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8200A -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 Google Patents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8200A
KR20190078200A KR1020170179987A KR20170179987A KR20190078200A KR 20190078200 A KR20190078200 A KR 20190078200A KR 1020170179987 A KR1020170179987 A KR 1020170179987A KR 20170179987 A KR20170179987 A KR 20170179987A KR 20190078200 A KR20190078200 A KR 20190078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gear
shaft
pinion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7136B1 (ko
Inventor
류성문
이현석
김광현
한승호
이용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170179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136B1/ko
Publication of KR20190078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00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50Handling or transporting aircraft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00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10Manufacturing or assembling aircraft, e.g. ji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41Single levers, e.g. parallel l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착물을 적재할 수 있는 받침대(160)가 구비되는 상부측의 받침대 조립체(100)와 저면에 이동바퀴(230)가 구비되는 하부측의 몸체 조립체(200)와 상기 받침대 조립체(100)와 상기 몸체 조립체(200)를 연결하여 상기 받침대 조립체(100)가 상기 몸체 조립체(200)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고 좌우 틸팅 가능하도록 하는 링크기구(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항공기 날개에 외부 장착물을 설치시 받침대의 위치를 전후, 좌우 조정하여 보다 원활하게 외부 장착물을 항공기에 장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LIFTING DEVICE FOR INSTALLATION OF EXTERNAL STORES ONTO AIRCRAFT}
본 발명은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항공기에 미사일 등의 외부 장착물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투기와 같은 군용 항공기에는 동체 외곽의 날개 등에 미사일 등의 외부 장착물이 장착된다. 항공기에 미사일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개별적인 미사일에 대해 탈부착시켜야 한다.
이때, 미사일 등의 외부 장착물은 사람이 들기에는 너무 무겁기 때문에 장착물을 지지하여 이동 및 승하강시킬 수 있는 유압식 또는 전동식 리프트 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종래의 유압식 또는 전동식 리프트 장치는 볼나사, 체인, 와이어를 이용하여 테이블을 승하강시킨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의 전동식 및 유압식 리프트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100)에 올려진 장착물(10)의 하중을 계측하여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테이블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정되게 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6)로 X형 링크를 구동시켜 테이블을 승하강시킨다.
도 2에서 3a,4a,5,7a,8a는 구속된 회전 중심점이며, 3b,4b는 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테이블(1)이 승하강시 구속된 슬라이딩 운동을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2가지 모두 테이블은 바닥면과 수평을 유지하면서 테이블을 승하강시키므로 테이블을 바닥면에 대해 경사지게 기울이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는 항공기를 측면에서 본 경우 좌우가 경사진 날개 구조에 외부 장착물을 설치하는 장치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개발되어 논문 발표되고 특허 출원된 항공기 외장물 장착 장치(등록 제1031872호, 2011.04.21 등록)가 있다. 항공기 외장물 장착 장치는 항공기에 크고 무거운 외부 장착물을 장착하기 위한 용도로 개발된 것이다.
도 3에는 종래의 유압식 리프트 장치(등록 제1031872호)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종래의 항공기 외장물 장착 장치는 2개의 받침대(50)에 외부 장착물을 거치시키고, 견인부(11)를 견인 차량에 연결하여 이동하거나 인력에 의해 조향되며 이동 가능하게 된다.
승강 프레임(20)은 승강 프레임 고정축(21)을 중심으로 핸들(63)을 작동시켜 구현되는 피스톤 로드(미도시)의 신축에 의해 회전되어 적재 프레임(30)을 승하강시키도록 된다.
또한, 적재 프레임(30)은 틸팅 핸들(72)에 의해 작동하는 틸딩바(70)를 신축시킴에 의해 적재 프레임 고정축(31)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좌측과 우측의 받침대(50) 높이가 달라져 좌우가 기울어지게(tilting) 된다.
또한, 레일(40) 위에 놓여 있는 받침대(50)는 개별적으로 레일(4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고정구(52)에 의해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장착물에 따라서 받침대(50) 1개에 장착물을 거치하거나 2개 모두에 거치할 수 있다.
하지만, 받침대(50)는 둥근 평면을 갖는 안착부(51)의 형상 특성과 받침대(50)가 중심에 대해 회전하는 구조를 구비하지 못하므로, 크고 무거운 장착물은 리프트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만 거치 가능하여 리프트 길이 방향과 경사지게 장착물을 거치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의 항공기 외장물 장착 장치는 받침대(50)에 거치된 장착물을 항공기(주로 날개 아래에 장착)에 장착할 경우 리프트의 길이방향과 항공기상의 2개 장착점을 잇는 방향(항공기 날개의 수직 방향)과 일치시켜야 하고, 정확한 장착 위치에 리프트를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리프트를 여러 번 움직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575195호(2015.12.01 등록) 특허문헌 2: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47067호(2005.05.19 공개) 특허문헌 3: 등록특허공보 제1031872호(2011.04.21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받침대의 위치를 전후, 좌우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보다 원활하게 항공기에 미사일 등의 외부 장착물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장착물을 적재할 수 있는 받침대가 구비되는 상부측의 받침대 조립체와 저면에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하부측의 몸체 조립체와 상기 받침대 조립체와 상기 몸체 조립체를 연결하여 상기 받침대 조립체가 상기 몸체 조립체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고 좌우 틸팅 가능하도록 하는 링크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기구는 일단이 상기 받침대 조립체에 제1축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 조립체에 제2축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축에 상기 제2축을 회전시키는 기어수단이 설치된 구동링크와, 일단이 상기 받침대 조립체에 제3축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 조립체에 제4축으로 연결된 종동링크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링크와 상기 종동링크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위치된다.
상기 기어수단은 상기 제2축에 일체로 연결되는 워엄 기어축을 구비하는 워엄 기어와 상기 워엄 기어와 직교한 상태로 맞물리며 나선 형상으로 되는 워엄과 상기 워엄의 워엄 축에 연결되어 상기 워엄을 회전시킬 수 있는 워엄 핸들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링크 또는 상기 종동링크에는 상기 몸체 조립체에 대해 상기 받침대 조립체가 좌우 틸팅 가능하도록 하는 틸팅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틸팅수단은 상기 제2축 또는 제3축에 일체로 연결되는 피니언 축을 구비하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받침대 조립체와 평행하게 위치되게 상기 몸체 조립체에 고정되는 렉 기어와 상기 피니언 축에 연결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는 파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피니언 축이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몸체 조립체에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 축이 통과하는 장공이 형성되는 피니언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피니언 지지프레임의 장공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피니언 축의 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피니언 축에는 수나사가 가공되고 상기 수나사에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기 위한 클러치가 설치된다.
