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4565A - 특정한 임플란트 포스트 기하구조를 구비한 상부구조 지지체 - Google Patents

특정한 임플란트 포스트 기하구조를 구비한 상부구조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4565A
KR20190064565A KR1020197005076A KR20197005076A KR20190064565A KR 20190064565 A KR20190064565 A KR 20190064565A KR 1020197005076 A KR1020197005076 A KR 1020197005076A KR 20197005076 A KR20197005076 A KR 20197005076A KR 20190064565 A KR20190064565 A KR 20190064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support
jacket
interface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5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9389B1 (ko
Inventor
브루노 스핀들러
Original Assignee
브루노 스핀들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루노 스핀들러 filed Critical 브루노 스핀들러
Publication of KR20190064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dditional friction enhan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 임플란트 기둥(23, 150, 160, 170, 180, 190), 중공 임플란트 핀(50) 및 이들 사이에 놓여 있는 임플란트 플랜지(31)를 갖는, 임플란트 바디(10)와 상부 구조물 사이의 보철식 치아 대체물(1)의 부분으로서의 상부 구조물 지지체(20)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 임플란트 기둥(23, 150, 160, 170, 180, 190) 및 임플란트 핀(50)의 공동 구역(67, 62)이 서로의 내부로 이어진다. 이들의 중심선(69, 63)은 60 내지 86°의 각을 형성한다. 임플란트 기둥(23, 150, 160, 170, 180, 190) 상에는, 안착 요소(5)가 인터페이스(141, 145)를 형성하는 조립 조인트(140)를 통해 비틀리지 않게 배열될 수 있다. 안착 요소(5)는 캡 형상의 요소이다. 적어도 임플란트 플랜지(31)의 영역들은 지지 포위 면(37)을 갖는다. 안착 요소(5)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20)의 인터페이스 기하학적 구조(142) 상에 적어도 국부적으로 형상 결합 방식으로 그리고/또는 강제 결합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기하학적 구조(146)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해서는, 임플란트 기둥(23, 150, 160, 170, 180, 190)과 개별 안착 요소(5) 사이에 배치된 인터페이스가 인터페이스 부품들의 확실하고 간단한 접합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하도록, 보철식 치아 대체물용 상부 구조물 지지체(20)가 개선된다.

Description

특정한 임플란트 포스트 기하구조를 구비한 상부구조 지지체
본 발명은, 중공 임플란트 기둥, 중공 임플란트 핀 및 이들 사이에 놓여 있는 임플란트 플랜지를 갖는, 임플란트 바디와 상부 구조물 사이의 보철식 치아 대체물의 부분으로서의 상부 구조물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치과 이식학에서는, 다른 무엇보다 인공 개별 치아 대체물의 제조의 틀 안에서, 보철물을 지지하는 골 내막 임플란트 바디가 자주 사용된다. 이 경우에는, 임플란트 바디, 즉 일종의 나사 맞춤못(threaded dowel)이 환자의 턱 내에 인공적으로 형성된 보어 내에 나사 결합된다. 나사 결합된 임플란트 바디는 완성된 보철물에서 상부 구조물 지지체를 수용한다. 예를 들어, 상부 구조물 지지체는 특별한 나사를 사용하여 임플란트 바디 내에 비틀리지 않게 조여진다. 상부 구조물 지지체 상에는, 가시적인 치관(teeth crown)을 형성하는 상부 구조물이 예컨대 접착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안착한다.
DE 20 2012 102 746 U1호에는, 임플란트 바디, 상부 구조물 지지체, 접착 바디 및 인공 크라운이 인공적인 치아 대체물을 형성하는 치아 임플란트 상부 구조물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임플란트 기둥과 개별 안착 요소 사이에 배치된 인터페이스가 인터페이스 부품들의 확실하고 간단한 접합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하도록, 상부 구조물 지지체를 개선하고자 하는 과제를 토대로 한다.
상기 과제는, 특허 청구항 1의 특징부들에 의해서 해결된다. 이 경우, 임플란트 기둥 및 임플란트 핀의 공동 구역은 서로의 내부로 이어진다. 이들의 중심선은 60 내지 86°의 각을 형성한다. 임플란트 기둥 상에는, 안착 요소가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조립 조인트를 통해 비틀리지 않게 배열될 수 있다. 안착 요소는, 인공 크라운, 접착 바디와 크라운으로 이루어진 결합체 또는 다른 캡 형상의 요소이다. 적어도 임플란트 플랜지의 영역들은 지지 포위 면을 갖는다. 안착 요소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의 인터페이스 기하학적 구조 상에 적어도 국부적으로 형상 결합 방식으로 그리고/또는 강제 결합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다. 인터페이스 기하학적 구조는, 비틀림 방지를 보장해주는 기하학적 영역(들)을 배제한 상태에서 외부 및/또는 내부로 포위 면을 갖는다.
상부 구조물 지지체는 임플란트 바디와 상부 구조물 사이에 배열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부 구조물 지지체는 접착 바디- 및/또는 크라운 지지 영역에는 임플란트 기둥을 구비하고, 잇몸 및 임플란트 바디 쪽을 향하는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임플란트 넥(implant neck)을 구비한다. 상부 구조물 지지체는, 예컨대 분말 사출 성형 방법에 의해서 제조되는 블랭크로 완성된다. 여기에서, 금속 분말로서는 예를 들어 티탄 합금 Ti6Al4V가 사용된다. 블랭크는, 접착 바디- 및/또는 크라운 지지 영역에서는 사출 성형 몰드를 통과하면서 최종 형상과 수학적으로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블랭크는, 잇몸 및 임플란트 바디 영역 쪽을 향하는 영역에서는 사출 성형 몰드를 통과하면서 미가공 핀의 형상을 갖는다. 미가공 핀은, 기계적으로 그리고/또는 광학적으로 분리하는 가공에 의해서 자신의 최종 형상을 갖게 된다.
상부 구조물 지지체는 임플란트 기둥을 구비하고, 이 임플란트 기둥의 외부 형상은 직선형의 원뿔대에 상응한다. 임플란트 기둥은, 상부 구조물 지지체의 임플란트 플랜지를 기초로 하며, 상기 임플란트 플랜지로부터 임플란트 기둥이 돌출한다. 임플란트 플랜지의 외부 에지는 예를 들어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이 원형 형상의 중심점은 임플란트 기둥의 중심선에 대해 동심으로 배향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개별 임플란트 기둥 상에는, 예컨대 회전 대칭의 블랭크로 완성된 예컨대 접착 바디 및/또는 치관이 영구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임플란트 기둥 및 안착 요소는 하나의 공통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안착 요소는, 또한 보철물 제조 및 보철물 조정 동안 다만 임시적으로만 사용 가능한 캡 형상의 요소일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임플란트 기둥의 외부 기하학적 몰드와 안착 요소의 내부 기하학적 몰드가 서로 만난다. 상기 인터페이스에는, 또한 임플란트 기둥 쪽을 향하는 임플란트 플랜지의 표면 영역도 속한다.
인터페이스의 기하학적 형상은, 안착 요소가 보철물 설계, 제조 및 조정 동안에 여러 번 아무 문제 없이 그리고 비틀림 또는 큰 에너지 소비 없이 상부 구조물 지지체 상에 반복 정확하게 안착하고 재차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안착 요소가 임플란트 기둥 상에 예컨대 접착 또는 시멘트에 의해 고정되어야만 하는 경우에는, 서로에 속하고 서로 마주 놓여 있는 기하학적 몰드의 포위 면들 사이에 공동 또는 갭이 있다. 이들 공동 또는 갭은 임플란트 기둥의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개별 안착 요소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들은 또한 1차적으로는 개별 안착 요소의 안착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팽창한다.
