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563B1 - 어스 앵커 브라켓 - Google Patents

어스 앵커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563B1
KR101852563B1 KR1020160060131A KR20160060131A KR101852563B1 KR 101852563 B1 KR101852563 B1 KR 101852563B1 KR 1020160060131 A KR1020160060131 A KR 1020160060131A KR 20160060131 A KR20160060131 A KR 20160060131A KR 101852563 B1 KR101852563 B1 KR 101852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de plate
prevention plate
hole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9442A (ko
Inventor
이강현
이강희
Original Assignee
이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희 filed Critical 이강희
Priority to KR1020160060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563B1/ko
Publication of KR20170129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스 앵커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앵커체의 설치각도에 따라 각도조절구가 보다 용이하게 상하각도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각도조절구가 일측판부 및 타측판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탈된 상기 각도조절구에 의해 작업자가 부상을 당할 우려가 없고, 나아가 구조가 간단함과 더불어 무게가 가벼워 운반 및 설치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제조단가가 크게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어스 앵커 브라켓{Earth Anchor Bracket}
본 발명은 앵커체의 설치각도에 따라 각도조절구가 보다 용이하게 상하각도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각도조절구가 일측판부 및 타측판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탈된 상기 각도조절구에 의해 작업자가 부상을 당할 우려가 없고, 나아가 구조가 간단함과 더불어 무게가 가벼워 운반 및 설치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제조단가가 크게 절감될 수 있는 어스 앵커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건축 현장의 터파기 공사나 기초공사에서 급경사의 굴착공을 형성할 때 토류벽이 굴착공쪽으로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어스 앵커 공법이 많이 이용되며, 최근에는 어스 앵커 브라켓의 측판에 톱니를 가지는 곡선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앵커체의 삽입을 위한 천공부의 위치가 정위치를 다소 벗어나더라도 앵커체의 인장력을 지탱하는 지압수단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는 톱니가 형성된 곡선부를 가지는 어스 앵커 브라켓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60213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60213호(톱니가 형성된 곡선부를 가지는 어스 앵커 브라켓)의 경우, 운반 및 설치과정 중에 측판으로부터 지압플레이트가 분리되어 낙하하는 지압플레이트에 의해 작업자가 부상을 당할 우려가 다분할 뿐만 아니라 어스 앵커 브라켓의 내압성능 향상을 위해 측판 사이에 설치되는 실린더부재로 인해 구조가 복잡함과 더불어 무게가 무거워져 운반 및 설치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6021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앵커체의 설치각도에 따라 각도조절구가 보다 용이하게 상하각도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각도조절구가 일측판부 및 타측판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탈된 상기 각도조절구에 의해 작업자가 부상을 당할 우려가 없고, 나아가 구조가 간단함과 더불어 무게가 가벼워 운반 및 설치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제조단가가 크게 절감될 수 있는 어스 앵커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측에 호형상의 가이드슬릿과, 상기 가이드슬릿과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슬릿의 하부에 상기 가이드슬릿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일측판부 및 타측판부와; 상기 일측판부의 상부 및 상기 타측판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중심부에 앵커체가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앵커체의 설치각도에 따라 상기 일측판부의 상부 및 상기 타측판부의 상부에서 상기 일측판부 및 상기 타측판부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각도조절되는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일측판부와 상기 타측판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따라 이동하고 일측 하부와 타측 하부에 상기 일측판부의 삽입홈 및 상기 타측판부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상기 일측판부 및 상기 타측판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재가 형성되는 이탈방지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각도조절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각도조절구의 이탈방지플레이트는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관통구의 전후방향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에 각각 구비되는 전측이탈방지플레이트 및 후측이탈방지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각도조절구의 이탈방지플레이트는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관통구의 일측과 타측방향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하부 일측과 