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070B1 - 항공무장차량 - Google Patents

항공무장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3070B1
KR102213070B1 KR1020200131126A KR20200131126A KR102213070B1 KR 102213070 B1 KR102213070 B1 KR 102213070B1 KR 1020200131126 A KR1020200131126 A KR 1020200131126A KR 20200131126 A KR20200131126 A KR 20200131126A KR 102213070 B1 KR102213070 B1 KR 102213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nk
chassis
aircraft
in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하용
Original Assignee
드래곤모터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드래곤모터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드래곤모터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1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0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00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50Handling or transporting aircraft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00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10Manufacturing or assembling aircraft, e.g. ji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61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characterised by having a lifting ji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4Counterwe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축 움직임을 통하여 항공기에 미사일을 보다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항공무장차량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구비된 동력발생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샤시; 샤시에 결합되어 무기안착판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 위치 조절부의 하측에 위치되며 샤시에 결합되어 샤시를 연장하는 제1 균형유지부; 를 포함하는 항공무장차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공무장차량{Mobile wastewater purifier}
본 발명은 다축 움직임을 통하여 항공기에 미사일을 보다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항공무장차량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무장을 지지할 수 있는 무장 연결 유닛; 및 상기 무장 연결 유닛을 승강시켜, 상기 무장이 상기 항공기 내부에 마련된 장착공간에 탑재되도록 하는 무장 장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무장 장착 유닛은 상기 무장 연결 유닛을 지지하는 승강 플레이트와,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측방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승강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되도록 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무장 처리 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장착물을 적재할 수 있는 받침대가 구비되는 상부측의 받침대 조립체; 저면에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하부측의 몸체 조립체; 및 상기 받침대 조립체와 상기 몸체 조립체를 연결하여 상기 받침대 조립체가 상기 몸체 조립체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고 좌우 틸팅 가능하도록 하는 링크기구; 를 포함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리프트 장치에 의해 승하강 가능한 무장의 상부 원주면에 일체로 설치되되 상부에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무장걸이; 하부를 통해 상기 한 쌍의 무장걸이의 상부가 입출될 수 있는 한 쌍의 무장 삽입공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무장하우징; 상기 무장하우징의 내부에 지지되어 정역 회전가능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단이 수용되며 상 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서로 대칭되게 왕복이동 가능한 이동축으로 구성되는 턴버클조립체; 상기 턴버클조립체에 연동되어 무장 장착시 무장하우징의 무장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상기 무장걸이의 상부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제1링크유닛; 상기 한 쌍의 제1링크유닛의 사이에 대칭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제1링크유닛을 이동시켜 상기 각 무장걸이를 구속 또는 구속해제시키기 위한 제2링크유닛; 및 상기 제2링크유닛을 구속 또는 구속해제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 를 포함하는 무장 장착대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승하강 가능한 무장의 상부 원주면에 일체로 설치되되 상부에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무장걸이; 하부를 통해 상기 한 쌍의 무장걸이의 상부가 입출될 수 있는 한 쌍의 무장 삽입공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무장하우징; 상기 무장하우징의 내부에 지지되어 정역 회전가능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단이 수용되며 상 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서로 대칭되게 왕복이동 가능한 이동축으로 구성되는 턴버클조립체; 상기 턴버클조립체에 연동되어 무장 장착시 무장하우징의 무장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상기 무장걸이의 상부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제1링크유닛; 상기 한 쌍의 제1링크유닛의 사이에 대칭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제1링크유닛을 이동시켜 상기 각 무장걸이를 구속 또는 구속해제시키기 위한 제2링크유닛; 상기 제2링크유닛을 구속 또는 구속해제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1링크유닛과 연동하여 상기 무장걸이를 탄성적으로 밀어내어 무장(P)의 투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추력기; 를 포함하는 무장 장착대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2019-0094876 A (2019년08월14일) KR 10-2019-0078200 A (2019년07월04일) KR 10-2016-0001456 A (2016년01월06일) KR 10-2016-0050374 A (2016년05월11일)
