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8196A - 게임 객체 선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게임 객체 선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8196A
KR20190078196A KR1020170179981A KR20170179981A KR20190078196A KR 20190078196 A KR20190078196 A KR 20190078196A KR 1020170179981 A KR1020170179981 A KR 1020170179981A KR 20170179981 A KR20170179981 A KR 20170179981A KR 20190078196 A KR20190078196 A KR 20190078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object selection
input
displayed
gam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170179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8196A/ko
Publication of KR20190078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1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게임 객체 선택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객체 선택 장치는 게이밍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장치로부터 게임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수신부; 상기 게임 화면에 대한 객체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객체 선택 입력 지점에 기초하여 객체 선택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객체 선택 영역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에 대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가 순차적으로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 중 상기 객체 선택 입력의 종료 시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된 게임 객체를 선택하는 객체 선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게임 객체 선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GAME OBJE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게임 객체 선택 기술과 관련된다.
최근 게임은 게이밍 디바이스 내에서만 실행되는 로컬 게임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게이밍 디바이스나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실행되는 온라인 게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또한, 하드웨어 성능 및 네트워크 기술의 향상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나 게임 콘솔뿐 아니라 스마트폰(Smart Phone), 타블렛(Tablet) PC 등과 같은 모바일 장치에서도 게임이 실행 가능하도록 진화하고 있다.
한편, 사용자가 게임 화면상의 어느 한 지점에 밀집되어 있는 다수의 게임 객체들 중 어느 특정 객체를 선택하려는 경우, 사용자의 객체 선택 입력에 따라 그 특정 객체 외 다른 객체들이 선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그 특정 객체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다소 소요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사용자가 원하는 게임 진행 방향과 정 반대로 게임이 진행될 수 있으며, 게임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려고 하였던 사용자에게 오히려 스트레스를 가중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게임 객체를 빠르고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게임 객체 선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이밍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장치로부터 게임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수신부; 상기 게임 화면에 대한 객체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객체 선택 입력 지점에 기초하여 객체 선택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객체 선택 영역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에 대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가 순차적으로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 중 상기 객체 선택 입력의 종료 시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된 게임 객체를 선택하는 객체 선택부를 포함하는, 게임 객체 선택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표시 제어부는,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가 순차적으로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시간 간격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를 상기 게임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그래픽 객체가 표시된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시간 간격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객체 선택 입력 지점과 상기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 각각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객체 선택 영역에 종류가 상이한 복수의 게임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종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스킬의 종류 및 상기 객체 선택 영역에 존재하는 상기 게임 객체의 종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이밍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장치로부터 게임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게임 화면에 대한 객체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객체 선택 입력 지점에 기초하여 객체 선택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객체 선택 영역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에 대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가 순차적으로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 중 상기 객체 선택 입력의 종료 시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된 게임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게임 객체 선택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가 순차적으로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가 순차적으로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가 순차적으로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시간 간격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를 상기 게임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그래픽 객체가 표시된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시간 간격이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객체 선택 입력 지점과 상기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 각각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객체 선택 영역에 종류가 상이한 복수의 게임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종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스킬의 종류 및 상기 객체 선택 영역에 존재하는 상기 게임 객체의 종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게이밍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장치로부터 게임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게임 화면에 대한 객체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객체 선택 입력 지점에 기초하여 객체 선택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객체 선택 영역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에 대해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객체 선택 입력의 종료 시의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된 게임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이밍 디바이스로 하여금, 게이밍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장치로부터 게임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게임 화면에 대한 객체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객체 선택 입력 지점에 기초하여 객체 선택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객체 선택 영역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에 대해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객체 선택 입력의 종료 시의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된 게임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저장부; 및 상기 게이밍 디바이스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송신부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송신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객체 선택 영역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에 대해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게임 객체를 빠르고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객체 선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객체 선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제 정보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전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에서 "게임"이란, 한 명 또는 그 이상의 게이머들이 게이밍 디바이스에 탑재되거나 연결된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즐길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통상 플레이어 캐릭터를 직접 조작하거나, 게임 내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조작하는 등의 방식으로 진행되며, 롤플레잉, 어드벤쳐, 아케이드 등으로 장르가 구분되기도 한다.
