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3436A - 유도탄 회전 지지대 및 이를 구비한 유도탄 조립대 - Google Patents

유도탄 회전 지지대 및 이를 구비한 유도탄 조립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3436A
KR20210013436A KR1020190090119A KR20190090119A KR20210013436A KR 20210013436 A KR20210013436 A KR 20210013436A KR 1020190090119 A KR1020190090119 A KR 1020190090119A KR 20190090119 A KR20190090119 A KR 20190090119A KR 20210013436 A KR20210013436 A KR 20210013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upport
rotation
guided missile
bod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2029B1 (ko
Inventor
김찬호
김성훈
강명수
유동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190090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029B1/ko
Publication of KR20210013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10Constructively simple tooth shapes, e.g. shaped as pins, as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탄 회전 지지대 및 이를 구비한 유도탄 조립대에 관한 것으로 분할된 복수의 동체를 지지하되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축방향 회전이 가능하여 복수의 분할된 동체를 조립하는 데 있어 축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유도탄 조립 시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조립 작업의 시간을 단축시키며, 동체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롤러부재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간단하게 동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 때 동체의 의도하지 않는 회전이 방지되어 의도치 않은 회전으로 오조립이 발생되는 사고를 방지하고, 유도탄 조립 시 불량률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도탄 회전 지지대 및 이를 구비한 유도탄 조립대{ROTATION SUPPORT FOR GUIDED MISSILE AND ASSEMBLING SUPPORT FOR GUIDED MISSI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도탄 회전 지지대 및 이를 구비한 유도탄 조립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유도탄을 축방향 회전시키고, 상, 하 이동시켜 유도탄의 축정렬을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고,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유도탄 회전 지지대 및 이를 구비한 유도탄 조립대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유도탄은 단면적에 대한 길이의 비율인 세장비가 큰 형태로 제조되고, 이에 분할된 복수의 유도탄 몸체를 유도탄 조립대 상에서 일렬로 위치시킨 후 분할된 복수의 몸체를 직선 이동시켜 조립하고 있다.
즉, 종래의 유도탄 조립대는 분할된 복수의 유도탄 몸체를 지지하며 조립대 상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고 상, 하 이동 가능한 복수의 유도탄 지지대를 구비하여 유도탄 지지대 상에 각각의 유도탄 몸체를 올려놓고 정렬한 후 분할된 유도탄 몸체를 직선 이동시켜 조립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특허로 한국 특허등록 제1708001호 '유도무기 조립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한국 특허등록 제1708001호 '유도무기 조립장치'는 조립대에 정렬된 상기 동체를 관통하게 설치되고, 내부부품을 또 다른 동체의 내부로 밀어서 삽입시키는 슬라이더를 포함한 발명이다.
유도탄은 조립 과정에서 각각 유도탄의 부품 및 유도탄의 정상 조립 여부, 유도탄의 작동 등을 조립 단계에 따라 점검하고 있다.
한국 특허등록 제1708001호 '유도무기 조립장치'는 유도무기의 분할된 복수의 동체가 관통되어 위치되고 조립대를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링 지지대, 내부부품을 지지하는 부품 지지대, 부품 지지대에 지지된 내부부품을 내부부품을 복수로 분할된 동체 중 또 다른 동체의 내부로 밀어서 삽입시키는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그러나, 한국 특허등록 제1708001호 '유도무기 조립장치'는 동체를 지지하는 링 지지대가 단순하게 전, 후 이동만 가능하여 동체의 정렬 시 높이 뿐만 아니라 원주 방향에서의 정확한 조립 위치로 정렬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등록 제1708001호 '유도무기 조립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유도무기를 조립하는 데 있어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고, 조립 시 정렬 작업 시 사실상 어려워 복수의 동체에 대한 축정렬에 많은 조립 시간이 소요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0001)한국 특허등록 제1708001호 '유도무기 조립장치'(2017.02.13.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분할된 복수의 동체를 지지하되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축방향 회전이 가능하여 복수의 분할된 동체를 조립하는 데 있어 축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유도탄 회전 지지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체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롤러부재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간단하게 동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 때 동체의 의도하지 않는 회전이 방지되는 유도탄 회전 지지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동롤러의 회전 시 인코더를 적용하여 유도탄의 동체를 정밀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유도탄 회전 지지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도탄 회전 지지대의 일 실시예는 유도탄의 동체를 지지하는 유도탄 회전 지지대이고, 상기 동체가 관통되어 위치되는 중공부를 구비한 동체 지지부재, 상기 동체 지지부재를 축방향 회전시키는 동체 회전부 및 상기 동체 지지부재를 상, 하 이동시키는 동체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동체 승하강부는 상기 동체 지지부재의 외주면을 받쳐 지지하는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와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 및 상기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와 상기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를 서로 벌어지도록 이동시키거나 간격이 좁아지도록 이동시키는 롤러 이동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롤러 이동기기는 