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0590B1 -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590B1
KR102380590B1 KR1020210122446A KR20210122446A KR102380590B1 KR 102380590 B1 KR102380590 B1 KR 102380590B1 KR 1020210122446 A KR1020210122446 A KR 1020210122446A KR 20210122446 A KR20210122446 A KR 20210122446A KR 102380590 B1 KR102380590 B1 KR 102380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er
frame
grid frame
lateral
wed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남형
한정진
강윤석
방춘석
신승권
김태훈
김회진
조영철
방인석
이찬영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유비이엔씨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유비이엔씨,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22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5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5/00Rails; Guard rails; Distance-keeping means for them
    • E01B5/18Guard rails; Connecting, fastening or adjust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00Ballastway; Other means for supporting the sleepers or the track; Drainage of the ballastway
    • E01B1/002Ballastless track, e.g. concrete slab trackway, or with asphalt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철도궤도에서 탈선열차의 탈선을 제어할 수 있도록 침목과 침목 상면에 걸쳐 격자프레임 형태의 DCP(Derailment containment provisionl: 일탈방호시설)을 간단하게 연속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이 개시되며, 상기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은 침목의 중간부위와 양 단부에 고정 설치된 격자프레임에 횡방향가압구를 고정구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게 된다.

Description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DERAILMENT CONTAINMENT PROVISION(DCP) FOR RAILWAY USING GRID FLAM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철도용 일탈방호시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철도궤도에서 탈선열차의 과도한 일탈을 제어할 수 있도록 침목과 침목 상면에 걸쳐 격자프레임 형태의 DCP(Derailment containment provisionl: 일탈방호시설)을 간단하게 연속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외적으로 열차의 탈선 또는 충돌에 의한 큰 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고, 인명피해로 이어지는 열차사고는 대부분 탈선 또는 충돌에 의한 사고이며, 이러한 열차사고는 발생빈도는 낮지만, 일단 발생 되면 그 피해 정도가 상당히 크므로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비책이 필요하다.
이에 열차의 탈선 발생 이후 탈선열차를 의도된 영역 내로 구속시킬 수 있는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기술 개발은 매우 중요하게 된다.
이에 철도용 일탈방호시설(Derailment Containment Provisions: DCP)은 탈선된 열차를 의도된 영역 바깥으로 일탈(넓은 의미로 이탈에 포함되는 의미)하지 않도록 하는 방호시설물을 의미함을 알 수 있다.
도 1은 종래 궤간(양 레일 사이 공간) 내에 설치되는 철도용 일탈방호시설(30)의 예시도이다.
즉, 궤간 중앙에 일탈방호 역할을 하는 상방으로 돌출된 블록(30)을 설치함으로써, 탈선 열차의 이동 거리를 줄임에 따라 관성력이 감소하여, 블록(30)에 작용하는 열차의 차륜과의 충돌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어 이러한 블록(30)에 의한 궤간 내 일탈방호시설(30)은 효율성 및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블록(30)은 침목 중간부위 상면에 침목 제작 시 일체로 콘크리트 블록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면 블록(30)을 침목에 별도로 추가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은 있으나, 기존 침목에 상기 블록(30)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에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게 되며 기본적으로 침목이 매설되도록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궤도에 효과적으로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도 2는 종래 철도용 궤도이탈방지장치의 예시도이다.
상기 철도 차량용 궤도이탈방지장치는 차륜이 레일로부터 탈선하여 이동해도 차륜의 측면이 차륜 억제부재(50)의 측면에 접촉하면서 철도차량이 궤도 외부로 이탈하는 일이 없도록 한 것으로서,
PC침목(T) 개략 중간부위 상면에 앵커볼트와 같은 고정구를 이용하여 절연플레이트(48), 설치부재(49)에 블록(53) 및 측판(51)을 결합한 형태로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기존 침목이라도 철도용 일탈방호시설로서 블록(53)을 앵커볼트와 같은 고정구를 이용하여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와같이, 앵커볼트와 같은 고정구를 이용하게 되면, 상기 고정구를 설치하기 위한 천공작업이 필요하여 침목에 손상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도 3은 종래 철도차량 궤도 일탈방지장치의 예시도이다.
즉, 상기 철도차량 궤도 일탈방지장치는 궤간 내 콘크리트 침목 중간부위 상면에 하부유지플레이트(11)를 절연플레이트(12) 상에 설치하고, 상기 하부안착플레이트(11) 상면에 수용되는 U자형 차륜억제부재(13)를 체결볼트(16)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탈선된 열차의 차륜(열차 바퀴)이 U자형 차륜억제부재(13)에 의하여 일탈 방지되도록 하고, U자형 차륜억제부재(13)에 가해지는 횡력은 하부유지플레이트(11)를 거쳐 체결볼트(16)를 통행 콘크리트 침목과 자갈궤도에 전달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차륜억제부재(13)는 U자형 형강 부재를 이용하도록 하여, 도 1과 도 2와 달리 콘크리트 블록이 아닌 형강 부재를 이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나, 역시 체결볼트와 같은 고정구를 설치하기 위한 천공작업이 필요하여 침목에 손상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도 4는 종래 철도차량 궤도 일탈방지장치의 다른 예시도이다.