상기 클러치는 금속과 상기 금속에 부착된 마찰 패드로 구성되며, 상기 피니언 축의 수나사에 나사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마찰 패드가 상기 몸체 조립체 또는 피니언 지지프레임에 구비한 마찰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된다.
상기 받침대 조립체에 상기 받침대가 전후, 좌우 직선 이동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받침대 조립체는 상기 링크기구와 연결되는 받침판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된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1 레일 및 제2 레일과 상기 제1 레일과 제2 레일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와 상기 한 쌍의 제1 이동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3 레일과 상기 한 쌍의 제2 이동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4 레일과, 상기 제3 레일과 상기 제4 레일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이동부 및 제4 이동부와, 상기 제3 이동부와 상기 제4 이동부에 각각 회전수단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받침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 이동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 이동부가 제1 내지 제4 레일을 따라 이동한 상태를 고정 또는 해제하는 이동부 고정핸들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제3 및 제4 이동부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며 축공이 형성되는 가이드 홀더와, 상기 가이드 홀더의 축공과 연통되게 상기 받침대에 형성된 받침대공과 상기 가이드 홀더의 축공에 관통 결합되는 받침대 축과, 상기 받침대공과 수직인 위치에서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어 상기 받침대 축에 대한 상기 받침대의 회전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받침대 고정핸들을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는 상부면이 V자 또는 U자로 요입된 구조를 갖는다.
장착물을 적재할 수 있는 받침대가 전후, 좌우 직선 이동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측의 받침대 조립체와 저면에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하부측의 몸체 조립체와 상기 받침대 조립체와 상기 몸체 조립체를 연결하여 상기 받침대 조립체가 상기 몸체 조립체에 대해 기어수단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고 틸팅수단에 의해 좌우 틸팅 가능하도록 된 링크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항공기 날개에 외부 장착물을 설치시 받침대의 위치를 전후, 좌우 조정하여 보다 원활하게 외부 장착물을 항공기에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장착물을 거치하는 받침대 간의 거치 간격도 조정이 가능하여 다양한 외부 장착물을 항공기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대형, 중량물의 외부 장착물용 리프트 장치에 비해 워엄과 피니언 등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장치로 대체하여 소형으로 승하강 및 틸팅(좌우 기울기 조정) 기능을 갖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를 구현할 있어 항공기에 외부 장착물을 장착하는 용도 뿐만 아니라 리프팅과 틸팅 기능이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동식 리프트 장치를 보인 도면.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유압식 리프트 장치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링크기구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4의 받침대 조립체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에서 링크기구 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10)는 상부측의 받침대 조립체(100)와 하부측의 몸체 조립체(200) 및 받침대 조립체(100)와 몸체 조립체(200)를 연결하는 링크기구(300)를 포함한다.
받침대 조립체(100)는 항공기 날개에 장착할 외부 장착물을 적재하기 위한 받침대(160)를 포함한다. 받침대(160)는 외부 장착물을 적재하기 위해 상부면이 V자 또는 U자(반원형)로 요입된 구조를 갖는다. 외부 장착물은 항공기에 장착하는 미사일 등이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받침대 조립체(100)는 장착물을 적재할 수 있는 받침대(160)가 길이방향으로 전후, 좌우 직선 이동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된다. 받침대 조립체(100)는 받침대(160)를 지지하는 가이드홀더(151)를 기준으로 받침대(160)가 전후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된다.
링크기구(300)는 받침대 조립체(100)가 몸체 조립체(200)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고 좌우 틸팅 가능하도록 한다. 링크기구(300)의 승하강은 상부측 받침대 조립체(100)와 하부측 몸체 조립체(200) 사이를 연결하는 구동링크(310)와 종동링크(320)를 양단 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시켜 구현하며, 좌우 틸팅 기능은 구동링크(310) 또는 종동링크(320)의 회전 중심점을 좌우로 이동시켜 구현한다. 받침대 조립체(100)의 승하강과 좌우 틸팅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구동링크(310)와 종동링크(320)는 X자형 구조가 아닌 평행사변형 구조를 갖는다.
몸체 조립체(200)는 육면체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고 전체 구조물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몸체 조립체(200)는 저면에 이동바퀴(230)가 구비된다. 이동바퀴(230)는 브레이크(231)를 구비하여 몸체 조립체(200)가 이동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몸체 조립체(200)는 전체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육면체 프레임(210)과 육면체 프레임(210)의 상부측을 연결하여 링크기구(3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연결 프레임(220)을 포함한다. 연결 프레임(220)은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한 쌍으로 되며, 후술할 렉 기어 및 렉 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피니언 기어의 좌우 이동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간섭방지부(221)를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링크기구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는 도 4의 링크기구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링크기구(300)는 구동링크(310), 종동링크(320), 기어수단(330), 틸팅수단(350)을 포함한다.
구동링크(310)와 종동링크(320)는 각각 바아 형상으로 되고 받침대 조립체(100)와 몸체 조립체(200)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서 상호 나란히 연결하는 한 쌍으로 되며 평행사변형 구조를 갖는다.
구동링크(310)는 일단이 받침대 조립체(100)에 제1축(311)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몸체 조립체(200)에 제2축(미도시)으로 연결된다. 종동링크(320)는 일단이 받침대 조립체(100)에 제3축(321)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몸체 조립체(200)에 제4축(323)으로 연결된다.
실질적으로는, 구동링크(310)의 제1축(311)과 종동링크(320)의 제3축(321)은 받침대 조립체(100)의 받침판 지지프레임(120)에 연결되고. 구동링크(310)의 제2축과 종동링크(320)의 제4축(323)은 몸체 조립체(200)의 연결 프레임(220)에 연결된다. 받침판 지지프레임(120)과 연결 프레임(220)은 상호 평행하게 위치된다.
