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131A - 보강 부재 - Google Patents

보강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0131A
KR20190080131A KR1020170182377A KR20170182377A KR20190080131A KR 20190080131 A KR20190080131 A KR 20190080131A KR 1020170182377 A KR1020170182377 A KR 1020170182377A KR 20170182377 A KR20170182377 A KR 20170182377A KR 20190080131 A KR20190080131 A KR 20190080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fixing
reinforcing
restrict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4211B1 (ko
Inventor
채상훈
최정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영
Priority to KR1020170182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211B1/ko
Publication of KR20190080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62D21/04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single longitudinal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에 따르면, 외력을 전달받는 구조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 부재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부; 및 상기 보강부가 상기 구조체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보강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구조체에 위치 고정되는 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강 부재 {REINFORCING MEMBER}
본 발명은 보강 부재에 관한 것으로 외력을 전달받는 구조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부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자동차 등의 운송 기기를 설계할 때 다양한 인자들을 고려하며 설계를 하여야 하며, 이러한 인자들은 내충격성 -상기 내충격성은 외부 충격에 저항하는 성능임- 과 연비-상기 연비는 주행 거리 또는 단위 시간 당 소비하는 연료의 양임- 를 소정의 기준에 만족되도록 설계되어야 전세계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을 갖는 운송 기기를 생산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두 가지 고려 요소들은 서로 대립되는 요소로서 소정의 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일례로, 내충격성을 높이기 위해서 운송 기기를 이루는 강판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경우 운송 기기의 중량이 증가되어 연비가 감소되는 문제를 갖는다. 또한, 운송기기를 이루는 강판을 고 강도의 강판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운송 기기의 가격이 상승되어 가격 경쟁력이 하락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연비의 손해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운송 기기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 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에 따르면, 외력을 전달받는 구조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 부재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부; 및 상기 보강부가 상기 구조체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보강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구조체에 위치 고정되는 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한부는, 상기 제한부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를 상기 구조체에 가 고정시키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본체부를 상기 구조체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고정부에 의해 상기 구조체에 가 고정된 후, 상기 제2 고정부에 의해 상기 구조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고정부는, 제1 상태일 경우 상기 본체부를 상기 구조체에 고정시키지 못하고, 제2 상태일 경우 상기 본체부를 상기 구조체에 고정시키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고정부에 의해 상기 구조체에 가 고정된 후, 상기 제2 고정부의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의 상태변화로 인해 상기 구조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고정부는, 열에 의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2 상태일 경우,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구조체를 고정시켜, 상기 본체부를 상기 구조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한부는, 상기 제한부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상기 구조체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홀딩부 및 상기 홀딩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제1 상태일 경우 상기 연결부를 상기 구조체에 고정시키지 못하며, 제2 상태일 경우 상기 연결부를 상기 구조체에 고정시키며, 상기 홀딩부는, 제1 상태일 경우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지 못하며, 제2 상태일 경우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고정부 및 상기 홀딩부는, 열에 의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 내부에서 소정의 유체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제1 상태일 경우 상기 보강부 내부로 상기 유체가 유동되도록 하고, 제2 상태일 경우 상기 보강부 내부에서 상기 유체가 유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한부는, 상기 유체가 상기 보강부 내부로 유동되도록 상기 보강부의 내부 공간인 보강공간과 서로 연통되는 배치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배치공간에 배치되어, 상태 변화를 통해 상기 유체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한부는, 상기 제한부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상기 구조체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제1 상태일 경우 상기 본체부를 상기 구조체에 고정시키지 못하고, 제2 상태일 경우 상기 본체부를 상기 구조체에 고정시키며, 상기 조절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는, 열에 의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홀딩부 및 상기 홀딩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홀딩부는, 제1 상태일 경우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지 못하며, 제2 상태일 경우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조절부, 상기 제2 고정부 및 상기 홀딩부는, 열에 의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운송기기는 상술한 보강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 부재에 따르면, 연비가 낮아지지 않으면서 운송 기기의 내충격성을 확보 할 수 있다.
또한, 제조 공정을 단축 시킬 수 있다.
또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구조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구비하는 제한부 및 상기 제한부와 보강부 및 구조체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구비하는 제한부 및 상기 제한부와 보강부 및 구조체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구비하는 제한부 및 상기 제한부와 보강부 및 구조체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구비하는 제한부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제한부와 보강부 및 구조체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구비하는 제한부의 사시도.
