선단부를 배치시키기 위해 지지 평면에 수직인 배치 방향인 제 1 성분 및 제 2 스트립의 선단부가 연결 배향으로 제 1 스트립의 후단부와 접촉하게 하도록 연결선을 가로지르고 지지 평면에 평행하는 연결 방향인 제 2 성분을 포함한다.
제 2 스트립의 선단부의 비스듬한 접촉의 결과로, 상기 선단부는 유지 부재에 유지되는 제 2 스트립의 나머지에 대해 상기 지지 표면에 의해 편향 및/또는 변형된다. 특히, 상기 선단부는 제 1 스트립의 상부 표면을 향해 미세하게 위로 구부러질 수 있다. 유지 부재는 따라서 지지 표면과의 오차 없는 인접으로 상기 선단부에 힘을 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 2 스트립의 자유롭게 돌출하는 선단부에서 선단부의 연결은 유지 부재에 대해 독립적이고 및/또는 실질적으로 오차가 없을 수 있다. 그 결과, 제 2 스트립은 유지 부재가 오차 증가의 결과로서 서로 다른 높이에 있다고 해도 제 1 스트립의 상단 표면과 근접하게 놓이거나 또는 동일한 평면에 놓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결 장치는 제 2 스트립의 선단부를 제 2 스트립의 나머지에 대해 지지 부재를 향해서 편향시키는 편향 부재를 포함한다. 편향 부재는 유지 부재 및 상기 유지 부재와 연관된 오차로부터 자유롭게, 제 2 스트립의 선단부가 오직 지지 부재에 먼저 접촉하기 위한 위치에 있는 제 2 스트립의 부분임을 보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편향 부재는 유지 평면을 가로지르거나 그에 수직인 편향 방향에서 편향 부재가 유지 평면으로부터 지지 평면을 향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편향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유지 평면으로부터 지지 평면을 향하는 또는 통과해 돌출하는 편향 부재를 가짐으로써, 편행 부재가 상기 유지 평면에서 선단부를 자신의 원래 위치로부터 멀어지게 편향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편향 부재는 편향 위치로 이동하도록 바이어스되고, 편향 부재는 편향 방향에 반대인 수축 방향으로 바이어스에 대항하여 편향 부재가 유지 평면과 동일한 평면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놓이는 플러시(flush)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견고하게 장착된 또는 능동적으로 구동되는 편향 부재와는 다르게, 바이어싱된 편향 부재는 충분한 압력이 지지 부재에 대해 선단부를 가압하도록 인가되었을 때 편향 부재가 다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선단부는 편향 부재와 지지 부재 사이에서 불필요하게 변형 또는 압축되지 않는다.
이와 다르게, 연결 장치는 편향 부재의 편향 방향으로의 이동을 능동적으로 구동하도록 편향 부재에 동작상 결합되는 편향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편향 액추에이터는 편향 부재의 위치의 정확한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지 평면은 제 2 스트립의 선단부가 연결 배향에 있을 때 지지 평면에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제 2 스트립의 선단부는 유지 평면 아래에서 연장하게 될 수 있는 반면, 제 2 스트립의 나머지는 유지 평면에 평행한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유지 평면 내의 유지 부재에 유지된다. 다시 말하면, 선단부와 별개로, 제 2 스트립 전부가 지지 평면으로부터 일정한 또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거리에 있다.
이와 다르게, 유지 부재는, 유지 평면이 지지 평면에 대해 비스듬한 연결각으로 연장하고 연결선을 향해서 경사지는 비스듬한 연결 위치에 위치 가능하다.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비스듬한 배향은 제 2 스트립의 선단부가 제 2 스트립의 나머지보다 지지 평면에 가깝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유닛은 연결 배향에서 제 2 스트립의 선단부를 지지 평면과 접촉하게 배치하도록 배치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먼저 제어하고, 연결 배향에서 제 2 스트립의 선단부를 제 1 스트립의 후단부와 접촉하게 하도록 연결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후속하여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먼저 제 2 스트립의 선단부를 제 1 스트립에 대한 오차 증가 없이 지지 평면에 대해 정렬하도록 편향한 후에만 제 1 스트립과 제 2 스트립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이 가능하다.
비스듬한 연결각에서 연장하는 유지 평면의 경우, 제어 유닛은, 유지 부재를 비스듬한 연결각에서 비스듬한 연결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배치 방향 및 연결 방향에서의 상대 이동을 동시에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 1 스트립과 제 2 스트립 사이의 간격은 상기 비스듬한 연결각의 방향으로 좁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각은 2 내지 6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도이다. 상기 연결각은 오차 증가에 독립적인 또는 실질적으로 독립적인 제 2 스트립의 선단부에서 변형을 획득하기에 최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다시, 유지 평면이 비스듬한 연결각에 있을 때, 연결 위치에 있는 유지 부재는 제 2 스트립이 지지 표면과 접촉하도록 선택된 최소 높이에 걸쳐 지지 평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비스듬한 연결각, 제 1 돌출 거리 및 최적의 높이 사이의 삼각 관계는 유지 부재가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제 2 스트립이 지지 표면에 접촉하도록 신중하게 선택된다.
또한, 유지 평면이 연결 위치에서 비스듬한 연결각에 있을 때, 유지 부재는 연결 위치로부터 배치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유지 평면은 배치 위치의 지지 평면과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 2 스트립의 선단부는 단순히 및/또는 단지 유지 부재를 연결 위치에서 배치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제 1 스트립의 후단부와 접촉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은 제 2 스트립의 선단부가 제 1 스트립의 후단부와 접촉한 후에만 유지 부재를 연결 위치로부터 배치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선단부가 후단부와 접촉하면, 단부들은 서로에 대해 시프트하는 경향이 덜하다. 따라서, 연결 위치로부터 배치 위치로의 이동은 연결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스트립의 후단부 및 제 2 스트립의 선단부는 각각 지지 평면 및 유지 평면에 대해 동일한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사각 하에서 연장하는 상보적 경사 단부 표면을 포함하고, 유지 부재와 지지 부재 사이의 상대 이동은 지지 표면에 대해서 선단부를 제 1 돌출 거리에 걸쳐 제 1 스트립 및 제 2 스트립의 경사 단부 표면이 평행한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연결 배향으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 2 스트립은 제 1 스트립과 동일한 배향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2 스트립은 상단 표면을 포함하고, 경사 단부 표면은 상단 표면과 만나서 선단 에지를 형성하며, 유지 부재는 제 1 돌출 거리에 걸쳐 돌출 방향으로 유지 부재로부터 돌출하는 자신의 선단 에지를 가진 제 2 스트립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선단 에지는 유지 부재로부터 가장 멀리 돌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서, 제 2 스트립은 바닥 표면을 포함하고, 경사 단부 표면은 바닥 표면과 만나서 리세스 에지를 형성하며, 유지 부재는 제 2 돌출 거리에 걸쳐 돌출 방향으로 유지 부재로부터 돌출하는 자신의 리세스 에지를 가진 제 2 스트립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바닥 표면에서의 상기 리세스 에지는 유지 부재로부터 제 2 돌출 거리에 있는 위치에서 지지 표면과의 접촉에 의해 편향될 수 있다. 지지 표면에 의해 제 2 스트립 상에 인가되는 일반적인 힘은 상기 리세스에지의 위치에서 인가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선단부는 유지 부재에 의해 유지되지 않고/않거나 이미 자유롭게 돌출한다. 따라서, 선단부는 보다 쉽게 편향되며 제 1 스트립을 향해 변형된다.