구동링크(310)의 제2축에 제2축을 회전시키는 기어수단(330)이 설치된다. 기어수단(330)은 제2축을 회전시켜 구동링크(310)를 회전시킨다. 구동링크(310)의 회전시 종동링크(320)도 함께 연동 회전되어 받침대 조립체(100)가 몸체 조립체(200)에 대해 승하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링크(310)의 제2축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받침대 조립체(100)가 몸체 조립체(200)에 대해 하강하고 제2축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받침대 조립체(100)가 승강한다.
기어수단(330)은 구동링크(310)의 제2축에 일체로 설치되는 워엄 기어(331)와 워엄(335)을 포함한다. 구동링크(310)의 제2축에 워엄 기어(331)의 워엄 기어축(333)이 일체로 연결되며, 나선 형상으로 되는 워엄(335)이 워엄 기어(331)와 직교한 상태로 맞물린다.
구동링크(310)의 제2축에 일체로 설치되는 워엄 기어(331)의 워엄 기어축(333)은 제2축에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고 워엄 기어축(333)이 제2축을 대신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축을 별도로 표시하지 않고 워엄 기어축(333)만 표시할 수 있다.
참고로, 제2축에 워엄 기어축(333)이 일체로 연결된 상태는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다. 워엄 기어축(333)은 중공 축으로, 워엄 기어축(333)의 중공에 제2축이 압입식으로 삽입되어 일체로 연결된다. 워엄(335)의 워엄 축(336)에 워엄(335)을 회전시킬 수 있는 워엄 핸들(337)이 연결된다. 워엄 핸들(337)을 파지하고 회전시키면, 워엄(335)의 나선 형상이 회전함에 의해 워엄(335)에 맞물리는 워엄 기어(331)가 회전하게 된다.
워엄(335)은 워엄 축(336)의 양단이 기어 지지프레임(340)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회전 가능하다. 기어 지지프레임(340)은 일면이 연결 프레임(220)에 고정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워엄(335)의 워엄 축(336)은 베어링, 멈춤링 등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게 기어 지지프레임(340)에 설치할 수 있다.
구동링크(310)의 제2축에 제2축을 좌우 이동시키는 틸팅수단(350)이 설치된다.
틸팅수단(350)은 구동링크(310)의 회전 중심축인 제2축을 좌우 이동시켜 받침대 조립체(100)가 몸체 조립체(200)에 대해 좌우로 기울어지는 틸팅이 가능하도록 한다. 제2축에 워엄 기어축(333)이 일체로 연결되므로, 틸팅수단(350)은 워엄 기어축(333)을 좌우 이동시키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틸팅수단(350)은 구동링크(310)의 제2축에 일체로 연결되는 피니언 기어(351)와 피니언 기어(351)와 맞물리는 렉 기어(357)를 포함한다. 구동링크(310)의 제2축에 피니언 기어(351)의 피니언 축(353)이 일체로 연결된다. 실질적으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축을 피니언 축(353)과 일체로 연결하지 않고, 제2축이 피니언 축(353)이 되며 피니언 축(353)이 워엄 기어축(333)의 중공에 관통 삽입되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피니언 축(353)의 일측 끝단에 피니언 기어(351)가 설치된다. 피니언 축(353)은 몸체 조립체(200)에 고정된 렉 기어(357)와 맞물려 좌우 이동할 수 있다. 렉 기어(357)는 제2축 즉, 피니언 축(353)이 회전 중심점만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받침대 조립체(100)와 평행하게 위치되어야 하므로, 받침대 조립체(100)와 평행하게 위치되게 몸체 조립체(200)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피니언 기어(351)와 렉 기어(357)는 피니언 기어(351)가 렉 기어(357)와 맞물려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프레임(220)의 간섭방지부(221)에 위치하고, 렉 기어(357)는 연결 프레임(220)에 설치된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실질적으로, 렉 기어(357)는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의 연결판(370')에 고정 결합된다. 연결판(370)은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의 일부이며, 렉 기어(357)는 연결판(370')의 앞 뒤 2개소에 각각 고정 결합된다(도 5 및 도 7 참조).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은 연결 프레임(220)의 양측으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은 피니언 축(353)이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연결 프레임(220)에 설치되고, 피니언 축(353)이 통과하는 장공(371)이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피니언 축(353)에 연결되어 피니언 기어(351)를 회전시킬 수 있는 파지부(360)를 포함한다.
피니언 축(또는 제2축)(353)은 장공(371)을 관통하여 조립되며 장공(371)을 관통한 피니언 축(353)에 피니언 기어(351)를 회전시킬 수 있는 파지부(360)가 구비된다. 즉, 파지부(360)는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의 장공(371)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피니언 축(353)의 단부에 결합된다. 파지부(360)가 결합되는 피니언 축(353)의 단부에는 파지부(360)와 형합이 되는 홈이 구비되어 파지부(360)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파지부(360)를 회전시켜 피니언 축(353)을 회전시키면 렉 기어(357)와 장공(371)에 의해 피니언 축(353)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장공(371)의 길이에 의해 피니언 축(353)의 좌우 이동량이 정해지고 결과적으로 틸팅 각도가 일정 범위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공(371)의 길이에 따라 틸팅 각도가 0~10 °, -20°~20°범위로 제한될 수 있다.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의 장공(371)을 관통한 피니언 축(353)에는 수나사(355)가 가공되고 수나사(355)에 피니언 기어(351)의 회전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기 위한 클러치(380)가 설치된다.
클러치(380)는 일측이 개구된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금속과 금속에 부착된 마찰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클러치(380)는 중공 부분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피니언 축(353)의 수나사(355)에 나사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마찰 패드가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에 구비한 마찰면(373)에 선택적으로 밀착되어 피니언 기어(351)의 회전 상태를 잠금할 수 있다.
