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8844A - 위성체의 조립작업을 위한 달리 - Google Patents

위성체의 조립작업을 위한 달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8844A
KR20100018844A KR1020080077541A KR20080077541A KR20100018844A KR 20100018844 A KR20100018844 A KR 20100018844A KR 1020080077541 A KR1020080077541 A KR 1020080077541A KR 20080077541 A KR20080077541 A KR 20080077541A KR 20100018844 A KR20100018844 A KR 20100018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support
lower platform
satellit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7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8142B1 (ko
Inventor
우성현
임혁순
김진희
문홍열
천용식
이상률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77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8142B1/ko
Publication of KR20100018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8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5/00Ground equipment for vehicles, e.g. starting towers, fuel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00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인공위성의 조립작업시에 작업자의 접근성과 작업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위성체의 조립작업을 위한 달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성체의 조립작업에 사용되는 달리(Dolly)는 하판 및 상기 하판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끝단에 지지수단 및 이동수단을 구비한 복수의 지지구조를 구비한 하부플랫폼, 및 상기 하부 플랫폼 위에 배치되어, 위성체의 적어도 일부 부품을 수용하여 작업자가 접근할 수 있는 접근홀이 구비된 상부 플랫폼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달리는 이동 및 고정이 모두 용이하여 주변 조립지원 장비와의 연계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구성이 비교적 단순하여 제작 및 설비 보수가 용이하고, 인공위성체의 전부위에 대한 작업자의 접근성이 보장되어 안전하고 효율적인 조립작업을 수행하는데 용이하다.
달리, 인공위성체, 조립작업, 접근성