하부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일측이탈방지플레이트 및 타측이탈방지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관통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기 관통구와 연통되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구의 일측이탈방지플레이트의 상부와 상기 타측이탈방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상기 끼움홈에 끼움고정되는 끼움부재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구의 일측이탈방지플레이트의 상부와 타측이탈방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상기 끼움홈에 끼움고정되는 끼움부재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일측판부의 상부 및 상기 타측판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각도조절구가 앵커체의 설치각도에 따라 상기 일측판부와 상기 타측판부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로 보다 용이하게 상하각도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각도조절구의 이탈방지플레이트의 돌출부재가 일측판부 및 타측판부의 전측에 형성된 가이드슬릿과 연통되는 복수의 삽입홈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각도조절구가 상기 일측판부 및 상기 타측판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탈된 상기 각도조절구에 의해 작업자가 부상을 당할 우려가 없고, 나아가 구조가 간단함과 더불어 무게가 가벼워 운반 및 설치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제조단가가 크게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어스 앵커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각도조절구가 각도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각도조절구의 제 1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각도조절구의 제 2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각도조절구의 제 3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각도조절구의 제 4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어스 앵커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어스 앵커 브라켓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일측판부(10), 타측판부(20) 및 각도조절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일측판부(10)의 전측 상부와 상기 타측판부(20)의 전측 상부에는 상기 일측판부(10)의 상부방향 및 상기 타측판부(20)의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의 곡선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금속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일측판부(10)와 상기 타측판부(20)가 서로 평행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일측판부(10)와 상기 타측판부(20) 사이에는 상기 일측판부(10) 및 상기 타측판부(20)를 단단히 연결시키기 위한 금속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판상의 연결부재(12)가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판상의 상기 연결부재(12)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상기 일측판부(10) 및 상기 타측판부(20)는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60213호를 통해 공지된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단, 본 발명의 상기 일측판부(10)의 전측 중심부와 상기 타측판부(10)의 전측 중심부에는 가이드슬릿(110)과 복수의 삽입홈(12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릿(110)은 상기 일측판부(10)의 상부 및 상기 타측판부(10)의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의 가이드슬릿(110)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삽입홈(120)은 상기 가이드슬릿(110)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슬릿(110)의 하부에 상기 가이드슬릿(1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금속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각도조절구(30)는 이동플레이트(310)와 이탈방지플레이트(3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플레이트(310)는 상기 일측판부(10)의 상부 및 상기 타측판부(20)의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플레이트(310)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일측판부(10)의 상부 및 상기 타측판부(20)의 상부에 안착구비된다.
상기 이동플레이트(310)의 중심부에는 앵커체(미도시)가 관통하는 관통구(311)가 형성되며, 상기 앵커체(미도시) 또한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60213호를 통해 공지된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이동플레이트(310)는 상기 앵커체(미도시)의 설치각도에 따라 상기 일측판부(10)의 상부 및 상기 타측판부(20)의 상부에서 작업자에 의해 상기 일측판부(10) 및 상기 타측판부(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하각도조절된다.
상기 이탈방지플레이트(320)는 상기 이동플레이트(31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상하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플레이트(320)가 상기 일측판부(10)와 상기 타측판부(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이탈방지플레이트(32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폭은 상기 일측판부(10)와 상기 타측판부(10) 사이의 좌우폭보다 작을 수 있다.