마찰면(373)은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의 외면 일부를 곡선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클러치(380)가 회전하여 마찰 패드 부분이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의 마찰면(373)과 맞닿아 밀착되면 피니언 축(353)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어 좌우 이동이 제한되는 클러치 잠금 상태가 된다. 또한, 클러치(38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마찰 패드 부분이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의 마찰면(373)과 밀착된 상태를 해제시키면 적절한 도구를 사용하거나 인력에 의해 파지부(360)를 회전시켜 피니언 기어(351)가 좌우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피니언 기어(351)의 좌우 이동시 특정 위치에서 클러치(380)를 잠금하면 피니언 축(353)은 임의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다. 클러치(380)는 받침대(160)에 설치된 외부 장착물이나 링크기구(300)의 자중에 의해 피니언 기어(351)가 임의 회전하여 받침대(160)가 틸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링크기구의 승하강 작동 및 틸팅 작동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링크기구(300)는 하부측 몸체 조립체(200)에 대해 회전하는 우측 구동링크(310)에 워엄(335)과 워엄 기어(331)를 설치하고 워엄 핸들(337)을 회전시켜 워엄(335)을 회전시키면 구동링크(310)에 일체로 설치된 워엄 기어(331)의 회전에 의해 링크기구(300)의 높이가 조정된다. 높이가 조정된 링크기구(300)는 워엄(335)과 워엄 기어(331)의 특성으로 인해 원위치로 복귀하지 않고 높이 조정된 위치에서 고정된다.
링크기구(300)의 틸팅 작동은 클러치(380)를 회전시켜 피니언 축(353)의 회전 잠금 상태를 해제한 후 도구나 인력으로 피니언 축(353)을 회전시킴으로써 수행된다. 피니언 축(353)의 회전시 피니언 기어(351)는 렉 기어(357)와 맞물리면서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에 형성한 장공(371)의 길이 범위에서 좌우로 이동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피니언 축(353)에 동심으로 설치된 구동링크(310)의 회전 중심점 즉, 제2축을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받침대(160)가 지면(또는 바닥면)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게(틸팅) 된다.
기어수단(330), 틸팅수단(350)의 작동이 수동 또는 모터의 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받침대 조립체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는 도 4의 받침대 조립체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받침대 조립체(100)는 받침판(110), 제1 내지 제4 레일(131,133,137,139), 제1 내지 제4 이동부(135,136,141,143), 받침대(160), 이동부 고정핸들(170)을 포함한다.
받침대(160)는 제1 내지 제4 레일(131,133,137,139)과 제1 내지 제4 이동부(135,136,141,143)에 의해 전후, 좌우 직선 이동 가능하다. 받침대(160)를 레일(131,133,137,139) 위에 설치하여 전후 좌우 직선 이동이 가능하고, 받침대(160) 자체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110)은 링크기구(300)와 연결되는 받침판 지지프레임(120)의 상부에 고정되는 사각판 형상이다. 받침판(110)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제1 레일(131)과 제2 레일(133)이 설치된다. 제1 레일(131)과 제2 레일(133)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한 쌍으로 된 제1 이동부(135)와 제2 이동부(136)가 각각 설치된다. 한 쌍의 제1 이동부(135)를 제3 레일(137)이 상호 연결하고, 한 쌍의 제2 이동부(136)를 제4 레일(139)이 상호 연결한다. 제3 레일(137)에 제3 레일(137)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3 이동부(141)가 설치되고 제4 레일(139)에 제4 레일(139)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4 이동부(143)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3 이동부(141)와 제4 이동부(143)에 각각 받침대(160)가 설치된다.
제1 레일(131)과 제2 레일(133)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제1 이동부(135)와 제2 이동부(136)는 받침대(160)를 좌우 직선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3 레일(137)을 따라 이동하는 제3 이동부(141)와 제4 레일(139)을 따라 이동하는 제4 이동부(143)는 받침대(160)를 전후 직선 이동시킨다. 여기서, 좌우 직선 이동은 받침판(110)의 길이 방향에 해당하고, 전후 직선 이동은 받침판(110)의 폭 방향에 해당한다. 그에 따라 제1 레일(131)과 제2 레일(133)은 제3 레일(137) 및 제4 레일(139)과 직교하는 위치로 배치된다.
제1 내지 제4 이동부(135,136,141,14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제1 내지 제4 레일(131,133,137,139)을 따라 받침대(160)가 이동한 상태를 고정 또는 해제하는 이동부 고정핸들(170)이 구비된다. 이동부 고정핸들(170)은 회전에 의해 각 레일(131,133,137,139)과 선택적으로 밀착됨으로써 받침대(160)가 각 레일(131,133,137,139)을 이동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받침대(160)는 미사일 등의 외부 장착물 적재가 용이하도록 상부면이 V자 또는 U자로 요입된 구조를 갖는다.
받침대(160)는 제3 이동부(141)와 제4 이동부(143)에 각각 회전수단(15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받침대(160)는 받침대(160)를 지지하는 가이드홀더(151)를 기준으로 회전운동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수단(150)은 가이드 홀더(151), 받침대 축(163), 받침대 고정핸들(165)을 포함한다. 가이드 홀더(151)는 제3 및 제4 이동부(143)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며 축공(153)이 형성된다.
가이드 홀더(151)의 상부면에 받침대(160)가 설치되며, 가이드 홀더(151)에 받침대 축(163)을 매개로 받침대(160)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가이드 홀더(151)에 축공(153)이 형성되며, 받침대 축(163)은 가이드 홀더(151)의 축공(153)과 연통되게 받침대(160)에 형성된 받침대공(161)과 가이드 홀더(151)의 축공(153)에 관통 결합된다.
받침대(160)는 받침대 고정핸들(165)을 구비된다. 받침대 고정핸들(165)은 받침대공(161)과 수직인 위치에서 받침대(160)에 결합되어 받침대 축(163)을 가압함으로써 받침대 축(163)에 대한 받침대(160)의 회전을 고정 또는 해제한다.
받침대(160)는 받침대 축에 베어링으로 지지될 수 있고 받침대 축과 받침대가 면접촉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받침대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가이드 홀더와 받침대 간 일정한 틈새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차를 갖는 받침대 축(163)이 가이어 홀더(151)의 상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게 설치한 후 받침대(160)를 그 단차면까지 조립하여 가이어 홀더(151)의 상면과 받침대(160)의 저면이 일정한 틈새를 갖도록 한다.