Description

위성체의 조립작업을 위한 달리{Advanced Spacecraft Integration Dolly}
본 발명은 중대형 위성체의 조립작업을 위한 달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위성체의 조립 작업시에 작업자의 접근성, 안전성, 편리성, 작업 연계성 및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달리에 관한 것이다.
인공위성은 고도의 정밀도와 안전성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인공위성에 탑재되는 부품들도 민감하고 고가의 부품 등이 사용되며, 탑재되는 부품의 수도 점차 증가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인공위성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인공위성체의 전부위에 대한 접근성이 보장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작업자가 작업하기 편한 자세로 정밀한 부품을 조립하여야 정밀히 조립이 되는 것이며, 또한 조립작업의 효율성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따라 위성체의 조립작업을 위하여 조립 지원용 장비를 사용하게 되는데, 조립 지원용 장비는 위성체 및 작업자에 대한 안전성이 보장되면서도, 위성체에 탑재되는 각종 정밀 부품들이 정확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위성체를 이동할 수 있는 달리(Dolly)가 개발되어 있다.
하지만, 기존의 달리는 위성체 작업부위로의 접근성이 불량하고, 주변 조립지원 장비의 연계성이 떨어져서 작업자의 조립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위성체의 조립 작업시에 작업자의 접근성, 안전성, 편리성 및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달리에 대한 연구 개발이 시급한 시점이라 하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인공위성체의 전부위에 대한 작업자의 접근성이 보장되는 인공위성체의 조립작업을 위한 달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이 비교적 단순하여 제작 및 설비 보수가 용이한 인공위성체의 조립작업을 위한 달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을 위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 조립지원 장비의 연계성이 높은 달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성체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실험과 조립을 할 수 있는 달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성체의 조립작업에 사용되는 달리(Dolly)는 하판 및 상기 하판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끝단에 지지수단 및 이동수단을 구비한 복수의 지지구조를 구비한 하부플랫폼, 및 상기 하부 플랫폼 위에 배치되어, 위성체의 적어도 일부 부품을 수용하여 작업자가 접근할 수 있는 접근홀이 구비된 상부 플랫폼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수단은 핸들이 구비되어 높낮이가 상하로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수단은 특정위치에서 핀이나 후크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플랫폼과 하부 플랫폼은 선택적으로 탈착이 가능하며, 상기 하판은 사각기 둥, 육각기둥, 팔각기둥, 판형상 중 어느 한 모양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성체의 조립작업에 사용되는 달리(Dolly)는 하부 플랫폼, 상기 하부 플랫폼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플랫폼 하부에 구비된 바퀴, 상기 하부 플랫폼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 플랫폼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하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지지수단, 및 상기 하부 플랫폼 위에 구비되며, 인공위성 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 및 작업자가 접근할 수 있는 접근홀이 구비된 상부 플랫폼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플랫폼은 사각형 형태의 판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지지수단은 특정위치에서 핀이나 후크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상부 플랫폼과 하부 플랫폼은 선택적으로 탈착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 플랫폼은 수직으로 형성된 지지기둥. 및 상기 지지기둥을 가로질러 구비된 지지판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판 위에는 위성 조립체의 부품이나 조립공구를 수납할 수 있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본 발명의 달리는 이동 및 고정이 모두 용이하여 주변 조립지원 장비와의 연계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구성이 비교적 단순하여 제작 및 설비 보수가 용이하고, 인공위성체의 전부위에 대한 작업자의 접근성이 보장되어 안전하고 효율적인 조립작업을 수행하는데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위성체의 전부위에 대한 작업자의 접근성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달리는 구성이 비교적 단순하여 제작 및 설비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을 위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 조립지원 장비의 연계성이 높은 달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위성체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실험과 조립을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성체 조립작업을 위한 달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리(10)는 하부 플랫폼(100) 및 상부 플랫폼(200)으로 구성된다.
하부 플랫폼(100)에는 하판(11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하판(110)으로부터 4개의 지지구조(120, 130, 140, 150)가 연장되어 있다. 상기 지지구조(120, 130, 140, 150)에 대하여, 본 발명은 4개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3개 혹은 5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구조(120, 130, 140, 150)는 그 끝단에 바퀴와 같은 이동수단(121, 131, 141, 151)과, 지지수단(122, 132, 142, 15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이동수단(121, 131, 141, 151)은 바퀴 형태로서, 본 달리(1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지구조(120, 130, 140, 150)에 바퀴 형태의 이동수단(121, 131, 141, 151)이 각각 하나씩 구비된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지지구조(120, 130, 140, 150)에 각각 2개 이상의 바퀴가 구비된 것도 포함한다.
지지수단(122, 132, 142, 152)은 본 달리(10)를 바닥에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지지수단(122, 132, 142, 152)은 핸들(123, 133, 143)이 구비되어 높낮이가 상하로 조절되도록 구비되며, 이동수단(121, 131, 141, 151)이 공중으로 부양되도록 달리(10)를 전체적으로 띄우게 된다. 지지수단(122, 132, 142, 152)은 후크나 핀 등으로 고정할 수 있어서, 안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달리(10)를 바닥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부 플랫폼(200)은 상기 하부 플랫폼(100)위에 탑재된다. 상기 상부 플랫폼(200)은 상기 하부 플랫폼(10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탈착이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부 플랫폼(200)은 대략적으로 속이 빈 육각기둥 형태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기둥이나 팔각 기둥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랫폼(200)은 복수의 지지기둥(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기둥(210)을 가로질러서 지지판(220)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220) 위에는 인공위성 조립체의 부품이나 조립공구 등이 놓일 수 있다. 다만, 지지판(220)위에 놓이는 부품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크기가 큰 인성위성체의 조립품이 놓일 수 도 있다.
상부 플랫폼(200)의 내부에는 인공위성 조립체가 수용된다. 즉, 지지기둥(210)이 형성된 내부에 인공위성체가 놓여서 조립작업이 수행되게 되며, 지지기둥(210)의 사이에는 접근홀(230)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접근홀(230)을 통하여 작업자가 인공위성 조립체에 접근하여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지지판(220) 위에 놓은 위성체의 부품이나 공구를 사용하여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지지판(220) 위를 접근하거나, 인공위성 조립체가 위치한 공간에 접근하기 위하여는 보조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는 사다리 등이 이용되어 본 발명에 따른 발리가 활용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종류의 사다리(310) 또는 받침대(320) 등을 이용하여 인공위성 조립체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부 플랫폼(200)은 외부로 연장된 부분이 없기 때문에, 작업자의 접근성이 용이하고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하부 플랫폼(100)의 하판(110)은 본 발명에서는 육각형 형태의 판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부 플랫폼(100)의 하판(110)은 팔각형 형태의 판일 수도 있고, 사각형 형태의 판일 수도 있다. 이러한 예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110)이 사각형 모양일 경우, 상부 플랫폼 의 형상은 이에 상응되도록 사각기둥 형상일 수도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 기둥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달리는 이동 및 고정이 모두 용이하여 주변 조립지원 장비와의 연계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구성이 비교적 단순하여 제작 및 설비 보수가 용이하고, 인공위성체의 전부위에 대한 작업자의 접근성이 보장되어 안전하고 효율적인 조립작업을 수행하는데 용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성체 조립작업을 위한 달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사다리 등이 이용되어 본 발명에 따른 달리가 활용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하부 플랫폼의 모양이 변화된 변형 실시예에 따른 달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달리 100:하부 플랫폼
110: 하판 120, 130, 140, 150:지지구조
121, 131, 141, 151:이동수단 122, 132, 142, 152:지지수단
123, 133, 143: 핸들 200: 상부 플랫폼
210:지지기둥 220:지지판
230:접근홀