즉, H자형 형강 부재(61) 2개를 침목(22) 상에 서로 횡방향으로 이격 설치하고, H자형 형강 부재 사이에 횡방향 가압고정장치(60)를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H자형 형강 부재(61) 각각은 침목 상면에 이격되도록 세팅한 후, 앵커볼트를 포함하는 고정구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고,
H자형 형강 부재(61) 사이에는 횡방향 쐐기부재(62)를 이용하여 양 H자형 형강 부재를 횡방향으로 가압시켜 가해지는 횡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면서, H자형 형강 부재(61) 연결부위에서 종방향 신축에도 대응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이러한 횡방향 쐐기부재(62)의 설치 및 해체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 철도차량 궤도 일탈방지장치는 탈선된 열차차륜이 접하면서 발생하는 충격하중에 저항하기 위하여 침목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게 되는데 앵커볼트를 포함하는 고정구를 이용하되 횡방향 가압도 간단하게 도입시킬 수 있는 철도용 일탈방호시설은 달리 소개된 것이 없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3-239203호, 발명의 명칭: 철도차량 궤도 일탈 방지장치 및 철도차량의 궤도 일탈방지 방법, 공개일: 2003년 08월 27일) 일본국 특허 제4892015호, 발명의 명칭: 차륜일주장치, 공개일: 2010년 07월 29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9-0078830호, 발명의 명칭: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공개일: 2019년 07월 05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1-0089994호, 발명의 명칭: 철도차량용 궤도이탈방지장치, 공개일: 2011년08월10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1995호, 발명의 명칭: PST 패널을 이용한 열차궤도 시공방법, 공개일: 2014년05월30일)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철도궤도에 있어 격자프레임을 침목 상면에 앵커볼트를 포함하는 고정구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는 작업과정에서 횡방향 가압구를 간단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도록 있으면서도, 횡방향 가압을 통해 열차의 차륜이 탈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은,
양 종방향프레임 내측면에 횡방향프레임이 연결되어 격자형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양 종방향프레임의 양 단부 및 중간부위에 각각 프레임고정홀이 형성된 격자프레임; 및 격자프레임의 양 종방향프레임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내측공간(S)에 설치되어, 침목에 고정 설치시킨 상기 격자프레임에 횡방향 가압력을 도입시키는 가압작업이 침목 상부 작업공간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횡방향가압구;를 포함하며, 상기 침목에 격자프레임의 고정 설치는, 격자프레임의 프레임고정홀을 관통하여 침목에 형성시킨 고정홀에 체결된 앵커볼트를 포함하는 고정구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구는 침목에 체결되면서 격자프레임에 횡방향가압구가 횡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시공방법은,
(a) 침목(230)의 중간부위 상면에 양 종방향프레임 내측면에 횡방향프레임이 연결되어 격자형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양 종방향프레임의 양 단부 및 중간부위에 각각 프레임고정홀이 형성된 격자프레임을 침목에 먼저 고정 설치하는 단계; 및 (b) 상기 격자프레임의 양 종방향프레임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내측공간(S)에 설치되어, 침목에 고정 설치시킨 상기 격자프레임에 횡방향 가압력을 도입시키는 가압작업이 침목 상부 작업공간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횡방향가압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의 침목에 격자프레임의 고정 설치는, 격자프레임의 프레임고정홀을 관통하여 침목에 형성시킨 고정홀에 체결된 앵커볼트를 포함하는 고정구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구는 침목에 체결되면서 격자프레임에 횡방향가압구가 횡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격자프레임을 침목 상에 일체화시킴으로써, 열차가 철도로부터 탈선한 이후 탈선열차가 과도하게 일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격자프레임을 침목에 앵커볼트(체결볼트)와 같은 고정구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후, 횡방향가압구를 통해 열차의 차륜에 의하여 가해지는 횡력에 보다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횡방향가압구는 격자프레임의 내측 공간을 이용하여 하향 고정시키는 작업을 통해 횡방향 가압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이며, 해체가 용이하여 유지관리에 효과적인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궤간 내에 설치되는 철도용 일탈방호시설의 예시도,
도 2는 종래 철도용 궤도이탈방지장치의 예시도,
도 3은 종래 철도차량 궤도 일탈방지장치의 예시도,
도 4는 종래 철도차량 궤도 일탈방지장치의 다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격자프레임의 예시도,
도 6, 도 7 및 도 8은 실시예 1,2,3에 의한 본 발명의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예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시공방법도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 본 발명의 격자프레임(110)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100) ]
도 5는 본 발명의 격자프레임(110)의 예시도, 도 6, 도 7 및 도 8은 실시예 1,2,3에 의한 본 발명의 격자프레임(110)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100)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상기 본 발명의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100)은 도 5를 참조하면 격자프레임(110)을 침목(230) 중간부위에 앵커볼트를 포함하는 고정구(120)로 설치하고,
침목(230)에 고정된 격자프레임(110) 내측공간(S)을 이용하여 횡방향가압구(130)를 하향 고정시키는 작업을 통해 간단하게 횡방향 가압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이며, 해체가 용이하여 유지관리에 효과적인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횡방향가압구(130)는 실시예 1,2,3을 통하여 개시하게 되며,
상기 실시예 1,2,3은 모두 격자프레임(110)의 양 종방향프레임(111) 내측면 사이의 내측공간(S)에 먼저 양 측방쐐기(131)가 접하도록 설치하고,
양 측방쐐기(131) 사이에 하향식 압착구(132)를 하향 고정시키는 작업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격자프레임(110)을 횡방향 가압하도록 하되,
앵커볼트를 포함하는 고정구(120)를 이용하여 하향식 압착구(132)를 침목(230)에 최종 고정시키는 방식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격자프레임(110)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100)은 철도궤도(200)의 침목(230) 중간부위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세팅되어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탈선된 열차차륜이 침목(230)에 고정 설치된 격자프레임(110)에 측면에 접하면서 발생하는 충격하중이 흡수되면서 탈선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하도록 횡방향가압구(130)에 의하여 미리 횡방향으로 가압 되도록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철도궤도(200)는 도 5를 참조하면, 노반(210)에 자갈블라스트를 포함하는 도상(220)이 형성되어 있고, 도상(220) 상부에는 일정한 연장 길이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침목(230)이 종방향으로 다수가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침목(230) 양 단부 상면에는 체결장치를 통해 양 레일(240)이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것이다.
이에 양 레일(240)을 통해 운행되는 열차차륜이 탈선될 경우 일정한 범위에서 제어될 수 있도록 침목(230) 중간부위에 본 발명의 격자프레임(110)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100)을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하게 된다.
먼저 상기 노반(210)은 도 5와 같이, 성토 및 다짐에 의한 지반으로 상부에 도상(220)이 형성되어 도상(220)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노반(210)에 최종 전달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도상(220)은 도 5와 같이, 자갈블라스트 등을 의미하면 노반(210) 상부에 일정한 두께와 단면으로 포설되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침목(230)은 도 5와 같이, 일정한 연장길이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도록 하면서 종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예컨대, 일정한 연장길이를 가진 콘크리트로 제작된 몸통부(231)의 양 단부 상면에 레일(340)이 고정 설치되도록 체결장치(232)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중간부위에 격자프레임(110)와 횡방향가압구(130)가 고정구(120)에 의하여 고정 설치되도록 고정홀(233)이 다수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이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레일(240)은 도 5와 같이, 침목(230) 양 단부 상면에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열차차륜이 레일(240)과 접하면서 운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격자프레임(110)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100)은 도 5를 참조하면 격자프레임(110), 고정구(120), 횡방향가압구(130)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먼저 상기 격자프레임(110)은 도 5와 같이, 고정구(120)에 의하여 침목(230)의 중간부위에 고정 설치 됨으로서 열차차륜이 측면으로 직접 접하면서 충격하중을 흡수하여 탈선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횡방향가압구(130)를 통해 횡방향으로 가압되어 충격하중에 대한 횡방향 저항력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며, 침목(230)의 중간부위에 형성된 고정홀(233)에 고정구(120)를 이용하여 종방향으로 연장 설치시키게 된다.