일반적으로, 제 1 돌출 거리는 적어도 2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mm,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타이어 성형 산업에서 바디 플라이를 위해 사용되는 스트립이 점점 더 좁아지는 추세이다. 1mm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바디 플라이는 드물지 않다. 전술된 돌출 거리는 유지 부재에 의해 유지되는 제 2 스트립의 나머지에 대해 제 2 스트립의 상기 선단부를 변형시키기에 충분하다.
제 2 돌출 거리가 도입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제 2 돌출 거리는 적어도 1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mm,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돌출 거리를 가짐으로써, 배치 방향에서 지지 평면과 접촉함에 따라 유지 부재에 유지된 제 2 스트립의 나머지에 대해 편향 및/또는 변형하도록 충분한 자유도를 갖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지 부재가 유지 부재에 대해 연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거나 또는 유지 부재가 지지 부재에 대해 연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유지 부재 및 지지 부재 중 오직 하나만이 이동 가능하기만 하면 되고, 다른 하나는 제 1 스트립과 제 2 스트립 사이의 간격이 좁혀질 때 동일한 위치에 남아있을 수 있다.
제 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 1 스트립의 후단부를 제 2 스트립의 선단부에 연결하여 타이어 구성요소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이 방법은:
- 지지 표면을 갖는 지지 부재를 제공하고 연결선의 한쪽에서 제 1 스트립 위치의 지지 표면 상의 지지 평면에 있는 제 1 스트립을 지지하는 단계;
- 유지 표면을 갖는 유지 부재를 제공하고 연결선의 반대쪽 상의 지지 평면에서 제 2 스트립 위치 위로 연장하는 유지 평면 내의 유지 표면으로 제 2 스트립을 유지하는 단계로서, 유지 평면에 평행한 돌출 방향으로 제 1 돌출 거리에 걸쳐 유지 부재로부터 제 1 스트립 위치를 향해서 돌출하는 선단부를 갖는 유지 표면에 제 2 스트립이 유지되는, 유지 단계;
- 제 2 스트립의 선단부를 선단부가 제 2 스트립의 나머지보다 지지 평면에 더 가까운 연결 배향으로 위치시키는 단계; 및
- 지지 부재와 유지 부재 사이의 상대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로서, 상대 이동은 지지 평면과 접촉하는 연결 배향으로 제 2 스트립의 선단부를 배치시키기 위해 지지 평면에 수직인 배치 방향인 제 1 성분 및 제 2 스트립의 선단부가 연결 배향으로 제 1 스트립의 후단부와 접촉하게 하도록 연결선을 가로지르고 지지 평면에 평행하는 연결 방향인 제 2 성분을 포함하는, 상대 이동의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 및 그의 실시예는 연결 장치에 대해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은 기술적 특징의 실질적인 구현에 관한 것이다. 당업자에게는 이러한 방법 및 그의 실시예가 연결 장치 및 그의 각각의 실시예의 장점에 대응함이 명백할 것이다. 이러한 장점은 명확성을 위해 아래에서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제 2 스트립의 선단부를 제 2 스트립의 나머지에 대해 지지 부재를 향해 편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지 평면은 제 2 스트립의 선단부가 연결 배향에 있을 때 지지 평면과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대 이동은 연결 배향에서 제 2 스트립의 선단부를 지지 평면과 접촉하게 배치하도록 배치 방향으로 먼저 제어되고, 연결 배향에서 제 2 스트립의 선단부를 제 1 스트립의 후단부와 접촉하게 하도록 연결 방향으로 후속하여 제어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유지 부재는 유지 평면이 지지 평면에 대해 비스듬한 연결각으로 연장하고 연결선을 향해 기울어지는 비스듬한 연결 위치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대 이동은 유지 부재를 비스듬한 연결각에서 비스듬한 연결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배치 방향 및 연결 방향에서 동시에 제어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도시된 다양한 양태 및 특징이 가능할 때마다 개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개별적인 양태, 특히 첨부된 종속 청구항에 기술된 양태 및 특징은 분할 특허 출원의 주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개략적인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타이어 구성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스트립을 연결하는 방법의 단계 동안의 연결 장치의 측면도;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타이어 구성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스트립을 연결하는 다른 방법의 단계 동안의 다른 연결 장치의 측면도;
도 7은 도 1 내지 4에 따른 연결 장치의 측면도.
도 8 내지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타이어 구성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스트립을 연결하는 또 다른 방법의 단계 동안의 또 다른 연결 장치의 측면도;
도 12 및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타이어 구성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스트립을 연결하는 또 다른 방법 동안의 도 8 내지 11에 따른 연결 장치의 측면도;
도 14 내지 1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라 타이어 구성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스트립을 연결하는 또 다른 방법의 단계 동안의 도 8 내지 11에 따른 연결 장치의 측면도;
도 18은 종래의 연결 방법의 결과인 경사 스플라이스(beveled splice)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방법의 결과인 경사 스플라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4는 제 1 스트립(1)을 제 2 스트립(2)에 연결, 가압 또는 스플라이싱하여 타이어 구성요소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단계 동안의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장치(3)를 도시한다.
