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6226A -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6226A
KR20190076226A KR1020170177844A KR20170177844A KR20190076226A KR 20190076226 A KR20190076226 A KR 20190076226A KR 1020170177844 A KR1020170177844 A KR 1020170177844A KR 20170177844 A KR20170177844 A KR 20170177844A KR 20190076226 A KR20190076226 A KR 20190076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leaner
main body
body frame
bel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1204B1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7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204B1/ko
Publication of KR20190076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24Cleaning devices comprising plural diverse 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 combination of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는, 벨트부재의 외측에 배치되는 본체프레임부와, 본체프레임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벨트부재와 접촉가능하게 배치되는 크리너부와, 본체프레임부에 설치되고, 벨트부재 측으로 세척액을 분사하는 분사부 및 크리너부에 접촉 가능하도록 본체프레임부에 설치되어 크리너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크리너부와 센서부의 접촉 시 센서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분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CLEANING DEVICE FOR BELT CONVEYOR}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벨트부재 또는 크리너부에 부착물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컨베이어는 다수개의 롤러에 의해 지지되는 벨트에 의해 다량의 수송물을 이송시키는 장치로, 주로 이송장치나 자동화 라인에 사용된다.
또한 벨트컨베이어는 제철산업에서 철광석 및 석탄과 같은 원료를 이송시키는데 주로 사용된다.
수송물을 운반하는 벨트부재의 양측에는 구동롤러가 구비되며, 구동롤러의 사이에 위치하는 벨트부재의 하측에는 복수의 롤러부재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8014호(2010.11.04 공개, 발명의 명칭: 벨트 컨베이어)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크리너부의 회전을 감지하고, 벨트부재 또는 크리너부 측으로 세척액을 분사하여 부착물의 생성 및 부착물과의 마찰로 인한 장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는: 벨트부재의 외측에 배치되는 본체프레임부;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벨트부재와 접촉가능하게 배치되는 크리너부;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부재 측으로 세척액을 분사하는 분사부; 및 상기 크리너부에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상기 크리너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크리너부와 상기 센서부의 접촉 시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분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크리너부는,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크리너샤프트; 상기 크리너샤프트에 결합되고, 상기 벨트부재에 접촉 가능한 크리너본체; 상기 크리너본체와 소정 각도를 이루며 상기 크리너샤프트에 결합되는 리미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는,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리미트부를 탄성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지지본체부; 상기 지지본체부와 상기 리미트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본체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사부는,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세척액의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분사본체; 및 상기 분사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분사본체를 개폐하는 분사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는, 크리너부와 센서부의 접촉 시 분사부에서 벨트부재 또는 크리너부에 부착되는 부착물을 향해 세척액이 분사되어 부착물의 생성 및 부착물로 인한 장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미트부가 크리너본체와 소정 각도를 이루며 크리너샤프트에 결합됨으로 인하여 부착물로 인한 크리너본체의 회전 시 리미트부가 센서부에 접촉되며 크리너부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지지부가 리미트부를 벨트부재 측으로 탄성지지함으로 인하여 세척액에 의해 부착물이 제거 후 크리너부가 정위치에 복귀되도록 한다.