이러한 격자프레임(110)은 도 5를 참고하면, 양 종방향프레임(111) 내측면에 횡방향프레임(112)이 연결되어 격자형으로 형성시킨 것을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양 종방향프레임(111)의 양 단부 및 중간부위에는 각각 프레임고정홀(113)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양 종방향프레임(111)은 도 5를 참조하면, 각관을 이용하여 자중을 최소화 시켜 제작, 운반, 설치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충격하중에 의하여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일정한 연장길이를 가지도록 하여 다수의 침목(230)에 고정 설치되도록 양 단부 및 중간부에는 수직홀 형태의 프레임고정홀(113)이 형성되도록 하여, 앵커볼트인 고정구(120)가 상기 프레임고정홀(113)을 관통하여 침목(230)의 고정홀(233)에 체결되면서, 침목(230)에 격자프레임(110)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횡방향프레임(112)은 도 5를 참조하면, 역시 각관을 이용하여 자중을 최소화 시켜 제작, 운반, 설치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양 종방향프레임(111)으로부터 충격하중에 의하여 역시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게 됨은 동일하다.
이에 상기 횡방향프레임(112)은 양 종방향프레임(111) 내측면 사이의 내측공간(S)에 연장되도록 하여 격자 형태로 격자프레임(110)이 형성되도록 하게 되며 프레임고정홀(113)이 형성되지 않은 양 종방향프레임(111) 내측면 사이의 격자프레임(110) 내측공간(S)을 횡방향가압구(130)를 설치하는 공간으로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프레임고정홀(113)은 도 5를 참조하면, 격자프레임(110)을 침목(230)에 고정구(120)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기 위하여 양 종방향프레임(111)에 수직홀 형태로 형성시킨 것이다.
격자프레임(110)은 침목(230) 상에 고정 설치되고 일정한 연장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양 단부가 연결부위가 되어 역시 침목(230)에 고정 설치되므로 프레임고정홀(113)도 이에 대응하여 형성시키게 되며,
격자프레임(110) 양 단부 이외에 중간부위에서도 침목(230)에 고정 시키기 위하여 역시 프레임고정홀(113)을 형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고정홀(113)은 침목(230) 상면의 면적, 격자프레임(110)의 단면 크기등에 대응하여 적어도 1개 이상 형성시키면 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구(120)는 도 5와 같이, 침목(230)에 격자프레임(110)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격자프레임(110)의 프레임고정홀(113)을 관통하여 침목(230)에 형성시킨 고정홀(233)에 체결된 앵커볼트를 포함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구(120)는 횡방향가압구(130)를 설치하면서 침목(230)에 체결되면서 격자프레임(110)에 횡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역할도 함께 하게 된다.
즉, 횡방향으로 가압되기 위해서 격자프레임(110)을 침목(230)에 먼저 고정 설치하고, 고정 설치된 격자프레임(110)의 내측공간(S)에 횡방향가압구(130)을 설치하여 횡방향 가압시키는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횡방향가압구(130)는 도 5를 참조하면, 격자프레임(110)의 양 종방향프레임(111)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내측공간에 설치되어, 침목(230)에 고정 설치시킨 격자프레임(110)에 횡방향 가압력을 도입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에서는 가압작업이 침목 상부 작업공간에서 바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하고 신속한 횡방향가압구(130) 설치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다는 것에 특징이 있게 된다.
이에 먼저 양 측방쐐기(131)가 양 종방향프레임(111) 양 내측면에 접하도록 설치하고, 양 측방쐐기(131) 사이에 하향식 압착구(132)를 하강 삽입하는 과정에서 격자프레임(110)을 횡방향 가압하도록 하되,
앵커볼트를 포함하는 고정구(120)를 이용하여 하향식 압착구(132)를 침목(230)에 고정 설치하는 방식으로 상기 횡방향가압구(130)를 설치하게 된다.