본 발명은 다축 움직임을 통하여 항공기에 미사일을 보다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항공무장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항공무장차량에 관한 발명이며, 본 발명은 내부에 구비된 동력발생장치(110)에 의해 구동하는 샤시(100); 상기 샤시(100)에 결합되어 무기안착판(210)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200); 상기 위치 조절부(200)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샤시(100)에 결합되어 샤시(100)를 연장하는 제1 균형유지부(3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항공무장차량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샤시(100)에 구비되며, 상기 위치 조절부(200)의 작동에 대응하여 웨이트블럭(410)을 이동시켜 균형을 유지하는 제2 균형유지부(400); 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항공무장차량에 관한 발명이며, 무기가 체결되는 장착부(510)가 형성되며 상기 무기안착판(210)에 결합되는 결합유닛(500); 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구비된 동력발생장치(110)에 의해 구동하는 샤시(100); 상기 샤시(100)에 결합되어 무기안착판(210)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200); 상기 위치 조절부(200)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샤시(100)에 결합되어 샤시(100)를 연장하는 제1 균형유지부(300); 상기 위치 조절부(200)는 상기 무기안착판(210)과 상기 샤시(100)를 연결하는 링크부(220); 상기 링크부(220)는 상기 무기안착판(210)에 힌지 결합되는 제1 회동결합부(221); 상기 샤시(100)에 힌지 결합되는 제2 회동결합부(222); 상기 링크부(220)는 상기 제1 회동결합부(221)가 형성되는 제1 링크부(220A); 내부에 상기 제2 회동결합부(222)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2 링크부(220B); 상기 수용공간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링크부(220A)를 인입 또는 입출하는 제2 피스톤부; 상기 링크부(220)는 복수개가 상기 무기안착판(210)의 서로 다른 영역에 결합되며 길이가 개별 조절되는 것;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개별적인 움직임을 가질 수 있는 복수개의 링크를 이용하여 무기안착판의 다축 모션을 구현 가능하므로, 항공기 상에 미사일을 보다 용이하게 장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미사일을 리프팅한 상태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므로, 미사일을 항공기까지 이송하는 별도의 이송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장치의 무게중심을 일정하게 유지 가능하므로, 미사일을 이송 및 항공기 상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무게중심이 이동하며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미사일에 체결되어 미사일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결합유닛과 무기안착판이 서로 체결 구조를 가져, 미사일을 결합유닛을 이용하여 무기안착판에 용이하게 고정 가능하므로,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미사일의 이송 및 장착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항공무장차량을 이용하여 미사일을 이송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인 항공무장차량을 이용하여 미사일을 리프팅하는 것을 나타낸 운동도.
도 3은 본 발명인 항공무장차량의 무기안착판과 링크 결합을 나타낸 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항공무장차량의 링크부 운동을 나타낸 운동도.
도 5는 본 발명인 항공무장차량의 무기안착판 기울기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인 항공무장차량의 결합유닛이 무기안착판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인 항공무장차량의 제2 균형유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인 항공무장차량은, 내부에 구비된 동력발생장치(110)에 의해 구동하는 샤시(100); 상기 샤시(100)에 결합되어 무기안착판(210)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200); 상기 위치 조절부(200)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샤시(100)에 결합되어 샤시(100)를 연장하는 제1 균형유지부(300); 를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인 항공무장차량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샤시(100)는 상기 동력발생장치(110)에서 동력을 전달받으며, 조향장치(120)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휠(130); 을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인 항공무장차량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1 균형유지부(300)는 상기 샤시(100)에 결합되는 제1 균형유지 몸체(310); 상기 제1 균형유지 몸체(310)에 결합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휠(320); 을 포함한다.