이하에서 "게이밍 디바이스"란 게임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되 입력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연산을 수행하며, 출력장치를 통해 결과를 출력하는 하드웨어를 의미한다.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랩탑(Laptop Computer), 게임 콘솔(Game Console), 스마트폰(Smart Phone), 타블렛(Tablet) PC, 스마트 밴드(Smart Band)나 스마트 와치(Smart Watch)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의 형태일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정의를 만족하는 하드웨어라면 게이밍 디바이스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하에서 "온라인 게임"이란, 게임의 플레이를 위하여 네트워크를 경유하여야 하는 게임을 의미한다. 통상 원격지의 둘 이상의 게이밍 디바이스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거나, 서버를 통해 동기화되어 즐기는 게임을 의미한다. 상기의 정의를 만족하는 것이라면 게임을 실행하는 게이밍 디바이스의 형태에 제한을 두지 아니한다. 개인용 컴퓨터나 게임 콘솔에서 실행되는 게임뿐만 아니라,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에서 실행되는 게임, 또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게이밍 디바이스(서로 다른 종류의 게이밍 디바이스도 포함한다)가 연동되거나 클라우드에서 실행되는 게임 또한 상기 정의를 만족하는 것이라면 온라인 게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하에서 "입력장치(Input Device)"란, 게이밍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예컨대, 조이스틱, 마우스, 키보드, 터치스크린, 하드웨어 버튼 또는 스티어링 휠, 악기, 총, 장갑, 발판 등의 형태로 제조된 게임 조작 전용 입력장치를 들 수 있다. 이외에도 게이밍 디바이스에 탑재되거나 연동되는 각종 센서(온도 센서, 적외선 센서, 모션센서, 자이로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등)나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실내 위치 확인 시스템(Indoor Positioning System) 등의 위치 확인 수단 또한 입력장치의 일 예로 들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객체 선택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게임 객체 선택 장치(100)는 게이밍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게임에 대한 조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게이밍 디바이스에 포함된 일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게임은 상술한 온라인 게임뿐 아니라 다른 게이밍 디바이스 또는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한 연동 없이 게이밍 디바이스 상에서만 실행되는 게임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객체 선택 장치(100)는 입력 수신부(110), 표시 제어부(120) 및 객체 선택부(130)를 포함한다.
입력 수신부(110)는 게이밍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장치로부터 게임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한다. 이때, 입력 장치는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우스, 키보드 등 다양한 형태의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120)는 게이밍 디바이스에 구비된 표시 장치가 게임 화면상에 게임 객체를 표시하는 것에 대해 제어한다.
게임 객체는 게임 화면을 구성하는 요소 중 사용자에 의한 조종 또는 게임 동작의 적용이 가능한 요소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게임 객체는 사용자의 캐릭터, 다른 사용자의 캐릭터, 몬스터, 아이템 및 NPC(Non-Player Charac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게임 동작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게임 화면 상에 표시되는 게임 객체의 동작 내지는 게임 객체 사이의 상호 작용을 의미한다. 게임 동작은 예를 들어, 게임 객체에 대한 공격, 게임 객체의 획득, 게임 객체 간의 대화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른 사용자의 캐릭터 또는 몬스터에 대한 공격, 아이템의 획득, 사용자의 캐릭터와 NPC 사이의 대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게임 객체와 게임 동작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예 외에도 게임의 장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게임 객체와 게임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120)는 게임 화면에 대한 객체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의 객체 선택 입력 지점에 기초하여 객체 선택 영역을 결정한다. 객체 선택 입력은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마우스 등 게이밍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객체 선택 영역은 예를 들어, 게임 화면상의 객체 선택 입력 지점으로부터 설정된 반경의 크기를 가지는 원으로 볼 수 있다. 다만, 객체 선택 영역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객체 선택 입력 지점에 기초한 게임 화면상의 직선, 곡선, 폐곡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120)는 게임 화면에 대한 객체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객체 선택 영역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에 대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가 순차적으로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우선 순위는 게임 자체에서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게임 객체에 대해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하는 방식에는 예를 들어, 게임 객체의 주변을 빛나게 표시하거나, 게임 객체의 색깔을 특정 색깔로 표시하거나, 게임 객체의 이름을 특정 색깔로 표시하거나, 게임 객체의 이름을 다른 게임 객체의 이름과 상이한 크기로 표시하거나, 게임 객체 상에 화살표를 표시하는 등 여러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다만, 게임 객체에 대해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하는 방식은 반드시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게임 화면 상에서 선택된 게임 객체와 선택되지 않은 게임 객체를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 실시예들을 포함한다.