이하 도 6, 도 7 및 도 8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격자프레임(110)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100)의 설치예를 실시예1,2,3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실시예 1에 의한 격자프레임(110)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100)]
도 6에 의하면, 실시예 1의 경우, 철도궤도(200)는 노반(210)에 자갈블라스트를 포함하는 도상(220)이 형성되어 있고, 도상(220)에는 침목(230)이 종방향으로 다수가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하게 되며, 상기 침목(230) 양 단부 상면에는 체결장치를 통해 양 레일(240)이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것으로서, 격자프레임(110)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100)이 침목(230) 양 단부와 중간부위에서 종방향으로 다수가 고정구(120)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격자프레임(110)은 도 6을 참조하면, 양 종방향프레임(111) 내측면에 횡방향프레임(112)이 연결되어 격자형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양 종방향프레임(111)의 양 단부 및 중간부위에 각각 프레임고정홀(113)이 형성된 것을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침목(230)에도 고정홀(233)이 다수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도 6에 의하면 7개의 침목(230)에 걸쳐지도록 1개의 격자프레임(110)이 세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4번째 침목(230)에 위치하는 격자프레임 중간부위에서 고정구(120)를 이용하여 격자프레임(110)을 침목(230)의 고정홀(233)에 고정 설치하고,
1번째 및 7번째 침목(230)에 위치하는 격자프레임 양 단부에서 역시 고정구(120)를 이용하여 격자프레임(110)을 침목(230)의 고정홀(233)에 고정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격자프레임(110)의 연장길이에 따라서 걸쳐지는 침목(230)의 개수에는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의하면 침목(230)에 중간부위와 양 단부에 고정 설치된 격자프레임(110)에 횡방향가압구(130)를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4번째 침목(230)에 위치하는 격자프레임(110)의 중간부위에서 격자프레임(110)의 양 종방향프레임(111) 내측면 사이에 먼저 양 측방쐐기(131)가 접하도록 설치하고,
양 측방쐐기(131) 사이에 하향식 압착구(132)를 하강 삽입하는 과정에서 격자프레임(110)을 횡방향 가압하도록 하되,
고정구(120)를 이용하여 하향식 압착구(132)를 침목(230)에 최종 고정 설치하여 횡방향 가압력이 유지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1번째 및 7번째 침목(230)이 위치하는 격자프레임(110)의 양 단부에서도 격자프레임(110)의 양 종방향프레임(111) 내측면 사이에 먼저 양 측방쐐기(131)가 접하도록 설치하고,
양 측방쐐기(131) 사이에 하향식 압착구(132)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격자프레임(110)을 횡방향 가압하도록 하되,
고정구(120)를 이용하여 하향식 압착구(132)를 침목(230)에 최종 고정 설치하여 횡방향 가압력이 유지되도록 하게 되며,
격자프레임의 양 단부의 경우에는 인접한 격자프레임(110)의 연결부위에 해당되므로 서로 인접한 격자프레임(110)이 1개의 횡방향가압구(130)에 의하여 횡방향 가압하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도 6의 경우 횡방향가압구(130)의 양 측방쐐기(131)는 삼각단면의 절편으로서 상부꼭지점에서 하부로 갈수록 경사진 내측면이 서로 내측공간(S)에서 마주보도록 세팅되고,
상기 양 측방쐐기(131)의 경사진 내측면에 양 측방 경사면(132a)이 접하면서 양 측방 경사면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하부판(132b)이 하향하면서 삽입되는 과정에서 양 측방쐐기(131)를 횡방향으로 가압하는 U형단면의 양 하향식 압착구(132)가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상기 U형단면의 하향식 압착구(132)의 하부판(132b)은 고정구(120)에 의하여 침목(230)의 고정홀(233)에 체결되어 하향식 압착구(132)가 침목(230) 상면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U형단면의 하향식 압착구(132)의 하부판(132b)에는 고정구(120)가 관통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고정홀이 형성된 것을 이용하게 되며,
침목(230) 상면과 U형단면의 하향식 압착구(132)의 하부판(131b) 사이에는 평탄성 및 높이조절을 위하여 베이스플레이트(134)와 절연플레이트(135)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홀이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134)와 절연플레이트(135)는 고정구(120)에 의하여 역시 침목(230)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플레이트(134)의 고정홀은 격자프레임(110)의 종방향 신축을 일부 흡수할 수 있도록 타원형등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 실시예 2에 의한 격자프레임(110)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100)]
상기 실시예 2에 의한 격자프레임(110)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100)과 실시예 1의 차이는 횡방향가압구(130)의 구성에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하다.
즉, 도 7에 의하면, 실시예 2의 경우에도, 철도궤도(200)는 노반(210)에 자갈블라스트를 포함하는 도상(220)이 형성되어 있고, 도상(220)에는 침목(230)이 종방향으로 다수가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하게 되며, 상기 침목(230) 양 단부 상면에는 체결장치를 통해 양 레일(240)이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것으로서, 격자프레임(110)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100)이 침목(230) 중간에 종방향으로 다수가 고정구(120)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고 있음은 실시예1과 동일하다.
역시 상기 격자프레임(110)은 양 종방향프레임(111) 내측면에 횡방향프레임(112)이 연결되어 격자형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양 종방향프레임(111)의 양 단부 및 중간부위에 각각 프레임고정홀(113)이 형성된 것을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침목(230)에도 고정홀(233)이 다수 형성되어 있음은 실시예 1과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도 7에 의하면 7개의 침목(230)에 걸쳐지도록 1개의 격자프레임(110)이 세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4번째 침목(230)에 위치하는 격자프레임 중간부위에서 고정구(120)를 이용하여 격자프레임(110)을 침목(230)의 고정홀(233)에 고정 설치하고,
1번째 및 7번째 침목(230)에 위치하는 격자프레임 양 단부에서 역시 고정구(120)를 이용하여 격자프레임(110)을 침목(230)의 고정홀(233)에 고정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격자프레임(110)의 연장길이에 따라서 걸쳐지는 침목(230)의 개수에는 조정될 수 있음은 역시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또한, 도 7에 의하면 침목(230)에 중간부위와 양 단부가 고정 설치된 격자프레임(110)에 횡방향가압구(130)를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4번째 침목(230)에 위치하는 격자프레임(110)의 중간부위에서 격자프레임(110)의 양 종방향프레임(111) 내측면 사이에 먼저 양 측방쐐기(131)가 접하도록 설치하고,
양 측방쐐기(131) 사이에 하향식 압착구(132)를 하강 삽입하는 과정에서 격자프레임(110)을 횡방향 가압하도록 하되,
고정구(120)를 이용하여 하향식 압착구(132)를 침목(230)에 최종 고정 설치하여 횡방향 가압력이 유지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1번째 및 7번째 침목(230)이 위치하는 격자프레임(110)의 양 단부에서도 격자프레임(110)의 양 종방향프레임(111) 내측면 사이에 먼저 양 측방쐐기(131)가 접하도록 설치하고,
양 측방쐐기(131) 사이에 하향식 압착구(132)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격자프레임(110)을 횡방향 가압하도록 하되,
고정구(120)를 이용하여 하향식 압착구(132)를 침목(230)에 최종 고정 설치하여 횡방향 가압력이 유지되도록 하게 됨은 실시예 1과 동일하고,
격자프레임의 양 단부의 경우에는 인접한 격자프레임(110)의 연결부위에 해당되므로 서로 인접한 격자프레임(110)이 1개의 횡방향가압구(130)에 의하여 횡방향 가압하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도 7의 경우 실시예 1과는 달리, 횡방향가압구(130)의 양 측방쐐기(131)는 삼각단면의 절편으로서 상부꼭지점에서 하부로 갈수록 경사진 외측면이 서로 내측공간에서 대향 되도록 세팅하되 베이스플레이트(134) 상면에 설치된 중간지지블록(133) 양 측방에 양 측방쐐기(131)가 일체로 배치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 양 측방쐐기(131)의 경사진 외측면에 양 측방 경사면(132a)이 접하면서 중간지지블록(133) 상면에 상부수평부(132c)가 지지되도록 하향하면서 삽입되는 과정에서 양 측방쐐기(131)에 의하여 ㄱ자형 단면의 양 하향식 압착구(132)가 격자프레임(110)을 횡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상기 ㄱ자형 단면의 양 하향식 압착구(132)의 상부수평부(132c)는 고정구(120)가 관통하여 침목(230)의 고정홀(233)에 체결되어 하향식 압착구(132)가 침목(230) 상면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ㄱ자형 단면의 양 하향식 압착구(132)의 상부수평부(132c)와 중간지지블록(133)에는 고정구(120)가 관통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고정홀이 형성된 것을 이용하게 되며,
침목(230) 상면과 중간지지블록(133)이 저면에 설치되는 평탄성 및 높이조절을 위하여 고정홀이 형성된 역시 베이스플레이트(134)와 절연플레이트(135)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34)와 절연플레이트(135)는 고정구(120)에 의하여 역시 침목(230)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역시 베이스플레이트(134)의 고정홀은 격자프레임(110)의 종방향 신축을 일부 흡수할 수 있도록 타원형등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 실시예 3에 의한 격자프레임(110)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100)]
상기 실시예 3에 의한 격자프레임(110)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100)과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차이는 역시 횡방향가압구(130)의 구성에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하다.