종래의 항공기 무장은 미사일을 이송장치로 항공기까지 이송한 후, 리프팅장치로 미사일을 리프팅 시켜 항공기에 장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항공기 무장 방식은, 미사일 이송과정과 이송된 미사일을 항공기에 장착하는 과정이 서로 별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항공기 무장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후,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사일 이송 및 장착이 모두 가능한 무장차량이 개발되었으나, 무장차량의 경우 항공기에 미사일을 장착할 수 있는 위치로의 차량 정렬이 어려워 여전히 신속한 미사일 무장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무장차량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샤시(100)가 무기 정확한 위치에 정렬되지 않더라도, 무기안착판(210) 움직임 조절을 통하여 무기안착판(210) 상에 위치된 미사일을 항공기에 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인 항공무장차량(1000)은 상기 위치 조절부(200)의 움직임에 의해 장치의 균형이 흐트러져 장치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제1 균형유지부(300)를 상기 위치 조절부(200)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샤시(100)의 전단에 결합하여, 위치 조절부(200)가 무기안착판(210)을 움직일 시 무게중심이 이동하며 장치가 균형을 잃지 않도록 하였다.
상세히 설명하면, 장치의 균형은 무게중심이 전방한계와 후방한계 사이에 위치된 중앙영역에 위치되어야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무게중심이 장치의 중앙영역에서 멀어질수록 장치의 균형이 흐트러지게 된다. 그리고, 중앙영역의 경우 지면과 접하는 장치의 지지면적이 확장될 경우 이에 대응하여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샤시(100)에 제1 균형유지부(300)를 결합하여 중앙영역을 확장하고, 제1 균형유지부(300)가 위치 조절부(200) 하측에 위치되게 하여 확장된 중앙영역 상에 무게중심이 위치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샤시(100)는 내부에 동력발생장치(110)가 구비되고, 하측에 상기 동력발생장장치(110)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휠(130)이 장착되어, 작업자가 동력 발생장치(110)를 구동하여 샤시(100)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동력발생장치(110)의 구동, 구동휠(130)의 방향 조절, 위치 조절부(200)의 움직임 조절은 상기 샤시(100)에 구비된 조향장치(12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균형유지부(300)는 상기 샤시(100)와 함께 이동하기 위하여 하측에 지지휠(320)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휠(320)은 필요에 따라 상기 조향장치(120)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휠(130)과 함께 방향이 조절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휠(130)과 상기 지지휠(320)은 일반적인 바퀴일 수 있으나, 보다 안정적으로 미사일을 옮길 수 있어야 하므로, 일정 이상의 넓은 폭을 가짐과 동시에 표면에 미끄럼 방지 홈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권장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인 항공무장차량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부(200)는 상기 무기안착판(210)과 상기 샤시(110)를 연결하는 링크부(220); 를 포함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인 항공무장차량은 실시예 1-4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220)는 상기 무기안착판(210)에 힌지 결합되는 제1 회동결합부(221); 상기 샤시(100)에 힌지 결합되는 제2 회동결합부(222); 를 포함한다.
(실시예 1-6) 본 발명인 항공무장차량은 실시예 1-4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부(200)는 상기 링크부(220)를 밀거나 당겨 링크부(220)의 상하방향 움직임을 조절하는 제1 피스톤부(230); 를 포함한다.
(실시예 1-7) 본 발명인 항공무장차량은 실시예 1-4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220)는 상기 제1 회동결합부(221)가 형성되는 제1 링크부(220A); 내부에 상기 제2 회동결합부(222)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2 링크부(220B); 상기 수용공간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링크부(220A)를 인입 또는 입출하는 제2 피스톤부; 를 포함한다.
(실시예 1-8) 본 발명인 항공무장차량은 실시예 1-4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220)는 서로 개별적인 움직임을 가지는 복수개의 링크(L1, L2, L3, L4); 를 포함한다.
