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3494A -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3494A
KR20190073494A KR1020197015159A KR20197015159A KR20190073494A KR 20190073494 A KR20190073494 A KR 20190073494A KR 1020197015159 A KR1020197015159 A KR 1020197015159A KR 20197015159 A KR20197015159 A KR 20197015159A KR 20190073494 A KR20190073494 A KR 20190073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main body
separator
ai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5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8464B1 (ko
Inventor
요우 도리자와
츠요시 사토
마사토시 다나카
유우지 오츠카
유키오 마치다
히로미츠 이치카와
히로미츠 무라타
다카요시 시미즈
이쿠오 오시마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73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2Dust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84Details of arrangements of batteries or their installation

Abstract

[과제] 중량 배분이 우수하여 청소기 본체의 취급의 경쾌성을 향상시키는 전기 청소기를 제안한다. [해결 수단] 전기 청소기는, 부압을 발생시키는 1차 전동 송풍기(15)와, 1차 전동 송풍기(15)가 발생시키는 부압에 의하여 흡입되는, 진애를 포함한 공기로부터 진애를 분리시키는 분리부(64)와, 제1 분리부(68)를 통과하는, 진애를 포함하는 공기로부터 진애를 분리하는 필터부(69)와, 필터부(69)로부터 유출되는 공기를 1차 전동 송풍기(15)로 유도하는 연락 풍로(66)를 구비하고 있다. 분리부(64) 및 연락 풍로(66)는 1차 전동 송풍기(15)와 필터부(69)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호 병설되어 있다.

Description

전기 청소기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는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 청소기는, 제2 분리부(필터) 및 제2 집진부(미세 먼지 수용부)와 제1 집진부(큰 먼지 분리실) 사이에 끼어 배치되는 제1 분리부(큰 먼지 필터)를 구비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55974호 공보
전동 송풍기는, 제2 분리부를 통과한 청정한 공기를 흡입한다. 이와 같은 경로의 사정상, 종래의 전기 청소기와 같이, 제1 분리부가 제2 분리부 및 제2 집진부와 제1 집진부와의 사이에 끼어 배치되어 있는 것은, 풍로 길이를 짧게 하는 관점에 있어서는 유리하였다.
그런데 제1 분리부, 제1 집진부, 제2 분리부 및 제2 집진부 중, 제2 분리부는 다른 것에 비하여 구조가 복잡하고 중량이 무거우며, 전동 송풍기는 이들보다도 중량이 더 무겁다. 이 때문에, 청소기 본체의 무게 중심은 전동 송풍기의 배치에 지배받기 쉬우며, 또한 청소기 본체의 중량 배분은 제2 분리부에 크게 영향받는다.
즉, 청소기 본체의 중량 배분을 조정하여 청소기 본체의 취급의 경쾌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동 송풍기, 제1 분리부, 제1 집진부, 제2 분리부 및 제2 집진부의 배치가 종래의 전기 청소기로부터 크게 변경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중량 배분이 우수하여 청소기 본체의 취급의 경쾌성을 향상시키는 전기 청소기를 제안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는, 부압을 발생시키는 전동 송풍기와, 상기 전동 송풍기가 발생시키는 부압에 의하여 흡입되는, 진애를 포함한 공기로부터 상기 진애를 분리시키는 제1 분리부와, 상기 제1 분리부를 통과하는, 상기 진애를 포함하는 공기로부터 상기 진애를 분리시키는 제2 분리부와, 상기 제2 분리부로부터 유출되는 공기를 상기 전동 송풍기로 유도하는 연락 풍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분리부 및 상기 연락 풍로는 상기 전동 송풍기와 상기 제2 분리부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호 병설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상기 제1 분리부는, 상기 진애를 포함하는 상기 공기를 직진시켜 상기 진애 및 상기 공기에 작용하는 관성력의 차로 상기 공기로부터 상기 진애 중 비교적 무거운 진애를 분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상기 제2 분리부는, 상기 진애를 포함하는 상기 공기로부터 상기 진애 중 비교적 가벼운 진애를 여과 분리하는 필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는, 상기 제1 분리부 및 상기 연락 풍로에 병설되어, 상기 제1 분리부에서 분리된 진애 중 비교적 무거운 진애를 축적하는 큰 먼지 집진실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는, 상기 제1 분리부로 이어지는 흡입구를 폭 방향 중앙부에 갖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를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1쌍의 차륜을 구비하고, 상기 1쌍의 차륜은 상기 전동 송풍기, 상기 제1 분리부, 상기 제2 분리부 및 상기 연락 풍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분리부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폭 방향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분리부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한쪽 측부에 편중되고, 상기 전동 송풍기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다른 쪽 측부에 편중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는, 상기 차륜의 회전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흡입구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이차 전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는, 상기 차륜의 회전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흡입구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상기 큰 먼지 집진실을 둘러싸는 이차 전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 장치의 청소기 본체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 장치의 청소기 본체의 종단면 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1차 진애 용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1차 진애 용기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1차 진애 용기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제진 기구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동력 전달 기구의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동력 전달 기구의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동력 전달 기구의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동력 전달 기구의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 장치의 스테이션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 장치의 스테이션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 장치의 동력 전달 경로의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복수의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여져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 장치(1)는, 거치형 스테이션(2)과, 스테이션(2)에 연결 및 분리 가능한 전기 청소기(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에는, 스테이션(2)에 전기 청소기(3)가 연결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형태를 전기 청소 장치(1)의 수납 형태라 칭한다. 도 2에는, 스테이션(2)으로부터 전기 청소기(3)가 분리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전기 청소기(3)가 청소에 사용되는 형태이다.
전기 청소기(3)는 소위 코드리스 타입이다. 전기 청소기(3)는 소위 캐니스터형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업라이트형, 스틱형, 또는 핸디형이어도 된다.
스테이션(2)은, 전기 청소기(3)의 충전 기능과, 전기 청소기(3)가 포집한 진애를 회수하고 회수한 진애를 축적하는 기능을 겸비하고 있다. 스테이션(2)은 거실의 적당한 개소에 배치된다.
사용자는, 스테이션(2)에 연결된 전기 청소기(3)의 청소기 본체(7)를 스테이션(2)으로부터 분리하여(도 2), 거실의 피청소면에서 전기 청소기(3)를 주행시키거나, 또는 전기 청소기(3)를 손에 들고 이동하여 피청소면을 청소한다. 이 이후, 사용자는 청소기 본체(7)를 스테이션(2)으로 복귀시켜(연결하여) 수납한다(도 1). 스테이션(2)은, 청소기 본체(7)가 연결되면 청소기 본체(7)를 충전하는 한편, 전기 청소기(3)가 축적하고 있는 진애를 적시에 회수한다. 즉, 전기 청소 장치(1)는 전기 청소기(3)를 청소에 이용한 후, 스테이션(2)에 청소기 본체(7)가 연결될 때마다 전기 청소기(3)가 포집한 진애를 스테이션(2)으로 회수하여, 전기 청소기(3)를 비운다.
또한 전기 청소기(3)로부터 스테이션(2)으로 진애를 회수하는 빈도는, 전기 청소기(3)를 스테이션(2)에 연결할 때마다가 아니어도 된다. 진애의 회수 빈도는, 스테이션(2)에 전기 청소기(3)가 복수회 연결될 때마다, 예를 들어 전기 청소기(3)가 1일 1회 사용된다는 전제에 있어서 1주일마다 진애를 회수하는 횟수, 즉, 7회마다여도 된다.
전기 청소기(3)는, 피청소면을 주행 가능한 청소기 본체(7)와, 청소기 본체(7)에 착탈 가능한 관부(8)를 구비하고 있다. 관부(8)는 청소기 본체(7)에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청소기 본체(7)는, 본체 케이스(11)와, 본체 케이스(11)의 좌우 각각의 측부에 마련되는 1쌍의 차륜(12)과, 본체 케이스(1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1차 진애 용기(13)와, 본체 케이스(11)에 수용되는 1차 전동 송풍기(15)와, 주로 1차 전동 송풍기(15)를 제어하는 청소기 제어부(16)와, 1차 전동 송풍기(15)에 공급되는 전력을 축적하는 이차 전지(17)를 구비하고 있다.
청소기 본체(7)는, 이차 전지(17)가 축적하는 전력으로 1차 전동 송풍기(15)를 구동시킨다. 청소기 본체(7)는, 1차 전동 송풍기(15)가 발생시키는 부압을 관부(8)에 작용시킨다. 전기 청소기(3)는 관부(8)를 통하여 피청소면으로부터 진애를 포함하는 공기(이하, 「진애 함유 공기」라 칭함)를 흡입한다. 전기 청소기(3)는 흡입한 진애 함유 공기로부터 진애를 분리한다. 전기 청소기(3)는 분리 후의 진애를 포집하여 축적하는 한편, 진애를 분리한 후의 청정한 공기를 배기한다.
본체 케이스(11)의 정면 부분에는, 청소기 본체(7)의 흡입구에 상당하는 본체 접속구(18)가 마련되어 있다. 본체 접속구(18)는, 관부(8)를 착탈 가능한 조인트이다. 본체 접속구(18)는 관부(8)와 1차 진애 용기(13)를 유체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청소기 본체(7)는, 본체 접속구(18)를 상방을 향하게 한 자세로 스테이션(2)에 연결된다. 청소기 본체(7)는 상방으로부터 내려져(강하되어) 스테이션(2)에 연결된다.
차륜(12)은 청소기 본체(7)를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청소기 본체(7)는, 1쌍의 차륜(12)에 추가하여 캐스터(도시 생략)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1차 진애 용기(13)는, 전기 청소기(3)에 흡입되는 진애를 축적한다. 1차 진애 용기(13)는, 청소기 본체(7)로 유입되는 진애 함유 공기로부터 진애를 분리하고 포집하여 축적하는 한편, 진애가 제거된 청정한 공기를 1차 전동 송풍기(15)로 보낸다.
1차 전동 송풍기(15)는 1차 진애 용기(13)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부압(흡입 부압)을 발생시킨다.
청소기 제어부(16)는, 마이크로프로세서(도시 생략), 및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실행하는 각종 연산 프로그램,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는 기억 장치(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기억 장치는, 미리 설정되는 복수의 운전 모드에 관련되는 다양한 설정(인수)을 기억하고 있다. 복수의 운전 모드는 1차 전동 송풍기(15)의 출력에 관련지어져 있다. 각각의 운전 모드에는 서로 상이한 입력값(1차 전동 송풍기(15)의 입력값, 1차 전동 송풍기(15)에 흐르는 전류값)이 설정되어 있다. 각각의 운전 모드는, 관부(8)가 접수하는 조작 입력에 관련지어져 있다. 청소기 제어부(16)는, 관부(8)로의 조작 입력에 대응하는 임의의 운전 모드를, 미리 설정되는 복수의 운전 모드부터 택일적으로 선택하고, 선택한 운전 모드의 설정을 기억부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운전 모드의 설정에 따라 1차 전동 송풍기(15)를 운전한다.
이차 전지(17)는 1차 전동 송풍기(15) 및 청소기 제어부(16)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차 전지(17)는, 청소기 본체(7)에 마련되는 1쌍의 충전 전극(1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관부(8)는, 청소기 본체(7)로부터 작용하는 부압에 의하여 피청소면으로부터 진애 함유 공기를 흡입하여 청소기 본체(7)로 유도한다. 관부(8)는, 청소기 본체(7)에 착탈 가능한 조인트로서의 접속관(21)과, 접속관(21)에 유체적으로 접속되는 집진 호스(22)와, 집진 호스(22)에 유체적으로 접속되는 손잡이측 조작관(23)과, 손잡이측 조작관(23)으로부터 돌출되는 파지부(25)와, 파지부(25)에 마련되는 조작부(26)와, 손잡이측 조작관(23)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장관(27)과, 연장관(27)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흡입구체(28)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관(21)은, 본체 접속구(18)에 착탈 가능한 조인트이다. 접속관(21)은 본체 접속구(18)를 통하여 1차 진애 용기(13)에 유체적으로 접속된다.