표시 제어부(120)는 설정된 시간 간격(예: 3초)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가 순차적으로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선택 영역에 A, B, C 캐릭터가 있는 경우, 표시 장치(미도시)는 A 캐릭터의 주변을 3초간 빛나게 표시한 후, B 캐릭터의 주변을 3초간 빛나게 표시한 후, C 캐릭터의 주변을 3초간 빛나게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객체 선택부(130)는 상기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 중 상기 객체 선택 입력의 종료 시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된 게임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선택하고자 하는 게임 객체를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게임 화면상의 어느 한 지점에 밀집되어 있는 다수의 게임 객체들 중 어느 특정 객체를 선택하려는 경우, 사용자는 게임 화면상의 그 지점을 손가락으로 누르고 있다가, 게임 화면상에 선택하고자 하는 게임 객체가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된 경우, 손가락을 땜으로서 선택하고자 하는 게임 객체를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게임 화면상의 어느 한 지점에 A, B, C 캐릭터가 밀집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게임 화면상의 그 지점을 손가락으로 누르고 있으면, A 캐릭터의 주변이 3초간 빛나게 표시된 후, B 캐릭터의 주변이 3초간 빛나게 표시된 후, C 캐릭터의 주변이 3초간 빛나게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B 객체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게임 화면을 응시하고 있다가 B 캐릭터의 주변이 빛날 때 손가락을 땜으로서 B 캐릭터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게임 화면상의 어느 한 지점에 밀집되어 있던 A, B, C 캐릭터 중 C 캐릭터를 선택하려고 그 지점을 손가락을 누르기 시작했는데, C 캐릭터의 주변이 빛나기 전에 C 캐릭터가 움직이면서 객체 선택 영역을 이탈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게임 화면상의 어느 한 지점에 밀집되어 있던 A, B, C 캐릭터 중 C 캐릭터를 선택하려고 그 지점을 손가락을 누르기 시작했는데, C 캐릭터의 주변이 빛나기 전에 C 캐릭터보다 우선순위가 더 높은 D 캐릭터가 움직이면서 객체 선택 영역에 출입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처럼, 객체 선택 입력이 지속되는 동안, 객체 선택 영역 외에 존재하던 게임 객체의 객체 선택 영역 출입 또는 객체 선택 영역 내에 존재하던 게임 객체의 객체 선택 영역 이탈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제어부(120)는 객체 선택 입력이 지속되는 동안 객체 선택 영역 외에 존재하던 게임 객체의 객체 선택 영역 출입 또는 객체 선택 영역 내에 존재하던 게임 객체의 객체 선택 영역 이탈을 실시간으로 반영하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가 순차적으로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표시 제어부(120)는 객체 선택 입력이 지속되는 동안 객체 선택 영역 외에 존재하던 게임 객체의 객체 선택 영역 출입 또는 객체 선택 영역 내에 존재하던 게임 객체의 객체 선택 영역 이탈을 반영하지 않으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가 순차적으로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표시 제어부(120)는 객체 선택 영역상에 존재하는 모든 게임 객체에 대해 순차적으로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마친 경우, 다시 처음부터 객체 선택 영역상에 존재하는 게임 객체에 대해 순차적으로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선택 영역에 A, B, C 캐릭터가 있는 경우, 표시 장치는 A 캐릭터의 주변을 3초간 빛나게 표시한 후, B 캐릭터의 주변을 3초간 빛나게 표시한 후, C 캐릭터의 주변을 3초간 빛나게 표시한 후, 다시, A 캐릭터의 주변을 3초간 빛나게 표시한 후, B 캐릭터의 주변을 3초간 빛나게 표시한 후, C 캐릭터의 주변을 3초간 빛나게 표시하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
한편, 표시 제어부(120)는 상기 시간 간격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를 상기 게임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그래픽 객체가 표시된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시간 간격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기 취향에 따라 상기 시간 간격을 짧거나(예: 1초) 길게(예: 5초) 변경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사용자 취향에 맞게 시간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게임 객체를 빠르게 또는 안정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객체 선택 입력 지점과 상기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 각각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120)는 객체 선택 