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8217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8217A
KR20190068217A KR1020170168390A KR20170168390A KR20190068217A KR 20190068217 A KR20190068217 A KR 20190068217A KR 1020170168390 A KR1020170168390 A KR 1020170168390A KR 20170168390 A KR20170168390 A KR 20170168390A KR 20190068217 A KR20190068217 A KR 20190068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source panel
light
reflecting memb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8123B1 (ko
Inventor
안병석
이기홍
임정욱
장승혁
한혜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8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123B1/ko
Publication of KR20190068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6Combinations of two or more separate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surface treatment or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7Passive cooling, e.g. using fins, thermal conductive elements or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21Y2115/15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광원 패널이 서로 중첩되게 배치됨에 따라 발생되는 무효빛을 반사부재를 통해 광원 패널측으로 반사시킨 후 광원 패널에서 다시 발산됨으로써 무효빛이 유효빛으로 발산되어 광효율이 확보되는 차량용 램프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OLED를 적용한 램프의 광 효율을 확보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전면에는 야간에 차량 전방의 도로를 밝히기 위한 프론트 램프(헤드램프)가 구비되어 있고, 차량의 후면에는 후진 기어로 변속했을 때 점등되는 백 램프,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점등되는 브레이크 램프 등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자동차의 방향 선회시 또는 정차시와 같은 자동차의 주행상황을 후속 차량의 운전자에게 인식시켜줌으로써 추돌사고와 같은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최근에는 램프에 입체 효과를 주어 특정 이미지를 구현하고 있고, 이를 위해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가 적용되어 다양한 디자인의 램프 조명을 구현한다.
그러나 OLED를 이용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시, OLED가 중첩되게 배치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때, OLED 간의 중첩구간에서 무효빛이 발생됨에 따라 광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4-0184301 A (2014.12.19)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다수의 OLED를 적용시 발생되는 중첩구간에 의한 무효빛을 유효빛으로 활용하여 광효율이 향상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전면부가 빛을 발산하고 빛 입사시 빛을 반사하도록 구성되며, 복수개로 구성되어 전후방향으로 배열된 광원 패널; 및 광원 패널의 후면부에 설치되고, 후방측 광원 패널에서 조사된 일부 빛이 전방측 광원 패널의 후면부에 입사시 다시 후방측 광원 패널로 이동되도록 반사시킴으로써 후방측 광원 패널에서 전방측 광원 패널로 조사된 빛이 후방측 광원 패널에 의해 다시 반사되어 발산되도록 하는 반사부재;를 포함한다.
광원 패널은 유리기판, 발광소재, 방열판으로 구성되며, 발광소재에는 전극물질이 포함됨으로써 광원 패널에 빛 입사시 빛이 반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개의 광원 패널은 전후방향으로 평행하게 나열된 상태에서 전방측 광원 패널의 타단부 일부가 후방측 광원 패널의 일단부 일부와 중첩되게 배치되고, 반사부재는 전방측 광원 패널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후방측 광원 패널에서 조사된 일부 빛을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사부재는 전방측 광원 패널의 타단부 끝단에서 각도를 가지고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사부재의 설치 각도는 하기 수식에 따라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반사부재는 전방측 광원 패널의 타단부 끝단에서 곡률을 가지고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사부재는 포물선을 그리면서 연장되고, 포물선의 초점이 후방측 광원 패널에서 전방측 광원 패널의 타단부 끝단과 동일선상 또는 타측으로 이격되게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사부재는 포물선의 초점이 후방측 광원 패널의 전방으로 이격되게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사부재는 포물선의 초점이 후방측 광원 패널의 후방으로 이격되게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사부재는 전방측 광원 패널의 타단부 끝단에서 일단부측으로 다수의 돌기들이 반복되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사부재를 이루는 돌기는 하기 수식에 따라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램프는 다수의 광원 패널이 서로 중첩되게 배치됨에 따라 발생되는 무효빛을 반사부재를 통해 광원 패널측으로 반사시킨 후 광원 패널에서 발산됨으로써 무효빛이 유효빛으로 발산되어 광효율이 확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