도 8 은 도 7의 제한부와 보강부 및 구조체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구비하는 제한부 및 상기 제한부와 보강부 및 구조체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구비하는 제한부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구조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외력을 전달받는 구조체(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강 부재(100)가 상기 구조체(1)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조체(1)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판넬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구조체(1)는 차량의 사이드 레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구조체(1)는 상부구조체(1a) 및 하부구조체(1b)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보강 부재(100)는 상기 구조체(1)가 제공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100)는 상기 구조체(1)가 구비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판넬에 연결, 결합 및/또는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100)가 상기 구조체(1)에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구조체(1)가 제공하는 내부 공간에 의해 상기 구조체(1)의 약해진 내구성이 강화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100)는 상기 구조체(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부(110) 및 상기 보강부(110)가 상기 구조체(1)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보강부(11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구조체(1)에 위치 고정되는 제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110)는 스틸 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보강부(110)는 내부에 유체가 유동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보강부(110)는 파이프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이하, 상기 보강 부재(100)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 서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구비하는 제한부 및 상기 제한부와 보강부 및 구조체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구비하는 제한부의 사시시도 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구조체에 고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구조체에 고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한부(1200)는 상기 제한부(1200)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110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본체부(1210), 상기 본체부(1210)를 상기 구조체(1)에 가 고정시키는 제1 고정부(1220) 및 상기 본체부(1210)를 상기 구조체(1)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123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1210)는 상기 본체부(1210)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110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홀딩부(1212) 및 상기 홀딩부(1212), 상기 제2 고정부(1230) 및 상기 제1 고정부(1220)와 연결되는 연결부(12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1230)는 상기 연결부(1211)의 하 면과 연결되는 제2-1 고정부(1231) 및 상기 연결부(1211)의 측면 및 상면을 포위하도록 상기 연결부(1211)와 연결되는 제2-2 고정부(12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11)는 상기 연결부(1211)의 일면에서부터 타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삽입면(1211a)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홀딩부(1212)는 상기 삽입면(1211a)에 연결되어, 상기 보강부(1100)가 삽입되는 삽입공간(S1212)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홀딩부(1212)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삽입공간(S1212)에 상기 보강부(110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공간(S1212)은 상기 보강부(1100)의 형상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보강부(1100)가 파이프일 경우, 원 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결부(1211)에 상기 보강부(1100)가 삽입되어, 상기 보강부(1100)는 상기 구조체(1)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11)의 삽입공간(S1212)에 상기 보강부(1100)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보강부(1100)는 상기 연결부(1211)를 기준으로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11)는 상기 제1 고정부(122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11)의 밑면의 적어도 일부에서부터 상기 제1 고정부(1220)는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11)는 상기 제2 고정부(123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11)의 밑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2-1 고정부(1231)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1220)와 상기 제2-1 고정부(1231)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1 고정부(1231)는 상기 연결부(1211)의 밑면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고정부(1220)는 상기 연결부(1211)의 밑면에서 상기 제2-1 고정부(1231)를 관통하여 상기 제2-1 고정부(1231)의 외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홀딩부(1212)는 상기 삽입면(1211a)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되어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홀딩부(1212)는 제1 상태일 경우 상기 본체부(1210)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110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지 못하며, 제2 상태일 경우 상기 본체부(1210)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110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홀딩부(1212)와 상기 보강부(1100)가 서로 연결이 되나, 상기 보강부(1100)에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보강부(1100)가 위치 이동 가능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홀딩부(1212)와 상기 보강부(1100)가 서로 연결되며, 상기 보강부(1100)에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보강부(1100)가 위치 이동 가능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홀딩부(1212)가 제공하는 삽입공간(S1212)에 상기 보강부(1100, 도 2(b) 및 도 2(c) 참조)가 삽입되어 상기 홀딩부(1212)와 상기 보강부(110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1100)에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보강부(1100)는 위치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홀딩부(1212)에 열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홀딩부(1212)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어 부피가 확장되는 동시에 접착의 기능이 구현되어, 상기 연결부(1211)와 상기 보강부(1100)를 서로 접착시킬 수 있다.
