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8830A -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78830A KR20190078830A KR1020170180543A KR20170180543A KR20190078830A KR 20190078830 A KR20190078830 A KR 20190078830A KR 1020170180543 A KR1020170180543 A KR 1020170180543A KR 20170180543 A KR20170180543 A KR 20170180543A KR 20190078830 A KR20190078830 A KR 201900788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dcp
- mortar
- concrete
- end conn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5/00—Rails; Guard rails; Distance-keeping means for them
- E01B5/18—Guard rails; Connecting, fastening or adjusting mean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00—Ballastway; Other means for supporting the sleepers or the track; Drainage of the ballastway
- E01B1/002—Ballastless track, e.g. concrete slab trackway, or with asphalt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철도차량용 궤도이탈방지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탈선열차의 진로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일탈방호시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일탈방호시설의 일탈방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일탈방호시설에서 콘크리트궤도 슬래브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일탈방호시설에서 DCP 패널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일탈방호시설에서 DCP 패널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일탈방호시설에서 DCP 패널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일탈방호시설에서 DCP 패널의 전단연결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일탈방호시설에서 DCP 패널이 콘크리트궤도 슬래브 상에 설치된 것을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일탈방호시설에서 앵커볼트를 예시하는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일탈방호시설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110: 콘크리트궤도 슬래브(TCL)
111: TCL 본체
112: 하부철근
113: 중심부철근
114: 상부철근
120, 120a, 120b: DCP 패널
121: 패널 본체
122: 앵커홀
123: 충진홀
124: 연결강재 설치홈
125: 전단연결 돌출부
126: 전단연결 오목부
127: 매립철근
128: 매립강관
130: 모르타르 충진층
140: 앵커볼트
150: 관통타이
160: 연결강재
170: 너트
180: 탄성모르타르
210: 침목
220: 레일체결장치
230: 레일
240: 열차 차륜
Claims (15)
- 철도의 궤간내에 설치되는 일탈방호시설에 있어서,
침목(210), 레일체결장치(220) 및 레일(230)의 설치를 위해 노반 상에 부설되는 콘크리트궤도 슬래브(TCL: 110);
상기 콘크리트궤도 슬래브(110) 중앙 상면에 배치되는 궤간내 일탈방호시설로서, 앵커볼(122), 충진홀(123), 연결강재 설치홈(124), 전단연결 돌출부(125), 전단연결 오목부(126) 및 매립강관(128)이 프리캐스트(Precast) 형성되어 종방향으로 전단연결되는 일탈방호시설(DCP) 패널(120);
상기 콘크리트궤도 슬래브(110) 상에 상기 DCP 패널(120)을 고정하도록 상기 DCP 패널(120) 상면에 형성된 앵커홀(122)을 통해 상기 콘크리트궤도 슬래브(110)까지 관통하여 체결하는 앵커볼트(140);
상기 콘크리트궤도 슬래브(110) 및 상기 DCP 패널(120)을 일체화시키도록 상기 DCP 패널(120) 상면에 형성된 충진홀(123)을 통해 상기 DCP 패널(120) 및 상기 콘크리트궤도 슬래브(110) 사이에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형성되는 모르타르 충진층(130);
상기 DCP 패널(120)의 양단 측면에 각각 매립된 매립강관(128)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강재 설치홈(126)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삽입되는 관통타이(150); 및
상기 연결강재 설치홈(126)으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관통타이(150)에 삽입되며, 상기 일탈방호시설 패널(120)들을 종방향으로 전단연결하는 연결강재(160)를 포함하되,
상기 DCP 패널(120)은 상기 콘크리트궤도 슬래브(110) 상에 일체화되어 열차가 철도로부터 탈선한 이후 탈선열차가 과도하게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CP 패널(120)은,
패널 본체(121);
상기 앵커볼트(14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패널 본체(121)의 상면 모서리에 각각 상기 패널 본체(121)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앵커홀(122);