또한, 분사커버부가 분사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분사본체를 개폐함으로 인하여 부착물이 분사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1)는, 본체프레임부(100), 크리너부(200), 분사부(300), 센서부(400), 제어부(500), 지지부(6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프레임부(100)는 벨트부재(20)의 외측, 구체적으로 벨트부재(20)의 하측(도 1 기준 )에 배치되는 것으로, 지면 등에 작업장에 위치 고정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너부(200)는 본체프레임부(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벨트부재(20)와 접촉가능하게 배치된다. 크리너부(200)는 크리너샤프트(210), 크리너본체(220), 리미트부(2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너부(200)는 벨트부재(20)에 접촉가능하게 배치되고, 이로 인하여 벨트부재(20) 상에 원료가 부착되어 생성되는 부착물(C)과 접촉 충돌하여 부착물(C)을 제거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너샤프트(210)는 본체프레임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크리너샤프트(210)에는 크리너본체(220)가 결합되며, 크리너본체(220)가 벨트부재(20)에 부착되는 부착물(C)과 접촉 충돌되면 회전됨으로 인하여 크리너본체(220)가 부착물(C)과의 충돌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너본체(220)는 크리너샤프트(210)에 결합되는 것으로, 벨트부재(20)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너본체(220)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크리너샤프트(210)의 외주면을 따라 크리너샤프트(2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복수 개의 크리너본체(220)는 크리너샤프트(210)의 외주면 상에서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벨트부재(20)가 이동됨에 따라 벨트부재(20)의 표면 상에 부착되는 부착물(C)과의 접촉 충돌되는 크리너본체(220)의 구성은 공지기술인바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너본체(220)는 크리너샤프트(210)의 외주면에서 벨트부재(20) 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며, 크리너본체(220)가 벨트부재(20)에 접촉됨으로 인하여 벨트부재(20)에 원료가 부착되어 생성되는 부착물(C)을 긁어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미트부(230)는 크리너본체(220)와 소정 각도(θ)를 이루는 것으로, 크리너샤프트(210)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미트부(230)와 크리너본체(220) 사이의 각도(θ)는 소정 각도로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크리너본체(220)가 벨트부재(20) 상에서 다량 혹은 높은 점도를 가지는 부착물(C)과의 충돌로 인해 벨트부재(20)에서 이격되며 회전 시 리미트부(230)는 크리너본체(220)와 소정 각도(θ)를 유지하며 함께 회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미트부(230)는 뒤에 설명할 센서부(400)에 접촉되며 전기적 신호를 발생한다.
센서부(400)에서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는 제어부(500)로 송신되고, 제어부(500)는 센서부(40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뒤에 설명할 분사부(300)의 구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분사부(300)에서 세척액(L)이 벨트부재(20) 측으로 분사되도록 하여 벨트부재(20)에 점착되는 부착물(C)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300)는 본체프레임부(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벨트부재(20) 측으로 세척액(L)을 분사한다.
본 발명에서는 분사부(300)가 본체프레임부(100)에 설치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지면 등 작업장에 별도로 설치되어 본체프레임부(100)와 이격 배치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300)는 분사본체(310), 분사커버부(3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본체(310)는 본체프레임부(100)에 결합되는 것으로, 세척액(L)의 유동 경로를 제공한다.
이로 인하여 세척액저장부(도면 미 도시)에서 세척액(L)을 공급받아 벨트부재(20) 측으로 세척액(L)이 분사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커버부(320)는 분사본체(3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분사본체(310)를 개폐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400)는 크리너부(200)에 접촉 가능하도록 본체프레임부(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크리너부(200)의 회전을 감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400)는, 크리너부(200), 구체적으로 리미트부(230)의 회전 반경 상에 배치된다.
벨트부재(20) 상에 점착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착물(C)에 의해 크리너본체(220)가 회전되고, 크리너본체(220)와 소정 각도(θ)를 이루는 리미트부(230)도 회전되면서 센서부(400)와 리미트부(230)가 접촉된다.
센서부(400)는 리미트부(230)와의 접촉하면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500)로 송신하고, 제어부(500)는 센서부(40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분사부(300)의 구동을 제어한다.
도 1 내지 도 3,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600)는 본체프레임부(100)에 결합되는 것으로, 리미트부(230)를 탄성 지지한다. 지지부(600)는 지지본체부(610), 탄성부재(620)를 포함한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본체부(610)는 본체프레임부(100)에 결합되는 것으로, 탄성부재(620)가 설치되어 리미트부(230)가 탄성부재(620)를 가압 시 탄성부재(620)를 지지한다.
탄성부재(620)는 지지본체부(610)와 리미트부(23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지지본체부(6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도 2 기준 상측)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진다.
이로 인하여 크리너부(200), 구체적으로 리미트부(230)가 회전됨에 따라 탄성부재(620)를 가압한 후 크리너부(200)가 정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탄성부재(620)는 코일(COIL) 형상의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1)는 본체프레임부(100), 크리너부(200), 분사부(300), 센서부(400), 제어부(500), 지지부(600)를 포함한다.
벨트부재(20)는 풀리부(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된다.