상기 홀딩부(1212)는 구조용 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 고정부(1220)는 상기 연결부(1211)의 밑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1220)는 상기 연결부(1211)와 연결되는 제1-1 고정부(1221) 및 상기 제1-1 고정부(1221)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1211)를 상기 구조체(1)에 가 고정시키는 제1-2 고정부(12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2 고정부(1222)는 점진적인 경사를 가지는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2 고정부(1222)는 원뿔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1220)는 상기 본체부(12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1220)는 상기 본체부(1210)를 상기 구조체(1)에 가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1 고정부(1221)는 상기 구조체(1)에 형성되어 있는 홀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부(1210)를 상기 구조체(1)에 가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가 고정이란 상기 제1 고정부(1220)가 상기 구조체(1)에 연결되었을 경우, 상기 제1 고정부(1220)에 외력을 작용하는 경우 상기 본체부(1210)를 상기 구조체(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을 말할 수 있다.
또한, 가 고정이란 상기 제1 고정부(1220)에 의해 상기 본체부(1210)가 상기 구조체(1)에 연결되었을 경우, 상기 본체부(1210)에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제1 고정부(1220)와 상기 구조체(1)의 이격 거리가 변화될 수 있는 것을 말할 수 있다.
상기 제2-1 고정부(1231)는 상기 연결부(1211)의 밑면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2 고정부(1232)는 상기 연결부(1211)의 측면 및 상면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1230)는 제1 상태일 경우 상기 본체부(1210)를 상기 구조체(1)에 고정시키지 못하고, 제2 상태일 경우 상기 본체부(1210)를 상기 구조체(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본체부(1210)(연결부(1211))가 상기 제2 고정부(1230)에 의해 상기 구조체(1)에 연결이 되나, 상기 본체부(1210)(연결부(1211))에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1210)(연결부(1211))가 위치 이동 가능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본체부(1210)(연결부(1211))가 상기 제2 고정부(1230)에 의해 상기 구조체(1)에 연결이 되며, 상기 본체부(1210)(연결부(1211))에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1210)(연결부(1211))가 위치 이동 가능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고정부(1220)에 의해 상기 본체부(1210)가 상기 구조체(1, 도 2(b) 및 도 2(c) 참조)에 가 고정되는 경우 제2 고정부(1230)는 상기 구조체(1)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210)에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1210)는 위치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제2 고정부(1230)에 열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제2 고정부(1230)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어 부피가 확장되는 동시에 접착의 기능이 구현되어, 상기 본체부(1210)와 상기 구조체(1)를 서로 접착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본체부(1210)은 상기 제1 고정부(1220)에 의해 상기 하부구조체(1b)에 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고정부(1230)에 열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제2-1 고정부(1231) 및 상기 제2-2 고정부(1232)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어, 상기 제2-1 고정부(1231)에 의해 상기 본체부(1210)는 상기 하부구조체(1b)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2 고정부(1232)에 의해 상기 본체부(1210)는 상기 상부구조체(1a)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부(1210)는 상기 제1 고정부(1220)에 의해 상기 구조체(1)에 가 고정된 후, 상기 제2 고정부(1230)의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의 상태변화로 인해 상기 구조체(1)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고정부(1230)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과정에서 유동성이 높아져, 상기 제1 고정부(1220)와 상기 구조체(1)와의 이격 거리 내로 유동되어 상기 제1 고정부(1220)와 상기 구조체(1)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본체부(1210)는 상기 구조체(1)에 더욱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고정부(1230)는 구조용 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술한 결합과정은 열에 의해 동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보강부(1100)가 상기 삽입공간(S1212)에 삽입되고, 상기 본체부(1210)가 상기 제1 고정부(1220)에 의해 상기 구조체(1)에 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보강 부재에 열이 작용되면, 상기 홀딩부(1212)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어 상기 본체부(1210)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110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제2 고정부(1230)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어 상기 본체부(1210)는 상기 구조체(1)에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조 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구비하는 제한부 및 상기 제한부와 보강부 및 구조체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구비하는 제한부의 사시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구조체에 고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구조체에 고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범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한부(2200)는 상기 제한부(2200)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210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본체부(2210), 상기 본체부(2210)를 상기 구조체(1)에 가 고정시키는 제1 고정부(2220) 및 상기 본체부(2210)를 상기 