받침대의 전후 좌우 직선 이동과 회전 작동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받침대(160)의 전후 직선 이동은 이동부 고정핸들(170)을 회전시켜 이동부(135,136,141,143)가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 상태에서 받침대(160)를 파지하고 제3 이동부(141)가 제3 레일(137)을 따라 이동되게 하거나 제4 이동부(143)가 제4 레일(139)을 따라 이동되게 하는 것에서 구현 가능하다.
그리고, 받침대(160)의 좌우 직선 이동은 제3 레일(137) 및 제4 레일(139)을 파지하고 제3 레일(137)의 제1 이동부(135)가 제1 레일(131)과 제2 레일(133)을 따라 이동되게 하거나 제2 이동부(136)가 제1 레일(131)과 제2 레일(133)을 따라 이동되게 하는 것에서 구현 가능하다.
받침대(160)가 이동된 상태는 각 이동부 고정핸들(170)을 전술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역회전시켜 각 이동부(135,136,141,143)가 이동한 상태를 고정함에 의해 가능하다.
받침대(160)의 회전 작동은 받침대 고정핸들(165)을 회전시켜 받침대 고정핸들(165)의 단부가 받침대 축(163)에 가압 밀착된 상태를 해제한 후 받침대(160)를 파지하고 회전시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1개의 받침대에 대해 다른 1개의 받침대가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여 외부 장착물을 받치는 지지점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크기와 길이의 외부 장착물을 받침대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2개의 받침대가 각각 회전함으로써 받침판의 길이 방향에 대해 외부 장착물의 종축을 경사지게 둘 수 있다. 그 결과 외부 장착물을 항공기에 설치시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전체를 움직이지 않고 항공기와 외부 장착물 간의 정확한 결합 위치에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받침대의 전후 좌우 직선 이동 및 회전 작동은 레일 및 받침대 축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와 같은 부품들을 활용하여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직선 운동은 볼 나사, 볼 부시, LM 가이드, 가이드 레일, 베어링, 스토퍼, 고정구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회전 작동은 베어링, 회전축, 베어링 커버(씰 포함), 베어링 너트 등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받침대 모두가 이동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나 1개는 고정하고 다른 하나의 받침대만 이동 가능하게 구현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실시예는 기어수단(330)과 틸팅수단(350)을 구동링크(310)에 설치하여 승하강과 틸팅 기능을 구동링크(310)에서 모두 구현한다. 그러나 구동링크(310)에서 승하강 기능을 구현하고 종동링크(320)에서 틸팅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그 다른 실시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에서 링크기구 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다른 실시예는 구동링크(310)의 제2축(313)에 제2축(313)을 회전시키는 기어수단(330)이 설치되고, 종동링크(320)의 제4축(323)에 제4축(323)을 좌우 이동시키는 틸팅수단(350)이 설치된다.
기어수단(330)은 제2축(313)을 회전시켜 구동링크(310)를 회전시킨다. 구동링크(310)의 회전시 종동링크(320)도 함께 연동 회전되어 받침대 조립체(100)가 몸체 조립체(200)에 대해 승하강할 수 있다.
기어수단(330)은 구동링크(310)의 제2축(313)에 일체로 설치되는 워엄 기어(331)와 워엄(335)을 포함한다. 구동링크(310)의 제2축(313)에 워엄 기어(331)의 워엄 기어축(333)이 일체로 연결되며, 나선 형상으로 되는 워엄(335)이 워엄 기어(331)와 직교한 상태로 맞물린다.
워엄 기어축(333)은 중공 축으로 워엄 기어축(333)의 중공에 제2축(313)이 삽입되어 일체로 연결된다. 워엄(335)의 워엄 축(336)에 워엄(335)을 회전시킬 수 있는 워엄 핸들(337)이 연결된다. 워엄 핸들(337)을 파지하고 회전시키면, 워엄(335)의 나선 형상이 회전함에 의해 워엄(335)에 맞물리는 워엄 기어(331)가 회전하게 된다.
워엄(335)은 워엄 축(336)의 양단이 기어 지지프레임(340)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회전 가능하다. 기어 지지프레임(340)은 일면이 연결 프레임(220)에 고정된다.
틸팅수단(350)은 회전 중심축인 제4축(323)을 좌우 이동시켜 받침대 조립체(100)가 몸체 조립체(200)에 대해 좌우로 기울어지는 틸팅이 가능하도록 한다. 제4축(323)에 피니언 축(353)이 일체로 연결되므로, 틸팅수단(350)은 피니언 축(353)을 좌우 이동시키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틸팅수단(350)은 종동링크(320)의 제4축(323)에 일체로 연결되는 피니언 기어(351)와 피니언 기어(351)와 맞물리는 렉 기어(357)를 포함한다. 종동링크(320)의 제4축(323)에 피니언 기어(351)의 피니언 축(353)이 일체로 연결된다. 실질적으로는 제4축(323)을 피니언 축(353)과 일체로 연결하지 않고, 제4축(323)이 피니언 축(353)이 될 수 있다.
피니언 축(353)의 일측 끝단에 피니언 기어(351)가 설치된다. 피니언 기어(351)는 몸체 조립체(200)에 고정된 렉 기어(357)와 맞물려 좌우 이동할 수 있다. 렉 기어(357)는 제4축 즉, 피니언 축(353)이 회전 중심점만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받침대 조립체(100)와 평행하게 위치되어야 하므로, 받침대 조립체(100)와 평행하게 위치되게 몸체 조립체(200)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피니언 기어(351)와 렉 기어(357)는 피니언 기어(351)가 렉 기어(357)와 맞물려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몸체 조립체(200)의 연결 프레임(220)의 간섭방지부(221)에 위치하고, 렉 기어(357)는 연결 프레임(220)에 설치된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은 연결 프레임(220)의 양측으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은 피니언 축(353)이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연결 프레임(220)에 설치되고, 피니언 축(353)이 통과하는 장공(371)이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피니언 축(353)에 연결되어 피니언 기어(351)를 회전시킬 수 있는 파지부(360)를 포함한다.