벨트부재(20) 상에서 원료가 이송되고, 벨트부재(20)의 리턴 시 벨트부재(20)에 원료가 점착되며 부착물(C)이 생성되고, 부착물(C)이 벨트부재(20)의 하측(도 2 기준)으로 낙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크리너부(200)가 본체프레임부(100)에 설치된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크리너부(200)는 크리너샤프트(210), 크리너본체(220), 리미트부(230)를 포함하고, 벨트부재(20) 상 부착물(C)이 크리너본체(220)와 접촉되거나 크리너본체(220)에 점착되면, 크리너본체(220)와 벨트부재(20) 상 간극이 발생된다.
이때 크리너본체(220)는 크리너본체(220)와 벨트부재(20) 사이에 형성되는 부착물(C)의 두께만큼 벨트부재(20)로부터 이격되며, 구체적으로 시계 방향(도 3 기준)으로 회전된다.
크리너샤프트(210)는 본체프레임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크리너본체(220)가 크리너샤프트(210)에 결합됨으로 인하여 크리너샤프트(210)의 회전에 연동되어 함께 회전된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리미트부(230)는 크리너샤프트(210)에 결합되고, 크리너본체(220)와 소정 각도(θ)를 이루며 위치 고정된다.
이로 인하여 벨트부재(20) 또는 크리너부(200)에 원료가 점착되어 부착물(C)이 생성되는 경우 크리너본체(220), 크리너본체(220)와 결합되는 크리너샤프트(210)가 회전됨에 따라 리미트부(230)가 시계 방향(도 3 기준)으로 회전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센서부(400)는 본체프레임부(100)에 설치되며, 리미트부(230)와 접촉가능하도록 리미트부(230)의 회전 반경 상에 배치된다.
리미트부(230)와 센서부(400)가 접촉되면, 센서부(400)는 제어부(500)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고, 센서부(40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500)는 분사부(300)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분사부(300)에서 세척액(L)이 벨트부재(20) 또는 크리너부(200), 구체적으로 크리너본체(220) 측으로 분사되도록 분사부(300)의 구동을 제어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크리너부(200)가 회전됨에 따라, 구체적으로 리미트부(230)가 센서부(400)에 접촉되고, 센서부(400)로부터 제어부(500)를 통해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은 분사부(300)는 세척액(L)을 부착물(C) 측으로 분사하여 벨트부재(20)와 크리너본체(220) 사이에 형성되는 부착물(C)을 제거한다.
부착물(C)이 제거됨으로 인하여 벨트부재(20)의 이동에 따라 벨트부재(20)의 하측에 부착물(C) 등 원료가 낙광되는 것을 방지하고, 벨트부재(20)와 크리너부(200) 사이에 형성되는 부착물(C)로 인하여 크리너부(2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300)는 분사본체(310), 분사커버부(320)를 포함하며, 분사커버부(320)가 분사본체(3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분사본체(310)를 개폐함으로 인하여 세척액(L)이 부착물(C) 측으로 분사되지 않을 시에는 분사커버부(320)가 분사본체(310)를 폐쇄하여 분사본체(310) 내부로 부착물(C)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600)가 본체프레임부(100)에 결합되며 리미트부(230)를 탄성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본체프레임부(100)에 결합되며 위치 고정되는 지지본체부(610)에 탄성부재(62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620)는 지지본체부(610)와 리미트부(230) 사이에 설치되며, 리미트부(230)를 상측(도 3 기준)으로 탄성 지지함으로 인하여 분사부(300)에서 분사되는 세척액(L)에 의해 벨트부재(20) 혹은 크리너본체(220)에 부착된 부착물(C)이 제거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리미트부(230)를 상측(도 3 기준)으로 가압한다
이로 인하여 리미트부(230)가 반시계 방향(도 3 기준)으로 회전되고, 크리너샤프트(210), 크리너본체(220)가 함께 회전되며 정위치에 복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 C: 부착물
L: 세척액 10: 풀리부
20: 벨트부재 100: 본체프레임부
200: 크리너부 210: 크리너샤프트
220: 크리너본체 230: 리미트부
300: 분사부 310: 분사본체
320: 분사커버부 400: 센서부
500: 제어부 600: 지지부
610: 지지본체부 620: 탄성부재

Claims (5)

  1. 벨트부재의 외측에 배치되는 본체프레임부;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벨트부재와 접촉가능하게 배치되는 크리너부;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부재 측으로 세척액을 분사하는 분사부; 및
    상기 크리너부에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상기 크리너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크리너부와 상기 센서부의 접촉 시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분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너부는,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크리너샤프트;
    상기 크리너샤프트에 결합되고, 상기 벨트부재에 접촉 가능한 크리너본체;