상기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와 상기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가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이동 레일부재, 상기 이동 레일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와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되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와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사결합되는 이동 스크류부재 및 상기 이동 스크류부재를 회전시키는 스크류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롤러 이동기기는 상기 이동 스크류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크류 회전 잠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크류 회전부는 이동 스크류부재의 단부 측에 연결되는 스크류 회전 레버 또는 이동 스크류부재를 회전시키는 스크류 회전모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동체 지지부재는 원형의 중공부를 가지는 링형상의 링 지지대 및 상기 링 지지대의 위치를 지지하는 베이스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동체 회전부는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구동 롤러부재,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구동 롤러부재와 이격되게 위치되는 종동 롤러부재 및 상기 구동 롤러부재와 종동 롤러부재에 양단부 측이 감겨져 무한 궤도로 이동하고, 상기 링 지지대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링 지지대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벨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동체 회전부는 상기 구동 롤러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롤러 회전 잠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동체 회전부는 상기 구동 롤러부재의 회전각도 및 회전수를 측정하는 로터리 엔코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와 상기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는 상기 구동 롤러부재와 상기 종동 롤러부재의 사이에 위치되고 각각 일부분에 벨트부재가 걸쳐져 위치되며, 상기 링 지지대는 상기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와 상기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에 걸쳐진 상기 벨트부재의 일부분에 각각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는 상기 롤러 이동기기에 의해 이동되는 제1롤러 받침부재 및 상기 제1롤러 받침부재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동체 지지부재의 외주면을 받쳐 지지하는 제1롤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는 상기 롤러 이동기기에 의해 이동되는 제2롤러 받침부재 및 상기 제2롤러 받침부재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동체 지지부재의 외주면을 받쳐 지지하는 제2롤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 지지대는 링몸체부 및 상기 링몸체부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링몸체부의 외주면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는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롤러부재와 상기 제2롤러부재는 각각 상기 제1플랜지부와 상기 제2플랜지부 사이에 삽입되게 위치되어 상기 링몸체부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부재는 외주면에 이격된 톱니가 위치된 타이밍 벨트이며, 상기 동체 회전부는 상기 링 지지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위치되고 타이밍 벨트의 톱니와 맞물리는 링형태의 링기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타이밍 벨트는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이격된 톱니가 위치되고, 상기 구동 롤러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종동 롤러부재의 외주면에는 각각 상기 타이밍 벨트의 내주면에 위치된 톱니에 맞물리기 위한 기어치가 각각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는 상기 롤러 이동기기에 의해 이동되는 제1롤러 받침부재 및 상기 제1롤러 받침부재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동체 지지부재의 외주면을 받쳐 지지하는 제1롤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는 상기 롤러 이동기기에 의해 이동되는 제2롤러 받침부재; 및 상기 제2롤러 받침부재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동체 지지부재의 외주면을 받쳐 지지하는 제2롤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롤러부재와 상기 제2롤러부재의 외주면에는 각각 상기 타이밍 벨트의 내주면에 위치된 톱니에 맞물리기 위한 기어치가 각각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동체 회전부는 상기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와 상기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의 사이에서 상기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와 상기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보다 낮게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외주면 중 하부 측 일부분에 상기 벨트부재가 걸쳐져 위치되는 보조 가이드 롤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벨트부재는 상기 보조 가이드 롤러부재의 하부 측 일부분에 걸쳐져 위치되면서 M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동체 회전부는 상기 보조 가이드 롤러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를 포함한 텐션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텐션 조절부는 상기 보조 가이드 롤러부재의 회전축의 상부 측을 탄성지지하는 제1스프링부재 및 상기 보조 가이드 롤러부재의 회전축의 하부 측을 탄성 지지하는 제2스프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도탄 조립대의 일 실시예는 유도탄의 동체를 지지하는 복수의 유도탄 회전 지지대, 유도탄 회전 지지대가 전, 후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유도탄 조립대를 포함하며, 유도탄 회전 지지대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탄 회전 지지대의 일 실시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탄 조립대의 일 실시예는 상기 유도탄 회전 지지대를 전, 후 이동시키는 유도탄 직선 이동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분할된 복수의 동체를 지지하되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축방향 