집진 호스(22)는, 긴 형상이며 가요성의 대략 원통 형상의 호스이다. 집진 호스(22)의 한쪽 단부(여기서는 후방의 단부)는 접속관(21)에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집진 호스(22)는 접속관(21)을 통하여 1차 진애 용기(13)에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손잡이측 조작관(23)은 집진 호스(22)와 연장관(27)을 잇고 있다. 손잡이측 조작관(23)의 한쪽 단부(여기서는 후방의 단부)는 집진 호스(22)의 다른 쪽 단부(여기서는 전방의 단부)에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손잡이측 조작관(23)은 집진 호스(22) 및 접속관(21)을 통하여 1차 진애 용기(13)에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파지부(25)는, 전기 청소기(3)를 조작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이다. 파지부(25)는,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적절한 형상으로 손잡이측 조작관(23)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조작부(26)는, 각각의 운전 모드에 대응지어지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26)는, 1차 전동 송풍기(15)의 운전 정지 조작에 대응지어지는 정지 스위치(26a)와, 1차 전동 송풍기(15)의 운전 개시 조작에 대응지어지는 기동 스위치(26b)와, 흡입구체(28)로의 전원 공급에 대응지어지는 브러시 스위치(26c)를 구비하고 있다. 정지 스위치(26a) 및 기동 스위치(26b)는 청소기 제어부(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기 청소기(3)의 사용자는 조작부(26)를 조작하여 1차 전동 송풍기(15)의 운전 모드를 택일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기동 스위치(26b)는 1차 전동 송풍기(15)의 운전 중에 운전 모드의 선택 스위치로서도 기능한다. 청소기 제어부(16)는 기동 스위치(26b)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취할 때마다 운전 모드를 강→중→약→강→중→약→ ……… 의 순으로 전환한다. 또한 조작부(26)는 기동 스위치(26b) 대신, 강 운전 스위치(도시 생략), 중 운전 스위치(도시 생략) 및 약 운전 스위치(도시 생략)를 개별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복수의 통체를 겹친 텔레스코픽 구조의 연장관(27)은 신축 가능하다. 연장관(27)의 한쪽 단부(여기서는 후방의 단부)는, 손잡이측 조작관(23)의 다른 쪽 단부(여기서는 전방의 단부)에 착탈 가능한 조인트를 구비하고 있다. 연장관(27)은 손잡이측 조작관(23), 집진 호스(22) 및 접속관(21)을 통하여 1차 진애 용기(13)에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흡입구체(28)는 마룻바닥이나 카펫 등의 피청소면을 주행 가능 또는 활주 가능하며, 주행 상태 또는 활주 상태에 있어서 피청소면에 대면하는 저면에 흡입구(31)를 갖는다. 또한 흡입구체(28)는, 흡입구(31)에 배치되는 회전 가능한 회전 청소체(32)와, 회전 청소체(32)를 구동시키는 전동기(33)를 구비하고 있다. 흡입구체(28)의 한쪽 단부(여기서는 후방의 단부)는, 연장관(27)의 다른 쪽 단부(여기서는 전방의 단부)에 착탈 가능한 조인트를 구비하고 있다. 흡입구체(28)는 연장관(27), 손잡이측 조작관(23), 집진 호스(22) 및 접속관(21)을 통하여 1차 진애 용기(13)에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흡입구체(28), 연장관(27), 손잡이측 조작관(23), 집진 호스(22), 접속관(21) 및 1차 진애 용기(13)는, 흡입구(31)로부터 1차 전동 송풍기(15)에 이르는 흡입 풍로이다. 전동기(33)는 브러시 스위치(26c)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취할 때마다 운전 개시와 정지를 교대로 반복한다.
전기 청소기(3)는, 기동 스위치(26b)가 조작되면 1차 전동 송풍기(15)를 시동시킨다. 예를 들어 전기 청소기(3)는, 1차 전동 송풍기(15)가 정지해 있는 상태에서 기동 스위치(26b)가 조작되면, 먼저 1차 전동 송풍기(15)를 강 운전 모드로 시동시키고, 다시 기동 스위치(26b)가 조작되면 1차 전동 송풍기(15)의 운전 모드를 중 운전 모드로 변경하고, 또 다시 기동 스위치(26b)가 조작되면 1차 전동 송풍기(15)의 운전 모드를 약 운전 모드로 변경하며, 이하 마찬가지로 반복한다. 강 운전 모드, 중 운전 모드 및 약 운전 모드는 미리 설정되는 복수의 운전 모드이며, 강 운전 모드, 중 운전 모드, 약 운전 모드의 순으로 1차 전동 송풍기(15)에 대한 입력값이 작다. 시동된 1차 전동 송풍기(15)는 1차 진애 용기(13)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1차 진애 용기(13) 내를 부압으로 한다.
1차 진애 용기(13) 내의 부압은 본체 접속구(18), 접속관(21), 집진 호스(22), 손잡이측 조작관(23), 연장관(27) 및 흡입구체(28)를 순차적으로 통하여 흡입구(31)에 작용한다. 전기 청소기(3)는, 흡입구(31)에 작용하는 부압에 의하여 피청소면의 진애를 공기와 함께 흡입한다. 1차 진애 용기(13)는 흡입된 진애 함유 공기로부터 진애를 분리하고 포집하여 축적하는 한편, 진애 함유 공기로부터 분리한 공기를 1차 전동 송풍기(15)로 보낸다. 1차 전동 송풍기(15)는 1차 진애 용기(13)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청소기 본체(7) 밖으로 배기한다.
스테이션(2)은 피청소면의 임의의 개소에 설치된다. 스테이션(2)은, 청소기 본체(7)를 연결 가능한 받침대(41)와, 받침대(41)에 일체로 마련되는 진애 회수부(4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스테이션(2)은, 전기 청소 장치(1)의 수납 형태에 있어서, 전기 청소기(3)의 1차 진애 용기(13)에 접속되는 진애 이송관(43)을 구비하고 있다.
받침대(41)는, 진애 회수부(42)와 동일한 정도의 폭 치수를 가지며, 진애 회수부(42)의 앞쪽으로 돌출되어 직사각 형상으로 펼쳐져 있다. 받침대(41)는, 평면으로 보아 전기 청소기(3)의 청소기 본체(7)를 수납하는 것이 가능한 형상과 치수를 갖고 있다.
받침대(41)는, 청소기 본체(7)에 접속 가능한 충전 단자(45)를 구비하고 있다. 전기 청소기(3)가 스테이션(2)에 연결되면, 충전 단자(45)는 청소기 본체(7)의 충전 전극(19)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받침대(41)는, 전기 청소 장치(1)의 수납 형태에 있어서, 청소기 본체(7)의 측면에 다가붙도록 배치되는 팽출부(46)를 갖고 있다.
진애 회수부(42)는 받침대(41)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진애 회수부(42)는, 받침대(41)와 일체로 피청소면에 둘 수 있는 적절한 형상의 상자체이다. 진애 회수부(42)는 받침대(41)보다도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진애 회수부(42)는, 받침대(41)에 연결된 청소기 본체(7)에 간섭하지 않는 적절한 형상을 갖고 있다.
진애 회수부(42)는, 케이스(47)와, 진애 이송관(43)을 통하여 1차 진애 용기(13)로부터 폐기되는 진애를 회수하고 회수한 진애를 축적하는 2차 진애 용기(48)와, 진애 회수부(42) 내에 수용되어 2차 진애 용기(48)에 유체적으로 접속되는 2차 전동 송풍기(49)와, 주로 2차 전동 송풍기(49)를 제어하는 스테이션 제어부(51)와, 상용 교류 전원으로부터 진애 회수부(42)로 전력을 유도하는 전원 코드(52)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47) 및 받침대(41)의 천장판은 수지의 일체 성형품이다.
2차 진애 용기(48)는 진애 이송관(43)에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2차 진애 용기(48)는, 진애 이송관(43)으로부터 유입되는, 진애를 포함하는 공기로부터 진애를 분리하고 포집하여 축적하는 한편, 진애가 제거된 청정한 공기를 2차 전동 송풍기(49)로 보낸다. 2차 진애 용기(48)는 진애 회수부(42)의 좌측(정면에서 보아 우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스테이션(2)의 외관에 노출되어 있다.
2차 전동 송풍기(49)는 2차 진애 용기(48)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부압(흡입 부압)을 발생시켜 1차 진애 용기(13)로부터 2차 진애 용기(48)로 진애를 이동시킨다. 2차 전동 송풍기(49)는 진애 회수부(42)의 우측(정면에서 보아 좌측)에 수용되어 있다.
스테이션 제어부(51)는, 마이크로프로세서(도시 생략), 및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실행하는 각종 연산 프로그램,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는 기억 장치(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스테이션 제어부(51)는 2차 전동 송풍기(49)의 운전성 제어, 및 전기 청소기(3)의 이차 전지(17)의 충전 제어를 행한다.
진애 이송관(43)은, 전기 청소 장치(1)의 수납 형태에 있어서, 1차 진애 용기(13)로 이어진다. 진애 이송관(43)은, 전기 청소기(3)가 포집한 진애를 2차 진애 용기(48)로 이동시키는 풍로이다. 진애 이송관(43)은, 스테이션(2)에 전기 청소기(3)가 연결되면 1차 진애 용기(13)에 접속되어 1차 진애 용기(13)와 2차 진애 용기(48)를 유체적으로 접속한다.
진애 이송관(43)은 2차 진애 용기(48)의 흡입측에 접속되어 있다. 2차 전동 송풍기(49)가 발생시키는 부압은 2차 진애 용기(48)를 통하여 진애 이송관(43)에 작용한다.
진애 이송관(43)은, 전기 청소기(3)의 1차 진애 용기(13)에 접속되는 입구와, 2차 진애 용기(48)에 접속되는 출구를 갖고 있다. 진애 이송관(43)은, 받침대(41)에 배치되는 입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진애 회수부(42) 내에 이르러, 진애 회수부(42) 내에서 굴곡되면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2차 진애 용기(48)의 측방에 배치되는 출구에 이른다.
충전 단자(45)와 진애 이송관(43)의 입구는 받침대(41)에 병설되어 있다.
전기 청소기(3)가 스테이션(2)에 연결되면(복귀되면), 전기 청소기(3)의 충전 전극(19)은 스테이션(2)의 충전 단자(4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스테이션(2)의 진애 이송관(43)은 1차 진애 용기(13)에 접속된다. 이 이후, 스테이션(2)은 전기 청소기(3)의 이차 전지(17)의 충전을 개시한다. 또한 스테이션(2)은 2차 전동 송풍기(49)를 적시에 시동한다. 시동된 2차 전동 송풍기(49)는 2차 진애 용기(48)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2차 진애 용기(48) 내를 부압으로 한다.
2차 진애 용기(48) 내의 부압은 진애 이송관(43)을 통하여 1차 진애 용기(13)에 작용한다. 스테이션(2)은, 1차 진애 용기(13)에 작용하는 부압에 의하여, 1차 진애 용기(13)에 축적된 진애를 공기와 함께 흡입한다. 2차 진애 용기(48)는 흡입된 공기로부터 진애를 분리하고 포집하여 축적하는 한편, 진애가 분리된 공기를 2차 전동 송풍기(49)로 보낸다. 2차 전동 송풍기(49)는 2차 진애 용기(48)로부터 흡입한 청정한 공기를 스테이션(2) 밖으로 배기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1)의 청소기 본체(7)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 장치의 청소기 본체의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 장치의 청소기 본체의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청소기 본체(7)의 평단면은, 전기 청소 장치(1)의 수납 형태에 있어서 정면에 실질적으로 평행인 평면에 있어서의 단면에 상당한다. 도 3에는, 관부(8)의 접속관(21)이 청소기 본체(7)로부터 떼어내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접속관(21)이 청소기 본체(7)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 장치(1)의 청소기 본체(7)는, 본체 케이스(11)의 폭 방향으로 눕힌 통형 후반부와, 평면으로 보아 통형 후반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호형으로 팽출되는 전반부를 갖는 본체 케이스(11)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접속구(18)는, 본체 케이스(11)의 폭 방향의 실질적인 중앙, 및 높이 방향의 실질적인 중앙을 통과하는 선(이하, 중심선 C라 칭함)을 따라 연장되어 1차 진애 용기(13)에 도달해 있다. 도 3 및 도 4는, 이 중심선 C를 지나는 단면도이다.