Claims (10)

  1. 위성체의 조립작업에 사용되는 달리(Dolly)에 있어서,
    하판 및 상기 하판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끝단에 지지수단 및 이동수단을 구비한 복수의 지지구조를 구비한 하부플랫폼; 및
    상기 하부 플랫폼 위에 배치되어, 위성체의 적어도 일부 부품을 수용하여 작업자가 접근할 수 있는 접근홀이 구비된 상부 플랫폼;
    을 포함하는 달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핸들이 구비되어 높낮이가 상하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특정위치에서 핀이나 후크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랫폼과 하부 플랫폼은 선택적으로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은 사각기둥, 육각기둥, 팔각기둥, 판형상 중 어느 한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리.
  6. 하부 플랫폼;
    상기 하부 플랫폼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플랫폼 하부에 구비된 바퀴;
    상기 하부 플랫폼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 플랫폼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하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지지수단; 및
    상기 하부 플랫폼 위에 구비되며, 인공위성 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 및 작업자가 접근할 수 있는 접근홀이 구비된 상부 플랫폼;
    을 포함하는 위성체의 조립작업에 사용되는 달리(Dolly).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랫폼은 사각형 형태의 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특정위치에서 핀이나 후크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랫폼과 하부 플랫폼은 선택적으로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리.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랫폼은
    수직으로 형성된 지지기둥; 및
    상기 지지기둥을 가로질러 구비된 지지판;
    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판 위에는 위성 조립체의 부품이나 조립공구를 수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리.
KR1020080077541A 2008-08-07 2008-08-07 위성체의 조립작업을 위한 달리 KR101008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541A KR101008142B1 (ko) 2008-08-07 2008-08-07 위성체의 조립작업을 위한 달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541A KR101008142B1 (ko) 2008-08-07 2008-08-07 위성체의 조립작업을 위한 달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844A true KR20100018844A (ko) 2010-02-18
KR101008142B1 KR101008142B1 (ko) 2011-01-14