(실시예 1-9) 본 발명인 항공무장차량은 실시예 1-8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링크는 상기 무기안착판(210)의 서로 다른 영역에 결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10) 본 발명인 항공무장차량은 실시예 1-8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부(200)는 상기 무기안착판(210)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수평감지부(240); 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조절부(200)는 상기 무기안착판(210)를 움직여 무기안착판(210) 상에 위치된 미사일(M)을 항공기(A)에 보다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며, 무기안착판(210)의 움직임은 상기 무기안착판(210)과 상기 샤시(100)를 연결하는 상기 링크부(220)의 움직임에 의해 결정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링크부(220)는 복수개의 링크가 모여 이루어지며, 이러한 복수개의 링크는 사절링크 형태로 무기안착판(210)에 결합된다. 그리고, 각각의 링크는 상기 제1 피스톤부(230)에 의해 회전축(P)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무기안착판(210)의 높이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무기안착판(210)에 결합된 복수개의 링크를 동시에 상기 제1 피스톤부(230)로 밀거나 당겨, 링크가 회전축(P)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하방향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하고, 무기안착판(210)의 기울기 조절이 필요할 경우에는 선택되는 링크만 제1 피스톤부(230)로 밀거나 당겨 무기안착판(210)이 X축 및 Y축을 기준으로 피칭 또는 롤링 가능하게 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링크가 제1 링크(L1), 제2 링크(L2), 제3 링크(L3), 제4 링크(L4)를 포함할 경우, 각각의 링크는 상기 무기안착판(210)의 제1 영역(S1), 제2 영역(S2), 제3 영역(S3), 제4 영역(S4)에 결합되므로, 필요에 따라 어느 하나의 링크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나머지 링크를 회전시키면, 무기안착판(210)이 보다 다양한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므로, 무기안착판(210)의 기울기를 보다 다양한 형태로 조절 가능하다.
이때, 상기 무기안착판(210) 상에는 수평감지부(240)가 구비되어, 기울기가 조절된 무기안착판(210)을 필요에 따라 수평 상태로 다시 복원 가능하며, 수평감지부(240)가 무기안착판(210)을 수평 상태로 복원하는 방식은, 작업자에게 무기안착판(210)의 기울기를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여 작업자가 무기안착판(210)의 기울기를 수평 상태로 복원하는 방식과, 수평감지부(240)가 무기안착판(210)의 기울기를 측정한 후 상기 링크부(220)를 제어하여 무기안착판(210)을 수평상태로 복원하는 방식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링크부(220)는 상기 무기안착판(210)에 힌지 결합되는 제1 회동결합부(221)와 상기 샤시(100)에 힌지 결합되는 제2 회동결합부(222)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회동결합부(222)는 상기 회동결합부(221)가 끼워지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 상에 상기 제1 회동결합부(221)를 인입 또는 인출하는 제2 피스톤부가 구비되어, 미사일이 장착되는 항공기의 높이에 맞춰 보다 자유롭게 무기안착판(210)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양한 항공기의 종류마다 기체의 크기가 다르므로 미사일이 장착되는 높이 또한 기체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이때, 단순히 상기 링크부(220)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는 조절 가능한 무기안착판(210)의 높이가 링크부(220)의 길이로 제한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링크부(220)의 길이를 상기 제2 피스톤부를 이용하여 조절 가능하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220)는 높은 하중을 견디기 위하여 상하 높이방향 길이가 좌우 두께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권장한다.
(실시예 1-11) 본 발명인 항공무장차량은 실시예 1-8에 있어서, 상기 무기안착판(210)은 복수개의 상기 링크 움직임을 조절하는 링크 조절부; 를 포함한다.
항공기에 미사일을 장착하는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무기안착판(210)을 지지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무기안착판(210)의 높이 및 기울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무기안착판(210) 상에는 각각의 링크 움직임을 조절하는 링크 조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작업자가 미사일(M)을 항공기(A)에 장착 시 샤시(100)에 구비된 조향장치(120)를 이용하여 링크부(220)를 조작할 수 없으므로, 무기안착판(210) 상에 링크 움직임을 조절 가능한 링크 조절부를 형성하여, 미사일 장착 과정에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무기안착판(210)의 움직임을 조절 가능하게 한 것이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항공무장차량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샤시(100)에 구비되며, 상기 위치 조절부(200)의 작동에 대응하여 웨이트블럭(410)을 이동시켜 균형을 유지하는 제2 균형유지부(400); 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인 항공무장차량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제2 균형유지부(400)는 무게중심을 파악하는 균형 파악부(420); 상기 균형 파악부(420)에서 파악되는 무게중심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웨이트블럭(410)을 이동시키는 균형 제어부(430); 를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인 항공무장차량은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균형 파악부(420)는 상기 샤시(100)와 상기 제1 균형유지부(300) 상에 구비되어 각 위치에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 측정센서(421); 상기 하중 측정센서(421)에서 측정되는 하중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 무게중심 정보를 생성하는 무게중심 검출부(422); 를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인 항공무장차량은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균형 제어부(430)는 상기 웨이트블럭(410)을 지지하는 롤러부(431); 상기 웨이트블럭(410)을 상기 롤러부(431)를 따라 이동시키는 제3 피스톤부(432); 상기 무게중심 검출부(422)에서 무게중심 정보를 수신받으며, 상기 제3 피스톤부(432)를 작동시켜 무게중심 위치 변화를 감소시키는 제어부(433); 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조절부(200)가 상기 무기안착판(210)의 위치, 기울기,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장치의 무게중심 위치가 가변되며, 이러한 무게중심의 이동은 링크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특히 크게 일어난다.