각각의 차륜(12)은, 본체 케이스(11)의 통형 후반부의 좌우 각각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차륜(12)은 본체 케이스(11)의 통형 후반부에 동심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차륜(12)의 직경은 본체 케이스(11)의 상하 방향의 치수, 즉, 높이(통형 후반부의 직경에 상당함)보다도 크다. 또한 청소기 본체(7)의 측면으로 보았을 때, 즉, 차륜(12)의 회전 중심선 방향으로 보았을 때, 차륜(12)은 본체 케이스(11)의 배면을 덮어서 가린다. 그 때문에, 청소기 본체(7)는, 본체 케이스(11)의 상하(표리)를 반전시킨 상태에서도, 본체 케이스(11)의 상하를 반전시키는 과정에서도 차륜(12)을 피청소면에 접지시킬 수 있다. 청소기 본체(7)는, 본체 케이스(11)의 배면을 피청소면에 간섭시키는 일 없이 차륜(12)의 회전 중심선을 중심으로 본체 케이스(11)의 상하(표리)를 반전시킬 수 있다. 청소기 본체(7)에는, 표측을 상방을 향하게 한 청소기 본체(7)를 차륜(12)과 함께 지지하는 보조륜(12a)이 마련되어 있다. 접속관(21)에는, 이측을 상방을 향하게 한 청소기 본체(7)를 차륜(12)과 함께 지지하는 보조륜(12b)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청소기 본체(7)의 상하(표리)의 구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전기 청소기(3)는, 표측을 상방을 향하게 하고 있어도, 이측을 상방을 향하게 하고 있어도 마찬가지로 청소에 사용할 수 있다.
이차 전지(17)는, 차륜(12)의 회전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본체 접속구(18)의 반대측, 즉, 본체 케이스(11)의 후단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즉, 이차 전지(17)는 본체 케이스(11)의 통형 후반부에 수용되어 있다. 이차 전지(17)는, 통형 후반부의 내면을 본떠 배치되는 원통형 복수의 소전지(17a)를 갖고 있다.
여기서, 본체 케이스(11)의 통형 후반부의 중심선 및 차륜(12)의 회전 중심선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선 상에 있다. 이 선을 중심으로 하는, 본체 케이스(11)의 통형 후반부의 내측을 영역 A라 칭한다. 차륜(12)은 영역 A를 회피하고 있다. 즉, 차륜(12)은, 영역 A보다도 큰 내경을 갖는 원환형을 띠고 있다.
1차 진애 용기(13) 및 1차 전동 송풍기(15)는 영역 A 내에 배치되고, 또한 본체 케이스(11)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1차 진애 용기(13)는, 영역 A 중 중앙부로부터 한쪽 차륜(12)(예를 들어 청소기 본체(7)를 스테이션(2)에 연결한 상태에 있어서 우측의 차륜(12))에 도달하는 영역 A1에 배치되어 있다. 1차 전동 송풍기(15)는, 영역 A 중 다른 쪽 차륜(12)(예를 들어 청소기 본체(7)를 스테이션(2)에 연결한 상태에 있어서 좌측의 차륜(12))에 편중되는 영역 A2에 배치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1)는, 1차 진애 용기(13)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진애 용기실(61)과, 1차 전동 송풍기(15)를 수용하는 전동 송풍기실(62)을 갖고 있다. 진애 용기실(61)은 영역 A1을 차지하고 있다. 전동 송풍기실(62)은 영역 A2를 차지하고 있다.
1차 전동 송풍기(15)는 전동 송풍기실(62)에 수용되어 있다. 1차 전동 송풍기(15)의 흡입구는 진애 용기실(61)을 향하고 있다.
진애 용기실(61)은, 1차 진애 용기(13)의 형상에 준하는 통형 공간을 구획하고 있다. 진애 용기실(61)은, 본체 케이스(11)의 측면에 배치되는 진애 용기 삽입 발출구(61a)를 갖고 있다. 진애 용기 삽입 발출구(61a)의 개구 직경은 환형 차륜(12)의 내경보다도 작다. 진애 용기 삽입 발출구(61a)는, 청소기 본체(7)의 측면으로 보아 환형 차륜(12)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1차 진애 용기(13)는, 차륜(12)의 내경보다도 작은 외경을 갖는 통형 외관을 갖고 있다. 1차 진애 용기(13)는 진애 용기 삽입 발출구(61a)를 통하여 진애 용기실(61)에 삽입 발출된다. 즉, 1차 진애 용기(13)는 청소기 본체(7)의 폭 방향으로 삽입 발출된다. 이것에 의하여 1차 진애 용기(13)는 청소기 본체(7)에 착탈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1)의 1차 진애 용기(1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1차 진애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1차 진애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선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1차 진애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추가하여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3)의 1차 진애 용기(13)는, 전기 청소기(3)에 흡입되는 진애를 축적한다. 1차 진애 용기(13)는, 1차 전동 송풍기(15)가 발생시키는 부압에 의하여 흡입되는, 진애를 포함한 공기로부터 진애를 분리시키는 분리부(64)와, 분리부(64)에서 분리된 진애를 축적하는 집진부(65)와, 집진부(65)로부터 유출되는 공기를 1차 전동 송풍기(15)로 유도하는 연락 풍로(66)를 구비하고 있다.
분리부(64)는 본체 접속구(18)에 접속되어 있다. 분리부(64)는, 진애를 포함하는 공기를 직진시켜 진애 및 공기에 작용하는 관성력의 차로 공기로부터 진애 중 비교적 무거운 진애를 분리시키는 제1 분리부(68)와, 제1 분리부(68)를 통과하는 비교적 가벼운 진애를 포함하는 공기로부터 진애를 분리시키는 제2 분리부로서의 필터부(69)를 구비하고 있다.
집진부(65)는 분리부(64) 및 연락 풍로(66)에 병설되어 있다. 집진부(65)는, 분리부(64)에서 분리되는 진애 중 비교적 무거운 진애를 축적하는 큰 먼지 집진실(71)과, 필터부(69)를 수용하는 필터실(7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 분리부(68)에서 분리되는 비교적 무거운 진애를 큰 먼지라 칭한다. 필터부(69)에서 분리되는 비교적 가벼운 진애를 미세 먼지라 칭한다. 큰 먼지 집진실(71) 및 필터실(72)을 일괄하여 집진실(73)이라 칭한다.
본체 접속구(18)로부터 1차 진애 용기(13)로 유입되는 진애 함유 공기는 제1 분리부(68)에서 큰 먼지와 그 이외(미세 먼지를 포함한 공기)로 분리된다. 분리된 큰 먼지는 큰 먼지 집진실(71)에 축적된다. 제1 분리부(68)에서 분리된 미세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는 필터실(72)로 유입된다. 큰 먼지 집진실(71)로 유입된 공기도 필터실(72)로 유입된다. 필터실(72)로 유입된, 미세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는 필터부(69)에서 미세 먼지와 공기로 분리된다. 분리된 미세 먼지는 필터부(69)에 포착되어 필터실(72)에 축적된다. 필터부(69)를 통과한 청정한 공기는 연락 풍로(66)를 거쳐 1차 전동 송풍기(15)에 흡입된다.
제1 분리부(68)는, 본체 접속구(18)에 접속되는 노즐부(75)와, 노즐부(75)를 내포하는 원뿔대형 1차 필터 프레임체(76)와, 제1 메쉬 필터(77)를 구비하고 있다.
노즐부(75)는, 1차 진애 용기(13)의 외각에 상당하는 용기 본체(78)의 흡입구(78a)로부터 용기 본체(78) 내로 연장되어 있다.
1차 필터 프레임체(76)는 용기 본체(78)의 내면에 마련되어 있다. 1차 필터 프레임체(76)는, 1차 진애 용기(13)가 본체 케이스(11)에 장착된 상태에서 본체 접속구(18)의 중심선, 즉, 실질적으로 청소기 본체(7)의 중심선 C를 따라 테이퍼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대직경의 저부는 용기 본체(78)의 내면에 접하고, 소직경의 저부는 집진부(65)의 큰 먼지 집진실(71)에 접속되는 큰 먼지 토출구(79)를 갖고 있다. 대직경의 저부의 직경은 흡입구(78a)의 개구 직경보다도 크다. 큰 먼지 토출구(79)의 중심선은 실질적으로 흡입구(78a)의 중심선을 따르고, 실질적으로 본체 접속구(18)의 중심선을 따르고 있다.
제1 메쉬 필터(77)는 1차 필터 프레임체(76)의 측면에 마련되어 있다. 제1 메쉬 필터(77)의 외측에는, 필터실(72)에 접속되는 중계 풍로(81)가 구획되어 있다.
제1 분리부(68)는, 제1 메쉬 필터(77)를 통하여 1차 전동 송풍기(15)에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 및 큰 먼지 토출구(79)를 통하여 1차 전동 송풍기(15)에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부압으로 된다.
큰 먼지 집진실(71)은, 제1 분리부(68)에서 분리되는 비교적 무거운 진애를 축적한다. 큰 먼지 집진실(71)은, 1차 전동 송풍기(15)에 흡입되는 공기의 풍로의 일부이다. 큰 먼지 집진실(71)은 제1 분리부(68)의 큰 먼지 토출구(79)로 이어져 있다. 큰 먼지 집진실(71)은 필터실(72)로도 이어져 있다. 큰 먼지 집진실(71)은 본체 접속구(18)의 중심선 상, 즉, 실질적으로 청소기 본체(7)의 중심선 C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큰 먼지 집진실(71)은 1차 전동 송풍기(1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달리 말하면 필터부(69)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다. 이 확장 부분과 필터부(69)가 수용되는 필터실(72) 사이에는, 복수의 큰 먼지 집진실 출구(82)를 갖는 격벽(83)이 마련되어 있다. 격벽(83)의 큰 먼지 집진실 출구(82)에는 제2 메쉬 필터(84)가 마련되어 있다. 제2 메쉬 필터(84)는, 큰 먼지가 큰 먼지 집진실(71)로부터 필터실(72)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제2 메쉬 필터(84)는, 그것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큰 먼지 집진실(71)에 축적된 진애를 압축한다. 제2 메쉬 필터(84)는 제1 메쉬 필터(77)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그물눈을 갖고 있다. 가령 제1 분리부(68)에서 분리되지 않고 큰 먼지 집진실(71)로 유입된 미세 먼지는 제2 메쉬 필터(84)를 통과하여 필터실(72)로 유입되거나, 또는 큰 먼지 집진실(71) 내에서 필터와 같이 압축된 큰 먼지에 의하여 포착된다.
필터부(69)는, 1차 전동 송풍기(15)가 발생시키는 부압에 의하여 흡입되는, 진애를 포함한 공기(진애 함유 공기)로부터 진애, 특히 제1 분리부(68)를 통과하는 미세 먼지를 여과 분리한다. 필터부(69)는, 대면하는 1쌍의 필터(86, 87)와, 1쌍의 필터(86, 87)의 형상을 유지하여 지지하는 2차 필터 프레임체(88)를 구비하고 있다.
1쌍의 필터(86, 87)는 하류측의 면을 대면시키고 있다. 각각의 필터(86, 87)는, 1차 진애 용기(13)에 흡입되는, 진애를 포함한 공기로부터 진애를 여과 분리한다. 필터(86, 87)의 그물눈은, 제1 분리부(68)의 제1 메쉬 필터(77), 및 큰 먼지 집진실(71)의 제2 메쉬 필터(84)보다도 미세하다. 필터(86, 87)는, 예를 들어 부직포이다. 필터(86, 87)에 포착되는 미세 먼지에는, 제1 메쉬 필터(77) 및 제2 메쉬 필터(84)를 통과 가능한 진애가 포함되어 있다.