피니언 축(또는 제4축)(353)은 장공(371)을 관통하여 조립되며 장공(371)을 관통한 피니언 축(353)에 피니언 기어(351)를 회전시킬 수 있는 파지부(360)가 구비된다. 즉, 파지부(360)는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의 장공(371)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피니언 축(353)의 단부에 결합된다. 파지부(360)가 결합되는 피니언 축(353)의 단부에는 파지부(360)와 형합이 되는 홈이 구비되어 파지부(360)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파지부(360)를 회전시켜 피니언 축(353)을 회전시키면 렉 기어(357)와 장공(371)에 의해 피니언 축(353)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장공(371)의 길이에 의해 피니언 축(353)의 좌우 이동량이 정해지고 결과적으로 틸팅 각도가 일정 범위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공의 길이에 따라 받침대 조립체(100)의 틸팅 각도가 0~10 °, -20°~20°범위로 제한될 수 있다.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의 장공(371)을 관통한 피니언 축(353)에는 수나사(355)가 가공되고 수나사(355)에 피니언 기어(351)의 회전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기 위한 클러치(380)가 설치된다.
클러치(380)는 일측이 개구된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금속과 금속에 부착된 마찰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클러치(380)는 중공 부분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피니언 축(353)의 수나사(355)에 나사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마찰 패드가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에 구비한 마찰면(373)에 선택적으로 밀착되어 피니언 기어(351)의 회전 상태를 잠금할 수 있다.
마찰면(373)은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의 외면 일부를 곡선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클러치(380)가 회전하여 마찰 패드 부분이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의 마찰면(373)과 맞닿아 밀착되면 피니언 축(353)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어 좌우 이동이 제한되는 클러치 잠금 상태가 된다. 또한, 클러치(380)를 회전하여 마찰 패드 부분이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의 마찰면(373)과 밀착된 상태를 해제시키면 적절한 도구를 사용하거나 인력에 의해 파지부(360)를 회전시켜 피니언 기어(351)가 좌우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피니언 기어(351)의 좌우 이동시 특정 위치에서 클러치(380)를 잠금하면 피니언 축(353)은 임의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다. 클러치(380)는 받침대(160)에 설치된 외부 장착물이나 링크기구(300)의 자중에 의해 피니언 기어(351)가 임의 회전하여 받침대(160)가 틸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다른 실시예의 경우, 구동링크(310)에 받침대 조립체(100)의 승하강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워엄(335)과 워엄 기어(331)를 설치하고, 종동링크(320)에 틸팅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피니언 기어(351)와 렉 기어(357), 클러치(380)를 설치한 것이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 받침대(160)의 전후, 좌우 및 회전 기능은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는 항공기 날개에 외부 장착물을 설치시, 받침대에 외부 장착물을 거치(또는 결박장치로 고정)시킨 후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이후 '장착 장치'라 칭함)를 항공기 날개 아래로 이동시키고, 이동바퀴의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장착 장치를 고정시킨다.
이때, 장착 장치는 항공기 날개 아래의 구조물과의 간섭이나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높이를 최저 높이로 조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후, 워엄 핸들(337)을 회전시켜 장착 장치(10)의 받침대 조립체(100)를 적당한 높이로 승강시키고, 클러치(380)의 잠금 해제 후 파지부(360)를 회전시켜 항공기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항공기 날개의 좌우 경사진 각도만큼 받침대 조립체(100)를 좌우가 경사지게 조정하여 장착물의 암-수 커넥터 연결 작업 및 기계적 결합장치 결합 작업 등을 수행한다.
이때, 종래의 리프트 장치는 외부 장착물과 항공기 간의 정확한 결합 위치에 리프트 장치가 놓이지 않을 경우 리프트 장치 전체를 이동시켜 외부 장착물과 항공기 간의 정확한 결합 위치를 맞추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장착 장치(10) 전체를 이동시키지 않고 승하강, 틸팅 기능 등을 통해 정확한 결합 위치를 맞출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항공기 날개에 외부 장착물을 설치시 받침대(160)의 위치를 전후, 좌우 조정하여 보다 원활하게 외부 장착물을 항공기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착물을 거치하는 받침대(160) 간의 거치 간격도 조정이 가능하여 다양한 외부 장착물을 항공기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대형, 중량물의 외부 장착물용 리프트 장치에 비해 워엄과 피니언 등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장치로 대체하여 소형으로 리프팅(승하강) 및 틸팅(좌우 기울기 조정) 기능을 갖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를 구현할 있어 항공기에 외부 장착물을 장착하는 용도 뿐만 아니라 리프팅과 틸팅 기능이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100: 받침대 조립체
110: 받침판 120: 받침판 지지프레임
131,133: 제1 및 제2 레일 135,136: 제1 및 제2 이동부
137,139: 제3 및 제4 레일 141,143: 제3 및 제4 이동부
150: 회전수단 151: 가이드 홀더
153: 축공 160: 받침대
161: 받침대공 163: 받침대 축
165: 받침대 고정핸들 170: 이동부 고정핸들
200: 몸체 조립체 210: 육면체 프레임
220: 연결 프레임 221: 간섭방지부
230: 이동바퀴 231: 브레이크
300: 링크기구 310: 구동링크
311: 제1축 313: 제2축
320: 종동링크 321: 제3축
323: 제4축 330: 기어수단
331: 워엄 기어 333: 워엄 기어축
335: 워엄 336: 워엄 축
337: 워엄 핸들 340: 기어 지지프레임
350: 틸팅수단 351: 피니언 기어
353: 피니언 축 355: 수나사
357: 렉 기어 360: 파지부
370: 피니언 지지프레임 371: 장공
373: 마찰면 380: 클러치

Claims (20)

  1. 장착물을 적재할 수 있는 받침대가 구비되는 상부측의 받침대 조립체;
    저면에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하부측의 몸체 조립체; 및
    상기 받침대 조립체와 상기 몸체 조립체를 연결하여 상기 받침대 조립체가 상기 몸체 조립체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고 좌우 틸팅 가능하도록 하는 링크기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일단이 상기 받침대 조립체에 제1축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 조립체에 제2축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축에 상기 제2축을 회전시키는 기어수단이 설치된 구동링크와;
    일단이 상기 받침대 조립체에 제3축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 조립체에 제4축으로 연결된 종동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링크와 상기 종동링크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어수단은
    상기 제2축에 일체로 연결되는 워엄 기어축을 구비하는 워엄 기어;
    상기 워엄 기어와 직교한 상태로 맞물리며 나선 형상으로 되는 워엄; 및
    상기 워엄의 워엄 축에 연결되어 상기 워엄을 회전시킬 수 있는 워엄 핸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링크 또는 상기 종동링크에는