도 3은 각도조절구가 각도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이탈방지플레이트(320)는 상기 이동플레이트(310)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상기 이탈방지플레이트(320)의 일측 하부와 타측 하부에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판부(10)의 삽입홈(120) 및 상기 타측판부(20)의 삽입홈(120)에 삽입되는 돌출부재(321)가 상기 이탈방지플레이트(320)의 일측 외부방향 및 타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플레이트(320)로 인해 상기 일측판부(10) 및 상기 타측판부(20)로부터 상기 각도조절구(30)의 이동플레이트(310)가 상기 일측판부(10)와 상기 타측판부(20)의 상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 및 상기 일측판부(10)와 상기 타측판부(10)의 일측방향 및 타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각도조절구의 제 1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각도조절구(30)의 이탈방지플레이트(320)는 제 1예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측이탈방지플레이트(322)와 후측이탈방지플레이트(3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이탈방지플레이트(322)가 상기 관통구(311)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측이탈방지플레이트(322)의 상부는 상기 이탈방지플레이트(320)의 하부 전측에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측이탈방지플레이트(323)가 상기 관통구(311)의 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측이탈방지플레이트(323)의 상부는 상기 이탈방지플레이트(320)의 하부 후측에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321)는 상기 전측이탈방지플레이트(322)의 하부 일측과 하부 타측 및 상기 후측이탈방지플레이트(323)의 하부 일측과 하부 타측에 각각 일체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각도조절구의 제 2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는, 상기 각도조절구(30)의 이탈방지플레이트(320)는 제 2예로,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일측이탈방지플레이트(324)와 타측이탈방지플레이트(32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이탈방지플레이트(324)가 상기 이동플레이트(310)의 관통구(311)의 일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이탈방지플레이트(324)의 상부는 상기 이동플레이트(310)의 일측 하부 중간부에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타측이탈방지플레이트(325)가 상기 이동플레이트(310)의 관통구(311)의 타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이탈방지플레이트(325)의 상부는 상기 이동플레이트(310)의 타측 하부 중간부에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측이탈방지플레이트(324)의 하부 일측과 상기 타측이탈방지플레이트(325)의 하부 타측에 각각 상기 돌출부재(3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이탈방지플레이트(324)의 타측과 상기 타측이탈방지플레이트(325)의 일측 사이에는 상기 앵커체(미도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326)이 상기 관통구(311)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각도조절구의 제 3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리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플레이트(310)에 상기 일측이탈방지플레이트(324)의 상부와 상기 타측이탈방지플레이트(325)의 상부가 용접고정될 경우, 상기 이동플레이트(310)와 상기 일측이탈방지플레이트(324) 및 상기 이동플레이트(310)와 상기 타측이탈방지플레이트(325)가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접한 상태로 용접고정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310)에 상기 이탈방지플레이트(320)가 보다 강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 3예로,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플레이트(310)에 끼움홈(327)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이탈방지플레이트(324)의 상부 및 상기 타측이탈방지플레이트(325)의 상부에 각각 끼움부재(328)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홈(327)은 상기 관통구(311)와 연통되도록 상기 관통구(311)의 일측에서 상기 이동플레이트(310)의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홈(327)은 상기 관통구(311)와 연통되도록 상기 관통구(311)의 타측에서 상기 이동플레이트(310)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재(328)는 상기 일측이탈방지플레이트(324)의 상부 타측에서 상기 일측이탈방지플레이트(324)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관통구(311)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끼움홈(327)에 끼움고정된 상태로 용접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부재(328)는 상기 타측이탈방지플레이트(325)의 상부 일측에서 상기 타측이탈방지플레이트(325)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관통구(311)의 타측에 형성된 상기 끼움홈(327)에 끼움고정된 상태로 용접고정될 수 있다.
도 9는 각도조절구의 제 4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분리사시도이다.
또는, 제 4예로,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끼움홈(327)은 상기 이동플레이트(3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끼움홈(327)은 상기 이동플레이트(310)의 일측 중간부에서 상기 관통구(311)의 일측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홈(327)은 상기 이동플레이트(310)의 타측 중간부에서 상기 관통구(311)의 타측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부재(328)는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이탈방지플레이트(324)의 상부 일측에서 상기 일측이탈방지플레이트(324)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310)의 일측 중간부에 형성된 상기 끼움홈(327)에 끼움고정된 상태로 용접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부재(328)는 상기 타측이탈방지플레이트(325)의 상부 타측에서 상기 타측이탈방지플레이트(325)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310)의 타측 중간부에 형성된 상기 끼움홈(327)에 끼움고정된 상태로 용접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일측판부(10)의 상부 및 상기 타측판부(2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각도조절구(30)가 앵커체(미도시)의 설치각도에 따라 상기 일측판부(10)와 상기 타측판부(2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로 보다 용이하게 상하각도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각도조절구(30)의 이탈방지플레이트(320)의 돌출부재(321)가 상기 일측판부(10) 및 타측판부(20)의 전측에 형성된 가이드슬릿(110)과 연통되는 복수의 삽입홈(12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삽입홈(120)에 각각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각도조절구(30)가 상기 일측판부(10) 및 상기 타측판부(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탈된 상기 각도조절구(30)에 의해 작업자가 부상을 당할 우려가 없고, 나아가 구조가 간단함과 더불어 무게가 가벼워 운반 및 설치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제조단가가 크게 절감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일측판부, 20; 타측판부,
30; 각도조절구.