이때, 무게중심의 이동이 크게 발생할 경우 장치의 균형이 무너져 장치가 쓰러지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균형 파악부(420)에서 상기 위치 조절부(200)의 작동에 대응하여 나타나는 무게중심의 이동을 파악한 후, 파악된 무게중심의 이동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균형 제어부(430)에서 웨이트블럭(410)을 이동시켜, 무게중심의 이동이 최소화될 수 있게 하였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링크부(220)의 길이를 늘려 무기안착판(210)이 상기 샤시(100)에서 멀어질수록 무게중심이 전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무게중심의 이동은 상기 상기 지지휠(320)과 상기 구동휠(130)에 인가되는 하중 변화로 나타나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균형유지부(300)와 상기 지지휠(320)의 결합부에서 측정되는 하중 정보와, 상기 샤시(100)와 상기 구동휠(130)의 결합부에서 측정되는 하중 정보를 상기 하중 측정센서(421)에서 획득하고, 상기 무게정심 검출부(422)에서 측정되는 하중정보를 기반으로 무게중심 위치정보를 생성하면, 상기 무게중심 제어부(433)에서 상기 제3 피스톤부(432)를 작동시켜 상기 웨이트블럭(410)을 무게중심 이동이 최소화 되는 위치로 이동시키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웨이트블럭(410)은 고하중의 부재이므로, 복수개의 롤러가 모여 이루어진 상기 롤러부(431)가 상기 웨이트블럭(410)을 지지하여, 상기 제3 피스톤부(432)가 보다 쉽게 웨이트블럭(410)의 움직임을 조절 가능한 것을 권장한다.
아울러, 상기 위에서는 상기 무게중심 검출부(422)가 상기 하중 측정센서(421)에서 측정되는 하중 정보를 이용하여 무게중심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이며 상기 균형 파악부(420)는 무게중심을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 및 방법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항공무장차량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무기가 체결되는 장착부(510)가 형성되며 상기 무기안착판(210)에 결합되는 결합유닛(500); 을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인 항공무장차량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닛(500)은 상기 무기안착판(210)에 형성된 돌기부(250)가 끼워지는 체결홈(520); 을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인 항공무장차량은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520)은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인 항공무장차량은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520)은 하측에 위치되는 제1 체결홈(521); 상기 제1 체결홈(521)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 체결홈(521)보다 직경이 작은 제2 체결홈(522); 을 포함한다.
(실시예 3-5) 본 발명인 항공무장차량은 실시예 3-4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홈(521)은 가장자리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구조인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3-6) 본 발명인 항공무장차량은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250)는 상기 무기안착판(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미사일(M)은 다양한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미사일(M)을 상기 무기안착판(210) 상에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무기안착판(210)에 쉽게 체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결합유닛(500)을 개발하였으며, 결합유닛(500) 상에 미사일(M)을 잡아 고정할 수 있는 장착부(510)를 형성하였다.