도 2 내지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램프에 따른 반사부재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5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램프에 따른 반사부재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내지 8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램프에 따른 반사부재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램프의 광원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램프에 따른 반사부재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 내지 5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램프에 따른 반사부재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내지 8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램프에 따른 반사부재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램프의 광원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는 광원 패널(10)을 복수개로 구성하고, 전후방향으로 일부 중첩된 구간을 가지도록 배열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형태의 램프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형태의 램프 이미지 구현시, 후방측 광원 패널(102)에서 조사된 빛이 전방측 광원 패널(101)에 의해 막혀 무효빛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무효빛을 유효빛으로 활용하여 광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가 빛을 발산하고 빛 입사시 빛을 반사하도록 구성되며, 복수개로 구성되어 전후방향으로 배열된 광원 패널(10); 및 광원 패널(10)의 후면부에 설치되고, 후방측 광원 패널(102)에서 조사된 일부 빛이 전방측 광원 패널(101)의 후면부에 입사시 다시 후방측 광원 패널(102)로 이동되도록 반사시킴으로써 후방측 광원 패널(102)에서 전방측 광원 패널(101)로 조사된 빛이 후방측 광원 패널(102)에 의해 다시 반사되어 발산되도록 하는 반사부재(2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개의 광원 패널(10)과 광원 패널(10)에 설치되는 반사부재(20)로 구성된다. 여기서, 광원 패널(10)은 전후방향으로 나열되게 배치되며, 전방에 위치한 전방측 광원 패널(101)과 후방에 위치한 후방측 광원 패널(102)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광원 패널(10) 중 상호 인접한 광원 패널(10) 중 전방에 위치된 광원 패널(10)이 전방측 광원 패널(101)이 되고, 전방측 광원 패널(101)보다 후방에 위치한 광원 패널(10)이 후방측 광원 패널(102)이 되는 것이다. 이는, 복수개의 광원 패널(10)에서 상호 인접한 광원 패널(10)에 대해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전후방향으로 나열된 광원 패널(10)은 인접한 광원 패널(10)을 기준으로 전방측 광원 패널(101)과 후방측 광원 패널(102)로 구분할 수 있으며, 광원 패널(10)의 개수에 따라 특정 형태의 램프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도 9에서 볼 수 있듯이, 광원 패널(10)의 경우 유리기판(12), 발광소재(14), 방열판(16)으로 구성되며, 발광소재(14)에는 전극물질이 포함됨으로써 광원 패널(10)에 빛 입사시 빛이 반사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발광소재(14)는 유기발광층과 봉지층이 구성되며, 봉지층(16)에 전극물질이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유리기판(12)은 제1전극과 제2전극을 포함하고,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는 발광소재(14)의 유기발광층이 개재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전극의 경우 양극(Andoe)으로 이루어지고, 제2전극의 경우 음극(Cathode)로 이루어지며, 유기발광층의 경우 발광층, 전자기층 등으로 이루질 수 있다. 이러한 유리기판(12) 및 발광소재(14)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발광소재를 이루는 봉지층은 유기발광층으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무기물과 유기물의 복합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봉지층은 알루미늄 소재의 전극물질을 증착함으로써 빛을 반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봉지층의 증착 소재는 알루미늄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빛반사 효율이 좋은 알루미늄 외에 빛반사가 가능한 다른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광원 패널(10)은 방열판(16)이 구성됨으로써 빛 발산시 빛에 의한 열이 방열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원 패널(10)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 구성되며, 특히 봉지공정에서 발광소재(14)를 이루는 봉지층은 알루미늄 소재의 전극물질이 증착됨으로써 빛 반사가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광원 패널(10)은 빛을 발산함과 더불어 입사된 빛을 반사시킬 수 있다.