영역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에 대해 객체 선택 입력 지점에 가까운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객체 선택 입력 지점에 가장 가까운 게임 객체가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했던 게임 객체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추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우선 순위는 객체 선택 영역에 종류가 상이한 복수의 게임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종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어 간의 대전이 가능한 게임의 경우, 게임 모드가 PVP(Player Vs Player) 모드일 경우, 공격 가능한 다른 플레이어의 캐릭터, 몬스터, 아이템의 순으로 우선 순위가 설정될 있으며, PVP(Player Vs Player) 모드가 아닌 일반 모드일 경우, 몬스터, 아이템, NPC의 순으로 우선 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현재 게임 모드가 PVP 모드이며, 객체 선택 영역에 공격 가능한 다른 플레이어의 캐릭터, 몬스터 및 아이템이 존재하는 경우, 표시 제어부(120)는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다른 플레이어의 캐릭터부터 몬스터, 아이템의 순으로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현재 게임 모드가 일반 모드이며, 객체 선택 영역에 공격 가능한 다른 플레이어의 캐릭터, 몬스터 및 아이템이 존재하는 경우, 표시 제어부(120)는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몬스터부터 아이템, NPC의 순으로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게임 객체의 종류 및 게임 모드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게임 장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 가능하다.
또한, 표시 제어부(120)는 게임 객체 선택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를 상기 게임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그래픽 객체가 표시된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우선 순위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몬스터, 아이템, NPC, 플레이어 캐릭터의 순으로 게임 객체의 종류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한 경우를 가정하면, 객체 선택 영역에 플레이어 캐릭터, 몬스터 및 NPC가 존재하는 경우, 표시 제어부(120)는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플레이어 몬스터부터 NPC, 플레이어 캐릭터 순으로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제어부(120)는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는 게임 객체의 종류를 한정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를 게임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그래픽 객체가 표시된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는 게임 객체의 종류가 한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자기 그룹에 속하지 않는 캐릭터만을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하거나, 몬스터만을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선택하고자 하는 게임 객체를 빠르게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우선 순위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스킬의 종류 및 객체 선택 영역에 존재하는 게임 객체의 종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스킬이 게임 객체에 대해 이로운 스킬인 경우, 표시 제어부(120)는 상기 사용자가 속한 사용자 그룹에 속하는 게임 객체에 대해 우선적으로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선택한 스킬이 게임 객체에 대해 해로운 스킬인 경우, 표시 제어부(120)는 상기 사용자가 속한 사용자 그룹에 속하지 않는 게임 객체에 대해 우선적으로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게임 객체를 빠르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객체 선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게임 객체 선택 장치(100)는 게임 화면에 대한 객체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의 객체 선택 입력 지점에 기초하여 객체 선택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객체 선택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press)이 있는 경우, 게임 화면상의 사용자의 터치 입력 지점으로부터 설정된 반경의 크기를 가지는 원(110)을 객체 선택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객체 선택 영역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객체 선택 입력 지점에 기초한 게임 화면상의 직선, 곡선, 폐곡면 등이 될 수 있다.
