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0587B1 -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587B1
KR102380587B1 KR1020210122432A KR20210122432A KR102380587B1 KR 102380587 B1 KR102380587 B1 KR 102380587B1 KR 1020210122432 A KR1020210122432 A KR 1020210122432A KR 20210122432 A KR20210122432 A KR 20210122432A KR 102380587 B1 KR102380587 B1 KR 102380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vel
bracket
sleeper
blast
dc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남형
한정진
강윤석
방춘석
신승권
김태훈
김회진
조영철
방인석
이찬영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유비이엔씨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유비이엔씨,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22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5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5/00Rails; Guard rails; Distance-keeping means for them
    • E01B5/18Guard rails; Connecting, fastening or adjust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00Ballastway; Other means for supporting the sleepers or the track; Drainage of the ballastway
    • E01B1/001Track with ball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자갈궤도에서 탈선열차의 탈선을 제어할 수 있도록 침목과 침목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브라켓을 이용하여 DCP 패널(Derailment containment provision pannel: 일탈방호시설 패널)을 고정 설치할 수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이 개시되며, 상기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은 자갈블라스트에 상부는 DCP 패널을 수용하되 자갈블라스트에 지지되며, 하부는 자갈블라스트에 하방으로 삽입되어 자갈과 자갈 사이에 물려져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 및 상기 침목에 직접 고정 시키지 않고, 브라켓 상부에 끼워져 침목 중간부위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DCP 패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DERAILMENT CONTAINMENT PROVISION(DCP) FOR RAILWAY USING FIXING BRACKET,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철도용 일탈방호시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자갈궤도에서 탈선열차의 과도한 일탈을 제어할 수 있도록 침목과 침목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브라켓을 이용하여 DCP 패널(Derailment containment provision Pannel: 일탈방호시설 패널)을 고정 설치할 수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외적으로 열차의 탈선 또는 충돌에 의한 큰 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고, 인명피해로 이어지는 열차사고는 대부분 탈선 또는 충돌에 의한 사고이며, 이러한 열차사고는 발생빈도는 낮지만, 일단 발생 되면 그 피해 정도가 상당히 크므로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비책이 필요하다.
이에 열차의 탈선 발생 이후 탈선열차를 의도된 영역 내로 구속시킬 수 있는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기술 개발은 매우 중요하게 된다.
이에 철도용 일탈방호시설(Derailment Containment Provisions: DCP)은 탈선된 열차를 의도된 영역 바깥으로 일탈(넓은 의미로 이탈에 포함되는 의미)하지 않도록 하는 방호시설물을 의미함을 알 수 있다.
도 1은 종래 궤간(양 레일 사이 공간) 내에 설치되는 철도용 일탈방호시설(30)의 예시도이다.
즉, 궤간 중앙에 일탈방호 역할을 하는 상방으로 돌출된 블록(30)을 설치함으로써, 탈선 열차의 이동 거리를 줄임에 따라 관성력이 감소하여, 블록(30)에 작용하는 열차의 차륜과의 충돌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어 이러한 블록(30)에 의한 궤간 내 일탈방호시설(30)은 효율성 및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블록(30)은 침목 중간부위 상면에 침목 제작 시 일체로 콘크리트 블록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면 블록(30)을 침목에 별도로 추가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은 있으나, 기존 침목에 상기 블록(30)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에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게 되며 기본적으로 침목이 매설되도록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궤도에 효과적으로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도 2는 종래 철도용 궤도이탈방지장치의 예시도이다.
상기 철도 차량용 궤도이탈방지장치는 차륜이 레일로부터 탈선하여 이동해도 차륜의 측면이 차륜 억제부재(50)의 측면에 접촉하면서 철도차량이 궤도 외부로 이탈하는 일이 없도록 한 것으로서,
PC침목(T) 개략 중간부위 상면에 앵커볼트와 같은 고정구를 이용하여 절연플레이트(48), 설치부재(49)에 블록(53) 및 측판(51)을 결합한 형태로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기존 침목이라도 철도용 일탈방호시설로서 블록(53)을 앵커볼트와 같은 고정구를 이용하여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와같이, 앵커볼트와 같은 고정구를 이용하게 되면, 상기 고정구를 설치하기 위한 천공작업이 필요하여 침목에 손상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도 3은 종래 철도차량 궤도 일탈방지장치의 예시도이다.