타이어 구성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그린 또는 미가황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브레이커 플라이 또는 바디 플라이이다. 제 1 스트립(1)은 상단 표면(11), 바닥 표면(12), 후단부(13) 및 후단 에지(15)를 형성하도록 제 1 경사각(B1)에서 바닥 표면(12)과 만나는 경사 단부 표면(14)을 갖는 스트립 바디(10)를 포함한다. 제 2 스트립(2)은 스트립 바디(20), 상단 표면(21), 바닥 표면(22), 선단부(23) 및 선단 에지(25)와 리세스 에지(26)를 각각 형성하도록 제 2 경사각(B2)에서 상단 표면(21) 및 바닥 표면(22)과 만나는 경사 단부 표면(24)을 포함한다. 개별 스트립(1, 2)의 경사각(B1, B2)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스트립 바디(10, 20)는 일반적으로 쉽게 부착되는 미가황의, 그린 및/또는 끈적한 탄성중합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브레이커 플라이의 경우에, 스트립(1, 2)은 바람직하게는 스틸 보강 코드인 내장 보강 코드를 포함한다. 연결 장치(3)는 소위 '경사 스플라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자신의 개별 경사 단부 표면(14, 24)에서 제 1 스트립(1)의 후단부(13)를 제 2 스트립(2)의 선단부(23)에 연결, 가압 또는 스플라이싱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장치(3)는 각각 연결선(L)의 대향하는 측면 상에 있는 제 1 스트립 위치(P1) 및 제 2 스트립 위치(P2)에 있는 지지 평면 내에 제 1 스트립(1) 및 제 2 스트립(2)을 지지하도록 지지 표면(40), 바람직하게는 평면인 지지 표면(40)을 갖는 지지 부재(4), 예로서 테이블 또는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연결 장치(3)는 또한 제 2 스트립 위치(P2)에서 지지 평면 위에서 연장하는 유지 평면(R)에 있는 지지 평면 위에서 연장하는 유지 평면(R) 내에 제 2 스트립(2)을 유지하도록, 유지 표면(50), 바람직하게는 평면인 유지 표면(50)을 가지는 유지 부재(5), 예로서 그리퍼 또는 다른 적절한 조작기를 더 포함한다. 유지 부재(5)에는 제 2 스트립(2)을 유지 표면(50)에 유지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진공 유지 요소 또는 자기 유지 요소의 형태인 유지 요소(51)가 제공된다. 연결 장치(3)는, 상기 선단부(23)가 제 2 스트립(2)의 나머지보다 지지 평면(S)에 더 가까운 도 1에 도시된 연결 배향에서 제 2 스트립(2)의 선단부(23)를 위치시키도록 구성되며, 이는 바로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유지 부재(5)는 기계 가이드의 세그먼트, 기계 팔, 로봇 조작기 등과 같은 하나의 또는 일련의 기계적 구성요소(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지지 부재(4)에 대해 위치된다. 이러한 기계적 구성요소는 필연적으로 지지 부재(4)에 대한 유지 부재(5)의 위치지정에 오차 증가를 발생시킨다. 상기 오차 증가는 지지 평면 위의 유지 평면(R)의 최소 높이(H)에 대해 양의 오차 또는 음의 오차(T)로서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공차 증가(T)을 상쇄하기 위해, 연결 장치(3)에는 제 2 스트립(2)의 선단부(23)를 제 2 스트립(2)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지지 부재(4)를 향해 편향시키는 편향 부재(7)가 제공된다. 편향 부재는 유지 평면(R)을 가로지르거나 또는 그에 수직인 편향 방향(F)에서 편향 부재(7)가 유지 평면(R)으로부터 또는 그 아래에서 지지 평면(S)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편향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편향 부재(7)는 바이어싱 부재(8), 예로서 스프링 또는 탄성 인접 요소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 위치로 이동하도록 편향된다. 이는 편향 부재(7)가 편향 방향(F)에 반대인 수축 방향으로 바이어스에 대항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러시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하며, 여기에서 편향 부재(7)는 유지 평면(R)과 동일한 평면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놓인다.
제 2 스트립(2)의 선단부(23)를 편향시킴으로써, 상기 선단부(23)는 제 2 스트립(2)의 나머지 부분보다 지지 평면(S)에 더 가까워진다. 제 2 스트립(2)의 편향된 선단부(23)는 후속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평면(S)에서 지지 표면(40) 상에 놓이고, 선단부(23)는 제 1 스트립(1)의 후단부(13)와 정렬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시 편향된다. 지지 평면(S) 위의 유지 부재(5)에 여전히 유지되는 제 2 스트립(2)의 나머지 부분과는 달리, 선단부(23)는 유지 부재(5)의 오차 증가로부터 독립적으로 지지 평면(S) 상에 안전하고 정확하게 배치된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장치(3)에는 지지 부재(4)의 지지 표면(40) 상에 또는 그에 대해 제 1 스트립(1)의 후단부(13)의 위치를 놓고/놓거나 고정하도록 이동 가능한 고정자(9)가 제공될 수 있다. 고정자(9)는 도 1의 해제 위치 및 도 2의 고정 위치에 도시되었다. 고정자(9)가 립적으로 지지되는지 또는 유지 부재(5)에 대해 지지되는지 여부에 따라서, 고정자(9)는 제 1 스트립(1)을 단지 내려놓도록 사용될 수 있는 반면, 고정자(9)는 상기 제 1 스트립(9) 위에서 연결 방향(J)에 평향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연결 장치(3)는 지지 부재(4)와 유지 부재(5) 사이에 상대 이동(M)을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상대 이동(M)은 지지 평면(S)과 접촉하는 연결 배향으로 제 2 스트립(2, 102)의 선단부(23, 123)를 배치시키기 위해 지지 평면(S)에 수직인 배치 방향(K)인 제 1 성분(M1) 및 제 2 스트립(2, 102)의 선단부(23, 123)가 연결 배향으로 제 1 스트립(1, 101)의 후단부(13, 113)와 접촉하게 하도록 연결선(L)을 가로지르고 지지 평면(S)에 평행하는 연결 방향(J)인 제 2 성분(M2)을 포함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연결 방향(J)은 지지 평면(S)에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배치 방향(K)은 지지 평면(S)에 수직이다. 상대 이동(M)의 제 1 성분(M1) 및 제 2 성분(M2)은 예를 들어 지지 부재(4)를 유지 부재(5)에 대해 이동시키거나 지지 부재(4)에 대해 유지 부재(5)를 이동시킴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연결 장치(3)에는 연결 방향(J)과 배치 방향(K)으로의 전술된 상대 이동(M)의 성분(M1, M2)을 제어하기 위해 지지 부재(4) 및/또는 유지 부재(5)에 동작상 및/또는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어 유닛(6)이 추가로 제공된다.
전술된 연결 장치(3)를 사용하여 제 1 스트립(1)의 후단부(13)를 제 2 스트립(2)의 선단부(23)에 연결하기 위한 방법이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1은 유지 부재(5)가 제 2 스트립(2)이 유지되는 지지 평면(S) 위에 위치되는 상황을 도시한다. 유지 부재(5)는 제 2 스트립(2)이 지지 평면(S)으로부터 떨어진 제 2 스트립 위치(P2) 위에 있도록 지지 부재(4)에 대해 높이를 가지고 위치한다. 제 1 스트립(1)은 제 2 스트립 위치(P2)에 대해 연결선(L)의 반대측 상에, 제 1 스트립 위치(P1)에 있는 지지 부재(4) 상에 배치된다. 바이어싱된 편향 부재(7)는 편향 위치에 있고, 그에 의해 제 2 스트립(2)의 선단부(23)를 연결 방향으로 편향시킨다.