필터(86, 87) 중 한쪽(필터(86))은, 필터실(72)로 유입되는 공기에 직접적으로 노출되고, 필터(86, 87) 중 다른 쪽(필터(87))은, 필터(86, 87) 중 한쪽(필터(86))을 돌아서 들어간 공기에 노출된다. 즉, 필터(86)는, 제1 분리부(68)와 필터부(69)를 잇는 중계 풍로(81)에 면하고, 또한 큰 먼지 집진실(71)과 필터실(72)을 잇는 큰 먼지 집진실 출구(82)에 면하고 있다. 필터(87)는, 필터(86)에 가려져 중계 풍로(81) 및 큰 먼지 집진실 출구(82)로부터 들여다볼 수 없는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1쌍의 필터(86, 87)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넓이(간격), 및 동일한 깊이의 접음선(능선(86a, 87a))을 갖는 플리트 필터이다.
또한 중계 풍로(81) 및 큰 먼지 집진실 출구(82)에 면하는 필터(86)는, 필터(87)에 비하여 넓고 얕은 접음선을 갖고 있어도 된다. 필터(86)가 중계 풍로(81) 및 큰 먼지 집진실 출구(82)에 면하고 있기 때문에, 제1 분리부(68)를 통과하는 진애, 및 큰 먼지 집진실(71)로부터 유출되는 진애, 즉, 미세 먼지는 먼저 필터(86)에 걸린다. 그리고 필터(86)는 미세 먼지를 포착하여 점차 눈막힘이 생기게 한다. 필터(86)가 막힘에 따라, 중계 풍로(81) 및 큰 먼지 집진실 출구(82)로부터 필터(86)에 걸리는 미세 먼지는 필터(87)로 돌아 들어가게 된다. 그렇게 하면 필터(87)의 눈막힘도 시작된다. 즉, 필터(87)에 비하여 필터(86) 쪽이 막히기 쉽다. 달리 말하면, 진애는 필터(87)에 비하여 필터(86) 쪽에 부착되기 쉽다. 따라서 필터(86)의 접음선을 필터(87)에 비하여 넓고 얕게 해 둠으로써, 보다 진애가 부착되기 쉬운 필터(86)로부터 용이하게 진애를 제거할 수 있다.
필터(86, 87)는, 부착된 진애를 제거하기 쉽도록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소위 테플론(등록 상표))의 막을 상류측의 면에 갖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필터(87)에 비하여 막히기 쉬운 필터(86)만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막을 상류측의 면에 갖는 것이어도 된다.
필터(86, 87)는, 전기 청소 장치(1)의 수납 형태에 있어서, 상하 방향(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능선(86a, 87a)(접음선)을 갖고 있다. 달리 말하면, 필터(86, 87)의 능선(86a, 87a)은 청소기 본체(7)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필터(86, 87)는, 접음선에 교차하는 단부면이 개방되어 있다.
또한 필터(86, 87)의 개방 단부면은, 필터(86, 87)의 단부면 형상을 따라 산과 골을 갖는 지그재그형이어도 되고, 인접하는 산과 산 사이에 통풍 구멍(도시 생략)을 갖는 판형 프레임을 개재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2차 필터 프레임체(88)는, 1쌍의 필터(86, 87)를 대면시키고, 또한 이격시켜 지지하고 있다. 2차 필터 프레임체(88) 및 1쌍의 필터(86, 87)로 구획되는 공간은 필터부(69)의 하류측의 풍로에 상당한다. 이 필터부(69)의 내부 공간은 연락 풍로(66)로 이어져 있다. 2차 필터 프레임체(88)는, 필터(86)의 양측에 배치되어 연락 풍로(66)에 접속되는 2차 필터 출구(89)를 갖고 있다. 2차 필터 출구(89)는, 필터(86, 87)를 통과한 공기를 연락 풍로(66)로 유출시킨다.
필터실(72)은, 여과 분리에 의하여 필터부(69)에 포착되는 미세 먼지를 축적하는 미세 먼지 집진실로서 기능한다. 제1 메쉬 필터(77) 및 제2 메쉬 필터(84)를 통과하는 미세 먼지는, 보다 그물눈이 미세한 1쌍의 필터(86, 87)에 의하여 포착되어 필터실(72)에 축적된다. 즉, 집진실(73)(큰 먼지 집진실(71) 및 필터실(72))은 필터(86, 87)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필터실(72)은, 1차 전동 송풍기(15)에 흡입되는 공기의 풍로의 일부이다. 필터실(72)은 중계 풍로(81)로 이어져 있다. 필터실(72)은 큰 먼지 집진실(71)로도 이어져 있다.
노즐부(75)로부터 제1 분리부(68)로 유입되는 진애 함유 공기 중 질량이 비교적 큰 큰 먼지는, 노즐부(75)로부터 큰 먼지 토출구(79)로 관성력으로 직진하여 큰 먼지 집진실(71)로 보내진다. 큰 먼지 토출구(79)로부터 큰 먼지 집진실(71)로 유입되는 진애(큰 먼지)는 큰 먼지 집진실(71)에 축적된다. 한편, 노즐부(75)로부터 제1 분리부(68)로 유입되는 진애 함유 공기 중 질량이 비교적 작은 미세 먼지 및 공기는, 노즐부(75)로부터 방사상으로 퍼져 1차 필터 프레임체(76)의 측면에 마련되는 제1 메쉬 필터(77)를 통과하여, 중계 풍로(81)를 거쳐 필터실(72)로 유입된다. 큰 먼지 토출구(79)로부터 큰 먼지 집진실(71)로 유입되는 진애(큰 먼지)와 함께 공기의 일부도 큰 먼지 집진실(71)로 유입된다. 큰 먼지 집진실(71)로 유입된 공기는 제2 메쉬 필터(84)를 통과하여 필터실(72)로 유입된다. 제1 메쉬 필터(77) 또는 제2 메쉬 필터(84)를 통과하여 필터실(72)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미세 먼지는 필터부(69)에서 여과 분리되어 1쌍의 필터(86, 87)의 표면에 포착된다. 필터(86, 87)를 통과하는 청정한 공기는 연락 풍로(66)를 통하여 1차 전동 송풍기(15)에 흡입된다.
용기 본체(78)는 집진실(73), 즉, 큰 먼지 집진실(71)과 필터실(72)을 구획하고 있다. 분리부(64) 중 제1 분리부(68) 및 연락 풍로(66)는 필터부(69)와 1차 전동 송풍기(15)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호 병설되어 있다.
1쌍의 차륜(12)은, 1차 전동 송풍기(15), 분리부(64)(제1 분리부(68) 및 필터부(69)), 집진부(65)(큰 먼지 집진실(71) 및 필터실(72)) 및 연락 풍로(66)를 사이에 두고 있다.
제1 분리부(68)는 본체 케이스(11)의 폭 방향 중앙부에 배치되고, 필터부(69)는 본체 케이스의 한쪽 측부, 예를 들어 우측부에 편중되고, 1차 전동 송풍기(15)는 본체 케이스(11)의 다른 쪽 측부, 예를 들어 좌측부에 편중되어 있다.
1차 진애 용기(13)는, 전기 청소기(3)에 흡입되는 진애를 축적하는 집진실(73)을 구획하고, 또한 집진실(73)에 축적된 진애를 폐기하는 폐기구(91)를 갖는 용기 본체(78)와, 폐기구(91)를 개폐하는 폐기 덮개(9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1차 진애 용기(13)는, 스테이션(2)의 2차 전동 송풍기(49)가 발생시키는 부압에 의하여 1차 진애 용기(13)를 포함하는 풍로의 외측으로부터 직접적으로 공기를 도입하는 흡기구(93)와, 흡기구(93)를 개폐하는 흡기 덮개(9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1차 진애 용기(13)는, 필터부(69)에 부착된 진애, 즉, 필터(86, 87)에 부착된 진애를 제진하는 제진 기구(95)와, 제진 기구(95)의 제진 동작과 폐기 덮개(92)의 개방 동작을 연동시키는 동력 전달 기구(96)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78)는 분리부(64), 즉, 제1 분리부(68) 및 필터부(69)를 수용하고 있다. 용기 본체(78)는 집진실(73), 즉, 큰 먼지 집진실(71) 및 필터실(72)을 구획하고 있다. 또한 용기 본체(78)는, 동력 전달 기구(96)를 수용하는 기계실(97)을 구획하고 있다. 용기 본체(78)는 전체적으로 통형이다. 용기 본체(78)는, 통형 중심선을 본체 케이스(11)의 폭 방향을 향하게 하여 영역 A1에 장착되어 있다.
폐기구(91) 및 흡기구(93)는 용기 본체(78)의 측면에 마련되어 있다. 흡기 덮개(94)와 폐기 덮개(92)는 일괄 개폐된다. 폐기구(91)는, 청소기 본체(7)로부터 스테이션(2)으로 진애를 이동시킬 때를 제외하면 폐기 덮개(92)에 의하여 닫혀 있다. 흡기구(93)는, 청소기 본체(7)로부터 스테이션(2)으로 진애를 이동시킬 때를 제외하면 흡기 덮개(94)에 의하여 닫혀 있다.
폐기구(91)는, 흡기구(93)로부터 도입되는 공기와 함께, 1차 진애 용기(13)에 축적된 진애를 폐기한다. 폐기구(91)는 본체 케이스(11)의 후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폐기구(91)는, 스테이션(2)과 청소기 본체(7)가 접하는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즉, 폐기구(91)는 본체 케이스(11)의 배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11)의 배면은, 전기 청소 장치(1)의 수납 형태(도 2)에 있어서 본체 케이스(11)의 최하단부에 위치한다. 폐기구(91)는, 전기 청소 장치(1)의 수납 형태에 있어서 필터부(69)의 하방에 배치된다.
본체 케이스(11)의 후단부에는, 폐기구(91)보다도 큰 본체 케이스 폐기구(98)가 마련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 폐기구(98)는, 전기 청소 장치(1)의 수납 형태에 있어서 스테이션(2)의 진애 이송관(43)을 통과시키고, 진애 이송관(43)의 입구를 폐기구(91)에 접속시킨다.
폐기구(91)는, 큰 먼지 집진실(71)로 이어지는 큰 먼지 폐기구(101)와, 필터실(72)로 이어지는 미세 먼지 폐기구(102)를 포함하고 있다. 큰 먼지 폐기구(101) 및 미세 먼지 폐기구(102)는 본체 케이스(11)의 폭 방향, 즉, 용기 본체(78)의 중심선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큰 먼지 집진실(71) 및 필터실(72)은 폐기구(91)의 근방에서 격벽(83)을 공유하며, 인접해 있다.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는 용기 본체(78)의 측면의 일부이다. 흡기 덮개(94)는 통형 용기 본체(78)의 둘레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폐기 덮개(92)는 힌지 기구(도시 생략)에 의하여 용기 본체(78)를 유지할 수 있다. 폐기 덮개(92)는 큰 먼지 폐기구(101) 및 미세 먼지 폐기구(102)를 일괄 개폐한다. 폐기 덮개(92)가 열리면, 큰 먼지 폐기구(101) 및 미세 먼지 폐기구(102)는 진애 이송관(43)에 일괄 접속된다.
또한 폐기구(91)에는 패킹(103)이 적절히 마련되어 있다. 패킹(103)은 일체 성형품이다. 패킹(103)은 폐기 덮개(92)와 용기 본체(78) 사이에 끼워져, 큰 먼지 폐기구(101) 및 미세 먼지 폐기구(102)를 일괄 밀봉한다.