다른 무엇보다 공동 또는 갭을 만들기 위하여, 임플란트 기둥으로부터 그리고/또는 안착 요소로부터 그라우저, 웹, 핀, 노우즈, 노즈(knob) 등의 형상의 복수의 융기부가 동출한다. 예컨대 원추형 임플란트 기둥 상에서 - 바닥 면으로서 지칭되는 임플란트 기둥의 표면에서 - 복수의 동일한 절반 구가 형성되면, 절반 구의 구형 만곡부의 최대로 멀리 외부에 놓여 있는 점들이 원뿔대 재킷을 나타내는 포위 면을 형성한다. 바닥 면과 포위 면 사이의 중간 공간은, 보철물을 조립할 때에 인터페이스 부품들(임플란트 기둥 및 안착 요소) 사이에 있는 경화 가능한 파워 결합 방식 연결부의 접착제 또는 시멘트를 위한 충전 공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세부 사항은, 종속 청구항들 및 개략적으로 도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나타난다.
도 1은 보철식 치아 대체물의 분해 모델을 도시하고,
도 2는 보철식 치아 대체물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보철식 치아 대체물의 확대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4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5는 평평한 지지 포위 면을 갖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의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6은 도 5와 같지만, 위로 구부러진 지지 포위 면을 도시하며,
도 7은 도 5와 같지만, 아래쪽으로 구부러진 지지 포위 면을 도시하고,
도 8은 나사 형상의 그루브를 갖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9는 도 8과 같지만, 변위 배열된 그라우저를 도시하고,
도 10은 도 8에 따른 상부 구조물 지지체용 접착제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1은 실린더- 및 원뿔 형상의 포위 면을 갖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2는 도 11에 따른 상부 구조물 지지체용 접착제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3은 다양한 원뿔대 재킷으로 이루어진 포위 면을 갖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4는 도 13에 따른 상부 구조물 지지체용 접착제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5는 핀으로 채워진 임플란트 기둥 및 핀 형상의 비틀림 방지 수단을 갖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6은 도 15에 따른 상부 구조물 지지체용 접착제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7은 핀으로 채워진 임플란트 기둥 및 휨 방지 기능을 하는 그루브를 갖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8은 도 17에 따른 상부 구조물 지지체용 접착제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19는 접착 바디를 갖는 도 9에 따른 상부 구조물 지지체의 축소된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은, 인공 치아(1)의 모든 부분을 분해도의 형태로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기초로서는, 중공 나사 형태의 임플란트 바디(10)가 이용된다. 이 임플란트 바디에 의해서, 상부 구조물 지지체(20)가 특별한 외부 육각 나사(90)에 의해 비틀리지 않게 조여진다. 그 다음에, 상부 구조물 지지체(20)의 자유 단부, 즉 임플란트 기둥(23) 상에 안착 요소(5)가 적용된다. 이 안착 요소는 다만 단시간 동안만 사용되는 측정- 및/또는 성형 수단일 수 있거나 또한 최종 치관(120)일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임플란트 기둥(23)과 안착 요소(5) 사이에는 인터페이스(144, 145)가 있으며, 이 인터페이스의 양의 인터페이스 부분(141)은 다양한 음의 인터페이스 부분(145)을 시간상 연속으로 수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따르면, 임플란트 바디(10)는 경우에 따라 자체 절단 방식의, 예컨대 비-미터법의 외부 쓰레드(11)를 갖는 중공 나사이다. 이 임플란트 바디는 예컨대 3.53 mm의 직경에서 8.42 mm의 길이를 갖는다. 임플란트 바디(10)는 다단계의 리세스(13)를 갖고, 이 리세스는 여기에서 3개의 구역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는 도 3이 참조된다. 임플란트 바디(10)의 임플란트 쇼울더(12)의 영역에 놓여 있는 제1 구역(14)은 예컨대 0.65 mm의 높이에서 예컨대 30°의 원뿔 각을 갖는 내부 원뿔(14)이며, 이와 관련해서는 도 3이 참조된다. 제2 구역(15)의 부분으로서의 내부 원뿔(14)은, 예컨대 내부 육각형의 형상을 갖고 비틀림 방지 수단으로서 이용되는 형상으로 이어진다. 내부 육각형(15)은 예컨대 2.89 mm의 높이에서 2.1 mm의 키 폭을 사용한다. 예컨대 또한 이중 내부 육각형 또는 다른 형상 결합 방식의 혹은 강제 결합 방식의 비틀림 방지 기하학적 구조일 수도 있는 육각형 소켓(15)에는, 경우에 따라 임플란트 바디(10) 내에서 상부 구조물 지지체(20)의 센터링을 지원하는,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실린더 시트가 접한다. 이 경우, 예컨대 짧은 실린더 시트는 내부 육각형(15)의 키 폭에 상응하는 직경을 갖는다.
제3 구역(17)은, 조립 중에 상부 구조물 지지체(20)를 고정시키는 외부 육각형 나사(90)를 수용하는 쓰레드 보어이다. 예컨대 2.9 mm 길이의 M 1.6-내부 쓰레드(18)의 단부 뒤에는 예컨대 짧은 원통형 쓰레드 연장부가 있다.
예컨대 7.67 mm 길이의 상부 구조물 지지체(20)는, 주로 임플란트 바디(10) 내에 안착된 상태에서 인공 치관(120)을 위한 기초로서의 과제를 갖는다. 상부 구조물 지지체는, 임플란트 바디(10) 쪽을 향하는 영역(51), 및 치관(120) 혹은 상부 구조물 지지체를 수용하는 영역(21)을 가지며, 이와 관련해서는 도 4 및 도 5가 참조된다.
임플란트 바디(10) 쪽을 향하는 영역(51)은 중공형 임플란트 핀(50)이다. 이 임플란트 핀은, 예컨대 0.94 mm 길이의 자체 외부 원뿔(53)을 갖는, 예컨대 평균적으로 1.04 mm 길이의 임플란트 넥(52), 2.1 mm 키 폭의 1.5 mm 길이의 외부 육각형, 및 상황에 따라 존재하는 짧은 실린더 부착물로 이루어진다. 실린더 부착물은 여기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외부 원뿔(53) 및 외부 육각형(54)은 임플란트 바디(10)의 리세스(13) 내에 피팅 정확하게 안착한다. 임플란트 바디(10)의 팁을 향하는 축 방향에서는, 외부 육각형(54)의 단면 및 상황에 따라 존재하는 짧은 실린더 부착물이 리세스(13)와 접촉하지 않는다.
임플란트 원뿔(53) 위에서는, 예를 들어 플레이트 형상의 임플란트 플랜지(31)가 연결되고, 이 임플란트 플랜지는 예컨대 일정한 천이부에 의해서 임플란트 넥(52)으로부터 돌출하며, 이와 관련해서는 도 4 내지 도 7이 참조된다. 예컨대 원형 임플란트 플랜지(31)의 하부 면(32)은 적어도 국부적으로 원뿔대 재킷의 형상을 가지며, 이 원뿔대 재킷의 원뿔 각은 치관(120) 쪽으로 개방된다. 원뿔 각은 예컨대 90 내지 135°이다. 필요한 경우, 임플란트 플랜지(31)의 하부 면은 또한 복수의 서로 다른, 국부적으로 비-직선인 원추형 원뿔로도 이루어지며, 이 경우 각각의 원추형 원뿔은 중심선(29)에 대하여 다른 각을 형성한다. 원추형 원뿔들 사이의 천이부는 상황에 따라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임플란트 넥(52)의 원추형 원뿔의 일 부분 대신에, 자유 형상 면도 사용될 수있다.