도 2는 유지 부재(5)와 지지 부재(4) 사이에서 배치 방향(K)으로의 제어된 제 1 성분(M1)의 상대 이동(M)에 따라 편향된 선단부(23)가 접근한 후에, 지지 부재(4)의 지지 표면(40)에 대해 접촉 및 편향하는 상황을 도시한다. 지지 표면(40)에 대한 편향은 제 2 스트립(2)의 선단부(23)가 연결에 앞서 제 1 스트립(1)의 후단부(13)와 정렬하게 한다. 특히 각각의 스트립(1, 2)의 경사 단부 표면(14, 24)은 서로에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행하고/하거나 선단부(23)에서 제 2 스트립(2)의 바닥 표면(22)이 지지 평면(S)에 평행한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배향으로 힘이 가해짐을 인지해야 한다. 도 2에서, 제 1 스트립(1) 및 제 2 스트립(2)은 여전히 이격된다.
도 3은 제 1 스트립(1)과 제 2 스트립(2)의 선단부(23) 사이의 간격을 좁히기 위한 유지 부재(5)와 지지 부재(4) 사이의 연결 방향(J)인 상대 이동(M)의 제어된 제 2 성분(M2) 후의 상황을 도시한다. 유지 부재(5)는 여전히 지지 평면(S) 위에 간격을 두고 제 2 스트립(2)의 나머지를 유지한다.
도 4는 제 2 스트립(2)의 바닥 표면(22)이 지지 평면(S)에서 지지 부재(4)의 지지 표면(40) 상에 놓일 때까지 배치 방향(K)에서의 유지 부재(5)와 지지 부재(4) 사이의 추가의 상대 이동을 제공함으로써 제 2 스트립(2)의 나머지의 제어된 레이다운 이후의 상황을 도시한다. 대안적으로, 제 2 스트립(2)은 단순히 유지 요소(51)의 유지 기능을 비활성화함으로써 낙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3)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다. 이러한 세부사항은 위의 연결 장치(3)의 보다 일반적인 설명을 결코 제한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 부재(7)에는 본체(70) 및 편향 부재(7)와 유지 부재(51)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하기 위해 본체(70)로부터 유지 부재(5)를 향해 연장하는 연장부(71)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유지 요소(51)와 편향 부재(7) 사이의 제 2 스트립(2)의 유지되지 않은 부분은 최소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유지 부재(5)에는 유지 요소(51)에 가능한 한 가깝게 편향 부재(7)의 연장 부(71)를 수용 및/또는 수신하기 위한 리세스(52)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지 부재(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편향 부재(7)의 측에는 제 2 스트립(2)의 선단부(23)의 적어도 일부로 하여금 상기 선단부(23)가 지지 표면과 접촉할 때 다시 위로 편향되도록 하는 곡률(72)이 제공된다.
도 7은 도 1 내지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스프링(8)에 대한 대안으로서, 예로서 볼 또는 부싱을 통한 탄성적으로 압축가능한 점 접촉(80)으로서의 바이어싱 부재(8)를 추가로 도시한다. 바이어싱 부재(8)는 바람직하게는 유지 부재(5) 상에 지지되거나 장착된다. 따라서, 바이어싱 부재(8)는 유지 부재(5)에 대해 편향 부재(7)를 바이어싱하도록 구성된다.
도 7은 고정자(9)가 유지 부재(5) 상에 지지 또는 장착되어 그에 따라 상기 유지 부재(5)와 함께 연결 방향(J)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고정자(9)를 추가로 도시한다. 고정자(9)는 제 1 스트립과 최소한의 접촉을 갖도록 미세하게 볼록한 접촉면(90)을 가진다. 접촉면은 유지 부재(5)와 함께 움직일 때 접촉면(90)이 최소의 마찰을 가지고 제 1 스트립 위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최소가 되어야한다.
도 7에서 각도(A) 및 돌출 거리(D1, D2)에 걸친 결과적인 편향은 매우 미미하다는 것이 추가로 관찰될 수 있다. 실제로, 스트립(1, 2)은 단지 수십분의 1 밀리미터의 두께를 가지며 예로서 1mm보다 작은 매우 작은 편향이 제 2 스트립(2)의 나머지가 상기 지지 표면의 간격을 유지하는 동안 제 2 스트립(2)의 선단부(23)가 지지 표면에 접촉함을 보장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4의 편향은 단지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과장되어 있으며, 도 7은 실제 편향의 보다 현실적인 인상을 제공한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른 연결 장치(103)를 도시한다. 다른 연결 장치(103)는 편향 부재(107)가 능동적으로 제어된다는 점에서 이전에 논의된 연결 장치(3)와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른 연결 장치(103)는 도 5의 플러시 위치와 도 6의 편향 위치 사이에서 편향 방향(F)으로 편향 부재(107)의 이동을 능동적으로 구동하도록 편향 부재(107)에 동작상 결합되는 다른 편행 액추에이터(108)를 포함한다.
도 8 내지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른 연결 장치(203)를 도시한다. 다른 연결 장치(203)는 편향 부재가 없는 다른의 유지 부재(205)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이전에 언급된 연결 장치(1, 103)와 상이하다. 대신에, 제 2 스트립(2)의 선단부(23)는 돌출 방향(E)으로 제 1 돌출 거리(D1)에 걸쳐 다른 유지 부재(205)로부터 자유롭게 돌출할 수 있다. 다른 유지 부재(20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평면(R)이 제 2 스트립 위치(P2) 위로 연장하고 지지 평면(S)에 대해 비스듬한 연결각(A) 하에서 연결선(L)을 향해 감소 또는 하강하는 연결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연결각(A)은 본 발명을 명확하게 나타내도록 도면에서 약간 과장되었다. 실제로, 연결각(A)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도의 범위 내에 있다. 다른 유지 부재(205)는 연결 방향(J)에서 제 1 스트립(1)의 후단부(13)와 제 2 스트립(2)의 선단부(23) 사이에 여전히 간격이 존재하도록 연결선(L)으로부터 이격된다. 다른 유지 부재(205)는 제 2 스트립(2)이 상기 지지 표면(40)으로부터 자유롭거나, 이격되거나 및/또는 상기 지지 표면(40)과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 방향(K)에서 지지 표면(40)으로부터 충분히 이격된다.
선단 에지(25)로부터 다른 유지 부재(205)까지 측정된 제 1 돌출 거리(D1)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mm,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mm이다. 제 2 스트립(2)의 자유롭게 연장하는 부분은 상기 제 1 돌출 거리(D1)에 걸쳐 다른 유지 부재(205)에 유지되는 나머지 제 2 스트립(2)에 대해 변형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스트립(2)의 자유롭게 돌출하는 선단부(23)는 제 2 돌출 거리(D2)에 걸쳐 상기ㅏ 돌출 방향(E)으로 또는 그에 평행하게 다른 유지 부재(205)로부터 돌출하는 바닥 표면(22)에서 리세스 에지(26)에 의해 추가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돌출 거리(D2)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이다.