상세히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미사일(M)은 보다 정확한 이동을 위하여 가장자리에 날개부가 형성되며, 이러한 날개부의 미세한 변형은 미사일(M)의 정확한 이동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므로, 미사일(M)의 경우 지지대에 의해 날개부가 지면에 닫지 않게 보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결합유닛(500)이 이러한 종래의 지지대 역할을 대신함과 동시에, 상기 무기안착판(210)에 쉽게 체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 보관되던 미사일(M)을 보다 손쉽게 이송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유닛(500)과 상기 무기안착판(210)은 다양한 체결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는 상기 결합유닛(500)의 저면에 체결홈(520)이 형성되고, 상기 무기안착판(210)의 상부에 상기 체결홈(520)에 끼워지는 돌기부(240)가 형성되어, 돌기부(240)가 체결홈(520)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유닛(500)과 무기안착판(210)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보다 체결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체결력 향상의 위하여 상기 체결홈(520)은 하측에 위치되는 제1 체결홈(521)과, 제1 체결홈(521)의 상측에 위치되며 제1 체결홈(521)보다 직경이 작은 제2 체결홈(52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홈(521)은 상기 돌기부(240)가 삽입되는 입구측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돌기부(240)는 이러한 체결홈(520)에 대응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체결홈(520)에 돌기부(240)를 삽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므로, 제1 체결홈(521)이 테이퍼 구조를 가도록 하되, 제1 체결홈(521)이 테이퍼 구조를 가질 경우, 제1 체결홈(521)에 돌기부(240)가 삽입되더라도 체결력이 약해져 결합유닛(500)의 흔들림을 잡아줄 수 없으므로, 제2 체결홈(522)을 형성하여 결합유닛(500)의 흔들림을 잡아줄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돌기부(240)는 상기 무기안착판(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작업자가 돌기부(240) 제어를 통해 체결된 상기 결합유닛(500)을 Z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므로, 미사일 장착 작업이 한층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240)는 상기 제2 체결홈(522)에 끼워지는 제1 돌기부와 상기 제1 체결홈(521)에 끼워지는 제2 돌기부를 포함하며, Z축을 중심으로 미사일(M)을 회전시켜야 할 경우, 제1 돌기부가 상측으로 연장되어 결합유닛(500)을 리프팅 시킨 후 회전하는 방식으로 결합유닛(500)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상기 제1 돌기부가 상측으로 연장될 경우 무기안착판(210)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제1 체결홈(521)을 형성하는 결합유닛(500)과 접하는 제2 돌기부의 표면에 볼베어링이 장착되어, 제1 돌기부가 회전할 경우 제2 돌기부와 결합유닛(500)의 마찰을 최소화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결합유닛(500)과 접하는 무기안착판(210)의 돌기부(240) 가장자리에도 표면에 볼베어링이 장착될 수 있다.
100 : 샤시 110 : 동력발생장치
120 : 조향장치 130 : 구동휠
200 : 위치 조절부 210 : 무기안착판
220 : 링크부 220A : 제1 링크부
220B : 제2 링크부 221 : 제1 회동결합부
222 : 제2 회동결합부 230 : 제1 피스톤부
240 : 수평감지부 250 : 돌기부
300 : 제1 균형유지부 320 : 지지휠
400 : 제2 균형유지부 410 : 웨이트블럭
420 : 균형 파악부 421 : 하중 측정센서
422 : 무게중심 검출부 430 : 균형 제어부
431 : 롤러부 432 : 제3 피스톤부
433 : 무게중심 제어부
500 : 결합유닛 510 : 장착부
520 : 체결홈 521 : 제1 체결홈
522 : 제2 체결홈

Claims (3)

  1. 항공기에 미사일을 장착하는 항공무장차량에 있어서,
    내부에 구비된 동력발생장치(110)에 의해 구동하는 샤시(100);
    상기 샤시(100)에 결합되어 무기안착판(210)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200);
    상기 위치 조절부(200)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샤시(100)에 결합되어 샤시(100)를 연장하는 제1 균형유지부(300);
    상기 위치 조절부(200)는 상기 무기안착판(210)과 상기 샤시(100)를 연결하는 링크부(220);
    상기 링크부(220)는 상기 무기안착판(210)에 힌지 결합되는 제1 회동결합부(221); 상기 샤시(100)에 힌지 결합되는 제2 회동결합부(222);
    상기 링크부(220)는 상기 제1 회동결합부(221)가 형성되는 제1 링크부(220A); 내부에 상기 제2 회동결합부(222)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2 링크부(220B); 상기 수용공간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링크부(220A)를 인입 또는 입출하는 제2 피스톤부;
    상기 링크부(220)는 복수개가 상기 무기안착판(210)의 서로 다른 영역에 결합되며 길이가 개별 조절되는 것; 을 포함하는 항공무장차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샤시(100)에 구비되며, 상기 위치 조절부(200)의 작동에 대응하여 웨이트블럭(410)을 이동시켜 균형을 유지하는 제2 균형유지부(400); 를 포함하는 항공무장차량.