상술한 광원 패널(10)의 후면부에는 반사부재(20)가 설치된다. 여기서 반사부재(20)는 빛을 반사시키도록 구성됨에 따라 미러로 적용될 수 있으며, 도금과 같은 표면처리를 통해 반사율이 높아지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부재(20)는 광원 패널(10)의 후면부에 설치됨에 따라 광원 패널(10)의 후방측에서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킨다.
즉, 후방측 광원 패널(102)에서 발산된 빛 중 일부가 전방측 광원 패널(101)로 이동시 전방측 광원 패널(101)측으로 이동된 빛은 무효빛이 되는데, 전방측 광원 패널(101)의 후단부에 설치된 반사부재(20)가 무효빛을 다시 후방측 광원 패널(102)측으로 빛을 반사시킨다. 이렇게, 반사부재(20)에 의해 반사된 무효빛은 후방측 광원 패널(102)에서 다시 반사되어 전방으로 발산됨에 따라 유효빛이 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무효빛을 유효빛으로 활용함에 따라 광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복수개의 광원 패널(10)은 전후방향으로 평행하게 나열된 상태에서 전방측 광원 패널(101)의 타단부 일부가 후방측 광원 패널(102)의 일단부 일부와 중첩되게 배치되고, 반사부재(20)는 전방측 광원 패널(101)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후방측 광원 패널(102)에서 조사된 일부 빛을 반사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복수개의 광원 패널(10)은 단부의 일부가 중첩되게 배치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형태의 램프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전방측 광원 패널(101)의 타단부 일부와 후방측 광원 패널(102)의 일단부 일부가 중첩된 상태에서, 후방측 광원 패널(102)에서 조사된 빛 중 전방측 광원 패널(101)측으로 이동되는 일부 무효빛이 반사부재(20)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후방측 광원 패널(102)측으로 이동되고, 후방측 광원 패널(102)에서 다시 반사된 무효빛은 유효빛으로 전환되어 전방으로 발산된다.
하기에는 반사부재(20)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로,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재(201)는 전방측 광원 패널(101)의 타단부 끝단에서 각도를 가지고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부재(201)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측 광원 패널(101)의 타단부 끝단에서 각도를 가지고 연장됨으로써 후방측 광원 패널(102)에서 조사된 일부 빛을 반사시 다시 후방측 광원 패널(102)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반사부재(201)는 전방측 광원 패널(101)에 접합될 수 있도록 설치단부(201a)가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광원 패널(10)과 함께 램프 하우징을 이루는 베이스플레이트(B)에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광원 패널(10)과 반사부재(201)를 램프 하우징에 설치시, 베이스플레이트(B)에 스냅핏으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세하게,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반사부재(201)의 설치 각도는 하기 수식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5
θ:반사부재의 설치각도
α:후방측 광원 패널에 의한 빛 반사 각도
Figure pat00006
d:전방측 광원 패널과 후방측 광원 패널의 거리
I:전방측 광원 패널과 후방측 광원 패널의 중첩길이
위의 수식에 따라 반사부재(201)가 전방측 광원 패널(101)의 타단부 끝단에서 연장되는 설치각도를 산출하고, 해당 각도로 반사부재(201)를 설치함으로써 반사부재(201)에 의해 반사된 빛은 후방측 광원 패널(102)에 의해 다시 반사되어 발산시 전방측 광원 패널(101)에 간섭되지 않고 전방으로 발산되게 할 수 있다.
만약, 전방측 광원 패널(101)과 후방측 광원 패널(102)의 거리(d) 또는 전방측 광원 패널(101)과 후방측 광원 패널(102)의 중첩길이(I)의 설정에 의해 α값이 커질 경우 후방측 광원 패널(102)에서 반사된 빛이 다시 전방측 광원 패널(101)에 간섭되어 무효빛이 발생될 수 있다. 반대로, α값이 작아질 경우 후방측 광원 패널(102)에서 반사된 빛이 다시 전방측 광원 패널(101)에 간섭되지는 않으나, 빛의 이동경로가 과도하게 꺾임에 따라 빛 발산 영역이 상이해질 수 있다.