즉, 상기 철도차량 궤도 일탈방지장치는 궤간 내 콘크리트 침목 중간부위 상면에 하부유지플레이트(11)를 절연플레이트(12) 상에 설치하고, 상기 하부안착플레이트(11) 상면에 수용되는 U자형 차륜억제부재(13)를 체결볼트(16)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탈선된 열차의 차륜(열차 바퀴)이 U자형 차륜억제부재(13)에 의하여 일탈 방지되도록 하고, U자형 차륜억제부재(13)에 가해지는 횡력은 하부유지플레이트(11)를 거쳐 체결볼트(16)를 통행 콘크리트 침목과 자갈궤도에 전달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차륜억제부재(13)는 U자형 형강 부재를 이용하도록 하여, 도 1과 도 2와 달리 콘크리트 블록이 아닌 형강 부재를 이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나, 역시 체결볼트와 같은 고정구를 설치하기 위한 천공작업이 필요하여 침목에 손상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도 4는 종래 철도용 일탈방호시설(60)의 다른 예시도이다.
도 3이 종래 자갈궤도 상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침목에 철도용 일탈방호시설로서 형강 부재인 U자형 차륜억제부재(13)를 설치하는 것이라면, 도 4는 콘크리트 슬래브궤도 상에 설치되는 철도용 일탈방호시설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궤도는 양 침목(T) 사이의 상면이 평평한 슬래브 콘크리트(61)로 형성되기 때문에 모르타르 충진층(62)을 이용하여 일탈방호시설 패널(63, DCP 패널로서 수평판 형태)을 콘크리트 슬래브궤도 중간부위 상면에 높이조절 하면서, 역시 앵커볼트(64)를 이용하여 역시 고정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일탈방호시설 패널(63, DCP패널)에는 앵커볼트(64)를 관통하여 슬래브 콘크리트(61)에 선단이 고정되도록 앵커홀(65)이 형성되어 있고, 모르타르 충진층(62)을 일탈방호시설 패널(63, DCP패널)과 콘크리트 슬래브궤도 사이에 형성시키기 위하여 충진홀(66)이 형성된 것을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일탈방호시설 패널(63a, 63b, DCP패널)을 연속으로 연결 설치하기 위해 연결강재 설치홈(67), 전단연결 돌출부(68), 전단연결 오목부(69), DCP 패널(63a,63b)의 양단 측면에 각각 매립된 매립강관(71), 상기 연결강재 설치홈(67)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삽입되는 관통타이(72), 연결강재 설치홈(67)으로부터 노출되는 관통타이(72)에 삽입되며, 상기 일탈방호시설 패널(63)들을 종방향으로 전단 연결하는 체결너트(74)에 의하여 고정되는 연결강재(73)를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서, 종래 철도용 일탈방호시설(이탈방호시설로 혼용되는 경우도 있음)은 침목 중간부위 상면에 직접 상방으로 돌출된 콘크리트 블록으로 형성시키거나, 수평판 형태의 콘크리트 패널을 콘크리트 슬래브 중간부위 상면에 앵커볼트(체결볼트)와 같은 고정구를 이용하여 침목에 고정시키는 방식을 이용하거나, 형강부재인 철도용 일탈방호시설을 역시 앵커볼트(체결볼트)와 같은 고정구를 이용하여 직접 침목에 고정시키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통상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침목에 앵커볼트(체결볼트)와 같은 고정구 설치를 위해 천공홀을 형성시킬 경우 침목에 손상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3-239203호, 발명의 명칭: 철도차량 궤도 일탈 방지장치 및 철도차량의 궤도 일탈방지 방법, 공개일: 2003년 08월 27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9-0078830호, 발명의 명칭: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공개일: 2019년 07월 05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1-0089994호, 발명의 명칭: 철도차량용 궤도이탈방지장치, 공개일: 2011년08월10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1995호, 발명의 명칭: PST 패널을 이용한 열차궤도 시공방법, 공개일: 2014년05월30일)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갈궤도에 있어 철도용 일탈방호시설로 서로 이격 설치된 침목과 침목 사이 자갈밸러스트에 삽입 설치되는 브라켓을 고정 설치하고, 콘크리트 수평판 형태의 DCP 패널을 상기 브라켓에 끼워 설치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DCP 패널을 침목 중간부위 상면에 간단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어, 침목을 손상시키지 않고, 탈선 열차를 의도된 영역 내로 구속시킬 수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서 침목과 침목 사이 자갈밸러스트에 삽입 설치되어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을 보다 안정적으로 충격하중에 저항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은 하부는 자갈블라스트의 자갈과 자갈 사이에 물려져 고정 설치되고, 상부는 DCP 패널을 수용하면서 자갈블라스트에 지지되도록, 하부판과 양 측판으로 이루어진 U형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수평판 형태의 DCP 패널이 하부판과 양 측판에 의하여 감싸져 수용되도록 하되, 상기 양 측판은 침목과 침목 사이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세팅되고, 상기 하부판은 하부판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세팅되어 자갈블라스트에 지지되는 상부수용부를 포함하는 브라켓; 및 침목에 직접 고정 시키지 않고, 상기 브라켓 상부에 끼워져 침목 중간부위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DCP 패널;을 포함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시공방법은,