즉, 도 8에 의하면, 실시예 3의 경우, 철도궤도(200)는 노반(210)에 자갈블라스트를 포함하는 도상(220)이 형성되어 있고, 도상(220)에는 침목(230)이 종방향으로 다수가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하게 되며, 상기 침목(230) 양 단부 상면에는 체결장치를 통해 양 레일(240)이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것으로서, 격자프레임(110)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100)이 침목(230) 중간부위에 종방향으로 다수가 고정구(120)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고 있음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동일하다.
역시 상기 격자프레임(110)은 양 종방향프레임(111) 내측면에 횡방향프레임(112)이 연결되어 격자형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양 종방향프레임(111)의 양 단부 및 중간부위에 각각 프레임고정홀(113)이 형성된 것을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침목(230)에도 고정홀(233)이 다수 형성되어 있음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도 8에 의하면 7개의 침목(230)에 걸쳐지도록 1개의 격자프레임(110)이 세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4번째 침목(230)에 위치하는 격자프레임 중간부위에서 고정구(120)를 이용하여 격자프레임(110)을 침목(230)의 고정홀(233)에 고정 설치하고,
1번째 및 7번째 침목(230)에 위치하는 격자프레임 양 단부에서 역시 고정구(120)를 이용하여 격자프레임(110)을 침목(230)의 고정홀(233)에 고정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격자프레임(110)의 연장길이에 따라서 걸쳐지는 침목(230)의 개수에는 조정될 수 있음은 역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동일하다.
또한, 도 8에 의하면 침목(230)에 중간부위와 양 단부가 고정 설치된 격자프레임(110)에 횡방향가압구(130)를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4번째 침목(230)에 위치하는 격자프레임(110)의 중간부위에서 격자프레임(110)의 양 종방향프레임(111) 내측면 사이에 먼저 양 측방쐐기(131)가 접하도록 설치하고,
양 측방쐐기(131) 사이에 하향식 압착구(132)를 하강 삽입하는 과정에서 격자프레임(110)을 횡방향 가압하도록 하되,
고정구(120)를 이용하여 하향식 압착구(132)를 침목(230)에 최종 고정 설치하여 횡방향 가압력이 유지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1번째 및 7번째 침목(230)이 위치하는 격자프레임(110)의 양 단부에서도 격자프레임(110)의 양 종방향프레임(111) 내측면 사이에 먼저 양 측방쐐기(131)가 접하도록 설치하고,
양 측방쐐기(131) 사이에 하향식 압착구(132)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격자프레임(110)을 횡방향 가압하도록 하되,
고정구(120)를 이용하여 하향식 압착구(132)를 침목(230)에 최종 고정 설치하여 횡방향 가압력이 유지되도록 하게 됨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동일하고,
격자프레임의 양 단부의 경우에는 인접한 격자프레임(110)의 연결부위에 해당되므로 서로 인접한 격자프레임(110)이 1개의 횡방향가압구(130)에 의하여 횡방향 가압하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도 8의 경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는 달리, 횡방향가압구(130)의 양 측방쐐기(131)는 삼각단면의 절편으로서 상부꼭지점에서 하부로 갈수록 경사진 내측면이 서로 내측공간에서 마주 보도록 세팅하되 베이스플레이트(134) 상면에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양 측방쐐기(131)의 경사진 내측면에 양 측방 경사면(132a)이 접하도록 하향하면서 삽입되는 과정에서 양 측방쐐기(131)를 횡방향으로 가압하는 삽입블록 형태의 양 하향식 압착구(132)가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상기 삽입블록 형태의 양 하향식 압착구(132)는 고정구(120)에 의하여 침목(230)의 고정홀(233)에 체결되어 하향식 압착구(132)가 침목(230) 상면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삽입블록 형태의 양 하향식 압착구(132)에는 고정구(120)가 관통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고정홀이 형성된 것을 이용하게 되며,
침목(230) 상면과 격자프레임(110) 사이에는 평탄성 및 높이조절을 위하여 베이스플레이트(134)와 절연플레이트(135)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34)와 절연플레이트(135)는 고정구(120)에 의하여 역시 침목(230)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베이스플레이트(134) 상면에 횡방향가압구(130)가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본 발명의 격자프레임(110)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시공방법 ]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격자프레임(110)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시공방법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격자프레임(110)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시공방법은 앞서 살펴본 격자프레임(110)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100)에서 실시예 3을 기준으로 살펴보기로 하며, 이는 철도궤도(200)에서 침목(230)의 중간에 고정구(120)를 이용하여 격자프레임(110)을 고정 설치하고, 격자프레임(110)의 내측공간에 실시예 3에 의하 횡방향가압구(130)를 고정 설치하여 격자프레임(110)이 횡방향 가압되도록 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도 9a와 같이, 철도궤도(200)에 절연플레이트(135)와 베이스플레이트(134)를 침목(230)의 중간부위 상면에 설치하고, 격자프레임(110)을 침목(230)에 고정 설치하게 된다.
