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705B1 - 작업용 돌리 - Google Patents

작업용 돌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705B1
KR102190705B1 KR1020190143530A KR20190143530A KR102190705B1 KR 102190705 B1 KR102190705 B1 KR 102190705B1 KR 1020190143530 A KR1020190143530 A KR 1020190143530A KR 20190143530 A KR20190143530 A KR 20190143530A KR 102190705 B1 KR102190705 B1 KR 102190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fixing bolt
cap
work
do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우
김의근
김주현
이상훈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43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7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4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adjustable in incl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2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돌리는 작업대상물을 고정 및 고정해제 할 수 있는 작업용 돌리로서, 상기 작업대상물을 고정 또는 고정해제 할 수 있는 작업대상물 부착부, 및 상기 작업대상물 부착부를 지지하는 수직방향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대상물 부착부는, 상기 수직방향 지지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일단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타단은 개방되며, 상기 수직방향 지지부에 연결된 중공의 캡, 상기 캡에 삽입되어 전진 및 후진 가능하고 그 길이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지점에 핀스톱퍼를 구비하는 핀, 상기 캡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핀스톱퍼에 일단이 접촉하고, 상기 캡의 내벽에 타단이 접촉하며, 복원력이 작용하고 있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캡을 관통하여 상기 핀의 핀고정볼트용 삽입홈에 삽입 또는 삽입해제 될 수 있는 핀고정볼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작업용 돌리{Dolly in use of working}
본 발명은 작업대상물을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작업용 돌리에 작업대상물을 부착할 때 작업대상물의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위치조절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용 돌리에 관한 것이다.
산업 현장에서 작업대상물을 이동시킬 때, 다양한 치구 또는 이동수단을 사용하여 이동시키는데, 이를 위하여 작업용 돌리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작업용 돌리의 여러 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런데, 작업대상물의 형상과 크기가 다를 때마다 매번 치구를 신규로 다시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작업용 돌리는 작업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그 크기를 달리 하여야 하므로, 적재되는 작업대상물의 크기에 달라지면, 이에 적합한 작업용 돌리를 새로 제작하여야 해서, 비용 및 시간이 낭비되어 생산성 저하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753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크기의 작업대상물에 적용 가능한 작업용 돌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돌리는 작업대상물을 고정 및 고정해제 할 수 있는 작업용 돌리로서, 상기 작업대상물을 고정 또는 고정해제 할 수 있는 작업대상물 부착부, 및 상기 작업대상물 부착부를 지지하는 수직방향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대상물 부착부는, 상기 수직방향 지지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일단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타단은 개방되며, 상기 수직방향 지지부에 연결된 중공의 캡, 상기 캡에 삽입되어 전진 및 후진 가능하고 그 길이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지점에 핀스톱퍼를 구비하는 핀, 상기 캡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핀스톱퍼에 일단이 접촉하고, 상기 캡의 내벽에 타단이 접촉하며, 복원력이 작용하고 있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캡을 관통하여 상기 핀의 핀고정볼트용 삽입홈에 삽입 또는 삽입해제 될 수 있는 핀고정볼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핀의 전진 방향으로, 상기 캡과 상기 수직방향 지지부와 상기 작업대상물에는 각각 관통홀이 서로 정렬되게(align)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캡의 내부에서, 상기 핀고정볼트를 감싸는 제2 탄성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핀고정볼트의 말단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핀고정볼트를 당겼을 때, 상기 핀고정볼트는 상기 핀고정볼트용 삽입홈으로부터 삽입해제 되어 상기 핀스톱퍼가 전진할 수 있는 여유공간이 형성하여 상기 핀의 전진을 허용하고, 상기 핀고정볼트를 놓으면 상기 핀고정볼트는 상기 핀고정볼트용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핀의 전진을 막는다.
또한, 상기 핀의 헤드부는 상기 캡의 관통구멍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방향 지지부의 관통홀 둘레에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작업대상물과 접촉시, 상기 작업대상물의 관통홀을 둘러싼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스펀지 또는 강화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돌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작업용 돌리에 따르면, 작업대상물의 크기 등이 변경되더라도 새로운 형상의 치구를 다시 만들 필요 없이 본 발명의 작업용 돌리를 사용하여 쉽고도 간단하게 작업대상물을 고정하여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신규 작업용 돌리의 제작에 들어가는 비용 및 시간을 대폭 절감하여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명시적으로 기재되지는 않았지만 상술한 구성으로부터 기대할 수 있는 다른 효과도 물론 포함한다.