(a) 자갈궤도(A)는 노반에 포설된 자갈블라스트 상에 침목이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하되, 침목은 종방향으로 다수가 이격되어 설치하는 단계; (b) 자갈궤도(A)의 침목과 침목 사이의 자갈블라스트에 상부는 DCP 패널을 수용하되 자갈블라스트에 지지되며, 하부는 자갈블라스트에 하방으로 삽입되어 자갈과 자갈 사이에 물려지도록 브라켓을 고정 설치하는 단계; 및 (c) 침목에 직접 고정 시키지 않고, 브라켓 상부에 끼워져 침목 중간부위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DCP 패널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단계의 브라켓은, 하부는 자갈블라스트의 자갈과 자갈 사이에 물려져 고정 설치되고, 상부는 DCP 패널을 수용하면서 자갈블라스트에 지지되도록, 하부판과 양 측판으로 이루어진 U형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수평판 형태의 DCP 패널이 하부판과 양 측판에 의하여 감싸져 수용되도록 하되, 상기 양 측판은 침목과 침목 사이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세팅되고, 상기 하부판은 하부판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세팅되어 자갈블라스트에 지지되는 상부수용부를 포함하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널 형태로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되는 DCP 패널을 침목과 침목 사이의 자갈블라스트에 일체화시킴으로써, 열차가 철도로부터 탈선한 이후 탈선열차가 과도하게 일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자갈궤도는 주기적으로 다짐작업등과 같은 도상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작업을 시행할 때 본 발명에 의하면 철도용 일탈방호시설(DCP)를 손쉽게 분리 및 재설치 할 수 있어 유지관리에 효과적인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DCP 패널을 침목에 앵커볼트(체결볼트)와 같은 고정구를 이용하여 침목에 고정 시키는 방식을 이용하지 않고, 브라켓을 이용하여 DCP패널을 침목에 고정 설치하기 때문에 침목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브라켓을 이용하게 되면 양 단부가 연결재에 의하여 연결되는 침목에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성이 확장된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갈궤도에 브라켓을 자갈블라스트에 삽입 설치하고, 침목 저면에 걸쇠와 같은 회전고정구를 설치하고, 회전고정구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침목 저면에 보다 안정적으로 브라켓을 고정 설치할 수 있어 작업성과 시공성이 우수한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궤간 내에 설치되는 철도용 일탈방호시설의 예시도,
도 2는 종래 철도용 궤도이탈방지장치의 예시도,
도 3은 종래 철도차량 궤도 일탈방지장치의 예시도,
도 4는 종래 철도용 일탈방호시설의 다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예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브라켓의 예시도,
도 7 및 도 8은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의 설치예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시공방법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브라켓(120)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100)]
도 5는 본 발명의 브라켓(120)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100) 예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브라켓(120)의 예시도, 도 7 및 도 8은 브라켓(120)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100)의 설치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철도용 일탈방호시설(100)은 도 5를 참조하면, 자갈궤도의 침목 중간부위에서 열차의 차륜이 측면을 접촉하면서 열차의 일탈을 방지하기 위해 종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DCP 패널(110)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DCP 패널(110)은 도 5를 참조하면, 수평판 형태로서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철근콘크리트 제작된 것으로서, 일정한 길이를 가진 것을 이용하게 되며 이러한 DCP 패널(110)을 침목(200)에 앵커볼트와 같은 고정구를 이용하지 않고 고정 설치하기 위한 것이 브라켓(120)이다.
즉, DCP 패널(110)은 수평판 형태로서 열차의 차륜이 접하는 측면이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열차의 일탈 방호에 매우 효과적이지만, 일정한 연장길이를 가지고 있어 침목(200)에 고정 설치하기 위하여 다수의 앵커볼트와 같은 고정구를 이용하는 경우, 침목(200) 손상을 초래할 수밖에 없고, 시공성과 작업성 측면에서 불리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도 5 및 도 7과 같이, 수평판 형태의 DCP 패널(110)을 침목(200)에 앵커볼트와 같은 고정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지 않고, DCP 패널(110)을 수용할 수 있는 브라켓(120)을 침목(200)과 침목(200) 사이의 자갈블라스트(300)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120)에 수평판 형태의 DCP 패널(110)을 끼워 설치하는 방식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브라켓(120)은 상부는 수평판 형태의 DCP 패널(110)을 수용할 수 있으면서, 하부는 자갈블라스트(300)에 하방으로 삽입 설치되도록 하면서, 회전고정구(130)를 더 이용하여 침목(200) 저면에 걸려 고정 설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에 상기 브라켓(120)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100)은 도 5와 같이, 자갈궤도(A)의 침목(200)과 침목(200) 사이의 공간에 포설된 자갈블라스트(300)에 삽입되어 고정설치 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DCP 패널(110), 브라켓(120), 회전고정구(13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자갈궤도(A)는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철도용 노반 상에 자갈블라스트(300)가 포설되고, 포설된 자갈블라스트(300) 상에, 침목(200)이 설치된 것이다.