게임 객체 선택 장치(100)는 게임 화면에 대한 객체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객체 선택 영역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에 대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가 순차적으로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객체 선택 장치(100)는 게임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press)이 있는 경우, 객체 선택 영역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에 대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캐릭터의 이름이 순차적으로 게임 화면 상에 크고 두껍게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게임 객체에 대해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하는 방식은 반드시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게임 객체의 주변을 빛나게 표시하거나, 게임 객체의 색깔을 특정 색깔로 표시하거나, 게임 객체 상에 화살표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게임 객체의 종류에 대한 우선 순위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게임 모드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게임 객체 선택 장치(100)는 상기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 중 객체 선택 입력의 종료 시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된 게임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화면상의 어느 한 지점에 은혼, 요정록이, 멘탈갑 캐릭터가 밀집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게임 화면상의 그 지점을 손가락으로 누르고(press) 있으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은혼 캐릭터의 이름을 3초간 크고 두껍게 표시한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정록이 캐릭터의 이름을 3초간 크고 두껍게 표시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멘탈갑 캐릭터의 이름을 3초간 크고 두껍게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멘탈갑 캐릭터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게임 화면을 응시하고 있다가 멘탈갑 캐릭터의 이름이 크고 두껍게 표시될 때 손가락을 땜(release)으로서 멘탈갑 캐릭터를 선택할 수 있다.
게임 객체 선택 장치(100)는 객체 선택 영역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에 대해 설정된 시간 간격(예: 3초)에 따라 순차적으로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선택 영역에 은혼, 요정록이, 멘탈갑 캐릭터가 있는 경우, 표시 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은혼 캐릭터의 이름을 3초간 크고 두껍게 표시한 후, 요정록이 캐릭터의 이름을 3초간 크고 두껍게 표시한 후, 멘탈갑 캐릭터의 이름을 3초간 크고 두껍게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게임 객체 선택 장치(100)는 상기 시간 간격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를 상기 게임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그래픽 객체가 표시된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시간 간격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기 취향에 따라 상기 시간 간격을 짧거나(예: 1초) 길게(예: 5초) 변경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사용자 취향에 맞게 시간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게임 객체를 빠르게 또는 안정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제 정보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흐름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게임 객체 선택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810). 예를 들어, 게임 객체 선택 장치는 게이밍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장치로부터 게임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게임 객체 선택 장치는 객체 표시를 제어한다(820). 예를 들어, 게임 객체 선택 장치는 게임 화면에 대한 객체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객체 선택 입력 지점에 기초하여 객체 선택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객체 선택 영역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에 대해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게임 객체 선택 장치는 객체를 선택한다(830). 예를 들어, 게임 객체 선택 장치는 상기 객체 선택 입력의 종료 시의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된 게임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10)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되는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게임 객체 선택 장치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공 장치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2)와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전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컴퓨터 프로그램 전송 장치(30)는 게이밍 디바이스에 컴퓨터 프로그램을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배포하는 서버에 포함된 일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게이밍 디바이스에 설치되어, 게이밍 디바이스로 하여금, 게이밍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장치로부터 게임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게임 화면에 대한 객체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객체 선택 입력 지점에 기초하여 객체 선택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객체 선택 영역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에 대해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객체 선택 입력의 종료 시의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된 게임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전송 장치(30)는 컴퓨터 프로그램 저장부(32)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공부(34)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저장부(32)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공부(34)는 게이밍 디바이스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전송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제공부(34)는 게이밍 디바이스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요청받은 경우, 상기 게이밍 디바이스에 컴퓨터 프로그램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요청 및 전송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마켓이나 플레이 스토어 어플레이케이션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개인용 PC 등에 설치된 인터넷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게임 객체 선택 장치
110 : 입력 수신부
120 : 표시 제어부
130 : 객체 선택부

Claims (16)

  1. 게이밍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장치로부터 게임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수신부;
    상기 게임 화면에 대한 객체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객체 선택 입력 지점에 기초하여 객체 선택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객체 선택 영역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에 대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가 순차적으로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 중 상기 객체 선택 입력의 종료 시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된 게임 객체를 선택하는 객체 선택부를 포함하는, 게임 객체 선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가 순차적으로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게임 객체 선택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시간 간격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를 상기 게임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그래픽 객체가 표시된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시간 간격이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게임 객체 선택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객체 선택 입력 지점과 상기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 각각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게임 객체 선택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객체 선택 영역에 종류가 상이한 복수의 게임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종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게임 객체 선택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스킬의 종류 및 상기 객체 선택 영역에 존재하는 상기 게임 객체의 종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게임 객체 선택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인, 게임 객체 선택 장치.