상기 모르타르 충진층(130)을 형성하는 모르타르를 주입하도록 상기 패널 본체(121)의 상면 중앙에 상기 패널 본체(121)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충진홀(123);
상기 연결강재(16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패널 본체(121)의 양 측면에 형성된 연결강재 설치홈(124);
상기 DCP 패널(120)의 전단연결을 위해 상기 패널 본체(121)의 일측에 형성되는 전단연결 돌출부(125);
상기 전단연결 돌출부(125)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상기 DCP 패널(120)의 전단연결을 위해 상기 패널 본체(121)의 타측에 형성되는 전단연결 오목부(126);
상기 패널 본체(121) 내에 매립되는 매립철근(127); 및
상기 관통타이(150)가 관통될 수 있는 강관 형태로 상기 패널 본체(121)의 양단에 각각 매립된 매립강관(128)을 포함하는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CP 패널(120)의 높이는 125㎜로 설정되고 상기 모르타르 충진층(130)의 높이는 15㎜㎜로 설정되어 일탈방호시설의 유효깊이가 140㎜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140)는 상기 140㎜의 일탈방호시설 유효깊이를 관통하여 상기 콘크리트궤도 슬래브의 중심부 철근(112) 상단까지 체결될 수 있도록 250~280㎜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르타르 충진층(130)은 상기 콘크리트궤도 슬래브(110) 및 상기 DCP 패널(120) 사이에 주입되는 고유동성 모르타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르타르 충진층(130) 및 상기 앵커볼트(140)를 사용하여 상기 DCP 패널(120)의 높이 및 평탄성을 조절하면서 상기 콘크리트궤도 슬래브(110) 상에 상기 DCP 패널(120)을 일체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CP 패널(120a, 120b)들 사이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전단연결부의 이음매를 마감하도록 상기 DCP 패널들(120a, 120b) 사이에 타설되는 탄성모르타르(180)를 추가로 포함하는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CP 패널(120a, 120b)들 사이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전단연결부는 세미힌지 형태로 상기 DCP 패널(120)들을 전단연결하며, 상기 탄성모르타르(180)를 이용하여 차륜(240)의 일탈 시 회전을 상쇄시키면서 상기 콘크리트궤도 슬래브(110)의 상대변위를 구속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강재(160)가 상기 연결강재 설치홈(126)으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관통타이(150)에 삽입된 상태에서 노출된 상기 관통타이(150)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되는 너트(17)를 추가로 포함하는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 철도의 궤간내에 설치되는 일탈방호시설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a) 침목(210), 레일체결장치(220) 및 레일(230)이 설치되는 콘크리트궤도 슬래브(TCL: 110)를 부설하는 단계;
b) 상기 콘크리트궤도 슬래브(100) 중앙부에 레일 길이방향인 종방향으로 전단연결이 가능하도록 일탈방호시설(DCP) 패널(120)들을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콘크리트궤도 슬래브(110) 상에 상기 DCP 패널(120)이 고정되도록 상기 DCP 패널(120)에 형성된 앵커홀(122)을 통해 앵커볼트(140)를 체결하는 단계;
d) 상기 DCP 패널(120)에 형성된 충진홀(123)을 통해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모르타르 충진층(130)을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DCP 패널(120)의 높이 및 평탄성을 조절하면서 상기 DCP 패널(120)과 상기 콘크리트궤도 슬래브(110)를 일체화시키는 단계;
f) 상기 DCP 패널(120)들의 양측단 전단 연결을 위해 연결강재 설치홈(124)으로부터 노출된 관통타이(150)에 연결강재(160)를 각각 삽입하는 단계; 및
g) 상기 연결강재 설치홈(124)에서 노출된 연결강재(160)에 너트(170)를 체결하여 상기 DCP 패널(120)들을 전단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DCP 패널(120)은 프리캐스트(Precast) 제작되고, 상기 콘크리트궤도 슬래브(110) 상에 일체화되어 열차가 철도로부터 탈선한 이후 탈선열차가 과도하게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일탈방호시설의 시공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h) 탄성모르타르(180)를 사용하여 전단연결부 이음매를 마감하여 철도방호시설(100)의 시공을 완료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철도용 일탈방호시설의 시공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DCP 패널(120)은,
패널 본체(121);