본 발명은 브라켓(120)은 자갈블라스트(300)에 삽입시켜 설치하고, 침목 저면에 회전고정구(130)를 더 이용하여 고정되도록 하기 때문에, 자갈궤도(A)에 고정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침목(200)은 도 5와 같이, 상면에 레일(210)이 체결장치에 의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종래 DCP 패널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은 침목 위에 직접 설치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침목의 양 측단부 사이에 DCP 패널(110)을 지지하면서 고정시킬 수 있는 중간지지부 형성되어 있어야 하는 한계가 있어 일자형 침목을 사용할 수밖에 없었지만,
본 발명의 DCP 패널(110)이 수용되는 브라켓(120)은 침목(200)과 침목(200) 사이의 자갈블라스트(300)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자갈궤도(A)에 설치되는 침목(200)이 일자형으로 연장되지 않고, 서로 분리된 양 측단부가 중간연결재로 연결되는 침목에서도 이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자갈블라스트(300)는 도 5와 같이, 노반 상에 일정한 두께로 포설되어 상부에 침목(200)이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지지 되도록 하여, 침목(200)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차 하중이 자갈블라스트 하부의 노반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브라켓(120)은 침목(200) 저면에 예컨대, 회전고정구(130)를 더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도록 하되, 침목(200)과 침목(200) 사이의 자갈블라스트(300)에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하기 때문에 자갈블라스트(300)는 본 발명의 브라켓(120)이 지지되는 부위에 해당된다.
다음으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100)의 DCP 패널(110)은 도 5 및 도 7과 같이, 침목(200)과 침목(200)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브라켓(120)과 침목(200) 상면에 함게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철근콘크리트 수평판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서 침목(200) 중간부위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시키게 된다.
1개의 DCP 패널(110)은 일정한 연장 길이로 제작된 것을 이용하기 때문에 종방향으로 이격된 다수의 침목(200) 상에 지지되도록 설치해야 하는데, 이 상태에서는 차륜의 측면이 탈선에 의하여 부딪치는 충격하중에 저항할 수 없으므로, 침목(200)과 침목(200) 사이에 설치된 브라켓(120)에 중간, 중간이 수용되어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브라켓(120)은 침목(200) 저면에 회전 설치되는 회전고정구(130)를 추가로 이용하여 고정되도록 설치하게 된다.
이에 DCP 패널(110)에 차륜의 충격하중이 전달되면 DCP 패널(110)를 수용하는 브라켓(120)의 상부수용부(121)에 전달되고, 이러한 브라켓(120)의 하부연장판(122)은 자갈블라스트(300)의 자갈과 자갈 사이에 삽입되어 있어 충격하중은 자갈과 자갈 사이에 물려진 하부연장판(122) 및 하부판(123)에 의하여 저항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DCP 패널(110)은 일정한 연장 길이로 제작됨에 따라 서로 종방향으로 연결하여 서로 일체로 거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종래 도 4와 같이, 연결강재 설치홈(67), 전단연결 돌출부(68), 전단연결 오목부(69), 매립강관(71), 관통타이(72), 체결너트(74)에 의하여 고정되는 연결강재(73)를 설치하여도 되고,
도 5 및 도 7과 같이, 양 단부에 형성된 전단연결 돌출부(111), 전단연결 오목부(112)가 서로 물려지도록 하는 정도로 하여도 상관은 없다.
다음으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100)의 브라켓(120)은 도 5를 기준으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DCP 패널(110)을 수용하면서, 침목(200)과 침목(200) 사이의 자갈블라스트(300)에 의하여 DCP 패널(110)을 지지하고, 수용된 DCP 패널(110)을 침목(200) 저면에 설치되는 회전고정구(130)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상기 브라켓(120)은 도 6a 및 도 6b와 같이, 상부수용부(121), 하부연장판(122)을 포함하게 된다.
먼저 상기 상부수용부(121)는 하부판(121a)과 양 측판(121b)으로 이루어진 U형으로 형성된 부재(강판 등)을 이용하여 수평판 형태의 DCP 패널(110)이 하부판(121a)과 양 측판(121b)에 의하여 감싸져 수용되도록 하게 되며,
양 측판(121b)은 침목과 침목 사이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세팅되고, 하부판(121a)은 양 측판(121b) 하단 사이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세팅된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연장판(122)은 도 6a 및 도 6b와 같이,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하부판(121a)으로부터 횡방향으로 하방 연장되는 수직판 형태의 강판으로서 자갈블라스트(300)의 자갈과 자갈 사이에 삽입되어 구속되면서 충격하중에 저항되도록 인접한 양 측방의 침목(200) 측면에 직접 접하도록 세팅된다.