구조체(1)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223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2210)는 상기 본체부(2210)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210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홀딩부(2212) 및 상기 홀딩부(2212), 상기 제2 고정부(2230) 및 상기 제1 고정부(2220)와 연결되는 연결부(221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2220)는 상기 연결부(2211)와 연결되는 제1-1 고정부(2221) 및 상기 제1-1 고정부(2221)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2211)를 상기 구조체(1)에 가 고정시키는 제1-2 고정부(22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211)는 상기 연결부(2211)의 상면으로부터 함입되어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안착면(2211a)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홀딩부(2212)는 상기 안착면(2211a)에 연결 혹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딩부(2212)는 상기 연결부(2211)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고정부(2220) 및 상기 제2 고정부(2230)와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홀딩부(2212)는 상기 연결부(2211)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고정부(2220) 및 상기 제2 고정부(2230)는 상기 연결부(2211)의 하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홀딩부(2212)의 내면은 상기 보강부(210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공간(S2212)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연결부(2211)는 상기 연결부(2211)의 상면으로부터 함입되어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안착면(2211a)을 구비하고, 상기 홀딩부(2212)는 상기 안착면(2211a)에 배치되어 상기 안착공간(S2212)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홀딩부(2212)는 상기 안착면(2211a)과 접촉되며 소정의 높이를 이루는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공간(S2212)은 상기 보강부(2100)의 형상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안착공간(S2212)에 상기 보강부(2100)가 배치되어, 상기 보강부(2100)는 상기 구조체(1)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211)의 안착공간(S2212)에 상기 보강부(2100)가 안착되는 경우, 상기 보강부(2100)는 상기 연결부(2211)를 기준으로 좌, 우, 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보강부(2100, 도 3(b) 및 도 3(b) 참조))가 상기 안착공간(S2212)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2210)가 상기 제1 고정부(2220)에 의해 상기 구조체(1, 도 3(b) 및 도 3(b) 참조)에 가 고정될 수 있다.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보강 부재에 열이 작용되면, 상기 홀딩부(2212)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어 상기 본체부(2210)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210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제2 고정부(2230)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어 상기 본체부(2210)는 상기 구조체(1)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본체부(2210)는 상기 제1 고정부(2220)에 의해 상기 하부구조체(1a)에 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고정부(2230)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어 상기 본체부(2210)는 상기 하부구조체(1b)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은 열에 의해 동시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구비하는 제한부 및 상기 제한부와 보강부 및 구조체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구비하는 제한부의 사시시도 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구조체에 고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4(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구조체에 고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범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한부(3200)는 상기 제한부(3200)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310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본체부(3210), 상기 본체부(3210)를 상기 구조체(1)게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323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3210)는 상기 본체부(3210)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310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홀딩부(3212) 및 상기 홀딩부(3212) 및 상기 제2 고정부(3230)와 연결되는 연결부(32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211) 및 상기 홀딩부(3212)는 상기 보강부(310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S321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홀딩부(3212)는 상기 연결부(3211)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딩부(3212)는 상기 삽입공간(S3210)에 상기 보강부(3100)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보강부(3100)가 위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보강부(3100)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홀딩부(3212)와 상기 연결부(3211)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2 고정부(3230)는 연결부(3211)를 포위하며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3230)는 상기 연결부(3211)의 외면에 접촉되어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보강부(3100, 도 4(b) 및 도 4(c) 참조)가 상기 삽입공간(S3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고정부(3230)는 상기 구조체(1, 도 3(b) 및 도 3(b) 참조))에 안착될 수 있다. 