상기 앵커볼트(14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패널 본체(121)의 상면 모서리에 각각 상기 패널 본체(121)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앵커홀(122);
상기 모르타르 충진층(130)을 형성하는 모르타르를 주입하도록 상기 패널 본체(121)의 상면 중앙에 상기 패널 본체(121)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충진홀(123);
상기 연결강재(16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패널 본체(121)의 양 측면에 형성된 연결강재 설치홈(124);
상기 DCP 패널(120)의 전단연결을 위해 상기 패널 본체(121)의 일측에 형성되는 전단연결 돌출부(125);
상기 전단연결 돌출부(125)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상기 DCP 패널(120)의 전단연결을 위해 상기 패널 본체(121)의 타측에 형성되는 전단연결 오목부(126);
상기 패널 본체(121) 내에 매립되는 매립철근(127); 및
상기 관통타이(150)가 관통될 수 있는 강관 형태로 상기 패널 본체(121)의 양단에 각각 매립된 매립강관(128)을 포함하는 철도용 일탈방호시설의 시공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DCP 패널(120)의 높이는 125㎜로 설정되고 상기 모르타르 충진층(130)의 높이는 15㎜㎜로 설정되어 일탈방호시설의 유효깊이가 140㎜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일탈방호시설의 시공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140)는 상기 140㎜의 일탈방호시설 유효깊이를 관통하여 상기 콘크리트궤도 슬래브의 중심부 철근(112) 상단까지 체결될 수 있도록 250~280㎜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일탈방호시설의 시공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DCP 패널(120a, 120b)들 사이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전단연결부는 세미힌지 형태로 상기 DCP 패널(120)들을 전단연결하며, 상기 탄성모르타르(180)를 이용하여 차륜(240)의 일탈 시 회전을 상쇄시키면서 상기 콘크리트궤도 슬래브(110)의 상대변위를 구속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일탈방호시설의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0543A KR20190078830A (ko) | 2017-12-27 | 2017-12-27 |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0543A KR20190078830A (ko) | 2017-12-27 | 2017-12-27 |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8830A true KR20190078830A (ko) | 2019-07-05 |
Family
ID=67225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80543A Ceased KR20190078830A (ko) | 2017-12-27 | 2017-12-27 |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78830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11045A (zh) * | 2020-10-19 | 2021-01-12 | 中建八局广西建设有限公司 | 跨座式单轨交通基座板预埋结构及施工方法 |
KR102380590B1 (ko) | 2021-09-14 | 2022-03-30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
KR102380587B1 (ko) | 2021-09-14 | 2022-03-30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
CN114508004A (zh) * | 2022-03-22 | 2022-05-17 |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 一种便于无砟轨道升降变形治理的结构以及方法 |
KR20240061983A (ko) | 2022-11-01 | 2024-05-08 |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 철도용 침범 방호시설의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6786B1 (ko) | 2005-05-31 | 2007-04-11 |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 프리케스트 슬래브 궤도 시스템 및 시공방법 |
KR101001095B1 (ko) | 2010-07-22 | 2010-12-14 | 고광남 | 철도차량 이탈방지구 |
KR20110089994A (ko) | 2010-02-02 | 2011-08-10 | (주)신성엔지니어링 | 철도차량용 궤도이탈방지장치 |
KR101401995B1 (ko) | 2013-08-29 | 2014-05-30 | (주)네비엔 | Pst패널을 이용한 열차궤도 시공방법 |
KR101417978B1 (ko) | 2013-02-21 | 2014-07-09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철도 차량용 차륜 탈선 방지 구조 |
JP5808715B2 (ja) | 2012-07-06 | 2015-11-10 | 公益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 軌道スラブ |
KR20160049137A (ko) | 2014-10-24 | 2016-05-09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탈선 열차의 진로를 제어하는 시스템 |
-
2017