이에 도 6a의 경우에는 하부연장판(122)이 상부수용부(121)의 하부판(121a)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임을 알 수 있고,
도 6b의 위쪽 도면의 경우, 하부판(123)이 양 하부연장판(122) 사이의 하부판(121a)의 저면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더 형성되어, 침목 사이 자갈밸러스트에 삽입 설치되어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120)이 보다 안정적으로 충격하중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b의 아래쪽 도면의 경우, 도 6a와 대비하여 양 하부연장판(122)이 수직판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수직부와 수평부가 ㄴ자형태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회전고정구(130) 없이 자갈블라스트(300)에 수평 및 수직으로 삽입되어 역시 브라켓(120)이 보다 안정적으로 충격하중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서 브라켓(120)은 도 5를 참조하면, 침목(200)과 침목(200)의 사이의 공간에 양 하부연장판(122)이 인접한 침목(200) 중간부위의 측면에 접하면서 자갈블라스트(300)에 삽입되도록 하여, 브라켓(120)이 충격하중에 저항되도록 하면서 침목(200)의 중간부위 상면과 하부판(121a)의 상면이 수평으로 세팅되도록 하여, DCP 패널(110)이 안정적으로 수용되어 설치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침목(200)이 양 단부가 중간연결재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제작한 경우에도 침목 중간부위를 DCP 패널(110)이 위에서 지나가도록 하면 되기 때문에 사용성이 확장된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100)의 회전고정구(130)는 도 6a 및 도 6b와 같이, 브라켓(120)을 구성하는 양 하부연장판(122)의 하단을 종방향으로 수평 관통하면서 하부연장판(122)을 관통하여 침목(200) 저면에 위치하는 수평부(131)와
상기 수평부(131)와 일체로 형성되어 양 하부연장판(122)에 수직으로 접하도록 세팅되는 수직부(132)를 포함하도록 하여,
결국 ㄴ 자형태의 걸림구로서 브라켓(120)이 침목(200) 저면에 걸려져 위치 고정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고정구(130)는 양 하부연장판(122)을 관통하도록 세팅하는 것만으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걸림구로서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회전고정구(130)는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일자형 형태로 형성시킨 것을 이용해도 상관은 없다. 예컨대, 양 하부연장판(122)의 하단을 종방향으로 수평 관통하면서 하부연장판(122)을 관통하여 침목(200) 저면에 위치하는 수평부(131)로만 형성되어 브라켓(120)이 침목(200) 저면에 걸려져 브라켓(120)의 위치를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회전고정구(130)는 도 6b의 경우 양 하부연장판(122)이 수직판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수직부와 수평부가 ㄴ자형태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회전고정구(130) 없이 자갈블라스트(300)에 수평 및 수직으로 삽입되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에 의하면 본 발명의 브라켓(120)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100)을 자갈궤도(A)의 침목(200)과 침목(200) 사이의 공간에 포설된 자갈블라스트(300)에 삽입되어 고정설치하는 실시예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8과 같이, 철도용 일탈방호시설(100)의 1개의 DCP 패널(110)은 그 연장길이에 따라 예컨대, 3,4,5,6,7개(다수개)의 침목(200) 사이에 결쳐지도록 연장 길이를 조정하여 제작된 것을 이용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1개의 DCP 패널(110)은 다수개의 침목(200) 상에 설치될 수 있지만, 브라켓(120)은 침목(200)과 침목(200) 사이의 공간에 각각 설치되도록 하게 되면 DCP 패널(110)은 그 연장길이와 상관없이 다수를 서로 침목상에서 연결하여 철도용 일탈방호시설(100) 설치가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 본 발명의 브라켓(120)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100) 시공방법 ]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브라켓(120)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100) 시공방법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시공방법은, 회전고정구(130)가 설치된 브라켓(120)을 먼저 자갈궤도(A)에 설치한 후, DCP 패널(110)을 브라켓(120)에 끼워 설치하여 간단하게 철도용 일탈방호시설을 시공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먼저 도 9a와 같이, 자갈궤도(A)는 노반에 포설된 자갈블라스트(300) 상에 침목(200)이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하되, 침목(200)은 종방향으로 다수가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 종방향으로 인접한 침목(200)과 침목(200)의 측면 사이 공간(S)에 포설된 자갈블라스트(300)를 일부 걷어내거나, 미리 침목(200)과 침목(200)의 측면 사이 공간(S)을 비워둔 상태에서, 브라켓(120)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브라켓(120)은 도 6a 및 도 6b와 같이, 상부수용부(121)와 하부연장판(122)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간단하게 수작업으로 설치가 가능하므로,
양 하부연장판(122)이 인접한 침목(200) 측면에 접하도록 하면서, 회전고정구(130)를 회전시키거나, 양 하부연장판(122)가 수직부와 수평부가 ㄴ자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회전고정구(130) 없이 자갈블라스트(300)에 수평 및 수직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침목(200) 저면에 브라켓(120)이 고정 설치되도록 하며, 침목 두께를 고려하여 형성된 상부수용부(121)는 침목(200) 상면에 맞추어 종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연장 세팅된다.