Claims (5)

  1. 전측에 호형상의 가이드슬릿과, 상기 가이드슬릿과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슬릿의 하부에 상기 가이드슬릿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일측판부 및 타측판부와;
    상기 일측판부의 상부 및 상기 타측판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중심부에 앵커체가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앵커체의 설치각도에 따라 상기 일측판부의 상부 및 상기 타측판부의 상부에서 상기 일측판부 및 상기 타측판부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각도조절되는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일측판부와 상기 타측판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따라 이동하고 일측 하부와 타측 하부에 상기 일측판부의 삽입홈 및 상기 타측판부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상기 일측판부 및 상기 타측판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재가 형성되는 이탈방지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각도조절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각도조절구의 이탈방지플레이트는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관통구의 일측과 타측방향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하부 일측과 하부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일측이탈방지플레이트 및 타측이탈방지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관통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기 관통구와 연통되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구의 일측이탈방지플레이트의 상부와 상기 타측이탈방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상기 끼움홈에 끼움고정되는 끼움부재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구의 일측이탈방지플레이트의 상부와 타측이탈방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상기 끼움홈에 끼움고정되는 끼움부재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 앵커 브라켓.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60131A 2016-05-17 2016-05-17 어스 앵커 브라켓 KR101852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131A KR101852563B1 (ko) 2016-05-17 2016-05-17 어스 앵커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131A KR101852563B1 (ko) 2016-05-17 2016-05-17 어스 앵커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442A KR20170129442A (ko) 2017-11-27
KR101852563B1 true KR101852563B1 (ko) 2018-04-26

Family

ID=60810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131A KR101852563B1 (ko) 2016-05-17 2016-05-17 어스 앵커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5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42181A (zh) * 2019-12-12 2020-04-21 南京辉强新能源科技有限公司 山区风力发电设备基础施工方法及施工配套工具
KR102280432B1 (ko) * 2020-12-17 2021-07-22 (주)공명 처짐 방지용 가변형 강재 거더 구조
KR102559470B1 (ko) * 2021-09-08 2023-07-27 금오금속공업 주식회사 어스앵커 공법에 관한 각도 자동 조절형 앵커브라켓의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213B1 (ko) * 2006-12-28 2007-09-20 (주) 신기술산업 톱니가 형성된 곡선부를 가지는 어스 앵커 브라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213B1 (ko) * 2006-12-28 2007-09-20 (주) 신기술산업 톱니가 형성된 곡선부를 가지는 어스 앵커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442A (ko) 2017-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2563B1 (ko) 어스 앵커 브라켓
US9630584B2 (en) Mounting structure of air bag device on vehicle body
BRPI0610755B1 (pt) conexão tê principal aperfeiçoada
US20070006533A1 (en) Vehicle window lift plate
JP2010143319A (ja) バンパ取付装置
JP2009029593A (ja) エレベータかご
US20190316351A1 (en) Ceiling structure with increased workability and space utiliz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20090297263A1 (en) Betonleitwand-element
EP3208142B1 (en) Child seat support device
EP3320162A1 (en) Assembly for adjustable attachment of pole, beam or similar to a fundament
KR101707609B1 (ko)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일체형 맨홀 철개 조립품
KR102230607B1 (ko) 내진형 석재 고정장치
US11447042B2 (en) Stop for a rail of a longitudinally adjustable seat
JP2016531224A (ja) コンクリート型枠用の支持装置
KR20100003940A (ko) 잭 업 기구 고정장치
KR101597137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어스 앵커용 브라켓
US20160159398A1 (en) Fender panel support structure for vehicle
US10619361B2 (en) Transition profile between flooring elements
KR101800117B1 (ko) 슬래브 폼의 드롭헤드 어셈블리
FR3081444B1 (fr) Dispositif de verrouillage pour aeronef
JP3153046U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フォーク固定装置
JP2014128072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クランプ
KR20220086929A (ko) 석재 고정용 브라켓
JP4201277B2 (ja) 機器の転倒防止装置
KR101334792B1 (ko) 높낮이 조절형 맨홀뚜껑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