    상기 몸체 조립체에 대해 상기 받침대 조립체가 좌우 틸팅 가능하도록 하는 틸팅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틸팅수단은
    상기 제2축 또는 제3축에 일체로 연결되는 피니언 축을 구비하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받침대 조립체와 평행하게 위치되게 상기 몸체 조립체에 고정되는 렉 기어; 및
    상기 피니언 축에 연결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는 파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축이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몸체 조립체에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 축이 통과하는 장공이 형성되는 피니언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피니언 지지프레임의 장공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피니언 축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축에는 수나사가 가공되고 상기 수나사에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기 위한 클러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금속과 상기 금속에 부착된 마찰 패드로 구성되며,
    상기 피니언 축의 수나사에 나사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마찰 패드가 상기 몸체 조립체 또는 피니언 지지프레임에 구비한 마찰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조립체에 상기 받침대가 전후, 좌우 직선 이동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조립체는
    상기 링크기구와 연결되는 받침판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된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1 레일 및 제2 레일;
    상기 제1 레일과 제2 레일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
    상기 한 쌍의 제1 이동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3 레일;
    상기 한 쌍의 제2 이동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4 레일;
    상기 제3 레일과 상기 제4 레일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이동부 및 제4 이동부; 및
    상기 제3 이동부와 상기 제4 이동부에 각각 회전수단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이동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 이동부가 제1 내지 제4 레일을 따라 이동한 상태를 고정 또는 해제하는 이동부 고정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제3 및 제4 이동부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며 축공이 형성되는 가이드 홀더;
    상기 가이드 홀더의 축공과 연통되게 상기 받침대에 형성된 받침대공과 상기 가이드 홀더의 축공에 관통 결합되는 받침대 축; 및
    상기 받침대공과 수직인 위치에서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어 상기 받침대 축에 대한 상기 받침대의 회전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받침대 고정핸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부면이 V자 또는 U자로 요입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15. 장착물을 적재할 수 있는 받침대가 전후, 좌우 직선 이동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측의 받침대 조립체;
    저면에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하부측의 몸체 조립체; 및
    상기 받침대 조립체와 상기 몸체 조립체를 연결하여 상기 받침대 조립체가 상기 몸체 조립체에 대해 기어수단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고 틸팅수단에 의해 좌우 틸팅 가능하도록 된 링크기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받침대 조립체와 상기 몸체 조립체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서 상호 나란히 연결하는 구동링크와 종동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기어수단은
    상기 구동링크에 일체로 연결되는 워엄 기어축을 구비하는 워엄 기어;
    상기 워엄 기어와 직교한 상태로 맞물리며 나선 형상으로 되는 워엄; 및
    상기 워엄의 워엄 축에 연결되어 상기 워엄을 회전시킬 수 있는 워엄 핸들;
    을 포함하며,
    상기 워엄 핸들의 회전시 상기 받침대 조립체가 상기 몸체 조립체에 대해 승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틸팅수단은
    상기 구동링크 또는 상기 종동링크에 일체로 연결되는 피니언 축을 구비하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받침대 조립체와 평행하게 위치되게 상기 몸체 조립체에 고정되는 렉 기어;
    상기 피니언 축에 연결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는 파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의 회전시 상기 받침대 조립체가 좌우로 기울어지는 틸팅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축에는 수나사가 가공되고 상기 수나사에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을 잠금 또는 해제하기 위한 클러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20.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조립체는
    상기 링크기구와 연결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1 레일 및 제2 레일;
    상기 제1 레일과 제2 레일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
    상기 한 쌍의 제1 이동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3 레일;
    상기 한 쌍의 제2 이동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4 레일;
    상기 제3 레일과 상기 제4 레일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이동부 및 제4 이동부; 및
    상기 제3 이동부와 상기 제4 이동부에 각각 회전수단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KR1020170179987A 2017-12-26 2017-12-26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KR102017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987A KR102017136B1 (ko) 2017-12-26 2017-12-26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987A KR102017136B1 (ko) 2017-12-26 2017-12-26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200A true KR20190078200A (ko) 2019-07-04
KR102017136B1 KR102017136B1 (ko) 2019-09-02

Family

ID=67259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987A KR102017136B1 (ko) 2017-12-26 2017-12-26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136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9013A (zh) * 2019-08-19 2019-12-20 沈阳宝通门业有限公司 一种适用于固定式平尾坞的升降调节支架
CN111056038A (zh) * 2019-12-05 2020-04-24 南京熊猫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无人机起落架的组装设备
KR20210013436A (ko) * 2019-07-25 2021-02-04 주식회사 한화 유도탄 회전 지지대 및 이를 구비한 유도탄 조립대
KR102213070B1 (ko) 2020-10-12 2021-02-05 드래곤모터스 주식회사 항공무장차량
CN112874813A (zh) * 2021-03-05 2021-06-01 贵州航天风华精密设备有限公司 航天飞行器装填用弹体支撑架
CN114569320A (zh) * 2020-11-30 2022-06-03 喜来健株式会社 按摩装置