이에 자갈블라스트(300)를 다시 복구하여 안정적인 세팅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이에 브라켓(120)은 DCP 패널(110)이 설치되는 연장길이에 따라 침목(200)과 침목(200) 사이에 설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9b와 같이, 종방향으로 연장된 브라켓(120)의 상부수용부(121)에 DCP 패널(110)이 수용되도록 끼워 설치하는 것으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100) 시공이 간단하게 완성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DCP 패널(110)을 침목(200)에 손상이 가도록 하지 않을뿐더러, 설치 및 해체도 용이하고, 자갈과 자갈에 박혀지고 침목(200) 저면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120)을 이용함에 따라 차륜에 의한 충격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DCP 패널(110)은 종방향으로 서로 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하여 연결시키거나 연결되지 않도록 해도 상관은 없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110: DCP 패널
111: 전단연결 돌출부 112: 전단연결 오목부
120: 브라켓
121: 상부수용부 121a: 하부판
121b: 양 측판 122: 하부연장판
123: 하부판
130: 회전고정구
131: 수평부 132: 수직부
200: 침목 300: 자갈블라스트
A: 자갈궤도

Claims (16)

  1. 하부는 자갈블라스트의 자갈과 자갈 사이에 물려져 고정 설치되고, 상부는 DCP 패널을 수용하면서 자갈블라스트에 지지되도록, 하부판(121a)과 양 측판(121b)으로 이루어진 U형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수평판 형태의 DCP 패널이 하부판과 양 측판에 의하여 감싸져 수용되도록 하되, 상기 양 측판은 침목과 침목 사이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세팅되고, 상기 하부판은 하부판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세팅되어 자갈블라스트에 지지되는 상부수용부(121)를 포함하는 브라켓(120); 및 침목에 직접 고정 시키지 않고, 상기 브라켓 상부에 끼워져 침목 중간부위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DCP 패널;을 포함하는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CP 패널(110)은,
    침목(200)과 침목(200) 사이에 설치된 브라켓(120)에 수용되어 침목(200) 중간부위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수평판 형태로서, 양 단부에 형성된 전단연결 돌출부(111), 전단연결 오목부(112)가 서로 물려져 종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도록 하는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20)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세팅된 하부판(121a)으로부터 수직부와 수평부가 ㄴ자형태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자갈블라스트(300)에 수평 및 수직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자갈블라스트(300)의 자갈과 자갈 사이에 삽입되어 구속되면서 충격하중에 저항되도록 인접한 양 측방의 침목(200) 측면에 직접 접하도록 세팅되는 양 하부연장판(122)을 더 포함하는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20)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세팅된 하부판(121a)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판 형태로서,
    자갈블라스트(300)의 자갈과 자갈 사이에 삽입되어 구속되면서 충격하중에 저항되도록 인접한 양 측방의 침목(200) 측면에 직접 접하도록 세팅되는 양 하부연장판(122)을 더 포함하는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20)의 양 하부연장판(122) 하단을 종방향으로 수평 관통하면서 하부연장판(122)을 관통하여 침목(200) 저면에 위치하는 수평부(131)를 포함하여, 상기 브라켓(120)이 침목(200) 저면에 걸려져 브라켓(1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회전고정구(130)를 더 포함하는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20)의 양 하부연장판(122) 하단을 종방향으로 수평 관통하면서 하부연장판(122)을 관통하여 침목(200) 저면에 위치하는 수평부(131); 및
    상기 수평부(131)와 일체로 형성되어 양 하부연장판(122)에 수직으로 접하도록 세팅되는 수직부(132)를 포함하는 ㄴ 자형태의 걸림구로서,
    상기 브라켓(120)이 침목(200) 저면에 걸려져 브라켓(1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회전고정구(130)를 더 포함하는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8. 제5항에 있어서,
    양 하부연장판(122) 사이의 하부판(121a)의 저면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부판(123)이 더 형성되어, 침목 사이 자갈밸러스트에 삽입 설치되어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120)이 충격하중에 더 저항할 수 있도록 하는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9. 하부는 자갈블라스트의 자갈과 자갈 사이에 물려져 고정 설치되고, 상부는 DCP 패널을 수용하면서 자갈블라스트에 지지되도록, 하부판(121a)과 양 측판(121b)으로 이루어진 U형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수평판 형태의 DCP 패널이 하부판과 양 측판에 의하여 감싸져 수용되도록 하되, 상기 양 측판은 침목과 침목 사이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세팅되고, 상기 하부판은 하부판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세팅되어 자갈블라스트에 지지되는 상부수용부(121)를 포함하는 브라켓(120); 및 침목에 직접 고정 시키지 않고, 상기 브라켓 상부에 끼워져 침목 중간부위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DCP 패널;을 포함하며, 철도용 일탈방호시설의 1개의 DCP 패널(110)은, 다수개의 침목(200) 사이에 종방향으로 걸쳐지도록 연장 길이를 조정하여 제작된 것을 이용하는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10. 