Family

ID=42089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7541A KR101008142B1 (ko) 2008-08-07 2008-08-07 위성체의 조립작업을 위한 달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814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947B1 (ko) * 2013-09-02 2014-07-2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구조물 보관장치
KR101514568B1 (ko) * 2013-11-21 2015-04-2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회전잠금이 가능한 위성체 조립치구 및 위성체 조립치구용 회전잠금장치
KR101536203B1 (ko) * 2013-12-10 2015-07-1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중대형 구조물(인공위성) 조립용 트롤리
CN105235916A (zh) * 2015-10-27 2016-01-13 上海微小卫星工程中心 一种紧凑布局的一体化卫星
KR20160125749A (ko) * 2015-04-22 2016-11-01 국방과학연구소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
KR20190078200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한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KR102190705B1 (ko) * 2019-11-11 2020-12-1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작업용 돌리
CN116692040A (zh) * 2023-07-11 2023-09-05 西安四方超轻材料有限公司 一种返回舱回收操作平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6367B (zh) * 2011-11-15 2014-09-10 上海卫星装备研究所 轻型产品平台结构装配方法
KR101661450B1 (ko) 2014-10-30 2016-09-3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체 조립용 달리
CN110963078A (zh) * 2019-11-15 2020-04-07 中国空间技术研究院 一种适用于单板总装的框架式卫星结构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947B1 (ko) * 2013-09-02 2014-07-2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구조물 보관장치
KR101514568B1 (ko) * 2013-11-21 2015-04-2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회전잠금이 가능한 위성체 조립치구 및 위성체 조립치구용 회전잠금장치
KR101536203B1 (ko) * 2013-12-10 2015-07-1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중대형 구조물(인공위성) 조립용 트롤리
KR20160125749A (ko) * 2015-04-22 2016-11-01 국방과학연구소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
CN105235916A (zh) * 2015-10-27 2016-01-13 上海微小卫星工程中心 一种紧凑布局的一体化卫星
CN105235916B (zh) * 2015-10-27 2017-10-27 上海微小卫星工程中心 一种紧凑布局的一体化卫星
KR20190078200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한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KR102190705B1 (ko) * 2019-11-11 2020-12-1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작업용 돌리
CN116692040A (zh) * 2023-07-11 2023-09-05 西安四方超轻材料有限公司 一种返回舱回收操作平台
CN116692040B (zh) * 2023-07-11 2024-04-26 西安四方超轻材料有限公司 一种返回舱回收操作平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8142B1 (ko) 201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8142B1 (ko) 위성체의 조립작업을 위한 달리
US20140110366A1 (en) Supporting base for stabilizing an angle iron post of a cabinet
CN108661300A (zh) 一种可调式建筑工程支撑架
KR20190074493A (ko) 구조물 수리용 이동식 가설기둥
KR100929112B1 (ko) 건축 모듈러 유닛 조립 가이드 장치
CN102946075A (zh) 电缆附件制作支架
CN206844801U (zh) 篷房用调节平台模块系统
CN212715839U (zh) 一种建筑脚手架
CN201186864Y (zh) 大型设备安装用自爬式液压顶升装置
CN105350757A (zh) 移动式工作台
CN107780653A (zh) 一种用于钢结构楼面体系的模板支撑工具及施工方法
CN108298477A (zh) 一种电力检修车
CN209211281U (zh) 一种双壁组合桥塔钢壳节段的整体组装胎架
ES2207362B1 (es) Plataforma de trabajo de peso ligero con grua.
DK151720B (da) Fremgangsmaade ved fremstilling af gitter- eller skeletceller og montering af disse i en af flere saadanne celler sammensat skeletbygning samt skabelonstillads til brug ved denne fremgangsmaade.
CN208486533U (zh) 一种可调式建筑工程支撑架
CN105666589A (zh) 一种多功能锯台
CN206842874U (zh) 一种高度可调的双导轨多功能起重运输支架
CN102022001A (zh) 单箱双室整孔箱梁钢筋整体绑扎定位装置
JP3199275U (ja) 作業用装置及び該装置用ソリ装置
CN210396063U (zh) 一种用于水工河道模型高处作业的可移动升降脚手架
KR200437112Y1 (ko) 선박용 러그 취부장치
KR101658951B1 (ko) 억세스 플로어의 프레임 설치 방법 및 그 장치
CN206368681U (zh) 一种可用于砂碳罐滤料更换的便携式安全梯
CN109295858B (zh) 一种双壁组合桥塔钢壳节段的整体组装胎架及其工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