회전이 가능하여 복수의 분할된 동체를 조립하는 데 있어 축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유도탄 조립 시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조립 작업의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체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롤러부재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간단하게 동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 때 동체의 의도하지 않는 회전이 방지되어 의도치 않은 회전으로 오조립이 발생되는 사고를 방지하고, 유도탄 조립 시 불량률을 크게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도탄의 동체 조립 시 동체의 이도하지 않는 회전이 방지됨과 아울러 구동롤러의 회전 시 인코더를 적용하여 유도탄의 동체를 정밀하게 회전시킬 수 있어 정밀한 조립 및 자세를 필요로 하는 장입과 3D 형상 측정 등 유도탄 조립 정확도를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탄 회전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탄 회전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탄 회전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탄 회전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탄 회전 지지대를 구비한 유도탄 조립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탄 회전 지지대(1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탄 회전 지지대(1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탄 회전 지지대(1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도탄 회전 지지대(10)의 일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탄 회전 지지대(10)의 일 실시예는 유도탄 회전 지지대(10)는 유도탄의 동체를 지지하는 유도탄 회전 지지대(10)이고, 더 상세하게 유도탄을 축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수직방향으로 상, 하 이동시켜 동체를 정확한 위치로 축정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탄 회전 지지대(10)의 일 실시예는 동체가 관통되어 위치되는 중공부를 구비한 동체 지지부재(100)를 포함한다.
동체 지지부재(100)는 원형의 중공부를 가지는 링형상의 링 지지대(110), 링 지지대(110)의 위치를 지지하는 베이스 지지부재(120)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동체 지지부재(100)는 링몸체부(111), 링몸체부(111)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링몸체부(111)의 외주면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는 제1플랜지부(112)와 제2플랜지부(113)를 포함한다.
제1플랜지부(112)와 제2플랜지부(113)는 링몸체부(111)의 외주면을 감싸는 원형 패널로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그리고, 링몸체부(111)의 외주면에는 링형태의 링기어부재(240)가 위치된다. 링기어부재(240)는 링몸체부(11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위치되고, 이격된 기어치가 위치된 기어구조를 가진다.
동체 지지부재(100)는 동체 회전부(200)에 의해 회전되고, 동체 승하강부(300)에 의해 승하강된다.
동체 승하강부(300)는 동체 지지부재(100)의 외주면을 받쳐 지지하는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310),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320),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310)와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320)를 서로 벌어지도록 이동시키거나 간격이 좁아지도록 이동시키는 롤러 이동기기(330)를 포함한다.
동체 승하강부(300)는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310)와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32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동체 지지부재(100)의 승하강시켜 동체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310)는 롤러 이동기기(330)에 의해 이동되는 제1롤러 받침부재(311), 제1롤러 받침부재(31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동체 지지부재(100)의 외주면을 받쳐 지지하는 제1롤러부재(312)를 포함한다.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320)는 롤러 이동기기(330)에 의해 이동되는 제2롤러 받침부재(321), 제2롤러 받침부재(32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동체 지지부재(100)의 외주면을 받쳐 지지하는 제2롤러부재(322)를 포함한다.
롤러 이동기기(330)는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310)와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320)가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이동 레일부재(331), 이동 레일부재(331)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310)와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320)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되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310)와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320)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사결합되는 이동 스크류부재(332), 이동 스크류부재(332)를 회전시키는 스크류 회전부(333)를 포함한다.
롤러 이동기기(330)는 이동 스크류부재(332)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크류 회전 잠금부(334)를 더 포함하며, 스크류 회전 잠금부(334)는 이동 레일부재(331)를 관통하여 체결되어 이동 스크류부재의 회전축을 가압하여 이동 스크류부재(332)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크류 잠금용 세트스크류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스크류 회전 잠금부(334)는 스크류 잠금용 세트 스크류 이외에도 이동 스크류부재(332)의 회전을 잠금하고,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공지의 다른 회전 브레이크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동 레일부재(331)는 베이스 지지부재(120)에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이동 스크류부재(332)는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310) 즉, 제1롤러 받침부재(311)를 관통하여 왼나사 방향으로 나사결합되고, 이동 스크류부재(332)는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320) 즉, 제2롤러 받침부재(321)를 관통하여 오른나사 방향으로 나사결합된다.