여기에서, 임플란트 플랜지(31)의 외부 에지(33)는 중심선(29)에 대하여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간격을 갖는다. 실시예에서, 이 간격은 일정하다. 그 간격은 예컨대 2.23 mm이다. 이 경우, 에지(33)는 도 6 및 도 7에 따른 기준 평면(38) 또는 단면의(77)의 외부 한계이다. 이 경우, 외부 에지(33)는 실시예에서 중심선(29)의 세로 방향으로 높이 오프셋을 전혀 경험하지 않는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적어도 국부적으로 높이 오프셋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높이 오프셋은 예컨대 2 mm까지 도달할 수 있다.
임플란트 플랜지(31) 위에서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20)의 영역(21)이 양의 인터페이스 부분(141)으로서의 임플란트 기둥(23)의 형태로 연장된다. 여기에서, 예컨대 4.03 mm 높이의 중공 임플란트 기둥(23)은 육각형의 직선 피라미드 원뿔대의 형상을 갖는다. 여기에서, 피라미드 원뿔대는 6개의 긴 피라미드 에지를 가지며, 이들 긴 피라미드 에지의 영역에 그라우저(26)(grouser)가 배열되어 있다. 반경 방향 외부로 배향된 그라우저(26)의 외부 면(27)은 예컨대 직선 원뿔대 재킷의 형태를 갖는 가상의 포위 면(28)의 부분 면이다. 이 경우, 외부 면(27)은 이론적인 피라미드 에지 상에, 아래에 또는 위에 놓일 수 있다. 초과부 또는 미달부는 0.2 mm까지 달할 수 있다. 포위 면(28)의 원뿔 각은 일반적으로 5 내지 12°로 측정된다. 여기에서, 원뿔 각은 예컨대 7.36°이다. 원뿔대 재킷 형상의 포위 면(28)은 임플란트 플랜지(31)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점점 가늘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포의 면(28)은 임플란트 기둥(23)과 접착 바디(100) 사이에 놓여 있고 인터페이스(144, 145)를 나타내는 조립 조인트(140)의 인터페이스 기하학적 구조(142)이다.
도 4 및 도 5에서, 임플란트 기둥(23)은 예컨대 임플란트 플랜지(31)의 근처에서 그라우저(26) 중 하나 상에 예컨대 0.85 mm 길이의 비틀림 방지 웹(41)을 가지며, 이 웹은 가상의 원뿔대 재킷 형상의 포위 면(28) 위로 예를 들어 0.25 mm만큼 돌출한다. 비틀림 방지 웹(41)은 인터페이스 기하학적 구조(142)에 속하지 않는다. 비틀림 방지 웹(41)의 폭은 평균적으로 예컨대 0.58 mm이다. 이와 같은 임플란트 기둥(23)의 특별한 형상에 의해서, 지지할 접착 바디(100) 또는 직접 지지할 치관(120)을 위한 비틀림 방지 기초가 나타나게 된다.
위쪽으로는, 임플란트 기둥(23)이 상황에 따라 지지 면으로서도 이용되는 상부 면(24)에 의해서 끝난다. 도 5를 참조할 때, 여기에서 상부 면은 중심선(29)에 대하여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다.
임플란트 기둥(23)은 예컨대 임플란트 플랜지(31) 쪽으로 라운딩 처리된 천이 영역(34)을 갖는다. 도 4 및 도 5에 따르면, 임플란트 플랜지(31)는 천이 영역(34) 둘레에 평면(38)을 형성하는 플랜지 상부 면(37)을 갖는다. 에지(33)에 의해 외부에서 제한된 평면(38)은 중심선(29)에 의해 예컨대 중앙에서 그리고 수직으로 통과된다. 면적이 큰 플랜지 상부 면(37)은 다른 무엇보다 접착 바디(100) 및/또는 치관(120)을 위한 안착- 및 지지 포위 면을 형성한다.
라운딩 처리된 천이 영역(34)이 또한 축 방향으로도 중심선(29)에 대해 평행하게 0.2 mm까지만큼 깊어짐으로써, 결과적으로 평평한 플랜지 상부 면(37)과 임플란트 기둥(23) 사이에서는 예컨대 주변을 둘러싸는 채널(35)이 생성되며, 이와 관련해서는 도 7이 참조된다.
추가로, 상부 구조물 지지체(20)는 적어도 임플란트 플랜지(31) 위에 질화 타이타늄 코팅을 구비한다. 이 코팅의 층 두께는 예컨대 1 내지 4 ㎛이다. 대안적으로, 그곳에는 또한 벽이 얇은 세라믹- 또는 공중합체 코팅도 도포될 수 있다.
도 1에 따르면, 상부 구조물 지지체(20)는, 중간 영역에 73 ± 13°의 각도로 형성된 각을 갖는 꺾임 지점을 구비하는 연속적인 공동(61)을 갖는다. 최종 가공된 공동(61)은 3개의 공동 구역으로 이루어진다. 하부 공동 구역(62)은 임플란트 핀(50)에 속한다. 하부 공동 구역은 예컨대 1.81 ㎜의 길이를 갖는 원통형 보어이며, 그 직경은 예컨대 1.73 mm이다. 이 하부 공동 구역에는, 위로 확장되는 내부 원뿔(65)이 연결된다. 예컨대 1.08 mm 높이의 내부 원뿔은 예컨대 30°의 원뿔 각을 갖는다. 내부 원뿔은 나사(90)의 헤드 섹션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기준 평면(38) 아래에 놓인다. 보어(62) 및 내부 원뿔(65)은 공통의 중심선(63)을 가지며, 이 중심선은 예컨대 임플란트 핀(50)의 외벽에서 배향 기능을 하는 중심선(59)과 합동이다.
도 3에 따르면, 상기 보어(62)는 보철물이 장착된 상태에서 외부 육각형 나사(90)의 섕크(96)에 의해 횡단되며, 이 경우 외부 육각형 나사의 섕크(96)는 보어(62)의 벽에 접촉하지 않는다.
임플란트 기둥(23) 내에서 진행하는 상부 공동 구역(67)은 원통형 보어이며,이 보어의 직경은 예컨대 3.7 mm의 길이에서 2.42 mm로 측정된다. 상부 공동 구역은 나사(90)를 삽입하기 위해서 이용되고, 나사(90)를 조이는 공구를 가이드 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상부 공동 구역의 중심선(69)은 예컨대 외벽에서 배향된 임플란트 기둥(23)의 중심선(29)에 대해 동심으로 정렬되어 있다. 보어(67)는, 예컨대 임플란트 플랜지(31)의 기준 평면(38)의 대략 0.33 mm 앞에서 끝난다.
2개의 중심선(63 및 69)은 실시예에서 중앙 공동 구역(64) 내에 있는 교차점(71)에서 서로 교차되며, 상기 교차점은 상부 공동 구역(67)과 하부 공동 구역(62)을 서로 연결한다. 중앙 공동 구역(64)은 만곡된 리세스이며, 이 리세스 내에서는 보어(67)와 내부 원뿔(65)이 예컨대 에지 없는 접선 방향 천이부 내에서 서로 연결된다. 이 경우에는, 인터페이스(71)가 기준 평면(38) 아래에 간격(72)을 두고 놓여 있다. 여기에서, 이 간격은 예컨대 0.22 mm이다. 이와 같은 상황이, 상부 구조물 지지체(20) 내부에 깊게 안착하는 나사(90)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나사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20)의 하부 절반에 위치한다.