따라서, 위의 수식에 따라 반사부재(201)의 설치각도를 규제하여, 후방측 광원 패널(102)에서 조사된 빛이 반사부재(201)에 의해 반사된 후 다시 후방측 광원 패널(102)에 의해 전방으로 발산시, 전방측 광원 패널(101)에 간섭되지 않고 유효빛으로 발산되도록 한다.
제2실시예로, 도 4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재(202)는 전방측 광원 패널(101)의 타단부 끝단에서 곡률을 가지고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부재(202)는 굴곡진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측 광원 패널(101)의 타단부 끝단에서 곡률을 가지고 연장됨으로써 후방측 광원 패널(102)에서 조사된 빛이 다시 후방측 광원 패널(102)로 입사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반사부재(202)는 전방측 광원 패널(101)에 접합될 수 있도록 설치단부(202a)가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광원 패널(10)과 함께 램프 하우징을 이루는 베이스플레이트(B)에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광원 패널(10)과 반사부재(202)를 램프 하우징에 설치시, 베이스플레이트(B)에 스냅핏으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세하게,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반사부재(202)는 포물선을 그리면서 연장되고, 포물선의 초점(P)이 후방측 광원 패널(102)에서 전방측 광원 패널(101)의 타단부 끝단과 동일선상 또는 타측으로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즉, 반사부재(202)는 초점을 가지고 포물선을 그리면서 연장되는데, 포물선의 초점은 후방측 광원 패널(102)에서 전방측 광원 패널(101)의 타단부 끝단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하거나 또는 타측으로 더 이격되게 위치시킴으로써 반사부재(202)에 의해 반사된 후 후방측 광원 패널(102)에서 다시 반사된 빛이 전방으로 발산되게 할 수 있다. 만약, 반사부재(202)를 이루는 포물선의 초점(P)이 전방측 광원 패널(101)의 타단부 끝단보다 일측으로 이격되게 위치될 경우 후방측 광원 패널(102)에서 반사된 빛이 다시 전방측 광원 패널(101)에 간섭되어 무효빛이 발생되는바, 포물선 초점의 위치를 규제하도록 한다.
여기서, 포물선 초점(P)의 위치는 후방측 광원 패널(102)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됨에 따라 빛의 확산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반사부재(202)는 포물선의 초점(P)이 후방측 광원 패널의 전방으로 이격되게 위치될 경우 반사부재(202)에 의해 반사된 빛이 후방측 광원 패널(102)에 넓게 분포됨에 따라 빛의 확산이 증대될 수 있다.
반대로, 반사부재는 포물선의 초점(P)이 후방측 광원 패널(102)의 후방으로 이격되게 위치될 경우 반사부재(202)에 의해 반사된 빛이 후방측 광원 패널(102)에 상대적으로 좁게 분포됨에 따라 빛이 집중되어 빛의 확산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포물선의 초점(P)은 후방측 광원 패널(102)에서 전방 또는 후방, 타측으로 이격 배치됨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가상의 초점과 같이 위치될 수 있으며, 요구하는 광조사 영역에 따라 포물선의 초점(P)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사부재(202)가 포물선을 그리면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되 포물선 초점(P)의 위치에 따라 빛의 확산을 다르게 설정 가능함으로써 램프 사양에 맞추어 최적화된 램프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제3실시예로,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재(203)는 전방측 광원 패널(101)의 타단부 끝단에서 일단부측으로 다수의 돌기들이 반복되어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부재(203)는 다수의 돌기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돌기는 특정방향으로 빛이 반사될 수 있도록 삼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인접한 광원 패널(10)이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는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이처럼, 반사부재(203)는 광원 패널(10)에서 다수의 옵틱 돌기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후방측 광원 패널(102)에서 조사된 일부 무효빛이 반사부재(203)의 돌기에 의해 반사된 후 다시 후방측 광원 패널(102)로 이동되도록 하여, 무효빛이 후방측 광원 패널(102)에서 다시 반사되어 전방으로 발산됨에 따라 유효빛으로 전환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돌기구조의 반사부재(203)을 적용할 경우 광원 패널(10) 간의 간격을 축소할 수 있다.