또는, 이동 스크류부재(332)는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310) 즉, 제1롤러 받침부재(311)를 관통하여 오른나사 방향으로 나사결합되고, 이동 스크류부재(332)는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320) 즉, 제1롤러 받침부재(311)를 관통하여 왼나사 방향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즉,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310)와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320)는 이동 스크류부재(332)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사결합되어 이동 스크류부재(33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서로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서로 간격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동체 지지부재(100)의 승하강시켜 동체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스크류 회전부(333)는 이동 스크류부재(332)의 단부 측에 연결되는 스크류 회전 레버 또는 이동 스크류부재(332)를 회전시키는 스크류 회전모터일 수 있다.
스크류 회전 레버는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어 이동 스크류부재(33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스크류 회전모터는 이동 스크류부재(332)의 회전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스텝모터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스크류 회전모터는 이동 스크류부재(332)를 정, 역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310)와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32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동체 지지부재(100)의 승하강시킬 수 있다.
한편, 동체 회전부(200)는 베이스 지지부재(120)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구동 롤러부재(210), 베이스 지지부재(120)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구동 롤러부재(210)와 이격되게 위치되는 종동 롤러부재(220), 구동 롤러부재(210)와 종동 롤러부재(220)에 양단부 측이 감겨져 무한 궤도로 이동하고, 링 지지대(110)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링 지지대(110)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벨트부재(230)를 포함한다.
벨트부재(230)는 환형의 띠 형태로 형성되어 양 단부가 각각 구동 롤러부재(210)와 종동 롤러부재(220)에 감겨지고 구동 롤러부재(210)에 의해 순환 이동하면서 이동 방향에 따라 링 지지대(110)를 원주 방향의 양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구동 롤러부재(210)에는 롤러 회전 레버(211)가 위치되어 작업자가 롤러 회전 레버를 조작하여 구동 롤러부재(210)를 회전시켜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동 롤러부재(210)에는 구동 롤러 회전모터가 위치되어 구동 롤러부재(210)를 전동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동체 회전부(200)는 구동 롤러부재(210)의 회전을 제한하는 롤러 회전 잠금부(250)를 더 포함하고, 롤러 회전 잠금부(250)는 베이스 지지부재(120)를 관통하여 체결되어 구동 롤러부재(210)의 회전축을 가압하여 구동 롤러부재(210)의 회전을 제한하는 축 잠금용 세트스크류인 것을 일 예로 한다.
롤러 회전 잠금부(250)는 축 잠금용 세트스크류 이외에도 구동 롤러부재(210)의 회전을 잠금하고,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공지의 다른 회전 브레이크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동체 회전부(200)는 구동 롤러부재(210)의 회전각도 및 회전수를 측정하는 로터리 엔코더(260)를 더 포함한다.
로터리 엔코더(260)는 회전 각도와 회전수를 측정할 수 있는 공지의 엔코더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로터리 엔코더(260)는 구동 롤러부재(210)의 기준 위치에서의 회전각도 및 회전수를 외부로 표시하여 작업자가 이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구동 롤러부재(210)의 회전 각도 및 회전수를 조절함으로써 동체 지지부재(100) 즉, 링 지지대(110)의 축방향 회전 위치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310)와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320)는 구동 롤러부재(210)와 종동 롤러부재(220)의 사이에 위치되고 각각 일부분에 벨트부재(230)가 걸쳐져 위치된다.
벨트부재(230)는 외주면에 이격된 톱니가 위치된 타이밍 벨트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외주면에 위치된 톱니가 링 지지대(110)의 외주면에 위치된 링기어부재(240)에 맞물리면서 링 지지대(110)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타이밍 벨트는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이격된 톱니가 위치되고, 구동 롤러부재(210)의 외주면과 종동 롤러부재(220)의 외주면에는 각각 타이밍 벨트의 내주면에 위치된 톱니에 맞물리기 위한 기어치가 각각 이격되게 위치된다.
타이밍 벨트는 구동 롤러부재(210)의 외주면 중 일부분을 감싸고, 종동 롤러부재(220)의 외주면 중 일부분을 감싸며, 구동 롤러부재(210)와 종동 롤러부재(220)의 사이에 위치된 제1롤러부재(312)의 외주면 중 일부분을 감싸고, 제2롤러부재(322)의 외주면 중 일부분을 감싼 상태로 위치된다.
제1롤러부재(312)와 제2롤러부재(322)는 각각 제1플랜지부(112)와 제2플랜지부(113) 사이에 삽입되게 위치되어 링몸체부(111)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위치된다.