즉, 침목(230)의 중간부위 상면에 양 종방향프레임(111) 내측면에 횡방향프레임(112)이 연결되어 격자형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양 종방향프레임(111)의 양 단부 및 중간부위에 각각 프레임고정홀(113)이 형성된 격자프레임(110)을 침목(230)에 먼저 고정 설치하게 된다.
상기 절연플레이트(135)는 침목(230) 상면 면적에 맞추어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고정홀이 형성된 것으로서 레일의 절연 및 철도 선로의 절연을 위한 것이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34)는 높이조절 및 평탄성을 확보하면서 횡방향가압구(130)를 안정적으로 침목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역시 고정홀이 형성된 것을 이용하게 된다.
실시예 3의 경우에는 횡방향가압구(130)의 양 측방쐐기(131)와 삽입블록 형태의 하향식 압착구(132)가 베이스플레이트(134) 상면에 위치하도록 세팅된다.
이때 격자프레임(110)은 도 5를 참조하면 양 종방향프레임(111) 내측면에 횡방향프레임(112)이 연결되어 격자형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양 종방향프레임(111)의 양 단부 및 중간부위에 각각 프레임고정홀(113)이 형성된 것을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침목(230)에도 고정홀(233)이 다수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양 종방향프레임(111)의 양 단부는 베이스플레이트(134)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연결볼트(122)를 이용하여 서로 인접한 격자프레임(110)의 양 단부가 침목(230) 상면에 고정너트(121)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베이스플레이트(134)와 절연플레이트(135)를 상하로 세팅시켜 놓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양 종방향프레임(111)의 중간부위는 베이스플레이트(134)와 절연플레이트(135)를 상하로 세팅시켜 놓고 고정구(120)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b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34)에 실시예 3에 의한 횡방향가압구를 격자프레임(110)의 내측공간(S)에 설치하여 횡방향 가압력이 격자프레임(110)에 도입되도록 하게 된다.
즉, 상기 격자프레임(110)의 양 종방향프레임(111)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내측공간에 설치되어, 침목(230)에 고정 설치시킨 상기 격자프레임(110)에 횡방향 가압력을 도입시키는 가압작업이 침목 상부 작업공간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횡방향가압구(130)를 설치하게 된다.
이에 도 9b에 의하면, 횡방향가압구(130)의 양 측방쐐기(131)는 삼각단면의 절편으로서 상부꼭지점에서 하부로 갈수록 경사진 내측면이 서로 내측공간에서 마주 보도록 세팅하되 베이스플레이트(134) 상면에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양 측방쐐기(131)의 경사진 내측면에 양 측방 경사면(131a)이 접하도록 하향하면서 삽입되는 과정에서 양 측방쐐기(131)를 횡방향으로 가압하는 삽입블록 형태의 양 하향식 압착구(132)가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상기 삽입블록 형태의 양 하향식 압착구(132)는 고정구(120)에 의하여 침목(230)의 고정홀(233)에 체결되어 하향식 압착구(132)가 침목(230) 상면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과 실시예 2는 따로 개시하지 않았지만 앞서 살펴본 횡방향가압구(130)에만 차이가 있으므로 격자프레임(110)의 양 단부 및 중간부위를 침목(230)에 베이스플레이트(134)와 절연플레이트(135)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 한 후, 횡방향 가압을 위하여 실시예 1 및 실시예 3에 의한 횡방향가압구(130)를 설치하면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110: 격자프레임 111: 양 종방향프레임
112: 횡방향프레임 113: 프레임고정홀
120: 고정구 121: 고정너트
130: 횡방향가압구
131: 측방쐐기 131a: 측방 경사면
131b: 하부판 131c: 상부수평부
132: 하향식 압착구 132a: 측방 경사면
132b: 하부판 132c: 상부수평부
134: 베이스플레이트 135: 절연플레이트
200: 철도궤도
210: 노반 220: 도상
230: 침목 231: 몸통부
232: 체결장치 233: 고정홀
240: 레일 S: 내측공간

Claims (16)

  1. 양 종방향프레임(111) 내측면에 횡방향프레임(112)이 연결되어 격자형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양 종방향프레임(111)의 양 단부 및 중간부위에 각각 프레임고정홀(113)이 형성된 격자프레임(110); 및 격자프레임(110)의 양 종방향프레임(111)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내측공간(S)에 설치되어, 침목(230)에 고정 설치시킨 상기 격자프레임(110)에 횡방향 가압력을 도입시키는 가압작업이 침목 상부 작업공간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횡방향가압구(130);를 포함하며, 상기 침목(230)에 격자프레임(110)의 고정 설치는, 격자프레임(110)의 프레임고정홀(113)을 관통하여 침목(230)에 형성시킨 고정홀(233)에 체결된 앵커볼트를 포함하는 고정구(120)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구(120)는 침목(230)에 체결되면서 격자프레임(110)에 횡방향가압구(130)가 횡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 종방향프레임(111)은,
    각관을 이용하여 충격하중에 의하여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되,
    다수의 침목(230)에 고정 설치되도록 양 단부 및 중간부에는 수직홀 형태의 프레임고정홀(113)이 형성되도록 하여,
    고정구(120)가 상기 프레임고정홀(113)을 관통하여 침목(230)의 고정홀(233)에 체결되면서, 침목(230)에 격자프레임(110)을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프레임(112)은,
    각관을 이용하여 충격하중에 의하여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되,
    양 종방향프레임(111) 내측면 사이에 연장되도록 하여 격자 형태로 격자프레임(110)이 형성되도록 하게 되며,
    프레임고정홀(113)이 형성되지 않은 양 종방향프레임(111) 내측면 사이의 격자프레임(110) 내측공간(S)에 횡방향가압구(130)가 설치되도록 하는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고정홀(113)은,
    격자프레임(110)을 침목(230)에 고정구(120)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기 위하여 양 종방향프레임(111)에 수직홀 형태로 형성시킨 것으로서,
    침목(230) 상면의 면적, 격자프레임(110)의 단면 크기에 대응하여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도록 하는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가압구(130)는,
    양 측방쐐기(131)가 양 종방향프레임(111) 내측면에 접하도록 설치하고,
    양 측방쐐기(131) 사이에 하향식 압착구(132)를 하강 삽입하는 과정에서 격자프레임(110)을 횡방향 가압하도록 하되,