상세하게, 도 6 및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반사부재(203)를 이루는 돌기는 하기 수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7
θ:돌기의 경사각도
α:돌기의 컷팅각도
Figure pat00008
d:전방측 광원 패널과 후방측 광원 패널의 거리
I:전방측 광원 패널과 후방측 광원 패널의 중첩길이
위의 수식에 따라 반사부재(203)를 이루는 돌기의 경사각도를 산출하여 돌기의 경사각도를 형성할 경우 반사부재(203)에 의해 반사된 빛이 후방측 광원 패널(102)로 이동되어 후방측 광원 패널(102)에서 다시 반사되어 발산될 수 있고, 특히 전방측 광원 패널(101)에 간섭됨을 회피할 수 있다.
만약, 전방측 광원 패널(101)과 후방측 광원 패널(102)의 거리(d) 또는 전방측 광원 패널(101)과 후방측 광원 패널(102)의 중첩길이(I)의 설정에 의해 α값이 커질 경우 후방측 광원 패널(102)에서 반사된 빛이 다시 전방측 광원 패널(101)에 간섭되어 무효빛이 발생될 수 있다. 반대로, α값이 작아질 경우 후방측 광원 패널(102)에서 반사된 빛이 다시 전방측 광원 패널(101)에 간섭되지는 않으나, 빛의 이동경로가 과도하게 꺾임에 따라 빛 발산 영역이 상이해질 수 있다.
따라서, 위의 수식에 따라 반사부재(203)를 이루는 돌기의 경사각도를 규제하여, 후방측 광원 패널(102)에서 조사된 빛이 반사부재(203)에 의해 반사된 후 다시 후방측 광원 패널(102)에 의해 전방으로 발산시, 전방측 광원 패널(101)이 간섭되지 않고 유효빛으로 발산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램프는 다수의 광원 패널(10)이 서로 중첩되게 배치됨에 따라 발생되는 무효빛을 반사부재(20)를 통해 광원 패널(10)측으로 반사시킨 후 광원 패널(10)에서 발산됨으로써 무효빛이 유효빛으로 발산되어 광효율이 확보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광원 패널 101:전방측 광원 패널
102:후방측 광원 패널 12:유리기판
14:발광소재 16:방열판
20:반사부재

Claims (11)

  1. 전면부가 빛을 발산하고 빛 입사시 빛을 반사하도록 구성되며, 복수개로 구성되어 전후방향으로 배열된 광원 패널; 및
    광원 패널의 후면부에 설치되고, 후방측 광원 패널에서 조사된 일부 빛이 전방측 광원 패널의 후면부에 입사시 다시 후방측 광원 패널로 이동되도록 반사시킴으로써 후방측 광원 패널에서 전방측 광원 패널로 조사된 빛이 후방측 광원 패널에 의해 다시 반사되어 발산되도록 하는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광원 패널은 유리기판, 발광소재, 방열판으로 구성되며, 발광소재에는 전극물질이 포함됨으로써 광원 패널에 빛 입사시 빛이 반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3.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개의 광원 패널은 전후방향으로 평행하게 나열된 상태에서 전방측 광원 패널의 타단부 일부가 후방측 광원 패널의 일단부 일부와 중첩되게 배치되고,
    반사부재는 전방측 광원 패널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후방측 광원 패널에서 조사된 일부 빛을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4. 청구항 3에 있어서,
    반사부재는 전방측 광원 패널의 타단부 끝단에서 각도를 가지고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5. 청구항 3에 있어서,
    반사부재의 설치 각도는 하기 수식에 따라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Figure pat00009

    θ:반사부재의 설치각도
    α:후방측 광원 패널에 의한 빛 반사 각도
    Figure pat00010

    d:전방측 광원 패널과 후방측 광원 패널의 거리
    I:전방측 광원 패널과 후방측 광원 패널의 중첩길이
  6. 청구항 3에 있어서,
    반사부재는 전방측 광원 패널의 타단부 끝단에서 곡률을 가지고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7. 청구항 6에 있어서,
    반사부재는 포물선을 그리면서 연장되고, 포물선의 초점이 후방측 광원 패널에서 전방측 광원 패널의 타단부 끝단과 동일선상 또는 타측으로 이격되게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8. 청구항 7에 있어서,
    반사부재는 포물선의 초점이 후방측 광원 패널의 전방으로 이격되게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9. 청구항 7에 있어서,