흡기구(93)는, 청소기 본체(7) 밖으로부터, 또는 본체 케이스(11) 내이며 1차 전동 송풍기(15)로 이어지는 풍로의 외측으로부터 필터실(72)에 공기를 도입하는 입구이다. 흡기구(93)는, 청소기 본체(7)로부터 스테이션(2)에 진애를 이동시킬 때 공기의 흐름이 생기게 하는 흡입구이다.
흡기구(93)는, 용기 본체(78)의 둘레 방향으로 보아 폐기구(91)로부터 가장 먼 개소, 즉, 180도 떨어진 개소, 달리 말하면 용기 본체(78)의 중심선을 대칭선으로 하는 선대칭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흡기구(93)는, 전기 청소 장치(1)의 수납 형태(도 1)에 있어서 필터부(69)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필터(86, 87)는 흡기구(93)와 폐기구(91) 사이에 끼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흡기구(93)는, 필터(86, 87)의 상류측(1차 전동 송풍기(15)가 발생시키는 흐름의 상류측)의 풍로에 배치되어 있다.
흡기구(93)로부터 도입되는 공기는, 필터(86, 87)에 여과되는 미세 먼지와 1차 진애 용기(13)에 축적되는 큰 먼지를 일괄하여 폐기구(91)로부터 유출시킨다. 진애 이송관(43)으로부터 미세 먼지 폐기구(102)를 통하여 필터실(72)에 부압이 작용하면, 흡기구(93)는 필터(86, 87)에 공기를 분사한다. 필터(86, 87)에 걸린 공기는, 필터(86, 87) 표면에 포착된 진애를 불어 날려서 미세 먼지 폐기구(102)로 안내한다. 필터(86, 87)는 제진 시, 즉, 전기 청소 장치(1)의 수납 형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능선(86a, 87a)를 갖고, 또한 접음선에 교차하는 단부면이 개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필터(86, 87)에 분사된 공기는 접음선을 따라 흐르기 쉽고, 또한 박리된 미세 먼지를 접음선의 단부로부터 원활히 유출시킬 수 있다.
이때, 진애 이송관(43)으로부터 큰 먼지 폐기구(101)를 통하여 큰 먼지 집진실(71)에도 부압이 작용한다. 큰 먼지 집진실(71)은 필터실(72)에 직접적으로, 또한 제1 분리부(68)를 통하여 필터실(72)에 간접적으로 이어져 있기 때문에, 흡기구(93)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일부는 큰 먼지 집진실(71)로도 유입된다. 큰 먼지 집진실(71)로 유입된 공기는, 큰 먼지 집진실(71)에 축적된 큰 먼지를 큰 먼지 폐기구(101)로부터 유출시킨다(폐기시킨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흡기구(93)는 1차 진애 용기(13)의 용기 본체(78)에 마련되고, 필터(86, 87)보다도 상류측의 풍로에 배치되어 있지만, 필터(86, 87)의 하류측(1차 전동 송풍기(15)가 발생시키는 흐름의 하류측)의 풍로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도 6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나는 흡기구(93) 및 흡기 덮개(94)). 이 경우, 흡기구(93)는, 필터(86, 87)로부터 1차 전동 송풍기(15)까지의 풍로, 예를 들어 연락 풍로(66)로 통한다.
이차 전지(17)는 큰 먼지 집진실(71)을 둘러싸고 있다. 즉, 이차 전지(17)에 포함되는 복수의 소전지(17a)는, 본체 케이스(11)의 통형 후반부의 내면을 따라 배치되어 큰 먼지 집진실(71)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3)의 제진 기구(95)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제진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3)의 제진 기구(95)는 1쌍의 필터(86, 87)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제진 기구(95)는 필터부(69)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제진 기구(95)는 1쌍의 필터(86, 87)를 일괄 제진한다.
제진 기구(95)는, 연결된 복수의 랙(105)을 포함하는 피동부(106)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복수의 랙(105)에 순차적으로 맞물려 미리 정해지는 궤도를 따라 피동부(106)를 이동시키는 기어(107)를 구비하고 있다.
피동부(106)는, 랙(105)에 추가하여 복수의 랙(105)을 일체로 연결시키는 프레임(108)과, 랙(105)의 이동 방향을 규정하는 기구, 예를 들어 슬라이더(109)와, 각각의 필터(86, 87)에 접하는 제진자(111)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복수의 랙(105)은, 평행으로 배치되는 1쌍의 랙(105)이다. 피동부(106)는 기어(107)를 1쌍의 랙(105)에 교대로 맞물리게 하여 왕복 운동한다.
프레임(108)은 1쌍의 랙(105)의 각각의 단부를 잇고 있다. 1쌍의 랙(105)과 프레임(108)은 전체로서 직사각형을 그리고 있다.
슬라이더(109)는, 랙(105)의 구멍(105a)과, 구멍(105a)에 삽통되어 필터부(69)의 2차 필터 프레임체(88)에 고정되는 봉형 레일(112)을 갖고 있다. 슬라이더(109)는, 예를 들어 프레임(108)이나 랙(105)에 마련하는 긴 구멍과, 긴 구멍에 삽통되어 2차 필터 프레임체(88)에 고정되는 나사못이나 리벳 등의 핀 부재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기어(107)는 필터부(69)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기어(107)는 1쌍의 필터(86, 87)의 사이에 끼워지고, 또한 필터(86, 87)의 투영면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기어(107)의 톱니(107a)는 부분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기어(107)는 부분적으로 톱니(107a)가 없다. 기어(107)의 톱니(107a)는, 기어(107)가 1회전하는 과정에서 복수의 랙(105)에 순차적으로 맞물린다. 기어(107)의 톱니(107a)는, 2개 이상의 랙(105)에 동시에 맞물리는 일이 없는 범위(잇수)로 한정되어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한다면, 랙(105)의 톱니(105b)는 기어(107)의 톱니(107a)보다도 하나 많다. 즉, 랙(105)의 톱니(105b)와 톱니(105b) 사이의 홈은 기어(107)의 톱니(107a)와 같은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어(107)의 톱니(107a)는 4개, 랙(105)의 톱니(105b)는 5개 있다. 1쌍의 랙(105)의 홈의 바닥으로부터 홈의 바닥까지의 거리는 기어(107)의 최외경보다도 약간 크다. 이 차(간극)는, 기어(107)의 톱니(107a)와 랙(105)의 톱니(105b)의 맞물림과 빠져나감의 원활화를 도모한다.
부분적으로 톱니(107a)가 없는 기어(107)가 반회전하는 동안, 톱니(107a)는 어느 한쪽 랙(105)에 맞물려 피동부(106)를 왕로에서 이동시킨다. 기어(107)의 회전이 진행되면(약 180도 진행되면), 톱니(107a)는 한쪽 랙(105)으로부터 빠져나가 다른 쪽 랙(105)에 맞물려 피동부(106)를 귀로에서 이동시킨다. 또한 기어(107)는, 피동부(106)의 왕로와 귀로 사이에서 일시적으로 톱니(107a)를 어느 랙(105)에도 맞물리지 않는 기간이 있어도 된다.
또한 3개 이상의 랙(105)을 갖는 제진 기구(95)는, 랙(105)의 이동 방향을 규정하는 슬라이더(109) 이외의 기구와, 톱니를 전체 둘레에 갖는 기어(107)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3개 이상의 랙(105)을 갖는 제진 기구(95)는, 피동부(106)를 궤도 상에서 일순시킴에 있어서, 기어(107)를 1회전 이상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3)의 동력 전달 기구(96)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동력 전달 기구의 도면이다.
도 9 및 도 11에는, 동력 전달 기구(96)에 의하여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2에는, 동력 전달 기구(96)에 의하여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는, 제2 기어(122)를 생략한 동력 전달 기구(96)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5에 추가하여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3)의 동력 전달 기구(96)는, 스테이션(2)으로부터 제진 기구(95),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의 구동력을 받아 제진 기구(95),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 각각에 분배하여 전달한다. 동력 전달 기구(96)는, 조인트 반체(115)와, 조인트 반체(115)로부터 제진 기구(95)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전달 기구(117)와, 조인트 반체(115)로부터 폐기 덮개(92)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전달 기구(118)와, 조인트 반체(115)로부터 흡기 덮개(94)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3 전달 기구(119)를 구비하고 있다.
조인트 반체(115)는,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축 조인트(120)의 일부이다. 조인트 반체(115)는 스테이션(2)의 조인트 반체(116)에 연결된다.
제1 전달 기구(117)는, 조인트 반체(115)에 입력되는 구동력을 항시 제진 기구(95)의 기어(107)에 전달한다. 제1 전달 기구(117)는, 조인트 반체(115)에 입력되는 회전 구동력을 단순히 전달하여 기어(107)를 회전시킨다. 즉, 제1 전달 기구(117)는, 조인트 반체(115)가 정회전 하고 있으면 기어(107)를 역회전시키고, 조인트 반체(115)가 역회전하고 있으면 기어(107)를 정회전시킨다.
제1 전달 기구(117)는, 조인트 반체(115)에 회전 일체의 제1 기어(121)와, 제1 기어(121)에 맞물림된 대직경의 제2 기어(122)를 구비하고 있다. 제2 기어(122)는, 필터부(69)의 2차 필터 프레임체(88)를 관통하여, 제진 기구(95)의 기어(107)에 회전 일체의 축(99)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제2 기어(122)와 제진 기구(95)의 기어(107)는 회전 일체이다. 제1 기어(121)에 비하여 제2 기어(122) 쪽이 크기 때문에, 필터(86, 87)를 털거나 변형시키거나 하면서 동작하는 제진 기구(95)를, 보다 작은 출력의 모터(후술하는 스테이션(2)의 구동원(149))로 구동시킬 수 있다.
제2 전달 기구(118)는, 조인트 반체(115)에 입력되는 구동력에 의하여 폐기 덮개(92)를 개폐시킨다. 제3 전달 기구(119)는, 조인트 반체(115)에 입력되는 구동력에 의하여 흡기 덮개(94)를 개폐시킨다. 흡기 덮개(94)와 폐기 덮개(92)가 일괄 개폐된다. 달리 말하면, 제2 전달 기구(118)가 폐기 덮개(92)를 열 때, 제3 전달 기구(119)도 흡기 덮개(94)를 연다. 또한 제2 전달 기구(118)가 폐기 덮개(92)를 닫을 때, 제3 전달 기구(119)도 흡기 덮개(94)를 닫는다.
제3 전달 기구(119)는, 제1 전달 기구(117)와 공유하는 제1 기어(121)와, 원호형으로 배치되어 제1 기어(121)에 맞물리는 톱니(123a)를 갖는 레버부(123)와, 레버부(123)의 요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124)와, 레버부(123)의 요동 범위를 규정하는 1쌍의 스토퍼(125)를 구비하고 있다.
레버부(123)는, 제2 기어(122)의 회전 중심에 일치하는 요동 중심을 갖고 있다. 즉, 레버부(123)는, 제2 기어(12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에 의하여 제2 기어(122)와 함께 지지되어 있다. 레버부(123)는 흡기 덮개(94)에 직결되어 있다.
가이드부(124)는, 용기 본체(78)에 마련되는 홈(126)과, 홈(126)에 배치되는 안내판(127)을 구비하고 있다. 홈(126)은, 레버부(123)의 요동의 궤적을 따라 원호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안내판(127)은 레버부(123)에 일체화되어 있다.
스토퍼(125)는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의 완전 폐쇄 위치 및 완전 개방 위치에 따라 레버부(123)의 요동 범위를 규정(규제)하고 있다.
제2 전달 기구(118)는, 제1 전달 기구(117) 및 제3 전달 기구(119)와 공유하는 제1 기어(121)와, 제3 전달 기구(119)와 공유하는 레버부(123), 가이드부(124) 및 스토퍼(125)와, 레버부(123)의 요동을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여 폐기 덮개(92)에 전달하는 슬라이더(128)와, 폐기 덮개(92)를 완전 폐쇄시키는 스프링력을 발생시키는 폐기 덮개 폐쇄 스프링(129)을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더(128)는 폐기 덮개 폐쇄 스프링(129)의 스프링력을 이겨 폐기 덮개(92)를 연다. 또한 슬라이더(128)는 폐기 덮개 폐쇄 스프링(129)의 스프링력을 이용하여 폐기 덮개(92)를 닫는다.