도 3(b) 및 도 3(b) 참조하면, 상기 보강 부재에 열이 작용되면, 상기 제2 고정부(3230)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어 상기 본체부(3210)는 상기 구조체(1)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고정부(3230)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어 상기 본체부(3210)는 상기 하부구조체(1b)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구비하는 제한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제한부와 보강부 및 구조체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구비하는 제한부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구비하는 제한부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구조체에 가 고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구조체에 고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범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보강 부재는 상기 보강부(4100, 도 6 참조) 내부에서 소정의 유체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조절부(4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한부(4200)는 상기 제한부(4200)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410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본체부(4210), 상기 본체부(4210)를 상기 구조체(1)에 가 고정시키는 제1 고정부(4220) 및 상기 본체부(4210)를 상기 구조체(1)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423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4210)는 상기 제2 고정부(4230), 상기 제1 고정부(4220) 및 상기 조절부(4300)와 연결되는 연결부(421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4220)는 상기 연결부(4211)와 연결되는 제1-1 고정부(4221) 및 상기 제1-1 고정부(4221)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4211)를 상기 구조체(1)에 가 고정시키는 제1-2 고정부(422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고정부(4230)는 상기 연결부(4211)의 하 면과 연결되는 제2-1 고정부(4231) 및 상기 연결부(4211)의 측면 및 상면을 포위하도록 상기 연결부(4211)와 연결되는 제2-2 고정부(42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211)는 상기 연결부(4211)의 내부의 면으로 형성되는 배치면(4211c), 관통면(4211b), 삽입면(4211a) 및 이격부(4211d)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치면(4211c)에는 상기 조절부(43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4300)는 상기 배치면(4211c)과 연결되며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치면(4211c)은 상기 조절부(4300)가 배치되는 배치공간(S4211c)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배치공간(S4211c)은 상기 배치면(4211c)을 따라 원형 띠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조절부(4300)의 내면은 유체가 유동되는 유동공간(S430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격부(4211d)의 내면인 상기 관통면(4211b)에 의해 제공되는 연결공간(S4211b)은 상기 보강부(4100)의 내부공간인 보강공간(S4100)과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삽입면(4211a) 및 상기 이격부(4211d)의 외면은 상기 보강부(4100)가 삽입되는 삽입공간(S4211a)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결공간(S4211b)과 상기 삽입공간(S4211a)은 상기 이격부(4211d)에 의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유동공간(S4300)은 상기 연결공간(S4211b)과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연결공간(S4211b)은 상기 보강부(4100)의 내부 공간인 보강공간(S4100)과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동공간(S4300)은 상기 연결공간(S4211b)에 의해 상기 보강공간(S4100)과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체는 상기 유동공간(S4300) 및 상기 연결공간(S4211b)을 통해 상기 보강공간(S4100)으로 유동될 수 있고, 반대로 상기 보강공간(S4100), 상기 연결공간(S4211b) 및 상기 유동공간(S4300)을 통해 유체가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연결공간(S4211b)은 상기 이격부(4211d)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배치공간(S4211c)은 상기 삽입공간(S4211a)과 공간적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배치공간(S4211c)은 상기 삽입공간(S4211a)과 상기 연결부(4211)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게 상기 연결부(421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조절부(4300)는 제1 상태일 경우 상기 보강부(4100) 내부로 상기 유체가 유동되도록 하고 제2 상태일 경우 상기 보강부(4100) 내부에서 상기 유체가 유동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상태는 상기 조절부(4300)가 상기 배치공간(S4211c)에 배치되며 상기 조절부(4300)의 내면은 상기 유동공간(S4300)을 제공하는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제2 상태는 상기 조절부(4300)가 상기 제1 상태일 경우에 정의되는 상기 배치공간(S4211c) 및 상기 유동공간(S4300)에 배치되어, 상기 조절부(4300)의 내면은 상기 유동공간(S4300)을 제공하지 못하는 상태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조절부(4300)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4211)의 외부와 상기 보강공간(S4100)은 서로 공간적으로 분리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절부(4300)는 열에 의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조절부(4300)는 발포 충진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보강부(4100)는 상기 삽입부에 억지 끼움 되어, 상기 연결부(4211)에 고정되어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4210)는 상기 제1 고정부(4220)에 의해 상기 구조체(1)에 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4210)는 상기 제2 고정부(4230)에 의해 상기 구조체(1)에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은 열에 의해 동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보강부(4100)가 상기 삽입공간(S4211a)에 삽입되고, 상기 본체부(4210)가 상기 제1 고정부(4220)에 의해 상기 구조체(1)에 가 고정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보강 