도 9는 다른 유지 부재(205)가 선택된 최소 높이(H)에 있는 지지 표면(40)으로부터 이격될 때까지 배치 방향(K)으로 낮춰지는 상황을 도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최소 높이(H)는 스트립(1, 2)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높이는 스트립(1, 2) 중 하나의 두께의 자동 측정에 의해 또는 제어 유닛(6)의 수동 입력에 의해 획득질 수 있다. 상기 최소 높이(H)에서, 제 2 스트립(2)의 자유롭게 돌출하는 선단부(23)는 지지 표면(40)을 향해, 지지 표면(40) 상으로 및/또는 지지 표면(40)을 따라서 비스듬한 연결각(A) 하에서 돌출한다. 특히, 지지 표면(40)과 제 2 스트립(2)의 접촉은 상기 선단부(23)가 지지 표면(40)에 대해 제 1 돌출 거리(D1)에 걸쳐서 제 1 스트립(1) 및 제 2 스트립(2)의 경사 단부 표면(14, 24)이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행한 배향으로 편향될 수 있게 한다.
다시 말하면, 다른 유지 부재(205)는 제 2 스트립(2)의 바닥 표면(22)에서 리세스된 에지(26)가 다른 유지 부재(205)로부터 제 2 돌출 거리(D2)에서 지지 표면(40)과 접촉하는 방식으로 비스듬한 연결각(A) 하에서 돌출된 선단부(23)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접촉으로 인해, 제 2 스트립(2)의 자유롭게 돌출하는 선단부(23)는 제 1 스트립(1)의 상단 표면(11)을 향해서 및/또는 제 1 스트립(1)과 정렬하게 상기 지지 표면(40) 상에서 변형 및/또는 편향된다. 따라서, 제 2 스트립(2)의 선단 에지(25)는 다른 유지 부재(205)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최소 높이(H)로부터 독립적으로, 제 1 스트립(1)의 상단 표면(11)과 정렬하여, 그에 더욱 가깝게 높이거나 또는 그와 동일한 평면에 놓인다. 결과적으로, 제 2 스트립(2)의 자유롭게 돌출하는 선단부(23)는 다른 유지 부재(205)의 최소 높이(H)에서 어떠한 오차(T)도 겪지 않게 된다.
제 1 돌출 거리(D1) 및/또는 제 2 돌출 거리(D2)는 사전설정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유지 부재(205)의 이동이 상기 사전설정된 제 1 돌출 거리(D1) 및/또는 제 2 돌출 거리(D2)를 고려하여 구성될 수 있도록 제어 유닛(6)에 수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도 10은 지지 부재(4)와 다른 유지 부재(205) 사이의 상대 이동이 제 2 스트립(2)의 선단부(23)로 하여금 비스듬한 연결각(A) 하에서 제 1 스트립(1)의 후단부(13)와 접촉하게 하도록 연결 방향(J)에서 제공되는 상황을 도시한다. 상대 이동 중에, 다른 유지 부재(205)는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 위치에 유지된다. 제어 유닛(6)은 유지 평면(R) 내의 다른 유지 부재(205)가 제 1 스트립(1)으로부터 제 1 돌출 거리(D1) 또는 그보다 미세하게 작은 거리(예로서, 수 mm 작은 거리)에 있을 때까지 연결 방향(J)에서 지지 부재(4)와 다른 유지 부재(205)를 서로에 대해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제 2 스트립(2)의 선단부(23)에서 스트립 바디(20)의 덜 마른 재료는 상기 선단 에지(25)에서 제 1 스트립(1)의 후단부(13)에서 스트립 바디(10)의 덜 마른 재료에 접착될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스트립(2)의 선단부(23)에서 자유롭게 돌출하는 선단부(23)의 변형으로 인해, 제 2 스트립(2)의 경사 단부 표면(24)은 도 10의 제 1 스트립(2)의 경사 단부 표면(14)에 대해 가압되며 여기에서 경사 단부 표면(14, 24)은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제 2 스트립(2)의 선단부(23)에서 스트립 바디(20)의 덜 마른 재료는 상기 선단 에지(25)에서 제 1 스트립(1)의 후단부(13)에서 스트립 바디(10)의 덜 마른 재료에 접착될 것이다. 도 10에 도시되고 도 19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스트립(2)의 선단 에지(25)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상황에 비교하여 제 1 스트립(1)의 상단 표면(11)에 가깝게 놓이거나 동일한 평면에 놓인다. 스트립(1, 2) 사이의 임의의 남아있는 높이 차이가 이제 완화되고/되거나 완만해진다. 특히, 도 18의 종래기술의 "경사 스플라이스"와 다르게, 제 1 스트립 위에서 돌출하는 날카로운 선단 에지(25)가 존재하지 않는다.
도 11은 다른 유지 부재(205)가 연결 위치로부터 유지 평면(R)이 지지 평면(S)에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배치 위치로 이동된 상황을 도시한다. 제어 유닛(6)은 제 2 스트립(2)의 선단부(25)가 도 10의 제 1 스트립(1)의 후단부(13)와 접촉하도록 이동된 후에만 다른 유지 부재(205)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 2 스트립(2)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위치에서 다른 유지 부재(205)로부터 간단히 해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중력의 영향 하에서 제 2 스트립(2)을 다른 유지 부재(205)로부터 지지 부재(4)의 지지 표면(40) 상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 낙하의 이점은 다른 유지 부재(205)가 방법의 단계들에 걸쳐 동일한 연결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이다. 지지 표면(40)까지의 거리가 비교적 짧을 때, 즉 수 밀리미터일 때, 낙하는 연결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도 12 및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다른 방법의 단계 동안의 도 8 내지 11에 따른 또 다른 연결 장치(203)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단지 지지 부재(4)와 다른 유지 부재(205) 사이의 상대 이동이 다른 유지 부재(205)를 제 1 스트립 위치(P1)를 향해 지지 평면(S)에 대해 비스듬한 경사각(A)에서 연결 경로(G)를 따라서 상대 이동(M)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획득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따라서, 다른 유지 부재(205)는 연결 방향(J)인 제 1 성분(M1) 및 배치 방향(K)인 제 2 성분(M2)을 가지고 동시에 이동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유지 부재(205)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위치로 비스듬한 연결 경로(G)를 따라서 이동된다. 연결 방법은 후속하여 도 11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완료될 수 있다.
도 14 내지 17은 다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다른 방법의 단계 동안 도 8 내지 11에 따른 또 다른 연결 장치(203)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단 표면(111, 121) 및/또는 바닥 표면(112, 122)에 각각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 단부 표면(114, 124)을 갖는 제 1 스트립(101) 및 제 2 스트립(102)을 연결, 가압 또는 스플라이싱하기 위해 또 다른 연결 장치(203)가 사용된다는 점에서만 이전에 논의된 방법들과 상이하다. 따라서, 도 1 내지 13에서와 같이 소위 "경사진(beveled) 스플라이스"를 형성하는 대신,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소위 "버트(butt) 스플라이스"를 형성한다. 이전에 논의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지지 평면(S)에 대한 다른 유지 부재(205)의 비스듬한 연결각(A)과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제 2 스트립(102)의 선단부(123)가 지지 표면(40) 상에서 변형된 및/또는 편향되도록 하기에 충분한 돌출 거리(D)에 걸쳐서 다른 유지 부재(205)로부터 돌출하는 선단부(123)를 제공한다. 특히, 직선 단부 표면(114, 124)은 연결선(L)에서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동일한 연결이 도 1 내지 7의 연결 장치(3, 103)를 이용하여 획득될 수도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도 14 내지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스트립(101, 102)을 연결시키기 위해 도 1 내지 13의 연결 장치(3, 103, 203)를 사용할 때 동일한 바람직한 효과가 획득될 수 있다.