여기서, 동력 전달 기구(96)는 적당한 기간에 걸쳐 스테이션(2)으로부터 제진 기구(95)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한편,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가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된 후, 제진 기구(95)가 한창 구동 중인 적절한 기간 내여도 스테이션(2)으로부터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한다(끊는다).
즉, 제2 전달 기구(118)는, 폐기 덮개(92)가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되면 조인트 반체(115)로부터 폐기 덮개(92)로의 구동력의 전달을 차단한다. 또한 제3 전달 기구(119)는, 흡기 덮개(94)가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되면 조인트 반체(115)로부터 흡기 덮개(94)로의 구동력의 전달을 차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전달 기구(118) 및 제3 전달 기구(119)는,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가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되면 레버부(123)의 톱니(123a)와 제1 기어(121)의 맞물림을 해제한다. 즉, 원호형으로 배열되는 톱니(123a)는,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가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되면 제1 기어(121)로부터 빠져나오는 범위에 마련되어 있다(한정되어 있다).
레버부(123)의 톱니(123a)는, 폐기 덮개(92)가 완전 폐쇄 또는 완전 개방되면, 이동을 방해하는 폐기 덮개(92)에 미처 저항하지 못하고 제1 기어(121)로부터 빠져나와 구동력(토크)의 전달을 차단한다. 레버부(123)의 톱니(123a)는, 흡기 덮개(94)가 완전 폐쇄 또는 완전 개방되면 제1 기어(121)로부터 빠져나와 구동력(토크)의 전달을 차단한다.
또한 동력 전달 기구(96)는, 레버부(123)의 톱니(123a)와 제1 기어(121)의 맞물림을 복귀시킬 때, 양자의 원활한 맞물림을 촉구하는 구동원, 예를 들어 복귀 스프링(131)을 구비하고 있다. 복귀 스프링(131)은,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가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되면 눌려서 찌부러져 에너지를 축적한다. 또한 복귀 스프링(131)은,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를 열기 시작할 때, 또는 닫기 시작할 때, 에너지를 소비하여 레버부(123)를 밀어젖혀 레버부(123)의 톱니(123a)와 제1 기어(121)의 맞물림의 복귀를 돕는다.
또한 제진 기구(95)가 적당한 기간에 걸쳐 작동하여, 필터(86, 87)를 한창 제진하는 와중에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는 완전 개방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모터(후술하는 스테이션(2)의 구동원(149))의 정회전과 역회전을 전환하여 제진 기구(95)를 왕복 운동시키면,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는, 모터의 정회전과 역회전이 전환될 때마다 열리거나 닫히거나 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진 기구(95)는, 1방향으로 회전하는 기어(107)에 의하여 피동부(106)를 왕복 운동 가능한 구성을 갖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테이션(2)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 장치의 스테이션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4는, 받침대(41)의 천장판 및 진애 회수부(142)의 케이스(47)가 떼어내진 스테이션(2)의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테이션(2)의 2차 진애 용기(48)는, 진애 이송관(43)으로부터 유입되는 진애를 공기로부터 원심 분리하는 원심 분리부(143)를 구비하고 있다. 원심 분리부(143)는 다단형이며, 진애 이송관(43)으로부터 유입되는 진애를 공기로부터 원심 분리하는 제1 원심 분리부(144)와, 제1 원심 분리부(144)를 통과하는 진애를 공기로부터 원심 분리하는 제2 원심 분리부(145)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원심 분리부(144)는, 2차 진애 용기(48)로 유입되는 진애 중 거친 진애를 원심 분리한다. 제2 원심 분리부(145)는, 제1 원심 분리부(144)를 통과하는 미세한 진애를 원심 분리한다. 또한 거친 진애란, 주로 실밥이나 솜먼지 등의 섬유상 진애나 모래알과 같은 질량이 큰 진애이고, 미세한 진애란, 입자상 또는 분말상이고 질량이 작은 진애이다.
2차 전동 송풍기(49)는 하류 풍로관(146)을 통하여 2차 진애 용기(48)에 접속되어 있다. 2차 전동 송풍기(49)는 하류 풍로관(146), 2차 진애 용기(48) 및 진애 이송관(43)을 통하여 1차 진애 용기(13)에 부압을 작용시켜, 1차 진애 용기(13)에 축적된 진애를 공기와 함께 2차 진애 용기(48)로 이동시킨다.
또한 스테이션(2)은, 받침대(41)에 마련되는 연결 안내부(148)와, 전기 청소기(3)의 1차 진애 용기(13)의 폐기 덮개(92)의 개방 구동력 및 폐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149)과, 구동원(149)으로부터 전기 청소기(3)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151)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 안내부(148)는, 청소기 본체(7)가 스테이션(2)에 연결될 때, 스테이션(2)의 충전 단자(45)가 청소기 본체(7)의 충전 전극(19)에 적합하게 접속되고, 또한 진애 이송관(43)이 청소기 본체(7)의 폐기구(91)에 적합하게 접속되는 위치로 청소기 본체(7)를 안내한다.
또한 청소기 본체(7)가 스테이션(2)에 연결되고, 스테이션(2)의 충전 단자(45)가 청소기 본체(7)의 충전 전극(19)에 적합하게 접속되고, 또한 진애 이송관(43)이 청소기 본체(7)의 폐기구(91)에 적합하게 접속된 형태가 전기 청소 장치(1)의 수납 형태이다.
연결 안내부(148)는, 청소기 본체(7)의 본체 케이스(11)의 후단부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오목하게 되어 있다. 즉, 연결 안내부(148)는 본체 케이스(11)의 통형 후반부에 적합하도록, 스테이션(2)의 측방으로 보아 원호형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청소기 본체(7)는 받침대(41)의 상방으로부터 내려져(강하되어) 스테이션(2)에 연결되기 때문에, 청소기 본체(7)의 후단부의 형상에 적합한 연결 안내부(148)는, 전기 청소 장치(1)의 수납 형태에 있어서의 청소기 본체(7)의 위치 결정을 확실하게 한다.
충전 단자(45)와 진애 이송관(43)의 입구는 연결 안내부(148)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원(149)은, 예를 들어 전동기이다. 구동원(149)은 스테이션 제어부(5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구동원(149)은 2차 전동 송풍기(49)와 마찬가지로 스테이션 제어부(51)에 제어된다.
구동원(149)은 전기 청소기(3)의 흡기 덮개(94)의 개방 구동력 및 폐쇄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구동원(149)은 전기 청소기(3)의 제진 기구(95)의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즉, 구동원(149)은 폐기 덮개(92), 흡기 덮개(94) 및 제진 기구(95)의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구동원(149)은 진애 이송관(43)의 입구와 진애 회수부(142)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동력 전달 기구(151)는, 구동원(149), 즉, 전동기의 출력축으로부터 전기 청소 장치(1)의 수납 형태에 있어서의 청소기 본체(7)의 조인트 반체(115)의 중심선 상으로 구동원(149)의 동력을 전달하는 적절한 기구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동력 전달 기구(151)는, 상호 맞물린 복수, 예를 들어 3개의 기어(151a, 151b, 151c)와, 이들 기어(151a, 151b, 151c)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수용하는 기어 박스(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동력 전달 기구(151)는, 풀리와 벨트를 조합한 기구나, 체인과 스프로킷을 조합한 기구여도 된다.
다음으로, 스테이션(2)으로부터 청소기 본체(7)로 구동원(149)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경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 장치의 동력 전달 경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5는, 동력 전달 경로(155) 중, 스테이션(2)측만, 즉, 스테이션(2)의 동력 전달 기구(151)를 도시하고 있다.
도 9 및 도 14에 추가하여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 장치(1)는, 스테이션(2)의 구동원(149)으로부터 청소기 본체(7)의 폐기 덮개(92)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경로(155)와, 스테이션(2)과 전기 청소기(3) 사이에서 동력 전달 경로(155)의 연결과 단절을 행하는 연결기(156)를 구비하고 있다.
동력 전달 경로(155)는 전기 청소기(3)측의 동력 전달 기구(96)와 스테이션(2)측의 동력 전달 기구(151)를 포함하고 있다. 연결기(156)는 전기 청소기(3)측의 동력 전달 기구(96)와 스테이션(2)측의 동력 전달 기구(151)를 연결하여 동력 전달 경로(155)를 기능시킨다.
동력 전달 기구(151) 및 청소기 본체(7)의 조인트 반체(115)를 제외한 연결기(156)는 받침대(41)의 팽출부(46)에 덮여 있다. 팽출부(46)는 조인트 반체(116)를 돌출 함몰 가능하게 수용하고 있다.
연결기(156)는, 축 조인트(120)와, 축 조인트(120)를 단절시키는 힘을 발생시키는 구동원, 예를 들어 조인트 절단 스프링(157)과, 구동원(149)이 발생시키는 구동력으로 축 조인트(120)를 접속하는 캠 기구(158)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기(156)는 구동원(149)의 구동력으로 축 조인트(120)를 접속시키고, 조인트 절단 스프링(157)의 스프링력으로 축 조인트(120)를 단절시킨다(끊는다).
축 조인트(120)는 소위, 도그 클러치나 커플링이다. 축 조인트(120)는, 전기 청소기(3)의 동력 전달 기구(96)에 마련되는 조인트 반체(115)와, 스테이션(2)의 동력 전달 기구(151)에 마련되는 조인트 반체(116)를 구비하고 있다.
조인트 반체(115)는, 원형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호형 홈(161)을 구비하고 있다. 조인트 반체(116)는, 원형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축(162)을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축(162)은, 호형 홈(161)에 출입 가능한 직경 치수를 갖고 있다. 축(162)은, 호형 홈(161)에 삽입하기 쉽도록 끝이 가는 테이퍼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인트 반체(116)는, 동력 전달 기구(151)가 전달하는 구동력에 의하여 항시 회전한다. 조인트 반체(115)는, 축 조인트(120)가 이어짐으로써 조인트 반체(116)와 함께 회전한다. 조인트 반체(116)는 스테이션(2)의 팽출부(46)로부터 돌출되어 조인트 반체(115)에 연결된다. 조인트 반체(116)는, 청소기 본체(7)의 측방에 배치되는 팽출부(46)로부터 청소기 본체(7)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조인트 반체(115)에 연결된다. 달리 말하면, 연결기(156)는, 청소기 본체(7)를 스테이션(2)으로부터 분리할 때, 및 청소기 본체(7)를 스테이션(2)으로 복귀시킬 때, 청소기 본체(7)가 이동하는 방향, 즉, 상하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조인트 반체(116)를 팽출부(46)로부터 돌출 함몰시켜 축 조인트(120)를 연결한다. 그 때문에, 연결기(156)는, 팽출부(46)와 조인트 반체(116)의 간극으로부터 스테이션(2) 내에, 예를 들어 진애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동력 전달 기구(151)의 양호한 작동을 보증할 수 있다.
또한 조인트 반체(116)는, 팽출부(46)로부터 청소기 본체(7)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조인트 반체(115)에 연결되는 것 외에, 연결 안내부(148)에 돌출시켜 형성되어, 스테이션(2)에 청소기 본체(7)를 연결하면 동시에 조인트 반체(115)에 연결되는 것이어도 된다(도 13 중, 2점 쇄선의 조인트 반체(116)). 또한 조인트 반체(116)는, 진애 회수부(42)에 배치되어, 스테이션(2)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조인트 반체(115)에 연결되는 것이어도 된다(도 13 중, 2점 쇄선의 조인트 반체(116)).
조인트 절단 스프링(157)은, 축 조인트(120)를 단절시키는 방향, 즉, 조인트 반체(115)로부터 떼어내는 방향으로 조인트 반체(116)를 잡아당기고 있다. 달리 말하면, 조인트 절단 스프링(157)은, 팽출부(46)에 매몰시키는 방향으로 조인트 반체(116)를 인입하고 있다.