부재에 열이 작용되면, 상기 조절부(4300)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어 소정의 유체가 상기 보강공간(S4100)으로 유동되거나 상기 보강공간(S4100)에서 상기 연결부(4211) 외부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2 고정부(4230)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어 상기 본체부(4210)는 상기 구조체(1)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고정부(4230)에 열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제2-1 고정부(4231) 및 상기 제2-2 고정부(4232)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어, 상기 제2-1 고정부(4231)에 의해 상기 본체부(4210)는 상기 하부구조체(1b)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2 고정부(4232)에 의해 상기 본체부(4210)는 상기 상부구조체(1a)에 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구비하는 제한부의 사시도이고, 도 8 은 도 7의 제한부와 보강부 및 구조체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구비하는 제한부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구비하는 제한부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8(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구조체에 가 고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구조체에 고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범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보강부(5100)재는 상기 보강부(5100) 내부에서 소정의 유체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조절부(5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한부(5200)는 상기 제한부(5200)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510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본체부(5210), 상기 본체부(5210)를 상기 구조체(1)에 가 고정시키는 제1 고정부(5220) 및 상기 본체부(5210)를 상기 구조체(1)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523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5210)는 상기 본체부(5210)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510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홀딩부(5212) 및 상기 홀딩부(5212), 상기 제2 고정부(5230), 상기 제1 고정부(5220) 및 상기 조절부(5300)와 연결되는 연결부(521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5220)는 상기 연결부(5211)와 연결되는 제1-1 고정부(5221) 및 상기 제1-1 고정부(5221)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5211)를 상기 구조체(1)에 가 고정시키는 제1-2 고정부(522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고정부(5230)는 상기 연결부(5211)의 하 면과 연결되는 제2-1 고정부(5231) 및 상기 연결부(5211)의 측면 및 상면을 포위하도록 상기 연결부(5211)와 연결되는 제2-2 고정부(52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211)는 상기 연결부(5211)의 내부의 면으로 형성되는 배치면(5211c), 관통면(5211b) 및 삽입면(5211a)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치면(5211c)에는 상기 조절부(53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5300)는 상기 배치면(5211c)과 연결되며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치면(5211c)은 상기 조절부(5300)가 배치되는 배치공간(S5211c)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5300)의 내면은 유동공간(S530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관통면(5211b)은 상기 유동공간(S5300)과 보강부(5100)의 내부 공간인 보강공간(S5100)과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연결공간(S5211b)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홀딩부(5212)는 상기 삽입면(5211a)에 연결되어, 상기 보강부(5100)가 삽입되는 삽입공간(S5212)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홀딩부(5212)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삽입공간(S5212)에 상기 보강부(510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홀딩부(5212)는 상기 삽입면(5211a)에 연결되어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동공간(S5300)은 상기 보강공간(S5100)과 상기 연결공간(S5211b)에 의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5300)는 상기 홀딩부(5212)와 상기 연결부(5211)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게 상기 연결부(52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보강부(5100)가 상기 삽입공간(S5212)에 삽입되고, 상기 본체부(5210)가 상기 제1 고정부(5220)에 의해 상기 구조체(1)에 가 고정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보강 부재에 열이 작용되면, 상기 조절부(5300)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어 소정의 유체가 상기 보강공간(S5100)으로 유동되거나 상기 보강공간(S5100)에서 상기 연결부(5211) 외부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홀딩부(5212)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어 상기 본체부(5210)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510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제2 고정부(5230)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어 상기 본체부(5210)는 상기 구조체(1)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고정부(5230)에 열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제2-1 고정부(5231) 및 상기 제2-2 고정부(5232)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어, 상기 제2-1 고정부(5231)에 의해 상기 본체부(5210)는 상기 하부구조체(1b)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2 고정부(4232)에 의해 상기 본체부(5210)는 상기 상부구조체(1a)에 고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구비하는 제한부 및 상기 제한부와 보강부 및 