KR20220086072A (ko) * 2020-12-16 2022-06-2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비행체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KR102422123B1 (ko) * 2021-10-20 2022-07-20 베스트모션 주식회사 전동실린더구동장치 조립 치구 및 이를 포함하는 싱크로전동실린더구동시스템
CN114977001A (zh) * 2022-06-21 2022-08-30 国网山东省电力公司烟台供电公司 一种电力检修的攀登架安全装置
WO2022267376A1 (zh) * 2021-06-21 2022-12-29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动车组设备舱转运安装平台及方法
KR102515651B1 (ko) * 2022-11-15 2023-03-29 주식회사 청진 선박적재 리드라인 제작전용 이동식 리프팅 및 얼라이먼트 자동화장치
CN117226789A (zh) * 2023-11-13 2023-12-15 哈尔滨安宇迪航空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无人机轻量化机体工装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464B1 (ko) * 2022-06-23 2022-12-06 한화시스템(주) 항공기 외장장비 장착용 트롤리 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365A (ko) * 2000-10-09 2002-04-17 김병화 권취용 지관의 탈,장착용 샤프트 이동장치
KR20050047067A (ko) 2005-04-30 2005-05-19 한성물류운반기계(주) 테이블 리프트
KR100713217B1 (ko) * 2006-09-14 2007-05-02 국방과학연구소 유도탄 조립대
KR20100018844A (ko) * 2008-08-07 2010-02-1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체의 조립작업을 위한 달리
KR20110018607A (ko) * 2009-08-18 2011-02-24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7축 제어 장치
KR101031872B1 (ko) 2010-08-02 2011-05-0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항공기 외장물 장착 장치
KR20120107320A (ko) * 2011-03-21 2012-10-02 노경택 시스템 동바리 이동장치
KR101575195B1 (ko) 2015-10-20 2015-12-07 (주)밀성씨앤티 테이블 리프트
KR20160107811A (ko) * 2015-03-05 2016-09-19 국방과학연구소 항공기용 임무장비의 장착 및 분리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365A (ko) * 2000-10-09 2002-04-17 김병화 권취용 지관의 탈,장착용 샤프트 이동장치
KR20050047067A (ko) 2005-04-30 2005-05-19 한성물류운반기계(주) 테이블 리프트
KR100713217B1 (ko) * 2006-09-14 2007-05-02 국방과학연구소 유도탄 조립대
KR20100018844A (ko) * 2008-08-07 2010-02-1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체의 조립작업을 위한 달리
KR20110018607A (ko) * 2009-08-18 2011-02-24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7축 제어 장치
KR101031872B1 (ko) 2010-08-02 2011-05-0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항공기 외장물 장착 장치
KR20120107320A (ko) * 2011-03-21 2012-10-02 노경택 시스템 동바리 이동장치
KR20160107811A (ko) * 2015-03-05 2016-09-19 국방과학연구소 항공기용 임무장비의 장착 및 분리를 위한 장치
KR101575195B1 (ko) 2015-10-20 2015-12-07 (주)밀성씨앤티 테이블 리프트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3436A (ko) * 2019-07-25 2021-02-04 주식회사 한화 유도탄 회전 지지대 및 이를 구비한 유도탄 조립대
CN110589013B (zh) * 2019-08-19 2024-04-02 沈阳宝通门业有限公司 一种适用于固定式平尾坞的升降调节支架
CN110589013A (zh) * 2019-08-19 2019-12-20 沈阳宝通门业有限公司 一种适用于固定式平尾坞的升降调节支架
CN111056038A (zh) * 2019-12-05 2020-04-24 南京熊猫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无人机起落架的组装设备
CN111056038B (zh) * 2019-12-05 2021-09-21 南京熊猫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无人机起落架的组装设备
KR102213070B1 (ko) 2020-10-12 2021-02-05 드래곤모터스 주식회사 항공무장차량
CN114569320A (zh) * 2020-11-30 2022-06-03 喜来健株式会社 按摩装置
CN114569320B (zh) * 2020-11-30 2024-04-05 喜来健株式会社 按摩装置
KR20220086072A (ko) * 2020-12-16 2022-06-2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비행체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CN112874813A (zh) * 2021-03-05 2021-06-01 贵州航天风华精密设备有限公司 航天飞行器装填用弹体支撑架
CN112874813B (zh) * 2021-03-05 2024-05-10 贵州航天风华精密设备有限公司 航天飞行器装填用弹体支撑架
WO2022267376A1 (zh) * 2021-06-21 2022-12-29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动车组设备舱转运安装平台及方法
KR102422123B1 (ko) * 2021-10-20 2022-07-20 베스트모션 주식회사 전동실린더구동장치 조립 치구 및 이를 포함하는 싱크로전동실린더구동시스템
CN114977001B (zh) * 2022-06-21 2023-08-29 国网山东省电力公司烟台供电公司 一种电力检修的攀登架安全装置
CN114977001A (zh) * 2022-06-21 2022-08-30 国网山东省电力公司烟台供电公司 一种电力检修的攀登架安全装置
KR102515651B1 (ko) * 2022-11-15 2023-03-29 주식회사 청진 선박적재 리드라인 제작전용 이동식 리프팅 및 얼라이먼트 자동화장치
CN117226789A (zh) * 2023-11-13 2023-12-15 哈尔滨安宇迪航空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无人机轻量化机体工装
CN117226789B (zh) * 2023-11-13 2024-01-26 哈尔滨安宇迪航空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无人机轻量化机体工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136B1 (ko) 201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8200A (ko)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CA2924794C (en) Lightweight telescoping camera crane
US10146108B2 (en) Balanced camera slider
US20070069190A1 (en) Equipment handling apparatus
CA2979143C (en) Balanced camera slider
US10151966B2 (en) Balanced camera slider
CA2488331A1 (en) Quick crank adjustable height table
US20160271430A1 (en) Self-standing fall arrest system
WO2017088251A1 (zh) 一种并联悬吊平台偏载调整机构及方法
KR20160125749A (ko)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
US20110192680A1 (en) Adjustable tree stand
CN107830358B (zh) 用于加速器电动调节支架的控制装置
CN210476115U (zh) 前悬弹簧和减震器压缩装置
KR101487459B1 (ko)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
US10874209B1 (en) Expandable and contractable suspended storage device
US7143998B1 (en) Vibration absorber jack
CN104528607B (zh) 一种桥式作业平台的平台总成
JP6816641B2 (ja) 車両のリフト装置
CN210476828U (zh) 螺母安装装置
GB2077223A (en) Apparatus for lifting and supporting articles, e.g. plaster-board panels
US10792203B2 (en) Mechanical manipulator arm
CN105314005A (zh) 汽车仪表盘试制工装及使用其试制样车的方法
CN112338866A (zh) 螺母安装装置
KR102513616B1 (ko) 석고 몰드 이동용 기중기
JP6903377B2 (ja) 取付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