    상기 하향식 압착구(132)는 고정구(120)를 이용하여 침목(230)에 고정 설치하는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7. 제6항에 있어서,
    양 측방쐐기(131)는 삼각단면의 절편으로서 상부꼭지점에서 하부로 갈수록 경사진 내측면이 서로 내측공간에서 마주보도록 세팅되고,
    상기 양 측방쐐기(131)의 경사진 내측면에 양 측방 경사면(132a)이 접하면서 양 측방 경사면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하부판(132b)이 하향하면서 삽입되는 과정에서 양 측방쐐기(131)를 횡방향으로 가압하는 U형단면의 양 하향식 압착구(132)가 설치되며,
    상기 U형단면의 하향식 압착구(132)의 하부판(132b)은 고정구(120)에 의하여 침목(230)의 고정홀(233)에 체결되어 하향식 압착구(132)가 침목(230) 상면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8. 제6항에 있어서,
    양 측방쐐기(131)는 삼각단면의 절편으로서 상부꼭지점에서 하부로 갈수록 경사진 외측면이 서로 내측공간에서 대향 되도록 세팅하되 베이스플레이트(134) 상면에 설치된 중간지지블록(133) 양 측방에 양 측방쐐기(131)가 일체로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양 측방쐐기(131)의 경사진 외측면에 양 측방 경사면(132a)이 접하면서 중간지지블록(133) 상면에 상부수평부(132c)가 지지되도록 하향하면서 삽입되는 과정에서 횡방향으로 가압되는 ㄱ자형 단면의 양 하향식 압착구(132)가 설치되며,
    상기 ㄱ자형 단면의 양 하향식 압착구(132)의 상부수평부(131c)는 고정구(120)가 관통하여 침목(230)의 고정홀(233)에 체결되어 하향식 압착구(132)가 침목(230) 상면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9. 제6항에 있어서,
    양 측방쐐기(131)는 삼각단면의 절편으로서 상부꼭지점에서 하부로 갈수록 경사진 내측면이 서로 내측공간에서 마주 보도록 세팅하되 베이스플레이트(134) 상면에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양 측방쐐기(131)의 경사진 내측면에 양 측방 경사면(132a)이 접하도록 하향하면서 삽입되는 과정에서 양 측방쐐기(131)를 횡방향으로 가압하는 삽입블록 형태의 양 하향식 압착구(132)가 설치되며,
    상기 삽입블록 형태의 양 하향식 압착구(132)는 고정구(120)에 의하여 침목(230)의 고정홀(233)에 체결되어 하향식 압착구(132)가 침목(230) 상면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10. 제7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침목(230) 상면과 횡방향가압구(130)의 U형단면의 하향식 압착구(132)의 하부판(131b) 사이에 평탄성 및 높이조절을 위하여 베이스플레이트(134)와 절연플레이트(135)가 상,하로 더 설치되도록 하는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11. (a) 침목(230)의 중간부위 상면에 양 종방향프레임(111) 내측면에 횡방향프레임(112)이 연결되어 격자형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양 종방향프레임(111)의 양 단부 및 중간부위에 각각 프레임고정홀(113)이 형성된 격자프레임(110)을 침목(230)에 먼저 고정 설치하는 단계; 및 (b) 상기 격자프레임(110)의 양 종방향프레임(111)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내측공간(S)에 설치되어, 침목(230)에 고정 설치시킨 상기 격자프레임(110)에 횡방향 가압력을 도입시키는 가압작업이 침목 상부 작업공간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횡방향가압구(130)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의 침목(230)에 격자프레임(110)의 고정 설치는, 격자프레임(110)의 프레임고정홀(113)을 관통하여 침목(230)에 형성시킨 고정홀(233)에 체결된 앵커볼트를 포함하는 고정구(120)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구(120)는 침목(230)에 체결되면서 격자프레임(110)에 횡방향가압구(130)가 횡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시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침목(230)은 철도궤도(2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철도궤도(200)는 노반(210)에 자갈블라스트를 포함하는 도상(220)이 형성되어 있고,
    도상(220) 상부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침목(230)이 종방향으로 다수가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하게 되며,
    상기 침목(230) 양 단부 상면에는 체결장치를 통해 양 레일(240)이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것으로서,
    양 레일(240)을 통해 운행되는 열차차륜이 탈선될 경우 일정한 범위에서 제어될 수 있도록 침목(230) 중간부위에서 격자프레임(110)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100)을 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하는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시공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횡방향가압구(130)는,
    양 측방쐐기(131)가 양 종방향프레임(111) 내측면에 접하도록 설치하고, 양 측방쐐기(131) 사이에 하향식 압착구(132)를 하강 삽입하는 과정에서 격자프레임(110)을 횡방향 가압하도록 하되, 상기 하향식 압착구(132)는 고정구(120)를 이용하여 침목(230)에 고정 설치하며,
    양 측방쐐기(131)는 삼각단면의 절편으로서 상부꼭지점에서 하부로 갈수록 경사진 내측면이 서로 내측공간에서 마주보도록 세팅되고,
    상기 양 측방쐐기(131)의 경사진 내측면에 양 측방 경사면(132a)이 접하면서 양 측방 경사면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하부판(132b)이 하향하면서 삽입되는 과정에서 양 측방쐐기(131)를 횡방향으로 가압하는 U형단면의 양 하향식 압착구(132)가 설치되며,
    상기 U형단면의 하향식 압착구(132)의 하부판(132b)은 고정구(120)에 의하여 침목(230)의 고정홀(233)에 체결되어 하향식 압착구(132)가 침목(230) 상면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시공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횡방향가압구(130)는,
    양 측방쐐기(131)가 양 종방향프레임(111) 내측면에 접하도록 설치하고, 양 측방쐐기(131) 사이에 하향식 압착구(132)를 하강 삽입하는 과정에서 격자프레임(110)을 횡방향 가압하도록 하되, 상기 하향식 압착구(132)는 고정구(120)를 이용하여 침목(230)에 고정 설치하며,
    양 측방쐐기(131)는 삼각단면의 절편으로서 상부꼭지점에서 하부로 갈수록 경사진 외측면이 서로 내측공간에서 대향 되도록 세팅하되 베이스플레이트(134) 상면에 설치된 중간지지블록(133) 양 측방에 양 측방쐐기(131)가 일체로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양 측방쐐기(131)의 경사진 외측면에 양 측방 경사면(132a)이 접하면서 중간지지블록(133) 상면에 상부수평부(132c)가 지지되도록 하향하면서 삽입되는 과정에서 횡방향으로 가압되는 ㄱ자형 단면의 양 하향식 압착구(132)가 설치되며,
    상기 ㄱ자형 단면의 양 하향식 압착구(132)의 상부수평부(131c)는 고정구(120)가 관통하여 침목(230)의 고정홀(233)에 체결되어 하향식 압착구(132)가 침목(230) 상면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시공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횡방향가압구(130)는,