위의 설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포함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위의 논의로부터,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많은 변형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타이어 구성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제 1 스트립의 후단부를 제 2 스트립의 선단부에 연결하는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연결 장치는 지지 표면을 갖는 지지 부재 및 제 2 스트립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표면을 갖는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이 연결 장치는 상기 선단부가 나머지보다 지지 평면에 더 가까운 연결 배향으로 제 2 스트립의 선단부를 위치시키도록 구성되고, 이 연결 장치는 제 2 스트립의 선단부를 배치시키도록 배치 방향인 제 1 성분 및 제 1 스트립의 후단부와 제 2 스트립의 선단부가 접촉하도록 연결 방향인 제 2 성분을 갖는 지지 부재와 유지 부재 사이의 상대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Claims (25)

  1. 타이어 구성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제 1 스트립(1, 101)의 후단부(13, 113)를 제 2 스트립(2, 102)의 선단부(23, 123)에 연결하는 연결 장치(3, 103, 203)로서,
    상기 제 1 스트립(1, 101) 및 상기 제 2 스트립(2, 102)을 각각 연결선(L)의 대향하는 측면 상의 제 1 스트립 위치(P1) 및 제 2 스트립 위치(P2)의 지지 평면(S) 내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 표면(40)을 갖는 지지 부재(4) 및 상기 제 2 스트립(2, 102)을 제 2 스트립 위치(P1)의 지지 평면(S) 위에서 연장하는 유지 평면(R) 내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 표면(50)을 갖는 유지 부재(5, 205)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부재(5, 205)는 유지 평면(R)에 평행한 돌출 방향(E)으로 제 1 돌출 거리(D1)에 걸쳐 유지 부재(5, 205)로부터 제 1 스트립 위치(P1)를 향해 돌출하는 선단부(23, 123)를 갖는 유지 표면(R)에 상기 제 2 스트립(2, 102)을 유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결 장치(3, 103, 203)는 상기 선단부(23, 123)가 제 2 스트립(2, 102)의 나머지보다 지지 평면(S)에 더 가까운 연결 배향으로 상기 제 2 스트립(2, 102)의 선단부(23, 123)를 위치시키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결 장치(3, 103, 203)는 상기 지지 부재(4)와 상기 유지 부재(5, 205) 사이의 상대 운동(M)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6)을 포함하고,
    상기 상대 운동(M)은 지지 평면(S)과 접촉하는 연결 배향으로 상기 제 2 스트립(2, 102)의 선단부(23, 123)를 배치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 평면(S)에 수직인 배치 방향(K)인 제 1 성분(M1) 및 상기 제 2 스트립(2, 102)의 선단부(23, 123)가 연결 배향으로 상기 제 1 스트립(1, 101)의 후단부(13, 113)와 접촉하게 하도록 상기 연결선(L)을 가로지르고 상기 지지 평면(S)에 평행하는 연결 방향(J)인 제 2 성분(M2)을 포함하는, 연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는 상기 제 2 스트립(2, 102)의 선단부(23, 123)를 상기 제 2 스트립(2, 102)의 나머지에 대해 상기 지지 부재(4)를 향해서 편향시키는 편향 부재(7, 107)를 포함하는, 연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부재(7, 107)는 유지 평면(R)을 가로지르거나 그에 수직인 편향 방향(F)에서 상기 편향 부재(7, 107)가 상기 유지 평면(R)으로부터 지지 평면(S)을 향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편향 위치로 이동 가능한, 연결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부재(7)는 편향 위치로 이동하도록 바이어스되고, 상기 편향 부재(7)는 편향 방향(F)에 반대인 수축 방향으로 바이어스에 대항하여 상기 편향 부재(7)가 상기 유지 평면(R)과 동일한 평면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놓이는 플러시(flush) 위치로 이동 가능한, 연결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103)는 상기 편향 부재(107)의 편향 방향(F)으로의 이동을 능동적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편향 부재(107)에 동작상 결합되는 편향 액추에이터(108)를 포함하는, 연결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평면(R)은 상기 제 2 스트립(2, 102)의 선단부(23, 123)가 연결 배향에 있을 때 상기 지지 평면(S)에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연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205)는, 상기 유지 평면(R)이 상기 지지 평면(S)에 대해 비스듬한 연결각(A)으로 연장하고 상기 연결선(L)을 향해서 경사지는 비스듬한 연결 위치에 위치 가능한, 연결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6)은 연결 배향에서 상기 제 2 스트립(2, 102)의 선단부(23, 123)를 지지 평면(S)과 접촉하게 배치하도록 배치 방향(K)으로의 상대 이동(M)을 먼저 제어하고, 연결 배향에서 상기 제 2 스트립(2, 102)의 선단부(23, 123)를 상기 제 1 스트립(1, 101)의 후단부(13, 113)와 접촉하게 하도록 연결 방향(J)으로의 상대 이동(M)을 후속하여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연결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6)은, 상기 유지 부재(205)를 비스듬한 연결각(A)에서 비스듬한 연결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배치 방향(K) 및 연결 방향(J)에서의 상대 이동(M)을 동시에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연결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각(A)은 2 내지 6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도인, 연결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연결 위치에 있는 상기 유지 부재(205)는 상기 제 2 스트립(2)이 지지 표면(S)과 접촉하도록 선택된 최소 높이(H)에 걸쳐 상기 지지 평면(S)으로부터 이격되는, 연결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205)는 연결 위치로부터 배치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유지 평면(R)은 상기 배치 위치의 지지 평면(S)과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연결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6)은 상기 제 2 스트립(2)의 선단부(23)가 상기 제 1 스트립(1)의 후단부(13)와 접촉한 후에만 상기 유지 부재(205)를 연결 위치로부터 배치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연결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트립(1)의 후단부(13) 및 상기 제 2 스트립(2)의 선단부(23)는 각각 지지 평면(S) 및 유지 평면(R)에 대해 동일한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사각(B1, B2) 하에서 연장하는 상보적 경사 단부 표면(14, 24)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 부재(5, 205)와 상기 지지 부재(4) 사이의 상대 이동(M)은 지지 표면(40)에 대해서 상기 선단부(23, 123)를 제 1 돌출 거리(D1)에 걸쳐 상기 제 1 스트립(1) 및 상기 제 2 스트립(2)의 경사 단부 표면(14, 24)이 평행한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연결 배향으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되는, 연결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트립(2)은 상단 표면(11)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 단부 표면(14)은 상기 상단 표면(11)과 만나서 선단 에지(15)를 형성하며, 상기 유지 부재(5, 205)는 제 1 돌출 거리(D1)에 걸쳐 돌출 방향(E)으로 상기 유지 부재(5, 205)로부터 돌출하는 자신의 선단 에지(15)를 가진 제 2 스트립(2)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연결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트립(2)은 바닥 표면(22)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 단부 표면(24)은 상기 바닥 표면(22)과 만나서 리세스 에지(26)를 형성하며, 상기 유지 부재(5, 205)는 제 2 돌출 거리(D2)에 걸쳐 돌출 방향(E)으로 상기 유지 부재(5, 205)로부터 돌출하는 자신의 리세스 에지(26)를 가진 제 2 스트립(2)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연결 장치.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 거리(D1)는 적어도 2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mm,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mm인, 연결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출 거리(D2)는 적어도 1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mm,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mm인, 연결 장치.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4)가 상기 유지 부재(5, 205)에 대해 연결 방향(J)으로 이동 가능하거나 또는 상기 유지 부재(5, 205)가 상기 지지 부재(4)에 대해 연결 방향(J)으로 이동 가능한, 연결 장치.