하부는 자갈블라스트의 자갈과 자갈 사이에 물려져 고정 설치되고, 상부는 DCP 패널을 수용하면서 자갈블라스트에 지지되도록, 하부판(121a)과 양 측판(121b)으로 이루어진 U형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수평판 형태의 DCP 패널이 하부판과 양 측판에 의하여 감싸져 수용되도록 하되, 상기 양 측판은 침목과 침목 사이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세팅되고, 상기 하부판은 하부판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세팅되어 자갈블라스트에 지지되는 상부수용부(121)를 포함하는 브라켓(120); 및 침목에 직접 고정 시키지 않고, 상기 브라켓 상부에 끼워져 침목 중간부위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DCP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DCP 패널(110)이 수용되는 브라켓(120)은, 침목(200)과 침목(200) 사이의 자갈블라스트(300)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자갈궤도(A)에 설치되는 침목(200)이 일자형으로 연장되지 않고, 서로 분리된 양 측단부가 중간연결재로 연결되는 침목에서도 이용 가능한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20)은,
    침목(200) 저면에 회전고정구(130)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도록 하되, 침목(200)과 침목(200) 사이의 자갈블라스트(300)에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하여 자갈블라스트(300)는 브라켓(120)이 지지되는 부위에 설치되는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12. (a) 자갈궤도(A)는 노반에 포설된 자갈블라스트(300) 상에 침목(200)이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하되, 침목(200)은 종방향으로 다수가 이격되어 설치하는 단계; (b) 자갈궤도(A)의 침목(200)과 침목(200) 사이의 자갈블라스트(300)에 상부는 DCP 패널(110)을 수용하되 자갈블라스트(300)에 지지되며, 하부는 자갈블라스트(300)에 하방으로 삽입되어 자갈과 자갈 사이에 물려지도록 브라켓(120)을 고정 설치하는 단계; 및 (c) 침목(200)에 직접 고정 시키지 않고, 브라켓 상부에 끼워져 침목(200) 중간부위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DCP 패널(110)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단계의 브라켓(120)은, 하부는 자갈블라스트의 자갈과 자갈 사이에 물려져 고정 설치되고, 상부는 DCP 패널을 수용하면서 자갈블라스트에 지지되도록, 하부판(121a)과 양 측판(121b)으로 이루어진 U형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수평판 형태의 DCP 패널이 하부판과 양 측판에 의하여 감싸져 수용되도록 하되, 상기 양 측판은 침목과 침목 사이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세팅되고, 상기 하부판은 하부판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세팅되어 자갈블라스트에 지지되는 상부수용부(121)를 포함하는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시공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브라켓(120)은
    상부는 DCP 패널(110)을 수용하면서 자갈블라스트(300)에 지지되도록, 하부판(121a)과 양 측판(121b)으로 이루어진 U형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수평판 형태의 DCP 패널(110)이 하부판(121a)과 양 측판(121b)에 의하여 감싸져 수용되도록 하되, 상기 양 측판(121b)은 침목과 침목 사이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세팅되고, 상기 하부판(121a)은 양 측판(121b) 하단 사이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세팅되어 자갈블라스트(300)에 지지되는 상부수용부(121); 및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세팅된 하부판(121a)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판 형태로서, 자갈블라스트(300)의 자갈과 자갈 사이에 삽입되어 구속되면서 충격하중에 저항되도록 인접한 양 측방의 침목(200) 측면에 직접 접하도록 세팅되는 양 하부연장판(122);을 포함하는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시공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브라켓(120)은,
    상부는 DCP 패널(110)을 수용하면서 자갈블라스트(300)에 지지되도록, 하부판(121a)과 양 측판(121b)으로 이루어진 U형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수평판 형태의 DCP 패널(110)이 하부판(121a)과 양 측판(121b)에 의하여 감싸져 수용되도록 하되, 상기 양 측판(121b)은 침목과 침목 사이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세팅되고, 상기 하부판(121a)은 양 측판(121b) 하단 사이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세팅되어 자갈블라스트(300)에 지지되는 상부수용부(121); 및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세팅된 하부판(121a)으로부터 수직부와 수평부가 ㄴ자형태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자갈블라스트(300)에 수평 및 수직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자갈블라스트(300)의 자갈과 자갈 사이에 삽입되어 구속되면서 충격하중에 저항되도록 인접한 양 측방의 침목(200) 측면에 직접 접하도록 세팅되는 양 하부연장판(122);을 포함하는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시공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브라켓(120)은,
    상기 브라켓(120)의 양 하부연장판(122) 하단을 종방향으로 수평 관통하면서 하부연장판(122)을 관통하여 침목(200) 저면에 위치하는 수평부(131); 및 상기 수평부(131)와 일체로 형성되어 양 하부연장판(122)에 수직으로 접하도록 세팅되는 수직부(132)를 포함하는 ㄴ 자형태의 걸림구로서, 상기 브라켓(120)이 침목(200) 저면에 걸려져 브라켓(1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회전고정구(130)를 더 포함하는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시공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DCP 패널(110)이 수용되는 브라켓(120)은,
    침목(200)과 침목(200) 사이의 자갈블라스트(300)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자갈궤도(A)에 설치되는 침목(200)이 일자형으로 연장되지 않고, 서로 분리된 양 측단부가 중간연결재로 연결되는 침목에서도 이용 가능한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시공방법.