- 2017-12-27 KR KR1020170180543A patent/KR20190078830A/ko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6786B1 (ko) | 2005-05-31 | 2007-04-11 |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 프리케스트 슬래브 궤도 시스템 및 시공방법 |
KR20110089994A (ko) | 2010-02-02 | 2011-08-10 | (주)신성엔지니어링 | 철도차량용 궤도이탈방지장치 |
KR101001095B1 (ko) | 2010-07-22 | 2010-12-14 | 고광남 | 철도차량 이탈방지구 |
JP5808715B2 (ja) | 2012-07-06 | 2015-11-10 | 公益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 軌道スラブ |
KR101417978B1 (ko) | 2013-02-21 | 2014-07-09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철도 차량용 차륜 탈선 방지 구조 |
KR101401995B1 (ko) | 2013-08-29 | 2014-05-30 | (주)네비엔 | Pst패널을 이용한 열차궤도 시공방법 |
KR20160049137A (ko) | 2014-10-24 | 2016-05-09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탈선 열차의 진로를 제어하는 시스템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11045A (zh) * | 2020-10-19 | 2021-01-12 | 中建八局广西建设有限公司 | 跨座式单轨交通基座板预埋结构及施工方法 |
KR102380590B1 (ko) | 2021-09-14 | 2022-03-30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
KR102380587B1 (ko) | 2021-09-14 | 2022-03-30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
CN114508004A (zh) * | 2022-03-22 | 2022-05-17 |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 一种便于无砟轨道升降变形治理的结构以及方法 |
KR20240061983A (ko) | 2022-11-01 | 2024-05-08 |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 철도용 침범 방호시설의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78830A (ko) |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 |
JP3393032B2 (ja) | 車両脱線時の転倒防止装置 | |
TWI521120B (zh) | Safety rail devices | |
US4905896A (en) | Railroad roadway for high speed rail-mounted vehicles | |
JP4618735B2 (ja) | 自動車道路の高架橋の路版側端部の老朽化した壁高欄の改良方法 | |
KR20160117923A (ko) | 철도교용 철골철근콘크리트 슬래브 궤도 및 그 시공 방법 | |
KR101399839B1 (ko) | 철도교량 단부 횡단 궤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 |
JP4914003B2 (ja) | 軌道構造 | |
JP4587660B2 (ja) | 鉄道車両用軌道 | |
JP3816011B2 (ja) | 鉄道車両車輪復線装置、及び鉄道車両車輪の復線方法 | |
CA1206938A (en) | Highway railway crossing and cap therefor | |
JP3859220B2 (ja) | 鉄道車両軌道逸脱防止装置、及び鉄道車両の軌道逸脱防止方法 | |
KR101673957B1 (ko) | 강콘크리트 합성 침목 및 이를 이용한 자갈궤도 | |
KR101639401B1 (ko) | 철도교량 단부의 전환부 궤도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 |
JP2021059942A (ja) | ラダーマクラギ | |
KR100319577B1 (ko) | 고무보판 건널목 장치 | |
KR102537981B1 (ko) | 레일매립형궤도의 보호장치 | |
KR102149001B1 (ko) |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시공장비 및 시공방법 | |
JP4937175B2 (ja) | 車両ガード装置 | |
KR102380587B1 (ko) |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 |
JP2005076392A (ja) | 鉄道車両の転倒防止構造 | |
JP3851826B2 (ja) | 鉄道車両軌道逸脱防止装置、及び鉄道車両の軌道逸脱防止方法 | |
KR102380590B1 (ko) |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 |
KR20170138704A (ko) | 결합방식의 매립형 궤도 | |
JPH0966831A (ja) | 走行車体の脱線防止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7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0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2004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3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2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0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90720 |
|
X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