  20. 제 1 스트립(1, 101)의 후단부(13, 113)를 제 2 스트립(2, 102)의 선단부(23, 123)에 연결하여 타이어 구성요소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 지지 표면(40)을 갖는 지지 부재(4)를 제공하고 연결선(L)의 한쪽에서 제 1 스트립 위치(P1)의 지지 표면(40) 상의 지지 평면(S)에 있는 제 1 스트립(1, 101)을 지지하는 단계;
    - 유지 표면(50)을 갖는 유지 부재(5, 205)를 제공하고 상기 연결선(L)의 반대쪽 상의 지지 평면(S)에서 제 2 스트립 위치(P2) 위로 연장하는 유지 평면(R) 내의 상기 유지 표면(50)으로 상기 제 2 스트립(2, 102)을 유지하는 단계로서, 상기 유지 평면(R)에 평행한 돌출 방향(E)으로 제 1 돌출 거리(D1)에 걸쳐 상기 유지 부재(5, 205)로부터 제 1 스트립 위치(P1)를 향해서 돌출하는 선단부(23, 123)를 갖는 유지 표면(50)에 상기 제 2 스트립(2, 102)이 유지되는, 유지 단계;
    - 상기 제 2 스트립(2, 102)의 선단부(23, 123)를 상기 선단부(23, 123)가 상기 제 2 스트립(2, 102)의 나머지보다 상기 지지 평면(S)에 더 가까운 연결 배향으로 위치시키는 단계; 및
    - 상기 지지 부재(4)와 상기 유지 부재(5, 205) 사이의 상대 이동(M)을 제어하는 단계로서, 상기 상대 이동(M)은 지지 평면(S)과 접촉하는 연결 배향으로 상기 제 2 스트립(2, 102)의 선단부(23, 123)를 배치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 평면(S)에 수직인 배치 방향(K)인 제 1 성분(M1) 및 상기 제 2 스트립(2, 102)의 선단부(23, 123)가 연결 배향으로 상기 제 1 스트립(1, 101)의 후단부(13, 113)와 접촉하게 하도록 상기 연결선(L)을 가로지르고 상기 지지 평면(S)에 평행하는 연결 방향(J)인 제 2 성분(M2)을 포함하는, 상대 이동(M)의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트립(2, 102)의 선단부(23, 123)를 상기 제 2 스트립의 나머지에 대해 상기 지지 부재(4)를 향해 편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평면(R)은 상기 제 2 스트립(2, 102)의 선단부(23, 123)가 연결 배향에 있을 때 상기 지지 평면(S)과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205)는 상기 유지 평면(R)이 상기 지지 평면(S)에 대해 비스듬한 연결각(A)으로 연장하고 상기 연결선(L)을 향해서 경사지는 비스듬한 연결 위치에 위치되는, 방법.
  24. 제 20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이동(M)은 연결 배향에서 상기 제 2 스트립(2, 102)의 선단부(23, 123)를 지지 평면(S)과 접촉하게 배치하도록 배치 방향(K)으로 먼저 제어되고, 상기 연결 배향에서 상기 제 2 스트립(2, 102)의 선단부(23, 123)를 상기 제 1 스트립(1, 101)의 후단부(13, 113)와 접촉하게 하도록 연결 방향(J)으로 후속하여 제어되는,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이동(M)은 상기 유지 부재(205)를 비스듬한 연결각(A)에서 비스듬한 연결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배치 방향(K) 및 연결 방향(J)에서 동시에 제어되는, 방법.
KR1020197014204A 2016-11-18 2017-11-02 타이어 구성요소를 형성하도록 스트립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 및 방법 KR1021467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17821A NL2017821B1 (en) 2016-11-18 2016-11-18 Joining device and method for joining strips to form a tire component
NL2017821 2016-11-18
PCT/NL2017/050704 WO2018093248A1 (en) 2016-11-18 2017-11-02 Joining device and method for joining strips to form a tire compon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513A true KR20190085513A (ko) 2019-07-18
KR102146713B1 KR102146713B1 (ko) 2020-08-25

Family

ID=57737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4204A KR102146713B1 (ko) 2016-11-18 2017-11-02 타이어 구성요소를 형성하도록 스트립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10843427B2 (ko)
EP (1) EP3541610B1 (ko)
JP (1) JP6689998B2 (ko)
KR (1) KR102146713B1 (ko)
CN (2) CN110035886B (ko)
ES (1) ES2831001T3 (ko)
HU (1) HUE052719T2 (ko)
MX (1) MX2019005644A (ko)
MY (1) MY195655A (ko)
NL (1) NL2017821B1 (ko)
PL (1) PL3541610T3 (ko)
RS (1) RS61316B1 (ko)
RU (1) RU2744703C2 (ko)
TW (1) TWI773700B (ko)
WO (1) WO20180932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90028B1 (ja) * 2018-06-11 2019-10-16 横浜ゴム株式会社 ゴムシート部材の接合装置および方法
WO2024046634A1 (en) * 2022-08-31 2024-03-07 Nv Bekaert Sa A method for detecting the tip rise or the edge waviness of rubber ply and the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8329A (en) * 1970-01-06 1973-12-11 Steelastic Co Reinforced tire fabric of helically formed,laterally spaced,single filament wires
US6280556B1 (en) * 1997-11-10 2001-08-28 The Yokohama Rubber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ligning and splicing strip members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5328A (en) 1963-10-21 1967-06-13 Gen Tire & Rubber Co Method of and apparatus for butt splicing coated fabric
US3802982A (en) * 1970-01-06 1974-04-09 Steelastic Co Reinforced tire fabric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US3682222A (en) * 1970-01-06 1972-08-08 Steelastic Co Pneumatic tire having helical reinforcing filaments
SU452510A1 (ru) * 1972-05-10 1974-12-05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аскро и стыковки полос обрезиненного кордного полотна
DE2350841C3 (de) 1972-11-20 1978-12-14 Deutsche Semperit Gmbh, 8000 Muenchen Verfahren zum Stoßverbinden von Lagen aus plastisch verformbarem Material, insbesondere von kautschukierten Stahldrahtlagen
US4026753A (en) 1972-11-20 1977-05-31 Semperit Aktiengesellschaft Apparatus for butt connection of plies formed of plastic deformable material, especially rubberized steel cord plies
DE2623638C3 (de) * 1976-05-26 1980-07-24 Metzeler Kautschuk Gmbh, 8000 Muenchen Vorrichtung zum Zuführen einer vulkanisierbaren Kautschukbahn zu einer Reifenaufbautrommel
JPS5311723A (en) 1976-07-16 1978-02-02 Yamada Kikai Kogyo Kk Power bush cleaner with safety coverrgathering implement combination
SU738895A1 (ru) * 1977-11-21 1980-06-05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По Оборудованию Для Шин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Лини дл сборки крупногабаритных резинотехн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NL9200199A (nl) * 1992-02-04 1993-09-01 Stork Contiweb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met elkaar verbinden van twee materiaalbanen.