도 6 및 도 7에는, 2개의 상부 구조물 지지체(20)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 지지체의 임플란트 플랜지(31)는 각각 평평한 플랜지 상부 면 대신에 회전 축(79)을 갖는 원뿔대 재킷 형상의 지지 포위 면(75, 76)을 갖는다. 도 6에 따르면, 원뿔대 재킷 면(75)은, 그 가상의 팁이 임플란트 기둥(23)의 영역에 놓이도록 배향되어 있다. 도 6에 따르면, 원뿔 각(78)은 예컨대 150°이다. 이 경우, 도 5의 기준 평면(38)은 원뿔대 재킷(75)의 큰 단면(77)으로 대체된다. 단면(77)은 임플란트 플랜지(31)의 에지(33)에 의해서 설정된다.
도 7에 따르면, 임플란트 플랜지(31)의 원뿔대 재킷 형상의 지지 포위 면(76)이 아래로 구부러져 있음으로써, 원뿔대 재킷의 가상의 팁은 임플란트 핀(59)의 방향을 가리키게 된다. 여기에서도, 큰 단면(77)이 기준 평면(38)을 형성하고, 이 기준 평면 아래에 교차점(71)이 놓여 있다. 원뿔 각(78)은 도 7에 따라 예컨대 158°로 측정된다.
상부 구조물 지지체(20)는 벽이 얇고 가늘고 긴 부품으로서, 이 부품은 넓은 범위에 걸쳐서 벽 두께가 다만 약간만 변동된다. 몇몇 평균 이상의 재료 축적은 구조적으로 회피된다. 도 5에 따르면, 상부 구조물 지지체(20)는, 2개의 중심선(59 및 69)에 의해 설정되는 평면에서 세로 방향으로 절단되어 있다. 부품의 외부 윤곽 및 중공 윤곽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절반 측 횡단면에서, 가장 큰 재료 축적의 지점에 측정 원(9) 있으며, 이 측정 원은 횡단 외부 윤곽에서는 2개 지점에 접하고 횡단 내부 윤곽에는 일 지점에 접한다. 이와 같은 가장 큰 측정 원(9)은, 하부 공동 구역(62)의 평균 직경의 25% 이하에 해당하는 직경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20) 상에 접착 바디(100)가 접착되거나 시멘트로 접합되며, 이와 관련해서는 도 1 내지 도 3이 참조된다. 접착 바디(100)는, 치아 보철물 내부에서 상부 구조물 지지체(20)와 인공 치관(120) 사이에 배열된 중공체이다. 이 중공체에 의해서는, 다른 무엇보다 치관(120)의 각 위치(angular position)가 임플란트 기둥(23)의 각 위치에 맞추어 조정된다.
접착 바디(100)는 실질적으로 슬리브 형상의, 예컨대 전반적으로 회전 대칭의 형상을 갖는다. 이 접착 바디의 내벽(105)은 적어도 국부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임플란트 기둥(23)의 포위 면(28)에 맞추어 조정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포위 면은 인터페이스(141, 145)의 음의 인터페이스 부분(145)의 인터페이스 기하학적 구조(146)이다. 예외는, 접착 바디(100)와 상부 구조물 지지체(20) 사이에 배열된 비틀림 방지 수단(41)이다.
접착 바디(100)는 확대된, 예컨대 주변을 둘러싸는 에지 영역(107)을 가지며, 이 에지 영역에 의해서는 접착 바디가 한 편으로는 축 방향으로 상부 구조물 지지체(20)의 플랜지 상부 면(37)에서 지지되고, 다른 한 편으로는 접착 바디 자체가 크라운(120)을 위해 적어도 국부적으로 축 방향 지지 효과를 제공해준다.
조립 조인트(140) 내에서 지지 작용하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20)와 부착 가능한 접착 바디(100) 사이의 조립 간극이 예컨대 30 내지 50 ㎛임으로써, 결과적으로 접착 바디(100)는 접착제(113)의 중간 삽입하에 상부 구조물 지지체(20)의 임플란트 기둥(23) 상에서 넓은 면적에 걸쳐 지지될 수 있다.
상부 구조물 지지체(20) 상에 비틀림 안전하게 안착할 수 있기 위하여, 접착 바디(100)는 예를 들어 자신의 원뿔 형상 리세스(106) 내에, 예컨대 하부 영역에 그루브(108)를 구비하며, 이 그루브의 측면에서 상부 구조물 지지체(20)의 비틀림 방지 웹(41)이 지지된다. 그루브(108)는 인터페이스 기하학적 구조(146)의 부분이 아니다.
접착 바디는 자신의 상부 면(102)의 영역에 보어 형태의 리세스(106)를 구비하며, 이 리세스는 보철물이 장착된 상태에서 임플란트 기둥(23)의 보어(67)의 연장부를 나타낸다. 리세스(106)는, 나사(90)의 고정 나사 결합 후에 필요에 따라 충전재(8)로 채워질 수 있다.
임플란드 기둥(23) 및 개별 안착 수단(5)을 위해, 도 8 내지 도 18에서 개별적으로 도시되는 대안적인 단 하나의 인터페이스 기하학적 구조(142, 146)가 나타난다.
도 8은, 원뿔대 재킷 형상의 인터페이스 기하학적 구조(142)를 갖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20)의 인플란트 기둥(150)을 보여준다. 이 인터페이스 기하학적 구조는, 나사 형상으로 감긴 그라우저의 반경 방향 외부 면 또는 헤드 면에 의해서 그리고 주변을 둘러싸는 상부 폐쇄 링 웹(152)에 의해서 형성되는 포위 면(156)이다. 그라우저(151)는 예컨대 좌측으로 감긴 나사선을 따르고, 이 나사선은 기준 평면(38)과 예컨대 70°의 경사각을 형성한다. 폐쇄 링 웹(152)과 도 8에 따른 그라우저(151)의 상단부 사이에는 환상 그루브(154)가 있으며, 이 환상 그루브 내부로 그라우저(151) 사이에 배치된 나사 그루브(153)가 이어진다.
임플란트 플랜지의 영역에서는, 그라우저(151)가 주변을 둘러싸는 접착제 채널(155) 내에서 끝난다. 접착제 채널은 도 4에 공지된 정상적인 지지 포위 면(37)을 예컨대 60% 이상만큼 축소시킨다. 상기 홈들의 세로 연장부에 대해 횡 방향으로 배향된 그루브(153, 154) 및 채널(155)의 횡단면들은, 인터페이스(144와 145)를 서로 접착시키는 사용될 접착제의 점도의 함수이다. 여기에서, 환상 그루브(154), 나사 그루브(153) 및 접착제 채널(155)은 하나의 공통 갭(6)을 나타내며, 이와 관련해서는 도 19가 참조된다.
도 9에는, 예컨대 6개의 그라우저(161)를 원뿔대 재킷 형상의 기초 면(167) 상에서 지지하는 임플란트 기둥(160)이 도시되어 있다. 각각 3개의 그라우저(161)는, 이들의 무게 중심이 중심선(29)에 의해서 수직으로 교차되는 일 평면에 놓이도록 배열되어 있다. 그라우저(161)는 각각 둘레에 등거리로 분포되어 있다. 2개 평면의 그라우저(161)는 서로에 대해 각각 절반 피치만큼 변위되어 있다.
개별 그라우저(161)는 실질적으로 정방형의 형상을 갖는다. 이들 그라우저의 길이는 자체 폭의 2.6배에 해당한다. 그라우저의 높이는 예컨대 0.2 ㎜이며, 이것은 폭의 0.4배에 해당한다. 그라우저(161)의 반경 방향 외부 면은 포위 면(166)을 형성하는 원뿔대 재킷 형상의 인터페이스 기하학적 구조(142) 내에 놓여 있다.