제1롤러부재(312)의 외주면과 제2롤러부재(322)의 외주면에는 각각 각각 타이밍 벨트의 내측면에 위치된 톱니에 맞물리기 위한 기어치가 각각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동체 회전부(200)는 링몸체부(11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위치되고 타이밍 벨트의 톱니와 맞물리는 링형태의 링기어부재(24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제1롤러부재(312)와 제2롤러부재(322)는 벨트부재(230)에 의해 감싸진 부분이 링기어부재(240)와 맞물리면서 링 지지대(110)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동체 회전부(200)는 제1롤러부재(312)와 제2롤러부재(322)의 사이에 위치되고 제1롤러부재(312)와 제2롤러부재(322)보다 낮게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외주면 중 하부 측 일부분에 벨트부재(230)가 걸쳐져 위치되는 보조 가이드 롤러부재(270)를 더 포함한다.
보조 가이드 롤러부재(270)는 제1롤러부재(312)와 제2롤러부재(322)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하부 측 일부분에 벨트부재(230)가 걸쳐져 위치되면서 벨트부재(230)가 M자 형태로 배치되도록 하여 제1롤러부재(312)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벨트부재(230)의 일부분과 제2롤러부재(322)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벨트부재(230)의 일부분이 링기어부재(240)에 안정적으로 맞물려 위치되도록 한다.
보조 가이드 롤러부재(270)의 외주면에는 타이밍 벨트의 외측면에 위치된 톱니에 맞물리기 위한 기어치가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동체 회전부(200)는 보조 가이드 롤러부재(270)를 포함하고 보조 가이드 롤러부재(27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를 포함한 텐션 조절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텐션 조절부(280)는 보조 가이드 롤러부재(270)의 회전축의 상부 측을 탄성지지하는 제1스프링부재(281), 보조 가이드 롤러부재(270)의 회전축의 하부 측을 탄성 지지하는 제2스프링부재(282)를 포함한다.
텐션 조절부(280)는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310)와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320)가 이동되어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310)와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320)의 간격이 조절될 때 벨트부재(230)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동체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310)와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32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간격이 조절될 때 벨트부재(230)의 장력이 변화하게 된다.
텐션 조절부(280)는 벨트부재(230)가 걸쳐지는 보조 가이드 롤러부재(270)를 탄성 지지함으로써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310)와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320)가 이동될 때 변화하는 벨트부재(230)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310)와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320)의 간격이 최종적으로 조절된 후 벨트부재(230)가 이동하면서 동체 지지부재(100)를 축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텐션 조절부(280)는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310)와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320)의 위치에 관계없이 벨트부재(230)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구동 롤러부재(210)의 회전에 의해 벨트부재(230)가 이동하면서 동체 지지부재(100)가 축방향으로 원활하게 회동될 수 있도록 하고, 동체 회전부(200)의 작동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탄 회전 지지대(1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동체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310)와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32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간격이 조절될 때 동체 지지부재(100)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310)와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320)가 회전되어 동체 지지부재(100)를 의도치 않게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유도탄 회전 지지대(10)를 구비한 유도탄 조립대(20)의 일 실시예는 벨트부재(230)가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310)와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320) 즉, 제1롤러부재(312)와 제2롤러부재(322)의 외주면에 각각 일부분 씩 감겨지고 제1롤러부재(312)와 제2롤러부재(322)의 외주면에 감겨진 일부분에서 벨트부재(230)의 외주면에 위치된 톱니가 동체 지지부재(100)의 외주면에 위치된 링기어부재(240)에 맞물려 위치되어 있으므로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310)와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32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동체의 높이가 조절될 때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310)와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320)의 회전이 완전히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탄 회전 지지대(10)를 구비한 유도탄 조립대(20)의 일 실시예와 같이 벨트부재(230)의 외주면에 위치된 톱니가 동체 지지부재(100)의 외주면에 위치된 링기어부재(240)에 맞물려 위치되어 있지 않고, 유도탄의 무게중심 즉, 동체의 무게 중심이 한 방향으로 편심되어 있다면 유도탄의 동체를 지지한 상태에서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310)와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320) 중 어느 한 측에서만 회전이 발생되어 동체 지지부재(100)의 의도하지 않은 회전이 발생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벨트부재(230)는 외주면에서 이격된 톱니로 링기어부재(240)에 맞물리고, 내주면에서 이격된 톱니로 제1롤러부재(312)의 외주면과 제2롤러부재(322)의 외주면에 각각 맞물린 상태로 위치되고,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310)와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32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1롤러부재(312)와 제2롤러부재(32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서로의 회전을 상쇄시키게 된다.