JP2000159399A (ja) * 1998-11-25 2000-06-13 Bridgestone Corp 帯状部材の接合方法および接合装置
NL1016078C2 (nl) * 2000-09-01 2002-03-05 Vmi Epe Holland Lasinrichting voor het aan elkaar lassen van stroken van in rubbermateriaal ingebedde koorden.
NL1022246C2 (nl) * 2002-12-23 2004-06-24 Vmi Epe Holland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maken van een gordellaag.
US7497241B2 (en) * 2005-07-27 2009-03-03 The Steelastic Company, Llc Tire belt machine
US20070023146A1 (en) * 2005-08-01 2007-02-01 Bull Jeffrey F Tire belt making machine strip alignment system
JP4295759B2 (ja) * 2005-11-18 2009-07-1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用ゴム部材の製造方法、及び空気入りタイヤ
DE102007001151A1 (de) * 2007-01-05 2008-07-10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Schneiden und Spleissen von Bandabschnitten eines klebrigen Kordbandes
JP4942550B2 (ja) * 2007-05-24 2012-05-30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FR2939780B1 (fr) * 2008-12-12 2011-10-21 Michelin Soc Tech Dispositif de transfert et d'alignement de bandelettes destinees a etre assemblees pour former une nappe.
NL2004213C2 (nl) * 2010-02-09 2011-08-10 Vmi Holland Bv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band van aan elkaar gelaste strips.
JP5281677B2 (ja) * 2011-06-15 2013-09-0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用プライ材料の製造装置
JP5432970B2 (ja) * 2011-11-21 2014-03-0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用プライ材料の製造装置
DE102012107215B4 (de) * 2012-08-07 2016-12-01 Karl Eugen Fischer Gmbh Vorrichtung zum Überlappspleißen von Cordband
JP5981835B2 (ja) * 2012-11-26 2016-08-3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エンドレスベルトの製造方法
DE102013104606A1 (de) * 2013-05-06 2014-11-06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ahrzeugreifen
CN203580157U (zh) * 2013-05-29 2014-05-07 卡尔欧根菲舍尔有限公司 用于拼接材料带的带区段的拼接装置
NL2012253C2 (en) * 2014-02-12 2015-08-17 Vmi Holland Bv Tire building machine and method for forming a tire layer, in particular a breaker ply.
EP2990190A1 (en) * 2014-08-28 2016-03-0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ly mak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tire manufactur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8329A (en) * 1970-01-06 1973-12-11 Steelastic Co Reinforced tire fabric of helically formed,laterally spaced,single filament wires
US6280556B1 (en) * 1997-11-10 2001-08-28 The Yokohama Rubber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ligning and splicing strip memb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831001T3 (es) 2021-06-07
MX2019005644A (es) 2019-07-04
RU2019118284A3 (ko) 2021-01-11
RU2019118284A (ru) 2020-12-18
CN113799424B (zh) 2023-07-14
US20190270265A1 (en) 2019-09-05
RU2744703C2 (ru) 2021-03-15
RS61316B1 (sr) 2021-02-26
EP3541610A1 (en) 2019-09-25
TWI773700B (zh) 2022-08-11
EP3541610B1 (en) 2020-10-21
HUE052719T2 (hu) 2021-05-28
CN110035886B (zh) 2021-10-08
BR112019010248A2 (pt) 2019-09-03
WO2018093248A1 (en) 2018-05-24
JP2019508289A (ja) 2019-03-28
PL3541610T3 (pl) 2021-04-19
CN113799424A (zh) 2021-12-17
JP6689998B2 (ja) 2020-04-28
CN110035886A (zh) 2019-07-19
US10843427B2 (en) 2020-11-24
NL2017821B1 (en) 2018-05-25
TW201819155A (zh) 2018-06-01
KR102146713B1 (ko) 2020-08-25
MY195655A (en) 2023-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31583B2 (ja) 接合方法及び接合装置
US9750170B2 (en) Automatic assembling system
US20070216179A1 (en) Substrate Holding Device
KR20190085513A (ko) 타이어 구성요소를 형성하도록 스트립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 및 방법
KR101441156B1 (ko) 조정 가능한 힘 전기 접촉기
US10179357B2 (en) Bending apparatus and bending method for a plate-shaped metal workpiece
US7950253B2 (en) Molding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up mold
WO2007026641A1 (ja) ステージ装置
US200201572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electronic device
US11414278B2 (en) Multi-level hand apparatus and conveying robot provided with the same
WO2017006738A1 (ja) 位置決め装置および位置決め方法
JP7087090B2 (ja) タイヤを成型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タイヤ部品を接合又は切断するための方法
EP0552743B1 (en) Automatic slide-on panel loading system
JP5354419B2 (ja) 部品の同時整列装置
BR112019010248B1 (pt) Dispositivo de união e método para unir uma extremidade traseira de uma primeira tira a uma extremidade dianteira de uma segunda tira para formar um componente de pneu
US20160009022A1 (en) Imprint apparatus and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JP7462507B2 (ja) 支持装置および組立装置
JP2014008441A (ja) 塗装ガンの位置決め装置及び塗装ガンの位置決め方法
US20220319891A1 (en)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KR101147537B1 (ko) 필름류 압착 실링 장치
KR20050069065A (ko) 지그의 소재위치설정장치
JP2020093340A (ja) 部品組付装置及び部品組付方法
TW202221834A (zh) 拾取機構及其應用之作業設備
KR20220056171A (ko) 도포기, 도포 장치, 및, 도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