본 경우에, 중심선(29)은 중심선(69)에 대하여 예컨대 0.12 ㎜만큼 변위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중심선(69)이 중간 중공 구역(64)의 부분에 더 가깝게 접근하며(도 5 참조), 이 부분의 높이가 가장 짧다.
임플란트 기둥(150)에는, 인터페이스 음의 부분(145)으로서 도 10에 도시된 접착 바디(100)가 맞는다. 그의 원추형 리세스(106)는 원뿔대 재킷 형상의 인터페이스 기하학적 구조(146)를 형성한다.
도 11에 따르면, 도면에 도시된 임플란트 기둥(170)은, 하부 원통형 포위 면(175) 및 상부 원추형 포위 면(16)으로 이루어진 인터페이스 기하학적 구조(142)를 갖는다. 상부 원추형 포위 면은 예컨대 18°의 원뿔 각을 갖는다. 더 긴 상부 포위 면(176)의 높이는 예컨대 더 짧은 하위 포위 면(175)의 1.8배에 해당한다. 포위 면(175, 176) 내에 배치되어 있고, 아래로 꺾여 있으며, 위쪽으로 가면서 점점 좁아지고, 각각의 중심선(69)을 갖는 자체 중심 축들이 일 평면에 놓여 있는 그라우저(171)는 폭넓은 그루브(172)에 의해서 분리된다. 이 경우에, 그루브(172)는 각각 내부로 만곡된 그루브 바닥(173)을 갖는다. 그루브 바닥(173)은 실린더 및/또는 원뿔 재킷의 부분이다. 임플란트 기둥(170)의 하부 영역에서 그루브 바닥(173)의 곡률은 예컨대 임플란트 플랜지(31)의 최대 직격의 55%에 해당한다. 이 경우, 곡률 중심선은 중심선(69)과 함께 하나의 평면에 놓여 있다.
상응하는 접착 바디(100)는 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내벽을 가지며, 이와 관련해서는 도 12가 참조된다. 하부 단면(103)에 연결되는 내벽의 부분은 원통형 부분 내벽(115)이다. 원통형 부분 내벽에는, 상부 면(102)의 방향으로 원뿔대 재킷 형상의 부분 내벽(117)이 후속한다.
임플란트 기둥(180)은 대등한 인터페이스 기하학적 구조(142)를 갖는다. 하지만, 여기에서는 하부 그라우저(181)에 의해서 사전 결정된 하부 포위 면도 예컨대 10°에 해당하는 원뿔 각을 갖는 포위 원뿔(185)이다. 상부 포위 원뿔(186)은 예컨대 16°에 해당하는 원뿔 각을 갖는다. 그라우저(181)는 임플란트 기둥(180) 상에서, 임플란트 기둥(160)의 배열 상태에 상응하는 배열 상태를 갖는다. 그라우저의 크기도 그곳의 변형예에서 알 수 있다. 그라우저(181)는, 그라우저(161)의 정방향 형상 대신에 예컨대 DIN 6885, Form A에 따른 조정 스프링(adjusting spring)의 형상을 갖는다. 하지만, 그라우저(181)의 자유 외부 면은 포위 면(185, 186)에 따라 만곡되어 있다.
중심선(29)은 여기에서도 중심선(69)에 대하여 예컨대 0.12 ㎜만큼 변위되어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는 도 9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참조된다.
도 15 및 도 17은 각각 상부 구조물 지지체(20)를 보여주며, 이 상부 구조물 지지체의 임플란트 기둥(190)은 복수의 원통형 핀(191)에 의해 점유된 원뿔대 재킷 형상의 기초 면(197)을 갖는다. 상기 원통형 핀은 또한 다른 규칙적이거나 불규칙적인 형상도 가질 수 있다. 핀(191)의 만곡된 자유 단면은 여기에서도 원뿔대 재킷 형상의 포위 면(195)을 갖는다. 핀(191)은 예컨대 0.5 내지 1 ㎜의 직경을 갖는다. 이들은 실시예에서 예컨대 우측으로 상승하는 나사 선 상에 배열되어 있으며, 이들의 간격은 임플란트 플랜지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중심 선(69)에 대하여 예컨대 일정하게 감소한다. 여기에서, 나사 선은 5 내지 15°의 피치를 갖는다. 나사 선 상에서, 그라우저(191)는 예컨대 자신들의 직경의 1배 내지 2배에 해당하는 상호 간격을 갖는다.
도 15에 따르면, 임플란트 플랜지의 근처에는 예컨대 핀(191)의 1 내지 2.5배의 길이를 갖는 핀(192)이 있다. 핀(192)은, 조립 후에 안착 요소(5)의 상응하는 그루브(108) 내부에 맞물리는 비틀림 방지 요소로서 이용되며, 이와 관련해서는 도 16이 참조된다.
임플란트 기둥(190)의 형상으로부터 양으로 돌출하는 비틀림 방지 요소(191) 대신에, 비틀림 방지 수단을 제조하기 위하여, 또한 임플란트 기둥(190) 내에 형성된 그루브(193), 노치(notch)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그루브(193) 내부에는, 추후 안착 요소(5)의 안착 후에 노우즈(109), 웹 또는 안착 요소(5)의 다른 돌출 구조물도 삽입되며, 이와 관련해서는 도 18이 참조된다.
모든 임플란트 기둥(23, 150, 160, 170, 180, 190)에서, 인터페이스 기하학적 구조(142) 또는 이 구조의 영역들은 마주 놓여 있는 개별 기초 면으로부터 또는 이 기초 면의 영역으로부터 일정하거나 가변적인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 기둥의 인터페이스 기하학적 구조(142)는, 각각 기초 면(157, 167, 187, 188, 197)의 관련 중심 선과 합동인 중심 선(144)을 갖는다. 하지만, 이로부터 벗어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대등한 내용은, 안착 요소(5)의 인터페이스 기하학적 구조(146) 및 이 구조의 중심 선(148)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외부 육각형 나사(90)는 3개의 영역, 즉 헤드 영역(91), 섕크 영역(96) 및 쓰레드 영역(97)으로 구분되며, 이와 관련해서는 도 1 및 도 3이 참조된다. 제1 영역은 헤드 영역(91)이다. 헤드 영역은, 원뿔 형상의 헤드 섹션(92) 및 그 위에 배열된 공구 수용부(94)를 포함한다. 예컨대 1.03 mm 높이의 헤드 섹션(92)은, 예컨대 쓰레드 영역(97)의 방향으로 점점 좁아지는 원뿔대의 형상을 가지며, 이 원뿔대는 예컨대 30°의 원뿔 각을 갖는다. 나사(90)를 상부 구조물 지지체(20)에 접하게 하는 원뿔 모양의 영역은 예컨대 0.83 mm의 최대 길이를 갖는다. 여기에서, 상기 영역의 최대 직경은 2.06 mm로 측정된다.