  3. 청구항 1에 있어서,
    무기가 체결되는 장착부(510)가 형성되며 상기 무기안착판(210)에 결합되는 결합유닛(500); 을 포함하는 항공무장차량.
KR1020200131126A 2020-10-12 2020-10-12 항공무장차량 KR102213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126A KR102213070B1 (ko) 2020-10-12 2020-10-12 항공무장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126A KR102213070B1 (ko) 2020-10-12 2020-10-12 항공무장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3070B1 true KR102213070B1 (ko) 2021-02-05

Family

ID=74558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126A KR102213070B1 (ko) 2020-10-12 2020-10-12 항공무장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0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5006A (zh) * 2021-06-30 2021-10-22 北京航天飞腾装备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挂弹车升降底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456A (ko) 2014-06-27 2016-01-06 이엠코리아주식회사 무장 장착대
KR20160050374A (ko) 2014-10-29 2016-05-11 현대위아 주식회사 무장 장착대
KR20190078200A (ko)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한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KR20190094876A (ko) 2018-02-06 2019-08-14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기의 무장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456A (ko) 2014-06-27 2016-01-06 이엠코리아주식회사 무장 장착대
KR20160050374A (ko) 2014-10-29 2016-05-11 현대위아 주식회사 무장 장착대
KR20190078200A (ko)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한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KR20190094876A (ko) 2018-02-06 2019-08-14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기의 무장 처리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15 Eagle 무장 장착 블로그(https://m.blog.naver.com/saygoodtrip /220812219162). 2016.09.13.*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5006A (zh) * 2021-06-30 2021-10-22 北京航天飞腾装备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挂弹车升降底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85446B (zh) 一种快速响应平衡的物流机器人及其调控方法
JP6086519B1 (ja) 配達用回転翼機
EP3299282A1 (en) Rotorcraft
JP6757891B2 (ja) 搬送装置およびこれに搭載されるラック
KR102213070B1 (ko) 항공무장차량
CN102133848B (zh) 工业车辆
US11029695B2 (en) Acceleration controls for a mobile drive unit
WO2015009198A1 (ru) Двухколесное гиро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и способы управления таким транспортным средством
KR910011506A (ko) 자주식 수송 기구
US20110196581A1 (en) Stabilization of a mast for vehicles and ships
CN211756910U (zh) 一种快速响应平衡的物流机器人
JPH01316810A (ja) 自立型搬送機並びにそれによる自動搬送装置
CN104709475B (zh) 一种杠杆配重式重力补偿装置
CN101506039B (zh) 集成的飞行器称量和调平设备以及使用方法
CN108516113A (zh) 一种偏心旋转空间载荷地面调试用重力卸载方法及装置
CN114273887B (zh) 一种航天器六自由度低应力装配方法
US20130023350A1 (en) Mobile cabin and subset for the reception and the transport of at least one passenger, and recreational facility using the same
KR102029698B1 (ko) 수평유지 장치
JP7156545B2 (ja) 搬送装置
US20200039786A1 (en) Elevator pit ladder apparatus
EP3548330B1 (en) A gyroscopic vehicle seat structure
KR20110078313A (ko) 항상 수평 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부재가 구비된 로봇
CN214347954U (zh) 传输装置及分拣设备
CN208291229U (zh) 一种轨道车辆空调重心测量装置
CN104678781B (zh) 仿壁虎空间机器人姿态调控与着陆实验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