도 1은 종래의 작업용 돌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돌리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로서, 작업대상물 부착부의 부분 확대도로서 핀의 전진을 막아놓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2의 작업용 돌리의 작업대상물 부착부의 부분 확대도로서 핀이 전진할 수 있도록 핀고정볼트를 위쪽으로 당긴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돌리의 모식도이고, 도 3은 도 2의 작업용 돌리의 작업대상물 부착부의 부분 확대도로서 핀의 전진을 막아놓은 상태를 나타내며, 도 4는 도 2의 작업용 돌리의 작업대상물 부착부의 부분 확대도로서 핀이 전진할 수 있도록 핀고정볼트를 위쪽으로 당긴 상태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돌리(100)는 작업대상물(W)을 고정 및 고정해제 할 수 있는 작업용 돌리로서, 작업대상물(W)을 고정 또는 고정해제 할 수 있는 작업대상물 부착부(1), 및 작업대상물 부착부(1)를 지지하는 수직방향 지지부(2)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상물 부착부(1)는, 속이 빈 중공의 캡(13), 핀(11), 제1 탄성부재(12), 그리고 핀고정볼트(15)를 포함한다.
캡(cap)(13)은 수직방향 지지부(2)에 연결된다. 캡(13)의 일단(도 3 기준 좌측단)은 핀(11)이 삽입되는 관통구멍(131)을 구비한다. 그리고 캡(13)의 타단(도 3 기준 우측단)은 개방되고 그 둘레가 수직방향 지지부(2)에 고정된다. 한편, 캡(13)은 타단이 개방된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핀(pin)(11)은 캡(13)에 삽입되어 전진(도 2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 및 후진(도 2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핀(11)은 헤드부(113)와, 헤드부(113)의 직경보다 작은 몸통부(112)와, 몸통부(112)의 직경보다 큰 핀스톱퍼(111)로 구성된다. 그리고 핀스톱퍼(111)는 핀(11)의 몸통부(112)의 길이방향의 대략 중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스톱퍼(111)의 우측에서 그 표면에 후술하는 핀고정볼트용 삽입홈(11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핀(11)의 헤드부(113)는 캡(13)의 관통구멍(131)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제1 탄성부재(12)는 핀(11)을 둘러싸면서 캡(13)의 내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그 일단이 핀스톱퍼(111)에 접촉하고, 그 타단이 캡(13)의 내벽에 접촉하며, 항상 압축력이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제1 탄성부재(12)는 항상 핀스톱퍼(111)을 핀(11)의 전진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을 작용시키고 있다. 제1 탄성부재(12)는 스프링일 수 있다.
핀고정볼트(15)는 캡(13)의 측면을 관통하여 핀(11)의 핀고정볼트용 삽입홈(114)에 삽입 또는 삽입해제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캡(13)의 측벽에는 핀고정볼트(15)가 삽입되는 관통구멍(132)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132)을 통하여 핀고정볼트(15)가 삽입되며, 이 핀고정볼트(15)의 말단부는 핀고정볼트용 삽입홈(114)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캡(13)의 내부에서, 핀고정볼트(15)를 감싸는 제2 탄성부재(16)가 구비되며, 제2 탄성부재(16)는 핀고정볼트(15)의 헤드부(151)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즉, 핀고정볼트(15)는 헤드부(151)와 몸통부(152)와 말단부(153)를 구비하는데, 말단부(153)는 몸통부(152)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또한, 제2 탄성부재(16)는 말단부(153)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그 직경이 말단부(153)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핀고정볼트(15)를 캡(13)의 측벽(외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겼을 때, 핀스톱퍼(111)가 전진(도 2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할 때, 핀스톱퍼(111)가 핀고정볼트(15)의 말단부(153)에 걸리지 않도록 여유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핀고정볼트(15)를 놓으면 제2 탄성부재(16)에 작용하는 복원력에 의해 핀고정볼트(15)는 핀고정볼트용 삽입홈(114)에 삽입되어, 핀스톱퍼(111)의 전진을 막게 된다.