헤드 섹션(92)은 외부로 구부러진 원뿔 형상의 헤드 섹션 단면(93)에서 끝나며, 이 헤드 섹션 단면의 원뿔 각은 예컨대 160°이다. 헤드 섹션 단면(93) 상에는, 1.45 mm의 키 폭에 대한 볼 형태의 외부 육각형을 나타내는 일체로 형성된 공구 수용부(94)가 안착한다. 외부 육각형은, 나란히 놓여 있는 6개의 인접 측면을 가지며, 이들 인접 측면은 각각 3개의 면 섹션으로 이루어진다. 상부 및 하부 면 섹션(85, 86)은 각각 예컨대 공구 수용 높이의 0.4 mm에 걸쳐 연장된다. 2개의 면 섹션은 평평하고, 나사 중심선(89)과 각각 예컨대 11.5°의 각을 형성한다. 상부 면 섹션(85)의 상단부는 하부 면 섹션(86)의 하단부와 마찬가지로 나사 중심선(89) 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위·아래로 배열된 2개의 평평한 면 섹션(85, 86) 사이에는, 각각 원호 형상으로 외부로 만곡된 면 섹션(87)이 배열되어 있다. 나사 중심선(89)을 가로질러서 배향된 상기 면 섹션의 만곡부는 예컨대 0.9 mm의 반경을 갖는다.
나사(90)를 조이기 위해, 내부 육각형을 갖는 파이프 렌치(pipe wrench)가 공구 수용부(94)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면 섹션(85, 86)의 특별한 배열 상태로 인해, 파이프 렌치는 토크 전달 중에 자신의 세로 연장부를 따라 반동력을 전혀 받지 않는다. 파이프 렌치의 전방 단면은, 나사 헤드(92)의 원뿔대 재킷 형상의 헤드 섹션 단면(93) 상에서 마찰 없이 그리고 장애 없이 롤링한다.
헤드 섹션(92)의 원뿔 형상의 영역에는, 제2 영역, 다시 말해 섕크 영역(96)이 예를 들어 접선 방향으로 연결된다. 팽창 나사 형상의 섕크 영역(96)은 회전 대칭인 요부(waist)로 이루어지고, 이 요부는 나사 중앙 영역에서 헤드 영역(91)의 자유 단부로부터 예컨대 3.5 mm만큼 떨어져 있으며, 상기 요부의 최소 직경은 예컨대 1.3 mm이다. 도 3에 따른 단면도에서, 요부의 외부 윤곽의 평균 곡률은 예컨대 4.44 mm의 반경을 갖는다.
제3 영역은 쓰레드 영역(97)이다. 이 영역은 예컨대 압연된 M 1.6-쓰레드를 구비하며, 이 쓰레드의 이용 가능한 길이는 예컨대 2, 6 mm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치관(120)은 접착 바디(100) 상에 안착한다. 그에 따라, 치관(120)의 내벽(125)은 접착 바디(100)의 외벽(101)에 맞추어 조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외벽(101)과 내벽(125) 사이에 있는 간극은 30 내지 50 ㎛이다. 접착 바디(100) 및 치관(120)은, 마지막 1/10 ㎜가 90 ± 10°의 각으로 공통 보철물 외부 면(2) 상에 충돌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접착 조인트(131)의 에지 영역에서는, 치관(120)의 외부 면(121) 및 접착 바디(100)의 외부 면(101)이 접선 방향으로 또는 적어도 거의 접선 방향으로 서로의 내부로 이어진다. 그곳에 꺾임부가 제공되어야만 하는 경우에는, 형성되는 각이 180°보다 작고 175°보다 큰 범위 내에 놓여 있다.
따라서, 도 3에 따르면, 완성된 보철물에서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20)가 임플란트 원뿔(53) 및 비틀림 방지 프로파일(54)에 의해서 비틀리지 않게 안착되고, 나사(90)에 의해서 임플란트 바디(10)의 원뿔 시트(14) 내에 조여진다. 임플란트 넥(52) 및 임플란트 플랜지(31)의 하부 면(32)은 일반적으로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잇몸에 접한다. 임플란트 플랜지(31) 상에는, 접착 바디(100)와 인공 치관(120)으로 이루어진 조합체가 접착된 상태로 안착한다.
본 간행물에서는, 평면이 수직으로, 예컨대 중심선에 의해서 통과된 다수의 텍스트 부분이 언급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 2°의 각도 편차가 계속해서 수직으로 측정된다.
1: 보철식 치아 대체물
2: 보철물 외부 면
5: 음의 인터페이스 부분의 안착 요소, 측정 수단, 성형 수단
6: 갭, 충전 공간, 중간 공간
8: 시멘트, 접착제, 충전 물질
9: 측정 원
10: 임플란트 바디
11: 외부 쓰레드
12: 임플란트 쇼울더
13: 리세스, 계단형
14: 내부 원뿔, 제1 구역, 원뿔, 원뿔 시트
15: 내부 육각형, 제2 구역, 카운터 프로파일
17: 쓰레드 보어, 제2 구역
18 내부 쓰레드
19: (10)의 중심선
20: 상부 구조물 지지체, 하이브리드 어버트먼트(abutment)의 부분
21: 치관을 향하고 있는 영역
23: 임플란트 기둥
24: 상부 면, 지지 면
26: 그라우저
27: 반경 방향 외부 면
28: 포위 면
29: (23)의 중심선
31: 임플란트 플랜지
32: 하부 면, 잇몸 쪽을 향하고 있는 면
33: 에지
34: 천이 영역, 라운딩 처리부
35: 채널
37: 플랜지 상부 면, 지지 포위 면
38: 평면, 기준 평면
41: 비틀림 방지 웹, 회전 방지 수단
50: 임플란트 핀
51: 임플란트 바디를 향하고 있는 영역
52: 임플란트 넥
53: 임플란트 원뿔, 외부 원뿔
54: 비틀림 방지 프로파일, 외부 육각형
59: (50)의 중심선
61: 꺾인 중공; 나사 삽입 리세스
62: 하부 중공 구역; 원통형 보어
63: (62)의 중심선
64: 중간 중공 구역
65: 나사 헤드 안착 면, 내부 원뿔, 중공 구역
67: 상부 중공 구역; 원통형 보어
69: (67)의 중심선
71: 교차점
72: (38)과 (71)의 간격
73: (65)와 (92) 사이의 접촉 면
75: 원뿔대 재킷 면, 지지 포위 면; 위로 구부러짐
76: 원뿔대 재킷 면, 지지 포위 면; 아래로 구부러짐
77: (75) 또는 (76)의 큰 단면
78: (75) 또는 (76)의 원뿔 각
79: 중심 선, (75, 76)의 회전 축
85, 86: (94)의 평평한 면 섹션
87: (94)의 만곡된 면 섹션
89: 나사 중심선
90: 외부 육각형 나사, 나사
91: 헤드 영역
92: 원뿔 형상의 헤드 섹션; 나사 헤드
93: 헤드 섹션 단면
94: 공구 수용부; 볼 형태의 외부 육각형
96: 섕크 영역, 요부, 섕크
97: 쓰레드 영역, 쓰레드
100: 접착 바디, 하이브리드 어버트먼트의 부분
101: 외벽, 외부 면
102: 상부 면
103: 하부 단면
105: 내벽, 내부 면, 전체
106: 원뿔대 형상의 리세스
107: 에지 영역
108: 그루브, 비틀림 방지 그루브
109: 비틀림 방지 노우즈
111: (23)과 (100) 사이의 접착 조인트
113 접착제
115: 임플란트 플랜지에 가까운 원통형의 부분 내벽
116: 임플란트 플랜지에 가까운 원뿔대 재킷 형상의 부분 내벽
117: 임플란트 플랜지에서 먼 원뿔대 재킷 형상의 부분 내벽
120: 인공 치관, 상부 구조물, 경우에 따라서는 음의 인터페이스 부분
121: 외벽, 외부 면
125: 내벽, 내부 면
131: (100)과 (120) 사이의 접착 조인트
132: 접착 조인트 에지
133: 접착제
140: (23)과 (100) 사이의 접착 조인트
141: 인터페이스; 양의 부분
142: (141)의 인터페이스 기하학적 구조
144: (142)의 중심 선
145: 인터페이스; 음의 부분
146: (145)의 인터페이스 기하학적 구조
148: (146)의 중심 선
150: 나사 결합된 그라우저를 갖는 임플란트 기둥
151: 나사 형상으로 감긴 그라우저
152: 폐쇄 링 웹
153: 나사 그루브
154: 환상 그루브
155: 채널
156: 원뿔대 형상의 포위 면
157: 원뿔대 형상의 기초 면
160: 변위된 그라우저를 갖는 임플란트 기둥
161: 실질적으로 정방형의 그라우저
166: 원뿔대 형상의 포위 면
167: 원뿔대 형상의 기초 면
170: 꺾인 그라우저를 갖는 임플란트 기둥
171: 아래로 꺾인 그라우저
172: 그루브
173: 내부로 구부러진 그루브 바닥
175: 포위 실린더; 원통형의 포위 면
176: 포위 원뿔; 원뿔대 재킷 형상의 포위 면
180: 변위된 조정 스프링 그라우저를 갖는 임플란트 기둥
181: 조정 스프링 형상의 그라우저
185: 하부 포위 원뿔; 원뿔대 재킷 형상의 포위 면
186: 상부 포위 원뿔; 원뿔대 재킷 형상의 포위 면
187, 188: 기초 면; 상부, 하부
190: 변위된 핀을 갖는 임플란트 기둥
191: 실린더- 또는 원뿔대 형상의 핀; 그라우저
192: 비틀림 방지 그라우저
193: 비틀림 방지 그루브
195: 원뿔대 재킷 형상의 포위 면
197: 기초 면

Claims (8)

  1. 중공 임플란트 기둥(23, 150, 160, 170, 180, 190), 중공 임플란트 핀(50) 및 이들 사이에 놓여 있는 임플란트 플랜지(31)를 가지며,
    - 상기 임플란트 기둥(23, 150, 160, 170, 180, 190) 및 상기 임플란트 핀(50)의 공동 구역(67, 62)이 서로의 내부로 이어지고, 이들의 중심선(69, 63)이 60 내지 86°의 각을 형성하며,
    - 상기 임플란트 기둥(23, 150, 160, 170, 180, 190) 상에는, 안착 요소(5)가 인터페이스(141, 145)를 형성하는 조립 조인트(140)를 통해 비틀리지 않게 배열될 수 있으며,
    - 상기 안착 요소(5)가 인공 크라운(120), 접착 바디(100) 및 크라운(120)으로 이루어진 결합체 또는 다른 캡 형상의 요소이며,