KR1020210122432A 2021-09-14 2021-09-14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102380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432A KR102380587B1 (ko) 2021-09-14 2021-09-14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432A KR102380587B1 (ko) 2021-09-14 2021-09-14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0587B1 true KR102380587B1 (ko) 2022-03-30

Family

ID=80947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432A KR102380587B1 (ko) 2021-09-14 2021-09-14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58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9203A (ja) 2002-02-13 2003-08-27 Railway Technical Res Inst 鉄道車両軌道逸脱防止装置、及び鉄道車両の軌道逸脱防止方法
KR20110089994A (ko) 2010-02-02 2011-08-10 (주)신성엔지니어링 철도차량용 궤도이탈방지장치
KR101401995B1 (ko) 2013-08-29 2014-05-30 (주)네비엔 Pst패널을 이용한 열차궤도 시공방법
KR101912229B1 (ko) * 2018-04-06 2018-10-26 강원길 철도용 레일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도레일 보강방법
KR20190078830A (ko) 2017-12-27 2019-07-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9203A (ja) 2002-02-13 2003-08-27 Railway Technical Res Inst 鉄道車両軌道逸脱防止装置、及び鉄道車両の軌道逸脱防止方法
KR20110089994A (ko) 2010-02-02 2011-08-10 (주)신성엔지니어링 철도차량용 궤도이탈방지장치
KR101401995B1 (ko) 2013-08-29 2014-05-30 (주)네비엔 Pst패널을 이용한 열차궤도 시공방법
KR20190078830A (ko) 2017-12-27 2019-07-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101912229B1 (ko) * 2018-04-06 2018-10-26 강원길 철도용 레일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도레일 보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36424C (en) Railroad roadway for high speed rail-mounted vehicles
US20180148896A1 (en) Support for a panel of a section of guided transport track
KR20190078830A (ko)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US4911360A (en) Precast railway crossing slab
KR101266111B1 (ko) 아스팔트 노반용 탄성패드와 전단고정 장치를 구비한 침목 및 그 시공 방법
JP4540632B2 (ja) 架設桁
KR101399839B1 (ko) 철도교량 단부 횡단 궤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132952B1 (ko) 노면트램용 복합레일 및 이를 이용한 트램궤도
KR102380587B1 (ko)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JP4162291B2 (ja) 鉄道工事桁用受台、及び鉄道工事桁用受台の施工方法
KR101270942B1 (ko) 아스팔트 노반용 전단고정 장치를 구비한 침목 및 그 시공 방법
JP3859220B2 (ja) 鉄道車両軌道逸脱防止装置、及び鉄道車両の軌道逸脱防止方法
RU2328569C1 (ru)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путь для тоннелей
KR102212757B1 (ko) 자갈궤도의 급속개량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콘크리트궤도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콘크리트슬래브 지지장치와 철도 부설장치
CN110857544B (zh) 高速铁路安全防护结构及其施工方法
KR20220007214A (ko) 산악철도용 궤도의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05232922A (ja) 路面電車の軌道スラブ版及びその施工方法
JPH10183535A (ja) 鉄道駅用プラットホーム
KR101781045B1 (ko) 토목섬유와 강관형 궤도변위 저항장치를 구비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궤도 및 그 시공방법
JP2006112215A (ja) 安全レール装置
DK1735500T3 (en) Prefabricated and traditionally reinforced base plate
KR100593194B1 (ko) 합성 수지를 이용한 철도 침목
KR102380590B1 (ko)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JP3791719B2 (ja) 工事桁を利用した直結軌道化工法及び軌道構造
CN219410389U (zh) 一种防砟道口板及具有防砟功能的道口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