즉,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310)와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32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동체 지지부재(100)가 상부 측으로 승강될 때 제1롤러부재(312)와 제2롤러부재(322)는 각각 서로 바깥쪽으로 회전되려는 힘을 받아 각각의 회전력을 상쇄하게 된다.
그리고,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310)와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320)가 서로 간격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동체 지지부재(100)가 하부 측으로 하강될 때 제1롤러부재(312)와 제2롤러부재(322)는 각각 서로 안쪽으로 회전되려는 힘을 받아 각각의 회전력을 상쇄하게 된다.
이에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310)와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32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동체의 높이가 조절될 때 동체 지지부재(100)의 의도치 않은 회전이 완전하게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탄 회전 지지대(10)를 구비한 유도탄 조립대(2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도탄 조립대(20)의 일 실시예는 유도탄의 동체를 지지하는 복수의 유도탄 회전 지지대(10), 유도탄 회전 지지대(10)가 전, 후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유도탄 조립대(20)를 포함한다.
유도탄 조립대(20)는 유도탄 회전 지지대(10)를 전, 후 이동시키는 유도탄 직선 이동기기를 더 포함하여 유도탄 회전 지지대(10)를 전, 후 이동시켜 조립 시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유도탄 직선 이동기기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볼스크류를 포함하는 공지의 리니어 액추에이터일 수도 있고, 레일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주행바퀴와 주행바퀴를 회전시키는 주행 모터를 포함할 수도 있고, 레크기어와 레크기어에 맞물려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레크 피니언 구조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공지의 다양한 직선 이동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또한, 유도탄 회전 지지대(10)의 실시예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탄 회전 지지대(10)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유도탄 회전 지지대(10)를 구비한 유도탄 조립대(20)는 유도탄의 동체를 지지하는 동체지지부재를 동체 회전부(200)로 축방향 회전시킴과 아울러 동체 승하강부(300)로 상, 하이동 시켜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동체 지지부재(100), 동체 회전부(200), 동체 승하강부(300)를 포함하는 유도탄 회전 지지대(10)를 전, 후 이동시켜 유도탄의 조립 작업에 대한 편의성 및 조립 정확도를 확보함과 아울러 조립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분할된 복수의 동체를 지지하되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축방향 회전이 가능하여 복수의 분할된 동체를 조립하는 데 있어 축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유도탄 조립 시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조립 작업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체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롤러부재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간단하게 동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 때 동체의 의도하지 않는 회전이 방지되어 의도치 않은 회전으로 오조립이 발생되는 사고를 방지하고, 유도탄 조립 시 불량률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도탄의 동체 조립 시 동체의 이도하지 않는 회전이 방지됨과 아울러 구동롤러의 회전 시 인코더를 적용하여 유도탄의 동체를 정밀하게 회전시킬 수 있어 정밀한 조립 및 자세를 필요로 하는 장입과 3D 형상 측정 등 유도탄 조립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 : 유도탄 회전 지지대 20 : 유도탄 조립대
100 : 동체 지지부재 110 : 링 지지대
111 : 링몸체부 112 : 제1플랜지부
113 : 제2플랜지부 120 : 베이스 지지부재
200 : 동체 회전부 210 : 구동 롤러부재
220 : 종동 롤러부재 230 : 벨트부재
240 : 링기어부재 250 : 롤러 회전 잠금부
260 : 로터리 엔코더 270 : 보조 가이드 롤러부재
280 : 텐션 조절부 281 : 제1스프링부재
282 : 제2스프링부재 300 : 동체 승하강부
310 :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 311 : 제1롤러 받침부재
312 : 제1롤러부재 320 :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
321 : 제2롤러 받침부재 322 : 제2롤러부재
330 : 롤러 이동기기 331 : 이동 레일부재
332 : 이동 스크류부재 333 : 스크류 회전부
334 : 스크류 회전 잠금부

Claims (19)

  1. 유도탄의 동체를 지지하는 유도탄 회전 지지대이고,
    상기 동체가 관통되어 위치되는 중공부를 구비한 동체 지지부재;
    상기 동체 지지부재를 축방향 회전시키는 동체 회전부; 및
    상기 동체 지지부재를 상, 하 이동시키는 동체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회전 지지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체 승하강부는,
    상기 동체 지지부재의 외주면을 받쳐 지지하는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와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 및
    상기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와 상기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를 서로 벌어지도록 이동시키거나 간격이 좁아지도록 이동시키는 롤러 이동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회전 지지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롤러 이동기기는,
    상기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와 상기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가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이동 레일부재;
    상기 이동 레일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와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되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와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사결합되는 이동 스크류부재; 및
    상기 이동 스크류부재를 회전시키는 스크류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회전 지지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롤러 이동기기는 상기 이동 스크류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크류 회전 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회전 지지대.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회전부는 이동 스크류부재의 단부 측에 연결되는 스크류 회전 레버 또는 이동 스크류부재를 회전시키는 스크류 회전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회전 지지대.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동체 지지부재는 원형의 중공부를 가지는 링형상의 링 지지대; 및