    - 적어도 임플란트 플랜지(31)의 영역들은 지지 포위 면(37)을 가지며,
    - 안착 요소(5)가, 상부 구조물 지지체(20)의 인터페이스 기하학적 구조(142) 상에 적어도 국부적으로 형상 결합 방식으로 그리고/또는 강제 결합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기하학적 구조(146)을 가지며,
    - 상기 개별 인터페이스 기하학적 구조(142, 146)가, 비틀림 방지를 보장해주는 기하학적 구조 영역(들)(41, 108, 109, 192, 193)을 배제한 상태에서, 외부 포위 면(28, 156, 166, 175, 176, 185, 186, 195) 및/또는 내부 포위 면을 갖는,
    임플란트 바디(10)와 상부 구조물 사이의 보철식 치아 대체물(1)의 부분으로서의 상부 구조물 지지체(2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기하학적 구조(142, 146)의 외부 포위 면(28, 156, 166, 175, 176, 185, 186, 195) 및/또는 내부 포위 면이 각각, 지지 포위 면(37)과 수직으로 교차하거나 상기 지지 포위 면의 회전 축(79)과 일치하는 중심 선(144, 148)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기하학적 구조(142, 146)가 실린더 재킷, 원뿔대 재킷 또는 동일한 형상이거나 상이한 복수의 재킷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기하학적 구조(142, 146)의 개별 재킷 또는 재킷 조합물의 중심 선(144, 148)이 서로 합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
  5. 제1항에 있어서, 개별 임플란트 기둥(23, 150, 160, 170, 180, 190) 및/또는 개별 안착 요소(5)가 각각 기초 면(157, 167, 187, 188, 197)을 가지며, 이들 기초 면이 동일 부품의 인터페이스 기하학적 구조(142, 146)와 함께 갭(6)을 형성하고, 상기 갭의 평균 두께는 0.05 ㎜ 이상으로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
  6. 제1항에 있어서, 지지 포위 면(37)이 일 평면(38) 및/또는 일 원뿔대 재킷 면(75, 7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
  7. 제6항에 있어서, 원뿔대 재킷 형상의 지지 포위 면(75, 76)에서는, 이론적인 원뿔 팁이 임플란트 기둥(23, 150, 160, 170, 180, 190) 또는 임플란트 핀(50) 쪽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
  8. 제6항에 있어서, 원뿔대 재킷 형상의 지지 포위 면(75, 76)의 원뿔 각이 180 내지 1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구조물 지지체.
KR1020197005076A 2016-07-20 2017-07-18 특정한 임플란트 포스트 기하구조를 구비한 상부구조 지지체 KR1024893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008669.6A DE102016008669B4 (de) 2016-07-20 2016-07-20 Suprastrukturträger mit besonderer Implantatpfostengeometrie
DE102016008669.6 2016-07-20
PCT/DE2017/000212 WO2018014897A1 (de) 2016-07-20 2017-07-18 Suprastrukturträger mit besonderer implantatpfostengeometri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565A true KR20190064565A (ko) 2019-06-10
KR102489389B1 KR102489389B1 (ko) 2023-01-17

Family

ID=59631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076A KR102489389B1 (ko) 2016-07-20 2017-07-18 특정한 임플란트 포스트 기하구조를 구비한 상부구조 지지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564779B2 (ko)
EP (1) EP3487442B1 (ko)
JP (1) JP7101657B2 (ko)
KR (1) KR102489389B1 (ko)
CN (1) CN109640870B (ko)
BR (1) BR112019001256B1 (ko)
DE (1) DE102016008669B4 (ko)
WO (1) WO20180148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714B1 (ko) * 2020-12-30 2021-09-29 이노덴 주식회사 유동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008669B4 (de) * 2016-07-20 2018-10-11 Bruno Spindler Suprastrukturträger mit besonderer Implantatpfostengeometrie
DE102016008668B4 (de) * 2016-07-20 2018-10-25 Bruno Spindler Suprastrukturträger mit besonderer Innen- und Außengeometrie
WO2018184119A1 (en) * 2017-04-07 2018-10-11 Panthera Dental Inc. Drop-shaped screw conduit for a dental superstructure and designing method thereof
DE102018113237A1 (de) 2018-06-04 2019-12-05 TRI Dental Implants Int. AG Zahnimplantat und Zahnprothese
DE102018119612A1 (de) * 2018-08-13 2020-02-13 Curd Gadau Abutmentsystem
WO2020153198A1 (ja) * 2019-01-25 2020-07-30 佐藤 文昭 歯冠修復物
DE102019203348A1 (de) * 2019-03-12 2020-09-17 Tim Übermuth Abformeinrichtung für ein Dentalimplantat
AT522914A1 (de) * 2019-09-03 2021-03-15 Eap® Produktions Und Patentverwertung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Computermodells für ein Abutment und eines Abutments
RU197474U1 (ru) * 2019-09-05 2020-04-29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ронеж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Н.Н. Бурденко"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Металлическое основание для абатмента из полиэфирэфиркетона
DE102019007624A1 (de) * 2019-11-04 2021-05-06 Bruno Spindler Systemmontageschnittstelle
KR102099062B1 (ko) * 2019-12-10 2020-04-08 장천석 교합고경의 안정적인 치수 조절이 가능한 임플란트의 어뷰트먼트
CA3180844A1 (en) * 2020-04-22 2021-10-28 Khoury Dent Ltd. Abutment for implant connector
KR102499107B1 (ko) * 2021-10-06 2023-02-14 임종화 하중 분산력과 보철물 결합력이 향상된 임플란트용 일체형 어버트먼트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7402B2 (ja) * 1997-03-21 2002-07-24 ディンケラッカー、ウォルフガング 歯科用植え込み台
KR20070024664A (ko) * 2004-06-29 2007-03-02 라이프코어 바이오메디칼 인코포레이티드 내부 연결 덴탈 임플란트
KR20090055019A (ko) * 2006-08-25 2009-06-01 바이오메인 에이비 치과용 상부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4012973A2 (de) * 2012-07-18 2014-01-23 Bruno Spindler Zahnimplantataufbausystem
KR20140132470A (ko) * 2013-05-08 2014-11-18 조성암 Hybrid표면처리 차세대 임플란트
US20140349250A1 (en) * 2011-10-04 2014-11-27 Edvin Elsner Channel formation for the fixing element of a dental super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WO2015007262A2 (de) * 2013-07-17 2015-01-22 Bruno Spindler Suprastrukturträger und ein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9622B1 (en) * 1987-11-18 1994-09-27 Nobelpharma Ab Spacer