    반사부재는 포물선의 초점이 후방측 광원 패널의 후방으로 이격되게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10. 청구항 3에 있어서,
    반사부재는 전방측 광원 패널의 타단부 끝단에서 일단부측으로 다수의 돌기들이 반복되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반사부재를 이루는 돌기는 하기 수식에 따라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Figure pat00011

    θ:돌기의 경사각도
    α:돌기의 컷팅각도
    Figure pat00012

    d:전방측 광원 패널과 후방측 광원 패널의 거리
    I:전방측 광원 패널과 후방측 광원 패널의 중첩길이
KR1020170168390A 2017-12-08 2017-12-08 차량용 램프 KR102478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390A KR102478123B1 (ko) 2017-12-08 2017-12-08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390A KR102478123B1 (ko) 2017-12-08 2017-12-08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217A true KR20190068217A (ko) 2019-06-18
KR102478123B1 KR102478123B1 (ko) 2022-12-16

Family

ID=67102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390A KR102478123B1 (ko) 2017-12-08 2017-12-08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81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8516A1 (ja) * 2008-09-30 2010-04-08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面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5215995A (ja) * 2014-05-09 2015-12-0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JP2016021286A (ja) * 2014-07-11 2016-02-0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8516A1 (ja) * 2008-09-30 2010-04-08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面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5215995A (ja) * 2014-05-09 2015-12-0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JP2016021286A (ja) * 2014-07-11 2016-02-0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8123B1 (ko) 2022-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2982B2 (ja) 車両用照明灯具
US10215357B2 (en) Vehicular lamp
JP5091808B2 (ja) 車両用灯具
US6637917B2 (en) Side flashing lamp
US8960979B2 (en) Optical device for a motor vehicle including a surface light source
JP5475395B2 (ja) 車両用灯具
JP4850743B2 (ja) 車両用前照灯
US10101000B2 (en) Lamp unit comprising a shield having at least one light window
KR20130106305A (ko) 차량용 전조등
JP2013016400A (ja) 車両用前照灯
JP2011076858A (ja) 車輌用灯具
WO2019225645A1 (ja) 車両用灯具
EP4067734A1 (en) Vehicular light-guiding body and vehicular lamp unit
CN110822373B (zh) 车辆用灯具
KR102478123B1 (ko) 차량용 램프
JP2018018625A (ja) 車両用灯具
JP6244614B2 (ja) 車両用前照灯
JP6844141B2 (ja) 車両用灯具
JP2013030429A (ja) 車両用灯具ユニット
US11719408B2 (en) Vehicle headlamp
KR102409841B1 (ko) 차량용 램프
JP5640703B2 (ja) 車両用灯具
US20230408056A1 (en) Vehicular headlamp
KR102435180B1 (ko) 차량용 램프
JP5278208B2 (ja) 車両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