    상기 링 지지대의 위치를 지지하는 베이스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동체 회전부는,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구동 롤러부재;
    상기 베이스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구동 롤러부재와 이격되게 위치되는 종동 롤러부재; 및
    상기 구동 롤러부재와 종동 롤러부재에 양단부 측이 감겨져 무한 궤도로 이동하고, 상기 링 지지대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링 지지대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벨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회전 지지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동체 회전부는 상기 구동 롤러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롤러 회전 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회전 지지대.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동체 회전부는 상기 구동 롤러부재의 회전각도 및 회전수를 측정하는 로터리 엔코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회전 지지대.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와 상기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는 상기 구동 롤러부재와 상기 종동 롤러부재의 사이에 위치되고 각각 일부분에 벨트부재가 걸쳐져 위치되며,
    상기 링 지지대는 상기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와 상기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에 걸쳐진 상기 벨트부재의 일부분에 각각 접촉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회전 지지대.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는,
    상기 롤러 이동기기에 의해 이동되는 제1롤러 받침부재; 및
    상기 제1롤러 받침부재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동체 지지부재의 외주면을 받쳐 지지하는 제1롤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는,
    상기 롤러 이동기기에 의해 이동되는 제2롤러 받침부재; 및
    상기 제2롤러 받침부재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동체 지지부재의 외주면을 받쳐 지지하는 제2롤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 지지대는,
    링몸체부; 및
    상기 링몸체부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링몸체부의 외주면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는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롤러부재와 상기 제2롤러부재는 각각 상기 제1플랜지부와 상기 제2플랜지부 사이에 삽입되게 위치되어 상기 링몸체부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회전 지지대.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재는 외주면에 이격된 톱니가 위치된 타이밍 벨트이며,
    상기 동체 회전부는 상기 링 지지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위치되고 타이밍 벨트의 톱니와 맞물리는 링형태의 링기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회전 지지대.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벨트는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이격된 톱니가 위치되고, 상기 구동 롤러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종동 롤러부재의 외주면에는 각각 상기 타이밍 벨트의 내주면에 위치된 톱니에 맞물리기 위한 기어치가 각각 이격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회전 지지대.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는,
    상기 롤러 이동기기에 의해 이동되는 제1롤러 받침부재; 및
    상기 제1롤러 받침부재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동체 지지부재의 외주면을 받쳐 지지하는 제1롤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는,
    상기 롤러 이동기기에 의해 이동되는 제2롤러 받침부재; 및
    상기 제2롤러 받침부재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동체 지지부재의 외주면을 받쳐 지지하는 제2롤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롤러부재와 상기 제2롤러부재의 외주면에는 각각 상기 타이밍 벨트의 내주면에 위치된 톱니에 맞물리기 위한 기어치가 각각 이격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회전 지지대.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동체 회전부는,
    상기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와 상기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의 사이에서 상기 제1동체지지 롤러조립체와 상기 제2동체지지 롤러조립체보다 낮게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외주면 중 하부 측 일부분에 상기 벨트부재가 걸쳐져 위치되는 보조 가이드 롤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회전 지지대.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재는 상기 보조 가이드 롤러부재의 하부 측 일부분에 걸쳐져 위치되면서 M자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회전 지지대.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동체 회전부는 상기 보조 가이드 롤러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를 포함한 텐션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회전 지지대.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텐션 조절부는,
    상기 보조 가이드 롤러부재의 회전축의 상부 측을 탄성지지하는 제1스프링부재; 및
    상기 보조 가이드 롤러부재의 회전축의 하부 측을 탄성 지지하는 제2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회전 지지대.
  18. 유도탄의 동체를 지지하는 복수의 유도탄 회전 지지대; 및
    유도탄 회전 지지대가 전, 후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유도탄 조립대를 포함하며,
    상기 유도탄 회전 지지대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7의 유도탄 회전 지지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조립대.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유도탄 회전 지지대를 전, 후 이동시키는 유도탄 직선 이동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조립대.