캠 기구(158)는 스테이션(2)측에 마련되어 있다. 캠 기구(158)는 소위, 단부면 캠이다. 캠 기구(158)는, 동력 전달 기구(151)의 회전 운동을 조인트 반체(116)의 직선 운동, 즉, 조인트 반체(116)가 팽출부(46)에 돌출 함몰하는 운동으로 변환하고, 또한 조인트 반체(116)의 직선 운동이 적절히 진행되면 조인트 반체(116)를 회전 운동시킨다. 캠 기구(158)는, 동력 전달 기구(151)에 의하여 회전하는 원절(163)과, 조인트 반체(116)에 마련되는 종절(164)을 구비하고 있다. 종절(164)은, 조인트 반체(116)의 축(162)에 가장 가깝고, 조인트 반체(116)의 둘레 방향, 즉, 조인트 반체(116)의 회전 중심선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캠면(164a)과, 조인트 반체(116)의 회전 중심선에 대하여 비스듬히 조인트 반체(116)의 축(162)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캠면(164b)과, 제2 캠면(164b)의 정상부로 이어지고 제1 캠면(164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캠면(164c)을 갖고 있다. 제3 캠면(164c)은, 조인트 반체(116)의 회전 중심선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으로 연장되어 있다. 원절(163)은, 제1 캠면(164a) 및 제2 캠면(164b)에 선 접촉 가능하고, 또한 제3 캠면(164c)에 면 접촉 가능한 형상을 갖고 있다.
연결기(156)는 비연결 시, 캠 기구(158)의 종절(164)의 제1 캠면(164a)에 원절(163)을 접촉시키거나, 또는 제1 캠면(164a)에 원절(163)을 가장 근접시키고 있다. 이 상태에서 조인트 반체(116)는 스테이션(2)의 팽출부(46)에 가장 인입되어 있다. 구동원(149)이 시동되면, 동력 전달 기구(151)의 기어(115c)와 함께 원절(163)이 회전한다. 회전하는 원절(163)은 종절(164)의 제1 캠면(164a)을 이동하여 제2 캠면(164b)에 근접하고, 결국 제2 캠면(164b)에 올라탄다. 그렇게 하면 조인트 반체(116)는, 원절(163)이 제2 캠면(164b)를 누르는 힘에 의하여 팽출부(46)로부터 밀려나 조인트 반체(115)에 연결된다. 조인트 반체(116)의 회전이 진행되어 원절(163)이 제3 캠면(164c)에 면 접촉하면, 연결기(156) 전체가 원절(163)에 동기하여 회전한다.
또한 조인트 반체(116)는 조인트 절단 스프링(157)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팽출부(46)에 인입되어 있다. 이 스프링력은 원절(163)과 종절(164) 사이에 적절한 마찰력을 발생시켜, 원절(163)을 종절(164)의 제2 캠면(164b)에 확실히 올라앉게 한다.
캠 기구(158)는, 스테이션(2)의 조인트 반체(116)로부터 청소기 본체(7)의 조인트 반체(115)를 보아, 조인트 반체(116)를 정회전(시계 방향) 및 역회전(반시계 방향)시키는 어느 회전 방향으로도 제2 캠면(164b) 및 제3 캠면(164c)을 갖고 있다. 달리 말하면, 캠 기구(158)는, 제1 캠면(164a)을 사이에 끼우는 1쌍의 제2 캠면(164b) 및 제3 캠면(164c)을 갖고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동력 전달 경로(155)는 조인트 반체(116)를 정회전시킴으로써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를 열고, 조인트 반체(116)를 역회전시킴으로써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를 닫는다고 하여 설명한다. 한쪽 제2 캠면(164b) 및 제3 캠면(164c)은 조인트 반체(116)의 정회전에 수반하여 연결기(156)를 잇고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를 연다. 다른 쪽 제2 캠면(164b) 및 제3 캠면(164c)은 조인트 반체(116)의 역회전에 수반하여 연결기(156)를 잇고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를 닫는다.
스테이션(2)에 청소기 본체(7)가 연결되어 전기 청소 장치(1)가 수납 형태로 이행한다. 그렇게 하면, 청소기 본체(7)의 충전 전극(19)은 스테이션(2)의 충전 단자(45)에 접촉하여 충전 단자(4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진애 이송관(43)의 입구는 청소기 본체(7)의 본체 케이스 폐기구(98)을 통하여 1차 진애 용기(13)의 용기 본체(78)의 외면에 밀착된다.
스테이션 제어부(51)는, 충전 단자(45)로 이어지는 충전 회로(도시 생략), 마이크로스위치 등의 접촉식 센서(도시 생략), 또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비접촉 센서(도시 생략) 등의 검지 방법에 의하여, 스테이션(2)에 청소기 본체(7)가 연결된 것을 검지한다. 스테이션 제어부(51)는, 스테이션(2)에 청소기 본체(7)가 연결된 것을 검지하면 적시에 구동원(149)을 시동시킨다. 구동원(149)이 시동되면, 스테이션(2)의 조인트 반체(116)가 팽출부(46)로부터 돌출되어 청소기 본체(7)의 조인트 반체(115)에 연결된다. 즉, 연결기(156)가 연결된다. 스테이션 제어부(51)는 구동원(149)의 운전을 계속한다. 연결기(156)가 연결된 동력 전달 경로(155)는 구동원(149)의 구동력을 폐기 덮개(92), 흡기 덮개(94) 및 제진 기구(95)에 분배하여 전달한다.
동력 전달 경로(155)로부터 전해지는 구동력에 의하여 폐기 덮개(92) 및 흡기 덮개(94)는 완전 개방된다. 동력 전달 경로(155)로부터 전해지는 구동력에 의하여 제진 기구(95)는 필터(86, 87)에 부착된 미세 먼지를 제거한다. 스테이션 제어부(51)는, 제진 기구(95)가 필터(86, 87)에 부착된 미세 먼지를 제거하는 적절한 기간, 예를 들어 10초간 계속하여 구동원(149)을 운전한 후, 구동원(149)을 일단 정지시킨다.
이어서, 스테이션 제어부(51)는 2차 전동 송풍기(49)를 시동시킨다. 시동된 2차 전동 송풍기(49)는 2차 진애 용기(48)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부압을 발생시킨다. 즉, 2차 전동 송풍기(49)는, 구동원(149)이 폐기 덮개(92)를 연 후, 2차 진애 용기(48)에 부압을 작용시킨다. 2차 전동 송풍기(49)는, 구동원(149)이 흡기 덮개(94)를 연 후, 2차 진애 용기(48)에 부압을 작용시킨다. 2차 전동 송풍기(49)는, 구동원(149)이 제진 기구(95)를 구동시킨 후, 2차 진애 용기(48)에 부압을 작용시킨다.
2차 진애 용기(48)에 작용하는 부압은 진애 이송관(43) 및 폐기구(91)를 통하여 1차 진애 용기(13)에 작용한다. 그렇게 하면 1차 진애 용기(13)는 흡기구(93)로부터 공기를 흡입한다. 이때, 본체 접속구(18)로부터도 공기가 흡입된다. 1차 진애 용기(13)에 흡입된 공기는 큰 먼지 집진실(71) 내의 큰 먼지를 큰 먼지 폐기구(101)로부터 진애 이송관(43)으로 유출시키고, 또한 필터실(72) 내의 미세 먼지를 미세 먼지 폐기구(102)로부터 진애 이송관(43)으로 유출시킨다. 진애 이송관(43)으로 유입된 진애(큰 먼지 및 미세 먼지가 혼합된 진애)는 진애 이송관(43)을 통하여 2차 진애 용기(48)에 흡입된다.
2차 진애 용기(48)의 제1 원심 분리부(144)는, 진애 이송관(43)으로부터 유입된 진애로부터 큰 먼지를 분리하여 축적한다. 제2 원심 분리부(145)는, 제1 원심 분리부(144)를 통과하는 미세 먼지를 분리하여 축적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3)는 1차 전동 송풍기(15)와 필터부(69)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호 병설되는 제1 분리부(68) 및 연락 풍로(66)를 구비하고 있다. 즉, 전기 청소기(3)는 사용 기간 중, 어느 시기에 있어서도 단순한 공간인 제1 분리부(68)와 연락 풍로(66)를 중앙에 배치하여, 이들을 비교적 중량이 큰 필터부(69)와 1차 전동 송풍기(15) 사이에 끼우고 있다. 그 때문에, 전기 청소기(3)는 종래의 전기 청소기에 비하여 1차 전동 송풍기(15), 필터부(69) 및 제1 분리부(68)의 레이아웃을 크게 변화시켜, 종래의 전기 청소기와는 크게 다른 중량 배분을 가져, 경쾌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3)는, 진애를 포함하는 공기를 직진시켜 진애 및 공기에 작용하는 관성력의 차로 공기로부터 진애 중 비교적 무거운 진애를 분리시키는 제1 분리부(68)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전기 청소기(3)는 사용 기간 중, 어느 시기에 있어서도 단순한 공간인 제1 분리부(68)를 연락 풍로(66)에 용이하게 병설하는 것이 가능하여 청소기 본체(7)의 소형화, 경량화에 기여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3)는, 제1 분리부(68)를 통과하는 진애를 포함하는 공기로부터 진애를 분리시키는 필터부(69)를 구비하고 있다. 즉, 전기 청소기(3)는 사용 기간 중, 어느 시기에 있어서도 단순한 공간인 제1 분리부(68) 및 연락 풍로(66)를, 비교적 중량이 무거운 필터부(69)와 1차 전동 송풍기(15) 사이에 끼우고 있다. 그 때문에, 전기 청소기(3)는 종래의 전기 청소기에 비하여 1차 전동 송풍기(15), 필터부(69) 및 제1 분리부(68)의 레이아웃을 크게 변화시켜, 종래의 전기 청소기와는 크게 다른 중량 배분을 갖게 하여 경쾌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3)는, 제1 분리부(68) 및 연락 풍로(66)에 병설되어, 제1 분리부(68)에서 분리된 진애 중 미세 먼지에 비하여 비교적 무거운 큰 먼지를 축적하는 큰 먼지 집진실(71)을 구비하고 있다. 큰 먼지 집진실(71)은, 본체 중량에 비하여 극히 가벼운 큰 먼지를 축적하는 공간이며, 또한 큰 먼지 집진실(71)의 중량은 필터부(69)에 비하여 극히 가볍다. 즉, 전기 청소기(3)에서는, 제1 분리부(68), 연락 풍로(66) 및 큰 먼지 집진실(71)과 같이 비교적 가벼운 부위가 1차 전동 송풍기(15)와 필터부(69)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기 청소기(3)는 종래의 전기 청소기에 비하여 1차 전동 송풍기(15), 필터부(69) 및 제1 분리부(68)의 레이아웃을 크게 변화시켜, 종래의 전기 청소기와는 크게 다른 중량 배분을 가져, 경쾌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3)는, 제1 분리부(68)로 이어지는 본체 접속구(18)를 폭 방향 중앙부에 갖는 본체 케이스(11)와, 본체 케이스(11)를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1쌍의 차륜(12)과, 1쌍의 차륜(12) 사이에 끼는 1차 전동 송풍기(15), 제1 분리부(68), 필터부(69) 및 연락 풍로(66)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분리부(68)는 본체 케이스(11)의 폭 방향 중앙부에 배치되고, 필터부(69)는 본체 케이스(11)의 한쪽 측부에 편중되고, 1차 전동 송풍기(15)는 본체 케이스(11)의 다른 쪽 측부에 편중되어 있다. 즉, 전기 청소기(3)는, 비교적 중량이 무거운 필터부(69) 및 1차 전동 송풍기(15)를 바로 근처의 차륜(12)으로 지지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전기 청소기(3)는 취급의 경쾌성을 대폭 향상시킨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3)는, 차륜(12)의 회전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본체 접속구(18)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이차 전지(17)를 구비하고 있다. 전기 청소기(3)는, 본체 접속구(18)로 이어진 관부(8)를 잡아당겨 취급되는 바, 청소기 본체(7)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이차 전지(17)의 중량과 관부(8)로부터 작용하는 힘이 청소기 본체(7)의 자세를 안정시켜 청소기 본체(7)의 추종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3)는, 큰 먼지 집진실(71)을 둘러싸는 이차 전지(17)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전기 청소기(3)는, 큰 먼지 집진실(71)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큰 먼지 집진실(71)의 외벽을 냉각하고, 이 외벽의 냉각에 의하여, 방전에 수반하여 발열하는 이차 전지(17)를 냉각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청소기(3)에 의하면, 청소기 본체(7)의 중량 배분이 우수하여 취급의 경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들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신규의 실시 형태는 그 외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
1: 전기 청소 장치
2: 스테이션
3: 전기 청소기
7: 청소기 본체
8: 관부
11: 본체 케이스
12: 차륜
12a, 12b: 보조륜
13: 1차 진애 용기
15: 1차 전동 송풍기
16: 청소기 제어부
17: 이차 전지
17a: 소전지
18: 본체 접속구
19: 충전 전극
21: 접속관
22: 집진 호스
23: 손잡이측 조작관
25: 파지부
26: 조작부
27: 연장관
28: 흡입구체
26a: 정지 스위치
26b: 기동 스위치
26c: 브러시 스위치
31: 흡입구
32: 회전 청소체
33: 전동기
41: 받침대
42: 진애 회수부
43: 진애 이송관
45: 충전 단자
46: 팽출부
47: 케이스
48: 2차 진애 용기
49: 2차 전동 송풍기
51: 스테이션 제어부
52: 전원 코드
61: 진애 용기실
61a: 진애 용기 삽입 발출구
62: 전동 송풍기실
64: 분리부
65: 집진부
66: 연락 풍로
68: 제1 분리부
69: 필터부
71: 큰 먼지 집진실
72: 필터실
73: 집진실
75: 노즐부
76: 1차 필터 프레임체
77: 제1 메쉬 필터
78: 용기 본체
78a: 흡입구
79: 큰 먼지 토출구
81: 중계 풍로
82: 큰 먼지 집진실 출구
83: 격벽
84: 제2 메쉬 필터
86: 필터
87: 필터
88: 2차 필터 프레임체
86a: 능선
89: 2차 필터 출구
91: 폐기구
92: 폐기 덮개
93: 흡기구
94: 흡기 덮개
95: 제진 기구
96: 동력 전달 기구
97: 기계실
98: 본체 케이스 폐기구
99: 축
101: 큰 먼지 폐기구
102: 미세 먼지 폐기구
103: 패킹