한편, 핀(11)의 전진 방향으로, 캡(13)과 수직방향 지지부(2)와 작업대상물(W)에는 각각 관통홀(22,600)이 정렬(aligned)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직방향 지지부(2)의 관통홀(22) 둘레에는 돌출부(21)가 구비되고, 돌출부(21)는 작업대상물(W)과 접촉시, 작업대상물(W)의 관통홀(600)을 둘러싼다. 이 돌출부(21)는 작업대상물(W)에 스크레치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펀지, 강화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돌리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작업대상물(W) 예를 들면, 평판형 작업대상물(W)을 준비한다. 작업대상물(W)에는 본 발명의 작업용돌리의 핀(11)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구멍(600)이 미리 가공되는 게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고정볼트(15)를 위쪽으로 잡아당겨 핀(11)이 전진할 수 있도록 여유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제1 탄성부재(12)의 복원력(팽창력)이 핀(11)의 핀스톱퍼(111)를 전진 방향(도 4 기준 우측방향)으로 밀어준다. 핀(11)은 작업대상물(W)에 삽입되어 작업대상물(W)을 본 발명의 작업용 돌리에 고정할 수 있다.
작업대상물(W)을 본 발명의 작업용 돌리에서 분리할 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11)을 후진 방향(도 3 기준 좌측방향)으로 잡아당긴 다음, 핀고정볼트(15)를 놓아줄 경우, 제2 탄성부재(16)의 복원력(팽창력)에 의해 핀고정볼트(15)의 말단부(153)가 핀(11)의 핀고정볼트용 삽입홈(114)에 삽입되어 핀(11)의 전진 또는 후진 이동을 막아준다.
한편, 본 발명의 작업용 돌리에서, 수직방향 지지부(2)는 공지의 볼-스크류 이송장치(24)를 사용하여 수직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다. 또한, 수직방향 지지부(2)는 횡방향 지지부(3)에 지지되어 있다. 횡방향 지지부(3)는 횡방향이송부(32)와, 횡방향가이드레일부(31)와, 공지의 볼-스크류 이송장치(33)를 구비한다. 수직방향 지지부(2)는 횡방향이송부(32)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횡방향 지지부(3)는 바닥지지대(4)에 지지될 수 있다. 바닥지지대(4)는 이동바퀴, 바닥접촉부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들 구성은 본 발명의 요지와는 무관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공지의 볼-스크류 이송수단 등을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을 것으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작업대상물 부착부(1) 및 수직방향 지지부(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작업용 돌리에 따르면, 작업대상물의 크기 등이 변경되더라도 새로운 형상의 치구를 다시 만들 필요 없이 본 발명의 작업용 돌리를 사용하여 쉽고도 간단하게 작업대상물을 고정하여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신규 작업용 돌리의 제작에 들어가는 비용 및 시간을 대폭 절감하여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작업용 돌리
1...작업대상물 부착부
2...수직방향 지지부
11...핀
111...핀스톱퍼
114...핀고정볼트용 삽입홈
12...제1 탄성부재
13...중공의 캡
15...핀고정볼트
16...제2 탄성부재

Claims (7)

  1. 작업대상물을 고정 및 고정해제 할 수 있는 작업용 돌리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상물을 고정 또는 고정해제 할 수 있는 작업대상물 부착부, 및
    상기 작업대상물 부착부를 지지하는 수직방향 지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대상물 부착부는,
    상기 수직방향 지지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일단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타단은 개방되며, 상기 수직방향 지지부에 연결된 중공의 캡,
    상기 캡에 삽입되어 전진 및 후진 가능하고 그 길이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지점에 핀스톱퍼를 구비하는 핀,
    상기 캡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핀스톱퍼에 일단이 접촉하고, 상기 캡의 내벽에 타단이 접촉하며, 복원력이 작용하고 있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캡을 관통하여 상기 핀의 핀고정볼트용 삽입홈에 삽입 또는 삽입해제 될 수 있는 핀고정볼트
    를 포함하는
    작업용 돌리.
  2. 제1항에서,
    상기 핀의 전진 방향으로, 상기 캡과 상기 수직방향 지지부와 상기 작업대상물에는 각각 관통홀이 서로 정렬되게(align) 형성된 작업용 돌리.
  3. 제2항에서,
    상기 캡의 내부에서, 상기 핀고정볼트를 감싸는 제2 탄성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핀고정볼트의 말단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작업용 돌리.
  4. 제3항에서,
    상기 핀고정볼트를 당겼을 때, 상기 핀고정볼트는 상기 핀고정볼트용 삽입홈으로부터 삽입해제 되어 상기 핀스톱퍼가 전진할 수 있는 여유공간이 형성하여 상기 핀의 전진을 허용하고,
    상기 핀고정볼트를 놓으면 상기 핀고정볼트는 상기 핀고정볼트용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핀의 전진을 막는 작업용 돌리.
  5. 제4항에서,
    상기 핀의 헤드부는 상기 캡의 관통구멍보다 크게 형성되는 작업용 돌리.