KR1020190090119A 2019-07-25 2019-07-25 유도탄 회전 지지대 및 이를 구비한 유도탄 조립대 KR102222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119A KR102222029B1 (ko) 2019-07-25 2019-07-25 유도탄 회전 지지대 및 이를 구비한 유도탄 조립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119A KR102222029B1 (ko) 2019-07-25 2019-07-25 유도탄 회전 지지대 및 이를 구비한 유도탄 조립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436A true KR20210013436A (ko) 2021-02-04
KR102222029B1 KR102222029B1 (ko) 2021-03-03

Family

ID=74558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119A KR102222029B1 (ko) 2019-07-25 2019-07-25 유도탄 회전 지지대 및 이를 구비한 유도탄 조립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0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677B1 (ko) * 2021-07-21 2022-01-13 국방과학연구소 관내 삽입 시스템
KR20220138080A (ko) * 2021-04-05 2022-10-12 주식회사 한화 추진기관 조립용 조립 규격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진기관 조립용 조립 규격 검사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173A (ko) * 1997-10-23 1999-05-15 정몽규 대형 화물차 및 버스용 타이어 탈장착시 이용되는 보조 잭
JPH11333652A (ja) * 1998-05-27 1999-12-07 Babcock Hitachi Kk パイプ支持装置
KR100713217B1 (ko) * 2006-09-14 2007-05-02 국방과학연구소 유도탄 조립대
KR20160107814A (ko) * 2015-03-05 2016-09-19 국방과학연구소 유도탄 고정 장치
KR101708001B1 (ko) 2015-05-18 2017-02-17 국방과학연구소 유도무기 조립장치
KR20190078200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한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173A (ko) * 1997-10-23 1999-05-15 정몽규 대형 화물차 및 버스용 타이어 탈장착시 이용되는 보조 잭
JPH11333652A (ja) * 1998-05-27 1999-12-07 Babcock Hitachi Kk パイプ支持装置
KR100713217B1 (ko) * 2006-09-14 2007-05-02 국방과학연구소 유도탄 조립대
KR20160107814A (ko) * 2015-03-05 2016-09-19 국방과학연구소 유도탄 고정 장치
KR101708001B1 (ko) 2015-05-18 2017-02-17 국방과학연구소 유도무기 조립장치
KR20190078200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한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080A (ko) * 2021-04-05 2022-10-12 주식회사 한화 추진기관 조립용 조립 규격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진기관 조립용 조립 규격 검사방법
KR102350677B1 (ko) * 2021-07-21 2022-01-13 국방과학연구소 관내 삽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2029B1 (ko) 202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2029B1 (ko) 유도탄 회전 지지대 및 이를 구비한 유도탄 조립대
EP2607843A1 (de) Laserbasiertes Koordinatenmessgerät mit einer Fest-Los-Lager-Vorrichtung
BR112018008187B1 (pt) Pórtico de montagem de motor
US10835766B2 (en) Particle beam treatment apparatus
US10399788B2 (en) Pallet transport device
US20070111841A1 (en) Axle assembly bearing positioning and preload adjustment tool and method of implementing same
CN112762901A (zh) 基于自动调节测量系统的激光投线仪及调节方法
CN115306826A (zh) 一种轴承自动制备系统及制备工艺
CA2742275C (en) Inclined beamline motion mechanism
CN106808387A (zh) 一种用于汽车零部件的自动定位压紧装置
WO2024066261A1 (zh) 一种小型容器内块体精确定位安装装置
KR102459157B1 (ko) 동체 회전용 지그부를 구비한 유도탄용 회전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탄 조립대
US3308921A (en) Carriage
GB2518494A (en) Vehicle pulling device, system for passing vehicle in two modes, and inspection system thereof
US201300489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lifting and lowering objects
JP2015112674A (ja) 昇降ガイド、昇降装置、これを備えた搬送装置
CN111653516B (zh) 一种工件承载装置和固化设备
CN219714721U (zh) 锁具测试装置
CN113752193B (zh) 一种发动机与变速箱的定位工装
CN216882638U (zh) 一种全自动柔性切换转股
US7921894B2 (en) Tire molding machine
KR20140145359A (ko) 스러스트 베어링 사상장치용 궤도중심 세팅장치
KR20190001848A (ko) 자동차용 센터 플로어 판넬 어셈블리의 검사 테이블 장치
US20230150043A1 (en) Actively preloaded drive-guideway system
CN210476883U (zh) 回转支承装配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