구조체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9(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구비하는 제한부의 사시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구조체에 고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c)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구조체에 고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범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한부(6200)는 상기 제한부(6200)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610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본체부(6210), 상기 본체부(6210)를 상기 구조체(1, 도 1참조)에 가 고정하는 제1 고정부(6220) 및 상기 본체부(6210)를 상기 구조체(1)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623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6210)는 상기 본체부(6210)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610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홀딩부(6212) 및 상기 홀딩부(6212), 상기 제2 고정부(6230) 및 상기 제1 고정부(6220)와 연결되는 연결부(621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6220)는 상기 연결부(6211)와 연결되는 제1-1 고정부(6221) 및 상기 제1-1 고정부(6221)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6211)를 상기 구조체(1)에 가 고정시키는 제1-2 고정부(622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고정부(6230)는 상기 연결부(6211)의 상면과 연결되는 제2-1 고정부(6231) 및 상기 연결부(6211)의 측면 및 하 면을 포위하도록 상기 연결부(6211)와 연결되는 제2-2 고정부(62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6211)는 상기 연결부(6211)의 상면으로부터 함입되어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안착면(6211a)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홀딩부(6212)는 상기 안착면(6211a)에 연결 혹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딩부(6212)는 상기 연결부(6211)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고정부(6220) 및 상기 제2 고정부(6230)와 같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고정부(6220) 및 상기 제2 고정부(6230)는 상기 연결부(621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고정부(6230)는 상기 홀딩부(621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홀딩부(6212)의 내면을 상기 보강부(610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공간(S6212)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연결부(6211)는 상기 연결부(6211)의 상면으로부터 함입되어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안착면(6211a)을 구비하고, 상기 홀딩부(6212)는 상기 안착면(6211a)에 배치되어 상기 안착공간(S6212)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6230)는 상기 연결부(6211)의 상면에 접촉되며 소정의 높이를 이루는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보강부(6100)가 상기 안착공간(S6212)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6210)가 상기 제1 고정부(6220)에 의해 상기 구조체(1)에 가 고정될 수 있다. 도 9(b) 및 도 9(c)를 참조하면, 상기 보강 부재에 열이 작용되면, 상기 홀딩부(6212)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어 상기 본체부(6210)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610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제2 고정부(6230)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어 상기 본체부(6210)는 상기 구조체(1)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본체부(6210)는 상기 제1 고정부(6220)에 의해 상기 상부구조체(1a)에 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고정부(6230)에 열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제2-1 고정부(6231) 및 상기 제2-2 고정부(6232)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어, 상기 제2-1 고정부(6231)에 의해 상기 본체부(6210)는 상기 상부구조체(1a)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2 고정부(6232)에 의해 상기 본체부(6210)는 상기 하부구조체(1b)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구비하는 제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범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한부(7200)는 제한부(7200)를 기준으로 보강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본체부(7210), 상기 본체부(7210)를 상기 구조체에 가 고정시키는 제1 고정부(7220) 및 상기 본체부(7210)를 상기 구조체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723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7210)는 상기 본체부(7210)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홀딩부(7212) 및 상기 홀딩부(7212), 상기 제2 고정부(7230) 및 상기 제1 고정부(7220)와 연결되는 연결부(721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고정부(7230)는 상기 연결부(7211)의 하 면과 연결되는 제2-1 고정부(7231) 및 상기 연결부(7211)의 측면 및 상면을 포위하도록 상기 연결부(7211)와 연결되는 제2-2 고정부(72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7211)는 상기 연결부(7211)의 일면에서부터 타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삽입면(721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7211)는 상기 삽입면(7211a)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압부(7211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7211b)는 상기 삽입면(7211a) 상에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홀딩부(7212)는 상기 가압부(721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7211b) 및 상기 홀딩부(7212)는 상기 보강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S7212)을 제공할 수 있다.