  6. 제5항에서,
    상기 수직방향 지지부의 관통홀 둘레에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작업대상물과 접촉시, 상기 작업대상물의 관통홀을 둘러싸는 작업용 돌리.
  7. 제6항에서,
    상기 돌출부는 스펀지 또는 강화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작업용 돌리.
KR1020190143530A 2019-11-11 2019-11-11 작업용 돌리 KR102190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530A KR102190705B1 (ko) 2019-11-11 2019-11-11 작업용 돌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530A KR102190705B1 (ko) 2019-11-11 2019-11-11 작업용 돌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705B1 true KR102190705B1 (ko) 2020-12-14

Family

ID=73779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530A KR102190705B1 (ko) 2019-11-11 2019-11-11 작업용 돌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70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2837U (ko) * 1990-07-17 1992-03-17
JP3000538B2 (ja) * 1992-09-03 2000-01-17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ワーク位置決め装置
WO2008111041A2 (en) * 2007-03-15 2008-09-18 Polymer Logistics B.V. Combination dolly-pallet
JP2008235703A (ja) * 2007-03-22 2008-10-02 Toshiba Mitsubishi-Electric Industrial System Corp ユニット固定装置
KR100927539B1 (ko) 2007-12-17 2009-11-1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태양전지판의 결합구조 및 인공위성 조립체
KR20100018844A (ko) * 2008-08-07 2010-02-1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체의 조립작업을 위한 달리
US20120228839A1 (en) * 2009-11-20 2012-09-13 Snecma Carriage for transport of an aircraft engine module
KR20150123660A (ko) * 2014-04-26 2015-11-04 이대수 달리(dolly) 탈부착형 화물지지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2837U (ko) * 1990-07-17 1992-03-17
JP3000538B2 (ja) * 1992-09-03 2000-01-17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ワーク位置決め装置
WO2008111041A2 (en) * 2007-03-15 2008-09-18 Polymer Logistics B.V. Combination dolly-pallet
JP2008235703A (ja) * 2007-03-22 2008-10-02 Toshiba Mitsubishi-Electric Industrial System Corp ユニット固定装置
KR100927539B1 (ko) 2007-12-17 2009-11-1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태양전지판의 결합구조 및 인공위성 조립체
KR20100018844A (ko) * 2008-08-07 2010-02-1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체의 조립작업을 위한 달리
US20120228839A1 (en) * 2009-11-20 2012-09-13 Snecma Carriage for transport of an aircraft engine module
KR20150123660A (ko) * 2014-04-26 2015-11-04 이대수 달리(dolly) 탈부착형 화물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9322A (en) Apparatus for holding tools
US2949947A (en) Straight beam adjustable jaw clamp
JP2010120155A (ja) 空気圧制御式把持装置
KR101788865B1 (ko) 툴 매거진의 툴 캐리어 유닛
KR102060867B1 (ko) O링 부착 장치 및 방법
KR102452989B1 (ko) 록기구가 있는 컴플라이언스 유닛
KR101757983B1 (ko) 너트 인서트장치
KR102190705B1 (ko) 작업용 돌리
JP2016030597A (ja) タイヤ付ホイールを取り付けおよび/または取り外しするための装置、タイヤ取り付け・取り外しマシン、およびタイヤ付ホイールのリムからタイヤを取り外しするための方法
JP4859134B2 (ja) クランプ装置
CN104220196A (zh) 具有用于使配件与机床的主轴耦接的系统的配件
KR101594535B1 (ko) 파이프 가공장치
KR20140005867U (ko) 공작기계용 툴 클램핑장치
KR100621752B1 (ko) 보링머신의 슬라이딩 타입 바이트 홀더
JP5245527B2 (ja) 配管プラグ着脱具
JP2006297499A (ja) 取付け治具
KR20210050117A (ko) 헬리코일 삽입장치
KR102422758B1 (ko) 레이저 가공기용 피가공물 파지 장치
KR100398134B1 (ko) 패널 고정용 지그 핀 장치
KR102402213B1 (ko) 스핀들 유닛의 베어링 릴리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위스 턴 타입 공작 기계의 스핀들 유닛
CN208800604U (zh) 一种弯管机内夹持装置
JP2016147338A (ja) 治工具固定装置
CN215470661U (zh) 工件翻转装置
JPS5943070Y2 (ja) 等速ジヨイントのアウタ−部材の搬送用保持装置
JP2010214568A (ja) アンクランプ装置,主軸装置,及びマシニングセン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