    상기 크리너본체와 소정 각도를 이루며 상기 크리너샤프트에 결합되는 리미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리미트부를 탄성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지지본체부;
    상기 지지본체부와 상기 리미트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본체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세척액의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분사본체; 및
    상기 분사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분사본체를 개폐하는 분사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


KR1020170177844A 2017-12-22 2017-12-22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 KR102021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844A KR102021204B1 (ko) 2017-12-22 2017-12-22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844A KR102021204B1 (ko) 2017-12-22 2017-12-22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226A true KR20190076226A (ko) 2019-07-02
KR102021204B1 KR102021204B1 (ko) 2019-09-11

Family

ID=67258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844A KR102021204B1 (ko) 2017-12-22 2017-12-22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2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8451A (zh) * 2020-05-08 2020-08-07 谢丽红 一种矿山原料运输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5426U (ja) * 1993-12-06 1995-07-04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アのベルトクリーニング装置
KR200216534Y1 (ko) * 1996-11-19 2001-05-02 이구택 보호장치를 구비한 벨트 콘베어의 크리너 장치
JP3350468B2 (ja) * 1999-01-26 2002-11-25 日本通商株式会社 ベルトクリーナ装置における摩耗ゲージ装置
KR100879341B1 (ko) * 2002-05-29 2009-01-19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컨베이어의 벨트 미끄럼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5426U (ja) * 1993-12-06 1995-07-04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アのベルトクリーニング装置
KR200216534Y1 (ko) * 1996-11-19 2001-05-02 이구택 보호장치를 구비한 벨트 콘베어의 크리너 장치
JP3350468B2 (ja) * 1999-01-26 2002-11-25 日本通商株式会社 ベルトクリーナ装置における摩耗ゲージ装置
KR100879341B1 (ko) * 2002-05-29 2009-01-19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컨베이어의 벨트 미끄럼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8451A (zh) * 2020-05-08 2020-08-07 谢丽红 一种矿山原料运输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204B1 (ko) 201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26157B1 (en) Method and device for washing conveyor belts
KR101770024B1 (ko) 벨트컨베이어용 분진 비산 방지장치
KR20090030516A (ko) 컨베이어 리턴벨트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190076226A (ko)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
KR20140146363A (ko) 컨베이어 벨트 세척기
KR101238884B1 (ko) 밸트컨베이어의 밸트 세척장치
KR101504422B1 (ko) 벨트 컨베이어용 벨트 청소장치
KR101167161B1 (ko) 벨트 컨베이어
KR20150133844A (ko) 절연 유리 블랭크를 운반하는 방법
KR20190000672A (ko) 회전형 슈트 라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슈트
KR101081885B1 (ko) 부상식 기판 코터 장치
CN104550157A (zh) 清洗装置
JP2003261213A (ja) 空気浮上式ベルトコンベヤ
KR101606018B1 (ko) 패널의 이물질제거장치
KR102136067B1 (ko) 슈트 부착탄 제거 장치
KR101876979B1 (ko) 컨베이어 벨트 세척장치
KR0138683Y1 (ko) 복층유리 세척, 건조장치
KR101543955B1 (ko) 이송물 중앙유도장치
KR101435060B1 (ko) 벨트컨베이어용 분진 방지장치
KR102367953B1 (ko) 분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세정 장치
KR20160015562A (ko) 벨트 컨베이어용 낙탄 처리장치
KR20140114530A (ko) 반도체 및 led 세정용 세정 장치의 체인 구동 방식의 컨베이어 장치
KR102351696B1 (ko) 기판세정장치
JP7355999B2 (ja) ベルトクリーナ及び搬送設備
KR101399872B1 (ko) 슈트용 고착물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