보강부는 상기 삽입공간(S7212)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가압부(7211b)에 의해 가 고정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홀딩부(7212)에 열이 작용되면, 상기 홀딩부(7212)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어 상기 보강부는 상기 연결부(7211)에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보강 부재는 운송 기기에 배치되어 운송 기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보강 부재는 차량의 사이드 레일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 구조체 110 : 보강부
120 : 제한부 1210 : 본체부
1220 : 제1 고정부 1230 : 제2 고정부

Claims (12)

  1. 외력을 전달받는 구조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 부재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부; 및
    상기 보강부가 상기 구조체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보강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구조체에 위치 고정되는 제한부;를 포함하는 보강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제한부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를 상기 구조체에 가 고정시키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본체부를 상기 구조체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고정부에 의해 상기 구조체에 가 고정된 후, 상기 제2 고정부에 의해 상기 구조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제1 상태일 경우 상기 본체부를 상기 구조체에 고정시키지 못하고,
    제2 상태일 경우 상기 본체부를 상기 구조체에 고정시키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고정부에 의해 상기 구조체에 가 고정된 후, 상기 제2 고정부의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의 상태변화로 인해 상기 구조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열에 의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부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2 상태일 경우,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구조체를 고정시켜, 상기 본체부를 상기 구조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제한부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상기 구조체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홀딩부 및 상기 홀딩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제1 상태일 경우 상기 연결부를 상기 구조체에 고정시키지 못하며,
    제2 상태일 경우 상기 연결부를 상기 구조체에 고정시키며,
    상기 홀딩부는,
    제1 상태일 경우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지 못하며,
    제2 상태일 경우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 및 상기 홀딩부는,
    열에 의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부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 내부에서 소정의 유체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제1 상태일 경우 상기 보강부 내부로 상기 유체가 유동되도록 하고,
    제2 상태일 경우 상기 보강부 내부에서 상기 유체가 유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부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유체가 상기 보강부 내부로 유동되도록 상기 보강부의 내부 공간인 보강공간과 서로 연통되는 배치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배치공간에 배치되어, 상태 변화를 통해 상기 유체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부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제한부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상기 구조체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제1 상태일 경우 상기 본체부를 상기 구조체에 고정시키지 못하고,
    제2 상태일 경우 상기 본체부를 상기 구조체에 고정시키며,
    상기 조절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는,
    열에 의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부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홀딩부 및 상기 홀딩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홀딩부는,
    제1 상태일 경우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지 못하며,
    제2 상태일 경우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조절부, 상기 제2 고정부 및 상기 홀딩부는,
    열에 의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부재.
  12. 제1항 내지 제11항에 따른 보강 부재를 구비하는 운송 기기.

KR1020170182377A 2017-12-28 2017-12-28 보강 부재 KR102074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377A KR102074211B1 (ko) 2017-12-28 2017-12-28 보강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377A KR102074211B1 (ko) 2017-12-28 2017-12-28 보강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131A true KR20190080131A (ko) 2019-07-08
KR102074211B1 KR102074211B1 (ko) 2020-02-06

Family

ID=67256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377A KR102074211B1 (ko) 2017-12-28 2017-12-28 보강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2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1950A (ko) 2021-08-06 2023-02-14 세메스 주식회사 약액 토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769A (ko) * 2001-12-17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필라 충진용 플레이트 장착 구조
KR20050047364A (ko) * 2003-11-17 2005-05-2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사이드바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769A (ko) * 2001-12-17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필라 충진용 플레이트 장착 구조
KR20050047364A (ko) * 2003-11-17 2005-05-2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사이드바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1950A (ko) 2021-08-06 2023-02-14 세메스 주식회사 약액 토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211B1 (ko) 2020-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2391B2 (en) Adhesive joint and adhesion process
CN102089547B (zh) 缓冲夹
CA2578271C (en) Construction element for heat insulation
KR101327608B1 (ko) 차량용 시트의 시팅 구조물을 형성하는 조립방법 및 시팅 구조물
JP6516239B2 (ja) ヘッドレスト、ヘッドレストを備えるシート
KR20190080131A (ko) 보강 부재
JP2020529538A (ja) 耐震周囲取り付けクリップ
US11180197B2 (en) Vehicle body lower structure
KR20100106431A (ko) 결합 장치
KR20200141699A (ko) 보강 부재
KR101326837B1 (ko) 차량용 프레임 실링 유닛
CN114165014A (zh) 耐震型石材固定装置
CN105473423A (zh) 车辆的翼子板支承构造
KR101852563B1 (ko) 어스 앵커 브라켓
KR20170073687A (ko) 시트 금속 루프 및 유리 루프를 포함하는 적어도 2 개 유형들의 차량 세트
CN104627104A (zh) 多用途车辆
RU2015137712A (ru) Анкер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рельса
JP2010025260A (ja) ダンパー装置および構造物
JP2015017413A (ja) 制振構造
JP2018122724A (ja) 自動車のリアシートベルトアンカ固定構造
KR101886094B1 (ko) 차량의 시트 장착 보강멤버
JP6511311B2 (ja) 防振装置および防振ユニット
CN109689985A (zh) 用于沟形排水槽的覆盖装置
CN106029422B (zh) 树脂燃料箱
CN107864741A (zh) 一种前立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