US5169309A (en) * 1990-01-12 1992-12-08 Attachments International, Inc. Abutment for dental appliances and the like
US5195891A (en) * 1990-12-06 1993-03-23 Sulc Josef M Adjustable dental implant system
CA2132941C (en) * 1994-09-26 1998-02-10 Ernie Siegmund Dental replacement mounting system
DE9417182U1 (de) 1994-10-26 1994-12-22 Impla Gmbh Dental Implantate Für einen Zahnersatz bestimmter Implantatbausatz
US5662475A (en) * 1996-03-08 1997-09-02 Mena; Raul R. Universal prosthetic and implant abutment
WO1998042273A1 (de) 1997-03-21 1998-10-01 Wolfgang Dinkelacker Zahnimplantat
US6672871B2 (en) * 2000-06-19 2004-01-06 Nobel Biocare Ab Coping with standoffs
US6592370B2 (en) * 2000-09-14 2003-07-15 Diro, Inc. Abutment for dental implant and associated components for use therewith
US8430668B2 (en) * 2005-06-17 2013-04-30 Zimmer Dental, Inc. Dental restorative system and components
JP5195285B2 (ja) * 2007-11-01 2013-05-08 日立金属株式会社 インプラント用キーパー及びその組立体
US9055988B2 (en) * 2007-11-09 2015-06-16 Southern Implants (Pty) Ltd. Dental implant adaptor
EP2090263A1 (de) * 2008-02-13 2009-08-19 Straumann Holding AG Abutment mit Inlay fuer Dentalimplantate
US20090298013A1 (en) * 2008-05-27 2009-12-03 Daniel Baruc Inclined dental abutment assembly device
US20110014588A1 (en) * 2009-07-17 2011-01-20 Bruce Seavey Apparatus for anchoring a dental appliance
RU2555384C2 (ru) * 2010-02-18 2015-07-10 Альфа Био Тек Лтд. Модульное о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наклонных зубных имплантатов
JP5848891B2 (ja) * 2011-05-31 2016-01-27 株式会社ジーシー 歯科インプラント用構造体
US8684735B2 (en) 2011-12-06 2014-04-01 Straumann Holding Ag Abutment inlay
DE202012003003U1 (de) * 2012-03-26 2012-05-10 Norbert Bomba Abutment und Klebebasis zum Aufsetzen auf Implantate im Kiefer eines Patienten
DE202012102746U1 (de) 2012-07-18 2012-08-22 Curd Gadau Zahnimplantataufbausystem
KR101253498B1 (ko) * 2012-10-18 2013-04-11 김용협 기능성 임플란트
US10588721B2 (en) * 2014-05-20 2020-03-17 Panthera Dental Inc. Attachment system for removable dental prosthesis and dental implant abutment
IL244188B (en) * 2016-02-18 2020-08-31 Kasem Yahya Angular transfer for dental implants
DE102016008668B4 (de) 2016-07-20 2018-10-25 Bruno Spindler Suprastrukturträger mit besonderer Innen- und Außengeometrie
DE102016008669B4 (de) * 2016-07-20 2018-10-11 Bruno Spindler Suprastrukturträger mit besonderer Implantatpfostengeometri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7402B2 (ja) * 1997-03-21 2002-07-24 ディンケラッカー、ウォルフガング 歯科用植え込み台
KR20070024664A (ko) * 2004-06-29 2007-03-02 라이프코어 바이오메디칼 인코포레이티드 내부 연결 덴탈 임플란트
KR20090055019A (ko) * 2006-08-25 2009-06-01 바이오메인 에이비 치과용 상부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US20140349250A1 (en) * 2011-10-04 2014-11-27 Edvin Elsner Channel formation for the fixing element of a dental super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WO2014012973A2 (de) * 2012-07-18 2014-01-23 Bruno Spindler Zahnimplantataufbausystem
KR20140132470A (ko) * 2013-05-08 2014-11-18 조성암 Hybrid표면처리 차세대 임플란트
WO2015007262A2 (de) * 2013-07-17 2015-01-22 Bruno Spindler Suprastrukturträger und ein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714B1 (ko) * 2020-12-30 2021-09-29 이노덴 주식회사 유동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9389B1 (ko) 2023-01-17
BR112019001256A2 (pt) 2019-04-30
CN109640870B (zh) 2021-08-24
BR112019001256B1 (pt) 2022-09-06
JP2019520943A (ja) 2019-07-25
CN109640870A (zh) 2019-04-16
WO2018014897A1 (de) 2018-01-25
US11564779B2 (en) 2023-01-31
EP3487442A1 (de) 2019-05-29
DE102016008669A1 (de) 2018-01-25
DE102016008669B4 (de) 2018-10-11
JP7101657B2 (ja) 2022-07-15
EP3487442B1 (de) 2021-12-29
US20190298498A1 (en) 2019-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64565A (ko) 특정한 임플란트 포스트 기하구조를 구비한 상부구조 지지체
KR102265498B1 (ko) 상부 구조물 지지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440721B1 (ko) 특정한 내측 및 외측 기하구조를 구비한 상부구조 지지체
CN101815479B (zh) 牙植入物和基牙之间的连接装置
CA3008549C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ntal structure, dental structure obtained and dental assembly formed by a structure screwed on a dental implant
JPS6266852A (ja) 義歯の装着に用いるドリルと固定ほぞ要素との組合セツト
KR20220120558A (ko) 시스템 어셈블리 인터페이스
US20210161624A1 (en) Dental prosthesis
US20040043360A1 (en) Upper implant construction
US20220183798A1 (en) Assembly interface between a superstructure and an implant body
CA3144559A1 (en) Prosthetic dental screw implant, tightening tool and coupling system between the two
KR100913554B1 (ko) 지대치 축조용 세라믹 포스트
SE538410C2 (sv) Dental protes och en metod för att tillverka protesen
SE538448C2 (sv) Dental protes
ITMI942450A1 (it) Disposizione per consentire la presa d'impronta anche nel caso di impianti endossei ad asse inclina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