    양 측방쐐기(131)가 양 종방향프레임(111) 내측면에 접하도록 설치하고, 양 측방쐐기(131) 사이에 하향식 압착구(132)를 하강 삽입하는 과정에서 격자프레임(110)을 횡방향 가압하도록 하되, 상기 하향식 압착구(132)는 고정구(120)를 이용하여 침목(230)에 고정 설치하며,
    양 측방쐐기(131)는 삼각단면의 절편으로서 상부꼭지점에서 하부로 갈수록 경사진 내측면이 서로 내측공간에서 마주 보도록 세팅하되 베이스플레이트(134) 상면에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양 측방쐐기(131)의 경사진 내측면에 양 측방 경사면(132a)이 접하도록 하향하면서 삽입되는 과정에서 양 측방쐐기(131)를 횡방향으로 가압하는 삽입블록 형태의 양 하향식 압착구(132)가 설치되며,
    상기 삽입블록 형태의 양 하향식 압착구(132)는 고정구(120)에 의하여 침목(230)의 고정홀(233)에 체결되어 하향식 압착구(132)가 침목(230) 상면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시공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양 종방향프레임(111)은,
    각관을 이용하여 충격하중에 의하여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되,
    다수의 침목(230)에 고정 설치되도록 양 단부 및 중간부에는 수직홀 형태의 프레임고정홀(113)이 형성되도록 하여, 고정구(120)가 상기 프레임고정홀(113)을 관통하여 침목(230)의 고정홀(233)에 체결되면서, 침목(230)에 격자프레임(110)을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횡방향프레임(112)은,
    각관을 이용하여 충격하중에 의하여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되, 양 종방향프레임(111) 내측면 사이에 연장되도록 하여 격자 형태로 격자프레임(110)이 형성되도록 하게 되며, 프레임고정홀(113)이 형성되지 않은 양 종방향프레임(111) 내측면 사이의 격자프레임(110) 내측공간(S)에 횡방향가압구(130)가 설치되도록 하는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시공방법.
KR1020210122446A 2021-09-14 2021-09-14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102380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446A KR102380590B1 (ko) 2021-09-14 2021-09-14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446A KR102380590B1 (ko) 2021-09-14 2021-09-14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0590B1 true KR102380590B1 (ko) 2022-03-30

Family

ID=80948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446A KR102380590B1 (ko) 2021-09-14 2021-09-14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59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9203A (ja) 2002-02-13 2003-08-27 Railway Technical Res Inst 鉄道車両軌道逸脱防止装置、及び鉄道車両の軌道逸脱防止方法
KR20110089994A (ko) 2010-02-02 2011-08-10 (주)신성엔지니어링 철도차량용 궤도이탈방지장치
JP4892015B2 (ja) 2009-01-13 2012-03-07 西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車輪逸走防止装置
JP2014020028A (ja) * 2012-07-13 2014-02-03 West Japan Railway Co 軌道逸脱防止装置
JP2014047569A (ja) * 2012-08-31 2014-03-17 Railway Technical Research Institute 線路用逸脱防止ガードの継手構造
KR101401995B1 (ko) 2013-08-29 2014-05-30 (주)네비엔 Pst패널을 이용한 열차궤도 시공방법
KR20190078830A (ko) 2017-12-27 2019-07-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9203A (ja) 2002-02-13 2003-08-27 Railway Technical Res Inst 鉄道車両軌道逸脱防止装置、及び鉄道車両の軌道逸脱防止方法
JP4892015B2 (ja) 2009-01-13 2012-03-07 西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車輪逸走防止装置
KR20110089994A (ko) 2010-02-02 2011-08-10 (주)신성엔지니어링 철도차량용 궤도이탈방지장치
JP2014020028A (ja) * 2012-07-13 2014-02-03 West Japan Railway Co 軌道逸脱防止装置
JP2014047569A (ja) * 2012-08-31 2014-03-17 Railway Technical Research Institute 線路用逸脱防止ガードの継手構造
KR101401995B1 (ko) 2013-08-29 2014-05-30 (주)네비엔 Pst패널을 이용한 열차궤도 시공방법
KR20190078830A (ko) 2017-12-27 2019-07-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elson Recent developments in ground-borne noise and vibration control
US20180148896A1 (en) Support for a panel of a section of guided transport track
KR20190078830A (ko)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101468565B1 (ko) 열차속도 유지용 장치판이 구비된 철도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13201980A (zh) 城市轨道交通用弹性阻尼压缩型高等减振分开式扣件
CN104988816A (zh) 轨道板抬升方法
KR102013389B1 (ko) 탈선방지를 위한 레일구조
KR20130030648A (ko) 철도레일 보강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380590B1 (ko) 격자프레임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CN208379347U (zh) 新型轨道减振器
KR20160117923A (ko) 철도교용 철골철근콘크리트 슬래브 궤도 및 그 시공 방법
US3643864A (en) Railroad grade crossing
KR101262755B1 (ko) 가로보가 일체화된 하로판형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70048B1 (ko) 철도 건널목의 보판
US8919660B2 (en) End restraint for turnout
US4372488A (en) Level crossing for railroad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114717882B (zh) 一种防列车脱轨倾覆全拼装式无砟轨道
JP4587660B2 (ja) 鉄道車両用軌道
RU2328569C1 (ru)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путь для тоннелей
JP2003239204A (ja) 鉄道車両車輪復線装置、及び鉄道車両車輪の復線方法
JP2003239203A (ja) 鉄道車両軌道逸脱防止装置、及び鉄道車両の軌道逸脱防止方法
KR101237006B1 (ko) 철도 분기기 시스템
KR100593194B1 (ko) 합성 수지를 이용한 철도 침목
KR20170138704A (ko) 결합방식의 매립형 궤도
KR100319577B1 (ko) 고무보판 건널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