  8. 게이밍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장치로부터 게임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게임 화면에 대한 객체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객체 선택 입력 지점에 기초하여 객체 선택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객체 선택 영역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에 대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가 순차적으로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 중 상기 객체 선택 입력의 종료 시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된 게임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게임 객체 선택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가 순차적으로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가 순차적으로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게임 객체 선택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가 순차적으로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시간 간격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를 상기 게임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그래픽 객체가 표시된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시간 간격이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게임 객체 선택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객체 선택 입력 지점과 상기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 각각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게임 객체 선택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객체 선택 영역에 종류가 상이한 복수의 게임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종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게임 객체 선택 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스킬의 종류 및 상기 객체 선택 영역에 존재하는 상기 게임 객체의 종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게임 객체 선택 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인, 게임 객체 선택 방법.
  15.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게이밍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장치로부터 게임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게임 화면에 대한 객체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객체 선택 입력 지점에 기초하여 객체 선택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객체 선택 영역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에 대해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객체 선택 입력의 종료 시의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된 게임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6. 게이밍 디바이스로 하여금,
    게이밍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장치로부터 게임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게임 화면에 대한 객체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객체 선택 입력 지점에 기초하여 객체 선택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객체 선택 영역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게임 객체에 대해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객체 선택 입력의 종료 시의 상기 게임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된 게임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저장부; 및
    상기 게이밍 디바이스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송신부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송신 장치.
KR1020170179981A 2017-12-26 2017-12-26 게임 객체 선택 장치 및 방법 KR201900781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981A KR20190078196A (ko) 2017-12-26 2017-12-26 게임 객체 선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981A KR20190078196A (ko) 2017-12-26 2017-12-26 게임 객체 선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196A true KR20190078196A (ko) 2019-07-04

Family

ID=67259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981A KR20190078196A (ko) 2017-12-26 2017-12-26 게임 객체 선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819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6678A (ko) * 2019-08-30 2021-03-10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160409A (ko) * 2021-05-27 2022-12-06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캐릭터에 비전 효과를 적용하는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20161884A (ko) * 2021-05-31 2022-12-07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사용자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6678A (ko) * 2019-08-30 2021-03-10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160409A (ko) * 2021-05-27 2022-12-06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캐릭터에 비전 효과를 적용하는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20161884A (ko) * 2021-05-31 2022-12-07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사용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8086B1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유저 제스처 입력 처리 방법
KR20190078196A (ko) 게임 객체 선택 장치 및 방법
KR102260409B1 (ko) 게임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KR102650890B1 (ko) 게임 내 아이템 강화 서비스 제공 방법
JP7343355B2 (ja) ゲーム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102557808B1 (ko) 게임 서비스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서의 메모 공유 방법
KR102614708B1 (ko) 타겟 객체 선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게이밍 디바이스
KR102584901B1 (ko) 이벤트 정보 송신 장치 및 방법, 이벤트 정보 출력 장치 및 방법
KR102609293B1 (ko) 게임 동작 결정 장치 및 방법
KR102279845B1 (ko) 캐릭터 명칭 추천 방법 및 장치
KR102211564B1 (ko)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945384B1 (ko) 게임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170825B1 (ko) 게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463571B1 (ko) 게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141477B1 (ko) 게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088040A (ko) 게임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268743B1 (ko) 게임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771989B2 (en) Method for providing item enhancement service in game
KR20190127308A (ko) 게임 동작 예측 장치 및 방법
KR102152231B1 (ko) 게임 서버 정보 제공 장치
KR102369256B1 (ko)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KR102369251B1 (ko)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KR102553856B1 (ko) 통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통제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2096856B1 (ko) 게임 매칭 장치 및 방법
KR20220161882A (ko) 퀘스트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