105: 랙
105a: 구멍
105b: 톱니
106: 피동부
107: 기어
107a: 톱니
108: 프레임
109: 슬라이더
111: 제진자
112: 레일
115: 조인트 반체
116: 조인트 반체
117: 제1 전달 기구
118: 제2 전달 기구
119: 제3 전달 기구
120: 축 조인트
121: 제1 기어
122: 제2 기어
123: 레버부
123a: 톱니
124: 가이드부
125: 스토퍼
126: 홈
127: 안내판
128: 슬라이더
129: 폐기 덮개 폐쇄 스프링
131: 복귀 스프링
142: 진애 회수부
143: 원심 분리부
144: 제1 원심 분리부
145: 제2 원심 분리부
146: 하류 풍로관
148: 연결 안내부
149: 구동원
151: 동력 전달 기구
151a, 151b, 151c: 기어
155: 동력 전달 경로
156: 연결기
157: 조인트 절단 스프링
158: 캠 기구
161: 호형 홈
162: 축
163: 원절
164: 종절
164a: 제1 캠면
164b: 제2 캠면
164c: 제3 캠면

Claims (7)

  1. 부압을 발생시키는 전동 송풍기와,
    상기 전동 송풍기가 발생시키는 부압에 의하여 흡입되는, 진애를 포함한 공기로부터 상기 진애를 분리시키는 제1 분리부와,
    상기 제1 분리부를 통과하는, 상기 진애를 포함하는 공기로부터 상기 진애를 분리시키는 제2 분리부와,
    상기 제2 분리부로부터 유출되는 공기를 상기 전동 송풍기로 유도하는 연락 풍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분리부 및 상기 연락 풍로는 상기 전동 송풍기와 상기 제2 분리부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호 병설되어 있는, 전기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부는, 상기 진애를 포함하는 상기 공기를 직진시켜 상기 진애 및 상기 공기에 작용하는 관성력의 차로 상기 공기로부터 상기 진애 중 비교적 무거운 진애를 분리시키는, 전기 청소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부는, 상기 진애를 포함하는 상기 공기로부터 상기 진애 중 비교적 가벼운 진애를 여과 분리하는 필터를 갖는, 전기 청소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부 및 상기 연락 풍로에 병설되어, 상기 제1 분리부에서 분리된 진애 중 비교적 무거운 진애를 축적하는 큰 먼지 집진실을 갖는, 전기 청소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부로 이어지는 흡입구를 폭 방향 중앙부에 갖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를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1쌍의 차륜을 구비하고,
    상기 1쌍의 차륜은 상기 전동 송풍기, 상기 제1 분리부, 상기 제2 분리부 및 상기 연락 풍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분리부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폭 방향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분리부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한쪽 측부에 편중되고,
    상기 전동 송풍기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다른 쪽 측부에 편중되어 있는, 전기 청소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의 회전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흡입구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이차 전지를 구비하는, 전기 청소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의 회전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흡입구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상기 큰 먼지 집진실을 둘러싸는 이차 전지를 구비하는, 전기 청소기.
KR1020197015159A 2016-11-30 2017-06-02 전기 청소기 KR1022684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32485 2016-11-30
JP2016232485A JP6875837B2 (ja) 2016-11-30 2016-11-30 電気掃除機
PCT/JP2017/020615 WO2018100774A1 (ja) 2016-11-30 2017-06-02 電気掃除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494A true KR20190073494A (ko) 2019-06-26
KR102268464B1 KR102268464B1 (ko) 2021-06-24

Family

ID=62242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159A KR102268464B1 (ko) 2016-11-30 2017-06-02 전기 청소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75837B2 (ko)
KR (1) KR102268464B1 (ko)
CN (1) CN109996480B (ko)
WO (1) WO20181007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33923B2 (ja) * 2017-06-22 2021-09-0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7088753B2 (ja) * 2018-06-20 2022-06-21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CN112914417B (zh) * 2019-12-05 2022-03-22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集尘装置以及电动吸尘器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5380A (ja) * 2002-03-19 2003-09-24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
WO2004064592A1 (en) * 2003-01-24 2004-08-05 Gioel Italia '96 S.R.L. Coupling and decoupling system, particularly for cleaning modular apparatuses
KR20070010298A (ko) * 2005-07-18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의 먼지비움장치
KR20070106526A (ko) * 2005-01-18 2007-11-01 일렉트로룩스 홈 케어 프로덕츠, 인크. 접철식 손잡이를 갖는 진공청소기
JP2007325701A (ja) * 2006-06-07 2007-1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走式掃除機
KR20080079075A (ko) * 2007-02-26 2008-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청소기와 도킹스테이션을 구비한 로봇청소기 시스템
KR20100010161A (ko) * 2008-07-22 2010-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JP2011055974A (ja) 2009-09-09 2011-03-24 Panasonic Corp 電気掃除機
US20130111695A1 (en) * 2011-11-03 2013-05-09 Charles Jeff Morgan Efficient lightweight vacuum
JP2014079461A (ja) * 2012-10-17 2014-05-08 Sharp Corp サイクロン式集塵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る電気掃除機
JP2014204773A (ja) * 2013-04-11 2014-10-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2015008755A (ja) * 2013-06-26 2015-01-19 三菱電機株式会社 集塵装置、電気掃除機、自走式掃除機、及び、自走式掃除機と充電台とを含むシステム
US20150190022A1 (en) * 2009-03-31 2015-07-09 Dyson Technology Limited Canister vacuum cleaner
JP2016116850A (ja) * 2014-12-19 2016-06-30 フォルヴェルク・ウント・ツェーオー、インターホールディング・ゲーエムベーハーVorwerk & Compagnie Interholding Gesellshaft Mit Beschrankter Haftung 真空掃除機用のベースステーション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1310A (ja) * 2000-05-16 2001-11-20 Hitachi Ltd 電気掃除機
JP2001353105A (ja) * 2000-06-15 2001-12-25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JP3809601B2 (ja) * 2000-08-25 2006-08-16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3973135B2 (ja) * 2001-06-07 2007-09-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掃除機
KR20050033937A (ko) * 2003-10-07 2005-04-14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충전식 진공청소기
KR100842962B1 (ko) * 2007-05-09 2008-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능동 구동 청소기
JP5430886B2 (ja) * 2008-06-30 2014-03-05 株式会社東芝 電気掃除機
CN201290642Y (zh) * 2008-11-04 2009-08-19 金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双级串联式旋风吸尘器
WO2012157350A1 (ja) * 2011-05-13 2012-11-22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6228856B2 (ja) * 2014-02-04 2017-11-08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2016010499A (ja) * 2014-06-27 2016-01-21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5380A (ja) * 2002-03-19 2003-09-24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
WO2004064592A1 (en) * 2003-01-24 2004-08-05 Gioel Italia '96 S.R.L. Coupling and decoupling system, particularly for cleaning modular apparatuses
KR20070106526A (ko) * 2005-01-18 2007-11-01 일렉트로룩스 홈 케어 프로덕츠, 인크. 접철식 손잡이를 갖는 진공청소기
KR20070010298A (ko) * 2005-07-18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의 먼지비움장치
JP2007325701A (ja) * 2006-06-07 2007-1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走式掃除機
KR20080079075A (ko) * 2007-02-26 2008-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청소기와 도킹스테이션을 구비한 로봇청소기 시스템
KR20100010161A (ko) * 2008-07-22 2010-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US20150190022A1 (en) * 2009-03-31 2015-07-09 Dyson Technology Limited Canister vacuum cleaner
JP2011055974A (ja) 2009-09-09 2011-03-24 Panasonic Corp 電気掃除機
US20130111695A1 (en) * 2011-11-03 2013-05-09 Charles Jeff Morgan Efficient lightweight vacuum
JP2014079461A (ja) * 2012-10-17 2014-05-08 Sharp Corp サイクロン式集塵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る電気掃除機
JP2014204773A (ja) * 2013-04-11 2014-10-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2015008755A (ja) * 2013-06-26 2015-01-19 三菱電機株式会社 集塵装置、電気掃除機、自走式掃除機、及び、自走式掃除機と充電台とを含むシステム
JP2016116850A (ja) * 2014-12-19 2016-06-30 フォルヴェルク・ウント・ツェーオー、インターホールディング・ゲーエムベーハーVorwerk & Compagnie Interholding Gesellshaft Mit Beschrankter Haftung 真空掃除機用のベースステーショ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996480A (zh) 2019-07-09
JP2018088952A (ja) 2018-06-14
KR102268464B1 (ko) 2021-06-24
WO2018100774A1 (ja) 2018-06-07
JP6875837B2 (ja) 2021-05-26
CN109996480B (zh) 2023-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22742B (zh) 电动吸尘装置
JP7054611B2 (ja) 電気掃除装置
KR102285593B1 (ko) 전기 청소 장치
KR20190073494A (ko) 전기 청소기
WO2018235931A1 (ja) 電気掃除機および電気掃除装置
WO2018235478A1 (ja) 電気掃除機
CN110022743B (zh) 电动吸尘装置
JP6839527B2 (ja) 電気掃除装置
JP6847644B2 (ja) 電気掃除機
JP6875838B2 (ja) 電気掃除機
CN110022746B (zh) 电动吸尘器
WO2018235480A1 (ja) 電気掃除機
JP2019205496A (ja) 電気掃除装置
JP2018088958A (ja) 電気掃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